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1169A - 휴대용 단말기에서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1169A
KR20060091169A KR1020050012051A KR20050012051A KR20060091169A KR 20060091169 A KR20060091169 A KR 20060091169A KR 1020050012051 A KR1020050012051 A KR 1020050012051A KR 20050012051 A KR20050012051 A KR 20050012051A KR 20060091169 A KR20060091169 A KR 20060091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laying
play
portable terminal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8163B1 (ko
Inventor
김기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2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163B1/ko
Priority to US11/352,260 priority patent/US20060180006A1/en
Priority to JP2006037103A priority patent/JP2006259707A/ja
Priority to EP06002965A priority patent/EP1691537A1/en
Priority to CNA2006100673562A priority patent/CN1822604A/zh
Publication of KR20060091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50/36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for collecting or disposing of used articles
    • A61B50/362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for collecting or disposing of used articles for shar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15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locking, fastening or permanently closing thereof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47Music g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65F2001/1676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relating to means for sealing the lid or cover, e.g. against escaping od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48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7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50/00Materials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50/114Plastic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21Keyboards, i.e. configuration of several keys or key-like input devices relative to one another
    • G10H2220/261Numeric keypad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musical input via a telephone or calculator-like keybo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휴대용 단말기에서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살펴보면, 연주 모드를 설정하고 연주음 재생을 위한 외부로부터 키 입력을 받는다. 그리고 상기 키 입력의 조합 패턴을 분석하고 미리 설정된 연주음을 가지는 음원 조합 테이블을 사용하여 상기 키 입력의 조합 패턴으로부터 소정의 연주음을 추출한다. 이때 상기 연주음을 재생한다.
연주 기능, 연주키, 연주 설정키, 음원 조합 테이블, 연주음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PLAY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폴더가 열린 상태의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폴더가 닫힌 상태의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응용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HHP(Hand Held Phone), 디지털 통신 장치, 게임용 휴대 장치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서 악기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날로그방식이 무선통신 1세대에 해당한다면 제 2세대는 디지털 방식으로 무선망을 중심으로 하여 음성을 포함한 비교적 저속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무선 중심의 2세대 서비스에서 현재 유무선 통합을 기반으로 한 고속 인터넷과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한 3세대로 진화하였다. 또한 현재의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이라 명명하는 3세대 이동통신에서 현재 초고속, 대용량, 이동성을 특징으로 하는 4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은 새롭고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대거 출현으로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이용 할 수 있는 서비스의 대중화와 더불어 다양한 부가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진화와 함께 휴대용 단말기 기술도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 디지털화와 네트워크화에 기반한 정보화 사회의 휴대용 단말기는 개인 휴대에 따른 다기능화와 고속화, 소형화로 발전하면서, 음성은 물론 데이터나 영상까지도 실시간에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진화하고 있다.
또한 대표적인 휴대용 단말기로는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HHP(Hand Held Phone), 디지털 통신 장치, 게임용 휴대 장치 등이 있는데 향후, 기술 발전과 융합의 가속화로 신 개념의 제품이 등장할 것이다. 더욱이 상기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가입자가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정보를 주고받으며,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까지 제공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장치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 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화가 되어가는 추세에 있다. 특히, 앞으로의 휴대용 단말기 장치들은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고, 상기 이동통신 기술의 진화에 따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이 되어가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의 진화와 더불어 더욱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필요성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데이터 통신, 게임, 동영상 재생 등의 다양한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기능 중에서도 일정 음원을 사용하여 이를 재생하는 기능이 있었다. 예를 들면, 벨소리 기능 등이 있는데 초기에는 단음의 벨소리 등을 지원하였으나 음원칩 등의 적용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16화음, 40화음 등으로 진화하였으며 더욱 다양한 화음을 지원하는 다중 화음 벨소리를 지원하는 음원 칩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음원칩의 개발과 더불어 휴대용 단말기에는 MP3 플레이어 기능을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까지 등장하고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한 기능 이외에도 더욱 다양한 휴대 용 단말기의 음원 재생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다양한 음원을 지원하는 기능이 구현되고 있으나 현재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악기(Instrument) 등을 지원하여 연주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존재하지 않았다. 더욱이 다수의 음을 표현하기에 부족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다양한 음색을 가지고 음악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휴대용 단말기에서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음을 재생하여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특정 연주음을 생성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연주음들과 이에 해당하는 키 입력의 조합 패턴들을 저장한 음원 조합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연주음 재생을 위한 키 입력을 받는 키패드와, 키 입력에 대응하는 연주음을 재생하는 오디오 처리부와, 입력되는 키 입력의 조합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음원 조합 테이블을 사용하여 연주음을 추출하며 상기 키 입력의 조합 패턴으로부터 소정의 연주음을 추출하고 상기 키 입력에 상응하는 연주음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주 모드를 설정하고 연주음 재생을 위한 외부로부터 키 입력을 받는 과정과, 상기 키 입력의 조합 패턴을 분석하고 미리 설정된 연주음을 가지는 음원 조합 테이블을 사용하여 상기 키 입력의 조합 패턴으로부터 소정의 연주음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연주음을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소정의 키 입력에 대응하여 연주음 재생이 가능한 연주 기능을 가지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은 소정의 키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키 입력의 조합 패턴을 사용하여 특정 음과 상기 키 입력의 조합 패턴과 매핑된 연주음을 추출하고 이를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그러면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무선송수신부(이하 'RF부'라 칭하기로 한다)(103)는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0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105)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07)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07)는 상기 모뎀(105)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109)로부터 발생되어 송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105)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하거나 또는 제어부(101)에 포함될 수 있다.
