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7248A -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7248A
KR20060097248A KR1020050018334A KR20050018334A KR20060097248A KR 20060097248 A KR20060097248 A KR 20060097248A KR 1020050018334 A KR1020050018334 A KR 1020050018334A KR 20050018334 A KR20050018334 A KR 20050018334A KR 20060097248 A KR20060097248 A KR 20060097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lickable
pressed
video
acti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7453B1 (ko
Inventor
알렉산더 리모노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8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453B1/ko
Priority to EP06110519A priority patent/EP1698966A2/en
Priority to JP2006056589A priority patent/JP2006244502A/ja
Priority to TW095106953A priority patent/TW200635360A/zh
Priority to US11/365,497 priority patent/US20060200750A1/en
Priority to CNB2006100583782A priority patent/CN100375951C/zh
Publication of KR20060097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3/00Making other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2Forming profiles on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a) 동영상의 재생 중에 동영상에 포함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트하는 단계 및 (b) 하이라이트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a) 단계 및/또는 (b)단계는 사용자 입력장치에 별도로 구비된 Clikable Object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a) 단계 및 (b)단계는 Clikable Object 버튼을 한 번 누르거나, Clikable Object 버튼을 두 번 누르거나, 메뉴 선택 방식을 이용하거나 또는 일반 버튼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들 간에 하이라이트를 차례로 이동하여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계속 변화하는 동영상 화면에서도 사용자 입력수단에 별도로 구비되는 Clikable Object 버튼을 이용하여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재생 장치{User interface method activating a clickable object and apparatus providing user interface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동영상이 재생되는 화면의 일 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수단의 일 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수단을 구비한 재생 장치의 일 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한 번의 버튼 입력으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두 번의 버튼 입력으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뉴 선택 방식을 이용하여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반 버튼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들 간에 하이라이트를 차례로 이동하여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 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은 동영상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멀티미디어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동영상 재생을 위한 다양한 멀티미디어용 가전 기기(Customer Electronics: 이하 CE라 약칭함)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지상파 방송, 위성 방송, 케이블 방송 등의 다양한 방송매체를 통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약칭함) 서비스를 앞두고 다양한 기능을 가진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는 비디오, 오디오, 텍스트, 하이퍼링크, 정지 영상 등의 다양한 미디어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특히, 동영상과 관련된 다양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이퍼링크(hyperlink)가 사용될 수 있다. 하이퍼링크는 동영상이 재생되는 화면에서 특정 영역의 오브젝트로서 구현된다. 사용자가 동영상을 시청하다가 특정 영역의 오브젝트를 클릭하면, 미리 정의된 부가 컨텐츠가 재생되거나 동영상과 관련된 특정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동영상에 포함되는 인물, 소품등과 같은 개개의 오브젝트 들 중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 능한 버튼과 같이 특정 동작이 할당된 오브젝트를 클릭가능한 오브젝트(clickable object)라고 한다. 본 발명은 동영상 화면에 포함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편, 종래의 컴퓨터 환경에서는 하이퍼링크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마우스나 조이스틱과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해당 오브젝트로 커서를 이동하고 Access버튼을 클릭하여 하이퍼링크된 부가 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Tab 키를 사용하여 오브젝트의 포커싱을 전환하고 Enter버튼을 눌러 부가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점점 더 소형화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들은 마우스나 조이스틱과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설사 포인팅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하더라도 이를 이용하여 계속 변화하는 동영상 화면에서 작은 크기의 오브젝트를 포인팅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불편한 일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소형화 추세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이 점점 작아지고 있어서 더욱 문제가 된다.
