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7778A - 알에프 신호 제한기 - Google Patents

알에프 신호 제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7778A
KR20060097778A KR1020050018482A KR20050018482A KR20060097778A KR 20060097778 A KR20060097778 A KR 20060097778A KR 1020050018482 A KR1020050018482 A KR 1020050018482A KR 20050018482 A KR20050018482 A KR 20050018482A KR 20060097778 A KR20060097778 A KR 20060097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level
directional coupler
direct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2053B1 (ko
Inventor
김효성
Original Assignee
넥스원퓨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스원퓨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스원퓨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8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053B1/ko
Publication of KR20060097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47C27/005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liquid-imperme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4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with projections, depressions or cavities
    • A47C27/14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with projections, depressions or cavities inside the mattress or cushion

Landscapes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빠른 회복시간을 갖으면서도 고 레벨의 입력신호를 일정한 레벨의 신호로 제한하기 위한 리미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된 RF 신호가 입력포트, 상기 입력포트에 직렬 연결된 방향성 결합기 및 콘덴서를 통하여 출력포트로 출력되는 RF 신호 제한기(limiter)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와 출력포트간의 연결선과 접지간에 병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 다이오드들로 이루어진 제한부; 상기 방향성 결합기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직류성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직류를 상기 제한부에 입력시키는 자려 직류 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기술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핀 다이오드, 방향성 결합기, 오픈 스터브

