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6914A - 휴대 단말기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6914A
KR20060096914A KR1020060020982A KR20060020982A KR20060096914A KR 20060096914 A KR20060096914 A KR 20060096914A KR 1020060020982 A KR1020060020982 A KR 1020060020982A KR 20060020982 A KR20060020982 A KR 20060020982A KR 20060096914 A KR20060096914 A KR 20060096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lide
lower housing
upper housing
guid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0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루 아마노
요시카즈 이노
아쓰시 시라타
Original Assignee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060096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9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하우징(1)의 하반분의 영역에 양 측면부를 따른 한쌍의 슬라이드 홈(31, 32)이 형성되고, 하부 하우징(2)의 상반분의 영역에 양 측면부를 따른 한쌍의 슬라이드 홈(41, 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하우징(1)의 각 슬라이드 홈(31, 32)을 통하여,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53)가 하부 하우징의 접속용 구멍(43, 44)에 나사 고정되고, 하부 하우징(2)의 각 슬라이드 홈(41, 42)을 통하여, 2각(脚)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 및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7)가 상부 하우징의 접속용 바에 형성된 접속용 구멍(33)에 나사 고정된다. 이로써, 각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53, 66, 67)에 의해 상부 하우징(1) 및 하부 하우징(2)이 서로 슬라이드 가능할 뿐아니라, 상부 하우징(1) 및 하부 하우징(2)이 서로 접속되어 안정된 접속 형태로 할 수 있고,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안정 접속을 도모하여,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덜거덕거림」을 방지한다.
휴대 단말기 장치, 하우징, 슬라이드 홈,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장치 {MOBILE TERMINAL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로 되는 휴대 전화기의 열림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로 되는 휴대 전화기의 닫힘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하우징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하부 하우징 측에 설치된 피니언과 서로 맞물리는, 상부 하우징 측에 설치된 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하부 하우징 측에 설치되는 가이드축부의 2각 접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가이드축부의 2각(脚) 접합부와 걸어맞추어지는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가이드축부의 2각 접합부와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가 걸어맞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하부 하우징 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축 탑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하우징 전체에 적용할 수 있는 커브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하우징 전체에 적용할 수 있는 커브와 직선형으로 설치되는 가이드축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닫힘시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열림시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닫힘시에 있어서의 가이드축부의 2각 접합부와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열림시에 있어서의 가이드축부의 2각 접합부와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상부 하우징, (2) 하 하우징, (3) 표시부,
(4) 스피커부, (5) 상부 하우징용 조작부,
(15) 하부 하우징용 조작부, (16) 마이크로폰부, (17) 개폐 조작 레버,
(21) 제1 하우징편, (22) 제2 하우징편, (23) 제3 하우징편,
(31) 슬라이드 홈, (32) 슬라이드 홈, (33) 접속용 바,
(33a) 접속용 바가 접속되어 있는 접속핀, (33b) 접속용 바의 접속용 구멍,
(41) 슬라이드 홈, (42) 슬라이드 홈, (43) 접속용 구멍,
(44) 접속용 구멍, (46) 록 기능, (46a) 록 기구의 클릭부, (47) 록 기구의 클릭부가 삽입되는 구멍부, (48) 코일 스프링,
(49) 2각 접합부, (49a) 2각 접합부의 본체,
(49b) 2각 접합부의 2각부, (50a) 선단 고정부, (50b) 후단 고정부,
(51)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 (52)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 (53) 나사,
(55a) 피니언 설치부편, (55b) 피니언 설치부편, (60) 가이드축부, (61) 피니언, (62) 랙부, (63) 회전 속도 완화 부재, (66)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 (67)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 (71) 2각 접합부의 삽입용 핀, (72) 2각 접합부가 올라앉음용 핀,
(75)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의 핀 삽입부,
(76)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의 올라앉음용 돌출부,
(79) 가이드축 탑재부, (80) 선단 협지부, (81) 후단 협지부,
(82) 스토퍼, (83) 스토퍼,
(84) 가이드축 탑재부의 레일 부재, (85) 가이드축 탑재부의 레일 부재,
(86) 각 레일 부재의 홈부, (87) 가이드축 탑재부의 레일 지지부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3-319042호 공보(제5면: 도 1)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 PHS 전화기(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장치(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 사전 장치, 휴대형의 내비게이션 장치 등에 적용하기에 바람직한 휴대 단말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상부 하우징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하우징의 개폐 조작을 행하는 휴대 전화기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형의 휴대 전화기의 경우,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상부 하우징을 슬라이드량 끝까지 오픈 조작하면, 이 상부 하우징의 배면 측에 슬라이드 기구의 슬라이드 홈이 나타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홈이 보이면, 휴대 전화기의 품위가 저하된다. 또, 이 슬라이드 홈은 구멍부이므로,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상부 하우징을 슬라이드량 끝까지 오픈 조작했을 때, 이 슬라이드 홈을 통하여 하우징 내에 티끌이나 먼지가 들어가 버리는 문제를 일으킨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일본국 특개 2003-319042호 공보(특허 문헌 1)에 휴대 단말 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휴대 단말 기기의 경우,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측 하우징(201)에, 단면 형상이 대략 T자 형상의 돌출부(203)가 형성되어 있다. 또, 배면측 하우징(202)에, 표면측 하우징(201)과 배면측 하우징(202)의 대면(對面) 범위 내의 길이로 된 가이드 홈(20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배면측 하우징(202)에 설치된 가이드 홈(204)은, 표면측 하우징(201)에 형성된 돌출부(203)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고, 상기 가이드 홈(204)의 일단부(204a)로부터 타단부(204b)의 범위에서, 돌출부(203)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홈(204)의 길이는, 표면측 하우징(201)과 배면측 하우징(202)의 대면 범위 내의 길이로 되어 있으므로 배면측 하우징(202)에 대하여 표면측 하우징(201)을 슬라이드량 끝까지 오픈 조작하여도, 가이드 홈(204)은, 표 면측 하우징(201)과 배면측 하우징(202)의 대면 범위 밖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로써, 오픈 조작시에 가이드 홈이 노출되어, 상기 휴대 전화기의 품위가 저하되는 문제나, 오픈 조작시에 노출된 가이드 홈을 통하여 하우징 내에 티끌이나 먼지가 들어가 버리는 문제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휴대 단말 기기의 경우, 한쌍의 돌출부(203)와 이에 대응하는 한쌍의 가이드 홈(204)을 통하여 표면측 하우징(201)과 배면측 하우징(202)이 서로 접속되는 구성이다. 환언하면, 표면측 하우징(201)과 배면측 하우징(202)이 각 돌출부(203)에 의해 2점만으로 접속되는 구성이다. 그러므로, 표면측 하우징(201)과 배면측 하우징(202)의 접속 강도가 약한 문제가 있었다.
