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7363A - 폭발탄 및 상기 폭발탄을 구성하는 파편부재결합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폭발탄 및 상기 폭발탄을 구성하는 파편부재결합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7363A
KR20060097363A KR1020050019651A KR20050019651A KR20060097363A KR 20060097363 A KR20060097363 A KR 20060097363A KR 1020050019651 A KR1020050019651 A KR 1020050019651A KR 20050019651 A KR20050019651 A KR 20050019651A KR 20060097363 A KR20060097363 A KR 20060097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bris
explosive
debris member
lower mold
war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0155B1 (ko
Inventor
김용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
Priority to KR1020050019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155B1/ko
Publication of KR20060097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28F25/06Spray nozzles or spray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발탄 및 상기 폭발탄을 구성하는 파편부재결합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내측 하부에 추진제 및 뇌관이 구비된 탄피와, 상기 탄피에 결합되어 상기 뇌관을 통해 추진제의 점화에 따라 탄피와 분리 발사됨과 아울러 그 내부에 폭약 점화를 위한 신관이 배치된 탄체와, 상기 탄체의 선단에 결합 설치되어 그 내부에 상기 신관에 의해 점화되는 고폭약이 충진됨과 동시에 상기 고폭약의 폭발 시 파편 형태로 비산되도록 그 내주면 전체를 따라 파편부재결합체가 배치되는 탄두로 구성된 폭발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편부재를 안착할 수 있는 안착공이 마련된 탄두 형상을 갖는 인서트 코어 형태의 하부금형에 다수개의 파편부재를 고르게 분산 배치시켜 고정하는 파편부재배치단계; 상기 파편부재배치단계를 통해 상기 하부금형 상에 배치 고정된 파편부재를 상부금형으로 씌운 다음, 상기 상부금형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통해 액상의 결합재를 부어 전체 파편부재를 하나의 결합체로 고착시키는 주조단계; 상기 주조단계 후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을 제거하여 파편부재와 결합재로 이루어진 파편부재결합체를 분리하는 분리단계로 구성된 폭발탄을 구성하는 파편부재결합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폭발탄, 유탄, 탄두, 탄체, 탄피, 신관, 파편부재, 고폭약, 추진제, 뇌관

Description

폭발탄 및 상기 폭발탄을 구성하는 파편부재결합체 제조방법{Explosive shell and method for a splinter combination body thereof}
도 1은 종래 통상의 유탄 구조를 보여주는 구성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폭발탄의 구조를 보여주는 구성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폭발탄을 구성하는 요부인 탄두의 구성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폭발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 단면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폭발탄을 구성하는 파편부재결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하부금형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파편부재결합체의 제조방법 중 파편부재배치단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
도 6c 및 6d는 본 발명에 따른 파편부재결합체의 제조방법 중 주조단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
도 6e 및 6f는 본 발명에 따른 파편부재결합체의 제조방법 중 분리단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폭발탄을 구성하는 파편부재결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하부금형의 변형된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폭발탄을 구성하는 파편부재결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하부금형의 또 다른 변형된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폭발탄 10 : 탄피
11 : 뇌관 12 : 추진제
20 : 탄체 21 : 신관
30 : 탄두 31 : 고폭약
32 : 파편부재결합체 33 : 파편부재
34 : 결합재 35 : 내부케이스
40 : 하부금형 41 : 안착공
42 : 마그네틱 43 : 에어홀
44 : 에어흡입동작부 50 : 상부금형
51 : 가이드홀 60 : 보관조
본 발명은 폭발탄 및 상기 폭발탄을 구성하는 파편부재결합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40㎜ 유탄발사기, 박격포 등의 유탄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탄두 내주면 전체에 볼과 같은 균일하고 다양한 형태를 갖는 파편부재결합체를 배치함과 아울러 탄두 내에 고폭약을 충진하고 탄체 내에 신관을 배치함으로 써, 탄을 이용한 원거리 공격 시 목표물 즉, 탄착지에 도달할 때 공중에서 탄두 내에 고폭약이 폭발하여 탄두내 배치된 파편부재결합체가 파편형태로 비산되면서 은폐 혹은 엄폐된 적들까지도 효과적으로 살상할 수 있도록 한 폭발탄 및 상기 폭발탄을 구성하는 파편부재결합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40㎜ 유탄발사기 등에서 발사되는 유탄은 일종의 수류탄으로, 신관이 작동되어 탄체가 폭발할 경우 주변으로 그 탄체 파편조각이 맹렬한 속도로 퍼져나가기 때문에 인마 살상력이 큰 매우 위협적인 탄이다.
