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2018A -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2018A
KR20060092018A KR1020050013310A KR20050013310A KR20060092018A KR 20060092018 A KR20060092018 A KR 20060092018A KR 1020050013310 A KR1020050013310 A KR 1020050013310A KR 20050013310 A KR20050013310 A KR 20050013310A KR 20060092018 A KR20060092018 A KR 20060092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elastomer
weight
ethylene
copolymer
elastom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0977B1 (ko
Inventor
진양석
박성기
진창우
이찬기
조세현
Original Assignee
(주)폴리머스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폴리머스넷 filed Critical (주)폴리머스넷
Priority to KR1020050013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977B1/ko
Publication of KR20060092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9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탄성체 30~60 중량%; b) 에틸렌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30~60 중량%; 및 c)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틸렌 공중합체 10~3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탄성체, b)에틸렌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및 c)불포화 카르복실산 에틸렌 공중합체 성분 총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d) 알루미노 실록산 0.5~2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사출 또는 압출 성형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친화력이 우수하고 계면접착력이 우수하여 이들과 이중 사출이 용이하며, 올레익산에 의한 팽윤이 최소화되어 내올레익산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알루미노 실록산을 더 포함하여 사용하는 경우, 내마모성이 우수하면서도 장기 보관시 표면 이행이 적어 표면 오염의 문제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탄성체,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틸렌 공중합체, 알루미노 실록산, 이중 사출, 오버 몰딩

Description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Composition of thermoplastic elastomer}
본 발명은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의 계면접착력 및 올레익산에 대한 내팽윤성이 향상되고, 표면 이행이 적으면서도 내마모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기전자 제품의 고급화 및 디자인의 다양화가 진행됨에 따라 하우징 재료의 기계적 물성 외에도 제품의 외관 및 감촉을 고급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경질의 하우징 재료에 연질의 소재를 이중사출 성형함으로써 하우징 재료로서의 기계적 물성을 만족시키면서도 유연하고 부드러운 연질의 감촉을 나타내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의 이중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품을 설계하고 성형 시에 연질 재질로서 통상의 열가소성 탄성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열가소성 탄성체가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경질 재료에 대한 접착력이 없어서 쉽게 박리가 일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에 연질 재질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탄성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카보네이트, ABS, 폴리테레프탈레이트 등의 경질 재료와 약간의 접착력은 있으 나 접착 강도가 낮고 통상의 열가소성 탄성체에 비하여 비교적 경도가 높아서 유연한 감촉을 부여하기 힘들었다. 또한, 화장품에 사용되는 지방산 또는 지방산 화합물에 의하여 팽윤이 쉽게 일어나므로 장기간 사용시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이행되는 화장품에 의한 박리, 오염 등이 일어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연질 재질로서 폴리스티렌계 탄성체나 에틸렌계 고무를 포함한 제품의 경우는 경도 및 촉감 부분에서는 만족할 만한 성능을 보였으나, 올레익산에 의한 팽윤이 매우 심하여 제품에 적용시 화장품에 포함된 지방산이나 지방산 화합물에 의한 팽윤과 후박리가 일어나는 단점이 있었다.
그밖에 연질 재질로서 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한 제품의 경우, 경질 재료와의 접착특성은 우수하나, 제품의 성형 가공이 힘들고 내후성이 낮은 특성으로 인하여 장기 사용시 변색 등의 문제를 일으켰으며 역시 올레익산에 의한 팽윤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탄성체를 이용하되 유연한 촉감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에틸렌계 공중합체인 에틸렌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렌 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렌 부틸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시켜 경도를 낮추면서, 경질 재료와의 접착력을 증진시키는 조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조성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장품의 원료인 지방산과 유사한 올레익산에 의하여 팽윤이 일어나므로, 올레익산 침적 시 팽윤으로 인한 박리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업적으로 내마모도가 문제가 되는 조성에서는 초고분자량의 실록산을 첨가하여 개선하는 처방이 상용화되어 있으나, 내마모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처방한 실록산이 장기간에 걸쳐 표면으로 이행함으로써 표면을 오염시키거나 이중 사출 시 수지간의 계면에서 접착력의 저하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친화력이 우수하고 계면접착력이 우수하여 이들과 이중 사출이 용이하며, 올레익산에 의한 팽윤이 최소화되어 내올레익산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내마모성이 우수하면서도 장기 보관시 표면 이행이 적어 표면 오염의 문제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탄성체 30~60 중량%;