또, 각 돌출부(203)와 각 가이드 홈(204)에 의해, 표면측 하우징(201)과 배면측 하우징(202)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 이동시 등에 상하로 다소의 유격이 생기므로, 순조로운 슬라이드 이동이 실현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한 휴대 단말기 장치에 있어서, 덜거덕거림이 발생되지 않고,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동시에, 순조로운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휴대 단말기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 단말기 장치는,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의 양 측면부에 각각 근접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하우징의 대략 하반분의 영역에 형성된 한쌍의 슬라이드 홈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양 측면부에 각각 근접하여 상기 하부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하부 하우징의 대략 상반분의 영역에 형성된 한쌍의 슬라이드 홈과,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각 대향면이 서로 중첩되었을 때, 상기 하부 하우징에 형성된 각 슬라이드 홈을 통하여 볼 수 있고,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에 형성된 각 슬라이드 홈의 하단부 근방이 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 측에 형성된 한쌍의 접속용 구멍부와,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각 대향면이 서로 중첩되었을 때,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각 슬라이드 홈을 통하여 볼 수 있고,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각 슬라이드 홈의 상단부 근방이 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 측에 형성된 한쌍의 접속용 구멍부와,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각 슬라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한쌍의 상부 하우징용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와,
상기 하부 하우징에 형성된 각 슬라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지는 한쌍의 하부 하우징용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을, 각 대향면이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각 슬라이드 홈에 걸어맞추어진 상기 상부 하우징용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가 상기 하부 하우징에 형성된 각 접속용 구멍부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하부 하우징에 형성된 각 슬라이드 홈에 걸어맞추어진 상기 하부 하우징용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가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각 접속용 구멍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이 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접속된다.
본 발명은,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각 슬라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한쌍의 상부 하우징용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에 의해 각 하우징들이 서로 접속되는 동시에, 하부 하우징에 형성된 각 슬라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한쌍의 하부 하우징용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에 의해 각 하우징들이 서로 접속되는, 말하자면 2축의 슬라이드축을 가지고 있으므로, 각 하우징들이 서로 견고하고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또, 상부 하우징 측의 각 슬라이드 홈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대략 하반분의 영역에 형성되고, 하부 하우징 측의 각 슬라이드 홈은, 상기 하부 하우징의 대략 상반분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전체적으로 서로 겹치는 닫힌 상태시에는, 상부 하우징 측의 각 슬라이드 홈은 하부 하우징에 덮히고, 하부 하우징 측의 각 슬라이드 홈은 상부 하우징에 덮히게 되므로, 이 닫힌 상태시에 각 하우징에 형성된 각 슬라이드 홈이 외관상 나타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열린 상태시에는, 상부 하우징의 각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하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되고, 상부 하우징의 각 슬라이드 홈은, 하부 하우징의 각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 덮힌 상태로 되는 동시에, 하부 하우징의 각 슬라이드 홈은, 상부 하우징의 각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 덮힌 상태로 되므로 이 열린 상태시에 각 하우징에 형성된 각 슬라이드 홈이 외관상 나타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부 하우징이 상기 하부 하우징에 대향하는 대향면과 반대쪽 면 측으로 라운딩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하부 하우징도, 이 상부 하우징의 형상을 따라, 상기 상부 하우징에 대향하는 대향면 측으로 라운딩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상부 하우징에 표시부를 설치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 장치를 열린 상태로 했을 때,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부를, 이 하우징의 커브에 따라 다소 앞쪽으로 밀어내어 위치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표시부를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가이드축부의 접합부를, 이 가이드축의 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므로, 하부 하우징용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의 상기 하우징의 커브에 따른 이동에 따라, 이 하부 하우징용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에 접합된 상기 가이드축의 접합부가 회전한다. 이로써, 하부 하우징용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커브를 따라 이동하는 경로와, 이 하부 하우징용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에 접합된 상기 가이드축의 접합부가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경로의 차이를 흡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가이드축의 스프링 부재의 신축에 의해, 상기 가이드축의 접합부, 및 하부 하우징용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의 접합부를 통하여 상부 하우징에 전달되는 슬라이드 방향의 힘을 완화하는 슬라이드력 완화부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주로 상기 휴대 단말기 장치를 열린 상태로 할 때, 슬라이드력 완화부에 의해, 가이드축의 접합부, 및 하부 하우징용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의 접합부를 통하여 상부 하우징에 전달되는 슬라이드 방향의 힘을 완화할 수 있으므로, 각 하우징을 양호한 속도로 서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PDC 방식(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CDMA 방식(CDMA: Wideband-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방식(W-CDMA: Wideband-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GSM 방식(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의 휴대 전화기에 적용할 수 있다.
[휴대 전화기의 구성]
본 발명의 실시예로 되는 휴대 전화기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 및 하부 하우징(2)이,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른바 슬라이드식의 휴대 전화기로 되어 있다. 도 1이 이 휴대 전화기의 열린 상태를, 도 2가 이 휴대 전화기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부 하우징(1)의 표면 측에는, 표시부(3)가 설치되어 있고, 또, 이 표시부(3)의 상단부(3a)와 상부 하우징(1)의 상단부(1a) 사이에 스피커부(4)가 형성되어 있다. 또, 표시부(3)의 하단부(3b)와 상부 하우징(1)의 하단부(1b) 사이에, 상부 하우징용 조작부(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상부 하우징용 조작부(5)로서는, 중심 위치에 엔터키(12)를 가지는 십자 키(6), 온훅 키(7), 및 오프훅 키(8), 휴대 메일용 키(9), 클리어 키(10), 네트워크 접속 키(11) 등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휴대 전화기를 도 2에 나타낸 닫힌 상태로 한 채 통화나 휴대 메일의 작성, 열람 및 웹 페이지의 열람 등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부 하우징(2)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 전화기를 열린 상태로 했을 때 노출되는 하부 하우징용 조작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하부 하우징용 조작부(15)로서는, 0 ~ 9의 숫자 패드 외에, *키나 *키 등이 배치되어 있다.