특히, 40㎜ 유탄발사기 등에서 발사되는 유탄은 손으로 직접 던지는 수류탄에 비해 그 사정거리가 매우 길기 때문에 먼 거리에서 적을 제압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40㎜ 유탄발사기 등에서 발사되는 종래의 유탄(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하부에 추진제(112) 및 뇌관(111)이 구비된 탄피(110)와, 상기 탄피(110)에 결합되어 상기 뇌관(111)을 통해 추진제(112)의 점화에 따라 탄피(110)로부터 분리 발사됨과 아울러 고폭약(121)이 충진된 탄체(120)와, 상기 탄체(120)의 선단에 결합 설치되어 그 내부에 신관(131)이 구비된 원추형 탄두(13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되지 않은 유탄발사기의 공이 부분이 상기 탄피(110) 측에 마련된 뇌관(111)을 타격하면, 상기 탄피(110)측의 추진제(112)가 1차적으로 점화되어 추진제(112)의 순간 연소압력에 의해 탄체(120)와 탄두(130)가 함께 발사되고, 목표물 즉, 탄착지에 도달하는 탄체(120)는 탄두(130) 내부에 마련된 신관(131)이 충 격을 받아 작동함에 따라 탄체(120) 내의 고폭약(121)이 점화됨으로써 강력한 폭발에 의해 사전에 엠보 형태로 돌출 형성된 탄체(120)의 각 부위들이 찢겨져 파편조각 형태로 주변으로 맹렬하게 비산됨에 따라 인마를 살상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종래 유탄(100)의 경우, 탄두(130) 내부에 신관(131)이 마련되어 탄체(120)와 함께 탄두(130)가 동시에 날아가 탄착지(대부분 지면)에 적중하여 탄두(130) 내부의 신관(131)에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그 신관(131)의 작동으로 탄체(120) 내의 고폭약(121)이 점화되어 폭발하면서 탄체(120)가 파편조각으로 비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탄체(120) 자체가 강력한 폭발력에 의해 파편조각으로 찢겨져 비산되면서 살상력을 제공하게 됨에 따라 인마 살상력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서는 비산되는 탄체(120)의 파편조각이 최대한 균일하면서도 비산 반경이 넓게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유탄(100)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탄체(120) 자체에 엠보 형태로 다수개 돌출 구획하여 고폭약(121) 폭발 시 탄체(120)가 엠보 형태로 찢겨져 비산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비산되는 파편조각 자체가 균일하지 않음은 물론, 고르게 비산되는 데 그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었다.
특히, 종래 유탄(100)의 경우, 발사된 탄두(130) 및 탄체(120)가 목표물 즉, 탄착지(대부분 지면)에 부딪혀 그 충격에 의해 탄두(130) 내부에 구비된 신관(131)이 충격에 의해 점화되는 충격신관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탄체(120)가 폭발하여 비산될 때 지면 부근에서 비산되게 되고, 그로 인해 은폐 및 엄폐된 적들을 살상하는 데 있어 그 다지 효과적이지 못하며, 그 비산 거리가 비교적 넓지 못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은폐 및 엄폐된 적들까지도 살상할 수 있도록 살상력을 극대화시키는 것에 최대 목적으로 하는 탄의 특성을 고려 한다면, 종래의 유탄(100) 구조는 바람직하다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살상력이 띄어난 탄의 구조로 개량 발전시킬 필요성을 가지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유탄의 단점을 보완 개선한 새로운 형태의 탄 구조를 제공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탄두 내주면 전체에 볼과 같은 균일하고 다양한 형태를 갖는 파편부재결합체를 배치함과 아울러 탄두 내에 고폭약을 충진하고 탄체 내에 신관을 배치함으로써, 탄을 이용한 원거리 공격 시 목표물 즉, 탄착지에 도달할 때 공중에서 탄두 내에 고폭약이 폭발하여 탄두내 배치된 파편부재결합체가 파편형태로 비산되면서 은폐 혹은 엄폐된 적들까지도 효과적으로 살상할 수 있도록 한 폭발탄 및 상기 폭발탄을 구성하는 파편부재결합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 하부에 추진제 및 뇌관이 구비된 탄피와, 상기 탄피에 결합되어 상기 뇌관을 통해 추진제의 점화에 따라 탄피와 분리 발사됨과 아울러 그 내부에 폭약 점화를 위한 신관이 배치된 탄체와, 상기 