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9162A - 진동모터용 단자 - Google Patents

진동모터용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9162A
KR20060099162A KR1020050020214A KR20050020214A KR20060099162A KR 20060099162 A KR20060099162 A KR 20060099162A KR 1020050020214 A KR1020050020214 A KR 1020050020214A KR 20050020214 A KR20050020214 A KR 20050020214A KR 20060099162 A KR20060099162 A KR 20060099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ibration motor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straigh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준
김동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레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레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레코
Priority to KR1020050020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9162A/ko
Publication of KR20060099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6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keeping the feeding or insertion slot of the card station clean of dirt, or to avoid feeding of foreign or unwanted objects into the slot
    • G06K13/0875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keeping the feeding or insertion slot of the card station clean of dirt, or to avoid feeding of foreign or unwanted objects into the slot the arrangement comprising a shutter for blocking at least part of the card insertion slot
    • G06K13/0881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keeping the feeding or insertion slot of the card station clean of dirt, or to avoid feeding of foreign or unwanted objects into the slot the arrangement comprising a shutter for blocking at least part of the card insertion slot the shutter arranged to open only if the record carrier has been authenticated to enter the insertion slo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진동모터용 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인 진동모터용 단자는 인쇄회로기판과 진동모터를 연결하여 구동전원을 전달하는 통전단자로 이루어진 진동모터용 단자에 있어서, 상기 통전단자는 일직선을 이루도록 연장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된 상태로 용접되어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진동모터, 인쇄회로기판, 통전단자

Description

진동모터용 단자{TERMINAL OF VIBRATE MOTOR}
도 1은 종래 구조로 이루어진 진동모터용 단자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인 진동모터용 단자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인 진동모터용 단자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인 진동모터용 단자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30 : 통전단자 11, 22 : 결합공
12, 23 : 납땜 100 : 진동모터
101 : 인쇄회로기판
본 발명은 진동모터용 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모터의 단자 결합구조를 견고하게 하여 그 장착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작동 중에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모터용 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동모터용 단자는 휴대용 단말기 등에 내장되어 진동 발생원으로 이용되는 진동모터에 장착되며, 상기 진동모터 구동제어용 인쇄회로기판과 접촉 하여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인가되는 소정의 구동전원을 상기 진동모터로 인가시키는 전기소자를 말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 구조를 갖는 진동모터(100)의 일측으로 돌출된 회전축(103)에는 추(104)가 일측으로 그 무게중심이 편심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진동모터(100)의 몸체부(100a) 타측면에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통전단자(102)가 브라켓(105)과 홀더(109)를 통해 고정된다.
상기 통전단자(102)는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탄성력을 갖으며 상기 통전단자(102)가 인쇄회로기판(101)의 일측면에 형성된 전기접점(101a)에 연결되어 인쇄회로기판(101)으로부터 소정의 구동전원을 인가받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구조의 진동모터(100)는 통전단자(102)가 비스듬하게 전방으로 연장된 상태를 이루므로 상기 통전단자(102)의 전단이 인쇄회로기판(101)에 접지하게 되어 진동모터(100)의 중량밸런스가 불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진동모터(100)가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기기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덮개에 의해 상기 진동모터(100)를 위로부터 눌러 넣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 구조의 진동모터(100)가 상기와 같이 불안정한 상태에서 장착작업이 행해지면, 상방으로부터의 가해지는 힘(화살표 참조)에 의해 상기 통전단자(102)가 절곡되면서 그 끝단부가 회전축(103)이 형성된 전방 방향인 진동모터(100)의 전방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인쇄회로기판(101) 상의 전기접점(101a)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단락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통전단자(102)의 탄성력에 의해 오랜 시간 사용 시 상기 진동모터(100)가 본래의 장착위치를 벗어나게 될 위험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모터의 단자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작동중 단락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진동모터용 단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진동모터용 단자는 인쇄회로기판과 진동모터를 연결하여 구동전원을 전달하는 통전단자로 이루어진 진동모터용 단자에 있어서, 상기 통전단자는 일직선을 이루도록 연장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된 상태로 용접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인 진동모터용 단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종래 구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인 진동모터용 단자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인 단자가 구비된 진동모터는 진동모터(100)의 일측으로 돌출된 회전축(103)에는 추(104)가 일측으로 그 무게중심이 편심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진동모터(100)의 몸체부(100a) 타측면에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통전단자(10)가 브라켓(105)과 홀더(109)를 통해 고정된다.
상기 통전단자(10)는 상기 몸체부(100a)의 타측면에 그 일측 끝단이 고정된 상태로 인쇄회로기판(101)을 향해 일직선을 이루도록 연장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101)에 형성된 결합공(11)에 그 끝단이 삽입된 상태로 용접 중에 하나인 납땜(12)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인 진동모터용 단자는 통전단자(10)의 끝단을 인쇄회로기판(101)에 납땜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작동중 이탈되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인 단자가 진동모터는 진동모터(100)의 일측으로 돌출된 회전축(103)에는 추(104)가 일측으로 그 무게중심이 편심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진동모터(100)의 몸체부(100a) 타측면에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통전단자(20)가 브라켓(105)과 홀더(109)를 통해 고정된다.
상기 통전단자(20)는 상기 몸체부(100a)의 타측면에 그 일측 끝단이 고정된 상태로 인쇄회로기판(101)을 향해 일직선을 이루도록 연장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01)에 형성된 결합공(22)에 그 끝단이 삽입된 상태로 용접 중에 하나인 납땜(23)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그 중간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탄력을 갖도록 지그재그로 절곡된 탄력부(21)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인 진동모터용 단자는 통전단자(20)의 끝단을 인쇄회로기판(101)에 납땜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작동중 이탈되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탄력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진동모터(100)의 작동중에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탄력부(21)를 지나면서 감쇄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인 진동모터용 단자는 진동모터 (100)의 일측으로 돌출된 회전축(103)에는 추(104)가 일측으로 그 무게중심이 편심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진동모터(100)의 몸체부(100a) 타측면에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통전단자(30)가 브라켓(105)과 홀더(109)를 통해 고정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01)에 형성된 결합공(31)에는 원통형상을 갖으며 그 일측면에 확장부(32a)가 형성되고 그 중앙영역에 관통되어 슬라이딩면(32b)이 형성된 슬라이딩부재(32)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통전단자(30)는 일직선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32)의 슬라이딩면에 접하도록 삽입되며, 삽입된 끝단부에는 절개된 후 일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30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인 진동모터의 단자는
인쇄회로기판(101)에 장착된 슬라이딩부재(32)에 슬라이딩면(32b)을 형성하고 상기 통전단자(30)가 일직선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면(32b)에 접하도록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작동 중 이탈되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통전단자(30)의 끝단에 탄성력을 갖는 걸림턱(30a)을 형성하여 통전단자(30)가 슬라이딩면(32b)에 접하도록 삽입된 후에는 상기 걸림턱(30a)에 의해 통전단자(30)가 장착위치를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용 단자는 통전단자(10, 20)를 일직선을 이루도록 연장시키고 그 끝단을 인쇄회로기판에 납땜하여 연결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결합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작동중에 단락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전단자(20)의 중간부위에 지그재그로 절곡되는 탄력부(21)를 두어 진동모터(100)의 작동 시 발생되는 진동이 인쇄회로기판(101)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101)에 슬라이딩부재(32)를 장착하고 상기 통전단자(30)를 일직선을 이루도록 연장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재(32)의 슬라이딩면(32b) 접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작동중 단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조립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면(32b)을 따라 통전단자(20)가 슬라이딩되므로 상기 진동모터(100)의 작동 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01)d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용 단자는 통전단자를 일직선을 이루도록 연장시키고 그 끝단을 인쇄회로기판에 납땜하여 연결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결합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작동중에 단락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통전단자의 중간부위에 지그재그로 절곡되는 탄력부를 두어 진동모터의 작동 시 발생되는 진동이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에 슬라이딩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통전단자를 일직선을 이루도록 연장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딩면에 접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작 동중에 단락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형성된 슬라이딩면을 따라 상기 통전단자가 슬라이딩되므로 진동모터의 작동 시 발생되는 진동이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인쇄회로기판과 진동모터를 연결하여 구동전원을 전달하는 통전단자로 이루어진 진동모터용 단자에 있어서,
    상기 통전단자는 일직선을 이루도록 연장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된 상태로 용접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용 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단자는 길이방향으로 탄력을 갖도록 그 중간부분에 지그재그로 절곡된 탄력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용 단자.
  3. 인쇄회로기판과 진동모터를 연결하는 구동전원을 전달하는 통전단자로 이루어진 진동모터용 단자에 있어서,
    상기 통전단자는 일직선을 이루도록 연장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통전단자의 끝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면이 형성된 슬라이딩부재가 장착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용 단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면에 접촉되는 통전단자의 끝단부에는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용 단자.
KR1020050020214A 2005-03-10 2005-03-10 진동모터용 단자 KR200600991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214A KR20060099162A (ko) 2005-03-10 2005-03-10 진동모터용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214A KR20060099162A (ko) 2005-03-10 2005-03-10 진동모터용 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162A true KR20060099162A (ko) 2006-09-19

