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1945A - Support of fruit tree for become position control - Google Patents

Support of fruit tree for become position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1945A
KR20060101945A KR1020050023587A KR20050023587A KR20060101945A KR 20060101945 A KR20060101945 A KR 20060101945A KR 1020050023587 A KR1020050023587 A KR 1020050023587A KR 20050023587 A KR20050023587 A KR 20050023587A KR 20060101945 A KR20060101945 A KR 20060101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fruit tree
frame
fixed
t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5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17726B1 (en
Inventor
송상규
Original Assignee
송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상규 filed Critical 송상규
Priority to KR1020050023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726B1/en
Publication of KR20060101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9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7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2Devices for holding brushes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Abstract

본 발명은 과실수 지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ruit tree struts.

본 발명은 두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그 사이에 과실수가 심겨진 상태에서 지지되는 과실수 지주에 있어서, 상기 과실수 지주는 과실수가 성숙기일 때에는 과실수의 가지가 일 방향을 향하도록 제1 위치에서 고정시키고, 과실수가 수확기일 때에는 과실수의 가지가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제2 위치에서 고정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head spaced at regular intervals, and in the fruit tree support suppor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fruit tree is planted therebetween, the fruit tree support is the first position so that the branches of the fruit tree toward one direction when the fruit tree is mature When the fruit tree is a harvester, the branch of the fruit tree is fixed in the second position so that the branches face in the opposite direction.

따라서, 과실수 지주의 구조를 개선하여 적은 작업인원으로 열매 수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생산성, 즉 수확성을 향상시키며 인건비를 줄인다.Therefore,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fruit tree struts, not only the fruit harvest is easy with a small number of workers, but also the productivity, that is, the yield and the labor cost are reduced accordingly.

수직 프레임, 연결 프레임, 위치 조절 홀, 고정 프레임, 고정부재 Vertical frame, connecting frame, positioning hole, fixed frame, fixed member

Description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Support of fruit tree for become position control}Support fruit tree for become position control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과실수 지주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common fruit tree support is installed

도 2는 종래 과실수 지주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ventional fruit water struts are installed

도 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과실수 지주를 매개로 과실수의 성숙기 상태를 보인 측면도Figure 3a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ate of maturity of fruit water through the fruit water stru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과실수 지주를 매개로 열매가 맺혀지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Figure 3b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uit is bearing through the fruit tree stru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과실수 지주의 위치를 변환시켜 열매를 수확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3c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harvesting the fruit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fruit tree stru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과실수 지주를 매개로 과실수의 성숙기 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maturity of fruit water through the fruit water stru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과실수 지주를 매개로 열매가 맺혀지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4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ruit is produced through the fruit tree stru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과실수 지주의 위치를 변환시켜 열매를 수확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4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harvesting the fruit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fruit tree stru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다른 변형 예를 보인 측면도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과실수 지주 10;수직 프레임1; fruit strut 10; vertical frame

20;연결 프레임 21;고정부재20; connecting frame 21; fixing member

30;고정 프레임 31;위치 조절 홀30; fixed frame 31; positioning hole

40;와이어 B;비닐40; wire B; vinyl

본 발명은 과실수 지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실수 지주의 구조를 개선하여 적은 작업인원으로 열매 수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생산성, 즉 수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ruit tree struts,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fruit tree struts, not only fruit harvesting is easy with a small number of workers, but also the fruit is capable of position adjustment to improve productivity, that is, harvestability. It is about the landlord.

일반적으로 지주라는 것은, 밑둥이 굵어도 혼자 서지 못하는 과실수 등을 튼튼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지반에 설치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2에는 여러 가지 형태로 제안된 지주목 중 하나인 과실수를 지지하기 위한 지주목이 설치된 일 예를 보인 측면도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Generally, the prop is installed on the ground to strongly support fruit trees that cannot stand alone even if the bottom is thick, and in Fig. 1 to Fig. 2 to support the fruit trees, which are one of several types of prop trees proposed in various forms. A side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olding neck is shown.

