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1890A - 입체촬영 기능을 갖는 파노라마 카메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입체촬영 기능을 갖는 파노라마 카메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1890A
KR20110041890A KR1020090098914A KR20090098914A KR20110041890A KR 20110041890 A KR20110041890 A KR 20110041890A KR 1020090098914 A KR1020090098914 A KR 1020090098914A KR 20090098914 A KR20090098914 A KR 20090098914A KR 20110041890 A KR20110041890 A KR 20110041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camera
transfer member
stereoscopic
panor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8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1890A/ko
Publication of KR20110041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8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G03B37/02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with scanning movement of lens or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3/00Colour photography, other than mere exposure or projection of a colour film
    • G03B33/08Sequential recording or proj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촬영 기능을 갖는 파노라마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이 제1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촬영각도를 가변할 수 있도록 된 제1카메라모듈; 상기 제1카메라모듈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곳에 일측이 제2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촬영각도를 가변할 수 있도록 된 제2카메라모듈; 상기 제1카메라모듈과 제2카메라모듈 사이를 링크 연결시켜 연동되도록 하는 이송부재; 및 상기 이송부재가 촬영대상에 대하여 전, 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하나의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해 일반촬영, 파노라마촬영 및 입체촬영이 동시에 구현 가능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이를 통한 소비욕구를 충족시키는 한편, 기존의 독립된 기능을 갖는 별개의 카메라들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함으로써, 다양한 표현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고, 고가의 카메라 장비를 개별 구입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경제적인 효과를 갖는다.
입체촬영, 파노라마촬영, 이송부재

Description

입체촬영 기능을 갖는 파노라마 카메라 시스템{Panorama Camera System Mixed Stereo}
본 발명은 파노라마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해 일반촬영, 파노라마촬영 및 입체촬영이 동시에 구현 가능하도록 된 입체촬영 기능을 갖는 파노라마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는 사진촬영을 위한 광학기기로서, 일반적인 촬영방식 이외의 특수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특수 카메라들이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 렌즈가 회전해서 100∼140˚의 넓은 각도를 촬영할 수 있는 파노라마 카메라가 알려져 있는데, 상기 파노라마 카메라는 크게 렌즈회전식과 광각렌즈형의 두가지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 렌즈회전식의 파노라마 카메라는 렌즈를 회전시켜 촬영하는데, 이때 렌즈의 배면(背面)에는 차광통(遮光筒)이 있고, 필름에 대응한 곳에 슬릿이 있어서 화면의 한쪽으로부터 노광하는 형식을 취한다. 는 렌즈의 를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바꾸게 되는데, 이 카메라에 의한 사진은 광축(光軸)에 대하여 직각인 부분이 크게 찍히고, 기울어질수록 거리가 커져서 작게 찍히는 성질이 있다.
그리고, 광각렌즈형의 파노라마 카메라는 초광각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렌즈의 회전 없이도 사진의 촬영이 가능하다. 이때 로 인해 발생하는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나 벨로우즈를 장착하기도 한다.
이밖에 또 다른 특수 카메라의 일종으로 입체 카메라가 있다.
상기 입체 카메라에 대해 설명하면, 동시에 2장의 화상을 얻을 수 있게 한 특수카메라로서, 2개의 촬영용 렌즈를 일정 간격 띄워놓고 같은 물체를 촬영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이렇게 얻은 사진을 스테레오 뷰어를 이용하여 보면 상이 입체적으로 보이게 된다.
상기 입체 카메라는 카메라(stereo camera)라고도 칭하는데, 사람이 두 눈으로 물체를 (立體視)하고 원근을 판단하게 되는 것과 같은 원리를 응용하여 만든 것이다.
사람의 두 눈의 간격은 대체로 6∼7cm 정도이며, 따라서 입체카메라도 이에 따라 6.5∼7cm 정도의 기선간격(基線間隔)을 두고 같은 성능의 렌즈를 좌우에 나란히 설치한 쌍안카메라로 이루어진다.