Description

알에프 신호 제한기{limmiter for radio frequency receiving device}
도 1은 종래의 RF 신호 제한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타려 직류 발생기의 블록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RF 수신장치에서 입력신호의 레벨을 균일하게 하는 RF 신호 제한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RF(radio frequency) 수신장치의 리미터는 입력포트와 출력포트 사이에 병렬로 핀 다이오드(PIN Diode)를 설치하여 저 레벨의 신호는 그대로 통과시키고, 고 레벨의 신호에 대하여 감쇄시켜 균일한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 있다.
도 1에서 입력포트(Pin)에 입력신호가 입력되어 출력포트(Pout)로부터 출력신호가 출력되게 되지만 입력신호가 콘덴서(C1)를 통과하면서 직류성분이 제거되게 되고, 라인과 접지간에 설치된 핀 다이오드(D1), (D2), (D3)에 의하여 입력신호가 일정한 레벨로 맞춰져 출력되게 된다.
이때, 핀 다이오드(D1), (D2), (D3)는 유입되는 전류량에 비례하여 대략 1Ω 내지 10,000Ω 정도로 변화하는 것으로 선형성(linearity), 낮은 분산(distortion) 특성, 낮은 구동전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RF 스위치, 감쇠기, 변조기, 제한기, 위상변위기등의 신호조절회로에 많이 사용되는 소자이다.
도 1에 도시된 회로에서 저레벨의 RF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핀 다이오드(D1), (D2), (D3)를 온 시킬 수 있는 전류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손실없이 출력포트(Pout)로 출력되게 되며, 고 레벨의 RF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핀 다이오드(D1)가 턴 온 되어 고 전력의 신호를 일정 레벨의 중 전력신호로 감쇄하며, 핀 다이오드(D2), (D3)에서는 핀 다이오드(D1)에서 제한된 중 전력신호를 저 전력의 일정신호 레벨 이하로 제한하여 출력포트(Pout)에서 설정된 일정 레벨의 신호를 얻게된다. 여기서 제한기로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이 커지면 핀 다이오드(D1)의 용량이 증가하게 되며, 핀 다이오드(D1)의 용량이 증가하게 되면 제한기의 회복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와 반대로 핀 다이오드(D1)의 용량을 감소시키면 제한기의 회복시간은 만족시키나 설정값 이상의 RF 신호에 의하여 핀 다이오드(D1)이 소손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빠른 회복시간을 갖으면서도 고 레벨의 입력신호를 일정한 레벨의 신호로 제한하기 위한 리미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입력된 RF 신호가 입력포트, 상기 입력포트에 직렬 연결된 방향성 결합기 및 콘덴서를 통하여 출력포트로 출력되는 RF 신호 제한기(limiter)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와 출력포트간의 연결선과 접지간에 병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 다이오드들로 이루어진 레벨 제한부; 상기 방향성 결합기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직류성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직류를 상기 제한부에 입력시키는 자려 직류 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출력포트에는 RF 신호레벨로부터 직류를 검출하여 기 설정값보다 작은 때에는 상기 레벨 제한부에서 작은 감축이 일어나도록 제어하고, 클 때에는 상기 제한부에서 큰 감축이 일어나도록 제어하는 타려 직류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방향성 결합기는 입력되는 RF신호를 소정의 레벨만큼 강하시켜 상기 자려 직류 발생수단에 입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자려 직류 발생수단은 상기 방향성 결합기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포락선 검파를 수행하는 병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자려 직류 발생수단은 상기 다이오드들에서 검파된 고주파 성분을 접지측에 출력시키는 오픈 스터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타려 직류 발생수단은 직류성분만을 검출하는 디텍 터; 상기 디텍터로부터 검출되는 직류를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에서 비교된 값에 의하여 직류성분을 발생시키는 직류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2에서 입력포트(Pin)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는 방향성 결합기(10), 제 1 콘덴서(C11), 제 2 콘덴서(C12)를 통과하여 출력포트(Pout)로 출력되게 된다.
또한, 제 1 콘덴서(C11)과 제 2 콘덴서(C12) 사이의 연결선과 접지간에는 핀 다이오드(D14), (D15)가 설치되고, 제 2 콘덴서(C12)와 출력포트(Pout)의 연결선과 접지간에는 핀 다이오드(D16)가 설치된다.
또한, 방향성 결합기(10)와 접지판(30) 사이에는 자려 직류 발생수단(20)이 설치되고, 자려 직류 발생수단(20)의 출력부는 핀 다이오드(D14)의 애노우드에 연결된다.
또한, 자려 직류 발생수단(20)의 출력부와 접지간에는 콘덴서(C13)가 설치되고, 핀 다이오드(D15)의 애노우드와 접지간에는 콘덴서(C14) 및 저항(R12)가 병렬 설치되고, 핀 다이오드(D16)의 애노우드와 접지간에는 콘덴서(C15)와 저항(R13)이 병렬 설치된다.
자려 직류 발생수단(20)은 방향성 결합기(10)와 접지판(30)에 병렬로 설치되는 핀 다이오드들(D11), (D12), (D13)과 이들 핀 다이오들의 애노우드들과 접지간에 설치되는 1/4 파장의 오픈 스터브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 도시된 실시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방향성 결합기(10)를 통과한 신호는 콘덴서(11)에 의하여 직류성분은 차단되고 교류 신호 성분만 콘덴서(C12)에 입력되게 된다. 이때, 방향성 결합기(10)는 자려 직류발생기(20)에 입력신호중 일부 신호를 추출하여 공급한다. 바람직하게는 40db만큼 감소시켜 자려 직류 발생기(20)에 입력시킨다. 자려 직류 발생기(D11), (D12), (D13)의 핀 다이오드들(D11), (D12), (D13)에서는 교류 신호의 포락선 검파를 수행하게 되고, 차단된 교류신호성분은 1/4 파장 오픈 스터브를 통하여 접지로 출력되게 된다. 또한, 포락선 검파에 의하여 검파되는 직류성분은 핀 다이오드(D14)에 입력되게 된다. 이때의 직류레벨의 크기는 방향성 결합기에 입력되는 신호의 직류레벨보다 감소된 직류레벨을 갖기 때문에 핀 다이오드(D14)를 소손시키지 않고, 바이어스를 인가하기 때문에 핀 다이오드(D14)의 애노우드에 입력되는 직류 레벨에 비례하여 입력신호의 레벨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입력포트(Pin)에 입력되는 기설정된 값 보다 큰 레벨의 입력신호에 대하여 핀 다이오드(D14)의 용량을 늘리지 않은 상태에서 균일레벨로 맞출 수 있기 때문에 고 레벨의 신호를 감축하기 위하여 핀 다이오드(D14)의 용량을 늘리지 않으면서도 고 레벨의 입력신호에서도 견디도록 하며, 제한기의 회복시간을 증가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핀 다이오드(D15)는 핀 다이오드(D14)를 통과한 중전력 신호를 제한 하기 위한 것이고, 핀 다이오드(D14)보다 작은 진성영역을 갖도록 설계되며, 핀 다이오드(D16)는 낮은 레벨의 신호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출력신호를 원하는 일정 레벨 이하로 정밀하게 제어하는 플랫 리퀴지(flat leakage) 신호를 고려하여 설계 된다.
미설명된 콘덴서(C13)는 자려 직류 발생기(20)에 입력되는 RF 입력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고, 콘덴서(C14), (C15), 저항(R12), (R13)은 직류 성분의 휘드백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콘덴서(C12)는 입력되는 신호중에 교류 신호성분만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며, 저항(R11)은 방향성 결합기의 임피이던스 매칭용 저항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2의 실시예와 방향성 결합기(10), 자려 직류 발생부(20)와 동일하고, 레벨 제한부(50)는 핀 다이오드(D14), (D15), (D16)로 이루어진 기술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타려 직류 발생부(60)는 레벨 제한부(50)에 의하여 레벨이 제한된 신호를 피드백 받아 이를 설정된 레벨과 비교하여 낮은 경우에는 직류 성분을 감소시켜 레벨 제한 부에서 감축되는 레벨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높은 경우에는 직류 성분을 다시 증가시켜 레벨 제한 부에서 감축되는 레벨의 크기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되는 신호레벨을 입력받아 직류성분만을 검출하기 위한 디텍터(41), 디텍터(41)에 의하여 검출되는 직류를 기 설정된 직류레벨과 비교하기 위한 비교기(42), 상기 비교기(42)에서 비교결과 검출된 전압이 기설정 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는 DC 발생부(44)에 낮은 직류전압을 발생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시키고, 기설정 전압보다 높은 경우에는 DC 발생부(44)에 높은 직류 전압을 발생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시키는 DC 전압 제어기 (43)와, DC 전압 제어기(4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직류전압을 출력시키는 DC 발생부(44)로 이루어진다. 이때, 디텍터(41)는 실제적으로 핀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포락선 검파를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DC 전압 제어기(43)과 비교기(42)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DC 발생부(44)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하여 신호입력을 받아 동작하는 PWM IC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다양한 변형 설계는 당업계의 종사자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목적과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핀 다이오드의 용량을 늘지지 않고도 높은 레벨의 입력신호를 기 설정된 레벨 이하로 낮출 수 있기 때문에 빠른 회복시간을 갖으면서도 고 레벨의 입력신호를 일정한 레벨의 신호로 제한하기 때문에 고 전력을 사용하는 RF 기기의 수신회로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1. 입력된 RF 신호가 입력포트, 상기 입력포트에 직렬 연결된 방향성 결합기 및 콘덴서를 통하여 출력포트로 출력되는 RF 신호 제한기(limiter)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와 출력포트간의 연결선과 접지간에 병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 다이오드들로 이루어진 레벨 제한부;
    상기 방향성 결합기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직류성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직류를 상기 제한부에 입력시키는 자려 직류 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신호 제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포트에는 RF 신호레벨로부터 직류를 검출하여 기 설정값보다 작은 때에는 상기 레벨 제한부에서 작은 감축이 일어나도록 제어하고, 클 때에는 상기 제한부에서 큰 감축이 일어나도록 제어하는 타려 직류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 제한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결합기는 입력되는 RF신호를 소정의 레벨만큼 강하시켜 상기 자려 직류 발생수단에 입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 제한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려 직류 발생수단은 상기 방향성 결합기로부터 신 호를 입력받아 포락선 검파를 수행하는 병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 제한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려 직류 발생수단은 상기 다이오드들에서 검파된 고주파 성분을 접지측에 출력시키는 오픈 스터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 제한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려 직류 발생수단은 직류성분만을 검출하는 디텍터; 상기 디텍터로부터 검출되는 직류를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에서 비교된 값에 의하여 직류성분을 발생시키는 직류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 제한기.
KR1020050018482A 2005-03-07 2005-03-07 알에프 신호 제한기 KR100682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482A KR100682053B1 (ko) 2005-03-07 2005-03-07 알에프 신호 제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482A KR100682053B1 (ko) 2005-03-07 2005-03-07 알에프 신호 제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778A true KR20060097778A (ko) 2006-09-18
KR100682053B1 KR100682053B1 (ko) 2007-02-12

