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480B1 - 폐기물 저장용 용기 - Google Patents

폐기물 저장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480B1
KR100562480B1 KR1020050006317A KR20050006317A KR100562480B1 KR 100562480 B1 KR100562480 B1 KR 100562480B1 KR 1020050006317 A KR1020050006317 A KR 1020050006317A KR 20050006317 A KR20050006317 A KR 20050006317A KR 100562480 B1 KR100562480 B1 KR 100562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lid
inclined surface
surface portion
wast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화
Original Assignee
한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화 filed Critical 한상화
Priority to KR1020050006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rrosive chemical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6Details of, or accessories to, the containers
    • G21F5/12Closures for containers; Sealing arrang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G21F9/20Disposal of liquid waste
    • G21F9/22Disposal of liquid waste by storage in a tank or other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저장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에 상측이 개방되어 있으면서 폐기물을 저장해두는 폐기물저장용 공간부(1b)가 형성된 몸체(1)와; 저면의 내측부에 환형상을 이루고 있는 환형경사면부(2ba)와, 상기 환형경사면부(2ba)의 하단부로부터 내측 수평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원형수평면부(2bb)로 형성되면서 하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삽입돌기부(2b)와; 상기 삽입돌기부(2b)의 소정의 부위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면서 레진과 미세분말의 혼합물이 내부에 충전되어 있고, 외면에 경화제가 도포된 환형관(2a)과; 상기 삽입돌기부(2b)의 상단으로부터 외측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환형수평면부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폐기물저장용 용기(a)(b)(c)(d)(e)(f)(g)(h)의 내부로부터 방사선이 방출될 우려가 전혀 없게 되고, 기체나 물이 상기 폐기물저장용 용기(a)(b)(c)(d)(e)(f)(g)(h)의 내부로 침투해서 들어갈 우려가 없게 되어 인체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주거나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핵폐기물, 화학폐기물, 폐기물저장용 용기, 접착제, 환형관

Description

폐기물 저장용 용기{A vessel for treating waste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폐기물 저장용 용기의 몸체에 뚜껑이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폐기물 저장용 용기의 뚜껑이 열려진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1의 폐기물 저장용 용기의 몸체에 씌워지기 전 상태의 뚜껑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폐기물 저장용 용기의 뚜껑이 열려진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몸체에 뚜껑이 닫혀진 상태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5의 폐기물 저장용 용기의 몸체에 씌워지기 전 상태의 뚜껑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의 폐기물 저장용 용기의 몸체에 뚜껑이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종단면도,
도 10은 도 8의 폐기물 저장용 용기의 몸체에 씌워지기 전 상태의 뚜껑의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의 폐기물 저장용 용기의 몸체에 뚜껑이 닫혀진 상태의 종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폐기물 저장용 용기의 몸체에 씌워지기 전 상태의 뚜껑의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의 폐기물 저장용 용기의 몸체에 뚜껑이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폐기물 저장용 용기의 뚜껑이 열려진 상태의 사시도,
도 15는 도 13의 종단면도,
도 16은 도 13의 폐기물 저장용 용기의 몸체에 씌워지기 전 상태의 뚜껑의 종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의 폐기물 저장용 용기의 뚜껑이 열려진 상태의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뚜껑이 몸체에 닫혀진 상태의 종단면도,
도 19는 도 17의 폐기물 저장용 용기의 몸체에 씌워지기 전 상태의 뚜껑의 종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의 폐기물 저장용 용기의 몸체에 뚜껑이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종단면도,
도 22는 도 20의 폐기물 저장용 용기의 몸체에 씌워지기 전 상태의 뚜껑의 종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의 폐기물 저장용 용기의 뚜껑이 열려진 상태의 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몸체에 뚜껑이 닫혀진 상태의 종단면도,
도 25는 도 24의 폐기물 저장용 용기의 몸체에 씌워지기 전 상태의 뚜껑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 : 몸체 1a : 환형 경사면부
1b : 폐기물저장용 공간부 2, 4 : 뚜껑
2a, 4a : 환형관 2b, 4b : 삽입돌기부
2ba', 4ca : 환형접착제충전용 요부 2c : 환형수평면부
2d : 손잡이 2e : 손잡이설치용 요부
3a, 4c : 제1 환형경사면부 3b, 4ba : 제2 환형경사면부
3c : 폐기물저장용 공간부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핵폐기물 또는 화학공장 등에서 발생되는 화학폐기물을 저장해 두는 폐기물 저장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뚜껑의 소정의 부위에 접착제가 충전된 환형관을 고정 설치하여 뚜껑을 몸체에 닫을 때 뚜껑의 자중 또는 뚜껑을 가압함에 의해서 상기 환형관이 파손되면서 흘러나온 접착 제에 의하여 몸체와 뚜껑이 견고하게 접착되어서 밀봉되도록 구성된 폐기물 저장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핵연료는 원자로 안에 장입하여 핵분열을 연쇄적으로 일으켜서 이용이 가능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물질로서, 원자연료라고도 하며, 우라늄(U235)·우라늄(U233)·플로토늄(Pu239) 등이 대표적인 물질이다.
원자력발전 후 사용된 연료는 그 속에 포함된 핵분열 생성물 때문에 원자로에서 꺼낸 이후에도 오랜기간 방사선과 열이 발생한다.
따라서, 핵발전소에서 근무하는 작업자를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하고 열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된 핵연료는 핵연료 건물안에 설치된 수조인 사용된 연료저장조 또는 콘크리트 또는 납 차폐제 등으로 방사선을 막고 자연순환 공냉시키는 설비에 저장함은 물론, 별도로 상기 핵발전소에서 근무하고 있는 작업자가 착용하였던 장갑, 옷, 신발, 필터 등의 폐기물들을 용기에 담아서 일정기간동안 저장시키고 있다.
