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9729B1 -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 - Google Patents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9729B1
KR101069729B1 KR1020110026327A KR20110026327A KR101069729B1 KR 101069729 B1 KR101069729 B1 KR 101069729B1 KR 1020110026327 A KR1020110026327 A KR 1020110026327A KR 20110026327 A KR20110026327 A KR 20110026327A KR 101069729 B1 KR101069729 B1 KR 101069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ow
radioactive waste
level radioacti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6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준
최원후
강병국
Original Assignee
로터스마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터스마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로터스마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6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4Disposal of solid waste
    • G21F9/36Disposal of solid waste by packaging; by baling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1/00Shield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terials
    • G21F1/02Selection of uniform shielding materials
    • G21F1/04Concretes; Other hydraulic hardening material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05Containers for solid radioactive wastes, e.g. for ultimate disposal

Abstract

본 발명은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이 저장된 복수의 드럼이 수용되는 소정의 수용부가 마련된 다각형의 본체 및 본체의 상부에 안착 되어 개방된 본체의 상면을 덮는 다각형의 덮개를 포함하되, 본체의 내측면 중앙부위에는 본체의 내측 중심부를 향해 돌출된 형태의 인양(Salvage)부가 각각 형성되고, 인양부의 상면에는 소정의 인양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본체가 인양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본체의 내면에는 덮개의 하면 에지(Edge)가 접촉하여 덮개가 안착 되는 안착면이 형성되고, 안착면의 높이는 본체의 높이 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을 육각기둥의 적재용기에 수납하여 원형의 처분고(Silo)에 정치함으로써, 기존의 정사각의 육각면체의 적재용기에 비해 처분고의 불용면적을 획기적으로 낮춤으로 인해 공간활용도를 높여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이 저장된 더욱 많은 양의 드럼이 보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재용기의 폭열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특수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강도를 현저히 증대시켰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는 방수탄성체를 표면코팅처리함으로써 액체의 유입 및 유출을 전면적으로 차단하고, 폐기물 부식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내부 가스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LOAD CONTAINER HAVING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DRUM}
본 발명은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이 저장되어 밀봉된 드럼를 수납하는 상하 육각면이면서 육각기둥 형태인 벌집모양의 콘크리트 재질의 적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의 정육면체로 이루어진 적재용기에 비해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의 지상 또는 지하 처분고(Silo)에 정치시 불용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간효율성을 높임으로써 더욱 많은 양의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은 원자핵의 변환에 따라 방출되는 에너지를 지칭하며, 원자 에너지 또는 핵 에너지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원자력은 인위적으로 원자핵 변환에 의해 이용가능한 에너지를 추출하는 것을 말하며, 우라늄, 플루토늄 등 무거운 원소의 원자핵을 연쇄적으로 분열시키는 방법(핵 분열 방법)과 중수소(重水素) 등 가벼운 원소의 원자핵을 융합(融合)시키는 방법(핵융합 방법)으로 나뉜다.
초기의 원자폭탄 및 원자로는 이들 중 핵분열 방법을 이용한 것이고, 수소폭탄은 핵융합 방법을 이용한 것이다.
한편, 원자력의 부산물인 방사성폐기물은 원자력 발전소 및 연구소의 운영 과정에서 배출되는 방사능 폐기물을 의미하며, 이는 발전소의 원자로 내에서 핵 분열 반응 중 생긴 핵 분열 생성물 때문에 높은 방사능뿐만 아니라, 핵 분열 반응 후에도 지속적으로 열을 발생시킨다.
일반적으로 방사성폐기물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과 액체 폐기물 처리과정을 거친 후 남은 찌꺼기 및 운전원이나 보수요원 등이 사용한 의복, 장갑을 포함하는 각종 부품 등을 지칭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로 구분된다.
