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8500A - 미백치약의 효과를 높이는 혼합물 조성물 개발. - Google Patents

미백치약의 효과를 높이는 혼합물 조성물 개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8500A
KR20140128500A KR20130046328A KR20130046328A KR20140128500A KR 20140128500 A KR20140128500 A KR 20140128500A KR 20130046328 A KR20130046328 A KR 20130046328A KR 20130046328 A KR20130046328 A KR 20130046328A KR 20140128500 A KR20140128500 A KR 20140128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whitening
tooth
teeth
organic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6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형
Original Assignee
이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형 filed Critical 이우형
Priority to KR20130046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8500A/ko
Publication of KR20140128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50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61K8/21Fluorid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산화제인 H2O2 가 이온화되어 만들어진 자유기들이 치아의 표면 성분인 에나멜질과 내부성분인 상아질의 유기질에 침투하여 치아 변색의 원인인 유기물질과 결합하여 색소 물질을 산화시키고, 유색소를 무색소인 작은 입자로 파괴시키며 표백이 일어난다. 또한, 치약에 과산화수소를 첨가함으로써 산소 방울을 만들어 구강 내부와 치아 표면의 살균을 도울 수 있다. 실험 결과 미백효과를 보였던 아모레 퍼시픽의 제품만이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산소를 사용한 방법이 가장 적절한 결과임을 알아내었다.