b) 에틸렌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30~60 중량%; 및
c)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틸렌 공중합체 10~30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탄성체, b)에틸렌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및 c)불포화 카르복실산 에틸렌 공중합체 성분 총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d) 알루미노 실록산 0.5~2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사출 또는 압출 성형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탄성체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탄성체는 분자중의 하드 세그먼트로서 폴리에스테르를, 소프트 세그먼트로서 유리전이온도(Tg)가 낮은 폴리에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 블록 공중합체이고, 1,4-부탄디올과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PTMG)의 혼합물을 반응조건 150~200℃에서 촉매로 반응시키는 에스테르 교환반응과 250℃ 정도의 고온에서 감압 반응에 의한 중축합 반응으로 생산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경우 녹는점은 140~230℃이고, 제품의 경도는 쇼어 경도계(Shore Hardness Tester)로 35D~62D의 범위의 쇼어 경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탄성체를 사용하였고, 전체 수지 중량부에서 30~60중량%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40~5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30 중량% 미만을 사용한 경우에는 가전제품 등에서 요구되는 내열 특성이 감소되어 열변형이 발생되고 장기 신뢰 시 제품의 품질 저하가 발생된다. 또한 6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부드러운 촉감이 감소하며, 올레익산에 의한 팽윤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B) 에틸렌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본 발명의 에틸렌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에틸렌에 1종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공중합한 것으로서, 상기 공중합체의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에틸렌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아크릴레이트 성분의 함량이 10~30 중량%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력 저하가 발생될 수 있으며,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내열성 에서 문제가 발생될수 있다.
상기 에틸렌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탄성체와 상용성이 있는 제품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전체 수지 중량%에서 30~6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0~55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30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이중사출이나 오버몰딩 시 제품의 접착력 저하가 발생된다. 6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내열성의 감소로 인해 조성물의 사용온도의 저하 및 올레익산에 의한 팽윤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C)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틸렌 공중합체
본 발명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틸렌 공중합체의 공중합 성분중 불포화 카르복실산 성분으로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인산, 이타코닉산, 시트라코닉산, 하이믹산, 비시클로(2,2,2) 옥타-5-엔-2,3-디카르복실산, 4-메틸시클 로헥사-4-엔-1,2-디카르복실산, 1,2,3,4,5,8,9,10-옥타히드로나프탈렌-2,3-디카르복실산, 비시클로(2,2,1) 옥타-7-엔-2,3,5,6-테트라카르복실산, 7-옥사비시클로(2,2,1) 헵타-5-엔-2,3-디카르복실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유도체로는 산무수물, 에스테르, 아미드, 이미드 및 금속염 등이 있으며, 무수말레인산, 무수이타코닉산, 무수시트라코닉산, 무수하이믹산, 말레인산모노에틸에스테르, 푸마르산모노에틸에스테르, 이타코닉산모노메틸에스테르, 푸마르산모노메틸에스테르,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말레인산모노아미드, 말레인산디아미드, 말레인산-N-모노에틸아미드, 말레인산-N,N-디에틸아미드 말레인산-N-모노부틸아미드, 말레인산-N,N-디부틸아미드, 푸마르산모노아미드, 푸마르산디아미드, 푸마르산-N-모노에틸아미드, 푸마르산-N,N-디에틸아미드, 푸마르산-N-모노부틸아미드, 푸마르산-N,N-디부틸아미드, 말레이미드, N-부틸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아크릴산나트륨, 메타크릴산나트륨, 아크릴산칼륨, 메타크릴산칼륨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제품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도입 함량은 7~20 중량% 이어야한다. 7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내올레익산성에서 문제가 있으며, 20중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가공시 이형에 문제가 발생될수 있다.
상기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틸렌 공중합체는 전체 수지 중량%에서 10 ~ 30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20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전체 조성비에서 10중량% 미만이 도입되었을 때에는 올레익산에 대한 팽윤특 성의 개선이 적고, 3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이중 사출시 접착력 저하 및 가공시 문제점이 발생된다.
