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9711A - 인체 세정제용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 Google Patents

인체 세정제용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9711A
KR20060099711A KR1020050021098A KR20050021098A KR20060099711A KR 20060099711 A KR20060099711 A KR 20060099711A KR 1020050021098 A KR1020050021098 A KR 1020050021098A KR 20050021098 A KR20050021098 A KR 20050021098A KR 20060099711 A KR20060099711 A KR 20060099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ore
agent
so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승주
이육훈
Original Assignee
차승주
이육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승주, 이육훈 filed Critical 차승주
Priority to KR1020050021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9711A/ko
Publication of KR20060099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71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12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memorandum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Landscapes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인체 세정제용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함유하는 세정제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인체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제용 조성물에 생광석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광석, 전기석, 세정(洗淨), 조성물.

Description

인체 세정제용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함유하는 세정제{Composition for a wash & The wash containing the composition thereof}
1 : 공개특허 제2004-53648호.
2 : 등록특허 제12156호.
3 : 공개특허 제2004-83994호.
4 : 공개특허 제2004-85993호.
5 : 공개특허 제2004-21067호.
6 : 공개특허 제2004-31407호.
7 : 등록특허 제340086호 등.
본 발명은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함유하는 세정제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치약, 비누 및 샴푸 등의 세정제에 생광석과 전기석을 부가함으로써 탈취, 항균, 미백, 체질개선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인체 세정제용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함유하는 세정제에 관한 것이다.
치약, 비누 등의 세정제는 특별한 화학적 조성을 가지며, 각각 독특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세정제인 치약(tooth paste)은 치아와 구강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약물성 복합물질이다. 치약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소독, 치석용해, 구강 악취 제거, 충치제거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치약은 분말, 크림 또는 액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보통 크림 형태가 일반적이다. 치약을 조성하는 기제(基劑)는 기본적으로 탄산칼슘, 인산칼슘, 황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등이다. 이 기제 외에 살균제, 치석용해제 등의 첨가물이 추가로 함유될 수 있다. 그리고 크림 타입의 치약에는 접합제 및 안정제 등이 첨가되기도 한다.
치아건강을 위한 기본 기능 외에도 비타민을 배합한 약용치약, 상질지각과인증 예방 치약, 미백 치약 등 기능성이 부가된 여러 예가 주지되어 있다. 이러한 치약들은 단순한 구강위생의 보존이 아닌 치과 질환을 직/간접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고기능성을 갖는다. 예컨대, 항균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황토 파우더가 부가된 치약(공개특허 제2004-53648호)이나, 또는 중성 제올라이트를 사용하여 칼슘, 마그네슘 등 다가 이온을 제거하고자 한 치약(등록특허 제12156호)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황토 파우더를 미세화하여 치약에 부가하는 방법은 공정상 많은 노력과 주의를 요하며, 그 제조 공정이 전체적으로 그리 쉽지 않다. 또한, 중화된 제올라이트는 연마력이 부족하여 칼슘 또는 마그네슘의 제거능이 감소하며, 제올라이트가 과다하게 첨가될 경우 치약에 쓴맛이 발생한다.
치아 질환은 주로 당분이 함유된 식품으로부터 세균에 의해 발생한다. 구강 내 세균에 의해 치아표면에 플라그(세균막)가 형성되고, 이 플라그는 다가 이온의 침착으로 인하여 치석으로 변화된다. 이 치석은 색소 침착에 의해 황갈색을 띄어 미용상 좋지 않고 치주질환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이다.
종래의 치약이 이러한 구강질환들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것은 사실이나, 완벽하게 양치한다 하더라도 크고 작은 이물질은 치아 사이에 존재할 수밖에 없으므로 이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따라서 구취, 충치 등의 구강질환을 더욱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치약이 요구된다.
한편, 세정제인 비누는 고급 지방산의 수용성 알칼리 금속염으로서, 유지를 알칼리제로 비누화하여 제조된 것이다. 비누의 알칼리 금속염은 보통 나트륨과 칼륨이나, 암모니아 또는 에탄올아민과 같은 유기염기들도 물에 임의의 비율로 용해되므로 사용될 수 있다. 비누에 사용되는 유지들은 종류에 따라 각각 특유한 물성을 가지므로, 그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여러 종류의 첨가제를 조합하여 다양한 효과를 얻도록 할 수 있다.