도시된 바와 같이, 과실수 지주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층에 묻혀지며 고정되는 수직 포스트(100)와, 수직 포스트(100)의 상측에 배열되는 한 개 이상의 수평 포스트(200) 그리고 상기 수평 포스트(200)의 양단 부에 연결되는 와이어(300)(또는 끈)로 구비된다.As shown, the fruit tree struts are buried and fixed in the strata at regular intervals, one or more horizontal posts 200 and the horizontal posts 200 arranged above the vertical posts 100. It is provided with a wire 300 (or a string)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따라서, 도 2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과실수를 심은 후 그 가지들을 와이어(300)의 바깥으로 늘어뜨려 사용하게 된다.Therefore, after planting fruit trees at regular intervals as shown in FIG. 2, the branches are used to hang out of the wire 300.

한편, 과실수들은 종류에 따라 제각각 열매가 열리는 형태도 가지각색인데 예를 들어 과실수의 종류에 따라 일부 과실수는 열매가 가지 아래로 늘어지게 열리고 일부 과실수는 열매가 가지 위에 열리는 경우가 있다.On the other hand, fruit trees have different forms of fruit opening depending on the type of fruit, for example, some fruit trees open under the branches and some fruits open on the branches.

물론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열매가 과실수의 가지 아래로 늘어지게 열리지 않고 가지 위로 과실이 열리는 수종(樹種)의 경우, 즉 예를 들어 복분자(또는 산딸기)는 수명을 다하기 전까지 일정한 주기를 갖고 계속적으로 과실을 수확하게 된다.Of course, depending on the type, in the case of a species in which the fruit does not open under the branches of the fruit tree but the fruit opens on the branches, ie, the bokbunja (or raspberries) have a constant cycle before reaching the end of their life. The fruit will be harvested.