탄체의 선단에 결합 설치되어 그 내부에 고폭약이 충진됨과 동시에 상기 고폭약 의 폭발 시 파편 형태로 비산되도록 그 내주면 전체를 따라 파편부재결합체가 배치되는 탄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탄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체 내부에 배치되는 신관은 시한신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파편부재결합체는, 볼, 직육면체, 별 형상 등과 같은 균일한 크기로 제작되는 파편부재와, 상기 파편부재가 상기 탄두 내주면 전체에 고르게 분산 배치될 수 있도록 인접한 파편부재를 서로 결합시켜 주는 결합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결합재는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등과 같이 액상 형태로 만든 후 서로 인접한 상태로 고르게 분산 배치된 파편부재 사이에 부어서 고착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갖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파편부재결합체와 고폭약 사이에 별도의 내부케이스가 삽입 설치되어 탄두를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폭발탄을 구성하는 파편부재결합체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파편부재결합체 제조방법은 파편부재를 안착할 수 있는 안착공이 마련된 탄두 형상을 갖는 인서트 코어 형태의 하부금형에 다수개의 파편부재를 고르게 분산 배치시켜 고정하는 파편부재배치단계; 상기 파편부재배치단계를 통해 상기 하부금형 상에 배치 고정된 파편부재를 상부금형으로 씌운 다음, 상기 상부금형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통해 액상의 결합재를 부어 전체 파편부재를 하나의 결합체로 고착시키는 주조단계; 상기 주조단계 후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을 제거하여 파편부재와 결합재로 이루어진 파편부재결합체를 분리하는 분리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탄두 형상을 갖는 인서트 코어 형태의 하부금형 내에는 다수개의 마그네틱이 일정간격으로 고르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파편부재배치단계에서 상기 하부금형을 다수개의 파편부재가 담긴 보관조에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마그네틱의 자력에 의해 상기 각각의 마그네틱에 파편부재가 달라붙어 고르게 배치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은 상기 탄두 형상을 갖는 인서트 코어 형태의 하부금형 내에는 다수개의 에어홀이 일정간격으로 고르게 배치되고, 상기 하부금형 일측에는 상기 에어홀을 통해 에어를 흡입할 수 있는 에어흡입동작부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파편부재배치단계에서 상기 하부금형을 다수개의 파편부재가 담긴 보관조에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에어흡입동작부를 구동시켜 상기 에어홀을 통해 에어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통해 각각의 에어홀에 파편부재가 달라붙어 고르게 배치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은 상기 탄두 형상을 갖는 인서트 코어 형태의 하부금형 내에는 다수개의 마그네틱이 일정간격으로 고르게 배치됨과 동시에 각 마그네틱의 중심을 관통하여 다수개의 에어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금형 일측에는 상기 에어홀을 통해 에어를 흡입할 수 있는 에어흡입동작부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파편부재배치단계에서 상기 하부금형을 다수개의 파편부재가 담긴 보관조에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에어흡입동작부를 구동시켜 상기 에어홀을 통해 에어를 흡입하는 흡입력과 상기 마그네틱의 자력에 의해 상기 에어홀이 관통 형성된 각각의 마그네틱에 파편부재가 달라붙어 고르게 배치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폭발탄의 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폭발탄을 구성하는 탄두의 구성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폭발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 단면도이다.
