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8915A - 비접촉식 카드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 발생방법과 신호발생장치,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카드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 발생방법과 신호발생장치,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8915A
KR20060088915A KR1020050009393A KR20050009393A KR20060088915A KR 20060088915 A KR20060088915 A KR 20060088915A KR 1020050009393 A KR1020050009393 A KR 1020050009393A KR 20050009393 A KR20050009393 A KR 20050009393A KR 20060088915 A KR20060088915 A KR 20060088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sponse
detection signal
contactless card
schmitt tri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9180B1 (ko
Inventor
이평한
천성훈
김성완
채석병
기정옥
Original Assignee
쓰리에이로직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에이로직스(주) filed Critical 쓰리에이로직스(주)
Priority to KR1020050009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180B1/ko
Publication of KR20060088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7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eans incorporating sheet piles or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2Steel; Iron in sheet form, i.e. bent or deformed plate-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비접촉식 카드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 발생방법과 신호 발생장치,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 방법과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비접촉식 카드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 발생장치는 소정의 주기를 갖고 활성화된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발생된 감지신호가 소정의 매질로부터 반사된 후 입사되는 입사신호의 레벨에 기초하여 진동하는 검출신호 또는 DC레벨을 갖는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 장치는 DC레벨을 갖는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전송된 상기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판독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신호발생 장치는 비접촉 카드의 존재유무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비접촉식 카드 리더, 비접촉식 카드

Description

비접촉식 카드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 발생방법과 신호 발생장치,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 방법과 장치{SIGNAL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CONTACTLESS TYPE CARD, AND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ATA STORED THE SAM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비접촉식 카드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카드 리더를 구비하는 카드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검출신호 발생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시스템의 동작 타이밍 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카드의 존재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신호 발생방법과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신호발생 방법과 정보 판독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접촉식 카드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 발생방법과 신호 발생장치,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C카드는 카드 리더(card reader)와의 물리적 접촉여부에 따라 접촉식 IC카드와 비접촉식 IC카드로 분류된다.
접촉식 IC카드는 사용자가 대금결제를 하거나 출입인증을 받을 때처럼 카드 리더에 접촉식 IC카드를 삽입하였다가 꺼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반면에 비접촉식 IC카드는 비접촉 IC카드 리더에 삽입하지 않고도 비접촉 IC카드 리더와 무선으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비접촉식 IC카드는 버스와 지하철 등의 교통분야, 직불카드와 신용카드 등의 금융분야, 주차카드, 건물 출입구의 출입통제 등의 보안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접촉 IC카드 리더(IC card reader)는 일정한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를 계속해서 발생시킨다. 비접촉 IC카드가 비접촉 IC카드 리더의 주파수 검출범위에 접근하게 되면, 상기 비접촉 IC카드는 정전결합 또는 유도결합 등의 방법으로 비접촉 IC카드 리더로부터 전원(또는 에너지)을 공급받고 활성화된다. 