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3042A -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3042A
KR20060103042A KR1020050025187A KR20050025187A KR20060103042A KR 20060103042 A KR20060103042 A KR 20060103042A KR 1020050025187 A KR1020050025187 A KR 1020050025187A KR 20050025187 A KR20050025187 A KR 20050025187A KR 20060103042 A KR20060103042 A KR 20060103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hook
seating groove
base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0000B1 (ko
Inventor
강학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5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000B1/ko
Publication of KR20060103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상면에 안착홈(35)이 형성되는 키보드데크(33)와; 상기 안착홈(35)에 안착되는 것으로 베이스(41)상에 다수개의 키(43)가 배열되어 구성되고, 적어도 상기 베이스(41)의 일측이 상기 안착홈(35)의 측벽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키보드(40)와; 상기 안착홈(35)의 측벽에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키보드(40)의 베이스(41) 가장자리를 걸어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후크(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이후크(37)는 상기 안착홈(35)의 측벽을 관통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선단의 걸이턱(38)이 안착홈(35)의 중앙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이턱(38)의 선단 상면에는 상기 베이스(41)의 가장자리를 안내하는 가이드면(3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에 의하면 키보드를 장착하기 위한 구성이 키보드데크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부품수가 줄어들게 되고, 키보드를 구성하는 베이스에 공구슬롯을 형성하여 키보드를 키보드데크에서 분리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휴대용 컴퓨터, 키보드, 장착, 일체

Description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Keyboard mounting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e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키보드 장착구조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의 외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키보드 장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걸이후크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걸이후크에 키보드가 걸어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본체부 31: 바텀케이스
33: 키보드데크 34: 암레스트
35: 안착홈 36: 통공
37: 걸이후크 38: 걸이턱
38': 가이드면 40: 키보드
41: 베이스 43: 키
45: 걸이편 47: 공구슬롯
50: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키보드를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데크에 장착하기 위한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휴대용 컴퓨터의 외관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키보드 장착구조의 요부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체부(1)는 바텀케이스(2)와 키보드데크(3)로 구성된다. 상기 바텀케이스(2)는 주로 본체부(1)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키보드데크(3)는 상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키보드데크(3)의 선단은 암레스트(3')가 된다. 상기 암레스트(3')는 사용자가 손을 안착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암레스트(3')의 중앙에는 터치패드(4)가 구비된다.
상기 키보드데크(3)의 상면 후단에는 긴 장방형으로 안착홈(5)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5)은 아래에서 설명될 키보드(10)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안착홈(5)의 내부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관통부가 형성되어 안착홈(5)의 내부와 본체부(1)의 내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안착홈(5)의 측벽을 둘러서는 다수개의 걸이후크(7)가 안착홈(5)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상기 걸이후크(7)는 상기 키보드데크(3)의 이면에 해당되는 본체부(1)의 내측에서 상기 안착홈(5)으로 선단이 돌출된다. 상기 걸이후크(7)에는 상기 키보드데크(3)의 이면쪽에 구비된 별도의 판스프링(8)에 의해 탄성력이 제공된다. 상기 판스프링(8)은 안착홈(5)의 측벽에 대응되는 상기 키보드데크(3)의 이면에 설치된다. 상기 안착홈(5)의 바닥에는 팝업스프링(9)이 구비된다. 상기 팝업스프링(9)은 키보드(10)를 안착홈(5)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힘을 제공하는 것이다.
키보드(10)는 상기 안착홈(5)과 대응되는 판상의 베이스(12)상에 다수개의 키(14)가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키보드(10)는 상기 안착홈(5)에 안착되어 사용자의 타이핑작업에 의해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부(1)의 후단에는 디스플레이부(15)가 힌지부(1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에는 액정패널(17)이 구비되어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는 상기 본체부(1)의 상면에 겹쳐지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각도로 펼쳐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키보드(10)를 키보드데크(3)의 안착홈(5)에 장착하기 위해서, 다수개의 걸이후크(7)와 이들에 각각 탄성력을 부여하는 판스프링(8) 및 다수개의 팝업스프링(9)이 필요하다.
