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984B1 -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984B1
KR102053984B1 KR1020180015677A KR20180015677A KR102053984B1 KR 102053984 B1 KR102053984 B1 KR 102053984B1 KR 1020180015677 A KR1020180015677 A KR 1020180015677A KR 20180015677 A KR20180015677 A KR 20180015677A KR 102053984 B1 KR102053984 B1 KR 102053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otational force
ring gear
lower housing
pin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6117A (ko
Inventor
이남미
김준
권오성
조완호
김완수
박성룡
Original Assignee
소프트상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프트상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프트상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5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98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H04N5/2323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04N5/24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동일한 거리의 구면상에 분할 배치된 복수개의 디지털 영상촬영장치로 사각없이 360°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관형 구조를 갖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연통된 중간 하우징 및 상기 중간 하우징에 연통되고 관형 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상부 하우징으로 구성된 몸체부와, 상기 하부 하우징을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의 방향을 하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1차로 전환하고 상기 1차로 전환된 회전력의 방향을 상기 중간 하우징에서 복수개로 2차로 전환시키며 상기 2차로 전환된 회전력으로 각 상부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된 디지털 영상촬영장치의 촬영각도를 조절하는 회전각도 조절부, 및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각 디지털 영상촬영장치에 통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각 디지털 영상촬영장치가 생성한 디지털 이미지를 수집하며, 상기 수집된 디지털 이미지들을 편집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360°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설치된 복수개의 디지털 영상촬영장치에 대한 상하 방향의 회전각도를 한 번의 동작으로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PANORAMIC PHOTOGRAPH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PANORAMA IMAGE}
본 발명은 360°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한 거리의 구면상에 분할 배치된 복수개의 디지털 영상촬영장치로 사각없이 360°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는 사진촬영을 위한 광학기기로서, 일반적인 촬영방식 이외의 특수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특수 카메라들이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 렌즈가 회전해서 100∼140˚의 넓은 각도를 촬영할 수 있는 파노라마 카메라가 알려져 있는데, 상기 파노라마 카메라는 크게 렌즈회전식과 광각렌즈형의 2가지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 렌즈회전식의 파노라마 카메라는 렌즈를 회전시켜 촬영하는데, 이때 렌즈의 배면(背面)에는 차광통(遮光筒)이 있고, 필름에 대응한 곳에 슬릿이 있어서 화면의 한쪽으로부터 노광하는 형식을 취한다. 특히, 이 카메라에 의한 사진은 광축(光軸)에 대하여 직각인 부분이 크게 찍히고, 기울어질수록 거리가 커져서 작게 찍히는 성질이 있다.
그리고 광각렌즈형의 파노라마 카메라는 초광각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렌즈의 회전 없이도 사진의 촬영이 가능하다. 이때 로 인해 발생하는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벨로우즈를 장착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카메라와 광각렌즈를 이용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영상왜곡이 심하여 몰입감을 방해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넓은 촬영 화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다수 개의 카메라에 대상 공간을 적절하게 배분하여 동시에 촬영하도록 하는 멀티 카메라 기반 파노라마 촬영기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멀티 카메라 기반 파노라마 촬영기법은 여러 개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이 하나의 카메라로 촬영한 것과 같이 자연스럽게 연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색 정보와 촬영 중심점, 줌 크기 등의 기하학적 정보를 동일하게 맞추는 보정 작업이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하지만, 종래의 파노라마 촬영 장치는 여러 개의 카메라 영상을 스위칭하면서 번갈아 보정작업을 하거나, 단순히 멀티 카메라 입력 영상을 관제시스템처럼 체스보드 형태의 고정된 화면으로 동시에 보면서 보정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파노라마 촬영 장치에서는 촬영자가 촬영하기에 불편하고, 정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고화질 파노라마 영상을 획득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자에게 색 보정과 카메라 자세 보정 작업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파노라마 영상 촬영 시스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41890호(2011.04.22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8247호(2001.10.18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09783호(2007.04.23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높이로 