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1519A - 해조 추출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리파아제 저해제 - Google Patents

해조 추출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리파아제 저해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1519A
KR20060101519A KR1020067011214A KR20067011214A KR20060101519A KR 20060101519 A KR20060101519 A KR 20060101519A KR 1020067011214 A KR1020067011214 A KR 1020067011214A KR 20067011214 A KR20067011214 A KR 20067011214A KR 20060101519 A KR20060101519 A KR 20060101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ood
lipase
lipase inhibitor
obe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1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츠라 후나야마
다카시 가하라
미노루 다나카
마리코 이이즈카
가츠미 이케다
준코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리켄 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켄 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리켄 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1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51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Obesit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갈조류의 일종인 아스코필럼 노도섬 (Ascophyllum nodsum) 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파아제 저해제는, 비만 그리고 고지혈증의 치료ㆍ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유용한 건강 식품 또는 특정 보건용 식품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아스코필럼 노도섬, 리파아제 저해제

Description

해조 추출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리파아제 저해제{ALGA EXTRACT AND LIPASE INHIBITOR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해조 추출물, 자세히는 갈조류의 일종인 아스코필럼 노도섬 (Ascophyllum nodsum) 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리파아제 저해제, 및 비만 및 고지혈증의 치료ㆍ예방용 음식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생활의 구미화에 따라, 영양 과다 등의 원인에 의해, 비만이 증가하고 있다. 비만은 동맥 경화증의 위험 인자 중 하나이고, 또한 당뇨병이나 고혈압 등과도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사회 문제로 되어 있다. 비만은 신체에 지방이 지나치게 축적된 상태이고, 그 원인 중 하나로 지방의 과잉 섭취가 있다.
일반적으로, 칼로리의 과잉 섭취는 저장 칼로리를 늘리도록 작용하고, 그 결과 저장 칼로리가 체내에서 증가한다. 즉, 식품 성분 중, 가장 칼로리가 높은 지방의 과잉 섭취에 의해 비만에 이른다. 그래서, 지방 섭취에서 비만에 이르는 경로를 저해함으로써, 비만을 예방하고, 또는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식품 중의 지방은 그대로의 형태로는 장관(腸管)으로부터 흡수되지 않는다. 즉, 지방 (트리글리세라이드) 은 췌장 리파아제에 의해 분해되어 지방산과 2-모노 글리세라이드 및 글리세롤이 되고, 소장으로부터 흡수된다. 소장 내에서, 이들은 재합성되고, 혈액 중에 운반된다. 따라서, 췌장 리파아제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지방의 분해가 억제되고, 장관으로부터의 지방의 흡수도 또한 억제된다.
이러한 리파아제 저해제로서, 해외에서는 올리스타트 (상품명: 제니칼; 로슈사) 가 실제로 의약품으로서 임상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이것은 일본에서의 사용이 현재 승인되어 있지 않아, 의약품뿐만 아니라 식품으로서도 사용할 수 없는 것이 현상황이다.
리파아제 저해 물질 또는 그것을 첨가한 식품은, 상기 질환의 병상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련된 대사 이상의 환자에게 유용하고, 또한 일상의 식생활에 받아드림으로써 비만이나 고지혈증의 예방에도 적합하다. 그 때문에, 안전성이 높고 섭식 가능한 천연물로서, 해조류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3 참조), 피망, 호박, 맛타리버섯, 잎새버섯, 녹미채 외 (예를 들어, 특허문헌 4 참조), 차조기과 식물 (예를 들어, 특허문헌 5 참조), 홉 (예를 들어, 특허문헌 6 참조), 탈지 쌀겨 (예를 들어, 특허문헌 7 참조), 타마린드 종피(種皮) (예를 들어, 특허문헌 8 참조) 등 유래의 리파아제 저해 물질이, 지금까지 제안되어 있다.
