KR20060103197A - 용접성 커넥터를 구비한 연료 탱크 구성부품 - Google Patents

용접성 커넥터를 구비한 연료 탱크 구성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3197A
KR20060103197A KR1020060026623A KR20060026623A KR20060103197A KR 20060103197 A KR20060103197 A KR 20060103197A KR 1020060026623 A KR1020060026623 A KR 1020060026623A KR 20060026623 A KR20060026623 A KR 20060026623A KR 20060103197 A KR20060103197 A KR 20060103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polymer
connector
housing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애널리스 알 퀸트맨
로리 엘 스테판스
Original Assignee
이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103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1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19Valve arrangements in the vent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57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using means for adhering or bonding the layers or parts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57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using means for adhering or bonding the layers or parts to each other
    • B29C2045/1664Chemical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15The materials being injected at different moulding stations
    • B29C45/162The materials being injected at different moulding stations using means, e.g. mould parts, for transferring an injected part between mould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72Fuel tanks, jerry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177Fuel tanks made of non-metallic material, e.g. plastics, or of a combination of non-metallic and metall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연료 탱크 구성부품은 확고한 화학적 결합을 통해서 하우징에 연결되는 용접성 커넥터를 갖는다. 상기 커넥터와 하우징은 상호 결합되도록 변형된다. 커넥터와 하우징 사이의 경계면은, 그 표면적을 증가시켜서 화학적 결합의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계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밸브에서의 화학적 결합은 커넥터 또는 하우징에 복잡한 인터로킹 형태를 구비할 필요를 제거하며, 구성부품을 성형하는데 필요한 공구의 복잡성을 감소시킨다.
하우징, 커넥터, 화학적 결합, 경계면, 폴리머, 족부, 계단형 프로파일, 돌출부, 몰드, 게이트

Description

용접성 커넥터를 구비한 연료 탱크 구성부품{FUEL TANK COMPONENT WITH WELDABLE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커넥터 구조 관계를 갖는 연료 탱크 구성부품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부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부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부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부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탱크 구성부품 제조 공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부품 제조 공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연료 탱크 구성부품 102: 하우징
104: 용접성 커넥터 105: 연료 탱크 벽
106: 원통형 하측 부분 108: 상측 부분
110: 경계면 111: 상면
112: 내표면 120: 족부
122: 돌출부
본 발명은 폴리머 연료 탱크에 부착될 수 있는 연료 탱크 구성부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호 접합되는 상이한 재료로 제조되며 그중 하나는 연료 탱크에 용접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탄화수소 투과(permeation)에 대한 배리어인 두 부분을 갖는 연료 탱크 구성부품에 관한 것이다.
연료 탱크는 점차로 블로우-성형(blow-molding)과 같은 효과적인 제조 공정에 보탬이 되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용접성(weldable) 폴리머 재료로 제조되고 있다. 이들 연료 탱크의 사용은 널리 보급되고 있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연료 탱크 구성부품을 그러한 폴리머 탱크에 연결하기 위한 적절한 구조물에 대해 아직 제안된 바 없다. 폴리머 연료 탱크의 효과적인 제조에 보탬이 되는 재료는 통상, 빈번하게 너무 부드럽고 장기 크리프(long term creep) 문제를 갖고 있기 때문에 우량한 연료 탱크 구성부품을 제조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더욱이, 폴리머 연료 탱크에 구성부품을 부착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핫플레이트 용접과 같은 공지 기술을 사용하여 용접하는 것이다. 용접 공정에 사용되는 고온은 연료 탱크와 동일한 재료로 거의 또는 전부 제조되는 구성부품을 손상 시킬 수 있다. 그러나, 구성부품 구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나일론과 같은 경질 고융점 재료는 폴리머 연료 탱크에 용접하기가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어렵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및 나일론은 그 상이한 융점과 다른 특성으로 인해 상호 잘 용접되지 않는다.