그리고,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폭발탄을 구성하는 파편부재결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하부금형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파편부재결합체의 제조방법 중 파편부재배치단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6c 및 6d는 본 발명에 따른 파편부재결합체의 제조방법 중 주조단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6e 및 6f는 본 발명에 따른 파편부재결합체의 제조방법 중 분리단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폭발탄을 구성하는 파편부재결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하부금형의 변형된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폭발탄을 구성하는 파편부재결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하부금형의 또 다른 변형된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이다.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폭발탄(1)은 기본적으로 탄피(10), 탄체(20), 탄두(30)의 3가지로 구성되며, 이는 종래 기술에서 언급 하고 주지관용되고 있는 통상의 유탄(100) 구성과 그 개략적인 외관 구성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의 폭발탄(1)은 종래 유탄(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폭약(121) 및 신관(131) 등의 배치구조와, 고폭약(121) 폭발 시 형성되는 파편의 주체 및 파편 형태 등에 있어서 큰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폭발탄(1)은 내측 하부에 추진제(12) 및 뇌관(11)이 구비된 탄피(10)와, 상기 탄피(10)에 결합되어 상기 뇌관(11)을 통해 추진제(12)의 점화에 따라 탄피(10)에서 분리 발사됨과 아울러 그 내부에 폭약 점화를 위한 신관(21)이 배치된 탄체(20)와, 상기 탄체(20)의 선단에 결합 설치되어 그 내부에 고폭약(31)이 충진됨과 동시에 상기 고폭약(31)의 폭발 시 파편 형태로 비산되도록 그 내주면 전체를 따라 파편부재결합체(32)가 배치되는 탄두(30)로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 기술에 나타난 상기 유탄(100)이 탄체(120) 내부에 고폭약(121)이 충진되고, 이 고폭약(121)의 폭발에 따라 탄체(120) 자체가 파편형태로 비산되던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의 폭발탄(1)은 상기 탄두(30) 내주면에 별도의 파편부재결합체(32)를 마련함과 아울러 상기 탄두(30) 내부에 고폭약(31)을 충진함으로써, 상기 고폭약(31)의 폭발 시 탄두(30) 내주면의 파편부재결합체(32)가 균일한 크기의 파편형태로 비산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는 바, 이는 종래의 유탄(100) 구조와 차별화되는 새로운 형태의 구조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파편부재결합체(32)는 볼, 직육면체, 별 형상 등과 같은 균일 한 크기로 제작되는 파편부재(33)와, 상기 파편부재(33)가 상기 탄두(30) 내주면 전체에 고르게 분산 배치될 수 있도록 인접한 파편부재(33)를 서로 결합시켜 주는 결합재(34)로 구성되어 있다.
즉, 예시된 도면 상에는 상기 파편부재(33)로 균일한 크기를 갖는 볼 파편이 탄두(30) 내주면을 따라 고르게 분산 배치된 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직육면체, 별 형상과 같은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고,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파편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물론, 상기 파편부재(33)의 형상을 채택함에 있어서, 상기 탄두(30) 내주면 전체에 고르게 분산 배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형상으로 고려해야 함은 자명하다.
그리고, 상기 파편부재(33)를 결합하는 결합재(34)는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등과 같이 액상 형태로 만든 후 서로 인접한 상태로 고르게 분산 배치된 파편부재(33) 사이에 부어서 고착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갖는 재질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재(34)로 통상의 접착제를 이용할 경우, 상기 탄두(30) 내주면에 접착제를 고르게 일정두께로 도포하고, 상기 파편부재(33)를 일정한 간격으로 고르게 배치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상기 탄두(30) 내주면에 통상의 주지 관용되는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수 작업 혹은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기구를 이용하여 파편부재(33)를 일일이 배치 고정하는 것은 제품 양산에 따른 생산성 측면 및 제조 단가 측 면에서 매우 불합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파편부재결합체(32)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하여 보다 간단하게 탄두(30) 내주면에 삽입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기 파편부재결합체(32)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겠다.
한편, 종래 기술에 나타난 유탄(100)의 경우, 신관(131)이 탄두(130) 내부에 배치되어 목표물의 타격을 통해 관성(혹은 충격)에 의해 작동하는 충격신관을 채용하고 있는 데 비해, 본 발명의 폭발탄(1)은 탄체(20) 내부에 신관(21)이 마련되어 상기 탄체(20) 자체는 단순히 신관(21)을 설치 보호하는 기능만을 가질 뿐 파편 기능이 제외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탄체(20)의 내부에 내장된 신관(21)은 시한신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상기 유탄(100)의 경우, 탄두(130)가 목표물에 타격되었을 때 그 충격에 의해 작동하게 되는 충격 신관이 탄두(130) 내에 내장된 구조로 되어 있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폭발탄(1)은 신관의 종류를 충격식이 아닌 설정된 시간 등에 의해 작동하는 시한신관을 채택함으로써, 목표지점의 공중에서 폭발 가능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폭발탄(1)은 주로 목표지점의 공중에서 폭발되어 파편이 비산되도록 함으로써, 은폐 및 엄폐된 적들까지도 살상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폭발탄의 외관 형상 등은 발사체(예를 들어, 유탄발사 기, 박격포 등)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그 크기 등에 있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폭발탄(1)의 조립순서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탄발사기 등의 공이 부분이 타격을 가하게 되는 상기 뇌관(11)과 이 뇌관(11)의 작동에 의해 1차 점화되는 추진제(12)가 내부에 순차적으로 마련된 탄피(10)와, 내부에 신관(21)이 마련된 탄체(20)가 각각 별도로 준비된다.