한편, 아스코필럼 노도섬 (Ascophyllum nodsum) 은, 갈조류 모자반목, 모자반과에 속하는 해조이고, 주로 노르웨이의 리아스식 해안의 암초 지대에 생육하고 있다. 아스코필럼 노도섬은 알긴산을 고농도로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알긴산 제조용 원료로서 이용되는 것 이외에, 미네랄, 비타민류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원조(原藻)를 건조시키고 분말로 가공된 제품이 사료 또는 비료ㆍ토양 개량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스코필럼 노도섬의 추출물 등이 리파아제 활성 저해 작용을 갖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84937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03974호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36846호
특허문헌 4: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219872호
특허문헌 5: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62606호
특허문헌 6: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21166호
특허문헌 7: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001-97880호
특허문헌 8: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91039호
비특허문헌 1: 이케다 요시오「해외에서의 올리스타트 최근의 사용 상황」, 비만 연구, 일본 비만학회, 2001년, 제 7 권, 제 3 호, p.316-318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체 내에서의 지질의 소화 흡수에 관여하는 효소인 췌장 리파아제를 저해하고, 체내 지방의 축적을 억제함으로써 활성이 강한 천연물 유래의 리파아제 저해 물질,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리파아제 저해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갈조류의 일종인 아스코필럼 노도섬 (Ascophyllum nodsum) 의 추출물이 강력한 췌장 리파아제 저해 작용을 갖는 것을 발견하고, 또한 이 추출물은 혈장 중의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저하 활성 작용, 즉, 혈장 중의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양을 감소시키는 작용도 함께 가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 등은 이들의 지견에 따라서 더욱 연구를 추진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1) 아스코필럼 노도섬 (Ascophyllum nodsum) 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파아제 저해제,
(2) 상기 (1) 에 기재된 추출물의 정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파아제 저해제,
(3) 음식품인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리파아제 저해제,
(4) 비만의 치료ㆍ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건강 식품 또는 특정 보건용 식품인 상기 (3) 에 기재된 리파아제 저해제,
(5) 고지혈증의 치료ㆍ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건강 식품 또는 특정 보건용 식품인 상기 (3) 에 기재된 리파아제 저해제, 및
(6) 아스코필럼 노도섬 (Ascophyllum nodsum) 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 저하 활성제,
(7) 아스코필럼 노도섬의 추출물을 포유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파아제 활성의 저해 방법,
(8) 아스코필럼 노도섬의 추출물을 포유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ㆍ예방 방법,
(9) 아스코필럼의 추출물을 포유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저하 방법,
(10) 리파아제 활성을 저해하는 의약 또는 음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아스코필럼 노도섬의 추출물의 용도,
(11)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ㆍ예방을 위한 의약 또는 음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아스코필럼 노도섬의 추출물의 용도, 및
(12)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저하시키는 의약 또는 음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아스코필럼 노도섬의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아스코필럼 노도섬으로부터의 추출물은, 강한 리파아제 저해 작용 및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 저하 활성 작용을 갖기 때문에,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파아제 저해제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저하 활성제는, 종래 알려져 있는 해조 유래의 리파아제 저해 물질 등에 비교하더라도, 보다 효과적으로 비만 및 고지혈증을 치료ㆍ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파아제 저해제는, 비만 및 고지혈증을 치료ㆍ예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만이나 고지혈증에 관련된 대사 이상의 환자에게 유용하고, 음식품, 특히 건강 식품 또는 특정 보건용 식품으로서 일상의 식생활에 받아들일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있어서, 아스코필럼 노도섬 (이하, 아스코필럼이라고 생략한다.) 은, 그 어느쪽의 조직, 부위도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한 조직, 부위는 전조(全藻) 또는 엽경부(葉莖部)이다. 아스코필럼으로부터의 추출시에, 바다에서 수확된 아스코필럼의 전조 또는 엽경부를 그대로, 또는 그것들을 재단, 세단(細斷) 또는 마세(磨細)한 것, 또한 그것들을 건조시킨 것, 또한 전조 또는 엽경부를 건조 후에 재단, 세단 또는 분쇄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생 아스코필럼의 전조 또는 엽경부를 건조시키고, 분쇄한 것이다. 건조는 자체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통풍 건조, 천일(天日) 건조, 동결 건조 등 어느 방법이어도 된다.