상기 작업자가 착용했던 장갑, 옷, 신발, 필터등의 폐기물에서 방출되는 방사선은 300년 정도가 지나야 완전히 없어지게 되므로 그 이후에 폐기물을 저장해 두었던 용기를 개방해도 인체에 대한 위험성이 완전히 없어지게 되고 환경오염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종래에 이용되었던 상기 핵발전소에서 근무하고 있는 작업자가 착용하였던 장갑, 옷, 신발, 필터 등의 폐기물(이하, 핵폐기물이라고 한다.)저장용 용기는 원 통형상의 몸체의 상단부의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고 뚜껑의 하단부의 내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되어서 몸체에 뚜껑이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임시폐기물저장용 용기로서, 상기 용기의 몸체와 뚜껑이 단순히 나사결합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에 들어있는 상기 핵폐기물에서 방출되는 방사선이 상기 나사결합된 부분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재질이 플라스틱이므로 열에 약하고, 장구히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핵폐기물이 아닌 화학공장등에서 발생되는 화학폐기물 즉, 중금속인 납(Pb), 카드늄(Cd), 수은(Ag) 등의 화학물질들을 상기 폐기물 저장용 용기에 저장시키는 경우에도 유독가스가 외부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폐기물 저장용 용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뚜껑을 몸체에 닫는 동작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접착제에 의해서 뚜껑과 몸체가 견고하게 접착되면서 내부가 밀폐되어서 내부에 들어있는 폐기물로부터 발생되는 방사선 또는 유독가스등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외부로부터 기체나 물 등이 내부로 침투되지 않으면서 영구적으로 처분하는 폐기물저장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실시예에 있어서, 편의상 서로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폐기물저장용 용기는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측에 상측이 개방되어 있으면서 폐기물을 저장해두는 폐기물 저장용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측에 씌워지면서 자동적으로 접착되도록 소정의 부위에 자중이나 가압에 의해서 깨져서 파손될 수 있는 재질이면서 내부에 중탄산칼슘이나 규사분말 중 어느 하나의 분말 40∼60 중량%와 올소타입 레진이나 이소타입 레진 중 어느 하나의 레진 59∼39 중량%가 배합된 액상의 혼합물이 충전되어 있으면서 외면에 상기 레진중량의 1 중량% 내외의 경화제가 도포된 환형관이 설치되어 있는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을 좀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각 실시예 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폐기물저장용 용기(a)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측부의 상측에 측면이 상광하협형상으로 형성된 환형상을 이루고 있는 경사면부{1a, 이하, 환형경사면부라고 함}와, 상기 환형경사면부(1a)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원기둥형상의 요부인 폐기물 저장용 공간부(1b)와, 상기 환형경사면부(1a)로부터 그 외측에 연장되어서 형성된 수평의 환형면부{1c, 이하, 환형수평면부라고 함}를 형성하면서 상측이 개방되어 있는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상측에 씌워지면서 소정의 부위에 레진과 미세분말의 혼합물 이 내부에 충전되어 있고 외면에 경화제가 도포된 환형관(2a)이 설치되어 있는 뚜껑(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2)은 상기 몸체(1)의 폐기물저장용 공간부(1b)를 덮어서 밀봉시키도록 저면의 내측부에 상기 몸체(1)의 내측부의 상부에 환형상을 이루고 있는 환형경사면부(1a)에 접하여 삽입되면서 대응하는 환형상의 경사면부{2ba, 이하, 환형경사면부라고 함}와, 상기 환형경사면부(2ba)의 하단부로부터 내측 수평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원형수평면부(2bb)로 형성되면서 하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삽입돌기부(2b)와;
상기 삽입돌기부(2b)의 소정의 부위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면서 레진과 미세분말의 혼합물이 내부에 충전되어 있고 외면에 경화제가 도포된 환형관(2a)과;
상기 삽입돌기부(2b)의 상단으로부터 외측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환형상의 수평면부{2c, 이하, 환형수평면부라고 함}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2)의 삽입돌기부(2b)의 환형경사면부(2ba)의 하측 소정의 부위로부터 상단부까지의 부위에는 이에 대응하는 상기 몸체(1)의 환형경사면부(1a)와의 사이에 간극부가 형성되도록 소정 규모로 형성된 환형접착제충전용 요부(2b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환형접착제충전용 요부(2ba')의 하측부에 상기 환형관(2a)이 삽입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상기 환형관(2a)은 로봇에 의하여 상기 뚜껑(2)을 상기 몸체(1)의 상부에 씌울 때 뚜껑(2)의 자중 또는 로봇에 의해서 뚜껑(2)을 가압함에 의하여 상기 환형관(2a)이 파손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2)의 삽입돌기부(2b)의 환형접착제 충전용 요부(2ba')의 하단부에 삽입된 후, 접착제에 의해서 상기 환형접착제충전용요부(2ba')에 접착되어 있고, 상기 환형관(2a)의 내부에는 레진 59∼39중량%와 분말 40∼60중량%가 배합된 액상의 혼합물이 충전되어 있으면서 상기 환형관(2a)의 외면에 상기 레진 중량의 1중량 %정도의 경화제가 도포되어 있다.
따라서, 로봇에 의하여 상기 뚜껑(2)을 상기 몸체(1)의 상부에 씌울 때 뚜껑(2)의 자중 또는 로봇에 의하여 뚜껑(2)을 가압함에 의해서 상기 환형관(2a)이 파손되면서 흘러나온 상기 환형관(2a)내의 상기 레진과 분말의 혼합물과 환형관(2a)의 외면에 도포되어 있던 경화제{M. E. K. P. O(Methyl Eethyl Ketone Peroide)}가 서로 혼합되면서 강력한 접착제의 기능을 갖게 되고, 환형접착제충전용 요부(2ba') 내에 상기 혼합된 접착제가 충전되어 메워지면서 상기 몸체(1)와 뚜껑(2)이 서로 견고하게 접착이 되어 밀봉되어진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폐기물저장용 용기(b)로서, 상기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환형관(2a)을 상기 환형접착제충전용 요부(2ba')의 하단부에 삽입시킨 후, 접착제로 접착시켜서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환형관(2a)을 환형접착제충전용 요부(2ba')의 하단부에 삽입시킨 후, 가는 끈 또는 가는 철사{2g, 이하, 철사라고 함}로 상기 환형관(2a)을 묶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뚜껑(2)을 뚜껑성형용 형틀에 의해서 성형시킬 때 미리 상기 철사(2g)를 해당부위에 매립되도록 위치시켜서 고정시킨 상태에서 고강도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성형시킨 구조이다.