따라서, 키보드(10)를 키보드데크(3)에 장착하기 위한 부품의 갯수가 상대적 으로 많아지고, 또한, 이들 걸이후크(7), 판스프링(8) 및 팝업스프링(9) 등을 키보드데크(3)에 일일이 조립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판스프링(8)에 의해 지지되는 걸이후크(7)가 키보드(10)의 베이스(12)를 걸고 있는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길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막대기 등을 사용해야 하므로 키보드(10)의 분리작업이 번거롭고, 막대기 등에 의해 상기 베이스(12)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간소화된 구성으로 키보드를 키보드데크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보드데크에 장착된 키보드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면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것으로 베이스상에 다수개의 키가 배열되어 구성되고, 적어도 상기 베이스의 일측이 상기 안착홈의 측벽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키보드와; 상기 안착홈의 측벽에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키보드의 베이스 가장자리를 걸어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홈은 상기 본체부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키보드데크에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는 상기 안착홈의 측벽을 관통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선단의 걸이턱이 안착홈의 중앙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이턱의 선단 상면에는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를 안내하는 가이드면이 형성된다.
상기 키보드의 베이스에는 상기 안착홈의 측벽에 형성된 통공에 걸어지는 걸이편이 형성되는데, 상기 걸이편은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일측변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키보드의 베이스에는 상기 걸이후크가 걸어지는 부분에 상기 걸이후크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공구슬롯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의 바닥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키보드를 안착홈의 외부로 밀어올려주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팝업레버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에 의하면 키보드를 장착하기 위한 구성이 키보드데크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부품수가 줄어들게 되고, 키보드를 구성하는 베이스에 공구슬롯을 형성하여 키보드를 키보드데크에서 분리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부분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걸이후크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걸이후크에 키보드가 걸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부(30) 외관은 바텀케이스(31)와 키보드데크(33)가 협력하여 형성한다. 상기 바텀케이스(31)는 주로 본체부(30)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고 키보드데크(33)는 상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키보드데크(33)의 선단 상면은 암레스트(34)를 형성하고, 상기 암레스트(34)의 대략 중앙에는 터치패드(34')가 구비된다. 상기 키보드데크(33)의 상면 후단에는 안착홈(35)이 좌우로 길게, 즉 키보드데크(33)의 좌우폭보다 약간 작은 폭을 가지도록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35)은 키보드데크(33)의 상면에서 상대적으로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35)의 바닥에는 상기 본체부(3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관통부(35')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35')는 다양한 면적과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본체부(30) 내부의 설계조건에 따라 면적이나 형상이 달리된다.
상기 안착홈(35)의 측벽에는 다수개의 통공(36)이 천공된다. 상기 통공(36)은 상기 안착홈(35)의 측벽을 통해 안착홈(35)과 본체부(30)의 내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통공(36)은 상기 안착홈(35)중 상대적으로 상기 키보드데크(33)의 후단쪽 측벽에 형성된다. 상기 통공(36)은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홈(35)의 측벽중 양단과 상대적으로 키보드데크(33)의 선단쪽 측벽에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개의 걸이후크(37)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37)는 상기 키보드데크(33)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걸이후크(37)의 선단에는 상기 안착홈(35)의 내부로 돌출되게 걸이턱(38)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38)은 아래에서 설명될 키보드(40)의 베이스(41)를 걸어주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턱(38)중 상대적으로 선단 상면에는 경사지게 가이드면(38')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면(38')은 키보드(40)의 베이스(41)를 안내하여 상기 걸이후크(37)를 탄성변형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걸이후크(37)는 상기 안착홈(35)에 안착되는 키보드(40)의 크기 등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걸이후크(37)의 형성위치도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상기 통공(36)과 바꿀 수 있다.