공개특허 제2004-83994호는 비누에 한약재를 첨가하여 피부 및 두피에 영양이 공급되도록 한 한방 비누를 제안한다. 또한, 공개특허 제2004-85993호는 보톡스 또는 아세틸 헥사펩타이드 중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주름 억제제 조성물을 통상의 비누에 30% 이하 첨가한 것에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비누들은 항균, 탈취 등의 기능성과 거리가 멀다.
다른 예로써, 공개특허 제2004-21067호는 키토산을 함유한 비누를 제안한다.
그러나 비누에 키토산이 첨가되면 이 키토산이 세포 간 지질성분을 제거하고 세포막의 인지질을 파괴하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또한, 대부분의 비누는 알칼리성이 높아 피부의 각질층 장벽을 손상하고 지방막과 세포 간 지질을 용해하여 피부의 건성화를 촉진하는데, 이러한 비누에 고분자 키토산이 첨가되면 비누의 알칼리 작용에 의해 석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렇듯 종래의 비누는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조성물에 여러 첨가물이 부가되었는데, 그 목적에 따라 여러 기능성이 확보되긴 하나 이에 따라 부수적으로 예기치 못한 문제점들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인간의 모발은 신진대사에 의해 분비되는 땀과 피지 등에 의해 오염되고 외양이 변화된다. 모발의 오염은 지저분한 느낌과 매력적이지 못한 외모를 주게 되며, 이러한 모발의 오염은 빈번하고 규칙적인 모발 세정을 필요로 한다. 샴푸(shampoo)는 이러한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수단으로서, 두피나 모발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두피의 혈행(血行)을 돕는다.
그러나 통상의 샴푸는 부작용도 보고되는데, 예컨대 두발 손상 등이 그것이다. 이는 헤어린스 또는 두발 영양제 등으로 해결될 수 있으나, 이를 위하여 별도의 세정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하다. 또한, 대부분의 두발 영양제 등은 수용성이므로 내수성이 좋지 못하고, 따라서 헹굼 시 물에 의해 쉽게 제거된다.
그리고 실리콘이 함유된 샴푸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 샴푸는 샴푸 매트릭스와의 혼화성이 저조하여 실리콘상을 안정하게 분산시키기가 매우 어렵고, 종종 모발에 부분적으로 과다하게 흡착될 수 있다. 이 문제점은 양이온 발포제가 함유된 컨디셔닝 샴푸(미국특허 제3849348호 등)에 의해 해결될 수 있으나, 이 샴푸 조성물은 그 이온성으로 인하여 혼화성이 저하되므로 제품이 불안정하며, 그 사용 함량에도 한계가 있어 만족할 만한 컨디셔닝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종래의 샴푸들은 모발 및 두피의 효과적인 세정에 초점을 두었는데, 이러한 측면에서 벗어나 기능성이 확보된 종래의 샴푸를 살펴보면, 공개특허 제2004-31407호는 탈모 방지를 위하여 샴푸 조성물에 당귀 뿌리 추출물 및 우엉 뿌리 추출물을 부가하였다. 또한, 등록특허 제340086호는 비듬 방지를 위하여 샴푸 조성물에 가용성인 클림바졸, 옥토피로스 및 케토코나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항균제의 수중유적형 유화물을 첨가한 것에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샴푸들은 대부분 두피/두발 손상 방지, 비듬 방지 및 탈모 방지만의 기능성이 부가되어 광의적으로 견지하면 샴푸의 종류가 제한적이다. 즉, 항균, 탈취 또는 피부 미용 등의 기능성이 부가된 샴푸의 예가 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주지되지 아니하여 전혀 새롭거나, 또는 종래의 기술로는 해결하기 곤란하거나 불가능하였던 문제점들을 감안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전혀 새롭거나 또는 공지/공용의 기술에 비하여 보다 적은 구성으로도 여러 다양한 기능성을 갖고 현저한 효과를 얻는 인체 세정제용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함유하는 세정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 효과는 예컨대 항균, 혈액순환/신진대사 촉진 등이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정제가 획득하고자 하는 기능성은 그 조성물에 포함되는 조성에 의해 얻어지는 것으로, 이하 서술되는 내용이 이를 뒷받침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 기술된 목적들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아래에 기재된 내용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기술적 특징은 인체 세정제용 조성물에 생광석 또는/및 전기석을 부가하였다는 점이다.