Family

ID=37630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214A KR20060099162A (ko) 2005-03-10 2005-03-10 진동모터용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91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957B1 (ko) * 2009-08-21 2011-03-16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모터용 터미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957B1 (ko) * 2009-08-21 2011-03-16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모터용 터미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9335B2 (en) Vibration motor
US5986367A (en) Motor mounting mechanism for a cylindrical vibration motor
CN108370640A (zh) 具有边缘连接端子的车载无传感器电机
JP6901948B2 (ja) 電動作業機
JPH10117460A (ja) 振動モータ
TWI420756B (zh) 安裝用零件及安裝用零件的安裝方法
EP1300928A3 (en) Small-sized motor and manufacturing thereof
DE602007002891D1 (ko)
JP5108467B2 (ja) 駆動回路装置、及びモータ装置
KR20060099162A (ko) 진동모터용 단자
JP2009515504A (ja) 自動車の調節装置用のブラシシステム
KR980007880A (ko) 전기 도체
CN103840282B (zh) 执行机构装置
JP4427274B2 (ja) 電動工具用スイッチ
EP1069522A3 (en)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for storage device
JPH10136608A (ja) 筒型振動モータの印刷配線板搭載構造と同搭載方法
JP4083976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US9467037B2 (en) Electric power tool having a conductive elastic body connected to a yoke
CN111030417A (zh) 柔性电路板和线圈的通电结构、透镜驱动装置与照相装置
JP7039116B2 (ja) モータ
JP3408470B2 (ja) 電子機器
CN1291854A (zh) 压电扬声器
KR200406650Y1 (ko) 블로워모터 레지스터의 퓨즈컵 고정구조
CN211701815U (zh) 柔性电路板和线圈的通电结构、透镜驱动装置与照相装置
JP5007501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