Description

미백치약의 효과를 높이는 혼합물 조성물 개발.{The Development of Dental Mixture For Tooth Whitening}
치아 미백, 양치 효과, 치약 성분.
최근에 이 건강을 위해서 플루오라이드( Fluoride ion, F-)와 같은 충치방지 활성제의 전달을 위한 치약 제품과 같은 양치질 보조제; 미백제 또는 항균 활성제를 함유하는 양치 액; 및 의치 또는 기타 인공 치과보철물 상에 축적된 플라크 및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한 기간 동안 인공 치아가 침액될 것을 요구하는 발포성 의치 세정 정제. 상기와 같은 치과 제품은 소비자에게 화장 및/또는 치료 효능을 모두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미백 효과 및/또는 치료 효능을 구강에 전달하는 조성물에 혼입하여서 치아 상에 보호 코팅을 제공할 뿐 산도를 알칼리로 유지하여 치아의 산에 의한 침식을 막고 조성물에 포함된 불소이온으로 치아를 코팅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첨가물로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들이 있다.
- 중조(탄산수소나트륨)
화학식은 NaHCO3. 무색의 결정성(結晶性) 분말로, 비중 2.20이다. 물에 녹일 경우 NaOH와 물과 이산화탄소로 변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치약에 거품이 나게 해준다. NaOH는 수산화나트륨으로써 연마제의 역할을 해준다. 강염기의 물질이며, 이 염기성이 치태와 치면에 있는 치석을 녹이고 말 그대로 이를 연마해주는 역할을 해준다. 그대로 사용할 시 위험할 수 있으나 구연산으로 중화시키기 때문에 pH는 7.5를 유지하며 인체에 무해하다.
많은 비누나 세제 등이 탄산수소나트륨을 쓴다. 하지만 치약에서는 잘 사용하지는 않는다. 탄산수소나트륨은 베이킹소다의 주재료라서 평소에 구입하기도 쉽고 인체에 무해하다.
- 구연산(시트르산)
화학식은 C6H8O7. 우리가 자주 먹는 귤이나 오렌지, 한라봉 같은 과일의 신맛을 내는 물질로써 산성 물질이다. 탄산수소나트륨을 중화시키기 위해 첨가했다. 구연산은 소독제의 역할을 하고, 소량 섭취 시 몸에도 좋은 재료이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사람들은 구연산을 한 컵씩 물에 타서 마실 정도로 건강식품으로 유명했었으나, 과다섭취하면 칼슘의 흡수를 방해하고 약간의 부작용이 있음이 알려진 후부터 식용구연산을 공수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하지만 부작용이 일어나는 양은 25~30g. 부작용 또한 혈액이 산성화된다는 것과 위궤양이나 위산과다증이 있는 사람들에게 위에 강한 자극이 될 수 있다는 것인데, 치약을 통해 섭취하는 양은 극미량이며 부작용은 한 번에 섭취할 시에만 생기기 때문에 문제없다.
- 박하가루
박하나무 잎을 직접 갈아서 만든 박하가루이다. 한약재로 많이 쓰고 박하는 식용으로 워낙 많이 쓰다보니까 사람들도 잘 안다. 일단 박하는 머리를 맑게 해주고 특유의 청량감이 있다. 그래서 이를 닦고 난 후에 시원함을 느낄 수 있다. 감미제의 역할 겸 착향제의 역할로 첨가했다.
라. 자일리톨 뒤에 일반치약과의 비교에서 나오겠지만 자일리톨은 구강건강에 아주 큰 도움을 주는 재료이다. 충치의 원인은 우식원세균인 ‘뮤탄스균’이다. 뮤탄스균은 동물에게는 없고 인간에게만 있는 균인데, 입안에서 당을 산으로 바꾸어 이의 표면을 녹이는 과정을 통해 충치를 일으킨다. 자일리톨은 천연재료 중 유일하게 이 뮤탄스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개체수를 줄일 수 있는 특징을 가졌다. 핀란드가 원산지이며 껌이나 치약에 널리 쓰이고 있다. 천연재료만을 쓰는 이 치약에는 꼭 필요한 재료였다. 맛과 향도 좋은 편이라 감미제 겸 착향제의 역할도 한다.
- 가변레시피에 쓰이는 허브는 3종류를 쓴다. 로즈마리, 카모마일, 자스민. 3가지 모두 구취제거와 청량감에 탁월한 허브들이며, 각기 다른 장점을 더 갖고 있다.
로즈마리는 피부미용에 도움을 주며, 우울증을 해소해주는 특징도 있다. 향이 강하지 않은 편이라 허브를 싫어하는 사람들도 쓸 수 있을 정도이다. 또 특유의 향은 머리를 맑게 해주기도 한다. 카모마일은 치료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낸다. 특히 어린이치료나 소화불량치료에 좋다. 향이 강한 편이라 조금 거부감이 들 수 있으나 가변레시피는 소비자가 원하는 재료를 원하는 양만큼 넣게 하자는 것이기 때문에 양을 조절하면 향은 문제가되지 않는다. 단, 카모마일만 유일하게 임산부는 쓰면 안 되는 허브이다.
자스민은 녹차와 향이 아주 유사하다. 은은한 향이 편안함을 느끼게 해주고, 실제로 심신을 안정시키고 두통을 없애주는 특징이 있다.3개의 허브 모두 식용허브를 차를 끓일 때 쓰라고 팔던 것을 분쇄기로 갈아서 만들었다
본 발명은 양치를 할 때 사용하는 치약의 종류를 선별함으로써 구치제거 및 미백효과에 도움이 되는 다기능성 치과용 치약 보조의 조성을 만들고자 하였다. 식사 후 음식물이 구강 내에서 분해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도 증가에 의한 치아손상을 막고 치주질환의 예방 및 개전효과를 높일 수 있는 여러 가지 천연조성물을 장기간 사용하여도 인체에 안전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이러한 항균효과와 완충효과를 유지 시키는 치주질환예방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한 치약 보조 조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미백 보조제는 치약이나 양치액을 대신하여 인체유해성이나 통증에 대한 우려 없이 손쉽게 미백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미백을 위한 효과적인 미백 원리
