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6112A -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6112A
KR20060096112A KR1020067009603A KR20067009603A KR20060096112A KR 20060096112 A KR20060096112 A KR 20060096112A KR 1020067009603 A KR1020067009603 A KR 1020067009603A KR 20067009603 A KR20067009603 A KR 20067009603A KR 20060096112 A KR20060096112 A KR 20060096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drive sheave
brake
main shaft
brake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9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4493B1 (ko
Inventor
가즈아키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09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4493B1/ko
Publication of KR20060096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1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axial effect
    • B66D5/14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axial effect embodying discs

Abstract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있어서는, 브레이크부에 의해 구동 쉬브의 회전이 제동된다. 브레이크부는, 구동 쉬브와 일체로 회전되는 브레이크 디스크와, 브레이크 디스크를 사이에 두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부 본체를 가지고 있다. 브레이크 디스크는, 구동 쉬브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 디스크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제동면을 가지고 있다. 브레이크부 본체는, 제 1 제동면에 접리(接離)되는 제 1 제동편과, 제 2 제동면에 접리되는 제 2 제동편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HOIST FOR ELEVATOR}
본 발명은, 메인 로프가 감겨지는 구동 쉬브와, 구동 쉬브를 회전시키는 모터부와, 구동 쉬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부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서는, 전기자의 설치부와 구동 쉬브가 사발 모양체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사발 모양체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는, 사발 모양체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편이 접리(接離)되는 제동면이 사발 모양체의 내주(內周)에 형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특개2000-289954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서는, 브레이크 장치가 사발 모양체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동 반경이 작기 때문에, 브레이크 장치에 큰 제동력이 필요하게 되어, 브레이크 장치가 대형화하여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브레이크 부 본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는, 기본체, 기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주축, 주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구동 쉬브, 기본체에 지지되어 있는 모터 고정자와, 구동 쉬브와 함께 회전 가능한 모터 회전자를 가지고, 구동 쉬브를 회전시키는 모터부, 및 구동 쉬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부를 구비하며, 브레이크부는, 구동 쉬브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제동면을 가지며, 구동 쉬브와 일체로 회전되는 브레이크 디스크와, 제 1 제동면에 접리되는 제 1 제동편과, 제 2 제동면에 접리되는 제 2 제동편을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제동편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를 사이에 두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부 본체를 가지고 있다.
도 l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계략적인 측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의 하부(피트(pit))에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2)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용 권상기(2)로서는, 축 방향의 치수가 축 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외경 치수보다 작은 박형(薄形) 권상기가 사용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4)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2)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5a, 5b)가 설치되어 있다. 균형추(4)의 상부에는,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6)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리턴 쉬브(7) 및 한 쌍의 균형추 측 리턴 쉬브(8a, 8b)가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4)는, 복수 개(도에서는 1개만 나타냄)의 메인 로프(9)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져 있다.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로프단 접속부(10)가 고정되어 있다. 메인 로프(9)는, 로프단 접속부(10)에 접속된 제 1 단부(9a) 및 제 2 단부(도시생략)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용 권상기(2)는, 메인 로프(9)가 감겨진 구동 쉬브(11)를 가지고 있다. 메인 로프(9)는, 제 1 단부(9a)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5a),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5b),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쉬브(7), 구동 쉬브(11), 균형추 측 리턴 쉬브(8a), 균형추 측 리턴 쉬브(8b) 및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6)에 감겨져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4)는, 메인 로프(9)에 의해 2:1 로핑 방식으로 매달려져 있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2)의 단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금속제의 기본체(12)는, 설치면에 설치되는 다리부(12a), 원통 모양의 고정자 설치부(12b), 및 원통 모양의 주축 삽입부(12c)를 가지고 있다. 고정자 설치부(12b) 및 주축 삽입부(12c)는, 서로 같은 축에 배치되어 있다. 고정자 설치부(12b)의 내경(內徑) 및 외경(外徑)은, 주축 삽입부(12c)의 내경 및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기본체(12)에는, 금속제의 사발 모양 회전체(13)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사발 모양 회전체(13)는, 사발 모양 회전체(13)의 회전 중심이 되는 주축(13a), 구동 쉬브(11), 및 원통 모양의 회전자 설치부(13b)를 가지고 있다. 즉, 주축(13a), 구동 쉬브(11) 및 회전자 설치부(13b)는, 공통의 사발 모양 회전체(13)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 주축(13a), 구동 쉬브(11) 및 회전자 설치부(13b)는, 서로 같은 축에 배치되어 있다.