추출 용제로서는, 물 또는 유기 용제 또는 그들의 혼합액이 사용된다.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sec-부탄올 또는 tert-부탄올 등의 탄소수 1∼4 의 저급 알코올, 디메틸케톤,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또는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등의 극성 유기 용제 또는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또는 디에틸에테르 등의 비극성 유기 용제를 들 수 있다. 이들 극성 유기 용제와 비극성 유기 용제는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의 추출 용제 내, 바람직하게는 극성 유기 용제 또는 극성 유기 용제와 물의 혼합액,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아세톤 또는 그들과 물의 혼합액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아세톤과 물의 혼합액이다. 극성 유기 용제와 물의 혼합액의 혼합 비율은, 극성 유기 용제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극성 유기 용제/물이 약 5/95∼100/0(v/v) 의 범위 내이다. 예를 들어, 추출 용제로서 메탄올-물 혼합액 또는 에탄올-물 혼합액을 사용하는 경우, 그 비율로서는 약 5/95∼100/0(v/v) 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30/70∼70/30(v/v) 이다. 또한, 아세톤-물 혼합액을 사용하는 경우, 그 비율로서는 약5/95∼100/0(v/v) 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30/70∼80/20(v/v) 이다. 이들의 비율은 추출 효율, 추출물 양 및 추출물의 효소 저해 활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을 얻기 위한 추출 방법에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침지에 의한 추출, 가열 추출, 연속 추출 또는 초임계 추출 등, 자체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아스코필럼과 추출 용제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아스코필럼 건조물/용제비가 약 1/100∼1/2(w/v) 이 바람직한 범위이고, 약1/10∼1/5(w/v) 이 보다 바람직한 범위이다. 구체적으로는, 추출은 예를 들어 아스코필럼을 건조시키고, 분쇄한 추출 원료 약 100g 에 대하여 추출 용제 약 200mL∼10L, 바람직하게는 약 500mL∼1L 를 사용하고, 정치 또는 천천히 교반하면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온도는 실온에서 통상 압력 하에서의 용제의 비점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작업상 편리하고, 또한 추출 시간은 추출 온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수분 내지 약 7 일간의 범위이고, 약 30 분∼24 시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조작 종료 후, 여과 또는 원심 분리 등 자체 공지된 방법으로 고형물 (추출 잔류) 이 제거되고, 추출액이 얻어진다. 추출액은 자체 공지된 방법으로 농축되고, 흑∼갈색 유상 또는 페이스트 형상으로 농축된 추출물 (이하, 간단히 농축물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이 얻어진다. 또한, 추출액 또는 농축물은 예를 들어 온열 건조, 동결 건조 등 자체 공지된 방법으로 건조시킴으로써, 고형의 추출물로 할 수도 있다. 추출액, 농축물 또는 농축물을 물 및/또는 유기 용제에 용해한 용액은, 예를 들어 한외여과, 흡착 수지 처리, 분자 크로마토그래피, 분배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액-액 추출 등의 방법에 따라 정제되어도 된다. 정제된 추출물은, 정제물로서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추출물은 강한 리파아제 저해 작용을 하는 점에서 리파아제 저해제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리파아제 저해제는, 상기 추출물 또는 정제물을 그대로, 또는 추출물 또는 정제물에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물 또는 식품 소재, 식품 원료, 또한 필요에 따라 식품 첨가물 등을 적절히 혼합하고, 자체 공지된 방법으로 액제, 산제, 과립제, 정제, 마이크로 캡슐, 소프트 캡슐 또는 하드 캡슐 등의 제제로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식품으로서 고형 식품, 크림 형상 또는 잼 형상의 반유동 식품, 겔 형상 식품, 음료 등 모든 식품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음식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청량 음료, 커피, 홍차, 우유 음료, 유산균 음료, 드롭, 캔디, 츄잉껌, 초콜렛, 구미(gummy), 요구르트, 아이스크림, 푸딩, 물양갱, 젤리 과자 또는 쿠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각종 제제 또는 음식품은, 당뇨병의 치료ㆍ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건강 식품 또는 특정 보건용 식품으로서 유용하다.
