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8395B1 -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8395B1
KR101108395B1 KR1020050020651A KR20050020651A KR101108395B1 KR 101108395 B1 KR101108395 B1 KR 101108395B1 KR 1020050020651 A KR1020050020651 A KR 1020050020651A KR 20050020651 A KR20050020651 A KR 20050020651A KR 101108395 B1 KR101108395 B1 KR 101108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d
touch
pad
key deck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9290A (ko
Inventor
이준형
김윤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0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8395B1/ko
Publication of KR20060099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1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the display being foldable up to the back of the other housing with a single degree of freedom, e.g. by 360° rotation over the axis defined by the rear edge of the base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키이데크(30)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직접 접촉하는 터치영역(35)과, 상기 터치영역(35)에 해당되는 키이데크(30)의 하면에 부착되어 터치신호를 입력받는 터치패드(42)와, 상기 키이데크(30)의 터치영역(35)에 인접하여 형성된 버튼통공(37)을 통해 키이데크(30)의 상면으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버튼(45)과, 상기 키이데크(30)의 하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버튼(45)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51)를 포함하는 부품이 실장되고 상기 터치패드(42)의 접지영역(43)과 그 자신의 접지를 위한 구성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핑거(58)가 구비되는 패드기판(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터치영역(35)에는 터치시트(40)가 부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는 사용자가 터치패드에 직접 힘을 가하지 않으므로 터치패드의 설치상태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터치패드장치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고, 터치패드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최소화되어 조립공수는 줄어들면서도 접지성능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휴대용 컴퓨터, 터치패드, 부착, 접지

Description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Touch pad apparatus for portable compute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터치패드장치가 채용된 휴대용 컴퓨터의 외관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키이데크의 상면 방향에서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키이데크의 하면 방향에서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키이데크 31: 암레스트
33: 키보드 33': 키
35: 터치영역 37: 버튼통공
39: 체결보스 39': 가이드핀
40: 터치시트 42: 터치패드
43: 접지영역 45: 버튼
46: 누름부 46': 고정부
47: 누름돌기 50: 패드기판
51: 스위치 52: 체결공
54: 걸이편 56: 관통부
58: 접지핑거 60: 스페이서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컴퓨터에서 일종의 입력장치로 사용되는 터치패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형 컴퓨터에서는 휴대시 마우스 대신 사용할 수 있는 포인팅장치로서 터치패드장치나 포인팅스틱을 사용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터치패드장치가 구비된 휴대형 컴퓨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휴대형 컴퓨터는 크게 본체부(1)와 디스플레이부(3)로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는 상기 본체부(1)의 후단에 그 양단부가 힌지부(5)로 연결되어, 본체부(1)의 상면에 겹쳐지게 놓여지거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각도로 펼쳐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는 액정패널과 같은 표시화면(3')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1)의 상면을 키이데크(7)가 형성한다. 상기 키이데크(7)에는 다수개의 키이(8)가 배열된다. 상기 키이(8)는 본체부(1)의 상면 후단으로 치우쳐 다수개가 여러개의 열로 배열된다. 상기 키이데크(7)의 상면 선단은 상기 키이(8)로 타이핑 작업을 할 때, 사용자의 손이 안착되는 암레스트(9)를 형성하는데, 상기 암레스트(9)의 중앙에는 터치패드장치(10)가 구비된다.
상기 터치패드장치(10)의 구성은, 도 1의 상세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키이데크(7)에는 패드통공(11)과 버튼통공(12)이 구비된다. 상기 패드통공(11)은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패드통공(11)보다 키이데크(7)의 선단 측에 버튼통공(12)이 형성된다.
상기 패드통공(11)에는 키이데크(7)의 하면 방향에서 터치패드(13)가 안착된다. 상기 터치패드(13)는 사람의 손이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포인팅하고자 하는 위치를 입력받는 것이다. 상기 터치패드(13)에는 케이블(14)과 커넥터(15)가 구비되어 외부와 신호를 연결한다.