또한, Tab키를 이용하여 포커싱을 전환하는 경우에도 동영상과 관련된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하이퍼링크뿐만 아니라, 버튼들이나 텍스트 박스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인터랙티브 오브젝트들이 모두 포커싱되어 원하는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찾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사용자 입장에서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다 간편하고 빠르게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 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보다 간편하고 빠르게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하는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기술적 과제는, (a) 동영상의 재생 중에 동영상에 포함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트하는 단계; 및 (b) 하이라이트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a)단계 및/또는 (b)단계는 사용자 입력장치에 별도로 구비된 특정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특정 버튼이 한 번 눌려진 경우에 (a)단계 및 (b)단계가 한번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정 버튼이 한 번 눌려진 경우에 (a)단계가 수행되고, 특정 버튼이 다시 한번 눌려진 경우에 (b)단계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정 버튼이 한 번 눌려진 경우에 (a)단계가 수행되고, (b) 단계에서는 메뉴 선택 방식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클릭가능한 오브젝트 중 하나를 선택하여 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정 버튼이 한 번 눌려진 경우에 (a)단계가 수행되고, (b)단계에서는 사용자 입력장치에 포함된 일반 버튼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들 간에 하이라이트를 차례로 이동하여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 단계는, 동영상의 재생 중에 동영상에 포함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발견하면, 특정 버튼이 눌려졌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바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b)단계는 사용자 입력 장치에 구비된 특정 버튼이 눌려지면 하이라이트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 단계는, 동영상의 재생 중에 동영상에 포함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발견하더라도, 특정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만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b)단계는 사용자 입력 장치에 구비된 특정 버튼이 다시 눌려지면 하이라이트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 단계는, 동영상의 재생 중에 동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발견하면, 특정 버튼이 눌려졌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바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들의 리스트를 팝업 메뉴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b)단계는 사용자 입력 장치에 일반적으로 구비된 이동 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팝업 메뉴의 하이라이트를 이동하여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들의 리스트 중 사용자가 활성화하고자 하는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사용자 입력 장치에 일반적으로 구비된 선택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 선택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정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는 이동 버튼은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들의 리스트간에 이동을 위해 우선 사용되고, 특정 버튼의 기능이 해제된 경우에는 원래 기능대로 일반적인 이동 버튼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 단계는, 동영상의 재생 중에 동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발견하면, 특정 버튼이 눌려졌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바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들 중 첫 번째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b)단계는 사용자 입력장치에 포함된 일반 버튼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들 간에 하이라이트를 차례로 이동하여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사용자 입력 장치에 일반적으로 구비된 선택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 선택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 입력장치에 포함된 일반 버튼은 이동 버튼 또는 탭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전술한 기술적 과제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동영상의 재생 중에 동영상에 포함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트하는 수단; 및 하이라이트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하이라이트하는 수단 및/또는 활성화하는 수단은 사용자 입력장치에 별도로 구비된 특정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동영상이 재생되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동영상 화면에 클릭가능한 오브젝트(100)가 포함될 수 있 다. 사용자가 동영상을 시청하다가 특정 영역의 오브젝트, 즉 클릭가능한 오브젝트(100)를 활성화하면, 미리 정의된 부가 컨텐츠가 재생되거나 동영상과 관련된 특정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는 일반 버튼이라든지, 텍스트 박스와 같은 인터랙티브 오브젝트와는 구별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 발명은 동영상 화면에 포함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보다 간편한고 빠르게 활성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수단의 일 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입력 수단(2)으로서 리모트 콘트롤러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사용자 입력 수단(2)은 리모트 콘트롤러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영상을 제공하는 휴대폰의 키 패드(key pad)라든지, DVD 플레이어와 같은 재생장치의 프론트 패널(front panel) 등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수단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장치의 사용자 입력 수단(2)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버튼들과 별도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기 위한 Clickable Object 버튼(102)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생장치의 사용자 입력 수단(2)에는 일반적인 리모트 콘트롤러나 휴대폰 키 패드 등에 구비되는 UP, DOWN, LEFT, RIGHT의 4방향 이동 버튼(106)이나, 소정의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ENTER 버튼 또는 SELECT 버튼(104)이 포함된다.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라 전술한 각 버튼들의 명칭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입력 수단(2)에 별도로 구비되는 Clickable Object 버튼(102)은 현재 재생중인 동영상 화면에 포함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100)를 보다 간편하게 활성화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수단을 구비한 재생 장치의 일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입력 수단(2)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입력을 받아 동영상에 포함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100)를 활성화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재생장치(2)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장치(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신부(10), 제어부(20) 및 재생부(30)를 구비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신부(10)는 도 2에서 상술한 사용자 입력 수단(2)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제어부(2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클릭가능한 오브젝트(100)를 활성화하여 이를 재생부(30)를 통해 재생한다. 