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8703A -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 - Google Patents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8703A
KR20060098703A KR1020050018468A KR20050018468A KR20060098703A KR 20060098703 A KR20060098703 A KR 20060098703A KR 1020050018468 A KR1020050018468 A KR 1020050018468A KR 20050018468 A KR20050018468 A KR 20050018468A KR 20060098703 A KR20060098703 A KR 20060098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radle
image combiner
panoramic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9783B1 (ko
Inventor
김배훈
Original Assignee
김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배훈 filed Critical 김배훈
Priority to KR1020050018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9783B1/ko
Priority to PCT/KR2006/000718 priority patent/WO2006093387A1/en
Publication of KR20060098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방(대략 85 °내지 285°) 감시를 위한 복수의 감시 카메라를 장착할 수 있는 거치대를 조심스럽고, 신중을 가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에 의하면, 카메라가 안착되도록 배면부가 형성되고, 이를 전면으로 개방시킨 전면개방부를 형성하면서 이를 둘러싼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카메라 고정대를 포함하며, 상기 배면부의 측단부에서 절곡되면서 연장된 힌지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메라, 거치대, 프레임, 영상조합기, 파노라마

Description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The deferment unit of the panorama camera which uses the image coll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카메라가 장착된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의 일실시예와 이를 이용하여 영상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를 다른 실시예와 이를 이용하여 영상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를 또다른 실시예와 이의 이용하여 영상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은 상하로 조정브라켓을 회동시켜 촬영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보인 다른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가 다 양하게 디자인된 감시카메라에 장착된 것을 보인 다른 실시예.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 거치대의 다양한 회전축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2: 배면부 14: 전면개방부
16a,16b: 상,하프레임 16c: 고정홀
17: 체결구(볼트) 18: 힌지고정부
20: 고정브라켓 22: 지지프레임
24: 받침대 30: 거치대
40: 보호케이스 100: 카메라 및 렌즈
120: 카메라 고정부 200: 모니터
본 발명은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수직 내지 수평방향의 모든 각도를 촬영할 수 있어 영상입사선 사이에 존재하는 수직 내지 수평 사각지대의 폭을 최소할 수 있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정 지역을 감시하는 경우, 특정 구역마다 각각 하나의 카메라를 설치하고, 모니터를 통해 복수의 카메라에서 수신된 영상을 확인함으로써 감시 활동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그러나, 하나의 카메라만으로 특정 구역을 감시하는 경우 좁은 화각 범위로 인하여 사각 지대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복수의 카메라를 일 군으로 구성하여 감시활동을 수행하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는데, 본 출원인에 의해 기 등록된 등록특허 제10-445548호에 이미 클레임되고 있는 것으로서, 이것은 동서남북에 각각 1대씩의 렌즈와 CCD 센서를 설치하되 CCD센서의 간격을 최소로 하여 일정한 거리 이상 떨어질 경우 그 차이가 거의 없도록 하는 한편, 4대의 렌즈와 CCD 센서를 거쳐 발생되는 90° 각도를 갖는 4개의 영상신호를 하나로 합쳐 하나의 영상신호로 송신되고, 하나의 영상신호를 180°각도의 영상으로 모니터에 상하 2줄로 360°가 표시되게 한 것이다.