따라서 비접촉 IC카드 리더는 소정의 명령에 따라 활성화된 비접촉 IC카드와 소정의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그러나, 비접촉 IC카드 리더는 비접촉 IC카드의 존재유무와 무관하게 전자파를 계속하여 또는 주기적으로 발생시키므로, 상기 비접촉 IC카드 리더는 불필요한 전력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비접촉식 카드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 발생방법과 신호 발생장치,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비접촉식 카드의 존재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신호 발생방법은 비접촉식 카드의 존재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발생하고 발생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송신된 감지신호가 소정의 매질로부터 반사되어 입사되는 입사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사신호에 기초하여 DC신호 및 진동하는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를 검출신호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검출신호로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입사신호가 제1진폭을 갖는 경우 진동하는 신호를 상기 검출신호로서 출력하고, 상기 입사신호가 제2진폭을 갖는 경우 상기 DC신호를 상기 검출신호로서 출력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 방법은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비접촉식 카드의 존재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발생하고 발생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송신된 감지신호가 소정의 매질로부터 반사되어 입사되는 입사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사신호에 기초하여 DC레벨을 갖는 신호 및 진동하는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를 검출신호로서 출력하는 단계, 상기 DC레벨을 갖는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비접 촉식 카드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고 판독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비접촉식 카드의 존재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신호 발생장치는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의 매질로부터 반사되어 입사되는 입사신호 및 접지전원의 전압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전송하는 전송회로, 및 상기 전송회로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DC레벨을 갖는 신호와 진동하는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검출신호로서 출력하는 슈미트 트리거를 구비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비접촉식 카드 리더는 상기 비접촉식 카드와 소정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동작을 제어하고, 제어신호 및 소정의 주기로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기;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비접촉식 카드의 존재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발생하고 발생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송신기; 및 상기 제어신호 및 활성화된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감지신호가 소정의 매질로부터 반사되어 입사되는 입사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사신호에 기초하여 DC레벨을 갖는 신호 및 진동하는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를 검출신호로서 상기 제어기로 출력하는 검출신호 발생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비접촉식 카드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카드 리더를 구비하는 카드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카드 시스템(100)은 비접촉식 (IC)카드 리더(200) 및 비접촉식 (IC)카드(300)를 구비한다.
상기 비접촉식 카드(300)는 유도결합에 의해 전류를 얻는 ISO/IEC 14443A에 의해 표준화/표준화가 진행중인 A-타입 또는 B-타입의 신호 접근 방식을 갖는 근접형, 근방형 및 마이크로파형 비접촉 카드 등을 포함한다.
비접촉식 카드 리더(200)는 소정의 주기로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Tx 또는 PW)를 발생하고 발생된 전자파를 외부로 출력한다. 비접촉 카드(300)가 비접촉식 카드 리더(200)의 감지범위로 접근하게 되면, 비접촉 카드(300)는 전자파(PW)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파(PW)에 기초하여 활성화된다. 이때 비접촉 카드(300)가 수신한 전자파(PW)는 비접촉 카드(300)의 전원(에너지)으로 사용된다.
활성화된 비접촉 카드(300)는 비접촉식 카드 리더(200)로부터 출력된 소정의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비접촉식 카드(200)에 저장된 정보(DATA)를 비접촉식 카드 리더(200)로 전송한다. 비접촉식 카드 리더(200)는 수신된 정보(DATA)를 판독한다.
비접촉식 카드 리더(200)는 제어기(110), 송신기(130), 안테나(150), 및 수신기(17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기(110)는 상기 비접촉식 카드(300)와 소정의 정보(DATA)를 주고받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제어신호(CTR<1:0>) 및/또는 소정의 주기마다 활성 화되는 인에이블 신호(DET_EN)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기(100)는 대응되는 검출신호(DOUT)에 응답하여 상기 비접촉식 카드(300)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명령(CMD)을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CTR<1:0>)의 비트 수는 가변 될 수 있다.
상기 송신기(130)는 인에이블 신호(DET_EN)에 응답하여 비접촉식 카드(300)가 비접촉식 카드 리더(200)의 감지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Tx)를 발생하고, 발생된 감지신호(Tx)를 안테나(150)를 통하여 외부로 송신한다. 예컨대, 상기 감지신호(Tx)의 피크-피크 전압(Vp1)은 70V가 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50)는 상기 송신기(130)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Tx)를 수신하고 이를 소정의 전자파로서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 수신기(170)는 검출신호 발생장치(171), 포락선 검출기(173), 필터(175), 가변 이득 증폭기(177), 및 비교기(179)를 구비한다.
상기 검출신호 발생장치(171)는 제어신호(CTR<1:0>) 및/또는 활성화된 인에이블 신호(DET_EN)에 응답하여, 상기 감지신호(Tx)가 소정의 매질로부터 반사되어 입사되는 입사신호(Rx)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사신호(Rx)의 진폭(Vp2 또는 Vp3)에 기초하여 DC레벨을 갖는 신호 및 진동하는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를 검출신호(DOUT)로서 제어기(110)로 출력한다.