상기 터치패드(13)를 상기 키이데크(7)에 고정하기 위해 터치패드하우징(16)이 구비된다. 상기 터치패드하우징(16)에는 상기 터치패드(13)가 안착되는 안착단(16')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16')에는 상기 터치패드(13)의 하면 가장자리가 안착된다.
상기 터치패드하우징(16)에는 상기 키이데크(7)에의 장착을 위한 체결보스(17)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보스(17)에는 상기 키이데크(7)에 체결되는 나사가 관통하는 체결공(17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터치패드하우징(16)의 선단에는 상기 버튼통공(12)에 대응되는 위치에 버튼(18)이 구비된다. 상기 버튼(18)은 상기 터치패드(13)를 통해 입력받은 위치정보를 선택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패드기판(19)에는 터치패드(13)의 동작을 위한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데, 예를 들면 상기 버튼(18)에 의해 구동되는 스위치(19')등이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 기술에 의한 터치패드장치(10)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패드(13)의 표면에 직접 닿으므로, 사용자가 가하는 힘이 터치패드(13)에 직접 작용한다. 따라서, 오랜 동안 사용하면 상기 터치패드하우징(16)이 키이데크(7)의 하면에 체결된 상태가 헐거워져 터치패드(13)의 동작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 의한 터치패드장치(10)에서는 상기 터치패드(13)의 접지를 위해 별도의 접지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를 키이데크(7)의 하면에 설치하고 접지플레이트와 터치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이 별도의 접지플레이트를 사용하게 되면 터치패드장치(10)의 전체 부품수가 늘어나게 되고 조립공수가 많아지며 접지플레이트 설치에 많은 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력에 의해 설치상태가 변경되지 않는 터치패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패드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간소화하면서도 접지가 확실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키이데크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직접 접촉하는 터치영역과, 상기 터치영역에 해당되는 키이데크의 하면에 부착되어 터치신호를 입력받는 터치패드와, 상기 키이데 크의 터치영역에 인접하여 형성된 버튼통공을 통해 키이데크의 상면으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버튼과, 상기 키이데크의 하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버튼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부품이 실장되고 상기 터치패드의 접지영역과 그 자신의 접지를 위한 구성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핑거가 구비되는 패드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터치영역에는 터치시트가 부착된다.
상기 터치패드는 상기 키이데크의 하면에 착탈가능한 양면테이프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패드기판은 그 일단이 상기 키이데크의 하면에 형성된 걸이리브에 걸어지고, 나머지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된 체결공을 관통하는 스크류가 키이데크 하면의 체결보스에 체결됨에 의해 키이데크의 하면에 장착된다.
상기 패드기판의 양단에는 상기 걸이데크에 걸어지는 단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걸이편이 형성되어 상기 키이데크에 형성된 가이드핀에 걸어져 패드기판이 가조립된다.
상기 접지핑거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드기판에 솔더링되어 실장된다.
상기 패드기판과 터치패드의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더 구비되어 상기 패드기판이 키이데크에 장착됨에 의해 상기 터치패드를 키이데크의 하면에 눌러준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터치패드의 가장자리를 둘러 안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는 사용자가 터치패드에 직접 힘을 가하지 않으므로 터치패드의 설치상태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터치패드장치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고, 터치패드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최소화되어 조립공수는 줄어들면서도 접지성능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키이데크의 상면 방향에서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키이데크의 하면 방향에서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키이데크(30)는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부 상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키이데크(30)의 상면 선단부는 사용자의 손바닥이 얹어지는 암레스트(31)를 형성한다. 상기 키이데크(30)의 상면 후단부에는 키보드(33)가 설치된다. 상기 키보드(33)는 다수개의 키(33')가 다수의 열로 배열된다.
상기 키이데크(30)의 암레스트(31) 중간부분에는 터치영역(35)이 형성된다. 상기 터치영역(35)은 키이데크(30)의 표면보다 약간 낮게 요입된다. 상기 터치영역(35)은 본 실시예에서 사각형으로 된다. 하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터치영역(35)과 키이데크(30)의 선단부 사이에는 버튼통공(37)이 형성된다. 상기 버튼통공(37)은 상기 키이데크(30)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버튼통공(3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튼(45)의 누름부(46)가 위치된다.