상기 생광석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15 내지 25중량%가 첨가된다.
선택적으로, 위 조성물에는 전기석이 부가될 수 있고, 이때 이 전기석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중량%가 부가된다.
본 발명의 위 세정제는 특히 치약, 비누(세제, 바디클렌저) 및/또는 샴푸이다.
일 예로, 본 발명은 위 세정제가 치약으로써 발포제 10중량%; 습윤제 9중량%; 미백제 10중량%; 불소화합물 5중량%; 농루예방제 10중량%; 및 구취예방제 10중량%;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위 발포제는 라우릴황산나트륨이고, 위 습윤제는 프로필렌 글리콜이고, 위 미백제는 산화티탄이고, 위 불소제는 불화 나트륨이고, 위 살균제는 프로콜리스 및 키토산 혼합물이고, 위 농루예방제는 아미노카프론산이고, 위 구취예방제는 민트향 및 사이클로텍스트린 혼합물 또는/및 자몽 추출물이다.
일 예로, 본 발명은 위 조성물이 비누로써 위 비누를 이루는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매틸클로로이소 15중량%; 매틸이소치아졸리놀 녹색 3호 10중량%; 매틸이소치아졸리놀 황색 5호 10중량%; 파라옥시안 황산에스텔 15중량%; 및 당귀 및 천궁 혼합물 총 1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발명은 이 조성에 생광석 15중량%; 가 포함된 것이 특징이다.
이 비누는 세제 또는 바디클렌저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일 예로, 본 발명은 위 조성물은 샴푸로써 이 샴푸를 이루는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소듐살리실레이트 15중량%; 매틸파라벤 15중량%; 소듐하이드록사이드 15중량%; 및 메틸클로로이소 치아졸리놀 1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발명은 이 조성에 생광석 25중량%;가 포함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위 조성물에 물, 결합제 및 향료를 포함하는 기타 첨가물 총 5 내지 15중량%가 더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 서술된 조성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세정제를 포함한다. 이 세정제는 위 선택된 조성물에 따라 치약, 비누 또는 샴푸로 정의된다.
그리고 위 조성물을 이루는 각 성분들의 함량은 바람직한 최선의 함량일 뿐이나, 위 성분은 생광석 또는/및 전기석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는 주지/공지된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본 발명의 세정제용 조성물은 생광석과 전기석(토르말린)을 포함하는 것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생광석(生光石, bio light stone)은 상온에서 광(光)을 방출하는 유일무이한 광물질이다.
참고도 1은 이 생광석의 원적외선 방출을 검사한 실험 결과(일본 원적외선응용연구회 보고서 NO. 98153)를 나타낸 것이다.
<참고도 1>
Figure 112005013351170-PAT00001
도시된 바와 같이 위 생광석은 25℃에서 8 ∼ 12㎛의 원적외선을 방출한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원적외선은 유기화합물 분자에 대한 공진 및 공명작용이 강하여 인체의 모세혈관을 확장한다. 따라서 인체의 혈액순환과 세포조직 생성 에 유익하다. 그리고 원적외선은 2,000회/min 정도로 세포를 미세하게 교란함으로써 세포조직을 활성화하고 신진대사를 촉진하며 중금속을 제거한다.
생광석이 갖는 효과는 매우 다양하나, 일부 실험 결과로써 뒷받침되는 효과를 더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표 1은 생광석 원석의 탈취 시험 결과(KICM-FIR-1004 시험,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를 나타낸다. 여기서, 각각 이 시험의 시험가스는 암모니아이고, 가스농도측정은 가스검지관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표 2에 있어서, Blank농도는 시료를 넣지 않은 상태에서의 가스 측정농도이다.