이때, 두 개의 렌즈는 초점조절과 노출조절, 그리고 셔터의 작동이 연동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입체카메라로 촬영한 슬라이드나 사진을 (stereo scopic viewer: 스테레오카메라나 로 촬영한 )로 보면 두 렌즈의 시점(視點)의 차로 인한 시차로 인해 입체적으로 피사체의 상이 보이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파노라마 카메라와 입체 카메라는 일반 카메라와는 별개의 서로 다른 개별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어, 특수 효과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이들 고가의 카메라 장비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고, 이는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각각의 제품을 별도로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관리에 많은 불편함이 있고, 이들을 함께 가지고 다닐 경우, 운반 및 취급이 자유롭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해 일반촬영, 파노라마촬영 및 입체촬영이 동시에 구현되도록 하는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러 가지 기능의 카메라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시켜 장비 구입 및 유지 관리가 편리하도록 하는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입체촬영 기능을 갖는 파노라마 카메라 시스템은 일측이 제1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촬영각도를 가변할 수 있도록 된 제1카메라모듈; 상기 제1카메라모듈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곳에 일측이 제2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촬영각도를 가변할 수 있도록 된 제2카메라모듈; 상기 제1카메라모듈과 제2카메라모듈 사이를 링크 연결시켜 연동되도록 하는 이송부재; 및 상기 이송부재가 촬영대상에 대하여 전, 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카메라모듈과 제2카메라모듈은 이송부재의 전, 후진 운동에 연동하여 촬영각도가 가변되고, 전진, 중립, 후진 상태로 이동됨에 따라 카메라 촬영모드를 파노라마촬영모드, 평상시촬영모드, 입체촬영모드로 각각 전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카메라모듈과 제2카메라모듈에 각각 연결되는 링크 끝단을 슬릿홈으로 형성하고, 이송부재의 전, 후진 운동시 연결부의 신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일측단이 축결합되고, 타측단이 이송부재와 나선 결합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하나의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해 일반촬영, 파노라마촬영 및 입체촬영이 동시에 구현 가능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이를 통한 소비욕구를 충족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독립된 기능을 갖는 별개의 카메라들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함으로써, 다양한 표현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고, 고가의 카메라 장비를 개별 구입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카메라 장비의 구입비용을 절감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촬영 기능을 갖는 파노라마 카메라 시스템의 평상시촬영모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촬영 기능을 갖는 파노라마 카메라 시스템의 파노라마촬영모드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촬영 기능을 갖는 파노라마 카메라 시스템의 입체촬영모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촬영 기능을 갖는 파노라마 카메라 시스템은 크게 제1카메라모듈(10), 제2카메라모듈(20), 이송부재(30), 구동장치(40)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제1카메라모듈(10)은 일측이 제1힌지축(11)으로 케이스(미도시)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힌지축(11)을 중심으로 촬영각도를 가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카메라모듈(20)은 제1카메라모듈(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케이스(미도시)에 일측이 제2힌지축(21)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힌지축(21)을 중심으로 촬영각도를 가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카메라모듈(10)과 제2카메라모듈(20)은 동일한 성능과 시스템으로 구성되고 있고, 각각은 초점조절과 노출조절, 그리고 셔터의 작동이 상호 연동 조작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재(30)는 상기 제1카메라모듈(10)과 제2카메라모듈(20) 사이를 링크(31) 연결시켜 상호 연동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링크(31)는 이송부재(30)의 좌우 양측에 대칭구조로 설치되는데, 상기 제1카메라모듈(10)과 제2카메라모듈(20)에 각각 연결되는 링크(31) 끝단을 슬릿 홈(33)으로 형성하고, 이송부재(30)의 전, 후진 운동시 연결부의 신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슬릿홈(33)과 결합되는 슬라이드 결합돌기(13)(23)가 각각 제1카메라모듈(10)과 제2카메라모듈(20) 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결합돌기(13)(23) 슬릿홈(33)을 따라 이동하면 연결부의 신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카메라모듈(10)과 제2카메라모듈(20)은 이송부재(30)의 전, 후진 운동에 연동하여 촬영각도가 가변되고, 전진, 중립, 후진 상태로 이동됨에 따라 카메라 촬영모드를 파노라마촬영모드, 평상시촬영모드, 입체촬영모드로 각각 전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부재(30)는 구동장치(40)에 연결되어 자동 이송된다.