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749B1 - 휴대용 컴퓨터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749B1
KR101380749B1 KR1020070040441A KR20070040441A KR101380749B1 KR 101380749 B1 KR101380749 B1 KR 101380749B1 KR 1020070040441 A KR1020070040441 A KR 1020070040441A KR 20070040441 A KR20070040441 A KR 20070040441A KR 101380749 B1 KR101380749 B1 KR 101380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cover pad
cover
touch pa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5659A (ko
Inventor
송영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0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749B1/ko
Priority to US11/872,754 priority patent/US8054622B2/en
Priority to CNA2008100942591A priority patent/CN101295195A/zh
Publication of KR20080095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659A/ko
Priority to US13/282,846 priority patent/US885480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판과, 상판에 관통 형성된 개구부를 가지는 본체케이싱과;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상판에 결합되는 커버패드와; 상판에 결합된 커버패드의 배면에 개구부를 통하여 결합되며, 판면 상에 터치된 좌표를 감지하여 포인터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터치패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터치패드의 장착 구조를 간단히 하며, 본체케이싱으로부터 터치패드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컴퓨터{PORTABLE COMPUT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컴퓨터에서 터치패드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휴대용 컴퓨터에서 터치패드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에서 터치패드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5은 도 4의 휴대용 컴퓨터에서 터치패드의 결합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에서 터치패드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휴대용 컴퓨터에서 터치패드의 결합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휴대용 컴퓨터 10 : 본체부
20 : 디스플레이부 100 : 본체케이싱
110 : 상판 120 : 지지부
121 : 측벽 123 : 안착부
125 : 개구부 300 : 키보드부
400 : 커버패드 500 : 커버패드결합부재
510 : 지지돌기 520 : 돌기수용부
600 : 터치패드 610 : 커넥팅부재
700 : 터치패드결합부재 P : 포인터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패드의 장착 구조를 개선한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컴퓨터는 모빌리티(mobility) 및 사용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 기술이 적용됨으로써, 사용자가 장소에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휴대용 컴퓨터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본체부와, 상기 데이터를 시각화된 객체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시각화된 복수의 객체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커서(cursor) 혹은 포인터(pointer)가 상기 객체들과 함께 화상으로 구현된다. 모빌리티를 고려하지 않는 데스크탑 방식의 컴퓨터에서는 포인터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마우스(mouse)가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 휴대용 컴퓨터는 터치패드(touch-pad)에 의하여 사용자의 의도대로 포인터를 이동시키며, 이러한 터치패드는 본체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에 장착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는, 케이싱 상판면에 관통홀을 형성한 후, 케이싱 하판면으로부터 상기 관통홀을 통해 터치패드의 판면이 노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터치패드를 지지하는 별도의 브래킷을 스크루 등에 의해 케이싱 하판면에 결합시킨다. 이러한 종래의 컴퓨터는, 케이싱 상판면과 터치패드 판면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므로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며, 단차 때문에 사용자의 손이 다치는 일이 발생한다. 또한 별도의 브래킷을 마련하여 스크루로 케이싱 하판면에 체결해야 하므로, 장치 비용이 추가 소요됨은 물론, 추가 공정에 따른 생산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또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는, 사출 등에 의하여 케이싱을 제조할 때에 터치패드가 위치할 영역의 판면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제조한 후, 케이싱 하판면에 터치패드를 양면 테이프로 접착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는, 사용자가 케이싱 상판면을 터치했을 때에, 케이싱 하판면에 접착된 터치패드가 터치된 좌표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0.7[mm] 이하의 미세한 두께로 판면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렇게 케이싱 일 영역을 박형화하는 것은, 장치 제조에 곤란성을 초래하는 동시에 외부 충격에 대한 파손의 우려가 있다.
또한, 터치패드는 전적으로 양면 테이프에 의해 케이싱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양면 테이프의 접착력은 터치패드의 하중을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케이싱에 대해 터치패드를 분리 및 교체하기 위해서, 양면 테이프의 강한 접착력을 극복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터치패드 분리 작업이 매우 곤란하며, 터치패드를 케이싱으로부터 분리할 때에 터치패드 혹은 케이싱의 접착 영역이 파손될 수 있 다.