더욱이, 탱크에 부착되는 모든 구성부품은 환경 규제를 충족하도록 양호한 탄화수소 배리어여야 한다. 용접성 재료는 일반적으로 양호한 배리어를 만들지 못한다. 이러한 여러가지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하나의 해결책은, 나일론과 같은 적절한 배리어 재료로 제조된 연료 탱크 구성부품에, 용접성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용접성 커넥터는 이후 연료 탱크에 용접되며, 따라서 전체 구성부품을 연료 탱크에 부착시킨다. 구성부품 본체에 용접성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구성부품 하우징의 상부에 용접성 커넥터를 오버몰딩하는(또는 그 반대도 성립)하는 것이다. 이 커넥터는 처음에 하우징과 별도의 구성부품으로서 제조되며, 연료 탱크에 쉽게 용접될 수 있도록 구성부품 하우징과는 다른 융점 및 용접 특성을 갖는다.
상기 커넥터 및 구성부품 하우징은 연료 증기 투과, 커넥터와 하우징 사이에서의 연료 위킹(wicking), 및 하우징으로부터의 커넥터의 기계적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상호 확실하게 연결되어야 한다. 그러나, 커넥터의 용접성 재료를 하우징의 비용접성 재료에 연결 또는 몰딩하려는 시도에는 특정한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폴리에틸렌 및 나일론과 같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통상 아주 잘 부착되지 않으며, 그 결과 둘 사이의 경계면이 약해진다.
오늘날 공지된 구조물은 커넥터와 구성부품 하우징 사이를 보다 확실한 경계면을 생성하기 위해 오버몰딩 또는 인서트 몰딩을 통해서 기계적으로 인터로킹 연결하는 것에 의존하고 있다. 인터로킹 연결은 커넥터의 적어도 일 부분이 구성부품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이게 하거나 그 역이 이루어지게 하지만, 어느 경우에나 인터로킹 연결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복잡한 구성은 구성부품의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는 복잡한 공구를 요한다.
따라서, 하우징과 커넥터 사이에 향상된 밀봉 및 연결 특성을 제공하고, 하우징과 커넥터 사이에 인터로킹 연결을 요하는 기존의 구조물보다 제조가 간략하고 저렴한 구성부품 구조물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기계적 인터로킹 구조물 대신에 확실한 화학적 결합(chemical bond)에 의해 구성부품 하우징에 연결되는 용접성 커넥터를 갖는 연료 탱크 구성부품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부분과 하우징은 둘 다 상호 화학적으로 결합되도록 변성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재료는 또한 구성부품에 축적될 수 있는 임의의 전하를 소산(dissipate)시키기 위해 전도 특성을 갖도록 선택 및/또는 변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와 하우징 사이의 경계면은 그 표면적이 증대되도록 계단 형성된다.
본 발명의 연료 탱크 구성부품에서의 화학적 결합은 구성부품이 동일 몰드에서의 투 샷 몰딩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게 함으로써 구성부품 제조 공정을 간략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구성부품은 인서트 몰딩 공정을 통해서 제조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커넥터와 하우징 사이의 기계적 인터로킹 결여 및 화학적 결합은 두 구성을 간략하게 하며, 구성부품을 성형하는데 필요한 공구의 복잡성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비용을 절감한다.