상기 제제 또는 음식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첨가물, 식품 소재, 식품 원료 또는 식품 첨가물로서는, 예를 들어 부형제 (젖당, 옥수수 전분, 백당, 포도당, 전분, 결정 셀룰로오스 등), 활택제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자당 지방산에스테르 등),붕괴제 (전분, 카르멜로오스나트륨, 탄산칼슘), 결합제 (전분 풀액,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액, 아라비아 고무액 등), 유화제ㆍ용해 보조제 (아라비아 고무, 폴리솔베이트 80, 포피돈 등), 감미료 (백당, 과당, 단시럽, 벌꿀 등), 착색료 (식용 타르 색소, 산화철 등), 보존료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소르브산 등), 증점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글리콜, 알긴산나트륨 등),산화 방지제 (아황산수소나트륨, 에데트산나트륨, 아스코르브산 등), 안정화제 (티오황산나트륨, 에데트산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등), 산미료 (레몬과즙 등), 조미료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또는 향료 (박하, 스트로베리 향료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각종 제제 또는 음식품에 대한 상기 추출물 또는 정제물의 첨가량으로서는, 추출물 또는 정제물에 함유되는 리파아제 저해 활성 성분의 함유량에 따라 다르고 모두 동일한 형태는 아니지만, 추출물 (고형분 환산) 로서 예를 들어 약 0.0001∼50 질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1∼2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1∼10 질량% 이다.
이들 각종 제제 또는 음식품을 경구적으로 섭취하는 경우, 상기 추출물 또는 정제물의 1일당 용량은, 고형물로 환산하여, 체중 1kg 에 대하여 약 0.01∼1000㎎, 바람직하게는 약 0.1∼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300㎎ 의 범위이다. 이 용량을, 1일당 1 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섭취하면 된다. 단, 실제의 용량은 목적이나 섭취자의 상황 (성별, 연령, 체중, BMI 등) 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말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아스코필럼 건조 분말 약 50.0g 을 정밀하게 재고, 이 건조 분말에 표 1 의 비율의 에탄올-물 혼합액 500mL 를 첨가하고, 천천히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1 시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원심관으로 옮기고, 원심 분리에 의해 상등액과 침전물로 나누고, 침전물에 상기와 동일한 에탄올-물 혼합액 50OmL 를 첨가하고, 1 회째와 동일하게 하여 1 시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1 회째와 동일하게 하여 상등액과 침전물로 나누고, 1 회째와 2 회째의 상등액을 합하여 흡인 여과하고, 여과 액으로서 합계 약 1L 의 추출액을 얻었다. 이 추출액을, 로터리 농축기를 사용하여 감압하, 약 60℃ 에서 농축하고, 다음으로 농축물을 동결 건조시켜 흑갈색 분말 형상의 추출물 1∼6 을 얻었다. 수량을 표 1 에 나타낸다.
추출물 에탄올-물 혼합액 〔에탄올:물 (v/v)〕 수량 (질량%)
1 10:90 24.2
2 20:80 24.3
3 30:70 24.3
4 50:50 22.0
5 70:30 17.0
6 100:0 2.2
실시예 2
아스코필럼 건조 분말 약 800g 에, 에탄올-물〔50:50(v/v)〕혼합액 8L 를 첨가하고, 천천히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1 시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원심관으로 옮기고, 원심 분리에 의해 상등액과 침전물로 나누고, 침전물에는 에탄올-물 혼합액 8L 를 첨가하고, 1 회째와 동일하게 하여 1 시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1 회째와 동일하게 하여 상등액과 침전물로 나누고, 1 회째와 2 회째의 상등액을 합하여 흡인 여과하고, 여과 액으로서 합계 약 16L 의 추출액을 얻었다. 이 추출액을, 분획 분자량 1만의 한외여과막 (제품명: FBO2-VC-FUSO181; 다이센 멤브레인 시스템사) 을 사용하여 한외여과하고, 농축액량이 5L 가 된 시점에서 물 5L 를 첨가하여 여과를 계속하고, 농축액량이 다시 5L 가 된 시점에서 한외여과를 종료하였다. 농축액은 로터리 농축기를 사용하여 감압하, 약 60℃ 에서 농축하고, 다음으로 농축물을 동결 건조시켜 흑갈색 분말 형상의 추출물 (추출물 7) 약 73g 을 얻었다.