상기 키이데크(30)의 하면에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리브(38)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리브(38)은 상기 키이데크(30)의 하면에서 하부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리브(38)는 아래에서 설명될 패드기판(50)의 일단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리브(38)는 상기 터치영역(35)과 키보드(33) 사이에 대응되는 키이데크(30)의 하면에 형성된다.
상기 키이데크(30)의 하면에는 다수개의 체결보스(39)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보스(39)는 상기 터치영역(35)과 버튼통공(37)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키이데크(30)의 하면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보스(39)의 갯수는 패드기판(50)의 크기 등의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도면부호 39'는 패드기판(50)의 가조립을 위한 가이드핀이다.
상기 키이데크(30) 상면의 터치영역(35)에는 터치시트(40)가 부착된다. 상기 터치시트(40)는 상기 터치영역(35)에 부착되어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부분이다. 상기 터치시트(40)는 일반적으로 양면테이프를 사용하여 상기 터치영역(35)에 부착된다.
상기 터치영역(35)에 해당되는 키이데크(30)의 하면에는 터치패드(42)가 부착된다. 상기 터치패드(42)는 상기 키이데크(30)의 하면에 역시 양면테이프를 사용하여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양면테이프는 상기 터치패드(42)를 키이데크(30)에 영구적으로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부착후에 다시 떼어낼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상기 터치패드(42)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터치패드 (42)의 하면에는 접지영역(43)이 일측에 형성된다.
버튼(45)은 상기 버튼통공(37)에 안착되는 것으로, 크게 누름부(46)와 고정부(46')로 구성된다. 상기 누름부(46)는 상기 버튼통공(37)을 통해 키이데크(30)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부분이고, 상기 고정부(46')는 상기 버튼(45)을 키이데크(30)의 하면에 고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고정부(46')는 상기 체결보스(39)가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누름부(46)의 하면에는 누름돌기(47)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돌기(47)는 아래에서 설명될 패드기판(50)의 스위치(51)를 선택적으로 눌러주는 부분이다. 상기 누름돌기(47)는 누름부(46)의 하면에서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패드기판(50)은 인쇄회로기판으로서 터치패드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각종 부품들이 실장된다. 상기 패드기판(50)에는 스위치(51)가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51)는 상기 버튼(45)의 누름돌기(47)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패드기판(50)에는 상기 체결보스(39)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52)이 다수개 천공된다. 상기 체결공(52)은 상기 체결보스(39)와 대응되는 위치에 천공된다.
상기 패드기판(50)의 양단에는 걸이편(54)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편(54)은 상기 가이드핀(39')에 끼워져 패드기판(50)이 설치되는 위치를 안내하고 가조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걸이편(54)은 상기 걸이리브(38)에 걸어지는 패드기판(50)의 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패드기판(50)을 관통하여서는 관통부(56)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56)를 통해서는 상기 터치패드(42)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관통부(56)의 가 장자리에 해당되는 패드기판(50)의 일측에는 접지핑거(58)가 구비된다. 상기 접지핑거(58)는 상기 패드기판(50)에 솔더링되어 부착된다.
상기 접지핑거(58)는 상기 터치패드(42)의 접지영역(43)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패드기판(50)을 상기 키이데크(30)에 장착함에 의해 접지핑거(58)가 접지영역(43)에 접촉된다. 상기 접지핑거(58)는 상기 패드기판(50)에서 접지를 위한 구성과 상기 터치패드(42)의 접지영역(43)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접지핑거(58)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물론, 탄성이 없더라도 상기 접지핑거(58)가 상기 접지영역(43)에 확실하게 밀착되도록 구조가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핑거(58)는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금속판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패드기판(50)의 접지핑거(58)가 상기 터치패드(42)의 접지영역(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의해 터치패드(42)의 접지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물론,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패드기판(50)과의 연결만으로 접지가 불충분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패드기판(50)이 본체부 내부의 또 다른 접지를 위한 구성(예를 들면 하드디스크드라이브나 메인기판의 접지를 위한 구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스페이서(60)는 상기 터치패드(42)와 패드기판(5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터치패드(42)를 키이데크(3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즉, 상기 터치패드(42)와 패드기판(50)사이의 틈새에 설치되어, 상기 패드기판(50)이 상기 키이데크(30)에 장착됨에 의해 상기 터치패드(42)를 눌러주는 것이다.