또한, 복분자의 경우 두렁과 두렁 사이에 형성된 이랑을 따라 이동하며 가지에 열린 열매를 수확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bokbunja move along the ridge formed between the dung and dung and harvests the fruit on the branches.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가지 위로 열매가 열릴 경우 그 열매를 수확하기 위해 이랑을 따라 이동하며 열매를 수확하게 되는데 좁은 이랑 사이로 이동하며 열매를 수확할 때에는 육체적으로 쉽게 피로가 엄습되어 수확이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 즉 수확량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fruit is opened on the branch as described above, the fruit moves along the ridge to harvest the fruit, and the fruit is harvested. Productivity, that is, yields also had problems.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해 노동력을 빌릴 경우에는 인건비 상승 등에 의해 또 다른 경제적인 부담감을 안겨줄 수밖에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In the case of borrowing the labor force for the same reason as above, there was a problem inevitably giving another economic burden due to rising labor costs.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은 과실수 지주가 단지 스스로 지탱하기 어려운 과실수를 지지하기 위한 근본적인 기능 외에 별다른 기능을 할 수 없는 구조적인 모순점에 기인한다.The above problems are due to structural contradictions in which the fruit props can not function in addition to the fundamental functions for supporting the fruit trees, which are difficult to support by themselves.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과실수 지주의 구조를 개선하여 적은 작업인원으로 열매 수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생산성, 즉 수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fruit tree struts as in the prior art not only easy fruit harvesting with a small number of people, but also can improve productivity, that is, harvestability To provide an adjustable fruit stru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과실수 지주의 구조를 개선하여 수확에 따른 인건비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경제적으로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structure of fruit tree struts to reduce labor costs due to harvesting and to provide a fruit tree strut whose posi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ly economicall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그 사이에 과실수가 심겨진 상태에서 지지되는 과실수 지주에 있어서, 상기 과실수 지주는 과실수가 성숙기일 때에는 과실수의 가지가 일 방향을 향하도록 제1 위치에서 고정시키고, 과실수가 수확기일 때에는 과실수의 가지가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제2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fruit tree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ead and suppor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fruit tree is planted, the fruit tree is a branch of the fruit tree when the fruit tree is mature It is fixed in the first position to face in one direction, when the fruit water harvester provides a position adjustable fruit strut,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nches of the fruit tree is fixed in the second position facing the opposite direction.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 구성 예는, 상기 과실수 지주가 과실수가 심겨지는 두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 일 측면의 상, 하 어느 일 측에 그 하단부가 선택적으로 회전 가 능하게 축설되며 길이 방향 적소에 고정부재가 설치된 연결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 타 측면의 상, 하 어느 일 측에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길이 방향에는 상기 고정부재에 끼워지며 위치가 고정되는 다수의 위치 조절 홀이 배열된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연결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대해 배열되며 과실수가 묶여 고정되는 한 라인 이상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A first configuration example for effectively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uit stem is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head of the fruit tree is planted; A connecting frame at which a lower end thereof is selectively rotatably arranged on one side of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and a fixing member is installed in a longitudinal position; A fixing frame in which a lower end is rotatably arranged on one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frame, and a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are fitted in the fixing member and the position is fix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least one wire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frame, the fruits being bundled and fixed.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2 구성 예는, 상기 제1 위치는 전 위치와 후 위치로 나뉘며, 상기 전 위치는 상기 과실수의 성장기로써 상기 연결 프레임이 상기 수직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격된 위치이고, 상기 후 위치는 상기 과실수의 열매맺힘기로써 상기 연결 프레임이 상기 전 위치에서 땅 방향으로 소정 각도 더 이격된 위치인 것이 효과적이다.According to a second configuration example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sition is divided into a front position and a rear position, and the front posi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frame by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vertical frame with the fruit growing phase. Position, and the rear position is effectively a position where the connecting frame is further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previous position to the ground direction by the fruit tree of the fruit tree.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3 구성 예는, 상기 와이어는 각각의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해 관통 연결된 것이 효과적이다.In a third configuration example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ffective that the wires are connected through each of the connection frames.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과실수는 복분자인 것이 효과적이다.In this invention, the fruit is effective bokbunja.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4 구성 예는, 상기 고정 프레임은 끈 또는 와이어로 구비되어도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In the fourth configuration example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frame can effectively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provided with a string or a wire.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과실수 중 복분자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kbunja among the fruit tree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3의 a 내지 c에는 본 발명에 의해 과실수의 성숙기와 수확기 그리고 지주의 위치가 변화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의 a 내지 c에서는 도 3의 a 및 c에 도시된 사용상태 순서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변형 예를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3a to c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maturation of the fruit tree, the harvester and the post is chang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shown in Figures a and c of FIG. The state sequence is shown in a perspective view, and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과실수의 성숙기는 성장기와 열매 맺힘기로 나누어지게 된다.Here, the maturity stage of the fruit tree is divided into the growth phase and the fruiting phase.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실수 지주의 가장 큰 특징부는, 과실수가 성숙기일 때에는 과실수의 가지가 일 방향을 향하도록 제1 위치(도 3의 a 및 도 3의 b)에서 고정되고, 과실수가 수확기일 때에는 과실수의 가지가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제2 위치(도 3의 c)에서 고정된다는 점이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biggest feature of the fruit tree stru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in the first position (a in FIG. 3 and b in FIG. 3) so that the branches of the fruit tree face one direction when the fruit tree is mature. When the fruit tree is the harvesting season, the branch of the fruit tree is fixed in the second position (c of FIG. 3) so as to face in the opposite direction.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열매가 상측으로 열리는 불특정한 과실수의 특성을 고려하여 성숙기일 때에는 열매가 맺히는 가지를 상측(하늘)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도 3의 a 내지 b 또는 도 4의 a 내지 b 참조), 수확기일 때에는 열매가 맺힌 가지가 하측(땅)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도 3의 c 내지 도 4의 c 참조) 수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Tha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oint the branches bearing fruit to the upper (sky) direction in the mature perio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specified fruit tree that the fruit is opened upward (a to b in Fig. 3 or a in Fig. 4 B), in the harvesting season, the fruit-bearing branches are directed downward (land) (see c of FIG. 3 to 4) to facilitate harvesting.

