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0934A - 원전수거물 처리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원전수거물 처리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0934A
KR20060090934A KR1020060013859A KR20060013859A KR20060090934A KR 20060090934 A KR20060090934 A KR 20060090934A KR 1020060013859 A KR1020060013859 A KR 1020060013859A KR 20060013859 A KR20060013859 A KR 20060013859A KR 20060090934 A KR20060090934 A KR 20060090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clear waste
nuclear
stacked
collection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3583B1 (ko
Inventor
조경연
Original Assignee
조경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연 filed Critical 조경연
Publication of KR20060090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0Processing
    • G21F9/301Processing by fixation in stable solid media
    • G21F9/302Processing by fixation in stable solid media in an inorganic matrix
    • G21F9/304Cement or cement-like matrix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전수거물 처리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자력 발전소 및 연구소에서 사용된 후 발생되는 원자력의 부산물인 원전수거물을 트럭이나 대형 버스에 사용되었던 폐타이어 등의 고리형 탄성체 내에 설치한 후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로 피복층을 형성하고, 콘크리트 내, 외부에 하중이나 지진 등의 천재지변을 대비하도록 고강도 수직 및 수평 철근을 설치함으로써 완벽한 차폐로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육로를 통한 원전수거물의 이동이 가능하여 전용 도로 또는 신 항만 건설이 불필요하고, 산업 폐기물인 폐타이어를 재활용하여 제작함으로써 환경보호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며, 육상에 적용 시 천층처리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저장고 및 동굴을 건설할 필요가 없어 처리비 및 건설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해양 적용 시 어류의 산란처 및 서식처를 제공하는 등 인공 어초의 부속물로 사용가능하여 어장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원전수거물 처리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설치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구성은 원전수거물의 처리장치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적층되는 고무재질의 고리형 탄성체; 적층된 탄성체의 내부공간에 적층되게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원전수거물이 수용되는 수거용기; 및 적층된 탄성체의 내부공간에 타설되어 경화 및 양생되도록 이루어지는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전수거물, 폐타이어, 콘크리트, 방수재, 수거용기, 철재구조물

Description

원전수거물 처리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설치방법{Apparatus for nuclear waste disposal, methodd for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전수거물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원전수거물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원전수거물 처리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원전수거물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원전수거물 처리장치가 육상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원전수거물 처리장치가 해양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원전수거물 처리장치가 해양에 설치되어 어초군락을 이루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전수거물 처리장치, 10 : 탄성체,
11 : 내부공간, 30 : 수거용기,
40 : 콘크리트, 50 : 덮개,
51 : 체결부재, 53 : 결합공,
70 : 철재구조물, 80 : 방수제,
90 : 금속고정물, 91 : 돌가루.
본 발명은 원전수거물의 처리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자력 발전소 및 연구소에서 사용된 후 발생되는 원자력의 부산물인 원전수거물을 트럭이나 대형 버스에 사용되었던 폐타이어 등의 고리형 탄성체 내에 설치한 후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로 피복층을 형성하고, 콘크리트 내, 외부에 하중이나 지진 등의 천재지변을 대비하도록 고강도 수직 및 수평 철근을 설치함으로써 완벽한 차폐로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원전수거물의 처리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은 원자핵의 변환에 따라 방출되는 에너지를 지칭하며, 원자 에너지 또는 핵 에너지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원자력은 인위적으로 원자핵 변환에 의해 이용가능한 에너지를 추출하는 것을 말하며, 우라늄, 플루토늄 등 무거 운 원소의 원자핵을 연쇄적으로 분열시키는 방법(핵 분열 방법)과 중수소(重水素) 등 가벼운 원소의 원자핵을 융합(融合)시키는 방법(핵융합 방법)으로 나뉜다.
초기의 원자폭탄 및 원자로는 이들 중 핵분열 방법을 이용한 것이고, 수소폭탄은 핵융합 방법을 이용한 것이다.
한편, 원자력의 부산물인 원전수거물은 원자력 발전소 및 연구소의 운영 과정에서 배출되는 원전 폐기물을 의미하며, 이는 발전소의 원자로 내에서 핵 분열 반응 중 생긴 핵 분열 생성물 때문에 높은 방사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핵 분열 반응 후에도 계속적으로 열을 발생시킨다.
즉, 원전수거물은 사용 후의 핵 연료를 말하는 것으로 원전 연료를 핵 분열 시키고 난 후 재활용이 가능한 우라늄과 플루토늄을 제외한 나머지 찌꺼기를 지칭하는 고준위 원전수거물과 액체 폐기물 처리과정을 거친 후 남은 찌꺼기 및 운전원이나 보수요원 등이 사용한 의복, 장갑을 포함하는 각종 부품 등을 지칭하는 중, 저준위 원전수거물로 구분된다.