그러므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며 터치패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패드를 본체케이싱에 대해 용이하게 장착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터치패드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휴대용 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상판과, 상기 상판에 관통 형성된 개구부를 가지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상판에 결합되는 커버패드와; 상기 상판에 결합된 상기 커버패드의 배면에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결합되며, 판면 상에 터치된 좌표를 감지하여 포인터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케이싱은 상기 상판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커버패드는 상기 지지부에 압입 및 융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판으로부터 절곡된 측벽과; 상기 측벽으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커버패드가 안착되며,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안착부;를 포함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커버패드 및 상기 안착부 사이를 결합시키는 커버패드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커버패드결합부재는, 상기 커버패드 및 상기 안착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해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와; 상기 지지돌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다른 하나에 마련된 돌기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커버패드로부터 상기 안착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돌기수용부는 상기 안착부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돌기수용부를 관통한 상기 지지돌기의 단부 영역은 상기 안착부의 배면에 융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커버패드결합부재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패드 및 상기 터치패드 사이를 결합시키는 터치패드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패드는 비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패드는 그 상판면이 부식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1)는, 데이터의 처리 및 저장 등이 이루어지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본체부(10)에서 처리된 화상 정보를 수신하여 화상으로 표시하며, 포인터(P)를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디스플레이부(20);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본체케이싱(100)과; 사용자가 입력 가능하게 본체케이싱(100) 외측에 마련된 키보드부(300)와; 본체케이싱(100)에 결합된 커버패드(400)와; 커버패드(400) 배면에 장착되며 포인터(P)를 이동시키기 위한 터치패드(600)와; 커버패드(400) 및 터치패드(600) 사이를 결합시키는 터치패드결합부재(700);를 포함한다(도 1 및 도 2 참조).
본체케이싱(100)은 본체부(10)의 외관을 형성하며, 본체부(10)를 이루는 하위 구성요소들을 수용 및 지지할 수 있는 공간을 내측에 가진다. 본체케이싱(100)은 소정 간격의 두께를 가진 사각형의 판 형상을 가지며, 모빌리티를 고려한 경량화를 위해서 플라스틱 등의 가볍고 강도가 높은 재질을 포함한다. 본체케이싱(100)은 가장자리 일측에 디스플레이부(2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체케이싱(100)은 책상 등과 같은 소정의 설치면 상에 지지될 때에 그 하판면(미도시)이 상기 설치면에 접하며, 상기 하판면(미도시)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상향 개방된 상판(110)을 가진다. 여기서, 터치패드(600)를 본체케이싱(100) 내측으로부터 커버패드(400) 배면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판면(미도시) 및 상판(110)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싱(100)은 상판(110)의 일 영역에 커버패드(400)를 수용 지지하는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0)은 디스플레이부(20)가 본체부(10)를 덮도록 회동하였을 때에 디스플레이부(20) 판면에 의해 덮이는 본체케이싱(100)의 외측 일 영역이다. 상판(110)은, 휴대용 컴퓨터(1)가 설치면 상에 지지되며 본체부(10)에 대해 디스플레이부(20)가 개방되었을 때에, 본체케이싱(100)의 외측 영역 중에서 사용자가 접근하기 용이하므로, 키보드부(300) 및 터치패드(600)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 기구가 설치된다.
지지부(120)는 상판(110)으로부터 함몰되며 커버패드(400)를 수용 및 지지한다. 지지부(120)는, 상판(110)으로부터 절곡된 측벽(121)과; 측벽(121)으로부터 절곡된 안착부(123)와; 안착부(123)에 인접하도록 지지부(120)에 관통 형성된 개구부(1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판(110)에 대한 측벽(121)의 절곡 각도 및 측벽(121)에 대한 안착부(123)의 절곡 각도는 한정되지 않으나, 커버패드(400)의 형상이 사각형의 판상인 점으로 고려하면 수직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각각의 절곡 각도는 지지부(120)에 지지되는 커버패드(400)의 형상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패드(600) 및 커버패드(400)의 형상이 사각형의 판상인 것으로 표현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측벽(121)은 상판(110)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며 본체케이싱(100) 내측을 향해 연장된다. 측벽(121)은 커버패드(400)의 측방을 지지함으로써 커버패드(400)가 상판(110)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하나의 커버패드(400)를 지지하는 지지부(120)는, 사각형의 판상을 가지는 커버패드(400)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여, 상호 대향하는 두 쌍의 측벽(121)을 포함한다.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121) 사이의 거리는, 커버패드(400)가 지지부(120)에 압입될 수 있는 정도로 마련된다. 이는, 측벽(121) 사이로 압입된 커버패드(400)가 지지부(120)에 견고히 결합되는 것에 기여한다.