상기 스페이서(60)는 본 실시예에서 4각 틀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상기 터치패드(42)와 패드기판(50)의 모양 등의 설계조건에 따라 달리된다. 상기 스페이서(60)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은데, 예를 들면 고무가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60)는 상기 터치패드(42)를 상기 패드기판(50)이 직접 눌러줄 수 있는 구성이라면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터치패드장치를 조립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터치패드(42)는 상기 터치영역(35)에 대응되는 키이데크(30)의 하면에 부착된다. 상기 터치패드(42)는 상기 키이데크(30)의 하면을 상부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패드(42)는 양면테이프로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양면테이프는 쉽게 떼고 붙일 수 있는 정도의 접착력을 가지므로, 상기 터치패드(42)는 일단 상기 키이데크(30)에 부착되었다 하더라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버튼(45)을 상기 키이데크(30)의 하면에 안착시킨다. 즉, 상기 버튼통공(37)에 상기 누름부(46)가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부(46')를 상기 체결보스(39)가 관통하도록 한다.
상기 버튼(45)을 키이데크(30)의 하면에 안착시킨 다음에는 상기 스페이서(60)를 상기 터치패드(42)상에 안착시킨다. 상기 스페이서(60)는 상기 터치패드(42)의 하면 가장자리에 안착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패드기판(50)을 키이데크(30)의 하면에 장착한다. 즉, 상기 걸이편(54)을 상기 가이드핀(39')과 대응되는 위치에 놓고, 상기 패드기판(50)의 선단이 상기 걸이리브(38)에 걸어지도록 이동시킨다. 상기 패드기판(50)의 이동에 의해 상기 걸이편(54)에는 상기 가이드핀(39')이 끼워지고 상기 패드기판(50)의 선단은 상기 걸이리브(38)에 걸어진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패드기판(50)에 형성된 체결공(52)이 상기 체결보스(39)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체결보스(39)에 상기 체결공(52)을 관통하여 스크류를 체결하면 상기 패드기판(50)이 고정된다.
상기 패드기판(50)이 상기 키이데크(30)의 하면에 장착되면, 상기 스페이서(60)는 상기 패드기판(50)에 의해 눌러져 상기 터치패드(42)를 상기 키이데크(30)의 하면에 밀착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60)는 상기 터치패드(42)가 상기 키이데크(30)의 하면에 확실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60)를 사용하여 상기 터치패드(42)를 눌러주는 것은, 상기 터치패드(42)를 키이데크(30)에 부착시키는 양면테이프의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것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기 패드기판(50)이 상기 터치패드(42)를 직접 눌러 줄 수 있는 구조라면 스페이서(60)를 반드시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상기 패드기판(50)이 상기 키이데크(30)에 장착되면, 상기 패드기판(50)의 스위치(51)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누름돌기(47)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45)의 누름부(46)가 눌러지면 상기 누름돌기(47)가 상기 스위치(51)를 온오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패드기판(50)이 상기 키이데크(30)에 장착되면, 상기 접지핑거(58)가 상기 접지영역(43)에 접촉되어 상기 터치패드(42)가 패드기판(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가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패드기판(50)도 본체부 내부의 별도 구성에 접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키이데크(30)의 상면에 형성된 터치영역(35)에 터치시트(40)를 부착한다. 물론 상기 터치패드(42) 등을 조립하기 전에 상기 터치시트(40)를 먼저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터치시트(40)는 상기 터치영역(35)에 양면테이프로 부착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키이데크(30)의 터치영역(35)에 터치시트(40)를 반드시 부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상기 터치영역(35)은 사용자가 해당 영역을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키이데크(30) 상면의 다른 영역과는 구별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터치영역(35)을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요입되게 형성한다든지, 색상을 달리 한다든지, 선을 그어 다른 부분과 구별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터치패드가 키이데크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어 사용자로 부터 터치패드에 직접 힘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터치패드의 설치상태가 오랜 동안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터치패드의 접지를 위해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터치패드장치에 사용되는 패드기판에 접지핑거를 설치하여 터치패드의 접지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패드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상대적으로 간소화되면서도 터치패드의 접지가 보다 확실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키이데크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직접 접촉하는 터치영역과,
    상기 터치영역에 대응되는 키이데크의 하면에 부착되어 터치신호를 입력받으며, 그의 하면 일측에 접지영역이 형성되는 터치패드와,
    상기 키이데크의 터치영역에 인접하여 형성된 버튼통공을 통해 키이데크의 상면으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버튼과,