이러한 원전수거물은 방사능 물질로 이루어져 있어 바람과 물을 통하여 급속히 환경에 전파됨은 물론 조금만 노출되어도 인간에게는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로 인해 현재 처리용기에 저장 및 밀봉되는 원전수거물이 지반 깊은 곳에서 안전하게 보관된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현재 이 문제를 둘러싸고 끊임없는 논란이 일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 나라의 경우 사용 후 발생되는 원전수거물은 2가지로 나뉘게 되며, 이는 경수로에서 발생되는 원전수거물과 중수로에서 발생되는 원전수거물로 나뉜다.
이렇게 발생되는 원전수거물은 발열량과 방사능을 줄이기 위하여 원자로에서 꺼내자 마자 물 속에 일시 보관하고, 물 속에서 1년 간 냉각된 원전수거물의 경우 발열량이 약 12kw/톤U이고, 방사선량은 약 2700kCi/톤U이지만, 약 5년이 경과하면 처음보다 약 3/1,000정도까지 감소한다.
이와 같이 원전수거물에서 발생되는 방사능은 화학 변화에 의해 소멸되지 않기 때문에 원자핵의 붕괴로 인해 자연적으로 소멸되기를 기다릴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원전수거물을 보다 안전하고, 영구적으로 처리 및 보관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현대 사회의 커다란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대부분의 국가들이 추진하고 있는 방법은 원전수거물을 소정의 처리용기 내에 저장 및 밀봉시켜 지반 깊은 곳에 매장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즉, 원전수거물의 보다 안전한 관리를 위하여 고체 폐기물은 초고압으로 압축하여 철제 드럼 속에 넣으며, 액체 폐기물은 수분을 증발시켜 부피를 줄인 다음 시멘트와 함께 굳혀 드럼 속에 넣고 밀봉한 후 저장고에 보관하고, 기체 폐기물은 일단 밀폐탱크에 저장한 후 방사능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면 고성능 필터를 통해 대기로 방출한다.
우리 나라의 경우 1978년 이후 원자력 발전이 시작되어 1997년까지 12기의 원자력 발전소가 가동 중이고, 여기에 보관되어 있는 원전수거물도 1997년 5월 현재 중저준위폐기물이 200ℓ드럼으로 약 4만 8436드럼이 보관되어 있으며, 현재까지는 원전 수거물은 원자력 발전소 부지 내에 임시 저장중이지만, 현재의 시설로는 2008년 경 울진 원자력 발전소부터 포화에 이를 전망이다.
특히,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하는 의료 기관과 산업체의 증가 그리고 원자력발전소의 신규 건설로 인해 원전 수거물의 발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해 원전수거물은 원자력 발전소 내의 임시 저장고에 안전하게 관리되지만, 저장용량의 한계, 장기적 차원에서의 부지관리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원전수거물은 핵 실험 등 군사적인 목적에서의 발생에서 시작된 것이지만, 현재 원전수거물은 군사적인 용도에서 발생되는 양보다 민간 원자력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양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누적되는 원전수거물의 총량도 빠른 속도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원전수거물의 해양 투기는 1996년 런던 협약 개정 의정서에 의해 전면 금지하고 있으나, 협약 의정서에는 7개 품목만의 투기를 허용하고 있는 등 극히 제한적인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투기를 허용하고 있다.
이는 원전수거물의 해양 투기 시 바다 속으로 투기되는 원전수거물이 담긴 철제용기의 부식으로 인한 해양오염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를 위하여 철제 컨테이너에 원전수거물이 담긴 철제용기를 담아 투기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또한 해수로 인해 철제 컨테이너가 부식될 우려가 상당히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대부분의 국가에서 원전수거물 저장방법의 채택 및 매장시설의 선정과 건설은 아직까지 미해결문제로 남아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원전수거물의 안전 한 처리 및 보관은 아직까지 모든 국가들이 풀어야할 숙제로 자리잡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원자력 발전소 및 연구소에서 사용된 후 발생되는 원자력의 부산물인 원전수거물을 트럭이나 대형 버스에 사용되었던 폐타이어 등의 고리형 탄성체 내에 설치한 후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로 피복층을 형성하고, 콘크리트 내, 외부에 하중이나 지진 등의 천재지변을 대비하도록 고강도 수직 및 수평 철근을 설치함으로써 영구적이고, 안전하게 원전수거물을 처리 및 보관할 수 있으며, 산업 폐기물인 폐타이어를 재활용하여 제작하고, 강우 또는 해수 등의 침투가 불가한 불투수성을 갖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환경보호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며, 육상에 적용 시 천층처리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저장고 및 동굴을 건설할 필요가 없어 처리비 및 건설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해양 적용 시 어류의 산란처 및 서식처를 제공하는 등 인공 어초의 부속물로 사용가능하여 어장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등 육상과 해양에서 적용가능한 원전수거물의 처리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전수거물의 처리장치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적층되는 고무재질의 고리형 탄성체; 상기 적층된 탄성체의 내부공간에 적층되게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원전수거물이 수용되는 수거용기; 및 상기 적층된 탄성체의 내부공간에 타설되어 경화 및 양생되도록 이루어지는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상기 다수개의 탄성체 중 최상단과 최하단에 구비되는 각 탄성체의 상, 하부면에는 체결부재로 결합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원판형상체의 덮개가 구비된다.