* 산소(O2)기 의 사용 원리 : 산화제인 H2O2 가 이온화되어 만들어진 자유기들이 치아의 표면 성분인 에나멜질과 내부성분인 상아질의 유기질에 침투하여 치아 변색의 원인인 유기물질과 결합하여 색소 물질을 산화시키고, 유색소를 무색소인 작은 입자로 파괴시키며 표백이 일어난다. 또한, 치약에 과산화수소를 첨가함으로써 산소 방울을 만들어 구강 내부와 치아 표면의 살균을 도울 수 있다. 실험 결과 미백효과를 보였던 아모레 퍼시픽의 제품만이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산소를 사용한 방법이 가장 적절한 결과임을 알아내었다. 그러므로 입자가 작은 산소가 살균작용에 뛰어난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과 원리
주된 미백 원리
연마제 원리 이용
1) 원리 - 치아에 부착된 치구, 치석을 제거하며 치아의 표면에 본래의 광택을 주는 작용.
2) 종류 - 인산칼슘, 탄산칼슘, 무수규산, 수산화알루미늄 등 A. CaCO3 (Precipitated Calcium Cabonate: 입자의 직경이 1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것이 90%이다
B. 이산화규소 (SiO2-nH2O): 입자의 크기가 8마이크로미터 이하의 것은 점증효과가 있고 보통 20마이크로미터의 것은 연마제로 사용한다.
C.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실리카)
산화제인 H2O2가 이온화되어 만들어진 자유기들이 치아의 표면성분인 에나멜질과 내부성분인 상아질의 유기질에 침투하여 치아를 변색시키는 원인인 유기물질과 결합하여 색소물질을 산화시키고 유색소를 무색소인 작은 입자로 파괴시키며 표백이 일어난다. 치약에 과산화수소를 첨가함으로써 산소방울을 만들어 치아의 살균을 도울 수 있다. 미백효과를 보였던 아모레 퍼시픽만이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것으로 보아 산소를 사용하는 방법이 옳다는 것을 알아내어 입자가 작은 산소가 살균작용이 더 뛰어남이 밝혀졌다
미백치약이 일반 치약과 다른 효과를 가지고 있는가? 에 대한 의문을 해결하고 미백 치약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을 설계 해 보았다.
* 실험 절차 1] 가상 치아의 대상 및 검증 치약의 선정
A 치약
치아의 미백 실험을 위해 치아의 겉 표면과 유사한 달걀의 껍질을 이용하여 탄산칼슘의 반응을 알아 봄.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미백 치약과 일반 치약을 선정 함.
(선정 기준)
1) 예비 조사를 통한 일반 치약의 성분을 기초로 하여, 미백제품으로 판매되는 기능성 치약들의 성분을 조사함.
2) 기능성 미백성분 이외의 다른 기본 구성성분은 동일함을 확인한 후 기본적인 성분이외에 추가로 첨가 된 성분이 미백 효과를 내는 특수 성분이라고 가정하고 추가 된 성분이 서로 다른 제품들을 분류하여 각각 A군, B군으로 나눔.
3) A군, B군 중 한 가지 제품 씩 골라 실험대상인 제품A, 제품B로 선정 : 균일한 입자의 연마제인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실리카)를 사용하여 자극 없이 플라그의 침착을 예방하고, 치아를 건강하고 희게 한다
4) 불소 : 치아 우식을 예방하고 치아의 미백을 위해 첨가 한다
단, 과도한 사용은 백반증을 일으킨다.
B치약
H2O2기 사용
1) 원리 : 산화제인 H2O2가 이온화되어 만들어진 자유기(free radical)들이 치아의 표면성분인 에나멜질과 내부성분인 상아질의 유기질에 침투하여 치아를 변색시키는 원인 인 유기물질과 결합하여 색소물질을 산화시키고 유색소를 무색소인 작은 입자로 파괴시키며 표백이 일어난다.
2) 제품 설명 : 제품을 사용하는 동안 제품에 함유 된 미백 성분(과산화수소수)에 의해 미세한 산소방울이 생긴다. 산소방울이 치아 표면의 작은 구멍과 틈새 및 치아의 내부까지 침투하여 얼룩과 각종 오염을 깨끗이 제거한다. 또한 초미립자인 나노 입자 크기의 미세입자가 들어 있어서, 동일한 칫솔질로도 기존의 치약보다 치아부식을 유도하는 오염물을 신속하고 꼼꼼하게 클린징하여 제거한다. 실험에 사용 된 치약들을 선별하여 미백효과 관찰
1단계 - 달걀 껍질 변색
변색을 일으키는 물질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주로 단백질이 원인 물질이며, 커피, 홍차, 흡연, 항생제 남용 등의 원인 중 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커피를 변색제로 선정.
커피를 이용하여 달걀의 껍질을 변색시킴.
1) 1.5 L의 물에 가루커피 30g을 완전히 녹인 후, 가열 도구에 달걀이 완전히 잠기도록 커피 용액을 진하게 녹여서 넣는다.
2) 달걀에 커피물이 잘 착색되게 하기 위해서 약한 불에서 3시간 끓인 후 충분히 식힌다.
3) 균일하게 착색 된 달걀 3개를 선별하여 실험에 사용한다.
초기 색상을 색상표와 비교하여 단계를 표시해 둔다
2단계 - 변색된 달걀껍질의 치약의 종류에 미백효과의 비교
1) 실험에 사용 될 여러 치약들을 각각 전동 칫솔에 동일한 두께로 펴 바른 다음 소량의 물을 적신 후 3분 동안 (제품의 사용 방법에 의한) 전동칫솔을 사용하여 동일면적의 변색 된 달걀껍질에 칫솔질을 한다. ( 이 때 균일한 힘을 가하기 위해 전동 칫솔을 사용하여 동일한 실험자가 정해 진 횟수만큼을 반복하여 실험함.)
동일한 실험자가 아닐 경우 실험 결과가 달라질 수 있고 결과에 유효하게 작용할 수 있는 영향요인들을 통제하여 최소한의 오차를 줄이기 위함.
2) 칫솔질이 끝난 후에 평소와 같이 3회의 헹굼 과정(rinsing)후 수건으로 닦아 각 치약들의 미백효과를 비교 관찰한다.
3) A4용지와 색상표를 이용하여 달걀껍질의 탈색 정도에 따라 각 치약들의
미백효과를 비교해 본다.
4) 미백효과가 뛰어난 치약에는 어떤 성분들이 많이 들어 있는지 알아본 결과 과산화수소가 함유된 치약에서 가장 우수한 미백효과를 보였다