키패드(111)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 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연주 기능을 수행할 시 별도의 연주키나 연주 설정키를 기존의 키패드에 설정되거나 별도로 추가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모리(113)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프로그램들 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1)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모뎀(105) 및 코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연주 기능 수행의 일련의 동작 과정을 제어한다.
카메라(115)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한다.
신호처리부(117)는 상기 카메라(115)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이미지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처리부(117)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19)는 상기 신호 처리부(117)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119)는 제어부(101)의 제어 하에 수신되는 영상신호 및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21)의 규격에 맞춰 전송한다.
표시부(121)는 상기 영상처리부(119)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21)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21)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111)와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표시부(121)는 영상데이터가 출력되는 영상데이터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휴대용 단말기에 연주 기능을 적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연주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연주 기능을 바람직한 동작 실시 예를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연주 기능 수행을 위한 연주음을 재생하기 위해 키패드(111)를 통해 키 입력을 받는다. 이때 상기 키패드(111)는 상기 연주음 재생을 위한 연주키와 상기 연주음에 해당하는 반음 또는 옥타브를 설정하기 위한 연주 설정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서 상기 연주음 재생을 위한 키 입력을 받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키패드(111)는 하기에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연주 설정키는 재생되는 연주음의 옥타브 또는 반음 등의 설정을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주키와 연주 설정키는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어 있는 키들을 사용하거나 상기 연주 기능 등의 수행을 위해서 새로이 추가로 구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01)에서는 상기 키패드(111)에 외부의 사용자 등으로부터 키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연주키 입력에 대하여 키 입력의 조합 패턴을 분석한다. 상기 제어부(101)에서는 상기 키 입력의 조합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메모리(113)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조합 테이블을 로딩한다. 다음으로 상기 키패드의 입력 신호의 조합 패턴을 상기 음원 조합 테이블을 사용하여 소정의 미리 설정된 연주음을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음원 조합 테이블은 특정 연주음을 생성하기 위해서 미리 설정된 연주음들과 이에 해당하는 키 입력의 조합 패턴들을 매핑하여 메모리(113) 영역에 저장한 것이다. 이때 상기 음원 조합 테이블은 하기의 표 1에 나타나있다.
Figure 112005007669108-PAT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연주음 재생을 위한 3개의 버튼을 사용한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키패드(111)의 3개의 입력 버튼이 각 연주음에 매핑되어 있으며 입력 조합 패턴이 나타나 있는데 상기 'P'는 동작하는 키이고 'O'는 동작하지 않는 키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연주키 중에서 가운데 키만이 동작하였다면 상기 연주음은 '레'음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주키의 키패드 입력 조합 패턴과 더불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연주 설정 키 입력도 수신한다.