상기 과실수 지주(1)는 과실수가 심겨지는 두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 프레임(10)과, 상기 수직 프레임(10)의 일 측면 상, 하 어느 일 측에 그 하단부가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길이 방향 적소에 고정부재(21)가 설치된 연결 프레임(20) 그리고 상기 수직 프레임(10)의 타 측면 상, 하 어느 일 측에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길이 방향에는 상기 고정부재(21)에 끼워진 상태에서 각각 위치가 다르게 고정되도록 다수의 위치 조절 홀(31)이 배열된 고정 프레임(30)으로 구비된다.The fruit tree strut 1 has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10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ead of the fruit tree is planted,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one side,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10 is selectively Rotatingly arranged and connected to the frame 20 and the fixing frame 21 is installed in a longitudinal posi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frame 10, the lower end is rotatably arranged on one side and the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31 are provided as the fixed frame 30 so that the positions are fixed differently in the state fitted to the member 21.

한편, 상기 고정 프레임(30)은 수직 프레임(10)에 대해 연결 프레임(20)의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면 되므로 일반적인 끈이나 와이어로 구비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xed frame 30 is to maintain the inclined state of the connecting frame 20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10, even if provided with a general string or wire can effectively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물론, 이를 위해서는 상기 끈이나 와이어의 일 단부는 수직 프레임(10)에 묶여 고정되고 타 단부는 연결 프레임(20)에 묶여진 상태에서 고정되어도 가능하지만, 수직 프레임(10)과 연결 프레임(20)의 적당한 곳에 끈이나 와이어의 일 단부와 타 단부가 묶여지는 별도의 고정체를 구비할 수도 있다.Of course, for this purpose, one end of the string or wire may be fixed by being tied to the vertical frame 10 and the other end may be fixed while being tied to the connecting frame 20, but the vertical frame 10 and the connecting frame 20 may be fixed. Where appropriate, a separate fixture may be provided in which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tring or wire are bundled.

이를 위해서는 상기 고정부재(21)는 볼트와 너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fixing member 21 is preferably made of a bolt and nut.

또 상기 연결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에는 과실수의 가지가 묶여 고정되는 한 라인 이상의 와이어(40)가 배열된다.In addition, one or more wires 40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frame 20 to which the branches of the fruit tree are bundled and fixed.

상기 와이어(40)는 금속 또는 수지로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연결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다수의 홀을 형성하고, 그 홀들을 관통하며 높낮이가 다르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ire 40 is formed of a metal or resin, it is preferable to form a plurality of h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connection frame 20, penetrate the holes and configured differently in heigh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3의 a 및 도 4의 a에서는 본 발명이 설치된 최초의 상태가 되며, 도 3의 b 및 도 4의 b 상태는 열매의 수확 전 상태, 도 3의 c 및 도 4의 c는 열매를 수확하기 위한 상태가 된다.In FIG. 3A and FIG. 4A,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the state of FIG. 3B and FIG. 4B is a state before the fruit is harvested, and FIG. 3C and FIG. 4C are fruit harvests. It becomes the state to do.

본 발명에서는 과실수의 생장에 따라 과실수 지주의 연결 프레임의 각도가 달라지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of the connection frame of the fruit stem is changed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fruit tree.