여기서,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탄성체의 표면 및 덮개의 외부면이 방수제에 의하여 코팅처리된다.
대안적으로는,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탄성체의 표면 및 덮개의 외부면에 폴리 우레아라이닝 공법에 의한 방수재가 코팅처리된다.
더불어,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탄성체(10)의 표면 및 덮개(50)의 외부면에 소정크기의 돌가루가 접착구성된다.
한편, 상기 고리형 탄성체가 트럭 또는 대형 버스에 사용되는 폐타이어이다.
여기서,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탄성체 내부공간의 가장자리에 철재구조물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철재구조물이 에폭시로 피복처리된다.
여기서, 고리형 탄성체와 수거용기 및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원전수거물 처리장치에 따른 원전수거물 처리방법에 있어서, 고리형 탄성체를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적층시키는 단계;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탄성체의 내부공간에 원전수거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거용기를 적층시킴과 더불어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를 주입시켜 원전수거물이 담긴 수거용기를 밀봉시키는 단계; 주입된 고강도 특수 콘 크리트가 경화 및 양생되는 단계;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탄성체(10) 중 최상단 및 최하단에 구비되는 각 탄성체의 상, 하부면에 덮개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탄성체 표면 및 덮개의 외부면에 방수제를 코팅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탄성체 내부공간의 가장리에 철재구조물을 수직, 수평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대안적으로는,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탄성체의 표면 및 덮개의 외부면에 소정크기의 돌가루를 접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한편, 고리형 탄성체와 수거용기 및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원전수거물 처리장치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원전수거물 처리장치를 육상에 설치할 경우, 지표에서 10M 이하의 점토층에 원전수거물 처리장치를 배열하는 단계; 배열된 다수개의 원전수거물 처리장치에 점토와 석회를 혼합시킨 토질로 밀봉하는 단계; 및 점토와 석회가 혼합된 토질에 일반 토사로 다지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다수개의 원전수거물 처리장치를 고정금속물에 의해 상호 연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한편, 고리형 탄성체와 수거용기 및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원전수거물 처리장치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원전수거물 처리장치를 해양에 설치할 경우, 원전수거물 처리장치를 해양에 투기하는 단계; 투기된 원전수거물 처리장치를 배열하는 단계; 및 투기된 다수개의 원전수거물 처리장치를 고정금속물에 의해 상 호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전수거물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전수거물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전수거물 처리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는 다수개의 탄성체(10)와 원전수거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거용기(30)와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40)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체(10)는 고무재질로서, 그 중심측에 대략 원형상의 내부공간(11)이 형성되는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체(10)가 그 중심측에 원형상의 내부공간(11)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탄성체(10)의 중심측에 사각형상을 포함하는 다각형상의 내부공간(11)이 관통형성되게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체(10)가 고무재질의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그 중심측에 원형의 내부공간(11)이 관통형성되는 환형의 일반적인 타이어 또는 폐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고, 고무재질을 포함하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10)가 폐타이어로 이루어질 경우, 차량의 운행에 사용되다가 그 수명이 다한 일반적이 폐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보다 바람 직하게는, 승용차의 폐타이어 보다는 내부 직경 및 크기가 크고, 내구성이 향상된 트럭 또는 대형 버스 등의 폐타이어를 재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탄성체(10)는 그 내부에 수용되는 수거용기(30)의 외부 압력 및 충격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최대 속도에서 차량과 적재 하중을 견뎌내는 강성, 내구성 및 충격 흡수력이 탁월한 트럭 또는 대형 버스 등의 폐타이어를 재활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거용기(30)는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다수개의 탄성체(10) 내부공간(11)에 적층설치되고,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 및 연구소에서 버려지는 원전수거물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수거용기(30)가 수직방향으로 적층설치된다. 여기서, 원전수거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거용기(30)의 직경에 따라 그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고리형 탄성체(10)의 직경 및 크기가 결정된다.
그리고, 수직방향으로 적층구비되는 다수개의 탄성체(10) 내부공간(11)에 적층설치되는 수거용기(30)는 통상 3개 이상의 다수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상 또는 이하의 갯수로 적층설치되게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원전수거물이 수용되기 위한 수거용기(30)의 외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수직방향으로 적층구비되는 탄성체(10)의 갯수 및 높이 또한 적층설치되는 수거용기(30)의 갯수 및 높이와 대응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40)는 수직방향으로 적층구비되는 다수개의 탄성체(10) 내부공간(11)에 타설되어 경화 및 양생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콘크리트(40)가 해양용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수직방향으로 적층구비되는 다수개의 탄성체(10) 내부공간(11)에 타설되어 경화 및 양생되도록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40) 또는 해양용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탄성체(10)의 내부공간(11)에 타설되어 경화 및 양생가능하고, 경화 및 양생된 후 탄성체(10) 내부공간(11)에 적층설치되는 수거용기(30)를 외부와 차폐 및 밀봉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용이하다면 기타 다양한 성분의 콘크리트 및 글라우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탄성체(10) 중 최상단과 최하단에 구비되는 각 탄성체(10)의 상, 하부면에는 체결부재(51)에 의하여 결합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원판형상체 형상의 덮개(50)가 구비된다.
