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1020A - 전기공급용 슬립링 - Google Patents

전기공급용 슬립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1020A
KR20060101020A KR1020050022839A KR20050022839A KR20060101020A KR 20060101020 A KR20060101020 A KR 20060101020A KR 1020050022839 A KR1020050022839 A KR 1020050022839A KR 20050022839 A KR20050022839 A KR 20050022839A KR 20060101020 A KR20060101020 A KR 20060101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ring
brush
groun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3870B1 (ko
Inventor
손정태
Original Assignee
(주) 우성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우성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 우성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050022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3870B1/ko
Publication of KR20060101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02Connections between slip-rings and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ground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3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only one end of the r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공급용 슬립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체와 고정체의 접촉단자가 접촉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접지수단을 설치하고, 회전체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접촉링을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하면서 고정체의 브러쉬와 접촉하는 접촉링의 외주면에 "V"자형홈 형태의 트랙을 형성하며, 고정체의 브러쉬를 사다리꼴 형태로 벌어진 2개의 접촉부를 형성함으로서, 상기 접지수단에 의해 노이즈를 차단하여 정확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하고, 두께가 얇은 다수의 접촉링에 의해서는 슬립링의 높이를 대폭 낮출수 있으며, 상기 접촉링의 외주면에 "V"자형홈 형태의 트랙이 형성되고 이 트랙에 2개의 접촉부를 가진 브러쉬가 접촉함에 따라 브러쉬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브러쉬와 접촉링이 정확하고 안정되게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슬립링, 접촉링, 브러쉬, 회전체, 고정체, 접지링, 노이즈

Description

전기공급용 슬립링{Slip ring for a power supply}
도 1의 (가)(나)는 종래 슬립링의 단면도와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공급용 슬립링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C"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6의 D-D선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3의 E-E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체 2 : 절연몸체 3 : 접촉링
4 : 수지 5 : 리드선 6 : 수지주입구
7 : 고정체 8 : 브러쉬 9 : 리드선
10 : 하우징 11 : 플랜지부 12 : 전선삽입구멍
13 : 트랙 14 : 납땜돌출부 15 : 접촉링
16 : 전선연결홈 17 : 회전체본체 18 : 제1컨넥터
19 : 전선 20 : 회전체 21 : 접지홈
22 : 접지링 23 : 고정체프레임 24 : 베어링
25 : 상부테 26 : 브러쉬설치대 27 : 호형홈부
28 : 하부테 29 : 브러쉬 30 : 플레이트
31 : 브러쉬조합체 32 : 전선 33 : 제2컨넥터
34 : 접지편 35 : 전선삽입구멍 36 : 접지판
37 : 고무링 38 : 외부커버
본 발명은 미사일의 회전장치, CCTV카메라, 인덱스 테이블, 회전반도체 장비, 로봇 회전체와 같은 각종 설비의 회전체와 고정체의 접촉단자 부분이 회전체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꼬이지 않으면서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전기공급용 슬립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체와 고정체의 접촉단자가 접촉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접지수단을 설치하고, 회전체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접촉링을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하면서 고정체의 브러쉬와 접촉하는 접촉링의 외주면에 "V"자형홈 형태의 트랙을 형성하며, 