도 3a 및 도 4a에서 도시된 상태는 과실수의 성숙기 중 성장기로써, 과실수 가 생장하면서 가지가 땅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직 프레임(10)에 대해 연결 프레임(20)이 거의 수직에 가깝도록 소정 각도 이격된 위치에서 고정되며, 가지가 연결 프레임(20)을 따라 자라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여러 종류의 과실수 중 특히 복분자의 경우 가지가 땅에 닿게 되면 그 가지에서 뿌리를 내리게 되며, 이러한 경우 그 복분자는 약해지거나 또는 말라죽기도 하기 때문이다.3A and 4A are the growth phases of the fruit tree maturity, which are defined such that the connecting frame 20 i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frame 10 so that the branches do not touch the ground while the fruit tree is growing. It is fixed at an angularly spaced position and shows that the branches grow along the connecting frame 20. This is because, among the various types of fruit trees, especially the bokbunja, when the branch touches the ground, the branch takes root, and in this case, the bokbunja weakens or dies.

이를 위해 두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과실수 지주(1)가 배열된 상태에서, 수직 프레임(10)은 지층(땅)에 일부 매립되고, 연결 프레임(20)은 고정 프레임(30)을 매개로 일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된 상태가 된다.To this end, in a state where the fruit stems 1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ead, the vertical frame 10 is partially embedded in the stratum (ground), and the connecting frame 20 is worked through the fixed frame 30. It becomes a fixed state facing the direction.

또 이 상태는 수직 프레임(10)을 수직선 방향이라 했을 때 연결 프레임(20)은 수직 프레임(10)을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편중된 상태에서 고정 프레임(30)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라 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vertical frame 10 is referred to as the vertical line direction, the connecting frame 20 is maintained in a fixed state by the fixing frame 30 while being bias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10. It's a state.

또한 이 상태는 일 방향으로 편중된 연결 프레임(20)의 고정부재(21)에는 고정 프레임(30)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홀이 끼워진 상태에서, 즉 볼트와 넛트 등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21)에 고정 프레임(30)이 결합된 상태에서 위치 변환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In this state, any one hole formed in the fixing frame 30 is fitted into the fixing member 21 of the connecting frame 20 which is biased in one direction, that is, the fixing member 21 made of a bolt, a nut, or the like. In the state in which the fixed frame 30 is coupled, the position conversion becomes impossible.

물론, 과실수에 열매가 맺히게 되는 가지들은 별도의 끈 등에 의해 와이어(40)에 묶여진 상태에서 지지된다. Of course, the branches that bear fruit to fruit trees are supported in a state of being tied to the wire 40 by a separate string or the like.

그리고 도 3b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지가 연결 프레임(20)을 따라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자라난 후 이를 약 가지의 시작점으로부터 1m 정도만 놔두고 전지하게 된다. 3B and 4B, the branch grows at an angle close to the vertical along the connecting frame 20, and then leaves the branch with only about 1 m from the start point of the branch.

이렇게 전지되고 남은 가지에는 일정한 기간이 경과하여 꽃봉오리가 달리고 과실수의 성숙기 중 열매 맺힘기가 되면 가지에 열매가 맺혀지는데, 이때 본 발명의 특징부인 연결 프레임(20)에 구비된 고정부재(21)의 넛트를 분리한 후 고정 프레임(30)을 분리하여 연결 프레임(20)의 각도를 전술한 성장기에서의 연결 프레임(20)의 위치에서 땅쪽 방향으로 더 소정 각도 이격되도록 고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열매가 상측(하늘) 방향을 향해 열리게 된다.Thus, the remaining branches after the predetermined period has elapsed buds and the fruit is in the fruiting season during the maturation of the fruit tree, the fruit is formed on the branch, the fixing member 21 provided in the connecting frame 20 which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separating the nut of the fixing frame 30 is separated by fixing the angle of the connection frame 20 to be further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ground direction from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frame 20 in the above-described growth period and thus the fruit It opens toward the upper side (sky).

결국 도 3c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매가 상측(하늘) 방향을 향한 상태로 익게 되면 고정 프레임(30)을 분리함으로써 연결 프레임(20)이 수직 프레임(10)에 대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연결 프레임(20)을 반대 방향(제2 위치)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 프레임(30)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As shown in FIGS. 3C and 4C, when the fruit ripens in the upper (sky) direction, the connecting frame 20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10 by separating the fixing frame 30.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frame 2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second position), the fixing frame 30 is fixed using the fixing frame 30.