상기 뚜껑(2)의 삽입돌기부(2b)의 하부에 매립 설치되는 한 조씩의 상, 하측의 철사(2g)의 매립 설치위치는 상기 환형관(2a)이 묶여질 수 있도록 환형접착제 충전용 요부(2ba')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환형관(2a)을 기준으로 하여 그 상, 하측의 소정의 부위에 상기 각 조의 상, 하측 철사(2g)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매립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 하측에 설치되는 각조의 철사(2g)의 설치위치의 개소는 환형관(2a)의 전, 후, 좌, 우측의 네 군데 또는 전, 후의 두 군데 또는 세 군데에 매립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그 이유는 그 이상 매립 설치할 필요성이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서는 뚜껑(2)에 손잡이가 형성되지 않은 구조이지만,
본 발명의 뚜껑의 다른 실시예인 제 3실시예 및 제 4실시예는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의 뚜껑(2)의 구조에 각각 손잡이(2d)가 설치된 구조로서,
제 3실시예의 폐기물저장용 용기(c)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실시예의 뚜껑(2)의 상면의 내측의 중간부에 손잡이(2d)가 설치된 구조이며, 상기 뚜껑(2)의 상면의 내측 중간부에 손잡이 설치용 요부(2e)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 설치용 요부(2e)를 형성하고 있는 측벽부중 양 측벽부에 축(2f)의 일단부가 각각 매립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양측의 축(2f)의 타단부가 상기 손잡이(2d)의 양측 하단부에 형성된 축삽입용 요부(2da)에 손잡이(2d)가 회전될 수 있도록 각각 삽입 설치되어서 손잡이(2d)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폐기물저장용 용기 (c)들을 보관할 때에는 상기 손잡이(2d)를 상기 축(2f)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손잡이 설치용 요부(2e)내에 눕혀놓음으로써, 손잡이(2d)가 상기 뚜껑(2)의 상면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각 폐기물저장용 용기(c)들을 상측 방향으로 적층시켜서 쌓아 놓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4실시예의 폐기물저장용 용기(d)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실시예의 뚜껑(2)의 상면의 내측의 중간부에 손잡이(2d)가 설치된 구조이며, 상기 뚜껑(2)의 상면의 내측 중간부에 손잡이 설치용 요부(2e)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 설치용 요부(2e)를 형성하고 있는 측벽부중 양 측벽부에 축(2f)의 일단부가 각각 매립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양측의 축(2f)의 타단부가 상기 손잡이(2d)의 양측 하단부에 형성된 축삽입용 요부(2da)에 손잡이(2d)가 회전될 수 있도록 각각 삽입 설치되어서 손잡이(2d)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폐기물저장용 용기(d)들을 보관할 때에는 상기 손잡이(2d)를 상기 축(2f)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손잡이 설치용 요부(2e) 내에 눕혀놓음으로써, 손잡이(2d)가 상기 뚜껑(2)의 상면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각 폐기물저장용 용기(d)들을 상측방향으로 적층시켜서 쌓아 놓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5실시예 내지 제 8실시예인 도 13 내지 도 25의 폐기물저장용 용기는 상면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각각 소정의 각도로 형성된 제 1환형경사면부 및 제 2환형경사면부와, 상측이 개방되어 있으면서 폐기물을 저장해두는 폐기물저장용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측에 씌워지면서 자동적으로 접착되도록 소정의 부위에 자중 이나 가압에 의해서 깨져서 파손될 수 있는 재질이면서 내부에 중탄산칼슘이나 규사분말 중 어느 하나의 분말 40∼60 중량%와 올소타입 레진이나 이소타입 레진 중 어느 하나의 레진 59∼39 중량%가 배합된 액상의 혼합물(2aa')이 충전되어 있으면서 외면에 상기 레진 중량의 1중량% 내외의 경화제가 도포된 환형관이 설치되어 있는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상기 제 5실시예의 폐기물저장용 용기(e)는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면의 외측부에 하측방향의 소정의 각도로 약간 경사가 형성되어 있는 상광하협형상의 제 1환형경사면부(3a)와, 상기 제 1환형경사면부(3a)로부터 그 하측으로 연장되어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후술하는 뚜껑(4)의 삽입돌기부(4b)의 제 2환형경사면부(4ba)가 삽입되도록 상광하협 형상의 제 2환형경사면부(3b)와, 상기 제 2환형경사면부(3b)으로부터 그 하측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된 원기둥형상의 요부인 폐기물 저장용 공간부(3c)가 형성되면서 상측이 개방되어 있는 몸체(3)와;
상기 몸체(3)의 상측에 씌워지면서 소정의 부위에 레진과 미세분말의 혼합물이 내부에 충전되어 있고 외면에 경화제가 도포된 환형관(4a)이 설치되어 있는 뚜껑(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4)은 상기 몸체(3)의 제 1환형경사면부(3a)의 경사각도에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제 1환형경사면부(4c)와;
상기 제 1환형경사면부(4c)의 소정부위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면서 레진과 상기 미세분말의 혼합물이 내부에 충전되어 있고 외면에 경화제가 도포된 환형관(4a) 과;
상기 제 1환형경사면부(4c)의 내측 단부로부터 그 하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몸체(3)의 제 2환형경사면부(3b)의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제 2환형경사면부(4ba)와, 상기 제 2환형경사면부(4ba)로부터 내측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수평면부(4bb)로 형성되면서 하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삽입돌기부(4b)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3)의 공간부의 상단부를 덮어서 밀봉시키기 위하여 상기 삽입돌기부(4b)가 상기 몸체(3)의 삽입용 제 2환형경사면부(3b)에 접하면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4)의 제 1환형경사면부(4c)에는 상기 몸체(3)의 제 1환형경사면부(3a)와 마주보면서 상기 삽입 돌기부(4b)의 상단으로부터 그 외측으로 환형상접착제 충전용 요부(4c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형상접착제충전용 요부(4ca)로부터 그 외측부에 상기 몸체(3)의 제 1환형경사면부(3a)의 외측부와 접하도록 상기 제 1환형경사면부(3a)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경사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환형돌기부(4c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환형접착제충전용 요부(4ca)의 외측단부에 환형관(4a)이 삽입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상기 환형관(4a)은 로봇에 의해서 상기 뚜껑(4)을 상기 몸체(3)의 상부에 씌울 때 뚜껑(4)의 자중 또는 로봇에 의하여 뚜껑(4)을 가압함에 의하여 상기 환형관(4a)이 파손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형접착제충전용 요부(4ca)의 외측단부에 상기 환형관(4a)이 삽입된 후,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되어 있고, 상기 환형관(4a)의 내부에는 레진 59∼39중량%와 미세분말인 중탄산칼슘이나 규사분말 중 어느 하나의 미세분말 40∼60중량%가 배합된 액상의 혼합물이 충전되어 있으면서 상기 환형관(2a)의 외주면에 상기 레진 중량의 1중량% 정도의 경화제가 도포되어 있다.