또한, 내주면을 따라 상기 파편부재결합체(32)가 삽입되어 배치됨과 아울러 그 나머지 내부 공간에는 고폭약(31)을 충진한 후 밀봉하여 상기 탄체(20)와 조립 가능하게 되는 탄두(30)가 준비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두(30) 내부에 고폭약(31)을 충진하기 전에 상기 파편부재결합체(32) 내측으로 별도의 내부케이스(35)를 삽입하여 파편부재결합체(32)와 고폭약(31)이 서로 분리된 형태로 조립할 수도 있다.
이렇게 준비된 상기 탄피(10), 탄체(20), 탄두(30)는 조립라인에서 조립순서에 의해 순차적으로 조립되게 된다.
즉, 상기 탄피(10)는 탄체(20)의 후면에 체결되어 탄피(10) 내의 추진제(12)가 점화되어 연소될 때의 순간 연소압력에 의해 탄체(20)가 탄피(10)에서 분리 발사될 수 있도록 조립되고, 상기 탄체(20)의 전면 선단에는 탄두(30)가 체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두(30)가 탄체(20)에 결합될 때, 상기 탄체(20)에 마련된 신 관(21)이 상기 탄두(30)내 고폭약(31)을 점화 할 수 있는 구조로 조립되게 됨은 당연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폭발탄이 적용된 유탄발사기의 작동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
도시되지 않은 유탄발사기와 같은 발사체의 공이 부분이 상기 탄피(10) 측에 마련된 뇌관(11)을 타격하면, 상기 탄피(10)측의 추진제(12)가 1차적으로 점화되어 추진제(12)의 순간 연소압력에 의해 탄체(20)와 탄두(30)가 함께 발사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발사된 탄체(20)와 탄두(30)가 목표물 즉, 탄착지 부근의 공중에 도달하게 되면, 탄체(20) 내부에 마련된 신관(21)이 기 설정된 시간 등의 작동 조건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하게 되고, 이에 상기 신관(21)과 연계된 탄두(30 내 고폭약(31)을 점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탄두(30) 내의 고폭약(31)이 점화됨으로써 강력한 폭발에 의해 탄두(30)가 파열됨과 동시에 탄두(30) 내주면에 배치된 파편부재결합체(32)의 파편부재(33)가 주변으로 맹렬하게 비산됨에 따라 인마를 살상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탄두(30)의 폭발지점이 목표물의 인근 상공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파편부재(33)들의 비산거리는 상대적으로 폭넓어지고, 파편부재(33)들이 목표물 상공의 일정한 높이에서 공중 비산됨에 따라 은폐 및 엄폐된 적들까지도 보다 효과적으로 살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탄두(30) 내주면에 삽입되는 파편부재결합체(32)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다양한 실시예 형태로 제시하고 있다.
즉, 도 5a 내지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편부재결합체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편부재결합체(32)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탄두(30) 형상을 갖는 인서트 코어 형태의 하부금형(40)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40)의 외주면에는 상기 파편부재(33)가 고르게 분산 배치될 수 있는 다수개의 안착공(41)이 형성되고, 이 각각의 안착공(41) 내측으로는 마그네틱(42)이 삽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안착공(41)의 형상은 상기 파편부재(33)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게 됨은 당연하다.
이렇게 마련된 상기 하부금형(40)과 이 하부금형(40)에 맞물리는 후술하는 상부금형(50)을 통해 상기 파편부재결합체(32)가 제조되게 된다.
즉, 도 6a 내지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편부재배치단계(S1), 주조단계(S2), 분리단계(S3)의 순차적인 작업 순서에 의해 상기 파편부재결합체(32)가 제조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살펴보면, 먼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편부재배치단계(S1)는 상기 하부금형(40)에 다수개의 파편부재(33)를 고르게 분산 배치시켜 고정하는 단계이다.