상기와 같이 연결 프레임(20)의 위치를 회전에 의해 변환시키면 상측(하늘) 방향으로 향하고 있던 열매는 하측(땅)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When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frame 20 is converted by rotation as described above, the fruit which is directed in the upper (sky) direction is directed in the lower (ground) direction.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두렁이나 이랑에 비닐(B)이나 별도의 열매 수거용 천 등을 배열한 상태에서 열매가 익게 되면 저절로 하측(땅)으로 떨어지게 되며, 와이어(40)나 연결 프레임(20)을 흔들게 되면 하측으로 향하고 있는 열매는 떨어져 그 하방에 위치된 비닐이나 열매 수거용 천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열매가 손상을 입지 않도록 열매의 중량에 따라 상술한 비닐(B)이나 별도의 열매 수거용 천 등은 바닥에 놓일 수 있으며,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뜨려 배열할 수도 있다. 이때, 열매가 손상을 입지 않도록 열매의 중량에 따라 상술한 비닐(B)이나 별도의 열매 수거용 천 등은 바닥에 놓이거나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뜨려 배열할 수도 있다.When the fruit ripens in a state of arranging vinyl (B) or a separate fruit collection cloth on the head or ridge in the above state, it falls to the lower side (ground) by itself, and shakes the wire 40 or the connecting frame 20. When the fruit is facing down, the fruit falls to the vinyl or fruit collecting cloth located below. At this time, the above-mentioned vinyl (B) or a separate fruit collecting cloth may be placed on the bottom, and may b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so that the fruit is not damaged. In this case, the vinyl (B) or a separate fruit collecting cloth may be arranged on the floor or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in accordance with the weight of the fruit so as not to damage the fruit.

따라서, 많은 노동인구를 필요로 하지 않은 상태에서 익은 열매를 손쉽게 수확하게 된다.Therefore, ripe fruits are easily harvested without requiring a large labor force.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aspects.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과실수 지주의 구조를 개선하여 적은 작업인원으로 열매 수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생산성, 즉 수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uit structure can be improved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fruit tree struts, and thus the productivity, that is, the harvestability is improved.

또 본 발명은 과실수 지주의 구조를 개선하여 수확에 따른 인건비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경제적으로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tructure of fruit tree props can reduce the labor cost according to the harvest and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generate economic benefits.

Claims (6)

두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그 사이에 과실수가 심겨진 상태에서 지지되는 과실수 지주에 있어서,In the fruit props that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ead and supported in the state of planting the fruit water, 상기 과실수 지주는 과실수가 성숙기일 때에는 과실수의 가지가 일 방향을 향하도록 제1 위치에서 고정시키고, 과실수가 수확기일 때에는 과실수의 가지가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제2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The fruit tree prop is fixed at the first position so that the branches of the fruit tree in one direction when the fruit tree is mature, and fixed in the second position so that the branches of the fruit tree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the fruit tree is harvesting season. Fruit tree prop which position adjustment to be possib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과실수 지주는,The fruit tree props, 과실수가 심겨지는 두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 프레임;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ead of the fruit tree; 상기 수직 프레임 일 측면의 상, 하 어느 일 측에 그 하단부가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길이 방향 적소에 고정부재가 설치된 연결 프레임;A connecting frame at which a lower end thereof is selectively rotatably arranged on one side of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and a fixing member is installed in a longitudinal position; 상기 수직 프레임 타 측면의 상, 하 어느 일 측에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길이 방향에는 상기 고정부재에 끼워지며 위치가 고정되는 다수의 위치 조절 홀이 배열된 고정 프레임; 및 A fixing frame in which a lower end is rotatably arranged on one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frame, and a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are fitted in the fixing member and the position is fix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상기 연결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대해 배열되며 과실수가 묶여 고정되는 한 라인 이상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Positionable fruit struts comprising one or more wires arranged relative to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frame and the fruit trees are tied and fixe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 위치는 전 위치와 후 위치로 나뉘며, The first position is divided into a front position and a rear position, 상기 전 위치는 상기 과실수의 성장기로써 상기 연결 프레임이 상기 수직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격된 위치이고, 상기 후 위치는 상기 과실수의 열매맺힘기로써 상기 연결 프레임이 상기 전 위치에서 땅 방향으로 소정 각도 더 이격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The previous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connecting frame is spaced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vertical frame by the growth phase of the fruit tree, and the rear position is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previous position to the ground direction by the fruit tree of the fruit tree. Adjustable fruit strut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re spaced posit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와이어는 각각의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해 관통 연결된 것을 더 포함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And the wires are further connected through each of the connecting frames.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과실수는 복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The fruit tree is adjustable fruit strut, characterized in that the bokbunja.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고정 프레임은 끈 또는 와이어로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The fixing frame is adjustable fruit struts further comprising that provided with a string or wire.
KR1020050023587A 2005-03-22 2005-03-22 Support of fruit tree for become position control KR1007177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587A KR100717726B1 (en) 2005-03-22 2005-03-22 Support of fruit tree for become position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587A KR100717726B1 (en) 2005-03-22 2005-03-22 Support of fruit tree for become position control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765U Division KR200391218Y1 (en) 2005-03-22 2005-03-22 Support of fruit tree for become position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945A true KR20060101945A (en) 2006-09-27
KR100717726B1 KR100717726B1 (en) 2007-05-16