따라서, 로봇에 의하여 상기 뚜껑(4)을 상기 몸체(3)의 상부에 씌울 때 상기 몸체(3)의 제 1환형경사면부(3a)에 접촉되면서 뚜껑(4)의 자중, 또는 로봇에 의하여 뚜껑(4)을 가압함에 의해서 상기 환형관(4a)이 파손되면서 흘러나온 상기 환형관(4a)내의 상기 레진과 상기 미세분말의 혼합물(4aa')과 환형관(4a)의 외면에 도포되어 있던 경화제가 서로 혼합되면서 강력한 접착제의 기능을 갖게 되고, 환형접착제충전용 요부(4ca)내에 상기 혼합된 접착제가 충전되어 메워지면서, 상기 몸체(3)와 뚜껑(4)이 서로 견고하게 접착이 되어 밀봉되어 진다.
도 17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의 폐기물저장용 용기(f)로서, 상기 제 5실시예에서와 같이, 환형관(4a)을 상기 환형접착제충전용 요부(4ca)의 소정의 부위에 삽입시킨 후, 접착제로 접착시켜서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환형관(4a)을 환형접착제충전용 요부(4ca)의 소정의 부위인 외측단부에 삽입시킨 후, 철사(2g)로 상기 환형관(4a)을 묶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뚜껑(4)을 뚜껑성형용형틀에 의해서 성형시킬 때 미리 상기 철사(2g)를 해당부위에 매립되도록 위치시켜서 고정시킨 상태에서 고강도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성형시킨 구조이다.
상기 뚜껑(4)의 환형접착제충전용 요부(4ca)의 외측에 매립 설치되는 각 한조씩의 내, 외측 철사(2g)의 매립 설치위치는 상기 환형관(4a)이 묶여질 수 있도록 환형접착제충전용 요부(4ca)의 외측 단부에 고정되는 환형관(4a)을 기준으로 하여 그 내, 외측의 소정의 부위에 상기 내, 외측의 철사(2g)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매립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 외측에 설치되는 각조의 철사(2g)의 설치위치의 개소는 환형관(4a)의 전, 후, 좌, 우측의 네 군데 또는 전, 후의 두 군데 또는 세 군데에 매립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그 이유는 그 이상 매립 설치할 필요성이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상기 제 5, 제 6 실시예에서는 뚜껑(4)에 손잡이가 형성되지 않은 구조이지만,
본 발명의 뚜껑의 다른 실시예인 제 7실시예 및 제 8실시예는 도 20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5실시예 및 제 6실시예의 뚜껑의 구조에 각각 손잡이(2d)가 설치된 구조로서,
제 7실시예의 폐기물저장용 용기(g)는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상기 제 5실시예의 폐기물저장용 용기(e)의 뚜껑(4)의 상면의 내측의 중간부에 손잡이(2d)가 설치된 구조이며, 상기 뚜껑(4)의 상면의 내측 중간부에 손잡이 설치용 요부(2e)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 설치용 요부(2e)를 형성하고 있는 측벽부 중 양 측벽부에 축(2f)의 일단부가 각각 매립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양측의 축(2f)의 타단부가 상기 손잡이(2d)의 양측 하단부에 손잡이(2d)가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 축 삽입용 요부(2da)에 각각 삽입 설치되어서 손잡이(2d)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폐기물저장용 용기(g)들을 보관할 때에는 상기 손잡이(2d)를 상기 축(2f)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손잡이 설치용 요부(2e) 내에 눕혀놓음으로써, 손잡 이(2d)가 상기 뚜껑(4)의 상면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각 폐기물저장용 용기(g)들을 상측 방향으로 적층시켜서 쌓아 놓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8실시예의 폐기물저장용 용기(h)는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상기 제 6실시예의 폐기물저장용 용기(f)의 뚜껑(4)의 상면의 내측의 중간부에 손잡이(2d)가 설치된 구조이며, 상기 뚜껑(4)의 상면의 내측 중간부에 손잡이설치용 요부(2e)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 설치용 요부(2e)를 형성하고 있는 측벽부중 양 측벽부에 축(2f)의 일단부가 각각 매립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양측의 축(2f)의 타단부가 상기 손잡이(2d)의 양측 하단부에 형성된 축삽입용 요부(2da)에 손잡이(2d)가 회전될 수 있도록 각각 삽입 설치되어서 손잡이(2d)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폐기물저장용 용기(h)들을 보관할 때에는 상기 손잡이(2d)를 상기 축(2f)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손잡이 설치용 요부(2e) 내에 눕혀놓음으로써, 손잡이(2d)가 상기 뚜껑(4)의 상면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각 폐기물저장용 용기(h)들을 상측방향으로 적층시켜서 쌓아 놓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제 2, 제 5, 제 6 실시예와 같은 뚜껑(2)(4)의 구성은 상기 제 3실시예, 제 4실시예, 제 7실시예, 제 8실시예에서와 같이, 손잡이(2d)가 각각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몸체(3)의 상면의 외측부가 제 1환형경사면부(3a)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뚜껑(4)을 닫을 때, 상기 환형관(4a)이 몸체(3)의 제 1환형경사면부(3a)에 닿아 파손되면서 상기 파손된 환형관(4a)으로부터 외부로 흘러나오는 접착제가 상기 몸체(3)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되고, 상기 뚜껑(4)의 환형접착제충전용 요부 (4ca) 내에 접착제가 충전되어 메워져서 상기 몸체(3)와 뚜껑(4)이 서로 견고하게 접착이 되어 밀봉되게 된다.