키보드(40)는 타이핑작업으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키보드(40)는 상기 안착홈(3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판상의 베이스(41) 상에 다수개의 키(43)가 배열되어 구성된다.
상기 키보드(40)의 베이스(41)에는 상기 통공(36)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편(45)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45)은 상기 키보드데크(33)의 통공(3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41)에는 또한 상기 걸이후크(37)와 대응되는 위치에 공구슬롯(47)이 형성된다. 상기 공구슬롯(47)은 상기 베이스(41)의 가장자리중 상기 걸이후크(37)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공구슬롯(47)의 폭은 상기 걸이후크(37)의 폭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공구슬롯(47) 때문에 상기 걸이후크(37)가 상기 베이스(41)를 걸어 고정하지 못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본체부(30)의 후단에는 디스플레이부(50)가 힌지부(5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에는 액정패널(54)이 구비되어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는 상기 힌지부(52)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30)의 상면에 겹쳐지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각도로 펼쳐지도록 동작된다.
한편, 상기 안착홈(35)에 상기 키보드(4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걸이후크(37)들이 키보드(40)의 베이스(41)에서 분리되면, 키보드(40)가 자동으로 상기 안착홈(35)에서 상부로 약간 돌출되도록 팝업레버(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팝업레버도 상기 안착홈(35)의 바닥에 상기 걸이후크(37)와 같은 형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팝업레버는 그 탄성력으로 상기 키보드(40)를 밀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키보드(40)를 상기 안착홈(35)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키보드(40)의 걸이편(45)을 상기 통공(36)에 삽입되게 한다. 상기 걸이편(45)이 상기 통공(36)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키보드(40)를 상기 안착홈(35)의 바닥면 방향으로 눌러준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키보드(40)의 베이스(41) 가장자리가 상기 걸이후크(37)의 가이드면(38')을 따라 안내된다. 상기 베이스(41)가 상기 걸이후크(37)의 가이드면(38')을 따라 안내되면, 상기 걸이후크(37)는 그 걸이턱(38)부분이 상기 안착홈(35)의 측벽 내측으로 후퇴되도록 탄성변형된다.
상기 베이스(41)가 상기 가이드면(38')을 완전히 통과하면 상기 걸이후크(37)가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베이스(41)의 가장자리 상단,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공구슬롯(47)이 형성된 베이스(41)의 가장자리 상단에 상기 걸이턱(38)이 걸 어진다. 따라서, 상기 키보드(40)는 상기 베이스(41)의 걸이편(45)이 통공(36)에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걸이편(45)의 반대쪽과 키보드(40)의 양단이 상기 걸이후크(37)에 걸어져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안착홈(35)에 안착된 상기 키보드(4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공구슬롯(47)에 공구나 봉 등을 삽입하여 상기 걸이후크(37)를 탄성변형시킨다. 상기 걸이후크(37)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걸이턱(38)이 상기 키보드(40)의 베이스(41)에서 벗어나면 상기 키보드(40)는 상기 팝업레버의 복원력에 의해 약간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작업자는 상기 안착홈(35)의 상부로 돌출된 키보드(40)를 잡고 상기 베이스(41)의 걸이편(45)이 통공(36)에서 빠져나오게 하면, 키보드(40)를 안착홈(35)에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걸이후크(37)가 상기 키보드(40)의 베이스(41) 4변 모두에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적어도 하나의 걸이후크(37)가 키보드(40)의 적어도 일측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나머지 위치에는 키보드(40)의 베이스(41)가 단순하게 걸어지는 구성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키보드를 키보드데크의 안착홈에 장착시키기 위해 키보드데크에 일체로 형성된 걸이후크를 사용한다. 따라서, 키보드를 키보드데크에 장착시키기 위한 구성이 간소화되어 휴대용 컴퓨터의 구성부품이 간소화되고 조립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키보드를 안착홈에서 분리할 때, 걸이후크를 탄성변형시키기 위해 공구나 봉이 삽입될 수 있는 공구슬롯이 키보드의 베이스에 형성되어 있어, 베이스의 손상없이 키보드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상면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것으로 베이스상에 다수개의 키가 배열되어 구성되고, 적어도 상기 베이스의 일측이 상기 안착홈의 측벽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키보드와;
    상기 안착홈의 측벽에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키보드의 베이스 가장자리를 걸어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본체부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키보드데크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후크는,