예컨대, 수신된 입사신호(Rx)의 피크-피크 전압(Vp2)이 3.3V인 경우 상기 검출신호 발생장치(171)는 진동하는 신호를 검출신호(DOUT)로서 출력한다. 또한, 비접촉식 카드(300)에 의하여 반사된 입사신호(Rx)의 피크-피크 전압(Vp3)이 3.0V인 경우 상기 검출신호 발생장치(171)는 DC신호를 검출신호(DOUT)로서 출력한다. 상기 소정의 매질은 비접촉식 카드(300), 또는 감지신호(Tx)를 반사할 수 있는 매질을 포함한다.
비접촉식 카드 리더(200)로부터 출력된 신호(PW)에 의하여 활성화된 비접촉식 카드(200)로부터 출력된 정보(DATA)는 상기 포락선 검출기(envelope detector; 173), 상기 필터(filter; 175), 상기 가변이득 증폭기(Variable gain amplifier; 177), 및 상기 비교기(comparator; 179)를 통하여 제어기(110)로 전송된다.
상기 포락선 검출기(173)는 믹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입사신호(Rx)의 포락선(envelope)을 검출하고, 그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필터(175)는 하나 또는 직렬로 접속된 저역 통과 필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포락선 검출기(173)의 출력신호에 포함된 고주파 신호를 필터링하고, 그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가변이득 증폭기(177)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필터(175)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이득을 조절한다.
상기 비교기(179)는 상기 가변이득 증폭기(177)의 출력신호와 적어도 하나의 기준신호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COMP)를 출력한다. 상기 기준신호는 3.3V와 3.0V의 중간 전압, 즉 3.15V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10)는 상기 비교기(179)의 출력신호(COMP)에 응답하여 비접촉식 카드(200)에 저장된 정보(DATA)를 판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검출신호 발생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 조하면, 검출신호 발생장치(171)는 전송회로(1710), 슈미트 트리거(1720), 제1전원공급회로(1750), 및 제2전원공급회로(1770)를 구비한다. 상기 검출신호 발생장치(171)는 인버터(17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송회로(1710)는 멀티플렉서(multiplexer)와 같은 선택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송회로(1710)는 인에이블 신호(EN)에 응답하여 소정의 매질로부터 반사되어 입사되는 입사신호(Rx) 및 접지전원(VSS)의 전압 중에서 어느 하나를 출력단(1711)으로 전송한다.
상기 슈미트 트리거(1720)는 상기 전송회로(1710)의 출력단(1711)에 접속되고, 상기 전송회로(1710)의 출력단(1711)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DC레벨을 갖는 신호와 진동하는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인버터(1780)로 출력한다.
상기 슈미트 트리거(1720)는 다수개의 스위치 회로들(1713, 1717, 1721, 1725, 1727, 및 1729)을 구비한다.
제1스위치(1713)는 PMOS트랜지스터로 구현되며, 상기 전송회로(1710)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전원(VDD)과 제1노드(1715)사이를 스위칭한다.
제2스위치(1717)는 PMOS트랜지스터로 구현되며, 상기 전송회로(1710)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제1노드(1715)와 슈미트 트리거(1720)의 출력단(1719) 사이를 스위칭한다.
제3스위치(1721)는 N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며, 상기 전송회로(1710)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슈미트 트리거(1720)의 출력단(1719)과 제2노드(1723)사이를 스위칭한다.
제4스위치(1725)는 N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며, 상기 전송회로(1710)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제2노드(1723)와 접지전원(VSS) 사이를 스위칭한다.
제5스위치(1727)는 PMOS트랜지스터로 구현되며, 상기 슈미트 트리거(1720)의 출력단(1719)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노드(1715)와 상기 접지전원(VSS)사이를 스위칭한다.