고정체의 브러쉬를 사다리꼴 형태로 벌어진 2개의 접촉부를 형성함으로서, 상기 접지수단에 의해 노이즈를 차단하여 정확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하고, 두께가 얇은 다수의 접촉링에 의해서는 슬립링의 높이를 대폭 낮출수 있으며, 상기 접촉링의 외주면에 "V"자형홈 형태의 트랙이 형성되고 이 트랙에 2개의 접촉부를 가진 브러쉬가 접촉함에 따라 브러쉬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브러쉬와 접촉링이 정확하고 안정되게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립링(slip ring)은 회전체를 갖는 회전부분의 전기회로와 고정부분의 전기회로를 회전중에도 배선의 꼬임없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레이더의 기둥이나, 전차 및 자주포의 포탑을 비롯하여, 건설중장비, 각종 산업기계, 항공장비, 전자공학 추적장치, 미사일 발사대, 헬기 회전자, 원심분리기, 초음파 탐지기, 풍력 터빈 발전기 등과 같이 고속으로 회전되는 곳에 전기신호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종래 슬립링의 일예에 대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슬립링장치는 회전체(1)의 절연몸체(2)에 다수개의 접촉링(3)이 수지(4)에 의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절연몸체(2)의 일측에는 상기 접촉링(3)이 특정위치에 고정되어 유동되지 않도록 보강하는 압착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링(3)에는 전원이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리드선(5)이 접촉되게 설치되어 있다. 도면 부호 "6"은 수지주입구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슬립링장치는 상기 절연몸체(2)에 다수개의 접촉링(3)을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수지주입구(6)를 통해 수지(4)를 주입하여 경화시킨 후, 불필요한 부분을 후가공을 통해 제거하여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종래의 슬립링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 (7)의 브러쉬(8)와 접촉하면서 전원이나 신호를 전달하게 되며, 상기 브러쉬(8)는 리드선(9)과 접촉되어 전원이나 신호가 전달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슬립링장치에는 접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접촉링과 브러쉬이 접촉시 발생하는 노이즈를 차단하지 못하여 정확한 신호를 전달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회전체에 일정간격으로 몰딩 형성되는 접촉링과 고정체의 브러쉬이 모터의 카본 브러쉬과 같이 3㎜내외의 비교적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서 슬립링의 전체높이(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를 아울러 지니고 있었다.
또한, 끝단부가 평면으로 형성된 브러쉬이 장기간의 사용으로 마모가 발생하게 되면 그 끝단부가 호형으로 형성되면서 접촉면적이 비교적 넓기 때문에 전기적 접촉에 따른 노이즈의 발생이 심하여 미세한 신호전달을 위한 장치사양에는 적용하기가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슬립링에 접지수단을 설치하여 노이즈를 차단하도록 하고, 회전체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접촉링을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하여 슬립링의 높이를 대폭 낮출수 있게 하며, 상기 접촉링의 외주면에 "V"자형홈 형태의 트랙을 형성하며 고정체의 브러쉬를 사다리꼴 형태로 벌어진 2개의 접촉부를 형성하여 접촉링과 접촉하는 브러쉬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브러쉬와 접촉링이 정확하고 안정되게 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단부 외주연에 플랜지부를 형성한 원통관 형태의 하우징의 몸체 양측에는 전선삽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몸체 외부에는 외주연 전둘레에 "V"자형홈 형태의 트랙을 형성하고 내주면 일측에 납땜돌출부를 형성한 얇은 금속판으로 된 다수개의 접촉링을 내주면 양측에 전선연결홈을 형성한 합성수지재로 된 관체형의 회전체본체에 일정간격으로 인서트몰딩으로 설치하되, 상기 각각의 접촉링의 트랙이 외주연으로 노출되고 납땜돌출부는 전선연결홈측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노출되어 그 단부에 제1컨넥터의 전선의 단부가 연결된 회전체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회전체의 저면에는 저면 전둘레에 접지홈을 형성한 접지링이 나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회전체의 외부에는 상부에 하우징의 플랜지부 외부에 끼워진 베어링의 외주에 끼워지는 상부테가 형성되고, 이 상부테의 양측 하부에는 브러쉬설치대가 하향 형성되며, 이 브러쉬설치대의 하부에는 하부테가 형성된 고정체프레임이 삽입설치되며, 상기 양측 브러쉬설치대에는 접촉링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다수의 