복수개의 디지털 영상촬영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며, 한 번의 조작을 통해 각 디지털 영상촬영장치의 회전각도를 한꺼번에 조절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관형 구조를 갖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연통된 중간 하우징, 및 상기 중간 하우징에 연통되고 관형 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상부 하우징으로 구성된 몸체부와, 상기 하부 하우징을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의 방향을 하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1차로 전환하고, 상기 1차로 전환된 회전력의 방향을 상기 중간 하우징에서 복수개로 2차로 전환시키며, 상기 2차로 전환된 회전력으로 각 상부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된 디지털 영상촬영장치의 촬영각도를 조절하는 회전각도 조절부, 및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각 디지털 영상촬영장치에 통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각 디지털 영상촬영장치가 생성한 디지털 이미지를 수집하며, 상기 수집된 디지털 이미지들을 편집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360°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설치된 복수개의 디지털 영상촬영장치에 대한 상하 방향의 회전각도를 한 번의 동작으로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디지털 영상촬영장치에 대한 회전각도를 한 개씩 조절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한꺼번에 조절할 수 있으므로, 피사체에 대한 렌즈의 시점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복수개의 디지털 영상촬영장치에 대한 높이를 한 개씩 조절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한꺼번에 조절할 수 있으므로, 피사체에 대한 렌즈의 시점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이하, '파노라마 촬영 장치'라고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장치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의 외형을 제공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을 복수개로 분배하여 몸체부(100)의 상부에 배치된 디지털 영상촬영장치의 촬영각도를 조절하는 회전각도 조절부(200,300,400,500), 및 각 디지털 영상촬영장치가 생성한 디지털 이미지를 수집하고 편집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는 메인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지털 영상촬영장치(10)로는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각도 조절부(200,300,400,500)는 제1 손잡이(200), 제1 회전력 전달수단(300), 제2 회전력 전달수단(400), 제3 회전력 전달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장치는 몸체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00)는 회전각도 조절부(200,300,400,500)가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역 삼각대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몸체부(100)는 관형 구조를 갖는 하부 하우징(110)과, 상기 하부 하우징(110)의 상부에 연통된 중간 하우징(120), 및 상기 중간 하우징(120)에 연통되고 관형 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상부 하우징(13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부 하우징(130)은 2 내지 5개로 몸체부(1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하우징(110)은 내부에 제1 회전력 전달수단(300)이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고 외부에 제1 손잡이(200)가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단이 밀폐되고, 제1 손잡이(200)의 선단이 안정적으로 내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측면으로 돌출된 내삽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내삽구는 관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제1 손잡이(20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하부 하우징(110)은 그 내주면을 따라 주 회전봉(33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한 쌍의 안착판(112,114)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안 착판은 고리형 구조를 갖도록 하부 하우징(110)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제1 안착판(112), 및 상기 제1 안착판(112)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고리형 구조를 갖도록 하부 하우징(110)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제2 안착판(1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간 하우징(120)은 하부 하우징(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 회전력 전달수단(300)의 상부와 복수개의 제2 회전력 전달수단(400)의 하부가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중간 하우징(120)은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하우징(110)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그 하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부 하우징(130)과 연통되도록 그 측면에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130)은 내부에 제2 회전력 전달수단(400)이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고 상단에 제3 회전력 전달수단(500)이 결합될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중간 하우징(120)의 측면이나 상면에 연통되도록 중간 하우징(120)과 결합된다.