재생부(10)는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외에, 클릭가능한 오브젝트가 활성화되면 미리 정의된 부가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또는 미리 정의된 부가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20)는 후술하는 다양한 시나리오에 따라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트 하는 수단(도시하지 않음)과 하이라이트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장치(1)는 동영상의 재생 중에 동영상에 포함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트하고, 하이라이트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며, 특히 전술한 사용자 입력 수단(2)에 별도로 구비된 Clikable Object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 전술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재생장치(1) 및 사용자 입력 수단(2)의 구성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에 따라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로서 도 4 내지 도 7은, 4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Clikable Object 버튼을 이용하여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한 번의 버튼 입력으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한 번의 버튼 입력으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장치(1)는 동영상의 재생 중에 동영상에 포함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100)를 발견하면 특정 버튼이 눌려졌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자동으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트한다(202 단계). 이 경우 해당 동영상 화면에 클릭가능한 오브젝트가 한 개 포함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수단(2)을 통해 별도로 구비된 Clikable Object 버튼(102)을 누르면, 하이라이트 되어 있던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한다(204 단계). 이에 따라, Clikable Object 버튼을 한번 클릭함으로써 간편하게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두 번의 버튼 입력으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두 번의 버튼 입력으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먼저 재생 장치(1)가 동영상의 재생 중에 동영상에 포함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발견하더라도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트하지 않다가(212 단계), Clikable Object 버튼(102)을 한번 누르면 비로소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트 한다(214 단계). 이 경우에도 해당 동영상 화면에 클릭가능한 오브젝트가 한 개 포함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수단(2)을 통해 별도로 구비된 Clikable Object 버튼을 다시 한번 누르면, 하이라이트 되어 있던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한다(216 단계). 이에 따라, Clikable Object 버튼을 두 번 클릭함으로써, 간편하게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뉴 선택 방식을 이용하여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메뉴 선택 방식을 이용하여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먼저 재생 장치(1)가 동영상의 재생 중에 동영상에 포함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발견하더라도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트하지 않다가(220 단계), Clikable Object 버튼(102)을 한번 누르면 비로소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들의 리스트를 팝업 메뉴로 디스플레이 한다(222 단계). 이 경우에는 해당 동영상 화면에 클릭가능한 오브젝트가 적어도 한 개 이상 포함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수단(2)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4 방향 이동 버튼(106)을 이용하여 자기가 원하는 특정 오브젝트로 이동하면 이에 따라 해당 오브젝트로 하이라이트를 이동한다(224 단계).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ENTER 또는 SELECT 와 같이 사용자 입력 수단(2)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선택 버튼(104)을 누르면, 하이라이트 되 어 있던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한다(226 단계). 이에 따라, 메뉴 방식을 이용하여 복수의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들 중 하나를 간편하게 활성화 할 수 있다.
이때, Clikable Object 버튼(102)이 눌려진 경우에는 4 방향 이동 버튼(106)은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들의 리스트간에 이동을 위해 우선 사용되지만, 특정 버튼의 기능이 해제된 경우에는 원래 기능대로 일반적인 이동 버튼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반 버튼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들 간에 하이라이트를 차례로 이동하여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장치(1)는 동영상의 재생 중에 동영상에 포함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발견하면 특정 버튼이 눌려졌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자동으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들 중 첫 번째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트한다(232 단계). 이 경우에는 해당 동영상 화면에 클릭가능한 오브젝트가 적어도 한 개 이상 포함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수단(2)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4 방향 이동 버튼(106) 또는 탭(Tab) 버튼을 이용하여 자기가 원하는 특정 오브젝트로 이동하면 이에 따라 해당 오브젝트로 하이라이트를 이동한다(234 단계).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ENTER 또는 SELECT 와 같이 사용자 입력 수단(2)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선택 버튼(104)을 누르면, 하이라이트되어 있던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한다(236 단계). 이에 따라, 일반 버튼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들 간에 하이라이트를 차례로 이동하여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복수의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들 중 하나를 간편하게 활성화 할 수 있다.
이때, Clikable Object 버튼(102)이 눌려진 경우에는 4 방향 이동 버튼(106)이나 탭 버튼 등은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들의 리스트간에 이동을 위해 우선 사용되지만, 특정 버튼의 기능이 해제된 경우에는 원래 기능대로 일반적인 이동 버튼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4가지 시나리오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일 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 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간편하고 빠르게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하는 재생 장치가 제공된다.
즉, 사용자는 계속 변화하는 동영상 화면에서도 사용자 입력수단에 별도로 구비되는 Clikable Object 버튼을 이용하여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다양한 시나리오와 같이 Clikable Object 버튼을 이용하여 다양하고 유연하게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할 수 있다.