다시 말해, 상기 하부금형(40)을 다수개의 파편부재(33)가 담긴 보관조(60)에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안착공(41) 내에 구비된 마그네틱(42)의 자력에 의해 상기 각 안착공(41)에 파편부재(33)가 하나씩 안착되어 달라붙게 됨으로써, 파편부재(33)가 하부금형(40) 상에 고르게 배치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6c 및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조단계(S2)를 거치게 된다.
즉, 상기 주조단계(S2)는 상기 파편부재배치단계(S1)를 통해 상기 하부금형(40) 상에 배치 고정된 파편부재(33)를 상부금형(50)으로 씌운 다음, 상기 상부금형(50)에 형성된 가이드홀(51)을 통해 액상의 결합재(34)를 부어 전체 파편부재(33)를 하나의 결합체로 고착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하부금형(40)과 상부금형(50)을 서로 맞물릴 경우, 상기 상부금형(50)이 상기 파편부재(33)를 여유있게 감싼 상태에서 상기 결합재(34)가 유입되어 고착될 수 있는 간극을 갖게 됨은 물론이다.
특히, 예시도면에서는 상기 상부금형(50)이 좌우로 분리되어 하부금형(40)에 씌워지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도시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주조 방식에 따라 상기 상부금형(50)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인서트 코어 형태의 하부금형(40)이 상부금형(50)에 삽입되어 결합재(34)가 주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재(34)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등과 같이 액상 형태로 만든 후 서로 인접한 상태로 고르게 분산 배치된 파편부재(33) 사이에 부어서 고착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갖는 재질인 것이다.
이러한 주조단계(S2)에서 일정시간이 지나 상기 결합재(34)에 의해 파편부재 (33)가 고착되게 되면, 상기 분리단계(S3)를 통해 파편부재결합체(32)를 완성 제조하게 된다.
즉, 도 6e 및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단계(S3)에서는 먼저, 상기 파편부재결합체(32)를 감싸고 있는 상기 상부금형(50)을 제거한 다음, 하부금형(40)을 파편부재결합체(32)로부터 차례로 분리함으로써, 독립적인 파편부재결합체(32)가 매우 간편하게 제조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완성된 상기 파편부재결합체(32)는 상기 결합재(34)가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와 같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파편부재(33)를 견고하게 고착시킴과 동시에 유연성을 갖는 재질적 특성에 의해 상기 탄두(30) 내주면을 따라 삽입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마그네틱(42)을 갖는 하부금형(40)을 통해 파편부재(33)를 고르게 분산 배치하여 고정하는 방법외에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금형(40) 상에 다수개의 에어홀(43)을 일정간격으로 두고 고르게 배치하고, 상기 하부금형(40) 일측에는 상기 에어홀(43)을 통해 에어를 흡입할 수 있는 에어흡입동작부(44)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전술한 마그네틱(42)의 자력 이용하여 파편부재(33)를 하부금형(40)에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에어홀(43)을 통해 흡입되는 에어 압력에 의해 파편부재(33)를 하부금형(40)에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파편부재배치단계(S1)에서 상기 에어홀(43)이 형성된 하부금형(40)을 다수개의 파편부재(33)가 담긴 보관조(60)에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에어흡입 동작부(44)를 구동시켜 상기 에어홀(43)을 통해 에어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통해 각각의 에어홀(43)에 파편부재(33)가 달라붙어 고르게 배치 고정되도록 하는 제조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에어홀(43) 상에는 파편부재(33)를 안착시킬 수 있는 상기한 안착공(41)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파편부재배치단계(S1) 이후의 주조단계(S2) 및 분리단계(S3)는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편부재결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마그네틱(42)과 에어홀(43)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각각의 제조방법을 조합한 방법이다.