상기, 뚜껑(2)(4)의 환형접착제충전용 요부(2ba')(4ca)의 깊이는 상기 환형관(2a)(4a)의 직경의 대략 1/3정도가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뚜껑(2)(4)을 몸체(1)(3)의 상측에 올려놓으면서 상기 환형관(2a)(4a)이 용이하게 파손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환형관(2a)(4a)의 재질은 유리 또는 유리 이외에 상기 뚜껑(2)(4)을 상기 몸체(1)(3)의 상부에 씌울 때 뚜껑(2)(4)의 자중 또는 뚜껑(2)(4)을 가압함에 의하여 상기 환형관(2a)(4a)이 파손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환형관(2a)(4a)의 내경과 환형관(2a)(4a) 둘레에 관한 규격은 상기 뚜껑(2)(4)이 몸체(1)(3)의 상측에 씌워지면서 환형관(2a)(4a)이 파손된 후, 상기 환형관(2a)(4a) 내의 상기 혼합물(2aa')(4aa')이 흘러나오면서 환형관(2a)(4a)의 외면에 도포된 경화제와 혼합되어서 이루어진 접착제가 상기 환형접착제충전용 요부(2ba')(4ca)내에 충전되어서 메워질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의 규격이다.
상기 각 폐기물저장용 용기(a)(b)(c)(d)(e)(f)(g)(h)의 크기는 대략 직경이 1m, 높이가 1.5m정도가 바람직하고, 몸체(1)(3)의 측벽부의 두께 및 뚜껑(2)(4)의 중앙부의 두께는 대략 10∼20cm정도가 되지만 상기 수치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접착제(2aa)(4aa)는 분말, 레진 및 경화제로 구성된 것으로서, 레진 59∼39중량%와 분말 40∼60중량%가 배합된 액상의 혼합물(2aa')(4aa')이 환형관 (2a)(4a)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고, 상기 환형관(2a)(4a)의 외주면에 상기 1중량% 정도의 경화제가 도포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분말은 미세분말인 중탄산칼슘(CaCO3)이나 규사분말(SiO2)이 바람직하며, 상기 레진은 올소타입 또는 이소타입레진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실험결과 상기 각 성분 및 상기 각 성분의 비율로 조성된 혼합물이 접착력이 가장 강한 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뚜껑(2)(4)이 상기 몸체(1)(3)에 씌워지면서 상기 환형관(2a)(4a)이 파손되면서 환형관(2a)(4a)내의 상기 레진과 분말의 혼합물과 환형관(2a)(4a)의 외면에 도포되어 있던 경화제{M.E.K.P.O(Methyl Ethyl Ketone Peroide)}가 혼합되면서 강력한 접착제의 기능을 갖게 되면서 상기 몸체(1)(3)와 뚜껑(2)(4)을 일체가 되도록 견고하게 서로 접착시켜주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폐기물저장용 용기의 작용에 관하여 상기 각 실시예 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실시예는 로봇에 의해서 재질이 상기 종래의 플라스틱재질과는 다른 재질이면서 영구저장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고강도 콘크리트로 성형된 폐기물 저장용 용기(a)의 몸체(1)의 양측부를 파지한 상태로 몸체(1)를 정 위치에 이동시킨 후, 상기 몸체(1) 내에 로봇에 의해서 핵폐기물 또는 화학폐기물을 상기 몸체(1)의 수직방향의 폐기물 저장용 공간부(1b)의 상단부까지 채워지도록 투입하고 나서, 압축하고, 다시 계속해서 핵폐기물 또는 화학폐기물을 투입한 후, 압축하는 것을 반 복해서 핵폐기물 또는 화학폐기물을 상기 폐기물저장용공간부(1b)내에 채운 후, 로봇에 의해서 뚜껑(2)의 양측부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뚜껑(2)을 상기 몸체(1)에 삽입 밀폐시킬 수 있도록 몸체(1)의 상측부로 이동시킨 후, 수직으로 하강시켜서 상기 몸체(1)의 내측의 환형경사면부(1a)로 뚜껑(2)의 삽입돌기부(2b)를 삽입시킨다.