브러쉬가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2개의 접촉부를 형성하며 브러쉬설치대에 설치되는 플레이트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브러쉬조합체가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브러쉬의 후방에 제2컨넥터의 전선이 연결되며, 상기 고정체프레임의 하부테 저면에는 상면에 접지링의 접지홈에 삽입되어 접촉하는 다수개의 접지편이 설치되고 하부테의 호형홈부에 대응하는 전선삽입구멍을 형성한 링형태의 접지판이 나사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과 접지판의 내주연 사이에는 하우징과 접지판의 회전을 지지하여 베어링 역할을 하는 고무링이 삽입되고, 상기 고정체프레임의 상하부테 사이의 외부에는 외부커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공급용 슬립링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단부 외주연에 플랜지부(11)를 형성한 원통관 형태의 하우징(10)의 몸체 양측에는 전선삽입구멍(12)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몸체 외부에는 회전체(20)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회전체(20)는 외주연 전둘레에 "V"자형홈 형태의 트랙(13)을 형성하고 내주면 일측에 납땜돌출부(14)를 형성한 얇은 금속판으로 된 다수개의 접촉링(15)을 내주면 양측에 전선연결홈(16)을 형성한 합성수지재로 된 관체형의 회전체본체(17)에 일정간격으로 인서트몰딩으로 설치하되, 상기 각각의 접촉링(15)의 트랙(13)이 외주연으로 노출되고 납땜돌출부(14)는 전선연결홈(16)측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노출되어 그 단부에 제1컨넥터(18)의 전선(19)의 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20)의 저면에는 저면 전둘레에 접지홈(21)을 형성한 접지링(22)이 나사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20)의 외부에는 고정체프레임(23)이 삽입설치된다.
상기 고정체프레임(23)은 상부에 하우징(10)의 플랜지부(11) 외부에 끼워진 베어링(24)의 외주에 끼워지는 상부테(25)가 형성되고, 이 상부테(25)의 양측 하부에는 2개의 기둥형태인 브러쉬설치대(26)가 하향 형성되며, 이 브러쉬설치대(26)의 하부에는 일측 내주면에 호형홈부(27)를 형성한 하부테(28)가 상부테(25)와 동일한 크기의 링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측 브러쉬설치대(26)에는 접촉링(15)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다수의 브러쉬(29)가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2개의 접촉부(29a)를 형성하며 브러쉬설치대(26)에 설치되는 플레이트(30)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브러쉬조합체(31)가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브러쉬(29)의 후방에 제2컨넥터(33)의 전선(32)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프레임(23)의 하부테(28) 저면에는 상면에 접지링(22)의 접지홈(21)에 삽입되어 접촉하는 다수개의 접지편(34)이 설치되고 하부테(28)의 호형홈부(27)에 대응하는 전선삽입구멍(35)을 형성한 링형태의 접지판(36)이 나사로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외주연과 접지판(36)의 내주연 사이에는 하우징(10)과 접지판(36)의 회전을 지지하여 베어링 역할을 하는 고무링(37)이 삽입되고, 상기 고정체프레임(23)의 상하부테(25,28) 사이의 외부에는 외부커버(38)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부호 "39"는 내측 베어링커버이고, "40"은 외측 베어링커버이며, "41"은 고무링커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기공급용 슬립링을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컨넥터(18)가 하우징(10)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제1컨넥터(18)에 달린 전선(19)은 하우징(10)의 전선삽입구멍(12)으로 삽입시켜서 전선(19)의 단부가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이상태에서 상기 전선(19)의 끝단부를 회전체(20)의 납땜돌출부(14)에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때는 도 2,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전체(20)의 내주면 양측에 형성된 전선연결홈(16)에는 합성수지재로 된 회전체본체(17)에 몰딩 형성된 다수개의 접촉링(15) 내주연 일측에 형성된 납땜돌출부(14)가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 각각의 접촉링(15)에는 1개의 납땜돌출부(14)가 내주연 일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이 1개의 납땜돌출부(14)가 전선연결홈(16) 내측으로 노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접촉링(15)이 회전체본체(17)에 일전간격으로 몰딩 형성될 때 상기 각각의 납땜돌출부(14)가 지그재그 형태로 노출되어 있다.