제6스위치(1729)는 NMOS트랜지스터로 구현되고, 상기 슈미트 트리거(1720)의 출력단(1719)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노드(1723)와 상기 전원(VDD)사이를 스위칭한다.
제1전원공급회로(1750)는 대응되는 제1스위칭 제어신호(S11)에 응답하여 전원(VDD)의 전압을 상기 슈미트 트리거(1720)의 제1노드(1715)로 공급한다.
상기 제1전원공급 회로(1750)는 제1선택회로(1751) 및 스위치(1753)를 구비한다.
상기 제1선택회로(1751)는 제어신호(CCTR<0> 및/또는 CCTRB<0>)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회로(1710)의 출력단(1711)의 신호와 상기 전원(VDD)의 전압 중에서 어느 하나를 상기 대응되는 제1스위칭 제어신호(S11)로서 스위치(1753)로 출력한다. 상기 CCTR<0>와 CCTRB<0>는 서로 상보적인 신호들이다.
스위치(1753)는 PMOS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선택회로(1751)의 출력신호(S11)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VDD)과 상기 슈미트 트리거(1720)의 제1노드(1715)사이를 스위칭한다. 즉, 스위치(1753)는 게이트로 입력되는 상기 제1선택회로(1751)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VDD)을 상기 슈미트 트리거 (1720)의 제1노드(1715)로 공급한다.
제2전원공급회로(1770)는 대응되는 제2스위칭 제어신호(S21)에 응답하여 상기 접지 전원(VSS)의 전압을 상기 슈미트 트리거(1720)의 제2노드(1723)로 공급한다.
상기 제2전원공급 회로(1770)는 제2선택회로(1771) 및 스위치(1773)를 구비한다.
상기 제2선택회로(1771)는 상기 제어신호(CCTR<0> 및/또는 CCTRB<0>)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회로(1710)의 출력단(1711)의 신호와 상기 접지전원(VSS)의 전압 중에서 어느 하나를 상기 대응되는 제2스위칭 제어신호(S21)로서 스위치(1773)로 출력한다.
스위치(1773)는 NMOS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선택회로(1771)의 출력신호(S21)에 응답하여 상기 접지전원(VSS)과 상기 슈미트 트리거(1720)의 제2노드(1723)사이를 스위칭한다. 즉, 스위치(1773)는 게이트로 입력되는 상기 제2선택회로(1771)의 출력신호(S21)에 응답하여 상기 접지전원(VSS)을 상기 슈미트 트리거(1720)의 제2노드(1723)로 공급한다.
상기 제1전원공급회로(1750)는 대응되는 제1스위칭 제어신호(S12)에 응답하여 전원(VDD)의 전압을 상기 슈미트 트리거(1720)의 제1노드(1715)로 공급하기 위한 제3선택회로(1755) 및 스위치(175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선택회로(1755)는 제어신호(CCTR<1> 및/또는 CCTRB<1>)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회로(1710)의 출력단(1711)의 신호와 상기 전원(VDD)의 전압 중에서 어느 하나를 상기 대응되는 제1스위칭 제어신호(S12)로서 스위치(1757)로 출력한다. 상기 CCTR<1>와 CCTRB<1>는 서로 상보적인 신호들이다.
스위치(1757)는 PMOS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제3선택회로(1755)의 출력신호(S12)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VDD)과 상기 슈미트 트리거(1720)의 제1노드(1715)사이를 스위칭한다.
제2전원공급회로(1770)는 대응되는 제2스위칭 제어신호(S21)에 응답하여 상기 접지 전원(VSS)의 전압을 상기 슈미트 트리거(1720)의 제2노드(1723)로 공급하기 위한 제4선택회로(1775) 및 스위치(177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4선택회로(1775)는 상기 제어신호(CCTR<1> 및/또는 CCTRB<1>)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회로(1710)의 출력단(1711)의 신호와 상기 접지전원(VSS)의 전압 중에서 어느 하나를 상기 대응되는 제2스위칭 제어신호(S22)로서 스위치(1777)로 출력한다.