시험항목 경과시간(분) Blank농도(ppm) 시료농도(ppm) 탈취율(%)
탈취시험 초기 500 500 0
30 490 130 73
60 480 70 85
90 460 60 87
120 440 50 89
위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생광석으로부터 대략 90% 이상의 탈취효과가 발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2는 생광석 원석의 항곰팡이 시험 결과(ASTM G-21 시험,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를 보인다. 여기서, 이 실험의 곰팡이 균주는 Aspergillus niger ATCC 9642, Penicillium pinophilum ATCC 11797 및 Chaetonium globosum ATCC 6205가 사용되었다.
시험항목 배양시험의 기간
항곰팡이 시험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위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생광석 시료에서는 균의 발생 징후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전체 100중량%에서 생광석 3중량%는 일반균, 대장균을 99.9% 멸균한다. 또한, 레지오넬라균은 최대 58%까지 멸균되는데, 생광석 함유량을 10중량%로 높이면 레지오넬라균은 24시간 내에 완전 멸균된다.
표 3은 생광석 소성 분말의 항곰팡이 시험 결과(한국화학시험연구원)를 나타낸다. 여기서, 이 실험의 시험 균주는 Escherichia coli ATCC 25922, 및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가 사용되었으며, 생광석 소성 분말 시료를 10%(w/v)로 제조하여 시험하였다.
시험 균주 및 시료 명 단위 초기농도 24시간 후
E. coli 대장균 생광석 소성 분말 CFU/㎖ 6.2×105 41(99.9%)
대조 CFU/㎖ 6.2×105 6.2×105(12.9%)
S. aureus 일반세균 생광석 소성 분말 CFU/㎖ 5.2×105 52(99.9%)
대조 CFU/㎖ 5.2×105 4.2×105(19.2%)
위 표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생광석 시료에서 상대적으로 대장균 및 일반세균이 99.9% 멸균되었다.
위 상술된 탈취, 항균 효과 외에도, 생광석의 효과는 다음을 포함한다.
1. 보온
2. 단열
3. 혈액 순환
4. 신진 대사.
5. 피부 미용
6. 성장 촉진
7. 면역 기능 강화
8. 피로 회복
9. 스트레스 감소
10. 혈당 저하
11. 체질 개선
12. 혈압 보존 등.
한편, 전기석(電氣石, tourmaline)은 마찰에 의해서 전기가 발생하는 다색(多色)의 광석이다. 이 전기석은 가열될 경우(대략 100℃) 양 단부가 각각 양, 음으로 대전(帶電)하여 0.06A 정도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전기석은 이 초전기성(pyroelectricity)으로부터 공기 중의 분진을 흡착한다. 즉, 전기석은 초전기성으로 인하여 주거공간의 미세먼지를 흡착하는 자력을 갖는다. 페포먼지 내에는 인체의 폐(lung) 내에서 산화반응을 일으켜 세포의 괴사 현상을 유발하는 전이금속물질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페포먼지들이 전기석에 흡착됨으로써 주거공간의 공기가 정화될 수 있다.
또한, 전기석은 공기 1㏄당 수천(thousands) 개의 음이온을 방출하며, 가압될 경우 미소한 압전기성(piezoelectricity)을 나타내기도 한다.
위 생광석과 전기석은 확인되지 않은 다른 유익한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히 치약, 비누 및/또는 샴푸 등의 세정제를 이루는 조성물이다.
위 치약은 통상 기제로써 기계적(마찰) 세정을 위하여 탄산칼슘, 인산칼슘, 황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등이 함유되고, 연하제로써 침강탄산칼슘(CaCO3), 이산화규소(SiO2)가 함유된다. 이들은 공히 잇몸에 악영향을 주지 아니하도록 경도가 32 이하이고 입자의 지름은 1 내지 20㎛의 작은 것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그러하지 아니한다면 치아를 손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기타 첨가물로써 이 기제 외에 청정제, 향료, 색소, 살균/소독제, 치석용해제, 중화제 등이 미소량 함유된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광의적으로는 생광석, 발포제, 습윤제, 결합제, 기능제(미백, 농루예방)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치약은 생광석, 라우릴황산나트륨, 프로필렌글리콜, 알킨산나트륨, 산화티탄, 불화나트륨, 프로콜리스 및 키토산 혼합물, 아미노카프론산, 민트향 및 사이클로텍스트린 혼합물 및 자몽 추출물을 함유한다.