상기 연주 설정키에 옥타브 또는 반음을 설정하여 상기 7개의 연주음을 확장하여 더 넓은 음을 재생한다. 이때 상기 옥타브가 설정되면 해당 입력에 따라서 옥타브를 설정하거나 옥타브 설정을 위한 연주 설정키 입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현재 설정된 옥타브를 유지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서 상기 옥타브 변경을 원하는 경우 연주 설정키에서 옥타브 설정을 위한 키 입력을 사용하여 옥타브를 설정한다. 그리고 반음 설정을 위한 연주 설정키 입력이 존재하면 상기 연주키를 통한 하나의 연주음마다 반음을 설정하도록 하거나 상기 옥타브를 설정하는 것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연주음에 반음을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연주 설정키는 이와 같은 옥타브 또는 반음을 설정함으로서 다양한 연주음을 재생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옥타브타 반음을 설정하는 방법이외에도 다른 기능을 가지는 키를 추가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1)에서는 상기 키패드(111)를 통한 키 입력의 조합 패턴을 분석하고 음원 조합 테이블을 사용하여 재생할 연주음을 추출한다. 그래서 상기 연주음에 상기한 반음이나 옥타브 등을 적용하고 이를 상기 모뎀(105)으로 전송한다. 그래서 상기 모뎀(105)에서는 입력되는 신호를 부호화 등을 수행하여 오디오 처리부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처리부(107)에서는 상기 모뎀(105)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 즉, 상기 연주음을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01)에서는 상기 연주음 재생을 위한 일련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래서 상기 연주음을 재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주 설정키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반음 또는 옥타브를 설정하며, 악기 기능 등의 적용에 따라서 다양한 악기의 음색을 적용하여 상기 연주음을 재생한다.
또한 상기 연주되는 연주음들을 메모리(113)에 저장하였다가 이후에 상기 메모리(113)에 저장된 연주음들을 재생하도록 하는 기능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1)에서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107)를 통해서 재생되는 연주음의 음계, 옥타브, 반음 등의 연주음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121)를 통해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표시부(121)에서는 상기 제어부(101)의 소정의 제어에 따라 이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 키패드에 연주음을 재생하기 위한 연주 키 및 연주 설정키를 적용한 것을 하기에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일예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폴더가 열린 상태의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폴더가 닫힌 상태의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일 측에 상기 연주음 재생을 위한 연주키(201)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주키를 3개를 사용한 것을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4개나 5개로 개수를 확장하여 적용하거나 2개의 버튼만을 사용하여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연주음 입력을 위한 연주키(201)의 개수에 따라서 상기 음원 조합 테이블은 얼마든지 변경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주키(201)는 얼마든지 기존의 키패드에 확장하여 사용자 설정 등을 통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연주의 편의를 위하여 외부에 일예로 구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그래서 기존의 측면키나 키패드를 사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연주 설정키(203, 205, 207)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래서 도 2a와 같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옥타브의 상향 및 하향 설정을 위한 연주 설정키(203)를 사용하여 옥타브를 설정하여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반음 설정을 위한 연주 설정키(205)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를 사용하여 연주음에 반음을 설정한다. 하지만 상기 도 2a와 다르게 상기 도 2b와 같이 폴더가 닫힌 경우에는 외부에 별도로 상기 옥타브 설정 및 반음 설정을 위한 연주 설정키(205)를 구비하고 이를 사용하여 재생되는 연주음을 더욱 다양한 음색을 지원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연주되는 음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하기에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연주되는 음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 것을 일예로 도시한 것이다.
그래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연주음이 '솔'이고 반음이 '#'설정되어 있으며, '3'옥타브인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현재 표시되는 음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서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한 것처럼 폴더를 닫은 상태에서도 연주되는 음에 대한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변형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연주음을 재생하는 동작과정을 하기에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연주음을 재생하기 위해서 연주 모드를 설정한다(401단계). 그래서 상기 연주 모드에서 사용자가 기존에 연주했던 연주음 또는 저장된 연주음을 재생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403단계). 그래서 상기 연주음을 재생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저장되어 있는 연주 목록을 디스플레이 등을 수행하거나 연주목록에 해당하는 단축키 등을 사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 등으로부터 재생할 음악을 선택받고 재생할 음악을 설정한다(405단계). 그래서 상기 선택된 음악의 연주음들을 재생하게 된다(407단계).