이러한 방사성폐기물은 방사능 물질로 이루어져 있어 바람과 물을 통하여 급속히 환경에 전파됨은 물론 조금만 노출되어도 인간에게는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로 인해 현재 드럼에 저장 및 밀봉되는 방사성폐기물이 지반 깊은 곳에서 안전하게 보관된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현재 이 문제를 둘러싸고 끊임없는 논란이 일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대부분의 국가들이 추진하고 있는 방법은 방사성폐기물을 소정의 드럼 내에 저장 및 밀봉시켜 지반 깊은 곳에 매장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즉, 방사성폐기물의 보다 안전한 관리를 위하여 고체 폐기물은 초고압으로 압축하여 철제 드럼 속에 넣으며, 액체 폐기물은 수분을 증발시켜 부피를 줄인 다음 시멘트와 함께 굳혀 드럼 속에 넣고 밀봉한 후 저장고에 보관하고, 기체 폐기물은 일단 밀폐탱크에 저장한 후 방사능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면 고성능 필터를 통해 대기로 방출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수천 드럼의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이 배출되고 있으며, 현재 원자력 발전과정 중에 발생 된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은 종류와 형태에 따라 200L 철제 드럼과 이를 2 내지 3개로 압축하여 재포장한 320L 철제드럼 및 고선량의 폐기물을 담는 HIC(High Integrity Container)용기 등으로 포장되어 각 원전의 임시 저장고에 저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폐기물 드럼은 관련법과 규정에 따라 전용 운반용기에 담아 운반차량과 운반선박 등을 이용하여 경주 방사성폐기물 처분장까지 이송하게 되며, 처분장에 도착한 폐기물은 인수검사를 거쳐 콘크리트로 제작된 사각형의 처분용기에 담아 최종적으로 지하 처분고(Silo)에 처분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건설중인 경주처분장의 경우 건설과정에서 연약지반으로 인한 공기지연으로 처분장의 안전성 논란이 제기되어 논란을 빚고 있으며 정부차원의 진상조사까지 마친 상태이지만 암반의 파쇄대를 따라 발달 된 다량의 지하수와 해안가에 위치한 방폐장의 특성상 바다로부터 지하 처분고로 해수가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 철제로 된 드럼이 부식하여 내부에 있는 방사능 핵종이 누출될 수 있다는 주장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즉, 외부의 어떠한 영향에 의하여 지하 처분고의 1차 방벽 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수 유입 방어능력이 상실하게 될 경우 방수 기능이 전혀 없는 현재의 처분용기 내부로 해수가 곧바로 유입되어 폐기물 드럼 부식과 방사능 핵종누출을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가 지하 처분고(Silo)에 정치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는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지며 직사각형의 모양으로 행과 열을 맞추어 드럼를 적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고, 원형의 처분고 내부에 정사각형의 적재용기를 정치하게 됨에 따라 발생되는 불용면적으로 인해 공간활용도가 현저히 떨어지며 이러한 불용의 공간이 약 100년 이상 관리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면에서 운영상의 효율성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대부분의 국가에서 방사성폐기물 저장방법의 채택 및 매장시설의 선정과 건설은 아직까지 미해결문제로 남아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사성폐기물의 안전한 처리 및 보관은 아직까지 모든 국가들이 풀어야할 숙제로 자리 잡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를 육각기둥의 적재용기에 수납하여 원형의 처분고(Silo)에 정치함으로써, 기존의 정사각의 육각면체의 적재용기에 비해 처분고의 불용면적을 획기적으로 낮춤으로 인해 공간활용도를 높여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이 저장된 더욱 많은 양의 드럼를 보관할 수 있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수적인 과제는, 적재용기의 폭열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특수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강도를 현저히 증대시켰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는 방수탄성체를 표면코팅처리함으로써 액체의 유입 및 유출을 전면적으로 차단하고, 폐기물 부식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내부 가스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이 저장된 복수의 드럼이 수용되는 소정의 수용부가 마련된 다각형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안착 되어 상기 개방된 본체의 상면을 덮는 다각형의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내측면 중앙부위에는 상기 본체의 내측 중심부를 향해 돌출된 형태의 인양(Salvage)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인양부의 상면에는 소정의 인양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본체가 인양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면에는 상기 덮개의 하면 에지(Edge)가 접촉하여 상기 덮개가 안착 되는 안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의 높이는 상기 본체의 높이 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육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안착면은 폴리 우레아라이닝 공법으로 상기 본체의 내면에 표면코팅처리된 탄성의 방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의 하면에는 폴리 우레아라이닝 공법으로 탄성의 방수재가 더 도포 되어 표면코팅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덮개에는 소수성 실린지 필터(Hydrophobic Syringe