생광석은 액상 분말로써 첨가되는데, 이 생광석은 치약에 첨가될 시 위 설명한 바와 같은 효능을 그대로 발현한다. 즉, 항균, 탈취 등의 효능을 보여 치약의 기능성을 높인다. 예컨대, 충치로 인해 심한 통증을 느끼는 환자가 양치로써 고통을 해소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의 생광석이 함유된 치약은 충치로 인한 통증을 현저히 낮춘다. 이는 위 설명한 생광석의 항균효과에 의해 세균이 단시간 내에 박멸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또한, 종래의 치약이 연마, 항균, 구취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각 필요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음에 비하여, 생광석의 첨가만으로 이러한 종래의 치약에 비하여 동일한 효과 또는 그 이상의 효과(연마, 항균, 구취해결)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치약의 발포제(계면활성제)는 세정 발포에 의해 플라그 제거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첨가되는데, 이 발포제는 계면활성 작용으로 양치시 세정 효과를 높인다. 이 발포제로써 가장 많이 알려진 라우릴황산나트륨이 이용될 수 있다. 라우릴황산나트륨은 구강 청결효과가 있어 치약 외에도 일부 구강청결제에 첨가되는 성분이다. 그러나 알려진 바에 의하면 이 라우릴황산나트륨은 구강 세포조직에 미세한 손상을 유발하여 구강 궤양으로 이르게 한다는 사실이 보고되었으므로, 선택적으로 첨가되어야 하며 그 함유량 조절에 주의를 요한다.
습윤제는 치약의 크림(paste)상태를 유지하고 공기와 접촉하여 고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된다. 습윤제로써 글리세린, 솔비톨,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습윤제로써 프로필렌글리콜이 첨가된다.
치아 미백을 위한 위 미백제로는 산화티탄, 하이드로시아파타이트 과산화물, 폴리비닐피롤리돈이 이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미백제로써 산화티탄이 함유된다.
위 불소화합물은 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주석 또는 일불소인산나트륨이 이용된다. 이 불소화합물들의 불소 이온이 부식성 산에 의해 치아 범랑질이 융해되는 것을 방지한다.
위 농루예방제는 구강점막을 보호하여 잇몸 염증 방지, 발적 예방, 치은염/치주염 등의 예방을 위하여 첨가된다. 농루예방제로써, 알란토인, 히녹치올, 라이소자임, 염화나트륨 또는 아미노카프론산 등이 이용된다. 바람직하게는 항출혈과 항염증 효능이 높고 지혈작용이 우수한 아미노카프론산이 첨가된다.
위 구취예방제는 청량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부가된다. 바람직하게는 구취예방제로써 사이클로덱스트린, 자몽 추출물, 차 추출물 허브류, 클로르헥시딘류 동클로로필린나트륨, 레시친 또는 키토산 중 선택된 1종과, 향료로써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중 선택된 1종의 혼합물로써 첨가된다.
위 농루예방제는 선택적으로 부가되며, 바람직하게는 이 농루예방제로써 알란토인 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 아미노카프론산, 초산토코페롤, 염화나트륨 또는 염산 피리독신이 사용된다.
위 치약에 포함되는 각각의 성분 함량은 사용 목적, 사용자의 기호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 성분들을 포함하는 치약에 특징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이 치약 조성물에 생광석이 포함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생광석이 함유된 모든 치약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부가적으로 전기석이 함유될 수 있는데, 전기석은 유색(청색) 성분이므로 최종 제품의 색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는 일부 사용자에게 오히려 거부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선택적으로 첨가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세정제는 비누 및/또는 샴푸이다. 비누는 통상의 세안 비누, 목욕비누 등을 포함하며, 샴푸는 통상의 샴푸, 보디 샴푸 등을 포함한다.
비누는 인간 피부와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저자극성 화학제품으로서, 지방을 분해하고 피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며 피부에 영양을 공급한다. 인간의 피부는 여드름 피부, 민감성 피부, 복합성 피부, 지성 피부, 건성 피부, 중성 피부 등으로 매우 다양하므로, 비누 성분 또한 사용자의 취향, 기호에 따라 다양하다.