<실시예>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배출(vent) 밸브, 흡입 밸브, 체크 밸브와 같은 연료 탱크 구성부품(100), 또는 상기 구성부품(100)을 폴리머 연료 탱크(105)(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됨)의 외표면에 연결하도록 설계된 용접성 커넥터(104)를 구비한 구성부품 하우징(102)을 갖는 기타 구성부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102)은 연료 탱크 내부로 연장되도록 설계된 원통형 하측 부분(106), 및 연료 탱크 외부로 연장되도록 설계된 상측 부분(108)을 갖는다. 상기 구성부품(100) 자체는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연료 탱크의 내부로부터 연료 증기를 대기로 또는 외부 증기-처리 구조물로 배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구성부품(100)은 통상 중공형인 바, 적절한 개구와 증기 통로가 메인 구성부품 하우징(102)의 하측 및 상측 부분을 연결하고 하우징(102)의 상측 부분에 있는 배출구에서 종료된다. 구성부품(100)은 예를 들어, 전복(rollover) 밸브, 헤드 밸브, 충진 제어 밸브, 또는 탱크로부터 연료 증기를 배출하거나 탱크를 향한 및/또는 탱크로부터의 연료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공지된 구성부품 구조물일 수 있다. 하우징(102)은, 핫-플레이트 용접과 같은 용접 기술에 관련된 온도를 견디기에 충분한 내열성을 가지며 화학적 결합에 적합한 화학 조성을 갖는 임의의 적합한 폴리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용접성 커넥터(104)는, 구성부품(100)이 연료 탱크 개구 내부에 작동적으로 배치될 때 상기 커넥터(104)의 적어도 일 부분이 연료 탱크(105)에 용접될 수 있도록 하우징(102)에 연결된다. 용접성 커넥터(104)는 하우징(102)의 상측 부분의 배출구 구조물을 둘러쌀 수 있거나, 또는 그 자체가, 증기 저장용기(canister)(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도록 배출구로부터 연장되는 노즐 도관과 같은, 배출구로부터의 연장부를 제공할 수 있다.
구성부품(100)을 연료 탱크 상에 설치하기 위해, 커넥터(104)는 연료 탱크 상의 개구 주위에 안착되고, 이후 핫플레이트 용접과 같은 적절한 공지 기술을 사용하여 연료 탱크 벽(105)에 용접된다. 일단 커넥터(104)가 연료 탱크에 용접되면, 하우징(102) 및 그 관련 구성부품 구조물은 확실하고 유체 및 기체 밀봉적인 방식으로 연료 탱크에 작동적으로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용접성 커넥터(104)는 용접에 의해 연료 탱크 벽(105)에 효과적으로 합체된다. 하우징(102)과 커넥터(104) 사이의 화학적 결합은 하우징(102)을 커넥터(104)에 대해서, 및 그로인해 연료 탱크에 대해서 확실하게 로크시킨다. 커넥터(104)와 연료 탱크 사이의 용접된 시임(seam)은 일체의 연료 증기 또는 액체 연료 누설을 방지하는 바, 이는 커넥터(104)가 연료 탱크에 용접된 후 효과적으로 연료 탱크 벽의 일부가 되기 때문이다.
커넥터(104)와 하우징(102) 사이의 경계면(110)에서 확실한 화학적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 하우징(102) 용으로 사용된 재료는 아미노기 농후 폴리아미드와 같은 화학 결합 등급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 재료는 전기 전도성인 것이 바람직하며, 낮은 탄화수소 투과성을 갖는다. 커넥터(104)용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하우징 재료와 확실하게 결합되도록 만들어진다.
폴리에틸렌 및 나일론은 일반적으로 서로에 대해 약한 접착 품질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02) 내의 재료는, 화학 결합 등급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1, 나일론 12, 또는 기타 유사 재료와 같은, 종말(terminal) 카르복실기 농도보다 큰 종말 아미노기 농도를 갖는 폴리아미드 수지,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비용접성 배리어 재료이다. 당업자라면 구성부품(100)을 보다 부드러운 저융점 연료 탱크에 체결할 때 발생되는 용접 환경 온도를 견딜 수 있는 한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또한, 커넥터(104) 내의 재료는 하우징 재료와 화학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폴리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104)는 불포화 카르복실 무수물에 의해 변성된 폴리올레핀으로 제조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무수 말레산 또는 기타 접착성 합성수지와 같은, 불포화 카르복실산과 혼합된 HDPE(high-density polyethylene)와 같은 변성 HDPE가, 커넥터(104)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수지로서 사용된다. HDPE를 이런 식으로 변성시키면, 커넥터(104) 재료와 하우징(102) 재료가 상호 화학적 결합을 이루도록 화학적으로 친화적으로 된다. 필요하다면, 폴리아미드 및/또는 폴리올레 핀 수지는 (예를 들면, 전하를 소산시키기 위한) 그 전도 특성을 향상시키고 및/또는 탄화수소 투과에 대한 그 저항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물을 구비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전도성(conductive)"이란 용어는 전도 특성 및 소산 특성을 둘 다 지칭한다. 가능한 첨가물에는 탄소 및 스테인레스 스틸이 포함되지만, 다른 첨가물도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 배리어 재료와 커넥터 재료에 사용되는 특정 제형에 관계없이, 두 재료 사이의 접착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변성은 양호한 투과성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확고한 화학적 결합을 제공하도록 분자 레벨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계면(10)에서의 이러한 확실한 화학적 결합은, 도 1의 실시예에서의 커넥터(104)가, 하우징(102)의 상측 부분(108)에 부착되는 간단한 링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커넥터(104)와 하우징(102)의 맞물림 표면은 편평하며, 커넥터(104)가 커넥터의 상면(111)과 접촉하여 경계면(110)을 형성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커넥터(104)와 하우징(102)은 기계적 인터로킹이나 커플링 없이 오로지 화학적 결합에 의해서 함께 유지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부품 구조물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일체의 기계적 인터로킹 없이 하우징(102)에 화학적으로 결합되는 커넥터(104)를 구비함으로써, 이들을 비용 면에서 효과적이고 제조가 간단하게 만들어준다.