필요에 따라, 상부 하우징(130)은 그 내주면을 따라 보조 회전봉(43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한 쌍의 지지판(132,134)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지지판(132,134)은 고리형 구조를 갖도록 상부 하우징(130)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제1 지지판(132), 및 상기 제1 지지판(132)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고리형 구조를 갖도록 상부 하우징(130)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제2 지지판(134)으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장치는 회전각도 조절부(200,300,400,50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각도 조절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110)을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의 방향을 하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1차로 전환하고, 상기 1차로 전환된 회전력의 방향을 상기 중간 하우징(120)에서 복수개로 2차로 전환시키며, 상기 2차로 전환된 회전력으로 각 상부 하우징(130)의 상부에 배치된 디지털 영상촬영장치의 촬영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제1 손잡이(200), 제1 회전력 전달수단(300), 제2 회전력 전달수단(400), 제3 회전력 전달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각도 조절부를 구성하는 제1 손잡이(200)는 사용자의 외력을 제1 회전력 전달수단(300)에 전달하기 위해 하부 하우징(110)에 설치되고 제1 회전력 전달수단(300)에 결합된 것으로, 그 단면이 '
Figure 112018014031732-pat00001
' 구조나 일자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손잡이(200)는 손잡이 피니언 기어(210)가 구비된 일단이 상기 하부 하우징(110)의 내부에 내삽되고,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하부 하우징(110)의 외부에 노출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축 회전할 수 있도록 하부 하우징(110),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내삽구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각도 조절부를 구성하는 제1 회전력 전달수단(300)은 상기 제1 손잡이(200)에 연결되고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 손잡이(200)의 회전력을 복수개의 제2 회전력 전달수단(400)에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 피니언 기어(210)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제1 링 기어(310)와 상기 중간 하우징(120)에 배치되고 제2 링 기어(320) 및 상기 제1 링 기어(310)와 제2 링 기어(32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링 기어(310)의 회전에 따라 제2 링 기어(320)를 연동시키는 주 회전봉(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링 기어(310)는 상기 손잡이 피니언 기어(210)와 함께 베벨 기어를 구성하는 것으로, 제1 손잡이(20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의 방향을 전환시켜 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베벨 기어는 직선 베벨 기어, 곡선 베벨 기어, 제롤 베벨 기어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링 기어(320)는 제1 링 기어(310)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제1 링 기어(310)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는 것으로, 중간 하우징(120)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 링 기어(320)는 후술하는 제1 피니언 기어(410)와 15° 내지 75°의 내각을 갖도록 치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링 기어(320)와 제1 피니언 기어(410)의 내각이 15° 내지 75°를 벗어나면, 제1 링 기어(310)의 회전력이 제1 피니언 기어(410)에 원활히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주 회전봉(330)은 제1 링 기어(310)와 동일 방향으로 제2 링 기어(320)가 회전하도록 제1 링 기어(310)의 회전력을 제2 링 기어(320)로 전달하는 것으로, 제1 링 기어(310)와 제2 링 기어(320)의 사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주 회전봉(330)은 일단이 제1 링 기어(310)의 중심에 결합되며,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제2 링 기어(320)의 중심에 결합된다.
필요에 따라, 주 회전봉(330)은 그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전술한 한 쌍의 안착판 사이에 내삽되는 회전판(33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회전판(332)의 두께는 제1 안착판(112)과 제2 안착판(114) 사이의 이격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주 회전봉(330)은 그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축 회전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각도 조절부를 구성하는 제2 회전력 전달수단(400)은 상기 제1 회전력 전달수단(300)에 연결되고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 회전력 전달수단(300)의 회전력으로 복수개의 회전력을 생성하는 것으로, 제1 회전력 전달수단(300)의 회전력을 제3 회전력 전달수단(50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2 회전력 전달수단(400)은 제1 회전력 전달수단(300)을 상단을 중심으로 360°를 일정 각도로 분획하도록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회전력 전달수단(400)이 3개로 설치되는 경우 서로 이웃한 제2 회전력 전달수단(400)의 사이 내각은 120°로 형성되며, 제2 회전력 전달수단(400)이 4개로 설치되는 경우 서로 이웃한 제2 회전력 전달수단(400)의 사이 내각은 90°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회전력 전달수단(400)은 상기 중간 하우징(120)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링 기어(320)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제1 피니언 기어(410)와 상기 상부 하우징(130)에 배치되는 제2 피니언 기어(420) 및 상기 제1 피니언 기어(410)와 제2 피니언 기어(42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피니언 기어(410)의 회전에 다라 제2 피니언 기어(420)를 연동시키는 보조 회전봉(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피니언 기어(410)는 상기 제2 링 기어(320)와 함께 베벨 기어를 구성하는 것으로, 중간 하우징(120)에 배치되어 제1 회전력 전달수단(30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의 방향을 전환시켜 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베벨 기어는 직선 베벨 기어, 곡선 베벨 기어, 제롤 베벨 기어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피니언 기어(420)는 제1 피니언 기어(410)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제1 피니언 기어(410)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는 것으로, 상부 하우징(130)에 배치된다.