실시예 3
트리올레핀을 기질로서, 실시예 2 에서 얻은 추출물 7 의 리파아제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1) 리파아제 저해 활성의 측정
추출물 7 을 각각 5, 10, 50, 100, 500㎍/mL 함유하는 시료 용액 1mL, 1㎎/mL 의 리파아제 (타입 II; 시그마사) 용액 (pH7.4) 1mL, 매킬베인 완충액 (pH7.4) 7mL, 아라비아 검 100㎎, 트리올레핀 (와코쥰야쿠 공업 제조) 1.0㎎ 을 혼화하고, 약 37℃ 에서 1 시간 진탕 후, 에탄올 20mL 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하고, 반응액을 얻었다. 대조구 1 은, 리파아제 용액 대신에 매킬베인 완충액 (pH7.4) 1mL 을 첨가하고, 대조구 2 는 시료 용액 대신에 매킬베인 완충액 (pH7.4) 1mL 를 첨가하였다. 반응액에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수방울 첨가하고, 0.05N NaOH 로 적정하고, 다음 식에 의해 리파아제 저해율을 산출하였다.
리파아제 저해율(%)=(C-S)/(C-B)×100
S: 피험 시료구의 적정량(mL)
B: 대조구 1 의 적정량(mL)
C: 대조구 2 의 적정량(mL)
추출물의 리파아제 저해율을 측정한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추출물 7 농도 (㎍/mL) 리파아제 저해율 (%)
5 9.2
10 15.4
50 67.7
100 80.0
500 90.8
이 결과로부터 구한 실시예 2 의 추출물 7 의 리파아제 활성을 50% 저해할 때의 농도 (IC50) 는 약 29㎍/mL 이었다.
실시예 4
각종 해조의 건조 분말 약 50.0g 을 정밀하게 재고, 그 건조 분말에 각각 에탄올-물〔30:70 (v/v)〕혼합액 500mL 를 첨가하고, 천천히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1 시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원심관으로 옮기고, 원심 분리에 의해 상등액과 침전물로 나누고, 침전물에 에탄올-물〔30:70(v/v)〕혼합액 500mL 를 첨가하고, 1 회째와 동일하게 하여 1 시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1 회째와 동일하게 하여 상청 액과 침전물로 나누고, 1 회째와 2 회째의 상등액을 합하여 흡인 여과하고, 여과 액으로서 합계 1L 의 추출액을 얻었다. 이 추출액을, 로터리 농축기를 사용하여 감압하, 약 60℃ 에서 농축하고, 다음으로 농축물을 동결 건조시켜 분말 형상의 추출물 (추출물 8, 비교예 1∼8) 을 얻었다.
이들 추출물의 리파아제 저해 활성을, 상기 실시예 3 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용액의 농도는 100㎍/mL, 1000㎍/mL 의 2 점으로 하였다. 결과는 표 3 에 저해율 (%) 로 나타낸다.
해조의 종류 리파아제 저해율(%)
100㎍/mL 1000㎍/mL
추출물8 아스코필럼 (갈조) 40.6 96.9
비교예1 파래 (녹조) 0 0
비교예2 큰실말 (갈조) 0 0
비교예3 다시마 (갈조) 0 34.3
비교예4 대황 (갈조) 7.2 25.0
비교예5 미역 (갈조) 4.5 20.0
비교예6 모자반 (갈조) 5.8 27.1
비교예7 녹미채 (갈조) 0 0
비교예8 우뭇가사리 (홍조) 0 0
표 3 으로부터, 아스코필럼의 추출물은 다른 해조류에 비하여 강한 리파아제 저해 활성을 갖고, 게다가 저농도에서도 그 활성이 발현됨을 알았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2 에서 얻은 추출물 7 을 시료로서, 마우스에 대한 오일의 1회 투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1)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 저하 활성의 측정
하룻밤 절식한 7 주령 ddY 마우스를 대조군, 시료 투여군 각각 8 마리씩 사용하였다. 마우스의 꼬리 정맥으로부터 헤파린이 들어 있는 채혈관에 약 50μL 채혈하였다. 채혈 후, 대조군에는 올리브유와 생리 식염수의 에멀션을, 올리브유 5g/체중kg/6mL 가 되도록 조제한 것을, 위 존데를 사용하여 경구 투여하였다. 시료 투여군에는 올리브유와 생리식염수에 용해한 시료 용액의 에멀션을, 올리브유로서 5g/체중kg/6mL, 시료로서 추출물 7 을 100㎎/체중kg/6mL 또는 500㎎/체중kg/6mL 가 되도록 혼합ㆍ조제한 것을, 각각 위 존데를 사용하여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후, 1, 2, 3, 4 및 5 시간 후에 약 50μL 채혈하였다. 채혈한 혈액은 원심 분리로 혈장 획분을 분획하여, 분석에 이르기까지 -40℃ 에서 보존하였다.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량은, GPOㆍDASO 법에 의한 측정 키트 (트리글리세라이드 E-테스트와코; 와코쥰야쿠 공업 제조)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량의 경시 변화를 표 4 에 나타낸다.