Filter)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 및 상기 덮개는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의 하면과 상기 안착면의 하면에는 상기 드럼 간의 비접촉을 위한 복수의 고정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돌기는 탄성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본체의 내측 중심방향을 향해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 인양부의 하면에는 연결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인양부의 상면에는 상기 연결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돌기가 더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연결홈에 타 본체 인양부의 연결돌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을 육각기둥의 적재용기에 수납하여 원형의 처분고(Silo)에 정치함으로써, 기존의 정사각의 육각면체의 적재용기에 비해 처분고의 불용면적을 획기적으로 낮춤으로 인해 공간활용도를 높여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이 저장된 더욱 많은 양의 드럼이 보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재용기의 폭열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특수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강도를 현저히 증대시켰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는 방수탄성체를 표면코팅처리함으로써 액체의 유입 및 유출을 전면적으로 차단하고, 폐기물 부식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내부 가스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상기 도 1의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가 지하 처분고(Silo)에 정치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가 지하 처분고(Silo)에 정치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가 지하 처분고(Silo)에 정치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는 본체(100) 및 덮개(20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체(100)는 내부 수용공간이 구비된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바닥면과 바닥면의 외곽을 따라 수직으로 세워진 복수의 벽면으로 이루어지는데,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이 저장된 복수의 드럼이 수용되는 수용부(11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드럼(D)은 일반적으로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이 내부에 저장되어 밀봉된 금속재질의 원통의 드럼을 지칭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육각기둥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닥면이 육각형의 면으로 된 벌집형태인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내측면의 중앙부위에 본체(100)의 중심부를 향해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인양부(120)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양부(120)의 상면에는 체결홈(121)이 형성되는데, 체결홈(121)은 상기 본체(100)를 들어올려 인양하기 위한 크레인과 같은 소정의 인양수단(미도시)에 체결된다.
상기 본체(100)의 내면에는 폴리 우레아라이닝 공법으로 표면코팅처리된 탄성의 방수재로 이루어진 안착면(130)이 형성된다.
즉, 본체(100)의 내측 바닥면과 내측면에 소정의 두께로 방수재가 에폭시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습기나 미생물 침투에 따른 드럼(D)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이 우수하여 도막의 균열이나 박리가 되지 않는 폴리 우레아라이닝 공법으로 코팅처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착면(130)의 높이는 상기 본체(100)의 높이 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안착면(130)이란 본체(100)의 내측 바닥면과 내측면에 소정의 두께로 표면코팅처리된 탄성의 방수재를 의미하는데, 내측면에 표면코팅처리될 경우에는 본체(100)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덮개(200)가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면을 덮을 때, 상기 덮개(200)의 하면 에지(Edge)가 안착면(130)의 상단 에지와 접촉하면서 안착함으로 덮개(200)가 닫힌 상태로 상면이 평평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덮개(200)는 다각형으로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안착 되어 상기 개방된 본체(100)의 상면을 덮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덮개(200)의 하면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면에 형성된 안착면(130)과 같이 폴리 우레아라이닝 공법으로 탄성의 방수재가 도포 되어 표면코팅처리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내면과 상기 덮개(200)의 하면에 형성된 탄성의 방수재는 본체(100)의 수용부(110)에 수용된 드럼의 취약점인 습기에 의한 부식을 전면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방사능 차폐효과가 높고 방탄 및 방폭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100)와 상기 덮개(200)는 그 재질이 콘크리트이며, 바람직하게는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이다. 여기서,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는 방사능의 차폐 성능이 우수하고, 외부충격에 의한 내부 드럼(D)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특수 혼합제가 혼합되어 폭열방지 및 내충격성이 극대화된 재질이다.