도 2는 화학적 결합에 의해 가능해지는 커넥터(104)와 하우징(102) 사이의 경계면(110)의 간단한 프로파일을 사용하는 다른 가능한 구조의 측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의 커넥터(102)는 제 1 실시예의 커넥터(102)와 마찬가지로, 역시 링 형상이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경계면(110)은 링형 커넥터(104)의 상면(111)이 아닌 내표면(112)에 배치된다. 편평한 경계면(110)에서의 화학적 결합은 커넥터(104)와 하우징(102)이 기계적 인터로킹 없이 확실하게 함께 유지될 수 있게 해준다.
커넥터(104)와 하우징(102) 사이의 화학적 결합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커넥터(104) 및/또는 하우징(102)의 프로파일은 경계면(110)의 표면적을 증대시키도록 임의의 간단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모두, 경계면(110)이 그 표면적이 증가하도록 계단 형성되는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하우징(102)이 내표면(112)과 접촉하도록 하향 연장되는 작은 족부(foot)(120)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이러한 변형예에서도, 커넥터(104)와 하우징(102)은 여전히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바, 이는 상기 족부(120)만이 커넥터(104)와 하우징(102) 사이에 일체의 기계적 인터로킹 관계를 형성하지 않고 경계면(110)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커넥터(104)와 하우징(102)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합성수지의 구축으로 인해, 구성부품(100)은 경계면(110)에서의 화학적 결합만으로 함께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4는 커넥터(104)와 하우징(102)이 경계면(110)에 간단한 계단형 프로파일을 형성하도록 성형된 다른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계단형 프로파일은 경계면(110)의 표면적을 더 증가시키며, 따라서 경계면(110)에서의 화학적 결합의 강 도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상기 경계면(110)에서의 계단형 프로파일은 커넥터(104)와 하우징(102)을 기계적으로 인터로크 시키지 않음에 유의해야 하며, 도 4에서는 화학적 결합 없이 커넥터(104)와 하우징(102)이 상호 완전히 분리됨을 명확히 알 수 있다.