Family

ID=37629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482A KR100682053B1 (ko) 2005-03-07 2005-03-07 알에프 신호 제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20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654B1 (ko) * 2012-01-09 2012-06-25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밀리미터파 탐색기용 능동 pin 다이오드 리미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0980A (en) 1987-06-04 1989-03-07 Texas Instruments, Inc. Matched variable attenuation switched limiter
US5301081A (en) * 1992-07-16 1994-04-05 Pacific Monolithics Input protection circuit
KR20000014254U (ko) * 1998-12-30 2000-07-25 김종수 리미터회로
JP4256635B2 (ja) 2002-06-28 2009-04-22 アイ電子株式会社 リミッタ回路
JP4363922B2 (ja) 2003-07-30 2009-11-11 株式会社東芝 リミッタ回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654B1 (ko) * 2012-01-09 2012-06-25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밀리미터파 탐색기용 능동 pin 다이오드 리미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2053B1 (ko) 2007-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09733B1 (en) Radio-frequency power amplifier device
KR100351930B1 (ko) 파워증폭기용선형성향상회로
KR102037551B1 (ko) 지연 보정을 갖는 포락선 추적 전력 증폭 시스템
US6414562B1 (en) Circuit and method for impedance matching
US11546192B2 (en) Receiver circuits with blocker attenuating rf filter
JP2004007673A (ja) 誘導性負荷駆動装置及び該誘導性負荷駆動装置で駆動されるytoを備えた信号解析装置
US11482972B2 (en) Power supply for radio-frequency power amplifier
US6346853B1 (en) Predistortion linearizer circuit
JP2540299B2 (ja) 無線受信機
JPS62159502A (ja) 方向性結合器
CN104486707A (zh) 一种功放主备切换器及其功放故障判断方法
CN112202409A (zh) 低噪声放大模块、接收机和信号处理方法
KR100682053B1 (ko) 알에프 신호 제한기
US7205843B2 (en) Protection circuit for power amplifier
WO2021024778A1 (ja) 伝送装置、パワーデバイス駆動回路および信号伝送方法
CN116404987A (zh) 功率放大装置及电子设备
CN105119597A (zh) 一种基于中频限幅电路的宽带低噪声信号发生器
CN101459446A (zh) 一种提高接收机动态范围的装置
CN103178483A (zh) 一种具有反向保护功能的射频信号源及反向保护方法
CN110690683A (zh) 智能功率模块的过流保护电路及过流保护装置
US6556050B2 (en) High speed signal window detection
KR20200052531A (ko) 부하 변동에 속응성을 가진 플라즈마 파워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50060173A (ko) 전력 증폭기
JP3820120B2 (ja) 送信機
US20080211564A1 (en) Signal Input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