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2323A - 음식물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2323A
KR20060092323A KR1020050012993A KR20050012993A KR20060092323A KR 20060092323 A KR20060092323 A KR 20060092323A KR 1020050012993 A KR1020050012993 A KR 1020050012993A KR 20050012993 A KR20050012993 A KR 20050012993A KR 20060092323 A KR20060092323 A KR 20060092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pressing
protrusion
food waste
tr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9421B1 (ko
Inventor
박무환
Original Assignee
박무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무환 filed Critical 박무환
Priority to KR1020050012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9421B1/ko
Publication of KR20060092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65F2001/1676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relating to means for sealing the lid or cover, e.g. against escaping od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7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음식물 쓰레기통이 차지하는 공간이 작을 뿐만 아니라, 악취발산 및 저장된 음식물로 인한 혐오감을 차단하여 반복적인 사용에도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쓰레기, 쓰레기, 압착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통{garbage can}
도 1은 종래의 압착 음식음식물 쓰레기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뚜껑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0: 누름봉 311 : 슬라이딩홈
312 : 장공 400 : 뚜껑
410 : 손잡이용 홈 420 : 체결돌출부
430 : 인출공 440 : 요홈
500 : 쓰레기통 본체 510 : 이송부
520 : 하우징 530 : 거름망
540 : 쓰레기받이지지부 600 : 물받이부
700 : 압착판 710 : 돌출부
720 : 힌지축 730 : 실링부재
740 : 안착홈 800 : 격벽
900 : 쓰레기받이부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음식물 쓰레기통이 차지하는 공간이 작을 뿐만 아니라, 악취발산 및 저장된 음식물로 인한 혐오감을 차단하여 반복적인 사용에도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쓰레기의 부피가 크거나, 물기를 포함하는 쓰레기의 경우에는 부피도 많을 뿐 아니라 봉투가 훼손되는 등 환경훼손에 있어서도 그 영향이 매우 크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쓰레기의 물기를 간편하게 제거하여 쓰레기의 양을 줄일 수 있도록 음식물 쓰레기통에 쓰레기 압착기를 장착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통으로써,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196693호의 공보에 제시되어 있다.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통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통의 뚜껑(4)에 구멍을 뚫어 여기에 압착기 동력전달축(2)을 삽입하고 그 위쪽끝에는 압착기 누름봉(1)을 가설하고, 아래쪽 끝에는 압착판(7)을 가설한다. 이때 음식물 쓰레기통의 뚜껑(4)위로 돌출된 압착기 동력전달축(2)은 탄성 스프링(3)으로 둘러싸여 있어서 압착기 누름봉(1)을 눌렀다가 손을 떼게 되면 탄성으로 인하여 압착기 동력전달축(2)이 다시 제자리로 밀려 올라오게 되어있는 구성이다.
다음으로 음식물 쓰레기통의 외피(5)에 내피(6)를 삽입하는데, 이때 내피(6) 는 그 바닥이 그물과 같은 모양인 물기제거망으로 되어 있어서 액체성분을 가진 물체는 통과되고 고체성분의 물체만 남게되어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물기를 포함한 쓰레기를 통안에 투입하게 되면 일단 쓰레기는 내피에쌓이게 되고 압착기 누름봉(1)을 눌러주면 압착판(7)이 쓰레기를 누르게 되어 쓰레기에 포함된 물기는 내피(6)의 물기 거름망을 통과하고 내피에는 물기가 빠진 쓰레기가 남게 된다. 다시 압착기 누름봉(1)에서 손을 떼게 되면 압착기 누름봉(1)이 원래 위치로 돌아오게 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통은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고 나서, 이차적으로 다시 쓰레기통에 음식물을 버릴 때, 쓰레기통에 저장되어 있던 음식물 쓰레기가 유관으로 보이기 때문에 혐오감을 갖게 되고,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빠져나온 수분으로부터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통이 차지하는 공간이 작을 뿐만 아니라, 악취발산 및 저장된 음식물로 인한 혐오감을 차단하여 반복적인 사용에도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통은, 쓰레기통 본체와, 상기 쓰레기통 본체를 개폐하는 뚜껑과, 상기 쓰레기통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음식물을 가압하는 압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쓰레기통 본체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에 연통되게 측면에 삽입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음식물 가압공간과 음식물 수납공간을 분리하는 격벽과, 압착된 음식물에서 빠져나오는 수분을 드레인시키는 드레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쓰레기통에 저장된 수분 및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악취발산 및 혐오감을 차단하여 반복적인 사용에도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격벽은 상기 하우징에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상기 격벽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 압착시 음식물로부터 빠져나오는 수분이 효과적으로 드레인부로 유도되게 된다.