도 5는 경계면(110)에 대한 또 다른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구조 또한 계단형 경계면이지만, 커넥터(104)의 내표면(112)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122)를 구비함으로써 경계면(110)의 표면적이 더 증가되어 있다. 돌출부(122)는 커넥터(104)와 하우징(102) 사이의 화학적 결합을 인터로킹 없이 강화하기 위한 추가적인 접촉면을 제공한다. 커넥터(104)와 하우징(102)의 재료 특성으로 인해 경계면(110)에서의 화학적 결합이 강하기 때문에, 경계면 프로파일(110)은 계단형 구조로도 매우 간단하게 유지될 수 있는데, 이는 구성부품(100)을 함께 유지하는데 기계적 인터로킹이 전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구성부품 구조는 커넥터(104)의 어떤 부분이 하우징(102)에 의해 봉입(encapsulate)되거나 그 역으로 되는 것을 요하지 않는다. 대신에, 경계면(110)에서의 주 설계 관심이 경계면(110)에서의 화학적 결합을 위한 소망 정도의 표면적이기 때문에 경계면(110)의 프로파일이 간단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부품 구조물에서의 이러한 기계적 인터로킹의 결핍은 커넥터(104)를 하우징(102) 상에 오버몰딩하거나 하우징(102)을 커넥터(104) 상에 오버몰딩할 필요를 없애주며, 복잡도를 감소시키고, 따라서 구성부품(100)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구의 비용을 감소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150)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방법(150)은 경계면(110)에 화학적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투-샷 몰딩 공정, 인서트 몰딩 공정, 또는 임의의 기타 적절한 제조 공정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방법(150)은, 커넥터(104)를 형성하기 위해 제 1 위치에 배치된 성형 공구에 비용접성 재료를 사출하는 단계(블록 152), 공구를 제 2 위치로 이동(예를 들면, 회전)시키는 단계(블록 154), 및 이후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동일 공구에 용접성 재료를 사출하는 단계(블록 156)를 포함하는 투-샷 몰딩 공정(151)일 수 있다. 도 6에서의 실시예는 커넥터(104)를 먼저 성형하고 이어서 하우징(102)을 성형하지만, 대신에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하우징(102)이 먼저 성형될 수 있다.
일단 커넥터(104)와 하우징(102)이 성형 공구에 형성되면, 그 결과적인 구성부품(100)이 임의의 공지된 방식으로 냉각 및 경화된다(블록 158). 일 실시예에서는, 두 재료의 접착 및 화학적 결합을 촉진하기 위해 제 1 재료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제 2 재료가 몰드에 사출된다. 투-샷 몰딩 공정은, 하우징(102)과 커넥터(104)를 형성하는데 사용된 두 개의 상이한 재료를 각각 제조 중에 동시에 수축시킬 수 있고, 구성부품(100) 내에서의 내부 성형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7에 도시하듯이, 구성부품(즉, 하우징(102) 또는 커넥터(104))중 하나는 제 1 성형 공구에서 제조되고(블록 160), 제 1 성형 공구로부터 제거되어 제 2 성형 공구에 배치될 수 있다(블록 162). 다른 구성부품들은 이후 제 2 성형 공구에서 성형되고(블록 164), 두 재료는 인서트 몰딩 공정에서 경계면 (110)을 형성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냉각 및 경화될 수 있다(블록 166).
사용되는 특정 몰딩 공정에 관계없이, 커넥터(104)를 하우징(102)에 접합하는 경계면(110)은 전술한 재료들의 접착 특성으로 인해 순수 화학적 결합이다. 즉, 오버몰딩 공정은 본질적으로 커넥터(104)와 하우징(102)을 기계적으로 인터로크시킬 필요가 없다. 화학적 결합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특정 조건은 몰딩 중에 사용되는 온도와 압력의 함수이며, 결합을 작동시키도록 조정된다. 예를 들어, 주어진 폴리머에 대한 적정 온도는 그 재료의 특정한 특징에 종속된다(예를 들어, 폴리머에 첨가물을 포함시키면 화학적 결합을 생성하기 위한 임계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변성 나일론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임계 온도가 285℃ 및 305℃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차 사출되는 폴리머의 임계 온도는 결합을 촉진하기 위한 중요한 온도이다.
사출 중에 경계면(10)에서의 전단 작용은 또한 화학적 결합의 품질을 제어한다. 폴리머가 성형 공구로의 게이트를 빠져나가는 압력은 전단을 생성하고, 경계면(110) 근처에 게이트가 배치되면 결합을 강화하도록 경계면(110)에서의 양호한 전단을 보장한다. 성형 공구는 또한, 공기가 경계면(110)에 포착(trap)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임의의 공지된 방식을 통해서 배출되어야 한다.
커넥터(104)와 하우징(102)을 기계적으로 인터로크하기 위해 커넥터(104) 및/또는 하우징(102)을 복잡한 프로파일을 갖도록 구성할 필요가 제거됨으로써 양 구 성부품에 대한 공구가 간략화될 수 있고,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더욱이, 기계적 결합보다는 화학적 결합에 의존함으로써, 인터로킹 목적만을 위해서 커넥터(104) 내에 잉여 용접성 재료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진다.