기본적으로 비누의 원료유지는 우지, 야자유, 팜유 등을 기제로 하고, 이 외에 경화유, 각종 지방산 등이 사용된다. 비누는 용해성, 기포성, 세척력, 부패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제조되는데, 이들의 성질은 기제를 형성하는 지방산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기제가 저급 지방산 및 불포화 지방산인 경우가 습기를 흡수하기 쉽다.
본 발명의 비누를 이루는 조성물은 메틸클로로이소 치아 졸리놀, 메틸이소치아졸리놀, 씨드릭에시드(비타민 C), 소듐살리실레이트, 메틸파라벤, 소듐하이드록사이드, 아연 피리치온, 파라옥신안식 에스텔 등이다. 부가적으로, 당귀, 천궁, 토코페롤, 녹차, 오이, 인삼 등이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비누의 성분들은 거품과 향료가 대부분이며, 샴푸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 조성은 소듐살리실레이트, 매틸파라벤, 소듐하이드록사이드, 메틸클로로이소 치아졸리놀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특징은 이러한 통상의 비누, 샴푸의 조성에 있지 않고, 이 세정제로서의 비누, 샴푸의 조성물에 생광석이 첨가됨에 있다. 즉, 비누, 샴푸의 조성은 매우 다양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생광석이 포함된 비누, 샴푸라면 이 모두를 포함한다.
예컨대, 비누에 생광석이 첨가되면 목욕수의 살균 소독, 피부질환 치료/예방의 효과를 얻는다. 샴푸는 두피의 가려움증 제거 및 비듬 제거에 있어서 효과가 탁월하며, 목욕용 샴푸의 경우 여드름, 각종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등의 각종 피부질환 예방의 효과를 얻는다.
이러한 세정제에 생광석을 첨가하기 위한 공정은 비교적 간단하다. 즉, 생광석을 미립 분말화하여 액상 분말로 첨가하고 교반하는 것이다. 비누의 제조공정은 비누 소지 공정 및 소지 가공 공정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위 비누 소지 공정은 유지 또는 지방산에서 비누를 제조하는 공정이며, 소지 가공 공정은 이를 제품화하는 공정이다. 생광석 액상 분말은 이 비누 소지 공정중 비누의 기제에 물리적으로 혼합, 교반함으로써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샴푸의 경우는, 최종적으로 제품화되기 전의 샴푸 원액에 생광석 액상 분말을 혼합하고 교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선택적으로, 각각 전기석이 2 내지 5 중량%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전기석은 청색 계열의 유색이므로 최종 제품의 색상에 영향을 미치므로 그 함량을 고려해야 한다.
한편, 피부염은 피부 내의 피지선에서 피부의 표면에 이르는 피지관의 과각하, 호르몬의 영향, 세균 감염 등에 의해 유발된다. 피부염의 치료는 그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살균력이 우수한 세정제들은 상대적으로 인체에 유해한 단점이 있고, 자연 살균제는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이에 비하면 생광석이 첨가된 비누, 샴푸 등이 목욕수의 살균작용, 세균 박멸 등의 피부 질환에 있어서 현격한 효과를 보인다. 또한, 생광석을 얼굴 마사지용 화장품(크림)에 부가하면 미백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위 조성물들은 현저한 탈취능, 항균능, 원적외선/음이온 방사능을 보이는데, 이러한 효과는 생광석과 전기석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이다. 즉, 위 생광석과 전기석 등은 조성물에 함유된 후에도 각각 본래의 성질을 그대로 발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세정제는 위 서술된 효과 외에도 생광석과 전기석이 갖는 상기 혈액 순환 증진, 신진 대사 촉진, 미백, 면역 기능 강화 등의 효과를 모두 발현한다.