D) 알루미노 실록산 첨가제
내마모성을 개선하기 위해 알루미노 실록산 계열의 마스터 배치 사용이 가능하며, 이때 함량은 전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5~2중량부 사용 가능하다. 0.5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내마모도 개선 효과가 떨어지고, 2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오버몰딩시 접착력의 저하와 장기 보관 시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알루미노 실록산 계열의 제품은 기존의 실록산 타입의 제품에 비하여 장기보관 시 접착력의 저하가 적고, 이행에 의한 표면의 변화가 적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활제, 대전방지제, 무기 또는 유기 충진제 등을 더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각 성분들은 건조 블렌딩(dry blending) 후 동시에 혼련시킬 수 있다. 혼련은 반버리 믹서(banbury mixer), 코-니더(co-kneader), 롤 밀(roll mill), 일축 또는 이축 압출기, 브라벤더(brabender) 등을 이용하여 통상 180℃~260℃ 에서, 바람직하게는 190℃~240℃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이중 사출한 제품 또는 오버몰딩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탄성체로 LG화학 제품인 Keyflex BT 1055 (55D)를 50중량% 사용하였고, 에틸렌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로는 에틸렌 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A)인 듀폰사 제품 엘바로이 AC 1224를 35중량% 사용하였으며, 이때 엘바로이 AC 1224중의 메틸아크릴레이트(MA)의 함량은 24중량% 였다.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틸렌 공중합체 성분으로는 에틸렌 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인 듀폰사 제품 뉴크레알 0903을 15중량% 사용하였으며, 이때 뉴크레알 0903 중의 메타크릴산(MAA)의 함량은 7 중량% 였다.
기재로 사용된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에 대해 사출성형기를 이용하여 덤벨형 인장 시험 시편을 제작 한 후 중간을 절단하고 사출 금형에 위치시킨다. 그 후 상기 조성물의 각 성분들을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220℃에서 혼련하여 얻어진 이중 사출용 소재를 사출하여, 인장시편의 중간에 접착 부분이 형성되도록 시편을 제작한다. 완성된 시편에 대해 만능재료시험기를 이용하여 200 ㎜/min의 크로스 헤드 속도로 인장시험을 실시하고 접착면의 파단강도를 측정하여 접착강도를 구하였다.
상기의 접착강도 측정용 시편을 오븐(40℃)에서 24시간 동안 올레익산에 방치한 후 박리 유무를 판단하였다.
또한 내열성은 사출 시편을 100℃ 오븐에서 12시간 방치 후 변형 유무로 평 가하였다.
상기 각 성분의 조성비 및 측정 결과들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Keyflex BT 1055를 50중량% 대신 45중량% 사용하였고, 엘바로이 AC 1224를 35중량% 대신 45중량% 사용하였으며, 뉴크레알 0903을 15중량% 대신 10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상기 각 성분의 조성비 및 측정 결과들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Keyflex BT 1055만을 100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각 성분의 조성비 및 측정 결과들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Keyflex BT 1055를 55중량% 대신 50중량% 사용하였고, 엘바로이 AC 1224를 35중량% 대신 50중량% 사용하였으며, 뉴크레알 0903는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각 성분의 조성비 및 측정 결과들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Keyflex BT 1055를 55중량% 대신 20중량% 사용하였고, 엘바로이 AC 1224를 35중량% 대신 70중량% 사용하였으며, 뉴크레알 0903을 15중량% 대신 10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각 성분의 조성비 및 측정 결과들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탄성체 (중량%) 50 45 100 50 20
에틸렌 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중량%) 35 45 - 50 70
에틸렌 메타크릴산 공중합체(중량%) 15 10 - - 10
접착력(g/㎝) 1500 1400 700 1500 1600
내열성 테스트 정상 정상 정상 정상 변형
내올레익산 실험 정상 정상 박리 박리 박리
[실시예 3]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탄성체로 LG화학 제품인 Keyflex BT 1040 (40D)을 55중량% 사용하였고, 에틸렌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로서는 에틸렌 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BA)(듀폰사 제조, 엘바로이AC 3427)를 30중량% 사용하였으며, 이때 부틸아크릴레이트(BA)의 함량은 27중량% 였다.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틸렌 공중합체 성분으로는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EAA) (다우사 제조, 프라이마코 3004)를 15중량% 사용하였으며, 이때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중의 아크릴산(AA)의 함량은 9.7 중량%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접착력, 내올레익산성 등을 측정하였다.