이렇게 지그재그 형태로 노출된 납땜돌출부(14)에 제1컨넥터(18)의 전선(19)이 각각 납땜으로 연결되고, 그 연결부위에 에폭시등의 수지로서 몰딩처리한 뒤에 하우징(10)의 몸체 외부에 회전체(20)를 삽입시키는데, 전선(19)이 연결되고 전선이 삽입된 부분이 회전체본체(17)의 내주면에 움푹 파인 전선연결홈(16)에 위치하므로 하우징(10)의 외부에 회전체(20)를 삽입시키는데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10)의 외부에 회전체(20)를 설치한 뒤에는 회전체(20)의 하단부에 접지링(22)을 나사로서 결합설치하는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지홈(21)이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해야 한다.
그 뒤에 도 2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컨넥터(33)의 전선(32)을 접지판(36)의 하부로부터 상측으로 전선삽입구멍(35)으로 상향 관통시킨 상태에서 브러쉬조합체(31)에 설치된 다수의 브러쉬(29) 후방에 전선(32)의 끝단부를 납땜으로 고정시킨다.
이상태에서 고정체프레임(23)을 회전체(20)의 외부로 상향 삽입시켜 상부테(25)가 하우징(10)의 플랜지부(11)와 대응되게 설치하며, 플랜지부(11)의 외주연과 상부테(25)의 내주연 사이에 베어링(24)을 삽입시킨 뒤에 베어링(24)이 삽입된 플랜지부(11)와 상부테(25)의 상면에 내외측 베어링커버(39,40)를 덮어 씌우면서 나사로서 고정시킨다.
위와 같이 회전체(20)의 외부에 고정체프레임(23)를 설치한 뒤에는 고정체프레임(23)의 양측 브러쉬설치대(26)에 브러쉬조합체(31)를 나사로서 고정시키면, 플레이트(30)에 설치된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된 다수의 브러쉬(29)가 도 3 및 도 4와 같이 접촉링(15)의 외주면에 접촉되게 설치된다.
그 뒤에 도 3 및 도 5와 같이 고정체프레임(23)의 하부에 접지판(36)을 밀착시키면서 나사로서 설치하면, 접지판(36)의 외측 상면이 고정체프레임(23)의 하부테(28)의 저면에 밀착되게 고정되면서 이 접지판(36)의 내부측 상면에 설치된 다수의 접지편(34)은 접지링(22)의 접지홈(21)에 접촉되게 된다.
이렇게 하부테(28)의 저면에 접지판(36)을 설치한 뒤에는 접지판(36)의 내주면과 하우징(10)의 하단부 외주연 사이에 베어링 역할을 하는 고무링(37)을 삽입시키면서 접지판(36)의 저면에 고무링커버(41)를 나사로서 고정시키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무링(37)이 접지판(36)의 내주면과 하우징(10)의 하단부 외주연 사이에서 하부로 이탈되지 않게 설치된다.