즉, 상기 마그네틱(42) 내부 중심을 가로질러 에어홀(43)을 형성하고, 이 마그네틱(42)에 형성된 에어홀(43)과 연계하여 하부금형(40) 일측에 에어흡입동작부(44)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파편부재배치단계(S1)에서 상기 마그네틱(42)의 자력과 에어홀(43)을 통한 에어 흡입력을 이용하여 보다 견고하고 확실하게 파편부재(33)를 하부금형(4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와 같은 마그네틱(42)과 에어홀(43)을 조합한 방법으로 파편부재(33)를 하부금형(40)상에 고정하는 파편부재배치단계(S1)를 거친 이후에는 상기 주조단계(S2) 및 분리단계(S3)를 순차적으로 거쳐 간편하게 파편부재결합체(32)를 제조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특히, 상기 설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탄두 내주면 전체에 볼과 같은 균일하고 다양한 형태를 갖는 파편부재결합체를 배치함과 아울러 탄두 내에 고폭약을 충진하고 탄체 내에 신관을 배치한 새로운 형태의 폭발탄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폭발탄을 이용한 원거리 공격 시 목표물 즉, 탄착지에 도달할 때 공중에서 탄두 내에 고폭약이 폭발하여 탄두내 배치된 파편부재결합체가 파편형태로 비산되면서 은폐 혹은 엄폐된 적들까지도 효과적으로 살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폭발탄을 구성하는 파편부재결합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한 마그네틱 또는 에어홀을 이용한 하부금형과 이 하부금형과 맞물리는 상부금형을 통해 주조적인 방법으로 보다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Claims (10)

  1. 내측 하부에 추진제 및 뇌관이 구비된 탄피와,
    상기 탄피에 결합되어 상기 뇌관을 통해 추진제의 점화에 따라 탄피와 분리 발사됨과 아울러 그 내부에 폭약 점화를 위한 신관이 배치된 탄체와,
    상기 탄체의 선단에 결합 설치되어 그 내부에 상기 신관에 의해 점화되는 고폭약이 충진됨과 동시에 상기 고폭약의 폭발 시 파편 형태로 비산되도록 그 내주면 전체를 따라 파편부재결합체가 배치되는 탄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체 내부에 배치되는 신관은 시한신관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편부재결합체는,
    볼, 직육면체, 별 형상 등과 같은 균일한 크기로 제작되는 파편부재와,
    상기 파편부재가 상기 탄두 내주면 전체에 고르게 분산 배치될 수 있도록 인접한 파편부재를 서로 결합시켜 주는 결합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재는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등과 같이 액상 형태로 만든 후 서로 인접한 상태로 고르게 분산 배치된 파편부재 사이에 부어서 고착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갖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편부재결합체와 고폭약 사이에 별도의 내부케이스가 삽입 설치되어 탄두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탄.
  6. 파편부재를 안착할 수 있는 안착공이 마련된 탄두 형상을 갖는 인서트 코어 형태의 하부금형에 다수개의 파편부재를 고르게 분산 배치시켜 고정하는 파편부재배치단계;
    상기 파편부재배치단계를 통해 상기 하부금형 상에 배치 고정된 파편부재를 상부금형으로 씌운 다음, 상기 상부금형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통해 액상의 결합재를 부어 전체 파편부재를 하나의 결합체로 고착시키는 주조단계;
    상기 주조단계 후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을 제거하여 파편부재와 결합재로 이루어진 파편부재결합체를 분리하는 분리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탄을 구성하는 파편부재결합체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결합재는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등과 같이 액상 형태로 만든 후 서로 인접한 상태로 고르게 분산 배치된 파편부재 사이에 부어서 고착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갖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탄을 구성하는 파편부재결합체 제조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두 형상을 갖는 인서트 코어 형태의 하부금형 내에는 다수개의 마그네틱이 일정간격으로 고르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파편부재배치단계에서 상기 하부금형을 다수개의 파편부재가 담긴 보관조에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마그네틱의 자력에 의해 상기 각각의 마그네틱에 파편부재가 달라붙어 고르게 배치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탄을 구성하는 파편부재결합체 제조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두 형상을 갖는 인서트 코어 형태의 하부금형 내에는 다수개의 에어홀이 일정간격으로 고르게 배치되고, 상기 하부금형 일측에는 상기 에어홀을 통해 에어를 흡입할 수 있는 에어흡입동작부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파편부재배치단계에서 상기 하부금형을 다수개의 파편부재가 담긴 보관조에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에어흡입동작부를 구동시켜 상기 에어홀을 통해 에어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통해 각각의 에어홀에 파편부재가 달라붙어 고르게 배치 고 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탄을 구성하는 파편부재결합체 제조방법.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두 형상을 갖는 인서트 코어 형태의 하부금형 내에는 다수개의 마그네틱이 일정간격으로 고르게 배치됨과 동시에 각 마그네틱의 중심을 관통하여 다수개의 에어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금형 일측에는 상기 에어홀을 통해 에어를 흡입할 수 있는 에어흡입동작부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파편부재배치단계에서 상기 하부금형을 다수개의 파편부재가 담긴 보관조에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에어흡입동작부를 구동시켜 상기 에어홀을 통해 에어를 흡입하는 흡입력과 상기 마그네틱의 자력에 의해 상기 에어홀이 관통 형성된 각각의 마그네틱에 파편부재가 달라붙어 고르게 배치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탄을 구성하는 파편부재결합체 제조방법.