또, 이 하부 하우징(2)에는, 상기 하부 하우징(2)의 하단부(2a)와 하부 하우징용 조작부(15)의 하단부(15a) 사이에 마이크로폰부(16)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하부 하우징부(2)의 우측면부(2b)에는, 상기 휴대 전화기를 열린 상태로 할 때 슬라이드 조작되는 개폐 조작 레버(17)와, 카메라 기능의 셔터 버튼(18) 등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이 휴대 전화기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도 3에 있어서, 제1 하우징편(21)은, 상부 하우징(1)의 아래쪽의 하우징편(하부 하우징(2)에 맞닿아 있는 하우징편)을, 제2 하우징편(22)은, 하부 하우징(2) 위쪽의 하우징편(상부 하우징(1)에 맞닿아 있는 하우징편)을, 제2 하우징편(23)은, 하부 하우징(2)의 아래쪽의 하우징편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 도 3에 있어서, 제1 하우징편(21)은, 상기 제1 하우징편(21)의 전체 길이 의 반의 길이에 못 미치는 길이로 된 한쌍의 슬라이드 홈(31, 32)을 가지고 있다. 이 각 슬라이드 홈(31, 32)은, 제1 하우징편(21)의 대략 하반분의 영역에, 상기 제1 하우징편(21)의 양 측면부에 근접하고, 또한 상기 양 측면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제1 하우징편(21)은, 상기 제1 하우징편(21)의 대략 중앙보다 위쪽의 부분에, 상기 제1 하우징편(21)의 폭방향을 따라 접속용 바(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용 바(33)는, 상기 접속용 바(33)의 양 단부 근방을 접속핀(33a)으로 나사 고정함으로써, 이 제1 하우징편(21)에 고정되어 있다. 또, 이 접속용 바(33)에는, 각 접속핀(33a)에 인접하여 접속용 구멍(33b)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접속용 구멍(33b)을 통하여 상기 제1 하우징편(21)이 상기 제2 하우징편(2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 제1 하우징편(21)과 맞닿는 제2 하우징편(22)도, 상기 제2 하우징편(22)의 전체 길이의 반의 길이에 못 미치는 길이로 된 한쌍의 슬라이드 홈(41, 42)을 가지고 있다. 전술한 제1 하우징편(21)에 형성되어 있는 각 슬라이드축(31, 32)은 제1 하우징편(21)의 아래쪽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 제2 하우징편(22)에 형성되어 있는 각 슬라이드 홈(41, 42)은, 상기 제2 하우징편(22)의 대략 상반분의 영역에, 상기 제2 하우징편(22)의 양 측면부에 근접하고, 또한 상기 양 측면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제2 하우징편(22)은, 상기 제2 하우징편(22)의 대략 중앙의 양쪽에 한쌍의 접속용 구멍(43, 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각 접속용 구멍(43, 44)에는, 제1 하우징편(21)의 각 슬라이드 홈(31, 32)을 통하여, 후술하는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51, 52)가 나사(53)에 의해 나사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이로써, 제1 하우징편(21) 및 제2 하우징편(22)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제2 하우징편(22)의 우측면부 대략 중앙에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도 3 중 화살표로 나타낸 닫히는 방향으로 항상 가압된 개폐 조작 레버(1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하우징편(22)의 내부 측에 설치된 록 기구(46)는, 이 개폐 조작 레버(17)와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휴대 전화기가 닫힌 상태시에는, 록 기구(46)의 록 클릭(46a)이, 제1 하우징편(21)의 구멍부(47)에 걸리는 것에 의해, 상기 휴대 전화기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개폐 조작 레버(17)를 도 3 중 화살표로 나타낸 열리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면, 제1 하우징편(21)의 구멍부(47)에 걸려 있는 록 기구(46)의 록 클릭(46a)이, 상기 구멍부(47)로부터 벗어나 후술하는 가이드축부(60)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48)의 가압력에 의해, 하부 하우징(2)에 설치된 하부 하우징용 조작부(15)를 노출시키는 방향으로, 상부 하우징(1)이 하부 하우징(2)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제2 하우징편(22)의 내부 측 및 제3 하우징편(23)의 내부 측에는, 상기 록 기구(46)에 인접하는 형태로 피니언 설치부편(55a, 55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피니언 설치부편(55a, 55b)은, 제2 하우징편(22)과 제3 하우징편(23)을 접속했을 때, 서로 대향하는 형태로 맞닿아 박스형의 피니언 설치부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 피니언 설치부는, 그 내부에 피니언(61)이, 제2 하우징편(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유지한다. 또, 피니언 설치부 내에는, 이 피니언(61)과 함께 회전 속도 완화 부재(6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 속도 완화 부재(63)는, 이른바 댐퍼로 되어 있고, 피니언 설치부 내에 있어서, 항상, 피니언(61)과 맞닿음으로써, 피니언(61)의 회전 속도를 저하시키도록 기능하고 있다.