용접성 링과 비용접성 구성부품 하우징 사이에 일체의 인터로킹 또는 기계적 커플링을 요하지 않는 구성부품 구조물을 생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구조물 및 방법은 투-샷 몰딩 공정을 사용하여 구성부품을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링과 하우징 사이의 화학적 결합은, 링과 구성부품 하우징 양자가, 링 위에 구성부품 하우징을 오버몰딩하거나 구성부품 하우징 위에 링을 오버몰딩하는 것을 요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게 해주며, 구성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공구를 덜 복잡하게 만든다. 대신에, 용접성 커넥터는 구성부품 몰딩 공정 중에 구성부품 하우징에 간단히 접합되는 간단한 구조로 제작되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더욱이, 커넥터는 인터로킹 영역이 제거되기 때문에 보다 적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제한적이기 보다는 예시적인 것이다. 상기 교시 내용을 감안하면 여러가지 수정예 및 변형예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시하였으나, 당업자라면 특정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알 것이다. 따라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특정하게 기술된 것과 달리 실시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후술하는 청구범위가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내용을 결정짓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8)

  1. 폴리머 연료 탱크(105)에 부착하기 위한 연료 탱크 구성부품(100)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에 용접될 수 없으며 탄화수소 투과에 대한 배리어인 제 1 폴리머로 제조된 하우징(102), 및
    폴리머 연료 탱크에 용접될 수 있는 제 2 폴리머로 제조된 커넥터(104)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기계적 인터로킹이 전혀 없이 화학적으로 결합된 경계면(110)을 통해서 하우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구성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머는 제 2 폴리머와 결합하도록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구성부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머는 종말 카르복실기 농도보다 큰 종말 아미노기 농도를 갖는 폴리아미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구성부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머는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구성부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폴리머는 접착성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구성부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폴리머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에 의해 변성된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구성부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머와 제 2 폴리머중 적어도 하나는 전기 전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구성부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실질적으로 환형이고, 상면(111) 및 내표면(112)을 가지며,
    상기 경계면은 커넥터의 상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구성부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경계면이 커넥터의 내표면의 적어도 일 부분과 상면에 존재하도록 커넥터의 내표면의 적어도 일 부분과 접촉하는 족부(12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구성부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실질적으로 환형이며, 상기 경계면은 계단형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구성부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커넥터의 내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경계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하우징과 접촉하는 돌출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구성부품.
  12. 폴리머 연료 탱크(105)에 부착하기 위한 연료 탱크 구성부품(100)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에 용접될 수 없고, 탄화수소 투과에 대한 배리어이며, 종말 카르복실기 농도보다 큰 종말 아미노기 농도를 갖는 폴리아미드 수지인 제 1 폴리머로 제조된 하우징(102), 및
    폴리머 연료 탱크에 용접될 수 있고, 상기 제 1 폴리머와 화학적으로 결합하도록 만들어지는 제 2 폴리머로 제조된 커넥터(104)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기계적 인터로킹이 전혀 없이 화학적으로 결합된 경계면(110)을 통해서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폴리머와 제 2 폴리머중 적어도 하나는 전기 전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구성부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머는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구성부품.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폴리머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에 의해 변성된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구성부품.
  15. 연료 탱크 구성부품(100)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 1 사출 단계(152, 156)에서 제 1 폴리머와 제 2 폴리머중 하나를 몰드에 사출하여 커넥터와 하우징중 하나를 각각 형성하는 단계와,
    제 2 사출 단계(152, 156)에서 상기 제 1 폴리머와 제 2 폴리머중 다른 하나를 사출하여 커넥터와 하우징중 다른 하나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제 1 폴리머와 제 2 폴리머는 경계면을 형성하도록 만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폴리머와 제 2 폴리머(158)를 일체의 기계적 인터로킹 없이 화학적 결합을 형성하도록 경계면에서 함께 결합시킬 수 있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구성부품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출 단계는 몰드에서 제 1 위치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방법은 제 2 사출 단계(154) 이전에 몰드를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구성부품 제조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출 단계는 상기 커넥터와 하우징중 하나를 형성하기 위해 제 1 몰드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방법은 제 2 사출 단계 이전에 상기 커넥터와 하우징중 상기 하나를 제 2 몰드에 배치하는 단계(162)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구성부품 제조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를 포함하고, 이 게이트를 통해서 제 1 및 제 2 폴리머중 적어도 하나가 사출되며,
    상기 게이트는 형성될 경계면 근처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사출 단계중 적어도 하나는 경계면에 전단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구성부품 제조 방법.