측벽(121)은, 그 연장 길이, 즉 상판(110)에서부터 안착부(123)까지의 거리 가 설계 단계에서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다. 다만, 측벽(121)의 연장 길이는, 커버패드(400)가 지지부(120)에 완전히 장착 지지될 때, 커버패드(400)의 상판면이 상판(110)에 대해 단차를 이루지 않고 평탄하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휴대용 컴퓨터(1)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동시에, 커버패드(400)와 상판(110)이 단차를 이룰 경우 사용자의 손 등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3 참조).
안착부(123)는, 일단부가 상판(110)으로부터 연장된 측벽(121)의 타단부로부터 절곡된다. 안착부(123)는 하나의 지지부(120)에 포함된 각각의 측벽(1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상호 대향하는 다른 하나의 측벽(121)을 향해 연장된다. 또한, 안착부(123)의 판면은 상판(110)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로써, 안착부(123)는 커버패드(400)의 하중을 극복하며 커버패드(400) 하측의 가장자리 영역을 지지한다.
안착부(123)는, 안착된 커버패드(400)와 접하는 일 영역에 형성된 융착부(123a)를 가진다. 커버패드(400)가 지지부(120)에 압입되기 이전 시점에, 상기 안착부(123)에 용융 수지 혹은 접착제가 도포 혹은 점상으로 드롭(drop)되며, 상기 도포된 용융 수지 혹은 접착제가 경화되기 전에 커버패드(400)를 안착부(123)에 안착시킨다. 상기 도포된 용융 수지 혹은 접착제는 커버패드(400) 및 안착부(123) 사이에서 경화되어 융착부(123a)를 형성하며, 이에 커버패드(400)는 안착부(123)에 결합된다.
개구부(125)는 안착부(123)에 인접하도록 지지부(120)에 관통 형성된다. 커버패드(400)가 지지부(120)에 지지되면, 커버패드(400) 배면의 중앙 영역이 개구 부(125)를 통해 본체케이싱(100) 내측으로 노출된다. 이에, 터치패드(600)를 본체케이싱(100) 내측으로부터 커버패드(400) 배면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 때 터치패드(600)는 적어도 일 영역이 개구부(125)에 수용된 형태를 가진다. 개구부(125)는 이를 위하여, 그 폭이 터치패드(600)의 폭보다 작지 않게 마련된다.
커버패드(400)는 지지부(120)에 지지되며, 터치패드(600) 상판면을 커버함으로써, 터치패드(600)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혹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터치패드(600)를 보호한다.
커버패드(400)는 플라스틱과 같은 비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는 사용자가 커버패드(400) 판면 상을 터치했을 때, 터치된 커버패드(400) 하측의 터치패드(600)에서 상기 터치된 좌표를 정확하게 인식하도록 한다.
커버패드(400)는 그 두께가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커버패드(400)의 두께를 결정하는 인자는 다양하다. 예를 들면, 커버패드(400)의 두께가 얇으면, 터치패드(600)에 대한 보호 기능이 저하되거나 혹은 커버패드(400)가 쉽게 파손될 수 있다. 반면, 커버패드(400)의 두께가 두껍게 되면, 사용자가 커버패드(400) 상을 터치했을 때에 터치패드(600)가 터치된 좌표를 인식해야 하므로, 터치패드(600)에 요구되는 센싱 능력이 높아야 한다. 이는 터치패드(600)의 비용을 증가시킨다.