상기 보조 회전봉(430)은 제1 피니언 기어(410)와 동일 방향으로 제2 피니언 기어(420)가 회전하도록 제1 피니언 기어(410)의 회전력을 제2 피니언 기어(420)로 전달하는 것으로, 제1 피니언 기어(410)와 제2 피니언 기어(420)의 사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보조 회전봉(430)은 일단이 제1 피니언 기어(410)의 중심에 결합되며,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제2 피니언 기어(420)의 중심에 결합된다.
필요에 따라, 보조 회전봉(430)은 그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전술한 한 쌍의 지지판(132,134) 사이에 내삽되는 회전판(43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회전판(432)의 두께는 제1 지지판(132)과 제2 지지판(134) 사이의 이격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보조 회전봉(430)은 상부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그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축 회전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각도 조절부를 구성하는 제3 회전력 전달수단(500)은 각 제2 회전력 전달수단(400)에 연결되고 디지털 영상촬영장치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2 회전력 전달수단(40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디지털 영상촬영장치(1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3 회전력 전달수단(500)은 각 제2 피니언 기어(420)에 치합되는 제3 링 기어(510)와, 상기 제3 링 기어(510)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체결되는 회전각도 조절봉(520), 및 상기 회전각도 조절봉(520)의 양단에 결합되고 디지털 영상촬영장치(10)에 결합되어 회전각도 조절봉(520)의 회전에 따라 디지털 영상촬영장치(10)의 촬영각도를 조절하는 회전 브라켓(5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링 기어(510)는 상기 제2 피니언 기어(420)와 함께 베벨 기어를 구성하는 것으로, 제2 회전력 전달수단(40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의 방향을 전환시켜 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베벨 기어는 직선 베벨 기어, 곡선 베벨 기어, 제롤 베벨 기어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각도 조절봉(520)은 제3 링 기어(510)와 회전 브라켓(53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제3 링 기어(510)의 회전에 따라 회전 브라켓(53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양측 말단이 회전 브라켓(530)에 결합되는 봉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회전각도 조절봉(520)의 양측 말단에는 너트 등이 구비되어 회전 브라켓(5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각도 조절봉(520)은 제3 링 기어(510)가 제2 피니언 기어(42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부 하우징(1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하우징(130)을 상단에는 도 2와 같이 회전각도 조절봉(520)을 관통시키는 한 쌍의 결합판(136,138)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결합판(136,138)을 구성하는 제1 결합판(136)은 그 내부에 회전각도 조절봉(520)의 외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부 하우징(130)의 상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결합판(136,138)을 구성하는 제2 결합판(138)은 그 내부에 회전각도 조절봉(520)의 외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부 하우징(130)의 상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결합판과 제2 결합판 사이에는 제3 링 기어(5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브라켓(530)은 회전각도 조절봉(520)과 디지털 영상촬영장치(10)에 결합되는 것으로, 회전각도 조절봉(520)의 축 회전에 따라 디지털 영상촬영장치(1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회전 브라켓(530)은 상기 회전각도 조절봉(520)의 일단이 끼움 결합되는 제1 관통홀(533)이 구비된 제1 측판(532)과, 상기 제1 측판(532)의 상단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상판(534)과, 상기 제1 측판(532)과 마주보도록 상판(534)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끼움 결합되는 제2 관통홀(537)이 구비된 제2 측판(536), 및 상기 상판(534)의 상부에 디지털 영상촬영장치(10)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 탈부착부(53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부착부(538)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브라켓(530)은 너트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회전각도 조절봉(5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관통홀(533) 및 제2 관통홀(537)의 내주면에 제1 나선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 브라켓(530)에 결합되는 회전각도 조절봉(520)의 양단에는 제1 나선부에 대응되는 제2 나선부가 구비된다. 