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이송부재(30)가 촬영대상에 대하여 전, 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데,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41), 및 상기 모터(41)의 회전축과 일측단이 축결합되고, 타측단이 이송부재(30)와 나선 결합되는 스크류(4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1의 평상시 촬영모드에서 사용자가 파노라마 촬영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구동장치(40)에 신호가 인가되어 모터(41)가 시계방향(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모터(41)의 회전력은 스크류(43)로 전달되어 회전됨에 따라 이송부재(30)를 도 2에서와 같이 촬영대상 방향으로 전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부재(30)와 링크(31) 연결된 제1카메라모듈(10)과 제2카메라모듈(20)이 각각 외측방향으로 축 회동함으로써, 촬영각도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는, 파노라마 카메라의 광각렌즈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넓은 화각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체촬영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구동장치(40)에 신호가 인가되어 모터(41)가 반시계방향(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모터(41)의 회전력은 스크류(43)로 전달되어 역회전됨에 따라 이송부재(30)를 도 3에서와 같이 촬영대상의 반대방향으로 후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부재(30)와 링크(31) 연결된 제1카메라모듈(10)과 제2카메라모듈(20)이 각각 내측방향으로 축 회동함으로써, 촬영각도가 내측으로 오므러든다.
이는, 카메라의 시차가 겹치는 것을 이용하여 입체 카메라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제1카메라모듈(10)과 제2카메라모듈(20)를 향하게 하면, 근접계에 있는 대상에 대해서도 입체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해 일반촬영, 파노라마촬영 및 입체촬영이 동시에 구현 가능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이를 통한 소비욕구를 충족시키게 된다.
또한, 다양한 표현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고, 고가의 카메라 장비를 개별 구입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경제적인 이점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촬영 기능을 갖는 파노라마 카메라 시스템의 평상시촬영모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촬영 기능을 갖는 파노라마 카메라 시스템의 파노라마촬영모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촬영 기능을 갖는 파노라마 카메라 시스템의 입체촬영모드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카메라 모듈 11: 제1힌지축
13: 슬라이드 결합돌기 20: 제2카메라 모듈
21: 제2힌지축 23: 슬라이드 결합돌기
30: 이송부재 31: 링크
33: 슬릿홈 40: 구동장치
41: 모터 43: 스크류

Claims (4)

  1. 일측이 제1힌지축(11)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힌지축(11)을 중심으로 촬영각도를 가변할 수 있도록 된 제1카메라모듈(10);
    상기 제1카메라모듈(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곳에 일측이 제2힌지축(21)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힌지축(21)을 중심으로 촬영각도를 가변할 수 있도록 된 제2카메라모듈(20);
    상기 제1카메라모듈(10)과 제2카메라모듈(20) 사이를 링크(31) 연결시켜 연동되도록 하는 이송부재(30); 및
    상기 이송부재(30)가 촬영대상에 대하여 전, 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촬영 기능을 갖는 파노라마 카메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메라모듈(10)과 제2카메라모듈(20)은 이송부재(30)의 전, 후진 운동에 연동하여 촬영각도가 가변되고, 전진, 중립, 후진 상태로 이동됨에 따라 카메라 촬영모드를 파노라마촬영모드, 평상시촬영모드, 입체촬영모드로 각각 전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촬영 기능을 갖는 파노라마 카메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메라모듈(10)과 제2카메라모듈(20)에 각각 연결되는 링크(31) 끝단을 슬릿홈(33)으로 형성하고, 이송부재(30)의 전, 후진 운동시 연결부의 신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촬영 기능을 갖는 파노라마 카메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40)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41), 및
    상기 모터(41)의 회전축과 일측단이 축결합되고, 타측단이 이송부재(30)와 나선 결합되는 스크류(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촬영 기능을 갖는 파노라마 카메라 시스템.