경시시간 (시간)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량 (㎎/100mL) (수치는 평균치±표준 편차)
대조군 추출물7투여군
100㎎/체중kg 500㎎/체중kg
0 336±103 258±62 267±87
1 550±147 514±76 255±81**
2 1000±284 781±189 358±126**
3 1062±300 747±215* 265±83**
4 78±417 652±229 180±59**
5 451±356 413±264 147±26*
** 대조군에 대하여 위험률 1% 로 유의차가 있음.
* 대조군에 대하여 위험률 5% 로 유의차가 있음.
아스코필럼의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투여 1∼5 시간 후의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량의 상승을 유의하게 억제함을 알았다.
실시예 6
젖당 50 질량부, 옥수수 전분 38 질량부, 딸기 향료 1 질량부 및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1 질량부에, 실시예 2 의 추출물 7 을 10 질량부 첨가하여 혼합 후, 타정기를 사용하여 타정하고, 서플리먼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7
표 5 에 나타내는 배합의 음료 용액을 약 65℃ 에서 10 분간 가열 처리하고, 실온까지 냉각한 후 멸균 용기에 무균적으로 충전하고, 벌꿀 레몬 음료를 제작하였다.
성분 배합량 (질량%)
과당 포도당 액당 11
레몬 과즙 3
벌꿀 1
향료 0.1
산미료 0.1
비타민C 0.02
색소 0.01
실시예 2 의 추출물 7 1.00
84.77
합계 100
실시예 8
이하의 순서로 오렌지 젤리를 제작하였다.
(1) 가루 젤라틴 15g 을 약 45mL 의 물에 넣고, 불려 놓는다.
(2) 냄비에 오렌지 쥬스 (과즙 100%) 750mL, 그래뉴당 90g 을 넣어 끓어 오르게 한다. 그래뉴당이 녹으면 불을 멈추고, 실시예 2 의 추출물 7 약 7g 과 (1) 을 첨가하여 잘 녹인다.
(3) 냄비 바닥을 얼음물에 대고, 섞으면서 걸죽해질 때까지 식히고, 안쪽을 적신 젤리형으로 따라 넣고, 식혀 굳힌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아스코필럼 노도섬으로부터의 추출물은, 강한 리파아제 저해 작용 및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 저하 활성 작용을 갖기 때문에, 아스코필럼 노도섬으로부터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파아제 저해제는, 종래 알려져 있는 해조 유래의 리파아제 저해 물질에 비교하더라도, 보다 효과적인 비만 및 고지혈증의 치료ㆍ예방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식품은 비만 및 고지혈증의 치료ㆍ예방용의 건강 식품 또는 특정 보건용 식품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12)

  1. 아스코필럼 노도섬 (Ascophyllum nodsum) 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파아제 저해제.
  2. 제 1 항에 기재된 추출물의 정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파아제 저해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음식품인 리파아제 저해제.
  4. 제 3 항에 있어서,
    비만의 치료ㆍ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건강 식품 또는 특정 보건용 식품인 리파아제 저해제.
  5. 제 3 항에 있어서,
    고지혈증의 치료ㆍ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건강 식품 또는 특정 보건용 식품인 리파아제 저해제.
  6. 아스코필럼 노도섬 (Ascophyllum nodsum) 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 저하 활성제.
  7. 아스코필럼 노도섬의 추출물을 포유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파아제 활성의 저해 방법.
  8. 아스코필럼 노도섬의 추출물을 포유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ㆍ예방 방법.
  9. 아스코필럼 노도섬의 추출물을 포유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저하 방법.
  10. 리파아제 활성을 저해하는 의약 또는 음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아스코필럼 노도섬의 추출물의 용도.
  11.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ㆍ예방을 위한 의약 또는 음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아스코필럼 노도섬의 추출물의 용도.
  12.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저하시키는 의약 또는 음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아스코필럼 노도섬의 추출물의 용도.