예컨대, 제1 관통홀(533) 및 제2 관통홀(537)의 내주면에 나사홈이 구비되면, 회전각도 조절봉(520)의 양단에는 상기 나사홈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장치는 메인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외부신호를 입력받아 파노라마 촬영 장치에 거치된 복수개의 디지털 영상촬영장치(10)에 촬영 개시 신호를 동시에 전달하고, 각 디지털 영상촬영장치(10)가 생성한 디지털 이미지를 수집하여 360° 파노라마 이미지로 재결합하여 2차원 평면 이미지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몸체부(100)에 설치되고, 각 디지털 영상촬영장치(10)에 통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각 디지털 영상촬영장치(10)가 생성한 디지털 이미지를 수집하며, 상기 수집된 디지털 이미지들을 편집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때, 수집된 여러 장의 디지털 이미지들을 편집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필요에 따라, 메인 컨트롤러는 무선 통신칩이 내장되어 파노라마 이미지를 원격지에 설치된 서버로 전송하거나, 메모리 등의 저장수단이 내장되어 생성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컨트롤러는 무선 통신칩과 저장수단이 모두 내장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장치는 높낮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하부 하우징의 하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의 방향에 따라 하부 하우징과 지면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한다. 예컨대, 높낮이 조절부는 외부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회전력이 입력되면 하부 하우징과 지면 사이의 이격 거리를 줄여주고, 외부로부터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력이 입력되면 하부 하우징과 지면 사이의 이격 거리를 늘려줄 수 있다.
이를 위해, 높낮이 조절부는 안테나형 길이조절대(600)와, 높낮이 하우징(700)과, 제2 손잡이(800), 및 래크(9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제3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형 길이조절대(600)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면에 결합되어 밀거나 당겨주는 힘에 따라 상하 길이가 조절되는 것으로, 래크(900)의 상승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고 래크(900)의 하강에 따라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면 어떤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형 길이조절대(600)는 제1 연결대(610), 제2 연결대(620), 및 제3 연결대(6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대(610)는 관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고, 그 상단이 하부 하우징에 연결되며, 그 하단에 외측으로 제1 외부 플랜지(612)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연결대(620)는 제1 연결대(610)의 외경보다 넓은 내경을 갖는 관형 구조로 형성되고, 그 상단이 제1 연결대(610)의 하부에 연통되며, 그 상단에 내측으로 제1 내부 플랜지가 형성되고 그 하단에 외측으로 제2 외부 플랜지(624)가 형성된다. 이때, 제1 내부 플랜지는 래크(900)의 상승에 따라 높낮이 하우징(700)과 전술한 하부 하우징의 거리가 멀어지면, 제1 연결대(610)의 제1 외부 플랜지(612)에 안착됨으로써 하강하는 제2 연결대(620)의 최대 하강 위치를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3 연결대(630)는 제2 연결대(620)의 외경보다 넓은 내경을 갖는 관형 구조로 형성되고, 그 상단이 제1 연결대(610)의 하부에 연통되고 그 하단이 높낮이 하우징(700)의 상부에 연통되며, 그 상단에 내측으로 제2 내부 플랜지(632)가 형성된다. 이때, 제2 내부 플랜지(632)는 래크(900)의 상승에 따라 높낮이 하우징(700)과 전술한 하부 하우징의 거리가 멀어지면, 제2 연결대(620)의 제2 외부 플랜지(624)에 안착됨으로써 하강하는 제3 연결대(630)의 최대 하강 위치를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높낮이 하우징(700)의 길이조절대의 하부에 결합되고, 중공이 형성된 블록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길이조절대와 연통되는 것으로, 래크(900)가 외력에 의해 하강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높낮이 하우징(700)은 상부가 상기 제3 연결대(63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래크(900)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래크(900)가 통과하는 래크 통과홀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높낮이 하우징(700)의 래크 통과홀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대(61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제1 연결대(610)의 내경보다 짧은 길이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높낮이 하우징(700)의 상면에 제1 연결대(610)의 제1 외부 플랜지(612)와 제2 연결대(620)의 제2 외부 플랜지(624)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 손잡이(800)는 제2 손잡이 피니언 기어(810)가 구비된 일단이 상기 높낮이 하우징(700)의 내부에 내삽되고,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높낮이 하우징(700)의 외부에 노출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축 회전할 수 있도록 높낮이 하우징(700)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단면이 '