즉, 상기 탄성체(10)의 내부공간(11)에 설치되는 원전수거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거용기(30)를 차폐 및 밀봉시키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적층구비되는 다수개의 탄성체(10) 중 최상단 및 최하단에 구비되는 각 탄성체(10)의 상, 하부면에 그 중심측에 관통형성되는 내부공간(11)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판형상체의 덮개(50)가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덮개(50)는 수직방향으로 적층구비되는 다수개의 탄성체(10) 중 최상단 및 최하단에 구비되는 각 탄성체(10)의 내부공간(11)에 경화 및 양생되도록 이루어지는 콘크리트(40)와 체결부재(51)에 의하여 결합되게 이루어지며, 이를 위하여 상기 덮개(50)의 소정위치에는 다수개의 체결부재(51)가 콘크리트(40)와 결합되기 위한 다수개의 결합공(53)이 관통형성된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51)는 상기 덮개(50)에 형성되는 결합공(53)에 결합된 후 그 단부 소정부분이 탄성체(10)의 내부공간(11)에 경화 및 양생되게 이루어지는 콘크리트(40)와 결합되기 위한 소정길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덮개(50)는 육상 또는 해양에 적용 시 지하수 또는 해수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부재(51) 또한 상기 덮개(5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50)가 원판형상체로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덮개(50)와 탄성체(10)의 상, 하부면 사이의 차폐 및 밀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덮개(50)가 상기 탄성체(10)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50)의 하부면에 상기 탄성체(10) 내부공간(11)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결합부를 돌출형성시킴으로써 상기 결합부가 상기 탄성체(10)의 내부공간(11)에 소정부분 삽입 또는 인입되어 결합되게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50)의 하부면이 탄성체(10)의 상, 하부면에 맞닿아 밀봉되게 이루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50)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나, 육상 또는 해양에 적용가능하고, 적용 후 지하수 또는 해수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만 있다면 합성수지재질 등 기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각 탄성체(10)의 표면 및 덮개(50)의 외부면에는 육상 또는 해양에 적용 시 그 내부에 매설되는 원전수거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거용기(30)의 차폐 및 밀봉을 향상시키고, 지하수 또는 해수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 기 위하여 방수제(80)에 의하여 코팅처리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각 탄성체(10)의 표면 및 덮개(50)의 외부면에 코팅처리되는 방수제(80)가 에폭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탄성체(10) 표면 및 덮개(50)의 외부면에 코팅처리되는 방수제(80)가 에폭시로 이루어져 있으나, 차폐 및 밀봉을 향상시키고, 해수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만 있다면 상기 방수제(80)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 내에 습기나 미생물 침투에 따른 부식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각 탄성체(10)의 표면 및 덮개(50)의 외부면에 습기에 반응하지 않고, 탄성이 우수하여 도막의 균열이 나 박리가 되지 않는 폴리 우레아라이닝 공법으로 코팅처리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그 중심측에 대략 원형상의 내부공간(11)이 관통형성되는 고리형 탄성체(10)를 소정높이로 다수개 적층시킨다(S1).
이때,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탄성체(10)의 정확한 수직방향 유지 및 적층된 탄성체(10)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목재질로 이루어지는 봉상체형상의 지지봉을 다수개 설치하여 적층되는 탄성체(10)의 표면을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탄성체(10)의 내부공간(11)에 원전수거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거용기(30)을 적층시킴과 더불어 및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40)를 주입시켜 원전수거물이 담긴 수거용기(30)를 밀봉시킨다(S2).
즉, 수직방향으로 적층구비되는 탄성체(10)의 내부공간(11)에 수거용기(30)를 설치한 후 상기 수거용기(30)의 외주면 및 상기 탄성체(10) 내부공간(11)에 레미콘 등의 차량을 이용하여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40)를 타설 및 주입하여 원전수거물이 담긴 수거용기(30)를 외부와 차폐 및 밀봉시킨다.
이때, 주입되는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40)는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고리형 탄성체(10)의 내부공간(11) 및 공실로 형성되는 탄성체(10)의 내주면 소정공간에 타설 및 주입되게 이루어짐으로써 차폐 및 밀봉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수직방향으로 적층구비되는 탄성체(10)의 내부공간(11)에 원전수거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거용기(30)를 적층설치한 다음,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40)를 타설하여 경화 및 양생되게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탄성체(10) 내부공간(11)에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40)를 타설한 후 경화 및 양생되기 전에 다수개의 수거용기(30)를 적층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수직방향으로 적층구비되는 다수개의 탄성체(10) 내부공간(11)에 적층설치되는 수거용기(30)는 수직방향으로 3개 정도 적층설치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이상 또는 이하의 갯수로 적층설치되게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수직방향으로 적층구비되는 탄성체(10)의 적층 높이는 적층설치되는 수거용기(30)의 높이와 대응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주입된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40)를 경화 및 양생시킨다(S3). 이때, 주입된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40)의 경화 및 양생 시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40)에 발생되는 팽창력과 상기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40)의 외부를 감싸는 탄성체(10)의 탄성에 의한 복원력 및 팽창력에 반발하여 발생되는 수축력으로 인해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40)와 탄성체(10)의 결합이 향상된다.