그러나, 실질적인 감시 활동에 있어서, 360°범위가 아니라 전방 감시 즉, 85 내지 285°범위 내에서의 감시 활동이 실질적으로 필요성이 높아지게 되었으며, 일군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카메라를 설치하고, 상기한 복수의 카메라에서 수신되는 하나의 영상군을 하나의 파노라마 영상으로 모니터링 함으로써 감시 효과를 높일 필요성이 높아지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하게 디자인 될 수 있는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를 장착할 수 있는 거치대를 조심스럽고, 신중을 가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도록 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는, 전술한 문제를 모두 해소하고, 촬영 시 다양하고 미세한 촬영각도를 제공하도록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메라가 안착되도록 배면부가 형성되고, 이를 전면으로 개방시킨 전면개방부를 형성하면서 이를 상하로 둘러싼 프레임으로 이루이진 카메라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면부의 측단부(12a)에서 절곡되면서 연장된 힌지고정부로 이루어지는 조정브라켓으로 달성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 고정부는 좌우가 40 내지 140° 각도로 복수의 카메라가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의 평면상으로는 고정홀이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상하프레임에 여유 공간을 두고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하프레임에 안착된 카메라는 상기 상하프레임의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홀을 통과한 체결구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파노라마 카메라가 장착된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30)는 카메라(100)가 안착되도록 배면부(12)가 형성되고, 이를 전면으로 개방시킨 전면개방부(14)를 형성하면서 이를 상하로 둘러싼 상,하프레임(16a,16b)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고정부(120)를 포함하며, 배면부(12)의 측단부(12a)에서 절곡되면서 연장되어 있는 힌지고정부(18)로 이루어지는 조정브라켓(1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전면은 카메라(100)가 전방으로 촬영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술하는 좌측 또는 우측은 카메라(100)의 좌, 우측 수평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카메라를 일 세트로 하여 하나의 거치대에 장착하고, 일 세트에서 수신되는 복수의 영상(이하, '영상군' 이라 함)을 하나의 파노라마 영상으로 모니터에 표시하는데, 이때, 각 영상의 왜곡 및 겹침 영역 제거를 위한 과정을 수행하는 고가의 이미지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대신, 영상군을 단순 재배 치하는 영상 조합기를 사용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는 일 세트로 설치되는 카메라의 인접 영상 입사각이 개략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카메라에 저왜곡 렌즈, 바람직하게는 광학 왜곡률이 15% 이하인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복잡한 프로세서의 수행 없이 하나의 영상군을 파노라마 영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조정브라켓(10)은 바람직하게 성형된 일반철재, 알루미늄, 아크릴 또는 다른 적절한 단단하고, 경량의 재료로 형성된다.
이러한 조정브라켓(10)은 복수의 카메라 고정부(1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카메라 고정부(120)는 내부가 면처리되어 있고, 전면으로 개방되어 있는 배면부(12)를 갖고 있으며, 배면부(12)는 카메라(100)의 주변 가장자리 즉, 측단부(12a)에서 끝나고, 카메라(100)의 후방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 고정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면처리되어 절곡된 찬넬의 형상, 바람직하게는 "[ "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세트의 카메라는 전방 범위, 즉, 85 내지 285° 범위를 감시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므로, 하나의 카메라 거치대에 두 개의 카메라가 설치되는 경우, 그 목적에 따라 서로 40 내지 140°의 각도로 절곡된 후 전면으로 개방시킨 전면개방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전면개방부(14)는 이를 상하로 둘러싼 상,하프레임(16a,16b)에 의해서 그 높이가 한정되어 있고, 높이는 여기에 안착되는 카메라(100)보다 더 크게, 바람직하게는 2mm-15mm 사이에서 형성된다.
상,하프레임(16a,16b)은 카메라(100)가 촬영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후 돌출되어 있으며, 그 길이와 넓이는 카메라(10)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고정부(120)의 높이를 형성시킨다.
상,하프레임(16a,16b)의 평면상으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두개, 상하로 이격된 상,하프레임(16a,16b)에 총 4개의 고정홀(16c)가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구(17)가 마련된다.
상기에서는 프레임이 상하로 형성되는 것을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프레임이 카메라 고정을 위해 좌우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고정홀(16c)은 그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체결되어 결합되는 체결구(17)는 전기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역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술한 고정홀(16c)을 통과한 후 카메라(1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체결구(17)는 고정홀(16a)에 각각 다양한 깊이로 관통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체결구(17)의 말단과 카메라(100)와의 결합 고정시 발생할 수 있는 슬립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립방지구(19)를 체결구(17)의 말단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나아가, 이러한 작용의 효과는 각 실시예의 설명으로 미룬다.
다시, 배면부(12)의 측단부에는 일정한 각도로 절곡되면서 연장되어 있는 힌지고정부(18)가 형성되어 있다.
힌지고정부(18)는 바람직하게는 배면부(12)의 측단부 중앙에 위치하고, 여기에서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배면부(12)의 높이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특히, 이 힌지고정부(18)는 배면부(12)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용접 등의 결합방법 등에 의해서 배면부(12)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카메라 고정부(120)는 90°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90°는 일예에 불과하며, 그 내부에 안착된 카메라(100)가 전방으로 85 내지 285°범위의 촬영을 위해 카메라 고정부(120)는 40 내지 140°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도시된 구현예에 있어서 카메라(100)는 다양한 각도 예를들면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고, 이것은 전술한 체결구(17)에 의해서 충분히 다른 실시예로 증명될 수 있다.
다시, 40 내지 140°의 각도로 두개가 절곡된 후 배치된 카메라 고정부(120)를 포함하는 조정브라켓(10)의 후면에는 고정브라켓(20)이 위치한다.