Claims (1)

  1. 기본 치약베이스에 수용성 부분에 해당하는 원료로 스테비아 천연추출물, 박하향(Menthol ),분체부분에 해당하는 폴리 메타 포스페이트(Polymeta Phosphate, Maddrell's Salt)0.5-2%, 플루오화 나트륨(NaF)0.01%, 0.5%, 올리브유(Olive Oil)2%, 베이킹소다(NaHCO3)와 탄산나트륨(Na2CO3) 혼합상(1:1비율)3-5%, 탄산칼륨(CaCO3)2%, 과산화수소(H2O2)5%를 조성하여 치약을 제조 혼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기능 및 알칼리성 유지를 도와주는 미백 치약 제조방법에 한함.
KR20130046328A 2013-04-25 2013-04-25 미백치약의 효과를 높이는 혼합물 조성물 개발. KR201401285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6328A KR20140128500A (ko) 2013-04-25 2013-04-25 미백치약의 효과를 높이는 혼합물 조성물 개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6328A KR20140128500A (ko) 2013-04-25 2013-04-25 미백치약의 효과를 높이는 혼합물 조성물 개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500A true KR20140128500A (ko) 2014-11-06

Family

ID=52454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6328A KR20140128500A (ko) 2013-04-25 2013-04-25 미백치약의 효과를 높이는 혼합물 조성물 개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85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18708A4 (en) * 2014-11-14 2018-03-28 Colgate-Palmolive Company Methods for evaluating the stain removal efficacy of dentifrices
KR102638091B1 (ko) 2023-09-05 2024-02-21 주식회사 유진커머스 미백기능을 갖는 치약조성물
KR20240030235A (ko) 2022-08-30 2024-03-07 (주)에이치투바이오헬스케어 하이드로 수소 치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18708A4 (en) * 2014-11-14 2018-03-28 Colgate-Palmolive Company Methods for evaluating the stain removal efficacy of dentifrices
US10543385B2 (en) 2014-11-14 2020-01-28 Colgate-Palmolive Company Methods for evaluating the stain removal efficacy of dentifrices
KR20240030235A (ko) 2022-08-30 2024-03-07 (주)에이치투바이오헬스케어 하이드로 수소 치약
KR102638091B1 (ko) 2023-09-05 2024-02-21 주식회사 유진커머스 미백기능을 갖는 치약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uart The history of oral hygiene products: how far have we come in 6000 years
RU2392924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борьбы с неприятным запахом изо рта
US20080057007A1 (en) Oral hygiene products containing ascorbic acid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60210488A1 (en) Teeth whitening candy with tartar removal and breath freshening properties
JP2009528352A (ja) 口腔衛生製品とその使用法
Iqbal et al. Role of different ingredients of tooth pastes and mouthwashes in oral health
US10456335B2 (en) Oral hygiene compositions and methods
EA033695B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KR20140128500A (ko) 미백치약의 효과를 높이는 혼합물 조성물 개발.
WO2020095099A1 (ru) Коc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ES2791422T3 (es) Producto dental
US20190001164A1 (en) Method for administering improved hygiene services and botanical and biomimetic treatment of dental and periodontal conditions
US20190008746A1 (en) Oral Hygiene Product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1857654B2 (en) NHAP containing oral composition
Sahu et al. Herbal Toothpaste: A Comprehensive Overview
WO2023277054A1 (ja) 口腔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94287B1 (ko) 은입자가 함유된 건강치약의 제조방법
Kirtley Chemistry of Toothpaste
RU2093137C1 (ru) Состав для отбеливания зубов
Ann From Oral Health to Perfect Smiles
KR20160010667A (ko) 탄산수소나트륨과 퀼라야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20230092592A (ko) 양치시간에 따라 탈색되는 치약 조성물
RU2423100C2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зубами и полостью рта
GB2566963A (en) Tooth whitening composition
Ladgaonkar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herbal toothpow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