위와 같이 접지판(36)의 저면에 고무링커버(41)를 나사로서 고정시킨 뒤에는 고정체프레임(23)의 외부에 외부커버(38)를 삽입시키면 원통관 형태의 외부커버(38)가 고정체프레임(23)의 상하부테(25,28)의 외부면을 커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공급용 슬립링의 조립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슬립링(100)은 미사일의 회전장치와 같이 회전체를 갖는 회전부분의 전기회로와 고정부분의 전기회로를 회전중에도 배선의 꼬임없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하우징(10)의 내부에 회전하는 물체를 설치하고 접지판(36)을 비롯한 외부커버(38)에 고정물체를 설치하여 슬립링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에 고정물체를 설치하고 접지판(36)을 비롯한 외부커버(38)에 회전물체를 설치할 수 도 있는 것이나, 이하에서는 하우징(10)의 내부에 회전하는 물체를 설치하고 접지판(36)을 비롯한 외부커버(38)에 고정물체를 설치한 것을 기준으로 삼아 작용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회전물체가 설치된 하우징(10)이 회전할 때, 하우징(10)의 외부에 설치된 회전체(20)와 접지링(22)도 하우징(10)이 회전하는데로 회전하게 되며, 고정체프레임(23)과 접지판(36)은 회전체(20)의 외측에서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고정체프레임(23)에 설치된 다수의 브러쉬(29)의 접촉부(29a)는 회전체(20)의 외주연으로 노출된 다수의 접촉링(15)의 외주면과 접촉하고, 하부의 고정된 접지편(34)과 그에 대응하는 접지링(22)의 접지홈(21)이 접촉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하는 다수의 접촉링(15)과 고정된 다수의 브러쉬(29)가 접 촉함에 따라 회전물체와 고정물체간의 신호가 전달되게 되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노이즈가 하측에서 접촉하고 있는 접지편(34)과 접지홈(21)에서 접지되어 차단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촉링(15)은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 "V"자형홈 형태의 트랙(13)을 형성하고 있어서, 그 트랙(13)으로 브러쉬(29)의 접촉부(29a)가 삽입되게 되어 트랙(13)과 브러쉬(29)의 접촉부(29a)가 회전식으로 접촉할 때 브러쉬(29)의 접촉부(29a)가 트랙(13)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되게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브러쉬(29)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브러쉬(29)가 사다리꼴 모양으로 2개의 접촉부(29a)가 형성되어서 접촉링(15)의 둥근 외주면에 두군데가 2점 접촉되어 브러쉬(29)의 접촉부(29a)가 트랙(13)에 더욱더 안정적으로 접촉되어 안정적인 신호 전달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지편(34)과 접지홈(21)의 접촉의 경우에도 접지편(34)이 접지링(22)의 저면에 형성된 접지홈(21)에 삽입된 상태로 접촉됨에 따라 접지편(34)과 접지홈(21)의 회전접촉시에 접지편(34)이 접지홈(21)에서 이탈하지 않으면서 안정적인 접촉이 이루어져 접지효과가 확실하게 보장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공급용 슬립링은, 슬립링에 접지수단을 설치하여 노이즈를 차단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와 같은 노이즈의 차단으로 정확한 신호의 전달이 가능한 장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또한, 회전체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접촉링을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하여 슬립링의 높이를 대폭 낮출수 있어 장비를 소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접촉링의 외주면에 "V"자형홈 형태의 트랙을 형성하며 고정체의 브러쉬를 사다리꼴 형태로 벌어진 2개의 접촉부를 형성하여 접촉링과 접촉하는 브러쉬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브러쉬와 접촉링이 정확하고 안정되게 접촉되어 더욱더 안정적이고 정확한 신호의 전달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단부 외주연에 플랜지부(11)를 형성한 원통관 형태의 하우징(10)의 몸체 양측에는 전선삽입구멍(12)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몸체 외부에는 회전체(20)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회전체(20)는 외주연 전둘레에 "V"자형홈 형태의 트랙(13)을 형성하고 내주면 일측에 납땜돌출부(14)를 형성한 얇은 금속판으로 된 다수개의 접촉링(15)을 내주면 양측에 전선연결홈(16)을 형성한 합성수지재로 된 관체형의 회전체본체(17)에 일정간격으로 인서트몰딩으로 설치하되, 상기 각각의 접촉링(15)의 트랙(13)이 외주연으로 노출되고 납땜돌출부(14)는 전선연결홈(16)측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노출되어 그 단부에 제1컨넥터(18)의 전선(19)의 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회전체(20)의 저면에는 저면 전둘레에 접지홈(21)을 형성한 접지링(22)이 나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회전체(20)의 외부에는 고정체프레임(23)이 삽입설치되며,
    상기 고정체프레임(23)은 상부에 하우징(10)의 플랜지부(11) 외부에 끼워진 베어링(24)의 외주에 끼워지는 상부테(25)가 형성되고, 이 상부테(25)의 양측 하부에는 브러쉬설치대(26)가 하향 형성되며, 이 브러쉬설치대(26)의 하부에는 하부테(28)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 브러쉬설치대(26)에는 접촉링(15)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다수의 브러쉬(29)가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2개의 접촉부(29a)를 형성하며 브러쉬설치대(26) 에 설치되는 플레이트(30)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브러쉬조합체(31)가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브러쉬(29)의 후방에 제2컨넥터(33)의 전선(32)이 연결되며,
    상기 고정체프레임(23)의 하부테(28) 저면에는 상면에 접지링(22)의 접지홈(21)에 삽입되어 접촉하는 다수개의 접지편(34)이 설치되고 하부테(28)의 호형홈부(27)에 대응하는 전선삽입구멍(35)을 형성한 링형태의 접지판(36)이 나사결합되며,
    상기 하우징(10)의 외주연과 접지판(36)의 내주연 사이에는 하우징(10)과 접지판(36)의 회전을 지지하여 베어링 역할을 하는 고무링(37)이 삽입되고, 상기 고정체프레임(23)의 상하부테(25,28) 사이의 외부에는 외부커버(38)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공급용 슬립링.