KR1020067011214A 2003-12-10 2004-12-09 해조 추출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리파아제 저해제 KR200601015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12188 2003-12-10
JP2003412188A JP2005170836A (ja) 2003-12-10 2003-12-10 海藻抽出物およびそれを含むリパーゼ阻害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519A true KR20060101519A (ko) 2006-09-25

Family

ID=34675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1214A KR20060101519A (ko) 2003-12-10 2004-12-09 해조 추출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리파아제 저해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053929A1 (ko)
EP (1) EP1693084A1 (ko)
JP (1) JP2005170836A (ko)
KR (1) KR20060101519A (ko)
CA (1) CA2548899A1 (ko)
WO (1) WO20050560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41747A1 (en) * 2004-08-17 2006-02-23 Ocean Nutrition Canada Ltd. Ascophyllum compositions and methods
DE102010007836A1 (de) * 2010-02-11 2011-08-11 Maier, Ursula, 78462 Ölgewinnungssubstanz
FR2972330B1 (fr) * 2011-03-08 2015-01-16 Lab Attitude Composition nutraceutique pour limiter l'absorption de lipides alimentaires et pour induire une perte de poids comprenant comme agent actif au moins un extrait de carotte.
FR2974479B1 (fr) * 2011-04-27 2014-01-10 Algues Et Mer Extrait d'algues brunes alimentaires a faible teneur en iode
JP2014064505A (ja) * 2012-09-25 2014-04-17 Fujifilm Corp 食品用組成物および脂質吸収抑制剤
ITMI20122046A1 (it) * 2012-11-30 2014-05-31 Nearchimica S P A Procedimento di estrazione di principi attivi dall¿alga ascophyllum nodosum
US10743813B2 (en) 2014-09-11 2020-08-18 Rattan Nath Diabetes control using postprandial feedback
RU2659026C1 (ru) * 2017-06-16 2018-06-26 Галина Владимировна Серебренникова Способ моделирования и коррекции фигуры и тела человек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бурых морских водорослей
FR3074998B1 (fr) * 2017-12-18 2020-03-27 Laboratoires Goemar Procede pour identifier et isoler des composes bioactifs a partir d'extraits d'algu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4937A (ja) * 1992-04-10 1993-11-02 T Ee C Gijutsu Kagaku Kenkyusho:Kk 海藻から抽出した消化酵素活性阻害物質及びそれを含有するダイエット食品
JP2000072642A (ja) * 1998-08-24 2000-03-07 Lion Corp スリミング剤
CN1592626A (zh) * 2000-09-13 2005-03-09 宝生物工程株式会社 内环境稳定维持剂
JP2003160505A (ja) * 2001-09-12 2003-06-03 Lion Corp 体脂肪減少効果を有する飲食物及び外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53929A1 (en) 2007-03-08
EP1693084A1 (en) 2006-08-23
CA2548899A1 (en) 2005-06-23
JP2005170836A (ja) 2005-06-30
WO2005056034A1 (ja)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1561A (ko) 해조 추출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당질 가수 분해 효소 저해제
JP2020511156A (ja) 白扁豆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二日酔いの解消及びアルコール性胃腸疾患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のための組成物
KR20200002260A (ko) 토종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90786B1 (ko) 아까시재목버섯의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060101519A (ko) 해조 추출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리파아제 저해제
KR101565964B1 (ko) 아위버섯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1152B1 (ko) 다래순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20150006971A (ko) 차요테 및 알리움 후커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490794B1 (ko) 젖색손등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490781B1 (ko) 꽃방패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151003B1 (ko) 숙성새싹삼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10081007A (ko) 함초 발효물을 포함하는 고혈압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793145B1 (ko) 가시박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6016340A (ja) ザクロ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血中尿酸値低下剤
WO2019083264A1 (ko) 숙성새싹삼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94649B1 (ko) 직립싸리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JP2002053475A (ja) 糖質分解酵素阻害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
KR20130082250A (ko) 담쟁이 덩쿨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혈압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50048698A (ko) 아위버섯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25280B1 (ko) 알바트렐러스 플레티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490800B1 (ko) 붉은덕다리버섯의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490792B1 (ko) 노란반달버섯의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773221B1 (ko) 흰무당버섯아재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30099707A (ko) 천연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JP2022135271A (ja) 血中トリグリセリド濃度上昇抑制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