고정브라켓(20)은 카메라 고정부(120), 바람직하게는 배면부(12)의 측단부(12a) 일측에 결합된 힌지고정부(18)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결합되는 곳은 두개가 맞붙은 카메라 고정부(120)의 좌우에서 결합된 후 하향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2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지프레임(22)을 받쳐주는 받침대(24)가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져 있다.
지지프레임(22)은 카메라 고정부(120)과 카메라(10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적당한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그 선단(22a)에서 바람직하게 힌지고정부(18)와 결 합된다.
이때, 힌지고정부(18)와 지지프레임(22) 선단(22a)은 직접 결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부싱(미도시)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미도시된 부싱은 그 일단이 힌지고정부(18)와 일체로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며, 타단은 지지프레임(22) 선단(22a)과 체결구(17)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선단(22a)에는 체결구(17)가 관통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의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것은 카메라 고정부(12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미도시된 부싱의 내부로는 나사산이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어 체결구(17)와 일정한 깊이로 체결됨이 바람직하고, 체결구(17)를 해제한 상태에서 카메라 고정부(120)의 상하위치를 이격된 지지프레임(22) 사이에서 변경시킨 후 다시 체결하면 카메라 고정부(120)의 상하위치를 소망하는 각도로 변경할 수 있다.
받침대(24)는 거치대(30)가 장착될 수 있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평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형상은 원형, 다각형, 타원형등 그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위와 같은 구성예에서 알 수 있듯이, 간단한 형상으로 성형된 카메라 고정부(120)과 고정브라켓(20)의 결합으로 전방위로 소망하는 위치를 촬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에는 이러한 거치대(30)에 장착된 카메라(100)의 작동과정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를 다른 실시예와 이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를 또다른 실시예와 이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카메라를 하나의 카메라 거치대에 설치하고, 이와 같은 거치대를 2개(400,402) 구비한 경우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30)와 이를 이용하여 영상이 재배치된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30)는 전방 범위(85 내지 285°)의 감시를 위해 대략 40 내지 140° 각도를 갖는 카메라 고정부(120)가 적용된다.
도 4에서는 카메라 고정부(120)가 90°의 각을 이루며, 카메라 고정부(120) 및 받침대(24)가 45°를 이루는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두 개의 카메라 거치대(400,402)에서 전송된 영상은 각각 하나의 영상군, 즉, 파노라마 영상을 이루는 것이며, 이와 같은 영상군은 영상조합기(404)를 거쳐 모니터(200)로 입력되고, 모니터(200)에는 상측(406, 400으로부터 수신된 제1 영상군) 및 하측(408, 402로부터 수신된 제2 영상군)이 표시된다.
다시 언급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된 카메라(100)는 저왜곡 렌즈를 사용하며, 카메라 거치대가 일 세트로 설치된 카메라의 인접 부분 영상 입사각이 평행하도록 배치하기 때문에 복잡한 화상 처리 없이 영상을 단순 재배치하는 기능만 수행하는 영상조합기(404)만으로 하나의 파노라마 영상을 보여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영상조합기(404)는 인접 카메라에서 수신된 영상을 하나의 파노라마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능 뿐만 아니라, 도 4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카메라에서 촬상된 영상을 선택적으로 보여주는 기능도 수행한다.
즉, 제1 영상군(406)과 제2 영상군(408)을 모니터 전체에 표시하거나, 제1 영상군만을 모니터에 표시할 수도 있으며(410 참조), 제1 영상군의 a부분(412) 및 b부분(414)만을 선택적으로 표시해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영상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하다(416,418 및 420 참조).
특히, 상기 도면 부호(412,414,418,420)는 하나의 카메라에서 수신된 영상만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좁은 화각 범위를 갖는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수신된 영상을 선명하게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와 이를 이용한 다른 실시예로 세 개의 카메라를 수용할 수 있는 카메라 거치대를 도시한 것이며, 카메라 고정부(120)가 받침대(24)와 60°의 각도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카메라 고정부(120)는 서로 60°의 각을 이루게 되나, 이는 일예에 불 과하며, 이때, 각 카메라 고정부(120)는 전방 85 내지 285°범위의 감시를 위해 대략 30 내지 95°의 각을 이루게 된다.
한편, 도 5의 하단에는 3개의 카메라가 일 세트로 이루어진 카메라 거치대를 3개 구비한 것을 도시하며, 3개의 카메라 거치대(500,502,504)에서 각각 3개의 영상군(하나의 영상군이 파노라마 영상을 구성함)이 영상조합기(404)를 통해 모니터(200)에 표시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4에서와 마찬가지로 영상조합기(404)를 통해 다양한 영상을 모니터(200)로 확인할 수 있으며, 제1 영상군(506), 제2 영상군(508), 제3 영상군(510)을 모니터 전체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각 개별 영상군만을 확인하거나(512,520,528 참조), 각 카메라에서 촬상된 영상만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516,524,532 참조).