KR1020050022839A 2005-03-18 2005-03-18 전기공급용 슬립링 KR100643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839A KR100643870B1 (ko) 2005-03-18 2005-03-18 전기공급용 슬립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839A KR100643870B1 (ko) 2005-03-18 2005-03-18 전기공급용 슬립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020A true KR20060101020A (ko) 2006-09-22
KR100643870B1 KR100643870B1 (ko) 2006-11-10

Family

ID=37632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839A KR100643870B1 (ko) 2005-03-18 2005-03-18 전기공급용 슬립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38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998B1 (ko) 2019-11-25 2021-05-21 계양전기 주식회사 회전식 모드 전환장치를 구비한 전동공구의 모터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2223A (ko) * 2013-12-19 2015-06-2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회전 장치
KR200492778Y1 (ko) * 2019-04-10 2020-12-09 주식회사 릴텍산업 슬립링용 에어벤트 장치
KR102332484B1 (ko) 2021-04-27 2021-12-01 주식회사 로텍 팬케?? 타입의 슬립링용 브러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9182A (ja) 1998-04-17 1999-10-29 Dainippon Printing Co Ltd スリップリング及びスリップリングの駆動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998B1 (ko) 2019-11-25 2021-05-21 계양전기 주식회사 회전식 모드 전환장치를 구비한 전동공구의 모터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3870B1 (ko) 200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2313B2 (en) Pump assembly
CN102751643A (zh) 制造滑环元件的过程,滑环元件和包括它的模制互连设备
EP0612137B1 (en) Brush device
KR100643870B1 (ko) 전기공급용 슬립링
JP4954271B2 (ja) 回転電機
CN103477509A (zh) 屏蔽连接器
RU2568558C2 (ru) Встраиваемое электрическ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с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й герметизацией
RU2020107403A (ru) Встроенный в колесо электромотор, снабженный инвертором,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такого встроенного в колесо электромотора
CN110233549A (zh) 电子控制模块一体型电机组件
KR200423589Y1 (ko) 슬립링
JP2019521636A (ja) モーター
EP3592974B1 (en) Filter system for providing air into a generator of a wind turbine
JP2003116249A (ja) スリップリング及びスリップリング一体化モータ
KR102054950B1 (ko) 비엠씨 몰드형 모터 어셈블리
CN105429433A (zh) 电力转换装置
CN210985777U (zh) 绝缘骨架、绝缘骨架与控制器集成模块及定子组件
JP2014215176A (ja) 回転検出装置
CN107191390A (zh) 爬地扇及其装配方法
JP2007069905A (ja) ワイパモータ
CN111412443A (zh) 一种导轨式控制器
CN201119176Y (zh) 电子式传感装置的插接结构
JP4116456B2 (ja) コネクタ
CN218997320U (zh) 一种具有转接定位结构的旋转电气转接装置
CN219917703U (zh) 一种连接线束结构及电子设备
CN209841277U (zh) 电动泵用的压力传感器装置以及电动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