그 다음, 적층된 다수개의 탄성체(10) 중 중 최상단 및 최하단에 구비되는 각 탄성체(10)의 상, 하부면에 덮개(50)를 결합시킨다(S4).
이때, 상기 덮개(50)의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결합공(53) 및 상기 결합공(53)에 체결되어 적층된 탄성체(10)의 경화 및 양생된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40)에 결합 및 체결되는 체결부재(51)에 의하여 상기 덮개(50)를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40)와 결합시킨다.
그리고, 적층된 탄성체(10)의 표면 및 덮개(50)의 외부면을 방수제(80)로 코팅처리한다(S15). 이때,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다수개의 탄성체(10) 표면 및 덮개(50)의 외부면에 에폭시로 이루어지는 방수제(80)로 코팅처리하거나, 방수제(80)로 코팅처리한다(S5).
이렇게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다수개의 탄성체(10) 표면 및 덮개(50)의 외부면을 방수제(80)로 코팅처리함으로써 상기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의 밀폐력 및 밀봉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해수에 의한 부식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 및 방법으로 제작되는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는 방수제(80)에 의하여 1차로 외부와 차단되고, 탄성체(10)의 두께에 의하여 2차로 외부와 차단되며, 상기 탄성체(10)의 내부에 타설되어 양생된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 (40)에 의하여 3차로 외부와 차단되게 이루어지는 등 3중의 차폐 및 밀봉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원전수거물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탄성체(10) 내부공간(11)과 원전수거물이 수용되는 수거용기(30)의 사이에 철재구조물(70)이 구비된다.
즉, 수직방향으로 적층구비되는 다수개의 탄성체(10) 내부공간(11)과 상기 내부공간(11)에 적층설치되는 수거용기(30)의 외부면 사이에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상호 연결되게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철근으로 구성되는 철재구조물(7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철재구조물(70)은 탄성체(10)의 내부공간(11) 및 수거용기(30)의 외부면 사이에 설치되기 위하여 대략 환형으로 제작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적층구비되는 탄성체(10)의 내부공간(11)과 수거용기(30)의 외부면 사이에 설치되는 철재구조물(70)은 타설되는 콘크리트(40)와 결합되어 경화 및 양생되게 이루어짐으로써 탄성체(10) 내부공간(11)에 설치되는 수거용기(30)와 외부를 완전 차폐 및 밀폐시켜 기밀성을 향상시킨다.
이때에는 수직방향으로 적층구비되는 다수개의 탄성체(10)의 내부공간(11)에 수직방향으로 철재구조물(70)을 설치하고, 상기 철재구조물(70)의 내측에 원전수거 물을 수용하는 수거용기(30)를 적층설치한 다음 콘크리트(40)를 타설하여 철재구조물(70)과 콘크리트(40)를 결합시킨 후 경화 및 양생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철재구조물(70)은 적층구비되는 탄성체(10)의 내부공간(11)에서 직접제작하여 설치하거나, 탄성체(10)의 내부공간(11)에 삽입설치되기 적합한 크기 및 길이로 외부에서 제작하여 설치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작된 철재구조물(70)은 그 내부에 원전수거물이 담긴 수거용기(30)가 삽입되기 위한 소정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는 환형으로 제작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방향으로 적층구비되는 탄성체(10)의 내부공간(11)에 수직방향으로 철재구조물(70)을 설치한 후 상기 철재구조물(70)의 내측에 원전수거물이 담긴 수거용기(30)를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40)를 타설 및 주입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수직방향으로 적층구비되는 탄성체(10)의 내부공간(11)에 수직방향으로 철재구조물(70)을 설치한 후 상기 철재구조물(70)의 내측에 원전수거물이 담긴 수거용기(30)를 설치한 다음 상기 철재 드럼의 최상단부 및 최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다시 철재구조물(70)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40)를 타설 및 주입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원전수거물 처리장치가 육상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원전수거물 처리장치가 육상의 지표 내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적층구비되는 다수개의 탄성체(10), 상기 각 탄성체(10)의 내부공간(11)에 타설되어 양생되는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40), 그리고 상, 하부면에 구비되는 덮개(50), 그 표면 및 외부면에 코팅처리된 방수제(80)로 인해 외부와 차폐 및 밀봉되게 이루어지거나, 탄성체(10)의 내부에 철재구조물(70)이 더 부가되어 외부와 차폐 및 밀봉되게 이루어지는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를 지표에서 10M 이하의 점토층에 배열한다.