다음에, 도 4는, 제1 하우징편(21)을, 제2 하우징편(22)과 맞닿는 면 측으로부터 본 도면이지만, 이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편(21)에는, 슬라이드 홈(31)에 인접하여, 상기 슬라이드 홈(31)보다 약간 긴 랙부(62)가 형성되어 있다. 피니언 설치부에 설치된 피니언(61)은, 제1 하우징편(21)과 제2 하우징편(22)이 접속되었을 때, 랙부(62)와 서로 맞물리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피니언(61)의 회전 운동은, 랙부(62)에 의해 직진 운동으로 변환되고, 제1 하우징편(21)으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1) 및 하부 하우징(2)에 대하여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부여하는 가이드축부(60)는, 전체 길이의 길이가 하부 하우징(2)의 전체 길이보다 약간 짧은 길이로 되어 있고, 직선의 봉형(棒形)의 축부 본체에 대하여, 원환형(圓環形)의 코일 스프링(48) 및 2각(脚) 접합부(49)를 삽입한 상태에서, 축부 본체의 선단부를 선단 고정부(50a)에 의해 멈추게 하는 동시에, 축부 본체의 후단부를 후단 고정부(50b)에 의해 멈추게 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2각 접합부(49)는, 가이드축부(60)의 전체 길이의 대략 1/6 정도의 길이로 된 원환형의 본체(49a)와, 이 본체(49a)의 길이 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으로 돌출하 는 형태로 설치된 2각부(49b)를 가지고 있다. 또, 이 2각 접합부(49)는, 코일 스프링(48)의 신축에 따라 가이드축부(60)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 가이드축부(60)의 축 회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후술하지만, 이 가이드축부(60)는, 2각부(49b)를 통하여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와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코일 스프링(48)의 슬라이드력을, 이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를 통하여 상부 하우징(1)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의 조립]
〔2쌍의 슬라이드축 구조〕
이와 같은 상부 하우징(1) 및 하부 하우징(2)을 조립하는 경우, 먼저, 도 3에 나타낸 제1 하우징편(21)의 각 슬라이드 홈(31, 32)에 대하여 제2 하우징편(22)의 접속용 구멍(43, 44)을 삽입시키고, 이 상태에서, 제1 하우징편(21) 측으로부터 각 접속용 구멍(43, 44)에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51, 52)를 나사(53)로 나사 고정한다. 각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51, 52)는, 각각 슬라이드 홈(31, 32)의 폭 길이보다 약간 긴 폭 길이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각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51, 52)를, 각 슬라이드 홈(31, 32)을 통하여 제2 하우징편(22)의 접속용 구멍(43, 44)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51, 52)가, 각 슬라이드 홈(31, 32)에 대하여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 제1 하우징편(21)이 제2 하우징편(22)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되게 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제1 하우징편(21)과 제2 하우징편(22)을 접속하면, 제1 하우징편(21) 측에 설치된 접속용 바(33)의 각 접속용 구멍(33b)이, 제2 하우징편(22)의 각 슬라이드 홈(31, 32)을 통하여 들여다 보여지게 된다. 그러므로, 이 한쪽의 접속용 구멍(33b)에, 슬라이드 홈(41)을 통하여 나사(53)에 의해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를 나사 고정하고, 다른 쪽의 접속용 구멍(33b)에, 슬라이드 홈(42)을 통하여 나사(53)에 의해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7)를 나사 고정한다.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 및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7)는, 각각각 슬라이드 홈(41, 42)의 폭 길이보다 약간 긴 폭 길이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 및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7)를, 각 슬라이드 홈(41, 42)을 통하여 제1 하우징편(21)의 각 접속용 구멍(33b)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 및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7)가, 각 슬라이드 홈(41, 42)에 대하여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 제1 하우징편(21)이 제2 하우징편(22)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되게 된다.
즉, 이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경우,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51, 52)를 사용하여 제1 하우징편(21) 측으로부터 제2 하우징편(22) 측에 대하여 접속을 도모하는 동시에,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 및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7)를 사용하여 제2 하우징편(22) 측으로부터 제1 하우징편(21) 측에 대하여 접속을 도모하고 있다. 환언하면, 제1 하우징편(21) 및 제2 하우징편(22)이 서로 접속을 도모하는, 말하자면 2쌍의 슬라이드축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부 하우징(1) 및 하부 하우징(2)을 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한 데 더하여, 서로 견고하게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축부의 내장〕
다음에, 가이드축부(60)의 2각 접합부(49)를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에 걸어맞춘데 더하여, 가이드축부(60)를 제2 하우징편(22)에 내장한다.
도 5 (a)에 가이드축부(60)의 2각 접합부(49)의 측면도를, 도 5 (b)에 2각 접합부(49)의 상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이 도 5 (a), (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각부(49b)는, 각각 현격한 차이로 된 삽입용 핀(71) 및 올라앉음용 핀(72)을 가지고 있다.
도 6 (a)에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의 상면도를, 도 6 (b)에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의 우측면도를, 도 6 (c)에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의 좌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이 도 6 (a)~(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는, 상기 2각부(49b)의 삽입용 핀(71)이 삽입되는 핀 삽입부(75)와, 상기 2각부(49b)가 올라앉음용 핀(72)에 올라앉을 수 있는 올라앉음용 돌출부(76)를 가지고 있다.
도 7은, 이와 같은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에 대하여 가이드축부(60)의 2각 접합부(49)가 접속된 상태의 사시도인 것이지만, 이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와 2각 접합부(49)를 접합시키는 경우, 2각부(49b)의 삽입용 핀(71)을,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의 핀 삽입부(75)에 삽입한다. 이로써, 이 삽입과 동시에, 2각부(49b)가 올 라앉음용 핀(72)이,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가 올라앉음용 돌출부(76)에 올라앉는 형태로 되고,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에 대하여 가이드축부(60)가 접속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에 2각 접합부(49)가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 가이드축부(60)를, 도 8에 나타낸 제2 하우징편(22) 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축 탑재부(79)에 탑재하여 고정한다.
도 8은, 이 가이드축 탑재부(79)를 위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이 도 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축 탑재부(79)는, 가이드축부(60)의 선단 고정부(50a)를 협지하는 선단 협지부(80)와, 가이드축부(60)의 후단 고정부(50b)를 협지하는 후단 협지부(81)를 가지고 있다.
또, 가이드축 탑재부(79)는, 선단 고정부(50a)의 선단부 및 후단 고정부(50b)의 후단부와 각각 맞닿음으로써, 가이드축부(60)의, 제2 하우징편(22)의 길이 방향에 따른 이동(= 길이 방향의 어긋남)을 억제하는 스토퍼(82, 83)를 가지고 있다.
또, 가이드축 탑재부(79)는, 선단 협지부(80) 및 후단 협지부(81)를 연결하는 한쌍의 레일 부재(84, 85)의 간극부로 되는 홈부(86)와, 탑재된 가이드축부(60)를 지지하는 레일 지지부(87)를 가지고 있다.