Figure 112018014031732-pat00002
' 구조나 일자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높낮이 하우징(700)은 제2 손잡이(800)의 선단이 안정적으로 내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측면으로 돌출된 제2 내삽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3 손잡이의 선단이 안정적으로 내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측면으로 돌출된 제3 내삽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 내삽구는 관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2 손잡이(80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내삽구는 관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3 손잡이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래크(9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표면에 다수의 톱니가 구비되어 상기 안테나형 길이조절대(600) 및 높낮이 하우징(7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손잡이 피니언 기어(810)에 상기 톱니가 치합되어 제2 손잡이(800)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예컨대, 제2 손잡이(8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래크(900)는 상승하며, 제2 손잡이(80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래크(900)는 하강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래크(9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기둥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제2 손잡이(800)에 마주보는 우측면에 다수의 톱니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부는 제3 손잡이(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손잡이(850)는 제3 손잡이 피니언 기어(852)가 구비된 일단이 상기 높낮이 하우징(700)의 내부에 내삽되고,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높낮이 하우징(700)의 외부에 노출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축 회전할 수 있도록 높낮이 하우징(700)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제3 손잡이(850)는 높낮이 하우징(700)을 중심으로 제2 손잡이(800)의 동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에 위치하도록 높낮이 하우징(700)에 설치되며, 래크(900)는 제3 손잡이(850)에 마주보는 좌측면에 제3 손잡이 피니언 기어(852)와 치합되는 다수의 톱니가 구비된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부는 래크(900)가 상하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래크(900)의 다른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 바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바는 하단이 높낮이 하우징(700)의 저면에 결합되며, 상단이 래크(9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래크(900)는 내부에 상기 가이드 바가 내삽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바에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 가이드 통로가 형성된다. 예컨데, 가이드 바가 봉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면, 상기 가이드 통로는 가이드 바의 외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몸체부 110 : 하부 하우징
112 : 제1 안착판 114 : 제2 안착판
120 : 중간 하우징 130 : 상부 하우징
132 : 제1 지지판 134 : 제2 지지판
200 : 제1 손잡이 210 : 제1 손잡이 피니언 기어
300 : 제1 회전력 전달수단 310 : 제1 링 기어
320 : 제2 링 기어 330 : 주 회전봉
400 : 제2 회전력 전달수단 410 : 제1 피니언 기어
420 : 제2 피니언 기어 430 : 보조 회전봉
500 : 제3 회전력 전달수단 510 : 제3 링 기어
520 : 회전각도 조절봉 530 : 회전 브라켓
532 : 제1 측판 533 : 제1 관통홀
534 : 상판 536 : 제2 측판
537 : 제2 관통홀 538 : 탈부착부
600 : 안테나형 길이조절대 610 : 제1 연결대
612 : 제1 외부 플랜지 620 : 제2 연결대
622 : 제1 내부 플랜지 624 : 제2 외부 플랜지
630 : 제3 연결대 632 : 제2 내부 플랜지
700 : 높낮이 하우징 800 : 제2 손잡이
810 : 제2 손잡이 피니언 기어 900 : 래크

Claims (9)

  1. 관형 구조를 갖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연통된 중간 하우징, 및 상기 중간 하우징에 연통되고 관형 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상부 하우징으로 구성된 몸체부;