커버패드(400)는 지지부(120)에 지지될 때, 그 판면이 상판(110)에 대해 평탄하도록, 즉 상판(110)에 대해 단차를 가지지 않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동시에, 상판(110) 및 커버패드(400) 사이의 단차에 의하여 사용자의 손 등이 다치는 것을 방지한다(도 3 참조).
커버패드(400)는 또한, 외관의 미려함 및 터치패드(600)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하여, 상판(110)과 상이한 색상으로 착색되거나 혹은 표면처리에 의해 판면 상에 다양한 무늬가 적용될 수도 있다.
커버패드(400)는 그 상판면에 부식 처리가 수행됨으로써,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한 무늬를 형성하거나 혹은 사용자의 터치와 같은 외부 충격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터치패드(600)는 본체케이싱(100) 내측으로부터 개구부(125)를 통해 커버패드(400) 배면에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터치패드(600)의 좌우 폭은 개구부(125)의 폭보다 크지 않게 마련된다. 터치패드(600)는 포인터(P)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본체케이싱(100) 내측에 수용된 메인보드부(미도시)로 전달하기 위한 커넥팅부재(610)를 가진다.
터치패드결합부재(700)는 커버패드(400) 및 터치패드(600) 사이를 결합시킨다. 터치패드결합부재(700)는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나, 구성을 간단히 하고 소요 공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양면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패드결합부재(700)는 그 접착력이, 터치패드(600)의 하중을 극복 가능한 정도로 마련된다.
터치패드결합부재(700)는, 개구부(125)를 통해 본체케이싱(100) 내측으로 개방된 커버패드(400) 하판면의 일 영역과, 터치패드(600) 상판면 사이에 개재된다. 터치패드결합부재(700)는 사용자가 커버패드(400) 상판면을 터치했을 때에 터치패 드(600)가 이를 센싱함에 있어서 간섭 및 장애를 일으키지 않는 재질 및 두께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1)에서, 터치패드(600)를 본체케이싱(100)에 장착하는 과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안착부(123) 상에 용융 수지 혹은 접착제를 도포 혹은 점상으로 드롭한다. 상기 용융 수지 혹은 접착제가 경화되기 전에, 커버패드(400)를 지지부(120)로 압입시킨다. 측벽(121) 사이로 압입된 커버패드(400)는 하판면이 안착부(123)에 접하며, 상기 용융 수지 혹은 접착제를 가압한다.
상기 용융 수지 혹은 접착제는 커버패드(400) 및 안착부(123) 사이에서 경화되어 융착부(123a)를 형성한다. 이에, 커버패드(400)는 지지부(120)에 견고히 결합되며, 지지부(120)에 결합된 커버패드(400) 하판면의 중앙 영역은 개구부(125)를 통해 본체케이싱(100) 내측으로 개방된다.
이후, 터치패드결합부재(700)를 터치패드(600) 상판면에 접착시킨다. 터치패드(600) 상판면이 커버패드(400)를 향하도록, 본체케이싱(100) 내측으로부터 개구부(125)를 통해 터치패드(600)를 커버패드(400) 하판면에 가압한다. 터치패드결합부재(700)는 터치패드(600) 및 커버패드(400) 사이에 개재되며, 터치패드(600)의 하중을 극복하고 터치패드(600)를 커버패드(400)에 결합시킨다.
이로써, 터치패드(600) 및 커버패드(400)를 본체케이싱(100)에 대해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커버패드(400)를 지지부(120)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을 가지는 예를 제2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1)는, 커버패드(400)를 본체케이싱(100)에 결합시키는 커버패드결합부재(500)를 더 포함한다.
커버패드결합부재(500)는 안착부(123) 및 커버패드(400) 사이를 결합시킨다. 커버패드결합부재(500)는 이를 위하여, 커버패드(400) 하판면으로부터 안착부(123)를 향해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510)와; 지지돌기(510)에 대응하도록 안착부(123)에 관통된 돌기수용부(520);를 포함한다.
지지돌기(510)는 커버패드(400)가 지지부(120)에 지지될 때, 안착부(123)와 접하는 커버패드(400) 하판면에 마련된다. 지지돌기(510)는 안착부(123)에 접하는 커버패드(400) 하판면의 가장자리 영역에, 상호 이격되도록 안착부(123)를 향하여 복수로 돌출된다.