본 발명은 인체를 세정하는 치약, 비누, 샴푸, 화장품 등의 세정제를 이루는 조성물에 생광석을 첨가한다는 점에 기술적 사상이 있다. 이러한 조성물과, 이 조성물로써 이루어지는 위 세정제들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위 치약, 비누, 샴푸 등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더욱 광범위하게 응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의 모든 실시 예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세정제에 비하여 저비용으로 매우 다양한 높은 기능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인체 세정용 세정제가 얻을 수 없었던 현저한 항균, 탈취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외에도 상술된 생광석과 전기석으로부터 얻어지는 미백 효과, 질환 예방 등의 효과는 세정제 제품의 품질을 높이고 사용자로 하여금 저비용으로 높은 만족 감을 얻게 한다.

Claims (9)

  1. 인체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제용 조성물에 있어서,
    생광석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총 중량% 대비 15 내지 25중량%의 생광석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전기석이 더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총 중량% 대비 2 내지 5중량%의 전기석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가 치약, 비누 및/또는 샴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가 치약으로써,
    발포제 10중량%;
    습윤제 9중량%;
    미백제 10중량%;
    불소화합물 5중량%;
    농루예방제 10중량%; 및
    구취예방제 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가 비누로써,
    매틸클로로이소 15중량%;
    매틸이소치아졸리놀 녹색 3호 10중량%;
    매틸이소치아졸리놀 황색 5호 10중량%;
    파라옥시안 황산에스텔 15중량%; 및
    당귀 및 천궁 혼합물 총 15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가 샴푸로써,
    소듐살리실레이트 15중량%;
    매틸파라벤 15중량%;
    소듐하이드록사이드 15중량%; 및
    메틸클로로이소 치아졸리놀 15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KR1020050021098A 2005-03-14 2005-03-14 인체 세정제용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KR200600997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098A KR20060099711A (ko) 2005-03-14 2005-03-14 인체 세정제용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098A KR20060099711A (ko) 2005-03-14 2005-03-14 인체 세정제용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711A true KR20060099711A (ko) 2006-09-20

Family

ID=37630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098A KR20060099711A (ko) 2005-03-14 2005-03-14 인체 세정제용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97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722A (ko) * 2014-09-24 2016-04-01 (주)차모스코스메틱 생광석을 먹인 달팽이 점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722A (ko) * 2014-09-24 2016-04-01 (주)차모스코스메틱 생광석을 먹인 달팽이 점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320846B2 (en) Vehicles for oral care with Magnolia Bark Extract
US20220280402A1 (en) Aliphatic anionic compounds and oxidative compounds with improved stability and efficacy for use i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JP2010528098A (ja) ジアルキル・スルホスクシナート及びカルバニリド抗菌剤を含んでなる抗菌製剤
US11406577B2 (en) Aliphatic anionic compounds and oxidative compounds with improved stability and efficacy for use i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11583481B2 (en) Dentifrice formulations and methods of oral care
KR20060099711A (ko) 인체 세정제용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BR112019011057A2 (pt) composição antimicrobiana, método de limpeza ou desinfecção de uma superfície e utilizações de uma composição
JP2010195706A (ja) 新規殺菌・抗カビ・保湿性組成物
KR20140128500A (ko) 미백치약의 효과를 높이는 혼합물 조성물 개발.
EP3672408B1 (en)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WO2000044338A1 (en) Oral hygiene preparations; associated methods and kit
TWI392513B (zh) 含查酮的口腔保健調配物之變色
JP7121400B2 (ja) 化粧品洗浄剤製品およびその使用
JP2001302495A (ja) 皮膚洗浄剤および皮膚洗浄用品
RU2799443C2 (ru) Средство для очищения и ухода за волосами и кожей волосистой части головы
RU2455975C2 (ru) Зубная паста
RU2803308C1 (ru) Способ гигиен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лицевых протезов
CN111050553B (zh) 抗微生物组合物
FI71223B (fi) Nya kosmetiska kompositioner innehaollande prenylamin och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dessa
JP2001106622A (ja) コーラルサンドおよび海水(表層水又は深層水)を使用した化粧品類
JP2000143440A (ja) 巨大ひも状ミセルからなる殺菌剤
KR101176527B1 (ko) 세정 및 마사지가 가능한 구형 화장료 조성물
KR20220090292A (ko) 인산염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제거 조성물
Tai et al. Application of personal care detergent formulations
RU2423100C2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зубами и полостью р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