상기 뚜껑(2)의 삽입돌기부(2b)의 하측부가 상기 몸체(1)의 환형경사면부(1a)에 접촉되기 바로 전에 상기 환형관(2a)이 상기 몸체(1)의 환형경사면부(1a)에 접촉되면서 뚜껑(2)의 자중 또는 뚜껑(2)에 대한 가압에 의해서 상기 환형관(2a)이 파손되면서 상기 뚜껑(2)의 삽입돌기부(2b)의 하측부와 환형수평면부(2c)가 상기 몸체(1)의 환형경사면부(1a)와 몸체(1)의 상면의 외측부인 환형수평면부(1c)에 접촉하게 되며, 상기 환형관(2a) 속에 들어있던 액상의 혼합물(2aa')이 파손된 환형관(2a)의 외부로 흘러나오면서 환형관(2a)의 외면에 도포되어 있던 경화제와 혼합되어 강력한 접착력을 갖게되면서 상기 환형접착제충전용 요부(2ba')내에 충전되어서 상기 몸체(1)와 뚜껑(2)이 서로 접착 밀봉됨으로써 상기 폐기물저장용 용기(a)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방사선이 방출될 수 없게 됨은 물론, 물이나 기체 등이 상기 폐기물저장용용기(a)의 내부로 침투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는 환형관(2a)을 상기 뚜껑(2)의 환형접착제충전용 요부(2ba')의 소정의 부위에 삽입시킨 후, 접착제로 접착시켜서 고정시킨 구조의 상기 제 1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환형관(2a)을 상기 접착제 충전용 요부(2ba')에 삽입시킨 후, 일단부가 각각 매립 설치되어 있는 두 가닥의 철사(2c)로 상기 환형관(2a)을 붙들어 매어서 상기 뚜껑(2)에 환형관(2a)을 고정시킨 구조의 뚜껑(2a)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실시예의 작용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상기 제 2실시예의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다만, 상기 환형관(2a)을 접착제(2aa)로 고정시킨 뚜껑(2)이나 철사(2c)로 고정시킨 뚜껑(2)이나 그 작용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 및 제 4실시예는 제 1 및 제 2실시예에는 구비되어 있지 않은 손잡이가 상기 뚜껑의 상면의 중간 부위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손잡이(2d)가 뚜껑(2)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로봇이 상기 뚜껑(2)을 이동시킬 때 상기 손잡이(2d)를 잡고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의 작용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상기 제 3실시예 및 상기 제 4실시예의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는 로봇에 의해서 상기 종래의 플라스틱재질과는 다른 재질이면서 영구저장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고강도콘크리트로 성형된 폐기물 저장용 용기(e)의 몸체(3)의 양측부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몸체(3)를 정위치에 이동시킨 후, 상기 몸체(3)내에 로봇에 의해서 핵폐기물 또는 화학폐기물을 상기 몸체(3)의 수직방향의 폐기물 저장용 공간부(3c)의 상단부까지 채워지도록 투입하고나서, 압축하고, 다시 계속해서 핵폐기물 또는 화학폐기물을 투입한 후, 압축하는 것을 반복해서 핵폐기물 또는 화학폐기물을 상기 폐기물 저장용 공간부(3c) 내에 채운후, 로봇에 의해서 상기 뚜껑(4)의 양측부를 파지한 상태로 뚜껑(4)을 상기 몸체(3)에 삽입 밀폐시킬 수 있도록 몸체(3)의 상측부로 이동시킨 후, 수직으로 하강시켜서 상기 몸체(3)의 내측의 제 2환형경사면부(3b)로 뚜껑(4)의 삽입돌기부(4b)를 삽입시킨다.
상기 뚜껑(4)의 삽입돌기부(4b)와 환형돌기부(4cb)가 상기 몸체(3)의 제 2환형경사면부(3b) 및 제 1환형경사면부(3a)에 접촉되기 바로 전에 상기 환형관(4a)이 상기 몸체(3)의 제 1환형경사면(3a)에 접촉되면서 뚜껑(4)의 자중 또는 뚜껑(4)에 대한 가압에 의해서 상기 환형관(4a)이 파손되면서, 상기 뚜껑(4)의 삽입돌기부(4b)와 환형돌기부(4cb)가 상기 몸체(3)의 제 2환형경사면부(3b)와 제 1환형경사면부(3a)에 접촉되며, 상기 환형관(4a)속에 들어있던 액상의 혼합물(4aa')이 파손된 환형관(4a)의 외부로 흘러나오면서 환형관(4a)의 외면에 도포되어 있던 경화제와 혼합되어 강력한 접착력을 가진 접착제(4aa)로 되면서 상기 접착제 충전용요부(4ca)내에 충전되어서 상기 몸체(3)와 뚜껑(4)이 서로 접착 밀봉됨으로써 상기 폐기물 저장용 용기(e)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방사선이 방출될 수 없게 됨은 물론, 물이나 기체등이 상기 폐기물저장용 용기(e)의 내부로 침투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제 6실시예는 환형관(4a)을 상기 뚜껑(4)의 환형접착제충전용 요부(4ca)의 소정의 부위에 삽입시킨 후 , 접착제(4aa)로 접착시켜서 고정시킨 구조의 상기 제 5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환형관(4a)을 상기 접착제 충전용 요부(4ca)에 삽입시킨 후, 일단부가 각각 매립 설치되어 있는 두가닥의 철사(2c)로 상기 환형관(4a)을 붙들어 매어서 상기 뚜껑(4)에 환형관(4a)을 고정시킨 구조의 뚜껑(4)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5실시예의 작용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상기 제 6실시예의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다만, 상기 환형관(4a)을 접착제(4aa)로 고정시킨 뚜껑(4)이나 철사(2c)로 고정시킨 뚜껑(4)이나 그 작용은 동일 하다.