상기 드레인부와 상기 음식물 가압공간 사이에는 거름망이 배치되어, 음식물의 수분만 상기 드레인부에 수납되도록 한다.
상기 드레인부는 물받이부와 상기 물받이부와 상기 거름망 사이를 잇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 하부에는 상기 물받이부가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 하부에는 상기 중공부에 연통되게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중공부에 쓰레기받이부가 더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뚜껑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음식물 쓰레기통은, 쓰레기통 본체(500)와, 상기 쓰레기통 본체(500)를 개폐하는 뚜껑(400)과, 상기 쓰레기통 본체(500) 내부에 배치되어 음식물을 가압하는 압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쓰레기통 본체(500)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에 연통되게 측면에 삽입공이 형성된 하우징(520)과,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음식물 가압공간과 음식물 수납공간을 분리하는 격벽(800)과, 압축된 음식물에서 빠져나오는 수분을 드레인시키는 드레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쓰레기통 본체(500)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부피가 축소될 수 있는 각종 쓰레기를 수납하는 공간이다.
하우징(520)은 중공형 원통형상으로 중공부와 하부 측면에 수납홈이 구비되며, 상기 중공부에는 측면 일부가 절개되어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와 상기 수납홈은 쓰레기받이지지부(540)에 의해 분리된다.
또한, 상기 개방부의 상측에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520) 내주면에는 삽입공을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끼움홈은 천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를 하우징(520)의 중공부에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음식물 투입구는 깔대기 구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520)의 뚜껑(400) 체결부에는 내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체결돌기 하부에는 뚜껑(400)의 체결돌출부(42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체결돌출부(420)를 하우징(520)의 체결돌기 사이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한 후 반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시키면 뚜껑(400)의 체결돌출부(420)가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이 제한된다. 뚜껑(400)을 해제시킬 때에는 뚜껑(400)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삽입홈에서 빼낸 후에 체결홈을 따라 상부로 빼내면 뚜껑(400)은 쓰레기통 본체(500)로부터 해제되게 된다.
격벽(800)은 삽입공에 삽입되어 끝단이 끼움홈에 끼워지게 되며, 자유단에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장착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식물 압착시 음식물로부터 빠져나온 수분이 거름망(530)으로 잘 빠져나가도록, 상기 끼움홈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평면형상의 격벽(800)을 상기 하우징(520)에 경사지게 배치하거나, 격벽(800)의 상면 또는 상하면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공에 삽입하여, 가압공간의 저면을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격벽(800)은 음식물 가압공간과 음식물 수납공간을 분리하여, 축적된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악취가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쓰레기받이부(900)와 물받이부(600)에 저장되는 오폐수와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야기되는 혐오감을 차단시키게 된다.
거름망(530)은 끼움홈 상부의 측면상에 하우징(520)과 일체로 형성되어, 압착되는 음식물의 수분만을 빠져나가도록 한다.
쓰레기받이부(900)는 상기 개방부을 통해 삽입되어 중공부에 수납되며,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이 수납되는 음식물 수납부이다.
또한, 쓰레기받이부(900)에는 쓰레기봉투를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는 쓰레기봉투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부는 거름망(530)을 통해 빠져나오는 수분을 드레인시키며, 수납홈에 수납되는 물받이부(600)와, 물받이부(600)와 거름망(530) 사이를 잇는 이송부(5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물받이부(600)는 상기 수납홈에 수납되며, 격벽(800)에 놓여진 음식물이 압착판(700)에 의해 압착될 때, 음식물로부터 빠져나오는 수분이 저장된다.