돌기수용부(520)는 지지돌기(510)에 대응하게 안착부(123)에 관통된다. 돌기수용부(520)는 지지돌기(510)의 길이방향, 즉 커버패드(400)가 안착부(123)에 안착되는 방향으로 관통되며, 커버패드(400)가 안착부(123)에 안착될 때에 지지돌기(510)를 수용한다.
돌기수용부(520)는 지지돌기(510)를 수용한 후, 지지돌기(510)가 외력에 의해 돌기수용부(5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수용부(520)의 관통 길이보다 지지돌기(510)의 길이를 길게 하면, 커버패드(400)가 안착부(123)에 완전히 안착될 때, 지지돌기(510)의 단부가 돌기수용부(520)를 관통하여 안착부(123) 배면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돌출된 지지돌기(510) 단부를 안착부(123) 배면과 함께 융착시킴으로써 융착부(530)를 형성한다. 이에, 지지돌기(510)는 융착부(530)에 의해 돌기수용부(520)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혹은, 지지돌기(510)의 외경 및 돌기수용부(520)의 내경을 조정하여, 지지돌기(510)가 돌기수용부(520)에 압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1)에서, 터치패드(600)를 본체케이싱(100)에 장착하는 과정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지지돌기(510)가 돌기수용부(520)를 향하게 하여, 커버패드(400)를 안착부(123) 상에 안착시킨다. 지지돌기(510)는 돌기수용부(520)에 수용되며, 커버패드(400)가 안착부(123) 상에 완전히 안착되면, 지지돌기(510) 단부는 돌기수용부(520)를 통과하여 안착부(123) 배면으로 돌출된다.
상기 돌출된 지지돌기(510) 단부 및 안착부(123) 배면을 함께 융착하여 융착부(530)를 형성한다. 이로써, 지지돌기(510)는 돌기수용부(520)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커버패드(400)는 지지부(120)에 결합된다.
터치패드(600)를 본체케이싱(100) 내측으로부터 개구부(125)를 통해 커버패드(400) 배면에 결합시키는 과정은 제1실시예를 준용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터치패드(600)를 본체케이싱(100)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는, 가열 등에 의해 융착부(530)를 제거한 후 커버패드(400)를 안착부(123)로부터 이탈시키면, 이에 따라서 지지돌기(510)가 돌기수용부(520)로부터 이탈된다. 터치패드(600)는 커버패드(400) 배면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커버패드(400)가 지지부(120)로부터 분리됨에 따라서 터치패드(600) 또한 본체케이싱(100)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로써, 터치패드(600) 및 커버패드(400)를 본체케이싱(100)에 대해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용 컴퓨터(1)에 있어서, 커버패드(400)를 지지부(12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커버패드결합부재(500)의 구성은 제2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커버패드결합부재(500)가 제2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을 가지는 예를 제3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1)는, 안착부(123)에 커버패드(400)를 결합시키는 커버패드결합부재(500a)를 포함한다.
커버패드결합부재(500a)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함으로써, 구조를 간단히 하고 소요 공간 및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커버패드결합부재(500a)가 안착부(123) 및 커버패드(400)가 상호 접촉하는 영역에 개재됨으로써, 상판(110)에 소정의 액체 등이 쏟아졌을 때에, 터치패드(600) 및 본체케이싱(100) 내측에 대한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커버패드결합부재(500a)는 안착부(123) 및 커버패드(400) 사이에 개재되며, 양 구성요소에 각기 접착된다. 여기서, 안착부(123)에 의해 커버패드(400)의 하중이 지지된 상태이므로, 커버패드결합부재(500a)의 접착력은 커버패드(400)의 하중을 극복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커버패드결합부재(500a)의 접착력을 적정 수준으로 조정함으로써, 커버패드(400)가 지지부(120)로부터 용이하게 교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1)에서, 터치패드(600)를 본체케이싱(100)에 장착하는 과정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커버패드결합부재(500a)를 안착부(123)에 접착시킨 후, 커버패드(400) 하판면이 지지부(120)를 향하게 하여 상판(110)의 상측으로부터 커버패드(400)를 안착부(123)에 안착시킨다.