하지만 상기 연주음을 재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연주음을 다양한 악기로 지원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 가능한 악기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연주음을 재생할 때 재생하는 음을 다양한 악기의 음색을 가지고 재생하도록 연주 악기를 설정한다(409단계). 만약 상기 설정된 악기가 '트럼펫'인 경우에는 상기 연주음을 트럼펫의 음색으로 연주하도록 하기 위해서 연주음을 재생할 악기를 선택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에 키 입력 즉, 연주키 또는 연주 설정키 등의 키 입력을 사용자 등으로부터 받는다(411단계). 이때 상기 입력되는 연주키의 키 입력의 조합 패턴을 분석하며, 상기 연주 설정키 또한 동작하였는지 분석한다(413단계). 그래서 상기 키 입력의 조합 패턴이 분석되면 음원 조합 테이블을 사용하여 연주음을 추출한다(415단계). 그래서 상기 연주음을 추출한 것이 '솔'음인 경우에는 상기 연주음에 상기 연주키를 통한 옥타브, 반음, 악기 등이 설정되어 있다면 이와 같은 설정 정보들을 적용한다(417단계). 이때 상기 연주음 저장 여부가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419단계). 이때 상기 연주음 저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연주음을 저장한다(421단계). 여기서 저장된 연주음은 이후에 벨소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저장된 연주음의 재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주음을 재생하게 되는 것이다(423단계). 그리하여 상기 키 입력에 대응한 연주음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고 옥타브 및 반음 등을 설정하여 다양한 음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다음으로 연주모드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여 연주 모드를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연주 모드를 종료하고 연주 모드를 종료하길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 연주할 연주음에 대한 키 입력을 받는 과정으로 되돌린다(425단계). 결국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이와 같은 동작과정을 가짐으로서 다양한 연주음을 키 조합을 사용하여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것과 같은 연주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응용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주음을 재생하기 위한 연주키를 사용자들이 일정시간 동안 동시에 동작시키면, 상기 연주모드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주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펌프 등의 게임을 상기 연주 기능을 사용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게임 기능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화면이 하기의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응용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일정 시간 간격을 가지고 각 키 입력에 대한 버튼의 동작 여부를 지시하는 일련의 버튼의 입력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외부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 정보에 해당하는 키 입력을 받아서 연주하는 펌프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게임을 수행한다. 그래서 상기 도 5에서는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일예로 도시한 것이며, 이는 상기 연주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것 이외에도 상기 연주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함으로서 다양한 기능을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폴더형 단말기에 3개의 연주키와 옥타브 및 반음을 설정하는 연주 설정키를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것들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다른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고 기존 키패드 또는 추가로 구성한 키패드 등을 사용하여 상기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주키의 추가 등에 따라서 상기 음원 조합 테이블을 변경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소정의 연주음을 입력받고 이를 음원 조합 테이블을 사용하여 연주음을 재생한다. 따라서 상기한 휴대용 단말기는 통해 연주 기능을 제공하며 제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다양한 연주음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 연주 기능을 지원하여 여러 명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합주 등을 함으로서 사용자에게 추가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13)

  1. 휴대용 단말기에서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특정 연주음을 생성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연주음들과 이에 해당하는 키 입력의 조합 패턴들을 저장한 음원 조합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연주음 재생을 위한 키 입력을 받는 키패드와,
    키 입력에 대응하는 연주음을 재생하는 오디오 처리부와,
    입력되는 키 입력의 조합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음원 조합 테이블을 사용하여 연주음을 추출하며 상기 키 입력의 조합 패턴으로부터 소정의 연주음을 추출하고 상기 키 입력에 상응하는 연주음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연주음을 입력받는 연주키와 상기 연주음에 해당하는 반음 또는 옥타브를 설정하기 위한 연주 설정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연주음에 해당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에서 연주되는 소정의 연주음들을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음에는 악기의 음색이 적용되어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음에는 옥타브, 반음이 적용되어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7. 휴대용 단말기에서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주 모드를 설정하고 연주음 재생을 위한 외부로부터 키 입력을 받는 과정과,
    상기 키 입력의 조합 패턴을 분석하고 미리 설정된 연주음을 가지는 음원 조합 테이블을 사용하여 상기 키 입력의 조합 패턴으로부터 소정의 연주음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연주음을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음 재생을 위해서 옥타브 및 반음을 설정하고 상기 연주음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옥타브 및 반음을 설정하여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음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재생되는 연주음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되는 연주음의 저장 여부를 설정하고 상기 재생되는 연주음을 상기 저장 여부에 따라서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 모드에서 기 저장된 연주음들을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 저장된 연주음들을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음에 적용할 악기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악기의 음색으로 연주음을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음에는 옥타브, 반음이 적용되어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50012051A 2005-02-14 2005-02-14 휴대용 단말기에서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78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051A KR100678163B1 (ko) 2005-02-14 2005-02-14 휴대용 단말기에서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US11/352,260 US20060180006A1 (en) 2005-02-14 2006-02-13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play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JP2006037103A JP2006259707A (ja) 2005-02-14 2006-02-14 携帯用端末機における演奏機能を行う装置及び方法