    상기 안착홈의 측벽을 관통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선단의 걸이턱이 안착홈의 중앙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이턱의 선단 상면에는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를 안내하는 가이드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의 베이스에는 상기 안착홈의 측벽에 형성된 통공에 걸어지는 걸이편이 형성되는데, 상기 걸이편은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일측변을 따라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의 베이스에는 상기 걸이후크가 걸어지는 부분에 상기 걸이후크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공구슬롯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바닥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키보드를 안착홈의 외부로 밀어올려주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팝업레버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
KR1020050025187A 2005-03-25 2005-03-25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 KR101130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187A KR101130000B1 (ko) 2005-03-25 2005-03-25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187A KR101130000B1 (ko) 2005-03-25 2005-03-25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042A true KR20060103042A (ko) 2006-09-28
KR101130000B1 KR101130000B1 (ko) 2012-03-28

Family

ID=37623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187A KR101130000B1 (ko) 2005-03-25 2005-03-25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0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95459B (zh) * 2009-10-30 2017-08-11 三星電子股份有限公司 基於無線通訊網路的個人學習裝置及其方法
CN109648403A (zh) * 2019-01-30 2019-04-19 领胜城科技(江苏)有限公司 键盘胶产品的自动化加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5950A1 (en) * 1999-10-19 2005-02-17 Ted Daniels Portable input device for computer
KR100539811B1 (ko) * 2001-09-22 2006-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트북 컴퓨터
TW577571U (en) * 2003-03-25 2004-02-21 Hon Hai Prec Ind Co Ltd Keyboard assembl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95459B (zh) * 2009-10-30 2017-08-11 三星電子股份有限公司 基於無線通訊網路的個人學習裝置及其方法
CN109648403A (zh) * 2019-01-30 2019-04-19 领胜城科技(江苏)有限公司 键盘胶产品的自动化加工装置
CN109648403B (zh) * 2019-01-30 2024-02-13 领胜城科技(江苏)有限公司 键盘胶产品的自动化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0000B1 (ko) 201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0844B1 (ko)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장착장치
US7492585B2 (en) Mounting apparatus for data storage device
KR20060000293A (ko) 포트 리플리케이터의 도난방지장치
US665785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1130000B1 (ko)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
JP4533712B2 (ja) 電子機器
US20090102334A1 (en) Case structure for server
JP6779342B1 (ja) 電子機器用筐体及び電子機器
KR20060018761A (ko)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
KR20080011953A (ko) 걸기후크 및 이를 사용한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
US6332596B1 (en) Device for releasably mounting wrist support to computer keyboard
KR101195682B1 (ko)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KR101207683B1 (ko)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착탈구조
KR100607501B1 (ko) 컴퓨터의 디스크드라이브 장착장치
KR200145646Y1 (ko)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장착장치
KR100614236B1 (ko) 분리가능한 키보드를 위한 록킹 장치를 갖는 컴퓨터
JP2001104083A (ja) 配線カバー
KR101108395B1 (ko)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KR20060027878A (ko)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
KR200345682Y1 (ko) 신문열람대의 신문고정구조
JP3111163U (ja) 着脱容易な壁掛装置
JP2001104060A (ja) 配線カバー
JP4736690B2 (ja) 機器の据付構造
KR20060110997A (ko) 컴퓨터의 드라이브브라켓 장착장치
KR101093892B1 (ko)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