    상기 하부 하우징을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의 방향을 하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1차로 전환하고, 상기 1차로 전환된 회전력의 방향을 상기 중간 하우징에서 복수개로 2차로 전환시키며, 상기 2차로 전환된 회전력으로 각 상부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된 디지털 영상촬영장치의 촬영각도를 조절하는 회전각도 조절부; 및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각 디지털 영상촬영장치에 통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각 디지털 영상촬영장치가 생성한 디지털 이미지를 수집하며, 상기 수집된 디지털 이미지들을 편집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도 조절부는
    제1 손잡이 피니언 기어가 구비된 일단이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부에 내삽되고,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하부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축 회전할 수 있도록 하부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1 손잡이;
    상기 제1 손잡이 피니언 기어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제1 링 기어와, 상기 제1 링 기어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제1 링 기어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며 상기 중간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2 링 기어, 및 상기 제1 링 기어와 제2 링 기어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링 기어의 회전에 따라 제2 링 기어를 연동시키는 주 회전봉으로 구성된 제1 회전력 전달수단;
    상기 중간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링 기어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제1 피니언 기어와, 상기 상부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2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제1 피니언 기어와 제2 피니언 기어 사이에 설치되어 제1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따라 제2 피니언 기어를 연동시키는 보조 회전봉으로 구성된 복수개의 제2 회전력 전달수단; 및
    각 제2 피니언 기어에 치합되는 제3 링 기어와, 상기 제3 링 기어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체결되는 회전각도 조절봉, 및 상기 회전각도 조절봉의 양단에 결합되고 디지털 영상촬영장치에 결합되어 회전각도 조절봉의 회전에 따라 디지털 영상촬영장치의 촬영각도를 조절하는 회전 브라켓으로 구성된 제3 회전력 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내주면을 따라 상기 주 회전봉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한 쌍의 안착판이 구비되며, 상기 주 회전봉은 그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안착판 사이에 내삽되는 회전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 기어는
    상기 제1 피니언 기어와 15 내지 75°의 내각을 갖도록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브라켓은
    상기 회전각도 조절봉의 일단이 끼움 결합되는 제1 관통홀이 구비된 제1 측판과, 상기 제1 측판의 상단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상판과, 상기 제1 측판과 마주보도록 상판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끼움 결합되는 제2 관통홀이 구비된 제2 측판, 및 상기 상판의 상부에 디지털 영상촬영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 탈부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의 내주면에 제1 나선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각도 조절봉의 양단에 제1 나선부에 대응되는 제2 나선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면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의 방향에 따라 상기 하부 하우징과 지면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면에 결합되며 밀거나 당겨주는 힘에 따라 상하 길이가 조절되는 안테나형 길이조절대;
    상기 길이조절대의 하부에 결합되고, 중공이 형성된 블록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길이조절대와 연통되는 높낮이 하우징;
    제2 손잡이 피니언 기어가 구비된 일단이 상기 높낮이 하우징의 내부에 내삽되고,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높낮이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축 회전할 수 있도록 높낮이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2 손잡이; 및
    길이 방향을 따라 표면에 다수의 톱니가 구비되어 상기 안테나형 길이조절대 및 높낮이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손잡이 피니언 기어에 상기 톱니가 치합되어 제2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래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