KR1020050019651A 2005-03-09 2005-03-09 폭발탄 및 상기 폭발탄을 구성하는 파편부재결합체 제조방법 KR100680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651A KR100680155B1 (ko) 2005-03-09 2005-03-09 폭발탄 및 상기 폭발탄을 구성하는 파편부재결합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651A KR100680155B1 (ko) 2005-03-09 2005-03-09 폭발탄 및 상기 폭발탄을 구성하는 파편부재결합체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363A true KR20060097363A (ko) 2006-09-14
KR100680155B1 KR100680155B1 (ko) 2007-02-09

Family

ID=37629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651A KR100680155B1 (ko) 2005-03-09 2005-03-09 폭발탄 및 상기 폭발탄을 구성하는 파편부재결합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01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770B1 (ko) * 2012-01-20 2013-04-02 주식회사 한화 공중폭발탄용 탄두의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47275B1 (ko) * 2016-07-13 2018-05-24 주식회사 한화 파편형 수류탄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76315A (zh) * 2012-10-23 2014-05-07 刘威孝 深潜弹
KR101476957B1 (ko) * 2014-04-29 2014-12-24 송용호 탄체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701244A (nl) 1976-03-23 1977-09-27 Diehl Fa Splinterhuls voor granaat-gevechtskop en dergelijke.
DE3736842A1 (de) 1987-10-30 1989-05-11 Diehl Gmbh & Co Sprenggeschoss mit einem geschosskoerper
DE19534215A1 (de) 1995-09-15 1997-03-20 Diehl Gmbh & Co Splitterhülle eines Sekundärgeschosses eines Tandemgefechtskopfes
SE508651C2 (sv) 1995-10-05 1998-10-26 Bofors Ab För eldrörsvapen avsedd grana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770B1 (ko) * 2012-01-20 2013-04-02 주식회사 한화 공중폭발탄용 탄두의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93810B1 (ko) * 2012-01-20 2013-08-06 주식회사 한화 성형파편을 구비한 발사체
KR101847275B1 (ko) * 2016-07-13 2018-05-24 주식회사 한화 파편형 수류탄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0155B1 (ko) 200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770B1 (ko) 공중폭발탄용 탄두의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1016B1 (ko) 외부 에어프레임을 갖는 군수품
US6367388B1 (en) Ammunition cartridge with differently packed shotshell wad projectile chambers
RU2359212C1 (ru) Боевой элемент
KR100680155B1 (ko) 폭발탄 및 상기 폭발탄을 구성하는 파편부재결합체 제조방법
US8316772B1 (en) Wall breaching fragmentation warhead
RU2722193C1 (ru) Отделяющаяся осколочно-фугасная головная часть снаряда
KR102041828B1 (ko) 분산자탄과 고폭약을 구비한 발사체
RU2349868C2 (ru) Осколочный патрон для ручного гранатомета и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его осколочной рубашки
KR101381978B1 (ko)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
RU2327948C2 (ru) Осколочно-пучковый снаряд "отроч"
KR101200802B1 (ko) 파편링을 구비한 공중폭발탄
EA034385B1 (ru) Осколочный боеприпас с готовыми поражающими элементами
BG3434U1 (bg) Осколочна граната
KR101265301B1 (ko) 유탄발사기의 탄착지 마킹용 40mm 연습탄
BG3437U1 (bg) Осколочна граната
RU2094746C1 (ru) Снаряд
BG3436U1 (bg) Осколочна граната
KR20080069711A (ko) Mcd 포탄
BG112404A (bg) Кумулативно-осколочна граната
BG65524B1 (bg) Изстрел с осколочно-подскачаща граната
JPS6375494A (ja) 訓練用戦車砲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