각 성분의 조성비 및 측정 결과들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Keyflex BT 1040을 55중량% 대신에 50중량%를 사용하였고, 에틸렌 부틸아크릴레이트(EBA)를 30중량% 대신에 40중량% 사용하였으며,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EAA)를 15중량% 대신 10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각 성분의 조성비 및 측정 결과들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에틸렌 부틸아크릴레이트(EBA)를 30중량% 대신에 40중량% 사용하였으며,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EAA)를 사용하지 않고, 금호석유화학㈜제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R)인 KEP-020P를 20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각 성분의 조성비 및 측정 결과들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에틸렌 부틸아크릴레이트(EBA)를 30중량% 대신에 40중량% 사용하였으며, 아크릴산 에틸렌 공중합체 (EAA)를 사용하지 않고, LG화학㈜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인 BB0808(용융지수(MI)는 0.8이고, 밀도는 0.921)을 20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각 성분의 조성비 및 측정 결과들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6]
Keyflex BT 1040을 55중량% 대신에 50중량%를 사용하였고,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EAA)를 사용하지 않고, LG화학㈜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인 BD0390(용융지수(MI)는 0.3이고, 밀도는 0.949)를 20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각 성분의 조성비 및 측정 결과들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탄성체 (중량%) 55 50 40 40 50
에틸렌 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중량%) 30 40 40 40 30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중량%) 15 10 - - -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량%) - - - 20 -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량%) - - - - 20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중량%) - - 20 - -
접착력(g/㎝) 1400 1450 1400 1200 1100
내올레익산 실험 정상 정상 박리 박리 박리
[실시예 5]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탄성체로 LG화학 제품인 Keyflex BT 1040을 50중량% 사용하였고, 에틸렌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로서는 에틸렌 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BA)(듀폰사 제품, 엘바로이 AC3427)를 35중량% 사용하였으며, 이때 부틸아크릴레이트(BA)의 함량은 27중량% 였다.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틸렌 공중합체 성분으로는 에틸렌 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듀폰사 제품, 뉴크레알 0903)을 15중량% 사용하였으며, 이때 뉴크레알 0903 중의 메타크릴산(MAA)의 함량은 7중량% 였다.
상기 조성물의 내마모성을 개선하기 위해, 알루미노 실록산이 10% 함유된 에틸렌 메틸아크릴레이트(EMA) 마스터 배치(실로켐사 제)를 상기 조성 성분들의 합 100중량부에 대해 5중량부 혼합하여 조성물을 컴파운드 하였다.
내이행성은 조성물을 이용하여 물성시험용 시편을 사출 성형하고 상온에서 20일간 방치한 후 실록산이 표면으로 이행되는 지를 관찰하였다.
마모도는 디스크 시편 제작 후, 테이버 마모테스트기(Taber abrasion tester, Toyoseiki사 제품)를 사용해서, 1,000회전한 후 측정하였으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하였다.
마모도(%) = (초기중량-측정후 중량)/초기중량 * 100
그 밖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접착력 및 내올레익산성(팽윤성)을 측정하였다.
각 성분의 조성비 및 측정 결과들을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알루미노 실록산이 10% 함유된 에틸렌 메틸아크릴레이트(EMA) 마스터 배치(실로켐사 제)를 상기 조성 성분들의 합 100중량부에 대해 15중량부 혼합하여 조성물을 컴파운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각 성분의 조성비 및 측정 결과들을 표 3에 나타내었다.
알루미노 실록산 성분의 이행성이 없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에 의해서, 제품의 내마모도 향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비교예 7]
Keyflex BT 1040을 50중량% 대신에 45중량% 사용하였고, 엘바로이 AC 3427을 35중량% 대신에 45중량% 사용하였으며, 뉴크레알 0903을 15중량% 대신 10중량% 사용하였고, 알루미노 실록산이 10% 함유된 에틸렌 메틸아크릴레이트(EMA) 마스터배치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각 성분의 조성비 및 측정 결과들을 표 3에 나타내었다.
알루미노 실록산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마모도가 상당히 나쁜 결과를 얻게 되었다.