주축(13a)은, 기본체(12)의 한쪽에서부터 주축 삽입부(12c) 내에 삽입되어 있다. 구동 쉬브(11)의 내주면은, 주축 삽입부(12c)의 외주면에 대향하고 있다. 즉, 주축(13a) 및 주축 삽입부(12c)는, 구동 쉬브(11)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11)의 외주면에는, 메인 로프(9)가 삽입되는 복수의 로프 홈(11a)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자 설치부(13b)는, 주축(13a)의 축 방향에 대하여 구동 쉬브(11)의 다른 쪽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회전자 설치부(13b)의 내경 및 외경은, 구동 쉬브(11)의 내경 및 외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회전자 설치부(13b)의 내주면은, 고정자 설치부(12b)의 외주면에 대향하고 있다. 즉, 고정자 설치부(12b)는, 회전자 설치부(13b)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구동 쉬브(11)와 회전자 설치부(13b)와의 사이에는, 플랜지부(13c)가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13c)에는, 디스크 설치부(계단부)(13d)가 설치되어 있다. 사발 모양 회전체(13)의 회전자 설치부(13b) 측의 단부는, 개구(開口)하고 있다.
주축(13a)의 외주면과 주축 삽입부(12c)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주축(13a)의 축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베어링(14)이 개재되어 있다. 이에 의해, 주축(13a)은, 주축 삽입부(12c)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고정자 설치부(12b)의 외주면에는, 모터 고정자(15)가 설치되어 있다. 즉, 모터 고정자(15)는, 기본체(1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회전자 설치부(13b)의 내주면에는, 모터 고정자(15)에 대향하는 모터 회전자(16)가 설치되어 있다. 즉, 모터 회전자(16)는, 사발 모양 회전체(13)와 함께 회전 가능하다. 모터부(17)는, 모터 고정자(15) 및 모터 회전자(16)를 가지고, 주축(13a)을 중심으로 하여 사발 모양 회전체(13)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이 발생한다.
디스크 설치부(13d)에는, 둥근 고리 형상의 브레이크 디스크(18)가 고정되어 있다. 브레이크 디스크(18)는, 구동 쉬브(11)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구동 쉬브(11)와 일체로 회전된다. 브레이크 디스크(18)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제동면(18a, 18b)을 가지고 있다. 제 1 및 제 2 제동면(18a, 18b)은, 주축(13a)의 축선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하여 평행하다.
기본체(12)의 상부에는, 브레이크 지지 틀(19)이 고정되어 있다. 브레이크 지지 틀(19)에는, 브레이크부 본체(20)가 탑재되어 있다. 브레이크부 본체(20)는, 제 1 제동면(18a)에 접리되는 제 1 제동편(21)과, 제 2 제동면(18b)에 접리되는 제 2 제동편(22)을 가지고 있다. 또, 브레이크부 본체(20)는, 제 1 및 제 2 제동편(21, 22)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18)를 사이에 두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18) 및 구동 쉬브(11)의 회전을 제동한다. 브레이크부(23)는, 브레이크 디스크(18) 및 브레이크부 본체(20)를 가지고 있다.
브레이크부 본체(20)로서는, 예를 들면 전자 브레이크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전자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는, 제동 스프링(도시생략)의 스프링력에 의해 제 1 및 제 2 제동편(21, 22)이 제 1 및 제 2 제동면(18a, 18b)에 가압되어 브레이크 디스크(18)의 회전이 제동된다. 또, 전자석(도시 생략)을 여자(勵磁)하는 것에 의해 제동 스프링에 역으로 제 1 및 제 2 제동편(21, 22)이 제동면(18a, 18b)으로부터 개리(開離)되어, 제동이 해제된다.
기본체(12)에는, 주축(13a)의 회전을 검출하기 위한 회전 검출기, 예를 들면 인코더(24)가 지지되어 있다. 인코더(24)는, 설치용 판스프링(25)을 통하여 기본체(12)에 설치되어 있다. 설치용 판스프링(25)의 기단부는, 주축 삽입부(12c)의 다른 쪽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기본체(12)에는, 주축(13a)과는 반대 측에 인코더(24)를 노출시키는 개구부(12d)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인코더(24)는, 구동 쉬브(11)의 회전 속도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킨다. 인코더(24)로부터의 신호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2)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도시 생략)에 보내어진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2)에서는, 제 1 및 제 2 제동편(21, 22)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18)를 사이에 두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18) 및 구동 쉬브(11)의 회전이 제동되므로, 브레이크 디스크의 한쪽 면에만 제동편을 가압하는 경우에 비하여, 약 2배의 제동력을 얻을 수 있어서, 브레이크부 본체(2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브레이크부 본체(20)는, 구동 쉬브(11)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된 브레이크 디스크(18)를 사이에 둠으로써, 구동 쉬브의 내측에 브레이크부 본체를 배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동 반경을 크게 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도 브레이크부 본체(2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디스크(18) 및 브레이크부 본체(20)가 사발 모양 회전체(13)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부 본체(20)의 조립 작업이나, 브레이크부 본체(20) 및 브레이크 디스크(18)의 보수 점검 작업이 용이하다. 예를 들면, 제동면(18a, 18b)과 제동편(21, 22)과의 사이의 갭 조정이나 갭의 확인 등이 용이하다.