KR1020060026623A 2005-03-25 2006-03-23 용접성 커넥터를 구비한 연료 탱크 구성부품 KR200601031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090,245 US7247036B2 (en) 2005-03-25 2005-03-25 Fuel tank component with weldable connector
US11/090,245 2005-03-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197A true KR20060103197A (ko) 2006-09-28

Family

ID=36603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623A KR20060103197A (ko) 2005-03-25 2006-03-23 용접성 커넥터를 구비한 연료 탱크 구성부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47036B2 (ko)
EP (1) EP1705052A3 (ko)
JP (1) JP2006273321A (ko)
KR (1) KR20060103197A (ko)
CN (1) CN1836886A (ko)
AU (1) AU2006201168A1 (ko)
CA (1) CA25407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5385B2 (en) * 2006-07-21 2013-07-16 Japan Polyethylene Corporation Welding material and fuel tank thereby welded
ES2563635T3 (es) * 2008-05-16 2016-03-15 Sca Hygiene Products Ab Pieza dosificadora moldeada por inyección de dos componentes
PL2310179T3 (pl) * 2008-05-16 2016-12-30 Część dozownika wytworzona przez dwuskładnikowe formowanie wtryskowe
AU2009248076B2 (en) * 2008-05-16 2014-05-22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Two-component injection moulded dispenser part
BRPI0912805B1 (pt) * 2008-05-16 2020-11-03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método de fabricação de uma parte de distribuidor
JP5801086B2 (ja) * 2011-04-04 2015-10-28 株式会社ニフコ 燃料タンク用コネクタ
JP6070440B2 (ja) * 2013-02-15 2017-02-01 豊田合成株式会社 給油装置
FR3033516B1 (fr) * 2015-03-10 2017-12-08 Arkema France Procede de surmoulage d'un composant en polyamide par une matrice polyolefine
EP3418095B1 (de) 2017-06-22 2019-04-24 Magna Steyr Fuel Systems GesmbH Entlüftungsnippel und tankvorrichtung
CN107768877A (zh) * 2017-11-20 2018-03-06 镇江华京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射频同轴连接器的连接装置
CN116845671B (zh) * 2023-08-01 2024-01-05 东莞市典威电子有限公司 光伏连接器分步注塑生产设备及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76384B1 (it) * 1995-06-14 1997-10-31 Fiat Auto Spa Serbatorio per il carburante per autoveicoli
JP2000008981A (ja) * 1998-06-17 2000-01-11 Toyoda Gosei Co Ltd 燃料遮断弁
JP4228377B2 (ja) * 1999-02-05 2009-02-25 旭硝子株式会社 燃料輸送用ホース
US6488877B1 (en) 1999-06-01 2002-12-03 Stant Manufacturing Inc. Method for forming a weldable mount for fuel systems component
US6840274B1 (en) * 1999-06-01 2005-01-11 Stant Manufacturing Inc. Weldable mount for fuel systems component
CA2334149C (en) 2000-02-03 2005-05-10 Stant Manufacturing Inc. Weldable mount for fuel systems component
CA2335165C (en) 2000-02-11 2005-07-12 Stant Manufacturing Inc. Weldable mount for fuel system component
US6652699B1 (en) * 2000-02-17 2003-11-25 Salflex Polymers Ltd. Flanged member with barrier layer
JP3824212B2 (ja) 2000-11-17 2006-09-20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タンク付設弁
JP2001271972A (ja) * 2000-03-27 2001-10-05 Piolax Inc 帯電防止構造付き燃料配管
JP2001281575A (ja) 2000-03-29 2001-10-10 Fuji Photo Optical Co Ltd 光走査装置の分離光学系
EP1197373A2 (en) 2000-10-10 2002-04-17 Horie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Plastic parts connected to a plastic fuel tank
JP4688275B2 (ja) * 2000-11-02 2011-05-25 株式会社ニフコ 燃料タンク用コネクタ