KR1020090098914A 2009-10-16 2009-10-16 입체촬영 기능을 갖는 파노라마 카메라 시스템 KR201100418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914A KR20110041890A (ko) 2009-10-16 2009-10-16 입체촬영 기능을 갖는 파노라마 카메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914A KR20110041890A (ko) 2009-10-16 2009-10-16 입체촬영 기능을 갖는 파노라마 카메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890A true KR20110041890A (ko) 2011-04-22

Family

ID=44047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914A KR20110041890A (ko) 2009-10-16 2009-10-16 입체촬영 기능을 갖는 파노라마 카메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189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683B1 (ko) * 2011-07-26 2013-04-15 (주)에너브레인 3d 영상 촬영용 거치대 및 3d 영상의 촬영 제어 방법
KR101379285B1 (ko) * 2012-09-11 2014-04-02 주식회사 리메드 경두개 자기 자극 사용을 위한 화각 조절이 가능한 스테레오 카메라 장치
CN106488095A (zh) * 2016-10-13 2017-03-08 安徽协创物联网技术有限公司 一种可调节镜头数量的全景相机
KR20190064540A (ko) * 2019-05-28 2019-06-10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파노라마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90096117A (ko) 2018-02-08 2019-08-19 소프트상추주식회사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
CN112764306A (zh) * 2019-10-21 2021-05-07 广州口可口可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虚拟现实全景图像采集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683B1 (ko) * 2011-07-26 2013-04-15 (주)에너브레인 3d 영상 촬영용 거치대 및 3d 영상의 촬영 제어 방법
KR101379285B1 (ko) * 2012-09-11 2014-04-02 주식회사 리메드 경두개 자기 자극 사용을 위한 화각 조절이 가능한 스테레오 카메라 장치
CN106488095A (zh) * 2016-10-13 2017-03-08 安徽协创物联网技术有限公司 一种可调节镜头数量的全景相机
CN106488095B (zh) * 2016-10-13 2019-12-13 安徽协创物联网技术有限公司 一种可调节镜头数量的全景相机
KR20190096117A (ko) 2018-02-08 2019-08-19 소프트상추주식회사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
KR20190064540A (ko) * 2019-05-28 2019-06-10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파노라마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CN112764306A (zh) * 2019-10-21 2021-05-07 广州口可口可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虚拟现实全景图像采集装置
CN112764306B (zh) * 2019-10-21 2024-04-12 广州口可口可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虚拟现实全景图像采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93835B1 (en) Variable three-dimensional camera assembly for still photography
JP4291862B2 (ja) 立体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及び立体テレビジョン受像機
CN102986233B (zh) 图像摄像装置
US7061532B2 (en) Single sensor chip digital stereo camera
WO2011068139A1 (ja) 立体映像撮像装置
US10045005B2 (en) 3D camera module
KR20110041890A (ko) 입체촬영 기능을 갖는 파노라마 카메라 시스템
JP5827988B2 (ja) 立体画像撮像装置
WO2004036895A3 (en) Method for arranging cameras and mirrors to allow panoramic visualization
CN102012627B (zh) 一种双目立体摄像机和3d成像系统
US9983384B2 (en) Stereoscopic lens for digital cameras
JP4421662B2 (ja) 立体映像撮像表示システム
JP2006033476A (ja) 撮影装置、表示装置及び撮影表示装置
JP2011048120A (ja) 二眼式デジタルカメラ
JP5638791B2 (ja) 撮像装置
JP2012227679A (ja) 2眼カメラ
WO2011086890A1 (ja) 鏡筒アダプタ、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WO2012117619A1 (ja) 立体画像撮像装置
JP2023133340A (ja) 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16020976A (ja) 撮像装置
Joblove Development of Tools and Workflow for “Run-and-Gun” Video Production in Stereoscopic 3D
Melkumov 3D Shooting with a Single Digital Camera with the Use of 3D Lenses of the Stereoscopic System “Stereo-70”
Zoney Spatial Plasticity: Dual‐Camera Configurations and Variable Interaxial
Ariyaeeinia Single-camera 3D TV system
WO2013061334A1 (en) 3d stereoscopic imaging device with auto paralla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