이와 같이 쓰레기받이부(900)와 물받이부(600)가 쓰레기통 본체(500)로부터 쉽게 탈착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쓰레기통에 수납된 쓰레기 처리시 사용자가 쓰레기통에 직접 손을 넣어서 꺼내어 처리할 필요 없이, 수납된 쓰레기받이부(900)와 물받이부(600)만을 인출하여 바로 비워주면 되므로 쓰레기 처리 또한 간편하면서도 위생적으로 될 수 있다.
나아가, 물받이부(600)와 쓰레기받이부(900)는 그 내부에 저장되는 음식물이나 오폐수의 저장수위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일부가 투명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송부(510)는 하우징(520)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거름망(530)을 통해 빠져나온 수분을 물받이부(600)까지 이송하며, 이송되는 수분이 다른 곳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납홈과 연결부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다.
여기서, 쓰레기통 본체(500)에 음식물을 투입하면, 투입된 음식물은 격벽(800)에 놓여지게 되고, 여기에 압착수단을 하강시켜 음식물을 압착하게 되면, 축적된 음식물로부터 유출되는 수분은 거름망(530)을 통해 하부로 낙하되어 수납홈에 수납된 물받이부(600)에 저장된다.
이어서, 격벽(800)을 하우징(520)으로부터 제거하면, 격벽(800) 위의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은 쓰레기받이부(900)에 저장되게 되고, 다시 격벽(800)을 끼워넣으면 다음 사용자가 음식물을 쓰레기통에 다시 버릴 때 격벽(800)이 쓰레기받이부(900)를 폐쇄시켜 음식물의 악취가 발산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수분이나 쓰레기의 저장레벨이 허용높이 이상으로 있으면, 물받이부(600)나 쓰레기받이부(900)를 중공부와 수납홈으로부터 인출하여 쓰레기받이부(900)와 물받이부(600)에 저장된 것을 별도로 처리한 후 다시 쓰레기받이부(900)와 물받이부(600)를 중공부와 수납홈에 수납한다.
한편, 물받이부(600)나 쓰레기받이부(900)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전면에는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다.
뚜껑(400)은 쓰레기통 본체(500)를 개폐하며, 중앙에는 인출공(4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착수단은 상기 쓰레기통 본체(500) 내부에 배치되어 음식물을 가압하는 압착판(700)과, 압착판(700)과 연결되어 상기 인출공(430)을 통해 인출되는 돌출부(710), 상기 돌출부(710)를 가압하는 누름봉(300), 상기 누름봉(300) 일단이 상기 돌출부(710)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축(720), 상기 누름봉(300)과 상기 돌출부(710)에 삽입되는 힌지축(720), 상기 누름봉(300)의 타단과 상기 돌출부(710) 사이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뚜껑(400) 상부에는 원형상의 손잡이용 홈(410)과, 누름봉(300)이 안착되는 요홈(440)이 형성되어 있으며, 뚜껑(400) 하단에는 압착판(700)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뚜껑(400) 외주면에는 쓰레기통 본체(500)에 뚜껑(400)을 밀폐체결시키기 위해서 체결돌출부(420)가 두개 형성되어 있다.
압착판(700)은 쓰레기통 본체(500) 내부에 배치되어, 누름봉(300)을 누르게 되면 쓰레기를 가압하게 된다.
압착판(700) 상단에는 고무와 같은 실링부재(730)가 부착되어, 누름봉(300) 절첩시 뚜껑(400)과 직접 부딪히지 않고 사이에 실링부재(730)가 배치됨으로써, 뚜껑(400)과 압착판(700)에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실링부재(73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압착판(700)과 돌출부(710)의 연결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됨으로써, 실링부재(730)는 실링 기능을 하여 쓰레기통 내부의 악취가 인출공(430)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돌출부(710)는 압착판(700)에 일체로 형성되어, 뚜껑(400)의 인출공(430)을 통해 인출되며, 인출된 돌출부(710) 상단에는 누름봉(300)의 일단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74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안착홈(740)이 형성됨으로써, 누름봉(300)을 수직으로 세우게 되면 누름봉(300) 일단이 안착홈(740)에 안착됨으로써, 누름봉(300)은 돌출부(710)로 부터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어 누름봉(300)과 돌출부(710)가 안정적으로 일직선상에 놓이게 된다.