가이드축부(60)는, 이 가이드축 탑재부(79)에 대하여, 도 8의 지면의 수직 방향으로 밀어넣어지는 형태로 탑재된다. 이로써, 가이드축 탑재부(79)가 전체적으로 레일 지지부(87)에 의해 지지되고, 선단 고정부(50a)가 선단 협지부(80)에, 또 후단 고정부(50b)가 후단 협지부(81)에 각각 협지되는 동시에, 선단 고정부(50a)의 선단부가 스토퍼(82)에 맞닿고, 후단 고정부(50b)의 후단부가 스토퍼(83)에 맞닿아, 가이드축부(60)가, 덜거덕거림 없이 가이드축 탑재부(79)에 탑재된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하우징편(21, 22)이 전체적으로 완만한 상방향(표시부(3)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의 커브를 그리는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휴대 전화기가 열린 상태로 되었을 때, 상부 하우징(1)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부(3)가, 이 커브에 따라 다소 앞쪽으로 밀려 나와 사용자가 표시부(3)를 보기 용이하게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가이드축부(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직선의 봉형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경우, 직선의 봉형의 가이드축부(60)를 제2 하우징편(22)에 설치했을 때, 이 제2 하우징편(22)의 커브에 반하여 직선의 봉형의 가이드축부(60)가 이격되는 부분을 구멍매입하는 형태로, 가이드축 탑재부(79)의 레일 지지부(87)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완만한 커브를 그리는 형상으로 된 제2 하우징편(22)에 대하여, 직선의 봉형의 가이드축부(60)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피니언 및 회전 속도 완화 부재의 내장〕
다음에, 피니언 설치부에 대하여 피니언(61) 및 회전 속도 완화 부재(63)를 내장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경우, 도 3에 나타낸 제2 하우징편(22)과 제3 하우징편(23)을 접속하면, 제2 하우징편(22) 측에 설치된 피니 언 설치부편(55a), 및 제3 하우징편(23) 측에 설치된 피니언 설치부편(55b)과 피니언 설치부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2 하우징편(22) 측에 설치된 피니언 설치부편(55a)에 피니언(61)을 설치하고, 제3 하우징편(23) 측에 설치된 피니언 설치부편(55b)에 회전 속도 완화 부재(63)를 설치한데 더하여, 제2 하우징편(22)과 제3 하우징편(23)을 접속한다.
이로써, 피니언(61)이, 도 4에 나타낸 제1 하우징편(21)에 형성되어 있는 랙부(62)와 서로 맞물리는 동시에, 피니언 설치부편(55b) 측에 설치된 회전 속도 완화 부재(63)에 항상 맞닿는 형태로, 상자형의 피니언 설치부에 유지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1에 나타낸 표시부(3) 등이 설치된 하우징편을, 제1 하우징편(21)에 접속한다. 이로써,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개폐되는 상기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가 조립되게 된다.
[슬라이드 개폐 동작]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슬라이드 개폐 동작을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에, 가이드축부(60)이 내장된 상태의 제1 하우징편(21) 및 제2 하우징편(22)을, 상기 제2 하우징편(22) 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상기 휴대 전화기의 닫힌 상태시를, 도 12는 열린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닫는 동작)
먼저, 제1 하우징편(21) 및 제2 하우징편(22)을 닫힌 상태로 하는 경우, 사 용자는, 제1 하우징편(21) 및 제2 하우징편(22)이 도 12에 나타낸 열린 상태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하우징편(21)을 도 12에 화살표로 나타낸 닫히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한다.
제1 하우징편(21) 및 제2 하우징편(22)이 열린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 및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7)는, 제2 하우징편(22)의 각 슬라이드 홈(41, 42)의 일단부(41a, 42a)에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지만, 이 닫히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슬라이드 조작에 따라,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 및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7)가 각 슬라이드 홈(41, 42)을 따라 서서히 상기 닫히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2쌍의 슬라이드축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 및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7)의 슬라이드 이동과 함께, 도 3에 나타낸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51, 52)도 제1 하우징편(21)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31, 3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다.
또,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와 가이드축부(60)는, 상기 가이드축부(60)의 2각 접합부(49)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므로 이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2각 접합부(49)가 코일 스프링(48)을 줄이면서 상기 닫히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다음에, 사용자에 의해, 제1 하우징편(21)이 상기 닫히는 방향으로 다시 슬라이드 조작되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 (66) 및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7)가, 제2 하우징편(22)의 각 슬라이드 홈(41, 42)의 타단부(41b, 42b)에 맞닿은 상태로 되고, 이와 동시에, 록 기구(46)의 록 클릭(46a)(도 3 참조)이 제1 하우징편(21)의 구멍부(47)(도 3 참조)에 걸린다. 이로써, 상기 휴대 전화기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하우징편(21) 및 제2 하우징편(22)이 대략 전체적으로 겹쳐지고, 또 가이드축부(60)의 2각 접합부(49)에 의해 코일 스프링(48)이 최대한으로 수축되어 슬라이드 이동이 정지한 상태인 닫힌 상태로 된다.
(열림 동작)
다음에, 제1 하우징편(21) 및 제2 하우징편(22)을 열린 상태로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1 하우징편(21) 및 제2 하우징편(22)이 도 11에 나타낸 닫힌 상태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개폐 조작 레버(17)를 도 12 중 화살표로 나타낸 열리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한다.
개폐 조작 레버(17)가 이 열리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되면, 이 개폐 조작 레버(17)의 조작에 연동하여, 제1 하우징편(21)의 구멍부(47)에 걸려져 있던 록 기구(46)의 록 클릭(46a)이, 상기 구멍부(47)로부터 벗어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편(21) 및 제2 하우징편(22)이 열린 상태로 될 때, 가이드축부(60)의 2각 접합부(49)에 의해 코일 스프링(48)이 최대한 수축되어 있으므로, 록 클릭(46a)이 상기 구멍부(47)로부터 벗어나면, 가이드축부(60)의 코일 스프링(48)이 신장되고, 이 코일 스프링(48)이 신장하는 힘에 의해, 가이드축부 (60)의 2각 접합부(49)에 접속되어 있는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가 슬라이드 홈(41)에 따라 서서히 자동적으로 상기 열리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또,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는, 제1 하우징편(21)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이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제1 하우징편(21)이 상기 열리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이 제1 하우징편(21)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7)가 슬라이드 홈(42)을 따라 서서히 상기 열리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다음에, 이 제1 하우징편(21)이 상기 열리는 방향으로 다시 슬라이드 이동하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 및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7)가, 제2 하우징편(22)의 각 슬라이드 홈(41, 42)의 일단부(41a, 42a)에 맞닿은 상태로 된다. 이로써, 상기 열리는 방향의 슬라이드 이동이 정지되고, 상기 휴대 전화기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하우징편(21)의 대략 반정도가 제2 하우징편(22)으로부터 돌출되어 조작부(15)가 노출된 상태인 열린 상태 로 된다.