특히, 하나의 거치대에 3개의 카메라를 설치하는 경우, 한 개의 카메라는 더 좁은 화각 범위에서 특정 구역을 집중 감시할 수 있게 되며, 별도의 줌 기능을 사용함이 없이 좁은 구역에 대한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것은 카메라 고정부(120)를 다양하게 변경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다양한 영상입사각을 얻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를 또 다른 실시예와 이를 통해 본 영상을 표현한 것으로, 이는 받침대(24)와 카메라 고정부(120)를 75°(카메라 고정부 사이는 45°)의 각도로 형성시킨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 역시 일예에 불과하며, 이때, 각 카메라 고정부(120)는 전방 85 내지 285°범위의 감시를 위해 대략 20 내지 70°의 각을 이루도 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 거치대의 다양한 회전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축이 카메라 고정부(120)의 후단(70)에 위치한 경우, 중간부(72)에 위치한 경우와 기어열에 의해 카메라 고정부(120) 전단(74)에 위치한 경우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회전축이 중간부(72)에 위치한 경우는 하기의 도 7을 통해 설명되며, 전단(74)에 위치한 경우는 도 8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된다.
도 7은 상하로 카메라 고정부(120)를 회동시켜 촬영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보인 것으로, 이것은 특히 감시 또는 촬영하고자 하는 상하각도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즉, 여기에는 카메라 고정부(120)의 중간부(72)에 볼체결구(45)를 결합시킨 것으로, 볼의 회동각도에 따라 자유로운 상하 회동각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그 밖에 여러 가지 변형예가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필요에 따라서 천정 뿐만 아니라, 벽의 수직면에도 설치할 수 있는 회동감시카메라(50)에 적용되는 것도, 본 발명으로부터 일탈하는 것은 아니다.
회동감시카메라(50)는 거치대(30)를 회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일련의 기어열(52a)(54a)과 회동단(53)의 작동에 의해서 회동시킨다.
위와 같은 회동감시카메라(50)는 특히 벽면에 고정되고, 전면의 외측으로 고정기어(52a)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동단관통홈(52b)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프레임(52)과, 상기 고정프레임(52)과 치합되며, 회동하는 회동커버(54)가 고정프레임(52)의 전면에 장착되어 있다.
회동커버(54)에는 회동력에 의해서 회동하는 회동단(53)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는 고정프레임(52)의 회동단관통홈(52b)을 관통한 후 미도시된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회동단관통홈(52b)은 회동각도에 비례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회동단(53)은 이곳에서 회동한다.
회동하는 회동단(53)은 카메라(100)가 고정된 거치대지지프레임(56)과 결합되어 있으며, 거치대지지프레임(56)의 전방으로 커버(58)와 유리(59)가 장착되어 있다.
회동단(53)은 거치대지지프레임(56)과 결합된 특성으로 거치대지지프레임(56)을 회동시키면 이에 연동되어 회동하고, 회동커버(54)에 마련된 회동기어(54a) 와 고정프레임(52)의 고정기어(52a)가 치합되어 있으며, 회동시 그 회동각도를 정밀하게 조절한다.
특히 고정기어(52a)는 우레탄 등의 재질이 적용되어 회동기어(54a)와 치합되되, 일정한 힘을 받으면 미끄러지고, 회동시키는 힘이 소멸하면 회동기어(54a)와 다시 치합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참정신 및 범위내에 존재하는 변형례는, 모두 특허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에 의하면, 일체로 이루어지되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두개의 카메라 고정부(120)와, 여기에 체결되는 체결구(17)로 인해 미세하게 장착된 카메라(100)를 조정하여 자연스러운 파노라마 촬영이 가능해지며, 특히 카메라 고정부(120)를 고정브라켓(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켜 수직 상하로도 미세한 촬영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생산비용의 절감을 가져 올 수 있다. 이로 인해 전방 감시용 카메라의 제품 신뢰성, 다양성과 대중성을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전방 감시용 카메마를 감시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상의 일부를 캡쳐하여 광고 또는 홍보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과 효과가 발생한다.