그리고, 배열된 다수개의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에 점토와 석회를 혼합시킨 토질로 밀봉한다.
그 다음, 점토와 석회가 혼합된 토질에 일반 토사로 다진다.
한편, 다수개의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의 각 탄성체(10)를 고정금속물(90)에 의해 상호 연결한다. 즉, 각 탄성체(10)의 연결부위 및 상호 맞닿는 부위 중 소정부위에 로프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를 상호 연결하여 배치 및 위치시킨다.
즉, 그 내부에 원전수거물이 담긴 수거용기(30)를 갖는 각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를 로프로 이루어지는 고정금속물(90)에 의해 상호 연결시킨 후 지표에 배치 및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금속고정물(90)은 티타늄으로 도금처리되게 이루어짐으로써 지하수 등에 의한 부식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렇게 다수개의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가 금속고정물(9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소정 중량을 갖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지반에서 발생될 수 있는 천재지변에 대응이 가능하고, 설치 및 보관장소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표에서 10M 이하의 점토층에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를 설치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방폐장 선정부지에 지질학적으로 점토층이 없으면 인위적으로 점토층을 형성하여 처분장 시설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원전수거물 처리장치가 해양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원전수거물 처리장치가 해양에 설치되어 어초군락을 이루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원전수거물 처리장치가 해양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적층구비되는 다수개의 탄성체(10), 상기 각 탄성체(10)의 내부공간(11)에 타설되어 양생되는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40), 그리고 상, 하부면에 구비되는 덮개(50), 그 표면 및 외부면에 코팅처리된 방수제(80)로 인해 외부와 차폐 및 밀봉되게 이루어지거나, 탄성체(10)의 내부에 철재구조물(70)이 더 부가되어 외부와 차폐 및 밀봉되게 이루어지는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를 바다 속에 투기 시 적층구비되는 각 탄성체(10)의 연결부위 및 상호 맞닿는 부위 중 소정 부위에 로프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를 상호 연결하여 배치 및 위치시킨다.
즉, 그 내부에 원전수거물이 담긴 수거용기(30)를 갖는 각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를 로프로 이루어지는 금속고정물(9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게 하여 바다 속 적소에 배치 및 위치시킨다.
이때, 바다 속의 수심은 어류의 산란 및 서식이 가능한 깊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는 금속고정물(9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고, 상기 금속고정물(90)은 티타늄으로 도금처리되게 이루어짐으로써 해수의 부식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렇게 다수개의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가 금속고정물(9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소정 중량을 갖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해류 및 기타 해양의 조건으로 인해 설치 및 보관장소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가 티타늄으로 도금처리된 금속고정물(9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설치 및 보관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바다 속에 투기되는 각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의 상호 연결 및 고정을 가능하게 하고, 해양에 의해 부식이 방지된다면 체인 등으로 상기한 역할을 담당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재질 또한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탄성체(10) 표면 및 덮개(50)의 외부면에 어초 군락을 형성하도록 방수제(80)로 코팅처리한 후 소정크기의 돌가루를 접착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다 속에 적용되는 상기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의 표면 및 외부면에 방수제(80)로 코팅처리한 후 소정크기의 돌가루를 접착구성함으로써 어류의 산란처 및 서식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어초가 서식하기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여 인공 어초 군락의 형성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를 해양에 적용 시 해수의 침투 및 유입이 불가할 뿐만 아니라, 원전수거물이 담긴 철재 드럼의 수거용기(30) 내의 방사능이 해양으로 방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전수거물 처리장치가 바다 속에 설치되어 어초군락을 이루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의 표면 및 외부면에 소정크기의 돌가루(91)를 접착구성시켜 바다 속에 적용 시 어류에 산란처 및 서식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어초 군락을 형성시킴으로써 대규모의 새로운 어장을 형성시켜 수산 자원을 확보하기가 매우 유리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원전수거물을 바다 속에 처리 및 보관하도록 이루어져 원전수거물을 처리 및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시설이 필요치 않을 뿐만 아니라, 어초 군락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대규모의 어장을 형성시킬 수 있어 미래의 수산자원 확보에 있어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매우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 및 연구소에서 사용된 후 발생되는 원자력의 부산물인 원전수거물을 트럭이나 대형 버스에 사용되었던 폐타이어 등의 고리형 탄성체 내에 설치한 후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로 피복층을 형성하고, 콘크리트 내, 외부에 하중이나 지진 등의 천재지변을 대비하도록 고강도 수직 및 수평 철근을 설치함으로써 완벽한 차폐로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영구적이고, 안전하게 원전수거물을 처리 및 보관할 수 있으며, 육로를 통한 원전수거물의 이동이 가능하여 전용 도로 또는 신 항만 건설이 불필요하고, 산업 폐기물인 폐타이어를 재활용하여 제작하고, 강우 또는 해수 등의 침투가 불가한 불투수성을 갖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환경보호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며, 육상에 적용 시 천층처리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저장고 및 동굴을 건설할 필요가 없어 처리비 및 건설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해양 적용 시 어류의 산란처 및 서식처를 제공하는 등 인공 어초의 부속물로 사용가능하여 어장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14)

  1. 원전수거물의 처리장치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적층되는 고무재질의 고리형 탄성체(10);
    상기 적층된 탄성체(10)의 내부공간(11)에 적층되게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원전수거물이 수용되는 수거용기(30); 및
    상기 적층된 탄성체(10)의 내부공간(11)에 타설되어 경화 및 양생되도록 이루어지는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수거물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상기 다수개의 탄성체(10) 중 최상단과 최하단에 구비되는 각 탄성체(10)의 상, 하부면에는 체결부재(51)로 결합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원판형상체의 덮개(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수거물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탄성체(10)의 표면 및 덮개(50)의 외부면이 방수제(80)에 의하여 코팅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수거물 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탄성체(10)의 표면 및 덮개(50)의 외부면에 폴리 우레아라이닝 공법에 의한 방수재(80)가 코팅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수거물 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탄성체(10)의 표면 및 덮개(50)의 외부면에 소정크기의 돌가루가 접착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수거물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탄성체(10)가 트럭 또는 대형 버스에 사용되는 폐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수거물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상기 다수개의 탄성체(10) 내부공간(11)의 가장자리에 철재구조물(70)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수거 물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철재구조물(70)이 에폭시로 피복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수거물 처리장치.