[2각 접합부의 회전 동작]
여기서, 이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경우, 도 9를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각 하우징편(21, 22)이 전체적으로 완만한 상방향(표시부(3)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의 커브를 그리는 형태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각 슬라이드 홈(41, 42)에도 이 커브가 이루어져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및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7))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커브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가이드축부(60)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퍼형으로 된 레일 지지부(87)에 의해, 상기 커브가 형성된 제2 하우징편(22)에 대하여, 가이드축부(60)의 직선성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2 하우징편(22)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1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가 상기 커브를 따라 이동하는데 대하여, 가이드축부(60)의 2각 접합부(49)가 직선적으로 이동하게 되고, 각각 이동 경로가 상이하므로,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에 접속된 가이드축부(60)의 2각 접합부(49)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경우,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2각 접합부(49)가 가이드축부(60)의 축 주위에 회전함으로써, 양자의 이동 경로의 차이를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도 13에, 상기 휴대 전화기가 닫힌 상태시에 있어서의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 및 가이드축부(60)의 2각 접합부(49)의 횡단면도를, 도 14에 상기 휴대 전화기의 열린 상태시에 있어서의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 및 가이드축부(60)의 2각 접합부(49)의 횡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휴대 전화기가 닫힌 상태시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각 접합부(49)가, 제2 하우징편(22)의 전체 길이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도록 된다. 이것은, 제2 하우징편(22)에 적용되는 커브의 대략 정상점 부분에 2각 접합부(49)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 커브의 대략 정상점 부분은, 제2 하우징편(22)에 부가 되어 있는 커브의 시점으로서 볼 수가 있으므로, 2각 접합부(49)는, 말하자면 평탄한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닫힌 상태시에는, 2각 접합부(49)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의 핀 삽입부(75)에 삽입된 삽입용 핀(71)(및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가 올라앉음용 돌출부(76)에 올라앉은 올라앉음용 핀(72))이, 제2 하우징편(22)과의 평행 관계를 유지하는 수평 상태로 된다.
다음에, 상기 휴대 전화기가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서서히 이행하면,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가, 제2 하우징편(22)의 슬라이드 홈(41)에 적용된 커브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이지만, 이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에 접속되어 있는 2각 접합부(49)는, 이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의 커브를 그리는 슬라이드 방향에 반하는 형태로 가이드축부(60)에 따라 직선적으로 이동한다.
상기 휴대 전화기가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이행할 때,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가 상기 커브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 이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에 의해 2각 접합부(49)가 제2 하우징편(22)의 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2각 접합부(49)가 도 14에 나타낸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대하여, 상기 휴대 전화기가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 서서히 이행하면, 제2 하우징편(22)의 슬라이드 홈(41)에 적용되어 있는 커브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가 올라앉음용 돌출부(76)(도 6 참조)에 의해, 2각 접합부(49)가 올라앉음용 핀(72)(도 7 참조)이 서서히 제2 하우징편(22)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밀어 올려져, 상기 2각 접합부(49)가 도 13에 나타낸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에서는,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이 상기 커브를 따라 이동하는데 대하여, 가이드축부(60)의 2각 접합부(49)가 직선적으로 이동해도, 2각 접합부(49)가 가이드축부(60)의 축 주위에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양자의 이동 경로의 차이를 흡수할 수 있고,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에 접속된 2각 접합부(49)가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슬라이드 속도의 완화]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에서는, 가이드축부(60)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48)의 장력을 이용하여 자동 슬라이드 오픈을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상기 휴대 전화기를 열린 상태로 할 때 코일 스프링(48)에 의해 발생하는 열리는 방향의 힘을 다소 완화하여 상부 하우징(1)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가 닫힌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축부(60)의 코일 스프링(48)이, 2각 접합부(49)에 의해 수축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휴대 전화기를, 이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이행시키면, 코일 스프링(48)의 신장하는 힘이 2각 접합부(49) 및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를 통하여 제1 하우징편(21)에 전달되어 상기 제1 하우징편(21) 이 열리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 슬라이드 이동이 행해지면, 도 4에 나타낸 제1 하우징편(21)에 형성되어 있는 랙부(62)와 서로 맞물려 있는 피니언(61)(도 3 참조)이, 상기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것이지만, 이 회전시, 상기 피니언(61)와 함께 피니언 설치부에 설치된 회전 속도 완화 부재(63)에 맞닿으면서 회전한다.
이로써, 피니언(61)의 회전 속도가 회전 속도 완화 부재(63)에 의해 감속되게 되므로, 코일 스프링(48)의 신장하는 힘을 완화하여 제1 하우징편(21)에 전달할 수 있고, 상부 하우징(1) 및 하부 하우징(2)을 양호한 속도로 서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휴대 전화기를 자동 열림시킬 수 있다.
[실시예의 효과]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는,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51, 52)를 사용하여 제1 하우징편(21) 측으로부터 제2 하우징편(22) 측에 대하여 접속을 도모하는 동시에,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 및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7)를 사용하여 제2 하우징편(22) 측으로부터 제1 하우징편(21) 측에 대하여 접속을 도모한 2쌍의 슬라이드축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상부 하우징(1) 및 하부 하우징(2)을 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한 데 더하여, 서로 견고하게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편(21) 측의 각 슬라이드 홈(31, 32)은, 상기 제1 하우징편(21)의 대략 하반분의 영역에 설치되고, 제2 하우징편(22) 측의 각 슬라이드 홈(41, 42)는, 이 제1 하우징편(21)에 형성된 각 슬라이드 홈(31, 32)과는 대상적(對象的)으로, 제2 하우징편(22)의 대략 상반분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하우징(1)은, 하부 하우징(2) 측에 설치된 하부 하우징용 조작부(15)를 노출시키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휴대 전화기를 열린 상태로 했을 때, 제1 하우징편(21)에 형성된 각 슬라이드 홈(31, 32)은, 제2 하우징편(22)의 대략 상반분의 영역에서 숨겨지고 외관상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개폐시 모두 각 슬라이드 홈(31, 32, 41, 42)이 외관 상 나타나지 않는 휴대 전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는, 각 하우징편(21, 22)이 전체적으로 완만한 상방향(표시부(3)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의 커브를 그리는 형태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휴대 전화기를 열린 상태로 했을 때, 상부 하우징(1)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부(3)를, 이 커브에 따라 다소 앞쪽으로 밀어내어 위치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표시부(3)를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직선의 봉형의 가이드축부(60)가 탑재되는 가이드축 탑재부(79)의 레일 지지부(87)를 테이퍼형으로 함으로써, 가이드축부(60)를 제2 하우징편(22)에 설치했을 때, 제2 하우징편(22)의 커브에 반해 직선의 봉형의 가이드축부(60)가 이격되는 부분을 구멍매입할 수 있고, 완만한 커브를 그리는 형상으로 된 제2 하우징편(22)에 대하여, 직선의 봉형의 가이드축부(60)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 가이드축부(60)의 2각 접합부(49)를, 이 가이드축부(60)의 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므로,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가 상 기 하우징의 커브를 따라 이동하는데 대하여, 가이드축부(60)의 2각 접합부(49)가 직선적으로 이동해도, 2각 접합부(49)가 가이드축부(60)의 축 주위에 회전함으로써, 양자의 이동 경로의 차이를 흡수할 수 있고,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에 접속된 2각 접합부(49)가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주로 상기 휴대 전화기를 열린 상태로 할 때, 피니언(61)의 회전 속도를 회전 속도 완화 부재(63)에 의해 감속할 수 있으므로, 코일 스프링(48)이 신장하는 힘을 완화하여 제1 하우징편(21)에 전달할 수 있고, 상부 하우징(1) 및 하부 하우징(2)을 양호한 속도로 서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휴대 전화기를 자동 오픈 시킬 수 있다.