이 때, 안착부(123)는 커버패드(400)의 하중을 지지하며, 측벽(121)은 커버패드(400)의 측방을 지지하는 상태가 된다. 커버패드결합부재(500a)는 커버패드(400) 하판면의 가장자리 영역 및 안착부(123) 사이에 개재되며, 커버패드(400)를 안착부(123)에 대해 결합시킨다.
다음, 터치패드결합부재(700)를 터치패드(600) 상판면에 접착시킨 후, 터치패드(600) 상판면이 커버패드(400)를 향하도록, 본체케이싱(100) 내측으로부터 개구부(125)를 통해 터치패드(600)를 커버패드(400) 하판면에 가압한다. 이에, 터치패드결합부재(700)는 터치패드(600)의 하중을 극복하고 터치패드(600)를 커버패 드(400)에 결합시킨다.
이로써, 터치패드(600)가 본체케이싱(10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케이싱에 대한 터치패드의 결합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컴퓨터가 제공된다.
또한, 터치패드를 용이하게 분리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자원의 활용도를 높이고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휴대용 컴퓨터가 제공된다.
또한, 본체케이싱에 대해 별도로 착탈되는 커버패드를 적용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제품의 신뢰성을 높인 휴대용 컴퓨터가 제공된다.

Claims (11)

  1.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상판과, 상기 상판에 관통 형성된 개구부를 가지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상판에 결합되는 커버패드와;
    상기 상판에 결합된 상기 커버패드의 배면에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결합되며, 판면 상에 터치된 좌표를 감지하여 포인터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터치패드와;
    상기 커버패드를 상기 상판으로부터 분리시킬 때에 상기 터치패드가 상기 커버패드와 함께 상기 본체케이싱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터치패드를 상기 커버패드에 결합시키는 터치패드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은 상기 상판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드는 상기 지지부에 압입 및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판으로부터 절곡된 측벽과;
    상기 측벽으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커버패드가 안착되며,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드 및 상기 안착부 사이를 결합시키는 커버패드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드결합부재는,
    상기 커버패드 및 상기 안착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해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와;
    상기 지지돌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다른 하나에 마련된 돌기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커버패드로부터 상기 안착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돌기수용부는 상기 안착부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돌기수용부를 관통한 상기 지지돌기의 단부 영역은 상기 안착부의 배면에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드결합부재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드는 비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드는 그 상판면이 부식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KR1020070040441A 2007-04-25 2007-04-25 휴대용 컴퓨터 KR101380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441A KR101380749B1 (ko) 2007-04-25 2007-04-25 휴대용 컴퓨터
US11/872,754 US8054622B2 (en) 2007-04-25 2007-10-16 Portable computer
CNA2008100942591A CN101295195A (zh) 2007-04-25 2008-04-24 便携式计算机
US13/282,846 US8854800B2 (en) 2007-04-25 2011-10-27 Portable compu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441A KR101380749B1 (ko) 2007-04-25 2007-04-25 휴대용 컴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659A KR20080095659A (ko) 2008-10-29
KR101380749B1 true KR101380749B1 (ko) 2014-04-03

Family

ID=39886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441A KR101380749B1 (ko) 2007-04-25 2007-04-25 휴대용 컴퓨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054622B2 (ko)
KR (1) KR101380749B1 (ko)
CN (1) CN1012951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377644U (en) * 2009-09-30 2010-04-01 Quanta Comp Inc Touchpad module assembly structure
KR101695989B1 (ko) * 2010-11-01 2017-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CN102478884A (zh) * 2010-11-29 2012-05-30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CN102819288A (zh) * 2011-06-09 2012-12-1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笔记本电脑
TWM434414U (en) * 2012-02-13 2012-07-21 Wistron Corp Detach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monolithic appearance
US9254633B2 (en) * 2013-07-09 2016-02-09 Apple Inc. Environmental seal maximizing sensor space beneath a button positioned in trim