Claims (16)

  1. 카메라가 안착되도록 배면부가 형성되고, 이를 전면으로 개방시킨 전면개방부를 형성하면서 이를 둘러싼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면부의 측단부에서 연장된 힌지고정부로 이루어지는 조정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고정부는 40 내지 140°의 각도로 절곡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평면상으로는 고정홀이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프레임에 안착된 카메라는 상기 상하프레임의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홀을 통과한 체결구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로 배치된 조정브라켓의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힌지고정부에 힌지 결합된 고정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힌지고정부에 힌지결합된 후 하향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을 받쳐주는 받침대가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과 힌지고정부는 부싱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상기 힌지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
  9. 제8항에 있어서,
    부싱에는 나사산이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
  10.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고정부와 부싱은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브라켓은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 고정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카메라 고정부는 40 내지 140°의 각도를 이루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브라켓은 적어도 세 개의 카메라 고정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카메라 고정부는 30 내지 95°의 각도를 이루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브라켓은 적어도 네 개의 카메라 고정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카메라 고정부는 20 내지 70°의 각도를 이루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
  14. 카메라가 안착되도록 배면부가 형성되고, 이를 전면으로 개방시킨 전면개방부를 형성하면서 이를 둘러싼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고정부를 포함하는 조정브라켓 및 상기 카메라 고정부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상기 조정브라켓을 상하 회동시키는 볼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
  15. 카메라가 거치대에 안착되고, 이를 회동시키는 회동단과 기어가 체결 내지 치합되어 벽면 및 천정에 고정되어 전방을 감시하는 회동감시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감시카메라는 상기 회동단과 일체로 회동하면서 상기 카메라가 안착되는 거치대지지프레임과, 상기 회동단이 회동하도록 관통하면서 그 외면에 회동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회동커버와, 상기 회동단이 다시 관통하면서 체결되고, 상기 회동커버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고정기어가 상기 고정기어와 치합되어 있어 있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 마 카메라의 거치대.
KR1020050018468A 2005-03-02 2005-03-05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 KR100709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468A KR100709783B1 (ko) 2005-03-05 2005-03-05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
PCT/KR2006/000718 WO2006093387A1 (en) 2005-03-02 2006-03-02 Panorama watch camera apparatus and the deferment unit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468A KR100709783B1 (ko) 2005-03-05 2005-03-05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703A true KR20060098703A (ko) 2006-09-19
KR100709783B1 KR100709783B1 (ko) 2007-04-23

Family

ID=37630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468A KR100709783B1 (ko) 2005-03-02 2005-03-05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97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366B1 (ko) * 2006-12-15 2007-05-02 주식회사 영국전자 교도소 영상감시 시스템
KR100782420B1 (ko) 2006-08-24 2007-12-05 김배훈 회전형 카메라가 장착된 카메라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984B1 (ko) 2018-02-08 2019-12-12 소프트상추 주식회사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548B1 (ko) * 2002-01-28 2004-08-25 주식회사 영국전자 파노라마 촬영감시방법 및 촬영감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420B1 (ko) 2006-08-24 2007-12-05 김배훈 회전형 카메라가 장착된 카메라모듈
KR100712366B1 (ko) * 2006-12-15 2007-05-02 주식회사 영국전자 교도소 영상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9783B1 (ko) 2007-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0173B1 (en) Rotating mount
WO2008102525A1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JP2005275398A5 (ko)
JP3489510B2 (ja) カメラ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
KR100709783B1 (ko)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
KR101297835B1 (ko)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장착리그
KR100711570B1 (ko) 파노라마 감시카메라용 렌즈 조정 브래킷
KR200469162Y1 (ko) 이동 단말기용 카메라 반사 모듈
WO2007021143A1 (en) Pan/tilt camera apparatus having auxiliary camera
US9998706B2 (en) Video conference endpoint displays
JP2010141485A (ja) 撮像装置
JPH0993471A (ja) パノラマ式テレビカメラ装置および映像モニタ装置
WO2006093387A1 (en) Panorama watch camera apparatus and the deferment unit thereof
JP2007081834A (ja) 電子機器
KR101405413B1 (ko) 씨씨티브이 카메라 설치용 멀티 브래킷
CN209949230U (zh) 一种可调角度的提词设备
KR20060044129A (ko) 360°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장치
WO2014043974A1 (zh) 多方向监控区域的监控装置
JP2017097047A (ja) 撮影装置
JP4306968B2 (ja) スタジオカメラ用ビューファインダ
KR100782420B1 (ko) 회전형 카메라가 장착된 카메라모듈
JP2007150465A (ja) 多焦点カメラの撮像ユニット取付構造
CN214663034U (zh) 一种交互显示屏组件
WO2015186924A1 (ko) 삼각대용 볼헤드
KR102539950B1 (ko) 스크린 골프용 비전 카메라용 설치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