이는 기존의 고강도 콘크리트의 취약점을 개선하여 본 발명에서의 고강도 특수 콘크리트는 일반적인 기존의 고강도 콘크리트에 보강섬유와 특수 혼합제를 첨가하였기 때문에 외부 충격 및 하중에 대한 저항성이 강화되었고, 약 400℃ 이상의 고온환경에서도 폭발하여 부서지는 폭열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본체(100) 또는 상기 덮개(200)에는 약 1 내지 3mm의 직경을 가진 소정의 통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에는 소수성 실린지 필터(Hydrophobic Syringe Filter)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수성 실린지 필터(Hydrophobic Syringe Filter)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수분 또는 습기를 차단하고,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외부로 용이하게 유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본체(100) 내부에서 발생 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가스 배출구가 필요한데, 미세한 직경으로 이루어진 통공을 형성하고, 그 통공에 소수성 실린지 필터(Hydrophobic Syringe Filter)를 장착함으로써 외부 습기의 유입을 차단함과 통시에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드릴링을 통한 통공의 형성은 선택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데, 이는 본체(100)와 덮개(200)를 이루는 콘크리트가 자체적으로 미세한 통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방수 탄성체의 표면코팅처리를 미세 두께로 시공하거나, 일부면만 시공함으로써 추가적인 통공의 시공없이도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덮개(200)의 하면과 상기 안착면(130)의 하면에는 상기 드럼(D) 간의 비접촉을 위한 복수의 고정돌기(30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300)는 고무와 같은 탄성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300)는 상기 본체(100)의 내측 중심방향을 향해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돌기(30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00)는 상하면이 정육각면으로 된 육각기둥 형태로 소위 벌집형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를 크레인과 같은 소정의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인양하기 위해 본체(100)의 내측 중심부를 향해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형태의 인양부(120)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인양부(120)로 인해 본체(100)의 내부 수용부(110)에는 내측면을 따라 음각형태의 복수의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렇게 인양부(120)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수용공간에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D)이 수납되게 되는데, 방사성폐기물 용기를 다루어야 하는 현장상황상 인력이 아닌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드럼(D)을 본체(100)의 수용부(110)에 수납해야 하는데, 드럼(D)의 수납시 원뿔형 고정돌기(300)의 외경면에 드럼(D)이 접촉하며 본체(100)에 수납되기 때문에 드럼의 위치선정이 용이하고 고정돌기(300)로 인해 드럼(D)들 간에 서로 비접촉하여 본체(100)의 외부충격시 드럼(D)들 간에 서로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0) 인양부(120)의 하면에는 연결홈(미도시)이 더 형성되고, 상기 인양부(120)의 상면에는 상기 연결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돌기(122)가 더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연결홈에 타 본체 인양부의 연결돌기가 삽입된다.