[변형예]
전술한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각 하우징편(21, 22)을, 전체적으로 완만한 상방향(표시부(3)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의 커브를 그리는 형상으로 하였으므로, 가이드축부(60)가 탑재되는 가이드축 탑재부(79)의 레일 지지부(87)를 테이퍼형으로 하는 동시에, 가이드축부(60)의 2각 접합부(49)를 회전 가능하게 하여,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의 이동 경로와 가이드축부(60)의 이동 경로의 차이를 흡수하는 것으로 했지만, 각 하우징편(21, 22)을, 각각 직선적인 형상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2각 걸어맞춤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66)는 직선적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레일 지지부(87)도 테이퍼형으로 하지 않고, 제2 하우징편(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또, 2각 접합부(49)가 회전하는 구조도 생략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을 휴대 전화기에 적용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 외에, PHS 전화기(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장치(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 사전 장치 등의 다른 슬라이드식의 단말기 장치에 적용해도 된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례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실시예 이외라도, 본 발명에 관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이면, 설계 등에 따라 각종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한 휴대 단말기 장치에 있어서, 덜거덕거림이 발생되지 않고,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동시에, 순조로운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휴대 단말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의 양 측면부에 각각 근접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하우징의 대략 하반분의 영역에 형성된 한쌍의 슬라이드 홈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양 측면부에 각각 근접하여 상기 하부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하부 하우징의 대략 상반분의 영역에 형성된 한쌍의 슬라이드 홈과,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각 대향면이 서로 중첩되었을 때, 상기 하부 하우징에 형성된 각 슬라이드 홈을 통하여 볼 수 있고,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에 형성된 각 슬라이드 홈의 하단부 근방이 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 측에 형성된 한쌍의 접속용 구멍부와,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각 대향면이 서로 중첩되었을 때,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각 슬라이드 홈을 통하여 볼 수 있고,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각 슬라이드 홈의 상단부 근방이 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 측에 형성된 한쌍의 접속용 구멍부와,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각 슬라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한쌍의 상부 하우징용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와,
    상기 하부 하우징에 형성된 각 슬라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한쌍의 하부 하우징용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은, 각 대향면이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각 슬라이드 홈에 걸어맞추어진 상기 상부 하우징용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가 상기 하부 하우징에 형성된 각 접속용 구멍부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에 형성된 각 슬라이드 홈에 걸어맞추어진 상기 하부 하우징용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가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각 접속용 구멍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이 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봉형(棒形)의 가이드축 본체에 삽입된 스프링 부재 및 접합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스프링 부재의 신축에 따라 상기 가이드축 본체에 따라 이동 가능한 가이드축을 가지고,
    상기 한쌍의 하부 하우징용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하부 하우징용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는 상기 가이드축의 접합부와의 접합을 도모하기 위한 접합부를 가지고,
    상기 가이드축은, 상기 하부 하우징용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의 접합부에 상 기 가이드축의 접합부가 접합되게 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하부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하부 하우징에 대향하는 대향면과 반대쪽 면 측으로 라운딩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상부 하우징에 대향하는 대향면 측으로 라운딩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축의 접합부는 가이드축 본체의 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축의 접합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용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의 상기 하부 하우징의 형상에 따른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축 본체의 축 주위를 회전함으로써, 상기 하부 하우징용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의 이동 경로와 상기 가이드축의 접합부의 이동 경로의 차이를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의 스프링 부재의 신축에 따라 상기 가이드축의 접합부 및 상기 하부 하우징용 슬라이드 접속용 부재의 접합부를 통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에 전달되는 슬라이드 방향의 힘을 완화시키는 슬라이드력 완화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휴대 단말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력 완화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하우징에 설치된 랙부와,
    상기 상부 하우징에 설치된 랙부와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상기 하부 하우징에 설치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에 항상 맞닿는 형태로 설치된 회전 속도 완화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장치.