[비교예 8]
알루미노 실록산이 10% 함유된 에틸렌 메틸아크릴레이트(EMA) 마스터배치 대신에 초고분자량 실록산이 50% 함유된 다우코닝(Dow-Corning)사 제 초고분자량 실록산 함유제품(MB50-002)을 Keyflex BT 1040, 엘바로이 AC 3427(EBA) 및 뉴크레알 0903의 합 100중량부에 대해 5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각 성분의 조성비 및 측정 결과들을 표 3에 나타내었다. 초고분자량 실록산의 마스터 배치의 경우 저분자량체가 다소 함유되어 있어서, 사출시에도 저분자량체 이행으로 인해 접착력이 저하되고, 낮은 접착력으로 인해서, 팽윤성 테스트시 박리가 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고, 한편 실록산의 첨가로 인해 마모도는 향상되었으나, 방치후 관찰시 저분자량체의 표면 이행이 발생되었다.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탄성체 (중량%) 50 50 45 50
에틸렌 부틸아크릴레이트 (중량%) 35 35 45 35
에틸렌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중량%) 15 15 10 15
알루미노 실록산 함유 에틸렌 메틸아크릴레이트 마스터배치 (중량부) 5 15 - -
MB50-002 (중량부) - - - 5
접착력(g/cm) 1400 1350 1350 400
팽윤성 접착 접착 접착 박리
내이행성 이행없음 이행없음 이행없음 이행발생
마모도(%) 0.3 0.2 2 0.15
본 발명의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친화력이 우수하고 계면접착력이 우수하여 이들과 이중 사출이 용이하며, 올레익산에 의한 팽윤이 최소화되어 내올레익산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알루미노 실록산을 더 포함하여 사용하는 경우, 내마모성이 우수하면서도 장기 보관시 표면 이행이 적어 표면 오염의 문제가 개선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Claims (7)

  1. a)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탄성체 30~60 중량%;
    b) 에틸렌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30~60 중량%; 및
    c)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틸렌 공중합체 10~30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a)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탄성체, b)에틸렌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및 c)불포화 카르복실산 에틸렌 공중합체 성분 총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d) 알루미노 실록산 0.5~2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탄성체는 녹는점이 140~230℃이고, 쇼어 경도가 35~62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에틸렌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10중량% 이상 30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에틸렌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에틸렌과 공중합 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틸렌 공중합체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함유량이 7중량% 이상 20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7. 제 1항 또는 제2항의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사출 또는 압출 성형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KR1020050013310A 2005-02-17 2005-02-17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KR100690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310A KR100690977B1 (ko) 2005-02-17 2005-02-17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310A KR100690977B1 (ko) 2005-02-17 2005-02-17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018A true KR20060092018A (ko) 2006-08-22
KR100690977B1 KR100690977B1 (ko) 2007-03-09

Family

ID=37593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310A KR100690977B1 (ko) 2005-02-17 2005-02-17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9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482B1 (ko) * 2008-05-08 2010-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신규한 열가소성탄성체-수지 어레이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101154467B1 (ko) * 2007-11-21 2012-06-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WO2020091343A1 (ko) * 2018-10-31 2020-05-07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2048A (ko) * 2010-06-01 2011-12-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스크래치 저항성이 개선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용기
CN109749393A (zh) * 2018-12-28 2019-05-14 方万漂 一种耐磨聚碳酸酯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9767A (en) 1985-01-10 1987-04-21 Allied Corporation Impact modified polyester blends
JPH01225550A (ja) * 1988-03-04 1989-09-08 Kureha Chem Ind Co Ltd 熱収縮性多層フィルム
EP0458261A1 (en) * 1990-05-23 1991-11-27 The Dow Chemical Company Compositions prepared using finely-divided isocyanate based thermoset polymers
US6013376A (en) * 1997-12-09 2000-01-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al fibermat/polymer composit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467B1 (ko) * 2007-11-21 2012-06-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0955482B1 (ko) * 2008-05-08 2010-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신규한 열가소성탄성체-수지 어레이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WO2020091343A1 (ko) * 2018-10-31 2020-05-07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0977B1 (ko)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4546A (en) Filler-containing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0690977B1 (ko)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CN111500042B (zh) 一种哑光pc/abs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CN110577730A (zh) 高光泽耐油开关面板用聚碳酸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2538218B (zh) 一种低硬度低摩擦系数良触感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464098B1 (ko) 높은 표면 에너지를 가진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조성물
CN110511553B (zh) 耐高温可喷漆聚碳酸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2876799A (zh) 一种低光泽高韧性耐刮擦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JPH0341104B2 (ko)
KR20210033419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H01165643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4624499B2 (ja) 耐衝撃性ポリエステルの射出成形品
EP1362080A1 (en)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CN109467907B (zh) 一种pc/pmma/pbt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A2169042A1 (en) Process for producing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JP2007091810A (ja) 押出成形品
CN110577728A (zh) 具有高球压温度和耐溶剂性的聚碳酸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06137888A (ja) 光輝材含有樹脂組成物
KR100263332B1 (ko) 자동차내장재용도장성이우수한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
KR100365380B1 (ko)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KR20200117186A (ko) 재활용 폴리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고강성 및 고내열성의 성형체.
CA3051138A1 (en) Scratch and abraison resistant polymer composition
JPH0434571B2 (ko)
KR012304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0480262A (ja) Pps含有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