이는 본체(100)의 상면에 덮개(2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를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수직으로 적재할 때, 본체(100) 인양부(120)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된 연결홈과 연결돌기(122)로 인해 본체(100)를 수직방향으로 견고히 적재할 수 있고, 연결홈과 연결돌기(122)가 서로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여 인양장치로 적재시 인양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수용부
120: 인양부 121: 체결홈
122: 연결돌기 130: 안착면
200: 덮개 300: 고정돌기
D: 드럼

Claims (10)

  1.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이 저장된 복수의 드럼이 수용되는 소정의 수용부가 마련된 다각형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개방된 본체의 상면을 덮는 다각형의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내측면 중앙부위에는 상기 본체의 내측 중심부를 향해 돌출된 형태의 인양(Salvage)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인양부의 상면에는 소정의 인양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본체가 인양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면에는 상기 덮개의 하면 에지(Edge)가 접촉하여 상기 덮개가 안착 되는 안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의 높이는 상기 본체의 높이 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상기 덮개는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는 정육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의 안착면은 폴리 우레아라이닝 공법으로 상기 본체의 내면에 표면코팅처리된 탄성의 방수재이고, 상기 덮개의 하면에는 폴리 우레아라이닝 공법으로 탄성의 방수재가 더 도포 되어 표면코팅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덮개에는 소수성 실린지 필터(Hydrophobic Syringe Filter)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하면과 상기 안착면의 하면에는 상기 드럼 간의 비접촉을 위한 복수의 고정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탄성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본체의 내측 중심방향을 향해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인양부의 하면에는 연결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인양부의 상면에는 상기 연결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돌기가 더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연결홈에 타 본체 인양부의 연결돌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
KR1020110026327A 2011-03-24 2011-03-24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 KR101069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327A KR101069729B1 (ko) 2011-03-24 2011-03-24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327A KR101069729B1 (ko) 2011-03-24 2011-03-24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9729B1 true KR101069729B1 (ko) 2011-10-04

Family

ID=45032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327A KR101069729B1 (ko) 2011-03-24 2011-03-24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7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342B1 (ko) * 2015-12-30 2017-03-31 부국금속(주) 방사성 폐기물 저장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659055A (zh) * 2018-11-04 2019-04-19 青岛东卡环保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170l中低水平放射性废物压缩钢桶
WO2022050894A1 (en) * 2020-09-03 2022-03-10 Gashubunited Utility Pte Ltd A caisson box stru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1491A (ja) * 1998-10-23 2000-05-12 Trans Nuclear Kk 輸送用容器
JP2011043381A (ja) * 2009-08-20 2011-03-03 Mitsubishi Heavy Ind Ltd 放射性物質収納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1491A (ja) * 1998-10-23 2000-05-12 Trans Nuclear Kk 輸送用容器
JP2011043381A (ja) * 2009-08-20 2011-03-03 Mitsubishi Heavy Ind Ltd 放射性物質収納容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342B1 (ko) * 2015-12-30 2017-03-31 부국금속(주) 방사성 폐기물 저장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659055A (zh) * 2018-11-04 2019-04-19 青岛东卡环保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170l中低水平放射性废物压缩钢桶
WO2022050894A1 (en) * 2020-09-03 2022-03-10 Gashubunited Utility Pte Ltd A caisson box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0963B2 (en) Nuclear fuel storage facility
EP1883933B1 (en) System and method of storing high level waste
US117280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spent nuclear fuel from wet storage to dry storage
KR100783583B1 (ko) 원전수거물 처리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설치방법
WO2016007200A1 (en) Shielded packaging system for radioactive waste
KR102593423B1 (ko) 방사성 유해 폐기물을 수용하는 드럼을 위한 격납 캐스크
US11676736B2 (en) Ventilated metal storage overpack (VMSO)
JP7458492B2 (ja) 核廃棄物貯蔵用無換気キャスク
KR101069729B1 (ko)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
WO2018162767A1 (es) Contenedor para almacenamiento y transporte de combustible nuclear gastado.
EP3716288A1 (en) Waste packing system and waste drum carrier for said system
KR101046515B1 (ko) 고준위폐기물 포장용기-완충재 일체화 모듈형 처분용기 및 그것을 이용한 고준위폐기물의 처분 시스템
KR20150007631A (ko) 핵 폐기물 저장 장치
KR200397828Y1 (ko) 핵폐기물 수중매립 처리장치
KR101434458B1 (ko) 방사성 폐기물 포장 용기
RU2656249C1 (ru) Способ размещения отработавшего ядерного топлива
RU2189648C1 (ru) Металлобетонн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или хранения отработавших сборок твэл ядерных реакторов
KR100562480B1 (ko) 폐기물 저장용 용기
RU2427939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хранения высокоактивных отходов
KR200383773Y1 (ko) 원전수거물 처리장치
RU2532088C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просыпей таблеток отработавшего ядерного топлива
RU21111U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отходов
Dreesen et al. Transport and storage casks for irradiated fuel assemblies from research reactors
Dyer et al. Completion of the First Integrated Spent Nuclear Fuel Transshipment/Interim Storage Facility in NW Russia
Simmons Storage and disposal of irradiated CANDU fu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