  9. 고리형 탄성체(10)와 수거용기(30) 및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40)로 이루어지는 원전수거물 처리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고리형 탄성체(10)를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적층시키는 단계(S1);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탄성체(10)의 내부공간(11)에 원전수거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거용기(30)를 적층시킴과 더불어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40)를 주입시켜 원전수거물이 담긴 수거용기(30)를 밀봉시키는 단계(S2);
    주입된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40)가 경화 및 양생되는 단계(S3);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탄성체(10) 중 최상단 및 최하단에 구비되는 각 탄성체(10)의 상, 하부면에 덮개(50)를 결합시키는 단계(S4); 및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탄성체(10) 표면 및 덮개(50)의 외부면에 방수제(80)를 코팅처리하는 단계(S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수거물 처리장치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탄성체(10) 내부공간(11)의 가장리에 철재구조물(70)을 수직, 수평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수거물 처리장치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탄성체(10)의 표면 및 덮개(50)의 외부면에 소정크기의 돌가루를 접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수거물 처리장치의 제조방법.
  12. 고리형 탄성체(10)와 수거용기(30) 및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40)로 이루어지는 원전수거물 처리장치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를 육상에 설치할 경우,
    지표에서 10M 이하의 점토층에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를 배열하는 단계;
    배열된 다수개의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에 점토와 석회를 혼합시킨 토질로 밀봉하는 단계;
    점토와 석회가 혼합된 토질에 일반 토사로 다지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수거물 처리장치의 설치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를 고정금속물(90)에 의해 상호 연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수거물 처리장치의 설치방법.
  14. 고리형 탄성체(10)와 수거용기(30) 및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40)로 이루어지는 원전수거물 처리장치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를 해양에 설치할 경우,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를 해양에 투기하는 단계;
    투기된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를 배열하는 단계; 및
    투기된 다수개의 원전수거물 처리장치(1)를 고정금속물(90)에 의해 상호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수거물 처리장치의 설치방법.
KR1020060013859A 2005-02-12 2006-02-13 원전수거물 처리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설치방법 KR100783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712 2005-02-12
KR1020050011712 2005-0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934A true KR20060090934A (ko) 2006-08-17
KR100783583B1 KR100783583B1 (ko) 2007-12-07

Family

ID=36793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859A KR100783583B1 (ko) 2005-02-12 2006-02-13 원전수거물 처리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80161628A1 (ko)
EP (1) EP1854103A1 (ko)
JP (1) JP2008530550A (ko)
KR (1) KR100783583B1 (ko)
CN (1) CN101120418A (ko)
BR (1) BRPI0606941A2 (ko)
CA (1) CA2599049C (ko)
EA (1) EA010554B1 (ko)
MX (1) MX2007009749A (ko)
WO (1) WO2006085734A1 (ko)
ZA (1) ZA20070772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627B1 (ko) * 2010-11-30 2012-03-0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지하심부 방사성폐기물 저장소로부터 방사성 핵종의 이동을 저감하는 수직 생체방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6712B2 (en) * 2004-04-13 2009-06-16 Shaw Reece F System of stacked concrete blocks, each block having a tire wall stack therewithin surrounding a hollow core through which a vertical reinforcing member extends and reinforcing bars in mortar in void between adjacent blocks
FR2896613B1 (fr) * 2006-01-26 2010-10-1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Element de stockage de combustible nucleaire empilable et module de stockage forme par un empilement de tels elements
MD244Z (ro) * 2009-09-04 2011-02-28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Молд0 Electrod pentru obţinerea electrolitică a hidrogenului şi procedeu de confecţionare a acestuia
JP5172033B1 (ja) * 2012-07-17 2013-03-27 山本基礎工業株式会社 廃棄物埋設工法及び廃棄物収容コンテナ