JP2002241546A (ja) * 2001-02-22 2002-08-28 Toray Ind Inc 燃料取扱用部材
US6578597B2 (en) 2001-03-08 2003-06-17 Stant Manufacturing Inc. Fuel tank vent system with liquid fuel filter
JP3528838B2 (ja) * 2001-03-16 2004-05-24 宇部興産株式会社 溶着部の燃料耐性に優れた燃料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7089952B2 (en) * 2001-03-16 2006-08-15 Ube Industries, Ltd. Fuel part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3893987B2 (ja) 2001-03-16 2007-03-14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タンク接合部品、リング状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
US6701950B2 (en) 2001-04-09 2004-03-09 Stant Manufacturing Inc. Fuel tank vent system
DE10142811A1 (de) * 2001-08-31 2003-04-24 Audi Ag Kraftstoffbehälter aus Kunststoff
US6669043B2 (en) * 2001-09-27 2003-12-3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Passthru device for internalized component fuel tanks
US6662820B2 (en) 2001-12-06 2003-12-16 Stant Manufacturing Inc. Weldable mount for fuel system component
JP3821224B2 (ja) 2002-03-15 2006-09-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封入容器と溶着部品の溶着方法
DE10309275A1 (de) 2002-09-03 2004-03-25 Rasmussen Gmbh Kupplungsstück zum Verbinden eines Kraftstoffaufnahme- oder -abgabebauteils mit einer Fluidleitung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324471B3 (de) 2003-05-30 2004-12-16 Rasmussen Gmbh Rohrartiger Stutz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36886A (zh) 2006-09-27
JP2006273321A (ja) 2006-10-12
US7247036B2 (en) 2007-07-24
US20060213915A1 (en) 2006-09-28
AU2006201168A1 (en) 2006-10-12
CA2540752A1 (en) 2006-09-25
EP1705052A3 (en) 2009-04-29
EP1705052A2 (en)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03197A (ko) 용접성 커넥터를 구비한 연료 탱크 구성부품
JP5026265B2 (ja) 付属品をプラスチック製燃料タンクに結合させる方法
US7320769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fuel tank welding joint
JP4503966B2 (ja) 管接続
US6161879A (en) Two-component connector
CA2263707C (en) Weldable vapor vent valve for fuel tanks
US7631903B2 (en) Part for connecting a fluid line to an opening of a container comprising plastic material or for closing the opening
US20070228722A1 (en) Device for Attaching a Componet to a Hollow Body and Fuel System for Motor Vehicles Using the Device
CN101142103A (zh) 将两个部件紧固于机动车燃料箱的系统、燃料系统及其制造方法
KR20070087064A (ko) 플라스틱재 관형부를 플라스틱재 연료 탱크의 목부에연결하는 방법
US20150239198A1 (en) Attaching structure of insert member to blow molded article
US7955675B2 (en) Weld joint for fuel tank
US11021051B2 (en) Liquid vehicle tank comprising a fastened component
US20090295026A1 (en) System for supply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tank comprised in the system
JP3709883B2 (ja) 燃料受け取りまたは燃料分配部品を流体路に接続する結合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0394095C (zh) 燃料箱的熔接接头
JP4997589B2 (ja) 燃料タンクの構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20258598A1 (en) Device for fastening a component to a fuel tank
US6702974B2 (en) Method for injection molded component with fuel vapor barrier layer
CN114761270B (zh) 多瓣密封件和包括这种密封件的密封装置
JP4112185B2 (ja) 樹脂製枠体の射出成形方法
JPH02253090A (ja) 接続部材付エレクトロフュージョン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