Claims (21)

  1. (a) 동영상의 재생 중에 동영상에 포함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트하는 단계; 및
    (b) 하이라이트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 및/또는 상기 (b)단계는 사용자 입력장치에 별도로 구비된 특정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버튼이 한 번 눌려진 경우에 상기 (a)단계 및 상기 (b)단계가 한번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버튼이 한 번 눌려진 경우에 상기 (a)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특정 버튼이 다시 한번 눌려진 경우에 상기 (b)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버튼이 한 번 눌려진 경우에 상기 (a)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b) 단계에서는 메뉴 선택 방식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클릭가능한 오브젝트 중 하나를 선택하여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버튼이 한 번 눌려진 경우에 상기 (a)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b)단계에서는 사용자 입력장치에 포함된 일반 버튼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들 간에 하이라이트를 차례로 이동하여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동영상의 재생 중에 동영상에 포함된 상기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발견하면, 상기 특정 버튼이 눌려졌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바로 상기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에 구비된 상기 특정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하이라이트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동영상의 재생 중에 동영상에 포함된 상기 클릭가능한 오 브젝트를 발견하더라도, 상기 특정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만 상기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에 구비된 상기 특정 버튼이 다시 눌려지면 상기 하이라이트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동영상의 재생 중에 동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발견하면, 상기 특정 버튼이 눌려졌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바로 상기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들의 리스트를 팝업 메뉴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에 일반적으로 구비된 이동 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상기 팝업 메뉴의 하이라이트를 이동하여 상기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들의 리스트 중 사용자가 활성화하고자 하는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에 일반적으로 구비된 선택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 선택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는 상기 이동 버튼은 상기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들의 리스트간에 이동을 위해 우선 사용되고, 상기 특정 버튼의 기능이 해제된 경우에는 원래 기능대로 일반적인 이동 버튼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동영상의 재생 중에 동영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발견하면, 상기 특정 버튼이 눌려졌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바로 상기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들 중 첫 번째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에 포함된 일반 버튼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들 간에 하이라이트를 차례로 이동하여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에 일반적으로 구비된 선택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 선택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에 포함된 일반 버튼은 이동 버튼 또는 탭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에 포함된 일반 버튼은 상기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들 간에 이동을 위해 우선 사용되고, 상기 특정 버튼의 기능이 해제된 경우에는 원래 기능대로 일반 버튼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7. 동영상을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동영상의 재생 중에 동영상에 포함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트하는 수단; 및
    하이라이트된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이라이트하는 수단 및/또는 상기 활성화하는 수단은 사용자 입력장치에 별도로 구비된 특정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하는 수단 및 상기 활성화하는 수단은 상기 특정 버튼이 한 번 눌려진 경우에 한번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하는 수단은 상기 특정 버튼이 한 번 눌려진 경우에 동작하고 , 상기 활성화하는 수단은 상기 특정 버튼이 다시 한 번 눌려진 경우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버튼이 한 번 눌려진 경우에 상기 하이라이트하는 수단이 동작하고, 상기 활성화하는 수단은 메뉴 선택 방식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하는 수단은 상기 특정 버튼이 한 번 눌려진 경우에 동작하고, 상기 활성화하는 수단은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에 포함된 일반 버튼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들 간에 하이라이트를 차례로 이동하여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KR1020050018334A 2005-03-04 2005-03-04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재생 장치 KR101177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334A KR101177453B1 (ko) 2005-03-04 2005-03-04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재생 장치
EP06110519A EP1698966A2 (en) 2005-03-04 2006-02-28 User Interface Method for Activating Clickable Object and Playback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JP2006056589A JP2006244502A (ja) 2005-03-04 2006-03-02 クリック可能なオブジェクトを活性化する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方法及びその方法を提供する再生装置
TW095106953A TW200635360A (en) 2005-03-04 2006-03-02 User interface method for activating clickable object and playback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US11/365,497 US20060200750A1 (en) 2005-03-04 2006-03-02 User interface method for activating clickable object and playback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CNB2006100583782A CN100375951C (zh) 2005-03-04 2006-03-03 激活可点击对象的用户接口方法及执行该方法的重放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334A KR101177453B1 (ko) 2005-03-04 2005-03-04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재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248A true KR20060097248A (ko) 2006-09-14