힌지축(720)은 돌출부(710) 양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누름봉(300) 일단이 돌출부(710)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누름봉(300)의 타단과 돌출부(710) 사이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이며, 누름봉(300) 일단에 형성되어 돌출부(710)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홈(311)과, 슬라이딩홈(311)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힌지축(720)이 삽입되는 장공(312)이 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이러한 길이조절수단으로써 슬라이딩 방식으로 누름봉(300) 양측 또는 슬라이딩홈(311) 내측에 길게 홈을 형성하여 길이 조정이 될 수 있으며, 또 다른 방법으로는 분리형식으로 돌출부(710)에 연결된 누름봉(300) 이외에 누름봉(300)에 결합가능한 분리된 누름봉을 구비하여 사용시에 분리된 누름봉을 결합시켜서 그 길이를 조정할 수도 있다.
이와같은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됨으로써, 누름봉(300)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 하면서도, 대용량의 쓰레기통에서도 압착판(700)을 쓰레기통의 깊은 곳까지 하강시켜서,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압착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딩홈(311)은 누름봉(300) 일단에 누름봉(300) 중간길이 정도로 길게 형성되며, 장공(312)은 슬라이딩홈(311)에 수직으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딩홈(311)에는 돌출부(710)가 삽입되고 장공(312)에는 힌지축(720)이 삽입되어, 힌지축(720)은 장공(312)에서 슬라이딩 되게 된다.
이로써, 누름봉(300)은 평소에는 힌지축(720)을 누름봉(300)의 중간에 위치시킴으로써, 절첩상태로 요홈(440)에 안착되게 된다. 따라서, 평소에는 압착판(700)이 움직이지 않도록 그 위치를 고정시키게 되며, 손잡이용 홈(410)에 손을 넣어 수평상태의 누름봉(300)을 잡게 되면 손잡이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뚜껑(400) 상면의 요홈(440)에 절첩되어 수평상태의 누름봉(300)을 수직으로 세우면 누름봉(300) 말단과 돌출부(710)에 연결된 힌지축(720)을 중심으로 누름봉(300)이 회전되면서 돌출부(710)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므로, 누름봉(300)을 아래방향으로 누르면 누름봉(300)이 뚜껑(400)의 인출공(430)을 통해 하강되면서 압착판(700)을 가압시켜 엉성하게 담겨져 있던 쓰레기를 압착하게 된다.
이렇게 쓰레기를 압착한 후에 누름봉(300)을 당겨 압착판(700) 상부의 돌출부(710)가 인출공(430)상부로 인출되면 누름봉(300)을 절첩시켜서 요홈(440)에 안착시키면 쓰레기통 본체(500) 내에서 하강되었던 압착판(700)은 상승되어 쓰레기통 본체(500) 내의 상부에 위치되어 다음 가압을 위한 대기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통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삽입공에 삽입되어, 음식물 가압공간과 음식물 수납공간을 분리하는 격벽을 포함함으로써, 이러한 격벽은 압착수단으로 음식물 압착시 이를 지지해주는 작업대가 되는 동시에, 수납되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악취가 발산되지 않도록 중공부를 밀폐시켜주므로 사용자가 다시 음식물을 버릴 때 혐오감을 느끼거나 악취가 방지되어 이차적으로 쓰레기통 사용시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격벽이 상기 하우징에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상기 격벽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 압착시 음식물로부터 빠져나오는 수분이 효과적으로 드레인부로 유도되게 된다.
상기 드레인부와 상기 음식물 가압공간 사이에는 거름망이 배치되어, 드레인부에는 음식물에서 빠져나온 수분만 수납되게 된다.