    상기 키이데크의 하면에 장착되며, 상기 버튼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부품이 실장되는 패드기판 및,
    상기 패드기판의 일측에, 상기 터치패드의 접지영역과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터치패드의 접지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핑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영역에는 터치시트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는 상기 키이데크의 하면에 착탈가능한 양면테이프에 의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기판은 그 일단이 상기 키이데크의 하면에 형성된 걸이리브에 걸어지고, 나머지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된 체결공을 관통하는 스 크류가 키이데크 하면의 체결보스에 체결됨에 의해 키이데크의 하면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기판의 양단에는 상기 걸이리브에 걸어지는 단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걸이편이 형성되어 상기 키이데크에 형성된 가이드핀에 걸어져 패드기판이 가조립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핑거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드기판에 솔더링되어 실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기판과 터치패드의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더 구비되어 상기 패드기판이 키이데크에 장착됨에 의해 상기 터치패드를 키이데크의 하면에 눌러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터치패드의 가장자리를 둘러 안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KR1020050020651A 2005-03-11 2005-03-11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KR101108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651A KR101108395B1 (ko) 2005-03-11 2005-03-11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651A KR101108395B1 (ko) 2005-03-11 2005-03-11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290A KR20060099290A (ko) 2006-09-19
KR101108395B1 true KR101108395B1 (ko) 2012-01-30

Family

ID=37630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651A KR101108395B1 (ko) 2005-03-11 2005-03-11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83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7718A2 (en) * 2008-10-24 2010-04-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ouchpad input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3964A (ko) * 1997-12-24 1999-07-15 윤종용 전자 시스템의 포인팅 디바이스 장착구조
KR19990061831A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휴대용 컴퓨터
KR20060011171A (ko) * 2004-07-29 200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3964A (ko) * 1997-12-24 1999-07-15 윤종용 전자 시스템의 포인팅 디바이스 장착구조
KR19990061831A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휴대용 컴퓨터
KR20060011171A (ko) * 2004-07-29 200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290A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324B1 (ko)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JP5923648B1 (ja) 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US7486278B2 (en) Touch pad device for portable computer
US10401920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push button
EP3118713B1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070139388A1 (en) Touch pad structure for notebook computer
US7551160B2 (en) Touch pad apparatus for a portable computer
KR101380749B1 (ko) 휴대용 컴퓨터
US1037963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base member
US20070046644A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buttons without forming gaps therein
EP3649533B1 (en) Touchpad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KR101108395B1 (ko)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KR101093892B1 (ko)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US20200225769A1 (en) Electronic apparatus
US6713699B2 (en) Key switch stabilizer mechanism
CN110609587A (zh) 触控模块
KR101108307B1 (ko) 휴대용 컴퓨터의 안테나 설치구조
KR101195638B1 (ko)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KR20080032906A (ko) 터치패드 버튼 및 이를 사용한 터치패드장치
KR20060027877A (ko) 휴대용 컴퓨터의 정전기 방전구조
US20210064081A1 (en) Touch module
JP6241497B2 (ja) 電子装置
CN112445351A (zh) 触控模块
JPH0968459A (ja) 電子天秤
JPH11327686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