JP6057723B2 (ja) * 2013-01-11 2017-01-11 三井化学産資株式会社 放射性物体の保管方法
JP6243200B2 (ja) * 2013-11-15 2017-12-06 忠 松井 放射性物質含有汚染水処理用ドラム、当該ドラムを用いた処理装置及び放射性物質含有汚染水処理方法
JP6159300B2 (ja) * 2014-07-04 2017-07-05 小柳建設株式会社 水底の放射性物質の処理方法
JP6159301B2 (ja) * 2014-07-16 2017-07-05 小柳建設株式会社 放射性物質の処理方法
FR3080705B1 (fr) * 2018-04-27 2020-10-30 Tn Int Emballage de transport et/ou d'entreposage de matieres radioactives permettant une fabrication facilitee ainsi qu'une amelioration de la conduction thermique
TWI715978B (zh) * 2019-05-15 2021-01-11 洽興營造有限公司 環保全聚脲核廢料桶
CN110265167B (zh) * 2019-07-19 2024-05-03 银川东方气力运输设备有限公司 核试样收发装置
TWI766720B (zh) * 2021-06-09 2022-06-01 洽興營造有限公司 地下化低階核廢料桶最終處置場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7509A (en) * 1980-07-14 1983-03-2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ackaging for ocean disposal of low-level radioactive waste material
FR2631151B1 (fr) * 1988-05-03 1991-02-1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Chemise pour dechets a compacter et conteneur pour cette chemise
JPH0365461U (ko) * 1989-10-30 1991-06-26
JP3293928B2 (ja) * 1993-02-22 2002-06-17 株式会社東芝 超音波洗浄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960010347Y1 (ko) * 1994-01-24 1996-12-10 박성규 쓰레기를 이용한 구축용 구조물
US6495846B1 (en) * 1999-02-25 2002-12-17 James A. Vaughan Apparatus and method for nuclear waste storage
SE514082C2 (sv) * 1999-04-26 2000-12-18 Hans Georgii Anordning för förvaring av riskmaterial och sätt att innesluta riskmaterial i en betongbehållarkrop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627B1 (ko) * 2010-11-30 2012-03-0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지하심부 방사성폐기물 저장소로부터 방사성 핵종의 이동을 저감하는 수직 생체방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85734A1 (en) 2006-08-17
CA2599049C (en) 2009-09-01
KR100783583B1 (ko) 2007-12-07
EP1854103A1 (en) 2007-11-14
JP2008530550A (ja) 2008-08-07
ZA200707728B (en) 2009-06-24
US20080161628A1 (en) 2008-07-03
BRPI0606941A2 (pt) 2009-07-28
MX2007009749A (es) 2007-11-12
CN101120418A (zh) 2008-02-06
CA2599049A1 (en) 2006-08-17
EA200701495A1 (ru) 2007-12-28
EA010554B1 (ru)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3583B1 (ko) 원전수거물 처리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설치방법
Onishi Fukushima and Chernobyl Nuclear Accidents’ Environmental Assessments and US Hanford Site's Waste Management
Deju et al. Review on radioactive concrete recycling methods
KR101069729B1 (ko)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
US5171483A (en) Method for retrievable/permanent storage of hazardous waste materials
KR200383773Y1 (ko) 원전수거물 처리장치
KR101046515B1 (ko) 고준위폐기물 포장용기-완충재 일체화 모듈형 처분용기 및 그것을 이용한 고준위폐기물의 처분 시스템
KR200397828Y1 (ko) 핵폐기물 수중매립 처리장치
KR20100097821A (ko)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저장용기
Maki et al. Application of concrete to the treatment and disposal of radioactive waste in Japan
JP2021071459A (ja) 高レベル及び低レベル放射性廃棄物を収容したトン袋の大量処理方法
KR20150007631A (ko) 핵 폐기물 저장 장치
KR20070013410A (ko) 핵폐기물 수중매립 처리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562480B1 (ko) 폐기물 저장용 용기
JP6971484B2 (ja) 地殻様組成体及びペースト状組成物
RU2223562C1 (ru) Способ обращения с твердыми низкорадиоактивными отходами
RU2530538C2 (ru) Способ временного хранения радиоактивных отходов
Domenech et al.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Lewis The radioactive salt mine
RU2212070C2 (ru) Способ консервации затопленных отсеков ядерных энергетических установок для длительного хранения
Devgun Impact of technology applications to the management of low-level radioactive wastes
JP2013083641A (ja) 汚染土壌の処理方法及びケーソン
Dyer et al. Completion of the First Integrated Spent Nuclear Fuel Transshipment/Interim Storage Facility in NW Russia
Anderson et al. Decommissioning in the mature nuclear power industry
Zharkova et al. IMPLEMENTATION OF MULTIBARRIER SAFETY SYSTEM IN RADIOEC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