본 발명의 제 7실시예 및 제 8실시예는 제 5 및 제 6실시예에는 구비되어 있지 않은 손잡이가 상기 뚜껑(4)의 상면의 중간부위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와같이, 손잡이(2d)가 뚜껑(4)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로봇이 상기 뚜껑(4)을 이동시킬 때 손잡이(2d)를 잡고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5실시예 및 제 6실시예의 작용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상기 제 7실시예 및 제 8실시예의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각 몸체(1) 또는 몸체(3)를 소정위치에 로봇에 의해서 이동시킨 후, 상기 몸체(1)의 폐기물저장용 공간부(1b) 또는 몸체(3)의 폐기물 저장용 공간부(3c)내에 핵폐기물 또는 화학공장등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을 로봇에 의해서 운반해서 넣은 후, 해당되는 상기 각 뚜껑(2) 또는 뚜껑(4)을 로봇에 의해서 이동시켜서 상기 각 몸체(1) 또는 몸체(3)의 상측에 올려놓아서 닫으면 뚜껑에 설치된 환형관(2a)(4a)이 상기 뚜껑(3) 또는 뚜껑(4) 자체의 하중 또는 뚜껑(3) 또는 뚜껑(4)을 가압함에 의해서 파손되면서 상기 레진과 상기 미세분말의 혼합물(2aa')(4aa')이 환형접착제충전용 요부(2ba') 또는 환형접착제충전용 요부(4ca)내로 흘러나와서 상기 흘러나온 레진과 미세분말의 혼합물(2aa')(4aa')과 환형관(2a)(4a)의 외면에 도포된 경화제가 서로 혼합되면서 강력한 접착력을 가진 접착제(2aa)(4aa)가 되면서 상기 각 뚜껑(2)과 몸체(1) 또는 상기 뚜껑(4)과 몸체(3)을 견고하게 밀봉시킬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전혀 고강도 콘크리트재질로 된 각 폐기물저장용 용기(a)(b)(c)(d)(e)(f)(g)(h)의 내부로부터 방사선이 방출될 우려가 없게 되고, 기체나 물이 상기 폐기물저장용 용기(a)(b)(c)(d)(e)(f)(g)(h)의 내부로 침투해서 들어갈 우려가 없게 되어 인체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주거나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내측에 상측이 개방되어 있으면서 폐기물을 저장해두는 폐기물 저장용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측에 씌워지면서 자동적으로 접착되도록 소정의 부위에 자중이나 가압에 의해서 깨져서 파손될 수 있는 재질이면서 내부에 중탄산칼슘이나 규사분말 중 어느 하나의 미세분말 40∼60중량%와 올소타입 레진이나 이소타입레진 중 어느 하나의 레진 59∼39중량%가 배합된 액상의 혼합물이 충전되어 있으면서 외면에 상기 레진 중량의 1 중량% 내외의 경화제가 도포된 환형관이 설치되어 있는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저장용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씌우는 뚜껑은 상기 몸체의 폐기물저장용 공간부를 덮어서 밀봉시키도록 저면의 내측부에 상기 몸체의 내측부의 상부에 환형상을 이루고 있는 환형경사면부에 접하여 삽입되면서 대응하는 환형경사면부와, 상기 환형경사면부의 하단부로부터 내측 수평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원형수평면부로 형성되면서 하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삽입돌기부와;
    상기 삽입돌기부의 소정의 부위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면서 상기 레진과 미세분말의 혼합물이 내부에 충전되어 있고, 외면에 경화제가 도포된 환형관과;
    상기 삽입돌기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환형수평면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저장용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삽입돌기부의 환형경사면부의 하측 소정의 부위로부터 상단부까지의 부위에는 이에 대응하는 상기 몸체의 환형경사면부와의 사이에 간극부가 형성되도록 소정 규모로 형성된 환형접착제충전용 요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환형접착제충전용 요부의 하측부에 상기 환형관이 삽입된 후, 접착제에 의해서 상기 환형접착제충전용 요부에 접착되어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저장용 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관을 접착제충전용 요부의 하측부에 삽입시키고 철사로 상기 환형관을 묶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두 개씩의 철사가 1조로 되어 상기 각 철사의 일단부가 상기 접착제충전용 요부의 소정부위인 하측부에 매립 설치되어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저장용 용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이 씌워지는 몸체는 내측부의 상측에 측면이 상광하협형상으로 형성된 환형상을 이루고 있는 환형경사면과, 상기 환형경사면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원기둥형상의 요부인 폐기물 저장용 공간부와, 상기 환형경사면으로부터 그 외측에 연장되어서 형성된 환형수평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뚜껑이 씌워지는 상측이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저장용 용기.
  6. 상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형성된 제 1환형경사면부 및 제 2환형경사면부와, 상측이 개방되어 있으면서 폐기물을 저장해두는 폐기물저장용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3)와;
    상기 몸체의 상측에 씌워지면서 자동적으로 접착되도록 소정의 부위에 자중이나 가압에 의해서 깨져서 파손될 수 있는 재질이면서 내부에 중탄산칼슘이나 규사분말 중 어느 하나의 미세분말 40∼60 중량%와 올소타입레진이나 이소타입레진 중 어느 하나의 레진 59∼39 중량%가 배합된 액상의 혼합물이 충전되어 있으면서 외면에 상기 레진중량의 1중량% 내외의 경화제가 도포된 환형관이 설치되어 있는 뚜껑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저장용 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몸체의 제 1환형경사면부의 경사각도에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제 1환형경사면부와; 상기 제 1환형경사면부의 소정부위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면서 상기 레진과 미세분말의 혼합물이 내부에 충전되어 있고 외면에 경화제가 도포된 환형관과;
    상기 제 1환형경사면부의 내측 단부로부터 그 하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몸체의 제 2환형경사면부의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제 2환형경사면부와, 상기 제 2환형경사면부로부터 내측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된 원형수평면부로 형성되면서 하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삽입돌기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공간부의 상단부를 덮어서 밀봉시키기 위하여 상기 삽입돌기부가 상기 몸체의 삽입용 제 2환형경사면부에 접하면서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저장용 용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제 1환형경사면부는 상기 몸체의 제 1환형경사면부와 마주보면서 상기 삽입 돌기부의 상단으로부터 그 외측으로 환형상접착제 충전용 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형접착제충전용 요부로부터 그 외측부에 상기 몸체의 제 1환형경사면부의 외측부와 접하도록 상기 제 1환형경사면부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경사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환형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환형접착제충전용 요부의 외측단부에 환형관이 삽입되어 접착제에 의해서 상기 환형접착제충전용 요부에 접착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저장용 용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관을 상기 접착제충전용 요부의 외측부에 삽입시키고, 철사로 상기 환형관을 묶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두 개씩의 철사가 1조로 되어 각 철사의 일단부가 상기 환형접착제충전용 요부의 외측부에 매립되어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저장용 용기.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면의 외측부에 하측방향의 소정의 각도로 약간 경사가 형성되어 있는 상광하협형상의 제 1환형경사면부와, 상기 제 1환형경 사면부로부터 그 하측으로 연장되어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뚜껑의 삽입돌기부의 제 2환형경사면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상광하협 형상의 제 2환형경사면부와, 상기 제 2환형경사면으로부터 그 하측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된 원기둥형상의 요부인 폐기물 저장용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측이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저장용 용기.