KR101177453B1 KR101177453B1 (ko) 2012-08-27

Family

ID=36406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334A KR101177453B1 (ko) 2005-03-04 2005-03-04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200750A1 (ko)
EP (1) EP1698966A2 (ko)
JP (1) JP2006244502A (ko)
KR (1) KR101177453B1 (ko)
CN (1) CN100375951C (ko)
TW (1) TW20063536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583B1 (ko) * 2006-02-22 2007-02-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듀얼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53798B1 (ko) * 2012-12-10 2014-10-23 박수조 스마트 tv 기반의 플래시 기능을 이용한 감성광고 방법
KR101510761B1 (ko) * 2012-12-10 2015-04-10 박수조 감성광고 기반의 플래시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8649B2 (en) * 2012-09-21 2017-03-0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Data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thereof
CN109917990A (zh) * 2019-03-21 2019-06-21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页面元素突出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8845A (en) * 1995-09-29 1998-01-13 Wistendahl; Douglass A. System for mapping hot spots in media content for interactive digital media program
US5929849A (en) * 1996-05-02 1999-07-27 Phoenix Technologies, Ltd. Integration of dynamic universal resource locators with television presentations
CN1110190C (zh) * 1996-11-01 2003-05-28 国际商业机器公司 视频中热连接的指示方法
JP3079079B2 (ja) * 1998-01-07 2000-08-21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ション 画面表示装置及び画面表示制御方法
US6229524B1 (en) * 1998-07-17 2001-05-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interaction with video
TW383883U (en) * 1998-08-18 2000-03-01 Ind Tech Res Inst Remote network browser with turning button selection element
US6757906B1 (en) * 1999-03-30 2004-06-29 Tivo, Inc. Television viewer interface system
KR100380345B1 (ko) * 2000-09-20 2003-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텔레비전의 오에스디 구성 방법 및 전자프로그램 가이드 구성방법
KR100429806B1 (ko) * 2002-01-07 2004-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tv 프로그램에 연관된 부가 정보를 표시하는방법 및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583B1 (ko) * 2006-02-22 2007-02-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듀얼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양방향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53798B1 (ko) * 2012-12-10 2014-10-23 박수조 스마트 tv 기반의 플래시 기능을 이용한 감성광고 방법
KR101510761B1 (ko) * 2012-12-10 2015-04-10 박수조 감성광고 기반의 플래시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tv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00750A1 (en) 2006-09-07
CN100375951C (zh) 2008-03-19
CN1828507A (zh) 2006-09-06
KR101177453B1 (ko) 2012-08-27
EP1698966A2 (en) 2006-09-06
JP2006244502A (ja) 2006-09-14
TW200635360A (en) 2006-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5787B2 (en) Menu overlay including context dependent menu icon
JP5536140B2 (ja)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におけるスクロールおよびポインティング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9565387B2 (en) Perspective scale video with navigation menu
RU2450320C2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круговой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й интерфейс со многими состояниями
JP3897774B2 (ja)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
JP4240293B2 (ja)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マルチメディア再生方法
RU2316827C2 (ru) Способ многослойного фокусирова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US20080062137A1 (en) Touch actuation controller for multi-state media presentation
US7079113B1 (en) Consumer electronic navigation system and methods related thereto
US20080066135A1 (en) Search user interface for media device
US20090222757A1 (en) Automatic generation of TV history list
JP2008536196A (ja) 3dポインティングを使用してテレビアプリケーションを向上させ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WO2006125133A2 (en) Global navigation objects in user interfaces
WO2008027321A2 (en) Television control, playlist generation and dvr systems and methods
US20090077482A1 (en) Method for editing playlist and multimedia reproduc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8584039B2 (en) Method of selecting an element from a list by moving a graphics distinction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method
US200800222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ownloading Interactive Content to Implement Remote Control Functionality in a Video Playback Device
KR101177453B1 (ko)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재생 장치
JP2006279968A (ja) 映像アクセス装置及び映像アクセス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7932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button map for implementing remote control functions for a mouse in a video playback system
WO2012166071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based on user selection history
JP2008090361A (ja) 画面操作方法
JP4608829B2 (ja) データ放送受信装置、コンポーネント選択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146204A (ja) 制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視聴システム
MXPA06000012A (en) Method of selecting an element from a list by moving a graphics distinction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