US9984838B2 (en) * 2014-08-29 2018-05-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lick pad
US9774248B2 (en) * 2014-11-10 2017-09-26 Power Integrations, Inc. Introducing jitter to a switching frequency by way of modulating current limit
TWI557535B (zh) * 2015-03-10 2016-11-11 宏碁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US9829927B2 (en) * 2016-02-09 2017-11-28 Google Llc Laptop computer with cover rotatably attached to base that rotates to cover keyboard
US10261550B2 (en) * 2016-09-12 2019-04-16 Quanta Computer Inc. Touchpad supporting structure for supporting touchpad
US10520987B2 (en) * 2017-09-08 2019-12-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cured device portions
TWI664890B (zh) * 2018-04-13 2019-07-01 精元電腦股份有限公司 Touch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509A (ko) * 1997-08-06 1999-03-05 윤종용 터치패널 장치 및 터치패널 장치가 설치된 휴대용컴퓨터
US5953199A (en) * 1997-10-14 1999-09-14 Owens; Steve Computer touch pad cover and method
US20040100449A1 (en) * 2002-11-22 2004-05-27 Compal Electronics, Inc Electronic apparatus with replaceable touch control module
US7119291B2 (en) * 2005-03-14 2006-10-10 Lg Electronics Inc. Touch pad device for portable comput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5713B1 (ko) * 1997-12-24 2000-10-02 윤종용 전자시스템에터치패드를설치하기위한장치
US6388660B1 (en) 1997-12-31 2002-05-14 Gateway, Inc. Input pad integrated with a touch pad
US6357887B1 (en) * 1999-05-14 2002-03-19 Apple Computers, Inc. Housing for a computing device
CN1224877C (zh) 2001-08-31 2005-10-26 宏达国际股份有限公司 具有静电防护功能的个人数字助理
CN1273879C (zh) * 2003-01-23 2006-09-06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具有无破孔式触控板的笔记本电脑及其制造方法
KR100727663B1 (ko) * 2003-08-11 2007-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형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KR100745786B1 (ko) 2004-07-29 2007-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KR101391759B1 (ko) * 2007-04-25 2014-05-07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JP2009301144A (ja) * 2008-06-10 2009-12-24 Fujitsu Ltd 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509A (ko) * 1997-08-06 1999-03-05 윤종용 터치패널 장치 및 터치패널 장치가 설치된 휴대용컴퓨터
US5953199A (en) * 1997-10-14 1999-09-14 Owens; Steve Computer touch pad cover and method
US20040100449A1 (en) * 2002-11-22 2004-05-27 Compal Electronics, Inc Electronic apparatus with replaceable touch control module
US7119291B2 (en) * 2005-03-14 2006-10-10 Lg Electronics Inc. Touch pad device for portable compu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54800B2 (en) 2014-10-07
CN101295195A (zh) 2008-10-29
KR20080095659A (ko) 2008-10-29
US20080266775A1 (en) 2008-10-30
US20120039038A1 (en) 2012-02-16
US8054622B2 (en) 201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0749B1 (ko) 휴대용 컴퓨터
CN207586791U (zh) 便携式计算系统
KR101391759B1 (ko) 휴대용 컴퓨터
US8564938B2 (en) Electronic apparatus
US9411380B2 (en) Portable computing system
US10228721B2 (en) Portable computing system
CN103189812B (zh) 带有暴露区域的便携式计算机
US8666456B2 (e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EP3128393B1 (en) Electronic apparatus
KR101053324B1 (ko)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US10133314B2 (en) Portable computing system
US20150169005A1 (en) Electronic device and touchpad assembly
US9891674B2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planar integrated button touch pad assembly
TW201329672A (zh) 薄型觸控板模組及其組裝方法
CN115793779B (zh) 触控板模组以及使用该触控板模组的电子装置
US20090289909A1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control function
EP2555092B1 (en) Electronic appliance and mobile terminal provided with same
JP2005011247A (ja) 電子機器
KR101165172B1 (ko) 정전식 스타일러스 펜
CN112700728A (zh) 显示模组及电子设备
JP6432048B2 (ja) 電子機器
JP6292624B2 (ja) 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CN220584659U (zh) 一种触控板和电子设备
JP6241497B2 (ja) 電子装置
KR20060117768A (ko)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