Family

ID=37632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587A KR100717726B1 (en) 2005-03-22 2005-03-22 Support of fruit tree for become position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72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0641A (en) * 2012-10-18 2013-01-16 张发开 Breeding method for honey plum
CN103109718A (en) * 2012-12-08 2013-05-22 宁波市鄞州云帆工程咨询有限公司 Tress main trunk guiding device special for roof gard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1706A (en) * 1992-11-11 1994-05-24 Hokoku Kogyo Co Ltd Fruit-tree trellis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0641A (en) * 2012-10-18 2013-01-16 张发开 Breeding method for honey plum
CN103109718A (en) * 2012-12-08 2013-05-22 宁波市鄞州云帆工程咨询有限公司 Tress main trunk guiding device special for roof gard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7726B1 (en) 200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07498B (en) A kind of applicable High-cold regions grape horizontal connects the method for pergola system
KR102652676B1 (en) How to grow fruit trees and related trees
CN109302933B (en) Rapid cultivation and shaping method for premature high-yield tree form of kiwi fruit
US20040079064A1 (en) Vineyar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vineyard mechanization
US5557883A (en) Trellising system for producing dried-on-the-vine raisins
US4625454A (en) Espalier system and vine management programme suitable for kiwi fruit
CN105638374A (en) Special pomegranate cultivation shelf and pomegranate cultivation method
AU201235663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planting of olive trees for the continuous mechanical harvesting of the olives
CN106613712A (en) High suspension horizontal training method of grapes
US56386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nt culture
JP2753977B2 (en) Method for supporting shoots of vine orchards and their structure
US657831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ising vine plants
US3585756A (en) Method of training vines
KR100717726B1 (en) Support of fruit tree for become position control
CN107409798B (en) A kind of high Y-shaped shaping methods of easy peach and its application
CN110249891B (en) Cultivation management method for replacing Pan-Ke-Hanm pears by flat-net rack high grafting
US527283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nt culture
KR200391218Y1 (en) Support of fruit tree for become position control
KR100996868B1 (en) A cultivation device for corps runner
US3605336A (en) Frame for growing hops or the like
CN110063197B (en) Grape high-hanging and one-side-pouring technology
CN215421988U (en) A canopy frame of taking shelter from rain for grape is planted
US20140041292A1 (en) Vine trellising combined shade and bird control system
US20150264873A1 (en) Method for training grapevine plants
JP2002084902A (en) Method for cultivating cher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