KR1020060020982A 2005-03-07 2006-03-06 휴대 단말기 장치 KR200600969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62503 2005-03-07
JP2005062503A JP4530218B2 (ja) 2005-03-07 2005-03-07 携帯端末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914A true KR20060096914A (ko) 2006-09-13

Family

ID=36569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0982A KR20060096914A (ko) 2005-03-07 2006-03-06 휴대 단말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27355B2 (ko)
EP (1) EP1701519B1 (ko)
JP (1) JP4530218B2 (ko)
KR (1) KR20060096914A (ko)
CN (1) CN100542186C (ko)
DE (1) DE60200600028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3053B2 (en) * 2004-11-23 2008-04-01 Oqo, Inc. Non-binding sliding display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0617673B1 (ko) * 2004-12-06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및 이를채용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US20070060219A1 (en) * 2005-09-09 2007-03-15 Hung-Chih Lin Sliding shell
GB2438632B (en) * 2006-05-18 2010-06-16 Nokia Corp Slider mechanism and associated devices and methods
US7515930B2 (en) * 2006-05-24 2009-04-07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sliding mechanism
KR100713479B1 (ko) * 2006-06-08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슬라이딩/스윙 거치 장치
US7953464B2 (en) * 2006-07-13 2011-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0761527B1 (ko) * 2006-08-08 2007-09-27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폰의 슬라이딩 장치
US20110092254A1 (en) * 2006-10-16 2011-04-21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two Input Devices
TWI385457B (zh) * 2006-12-27 2013-02-11 Hon Hai Prec Ind Co Ltd 滑蓋式電子裝置
USD617330S1 (en) 2007-03-06 2010-06-08 Palm, Inc. Mobile computing device
WO2008120706A1 (ja) 2007-03-30 2008-10-09 Nec Corporation 携帯機器のスライド構造及び携帯機器
EP2134064A4 (en) 2007-03-30 2017-03-15 NEC Corporation Portable device
KR100853659B1 (ko) * 2007-05-28 2008-08-25 (주)엘티엠에이피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식 개폐장치
JP4842223B2 (ja) 2007-07-27 2011-12-21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スライドモジュール
USD613743S1 (en) 2007-08-30 2010-04-13 Palm, Inc. Mobile computing device
KR20100075443A (ko) * 2007-10-26 2010-07-02 가부시키가이샤 스트로베리 코포레이션 슬라이드 장치 및 슬라이드 장치를 이용한 전자 기기
JP5127840B2 (ja) * 2007-12-14 2013-01-23 富士通株式会社 表示パネル構造体、それを用いた電子装置、および携帯型情報機器
TW200939935A (en) * 2008-03-12 2009-09-16 Asustek Comp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907983B1 (en) 2008-03-25 2011-03-15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ireless handset with locking slider
CN101615737B (zh) * 2008-06-23 2012-05-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的卡锁结构
JP2010011149A (ja) * 2008-06-27 2010-01-14 Panasonic Corp スライド式携帯端末
US20100090959A1 (en) * 2008-10-14 2010-04-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Forming a keyboard from a combination of keys displayed on a touch sensitive display and on a separate keypad
CN101741930B (zh) * 2008-11-12 2013-11-2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盖手机结构
US8150480B2 (en) * 2008-12-10 2012-04-03 Nokia Corporation Device with retracted front face
US8355755B2 (en) * 2009-03-03 2013-01-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8165649B2 (en) * 2009-04-30 2012-04-2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orsion spring
CN102006340A (zh) * 2009-08-28 2011-04-0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盖机构及具该滑盖机构的便携式电子装置
CN102056443B (zh) * 2009-10-27 2012-12-1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盖结构及应用该滑盖结构的电子装置
CN102111978A (zh) * 2009-12-23 2011-06-2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盖机构及具该滑盖机构的便携式电子装置
TWM388826U (en) * 2010-04-30 2010-09-11 Hon Hai Prec Ind Co Ltd Sliding apparatus
CN201797673U (zh) * 2010-08-24 2011-04-13 新日兴股份有限公司 滑盖式枢纽器及滑盖式可携装置
US9578769B2 (en) 2012-05-29 2017-02-21 Apple Inc. Components of a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for their assembly
US20150011262A1 (en) * 2013-07-05 2015-01-08 John Ashmore LUMBARD Mobile,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martphon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US9560179B2 (en) * 2013-07-05 2017-01-31 John Ashmore LUMBARD Foldable curv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insertion into hip pocket
US10079923B2 (en) 2013-07-05 2018-09-18 John Ashmore LUMBARD Foldable electronic gaming 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insertion into hip pocket
CN104301457A (zh) * 2013-07-15 2015-01-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滑盖式电子设备
KR20170028719A (ko) * 2015-09-04 201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570U (ja) * 1981-08-03 1983-02-08 ソニー株式会社 ロック機構
JP3016889B2 (ja) * 1991-02-28 2000-03-06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用電話機
JP3088183B2 (ja) * 1992-02-29 2000-09-18 日本電気株式会社 伸縮型電話機
GB2350516A (en) 1999-05-26 2000-11-29 Ericsson Telefon Ab L M Telephone handset with at least two movable elements whose motion is linked or is initiated by pushbutton or incoming call
US6980840B2 (en) * 2000-01-24 2005-12-27 Lg Electronics Inc. Drawer-type mobile phone
FI20000931A (fi) 2000-04-18 2001-10-19 Nokia Mobile Phones Ltd Kannettava elektroninen laite
KR100417248B1 (ko) * 2001-03-22 2004-02-0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을 이용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
JP2003179678A (ja) * 2001-10-03 2003-06-27 Nec Corp 携帯電話機
JP2003319042A (ja) 2002-04-25 2003-1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機器
JP2004222173A (ja) * 2003-01-17 2004-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機
KR100694258B1 (ko) 2003-07-25 200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
JP2005062503A (ja) 2003-08-13 2005-03-1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KR20050027654A (ko) * 2003-09-16 2005-03-2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703339B1 (ko) * 2003-09-24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및 이 무선단말기에서의 슬라이딩 제어 방법
KR100617690B1 (ko) * 2003-11-10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704031B1 (ko) * 2004-04-29 2007-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TWM259411U (en) * 2004-06-11 2005-03-11 Quanta Comp Inc Automatic sliding mechanism
JP4169204B2 (ja) * 2004-09-16 2008-10-22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30218B2 (ja) 2010-08-25
EP1701519B1 (en) 2007-12-05
US7627355B2 (en) 2009-12-01
DE602006000281D1 (de) 2008-01-17
JP2006246353A (ja) 2006-09-14
CN1832507A (zh) 2006-09-13
DE602006000281T2 (de) 2008-11-27
US20060205450A1 (en) 2006-09-14
CN100542186C (zh) 2009-09-16
EP1701519A1 (en) 200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96914A (ko) 휴대 단말기 장치
KR100617690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655114B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US8352000B2 (en) Mobile phone having dual connection member and hinge device thereof
KR100698581B1 (ko) 슬라이딩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딩개폐장치
EP1742448B1 (en) Sliding mobile terminal with damping unit
KR100678071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66350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US20080015001A1 (en) Sliding mechanism for slide-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754594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0899741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20060058587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573452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0749747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353356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KR100970983B1 (ko) 슬라이드 장치용 스프링 모듈
KR10071337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958818B1 (ko) 휴대용 정보기기의 슬라이딩 장치
KR20070068666A (ko) 슬라이드방식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KR200353355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KR200350570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0678061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929104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20080082721A (ko) 휴대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US20120149447A1 (en)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