상기 드레인부는 물받이부와 상기 물받이부와 상기 거름망 사이를 잇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 하부에는 상기 물받이부가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 하부에는 상기 중공부에 연통되게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중공부에 쓰레기받이부가 더 수납되어, 물받이부가 별개로 구비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통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쓰레기받이부와 물받이부를 수납되는 용량에 따라서 각각 비워주면 되므로 수납된 쓰레기 처리 또한 용이하다.
상기 압착수단은 누름봉 일단이 돌출부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축과, 누름봉의 타단과 돌출부 사이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누름봉이 차지하는 공간이 적어지게 되어 대용량의 쓰레기통에 적용되더라도 쓰레기통을 컴팩트 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누름봉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홈과, 상기 슬라이딩홈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는 장공으로 하여, 그 구조가 단순하여 그 제조가 용이하며, 사용법도 간편하여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동시에 압착판 사용후에는 압착판이 아래로 하강하지 않도록 압착판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역할도 할 수 있다.

Claims (7)

  1. 쓰레기통 본체;
    상기 쓰레기통 본체를 개폐하는 뚜껑;
    상기 쓰레기통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음식물을 가압하는 압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쓰레기통 본체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에 연통되게 측면에 삽입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음식물 가압공간과 음식물 수납공간을 분리하는 격벽과,
    압착된 음식물에서 빠져나오는 수분을 드레인시키는 드레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하우징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와 상기 음식물 가압공간 사이에는 거름망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는 물받이부와 상기 물받이부와 상기 거름망 사이를 잇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 하부에는 상기 물받이부가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 하부에는 상기 중공부에 연통되게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중공부에 쓰레기받이부가 더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인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압착수단은
    상기 쓰레기통 본체 내부에 배치된 압착판,
    상기 압착판에 연결되어 상기 인출공을 통해 인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는 누름봉;
    상기 누름봉 일단이 상기 돌출부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축;
    상기 누름봉 타단과 상기 돌출부 사이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누름봉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홈과, 상기 홈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는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KR1020050012993A 2005-02-17 2005-02-17 음식물 쓰레기통 KR100629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993A KR100629421B1 (ko) 2005-02-17 2005-02-17 음식물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993A KR100629421B1 (ko) 2005-02-17 2005-02-17 음식물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323A true KR20060092323A (ko) 2006-08-23
KR100629421B1 KR100629421B1 (ko) 2006-09-27

Family

ID=37593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993A KR100629421B1 (ko) 2005-02-17 2005-02-17 음식물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94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105B1 (ko) 2017-02-16 2018-11-30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압축 쓰레기통
CN107472778A (zh) * 2017-05-24 2017-12-15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车载垃圾存放装置以及具有它的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9421B1 (ko)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921B1 (ko) 음식물쓰레기의 수분 제거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박스
KR100629421B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101468721B1 (ko)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KR100629420B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403588Y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101378534B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90028333A (ko) 탈취용 음식물 쓰레기통
KR20010002070A (ko) 쓰레기 통
KR20160018237A (ko) 종량봉투 압축 쓰레기통
KR102655017B1 (ko)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쓰레기 압착 및 탈수장치
KR20150002613U (ko) 종량제봉투용 쓰레기통
KR20200055482A (ko) 음식물쓰레기 수거 쓰레기통
JP3216676U (ja) 圧縮機能付きごみ箱
KR0127839Y1 (ko) 쓰레기 압축기능을 갖는 쓰레기 수거함
KR19990068366A (ko) 다기능쓰레기통
KR20120003780U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239386Y1 (ko) 음식물 쓰레기통
JPH08159657A (ja) 生ごみ処理装置
JP3061601U (ja) ゴミ容器
KR20180083532A (ko) 비닐봉투 삽입형 음식물 쓰레기통
KR200410766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398953Y1 (ko)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34952Y1 (ko) 압축식 쓰레기통
JP2597964B2 (ja) 生ゴミ処理用カセットパック
KR200316708Y1 (ko)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