게다가 또, 주축(13a), 구동 쉬브(11) 및 회전자 설치부(13b)는, 공통의 사발 모양 회전체(13)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2) 전체의 축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주축(13a)이 구동 쉬브(11)와 함께 회전되므로, 인코더(24)를 설치용 판스프링(25)만으로 기본체(12)에 설치할 수 있고, 인코더(24)의 기본체(12)로의 착탈(着脫)이 용이하다. 이 때문에, 인코더(24)의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브레이크 디스크(18)가 사발 모양 회전체(13)와 별체로 구성되어 있으나, 브레이크 디스크를 사발 모양 회전체에 일체적으로 설치하 여도 좋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주축(13a)이 수평이 되도록 엘리베이터용 권상기(2)가 설치되나, 주축(13a)이 수직 또는 대략 수직으로 되도록 엘리베이터용 권상기(2)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승강로(1) 내의 하부에 엘리베이터용 권상기(2)가 설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설치 장소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승강로(1) 내의 상부나 승강로(1) 위의 기계실 내에 설치할 수도 있다.
게다가 또, 상기의 예에서는, 2:1 로핑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 추(3)를 매달았으나, 로핑 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2:1 로핑 방식인 엘리베이터 칸(2)이라도 좋다.
또, 메인 로프로서는, 강제(鋼製) 로프를 사용하여도 좋지만, 고마찰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외층 피복체가 외주부에 설치되어 있는 수지 피복 로프를 사용할 수도 있고, 구동 쉬브, 리턴 쉬브 및 서스펜션 쉬브의 지름을 작게 하여, 승강로 내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주축(13a)을 회전축으로 하였으나, 주축을 고정축으로 하고, 주축에 대하여 구동 쉬브를 회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게다가 또, 브레이크부 본체의 개수는 1개에 있어서도 복수 개에 있어서도 좋다. 즉, 1장의 브레이크 디스크의 원주 상에 복수의 브레이크부 본체를 배치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 로프가 감겨지는 구동 쉬브와, 구동 쉬브를 회전시키는 모터부와, 구동 쉬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부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3)

  1. 기본체,
    상기 기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주축,
    상기 주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구동 쉬브,
    상기 기본체에 지지되어 있는 모터 고정자와, 상기 구동 쉬브와 함께 회전 가능한 모터 회전자를 가지고, 상기 구동 쉬브를 회전시키는 모터부, 및
    상기 구동 쉬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부
    를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구동 쉬브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제동면을 가지며, 상기 구동 쉬브와 일체로 회전되는 브레이크 디스크와,
    상기 제 1 제동면에 접리(接離)되는 제 1 제동편과, 상기 제 2 제동면에 접리되는 제 2 제동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제동편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를 사이에 두는 것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부 본체
    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회전자가 설치되는 회전자 설치부, 상기 주축 및 상기 구동 쉬브 가, 공통의 사발 모양 회전체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는, 상기 사발 모양 회전체의 상기 구동 쉬브와 상기 회전자 설치부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제동면은, 상기 주축의 축선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하여 평행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KR1020067009603A 2006-05-17 2004-09-13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KR100824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9603A KR100824493B1 (ko) 2006-05-17 2004-09-13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9603A KR100824493B1 (ko) 2006-05-17 2004-09-13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112A true KR20060096112A (ko) 2006-09-06
KR100824493B1 KR100824493B1 (ko) 2008-04-22

Family

ID=37625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603A KR100824493B1 (ko) 2006-05-17 2004-09-13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4493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1443A (ja) 1999-11-30 2001-06-05 Toshiba Digital Media Engineering Corp 巻上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2004137037A (ja) 2002-10-18 2004-05-13 Ts Corporation エレベータ用昇降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4493B1 (ko) 2008-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25979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A2171519A1 (en) Integrated elevator drive machine and brake assembly
JPWO2005080251A1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JP7032291B2 (ja) 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
JP2004338915A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EP1717474B1 (en) Brake device and hoist for elevator
KR100691663B1 (ko)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EP1705148A1 (en) Elevator hoist
JP4499496B2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KR100824493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JP5591767B2 (ja) 薄型巻上機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CN109205443B (zh) 卷扬机以及电梯
EP1790610A1 (en) Hoist for elevator
JP2010100373A (ja) エレベータ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KR100790654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KR20040019493A (ko) 엘리베이터용 박형 권상기
JP7261320B2 (ja) 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
KR100451316B1 (ko) 엘리베이터용 박형 권상기
JP403207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475017B2 (ja) エレベータの巻き上げ機
JP4284123B2 (ja) 巻上機及び巻上機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装置
JP3787570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18198231A1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JP2002154773A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巻上機
KR100798988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