KR1020180015677A 2018-02-08 2018-02-08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 KR102053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677A KR102053984B1 (ko) 2018-02-08 2018-02-08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677A KR102053984B1 (ko) 2018-02-08 2018-02-08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117A KR20190096117A (ko) 2019-08-19
KR102053984B1 true KR102053984B1 (ko) 2019-12-12

Family

ID=6780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677A KR102053984B1 (ko) 2018-02-08 2018-02-08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9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5663B (zh) * 2019-10-18 2021-09-17 冯丽 一种用于法学艺术教育的教学装置及其方法
CN112128565B (zh) * 2020-09-27 2021-12-24 深圳市走去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vr技术的实时双向调节装置
CN115899477A (zh) * 2022-11-24 2023-04-04 江苏知更鸟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可升降投影仪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007B1 (ko) 2003-10-24 2005-08-31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차양막 절첩구조를 갖는 고정형 대형 파라솔
KR100561516B1 (ko) 2003-03-20 2006-03-16 최규식 접이식 골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텐트, 텐트에 이용되는 폴 및 회전구동모듈
JP2007108744A (ja) 2005-10-07 2007-04-26 Sony Taiwan Ltd パノラマ映像発生用マルチレンズ・カメラ方式の撮像装置
KR100844266B1 (ko) 2008-03-10 2008-07-07 구통완 파라솔
KR101803820B1 (ko) 2016-11-08 2017-12-01 주식회사 360미디어 가상현실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247Y1 (ko) 2001-03-28 2001-10-18 주식회사 테크노.티 대칭 각도를 가지도록 하는 카메라용 삼각대
KR100709783B1 (ko) 2005-03-05 2007-04-23 김배훈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
KR20110041890A (ko) 2009-10-16 2011-04-22 삼성전기주식회사 입체촬영 기능을 갖는 파노라마 카메라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516B1 (ko) 2003-03-20 2006-03-16 최규식 접이식 골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텐트, 텐트에 이용되는 폴 및 회전구동모듈
KR100511007B1 (ko) 2003-10-24 2005-08-31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차양막 절첩구조를 갖는 고정형 대형 파라솔
JP2007108744A (ja) 2005-10-07 2007-04-26 Sony Taiwan Ltd パノラマ映像発生用マルチレンズ・カメラ方式の撮像装置
KR100844266B1 (ko) 2008-03-10 2008-07-07 구통완 파라솔
KR101803820B1 (ko) 2016-11-08 2017-12-01 주식회사 360미디어 가상현실 360도 입체영상 촬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117A (ko) 201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984B1 (ko)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
US11025886B2 (en) Multi-lens camera with a single image sensor
JP5683025B2 (ja) 立体画像撮影装置および立体画像撮影方法
US20110176035A1 (en) Tilt and shift adaptor, camera and image correction method
CN103986867A (zh) 一种图像拍摄终端和图像拍摄方法
EP2422370A1 (en) Sensor systems and digital cameras
EP2474156A1 (en) Mobile wide-angle video recording system
JP2012170055A (ja) 撮像装置
US20180046067A1 (en) Multi-camera mount
CN108622428B (zh) 多摄像机无人机
CN102971667A (zh) 摄像装置
JP2005223897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機能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7052060A (ja) 立体カメラ用レンズシステム及び立体カメラ
US20050254817A1 (en) Autostereoscopic electronic camera
KR101711433B1 (ko) 폴대를 이용하여 천정과 바닥에 고정이 용이한 파노라마 카메라 시스템
JP4448001B2 (ja) 撮像装置
RU2650088C1 (ru) Способ панорамной стереосъемки
JP7263177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CN216526723U (zh) 一种图像采集与移动探测装置
KR102566181B1 (ko) 카메라 리그 및 모니터링 장치
CN213236902U (zh) 一种高速全景摄像头
KR20150045792A (ko) 렌즈 분리형 카메라의 동작 방법 및 장치
CN214315479U (zh) 一种立体影视拍摄装置
JP2006033395A (ja) 撮像装置及び立体撮像システム
JP2009116085A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