EP06002965A EP1691537A1 (en) 2005-02-14 2006-02-14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 music play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CNA2006100673562A CN1822604A (zh) 2005-02-14 2006-02-14 在便携式终端中执行播放功能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051A KR100678163B1 (ko) 2005-02-14 2005-02-14 휴대용 단말기에서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169A true KR20060091169A (ko) 2006-08-18
KR100678163B1 KR100678163B1 (ko) 2007-02-02

Family

ID=36282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051A KR100678163B1 (ko) 2005-02-14 2005-02-14 휴대용 단말기에서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180006A1 (ko)
EP (1) EP1691537A1 (ko)
JP (1) JP2006259707A (ko)
KR (1) KR100678163B1 (ko)
CN (1) CN18226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4934A2 (ko) * 2008-02-23 2009-08-27 Hwang Jay-Yeob 포켓 바이올린 구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71647A1 (en) * 2004-02-26 2005-09-07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bell sound
KR20050087368A (ko) * 2004-02-26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단말기의 벨소리 처리 장치
KR100636906B1 (ko) * 2004-03-22 2006-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디 재생 장치 그 방법
IL165817A0 (en) * 2004-12-16 2006-01-15 Samsung Electronics U K Ltd Electronic music on hand portable and communication enabled devices
KR101383258B1 (ko) * 2007-11-08 2014-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인체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JP4864055B2 (ja) * 2008-08-19 2012-01-25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音声処理装置、音声処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101554221B1 (ko) * 2009-05-11 2015-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및 장치
CN109671417B (zh) * 2018-12-13 2023-05-26 深圳市丰巢科技有限公司 快递柜奏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8158A (en) * 1978-12-27 1980-07-03 Casio Comput Co Ltd Musical sound generation system
JPS5784496A (en) * 1980-11-13 1982-05-26 Tokyo Shibaura Electric Co Musical tone designation system of small electronic computer
FI102711B (fi) * 1996-02-23 1999-01-29 Nokia Mobile Phones Ltd Puhelimen soittoäänen määrittely
FI105308B (fi) * 1996-12-30 2000-07-14 Nokia Mobile Phones Ltd Puhelimen soittoäänen ohjelmointi
JP3870843B2 (ja) * 2002-05-27 2007-01-24 ヤマハ株式会社 楽音発生システムおよび音源モジュール
KR20040090134A (ko) * 2003-04-16 2004-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악 연주의 옥타브 확장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4934A2 (ko) * 2008-02-23 2009-08-27 Hwang Jay-Yeob 포켓 바이올린 구현 방법
WO2009104934A3 (ko) * 2008-02-23 2009-12-17 Hwang Jay-Yeob 포켓 바이올린 구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91537A1 (en) 2006-08-16
KR100678163B1 (ko) 2007-02-02
JP2006259707A (ja) 2006-09-28
CN1822604A (zh) 2006-08-23
US20060180006A1 (en) 200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16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JPH11112615A (ja) 携帯電話機
KR100651516B1 (ko) 악기연주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101048021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연주 장치 및 방법
JP2000224269A (ja) 電話機および電話システム
KR1007745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입력 장치를 이용한 사운드 효과발생 방법
KR100506228B1 (ko) 음악 연주 및 편집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070076942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작곡 장치 및 방법
KR100595256B1 (ko) 작곡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를이용한 작곡방법 및 작곡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이용방법
JP3618707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携帯型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JP3851912B2 (ja) 携帯型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KR100650890B1 (ko) 음악 연주 장치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단말기에서의 음악 연주 방법
KR100548950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키패드를 이용한 연주 장치 및 방법
JP2002049368A (ja) 音楽基準確認機能付きの携帯電話
JP3406559B2 (ja) 携帯端末、情報処理装置、音源データの更新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6178049A (ja) 音楽再生装置
KR200248317Y1 (ko) 휴대폰을 이용한 가요반주장치
KR10067811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악파일 재생방법
JP2004163511A (ja) 携帯端末装置
JP2002328758A (ja) 小型情報端末装置におけるメニュー項目選択方法
KR100687693B1 (ko) 듀얼 연주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JP2002261884A (ja) 移動通信端末
KR100703362B1 (ko) 휴대형 단말기의 악기 연주 게임 방법 및 장치
KR20060032476A (ko) 키 패드를 이용한 음악 연주 방법 및 장치
KR100716307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멀티 버튼음 출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