  11. 제 1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관은 상기 뚜껑을 상기 몸체의 상부에 씌울 때 뚜껑의 자중 또는 뚜껑을 가압함에 의해서 상기 환형관이 파손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저장용 용기.
  12. 제 1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관은 유리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저장용 용기.
  13.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면의 내측 중간부에 손잡이 설치용 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 설치용 요부를 형성하고 있는 측벽부중 양 측벽부에 축의 일단부가 각각 매립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의 축의 타단부가 상기 손잡이의 양측 하단부에 형성된 축삽입용 요부에 각각 삽입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저장용 용기.
  14. 제 1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접착제 충전용 요 부의 깊이는 상기 환형관의 직경의 1/3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저장용 용기.
KR1020050006317A 2005-01-24 2005-01-24 폐기물 저장용 용기 KR100562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317A KR100562480B1 (ko) 2005-01-24 2005-01-24 폐기물 저장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317A KR100562480B1 (ko) 2005-01-24 2005-01-24 폐기물 저장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2480B1 true KR100562480B1 (ko) 2006-03-21

Family

ID=37179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317A KR100562480B1 (ko) 2005-01-24 2005-01-24 폐기물 저장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4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0963B2 (en) * 2005-03-25 2022-02-15 Holtec International Nuclear fuel storage facility
RU2777925C1 (ru) * 2022-02-11 2022-08-11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корпорация по атомной энергии "Росатом" (Госкорпорация "Росатом") Контейнер защищающий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8700A (en) * 1977-05-31 1978-12-25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Steel container of radioactive waste
US4366095A (en) 1979-09-14 1982-12-28 Eroterv Eromu Es Halozattervezo Vallalat Process and equipment for the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radioactive and/or other dangerous materials
US4409029A (en) 1980-05-19 1983-10-11 Asea Aktiebolag Container for enclosing radioactive waste and a method for treating waste enclosed in the container
US4437578A (en) 1982-06-22 1984-03-20 Steag Kernenergie Gmbh Container and closure means for storage of radioactive material
US4643311A (en) 1984-07-14 1987-02-17 Kernforschungszentrum Karlsruhe Gmbh Stackable long-term storage container, preferably for radioactive waste
US5082694A (en) 1990-01-31 1992-01-21 Korea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 vessel for storing radioactive waste
KR200218908Y1 (ko) * 2000-11-15 2001-04-02 주식회사새신프라코 경화제와 주제가 일체로 포장이 가능하도록 선반을구비한 용제 용기
KR20040076150A (ko) * 2003-02-24 2004-08-31 대상 주식회사 생분해성 전분을 주원료로 하는 용기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8700A (en) * 1977-05-31 1978-12-25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Steel container of radioactive waste
US4366095A (en) 1979-09-14 1982-12-28 Eroterv Eromu Es Halozattervezo Vallalat Process and equipment for the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radioactive and/or other dangerous materials
US4409029A (en) 1980-05-19 1983-10-11 Asea Aktiebolag Container for enclosing radioactive waste and a method for treating waste enclosed in the container
US4437578A (en) 1982-06-22 1984-03-20 Steag Kernenergie Gmbh Container and closure means for storage of radioactive material
US4643311A (en) 1984-07-14 1987-02-17 Kernforschungszentrum Karlsruhe Gmbh Stackable long-term storage container, preferably for radioactive waste
US5082694A (en) 1990-01-31 1992-01-21 Korea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 vessel for storing radioactive waste
KR200218908Y1 (ko) * 2000-11-15 2001-04-02 주식회사새신프라코 경화제와 주제가 일체로 포장이 가능하도록 선반을구비한 용제 용기
KR20040076150A (ko) * 2003-02-24 2004-08-31 대상 주식회사 생분해성 전분을 주원료로 하는 용기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0963B2 (en) * 2005-03-25 2022-02-15 Holtec International Nuclear fuel storage facility
RU2777925C1 (ru) * 2022-02-11 2022-08-11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корпорация по атомной энергии "Росатом" (Госкорпорация "Росатом") Контейнер защищающи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7556B2 (en) Method for waste burial and container for waste storage
KR100783583B1 (ko) 원전수거물 처리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설치방법
JPS6363880B2 (ko)
JP3173713U (ja) 容器
US5431295A (en) Storage module for nuclear waste with improved liner
US4861194A (en) Waste disposal system
KR100562480B1 (ko) 폐기물 저장용 용기
JPH0149920B2 (ko)
JP5866695B2 (ja) 放射性廃棄物の貯蔵構造物、及び放射性廃棄物の貯蔵方法
KR101069729B1 (ko)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 수납용 적재용기
JP3178715U (ja) 放射性物質を含む廃棄物の保管ボックス
JP2017125828A (ja) ロックウール素材及びその成形体である放射線遮蔽低減体を用いた公衆被爆防護、職業被爆防護、医療被爆防護ならびに放射性廃棄物処理に関する。
JP6933837B2 (ja) 容器のベント構造
JP2017125828A5 (ko)
JP4986092B1 (ja) 高濃度有害物質の処理方法
KR101722342B1 (ko) 방사성 폐기물 저장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RU2212720C1 (ru) Способ длительного хранения оят в скважинах большого диаметра с трехслойной сталебетонной обсадкой
KR200397828Y1 (ko) 핵폐기물 수중매립 처리장치
JPS6337300A (ja) 放射性廃棄物の収容方法
KR200383773Y1 (ko) 원전수거물 처리장치
KR101399295B1 (ko) 방사성 폐기물 저장용 반지하 구조물 시공방법
JP3331364B2 (ja) 産業廃棄物ピット
JP3178714U (ja) 放射性物質を含む廃棄物の保管ボックス及びその分離体
JP5766747B2 (ja) 内部空間にパネルを配したコンクリート製構造物
RU2530538C2 (ru) Способ временного хранения радиоактивных отход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