스위치(1777)는 NMOS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제4선택회로(1775)의 출력신호(S22)에 응답하여 상기 접지전원(VSS)과 상기 슈미트 트리거(1720)의 제2노드(1723)사이를 스위칭한다.
상기 검출신호 발생장치(171)는 상기 슈미트 트리거(1720)의 출력신호를 반전시키기 위한 인버터(17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시스템의 동작 타이밍 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카드의 존재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신호 발생방법과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검출신호 발생방법 및 검출신호 발생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어기(110)는 비접촉 카드 리더(200)가 소비하는 전력을 줄이기 위하여 인에이블 신호(DET_EN)를 소정의 주기로 소정의 기간동안만 활성화시키다. 상기 인에이블 신호(DET_EN)가 활성화되기 전, 송신기(130) 및 수신기(170)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송신기(130)는 상기 제어기(110)로부터 출력된 활성화된 인에이블 신호(DET_EN)에 응답하여 감지신호(Tx)를 안테나(150)를 통하여 출력한다(410단계).
비접촉식 카드(300)가 비접촉식 카드 리더(200)의 감지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안테나(150)를 통하여 출력된 감지신호(Tx)는 소정의 매질에 의하여 반사되고, 반사된 감지신호(Tx)는 입사신호(Rx)로서 검출신호 발생장치(170)로 입력된다. 예컨대, 입사신호(Rx)의 피크-피크 전압은 3.3V가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검출신호 발생장치(170)는 입사신호(Rx)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사신호(Rx)를 처리하고, 그 처리결과에 따라 진동(oscillating)하는 신호 또는 펄스인 검출신호(DOUT)를 제어기(110)로 출력한다(430단계). 따라서 제어기(110)는 상기 검출신호(DOUT)에 응답하여 비접촉식 카드(300)에 저장된 정보(DATA)를 판독하기 위한 명령(CMD)을 발생시키기 않는다.
계속하여, 제어기(110)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인에이블 신호(DET_EN)를 활성화시킨다. 상기 송신기(130)는 상기 제어기(110)로부터 출력된 활성화된 인에이블 신호(DET_EN)에 응답하여 감지신호(Tx)를 안테나(150)를 통하여 출력한다(410 단계).
비접촉식 카드(300)가 비접촉식 카드 리더(200)의 감지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안테나(150)를 통하여 출력된 감지신호(PW)의 일부는 비접촉식 카드(300)의 전원으로 사용되고 나머지 일부는 안테나(150)로 반사되고, 반사된 감지신호(PW)는 입사신호(Rx)로서 검출신호 발생장치(170)로 입력된다. 예컨대, 상기 입사신호(Rx)의 피크-피크 전압은 3.0V가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검출신호 발생장치(170)는 입사신호(Rx)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사신호(Rx)를 처리하고, 그 처리결과에 따라 DC레벨을 갖는 검출신호(DOUT)를 제어기(110)로 출력한다(440단계).
상기 검출신호 발생장치(170)는 입사신호(Rx)의 피크-피크 전압의 레벨이 제1레벨(예컨대, 3.3V)을 갖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420단계),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진동하는 검출신호(DOUT)를 발생하거나(430단계), 또는 DC신호인 검출신호(DOUT)를 발생한다(440단계).
따라서 제어기(110)는 DC레벨을 갖는 검출신호(DOUT)에 응답하여 비접촉식 카드(300)에 저장된 정보(DATA)를 판독하기 위한 명령(CMD)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송신기(130)는 안테나(150)를 통하여 활성화된 비접촉 카드(300)로 비접촉식 카드(300)에 저장된 정보(DATA)를 판독하기 위한 명령(CMD)을 전송한다(450단계).
비접촉식 카드(300)에 저장된 정보(DATA)는 포락선 검출기(173), 필터(175), 자동이득 증폭기(177), 및 비교기(179)를 통하여 제어기(110)로 입력된다. 상기 제어기(110)는 수신기(170)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COMP)에 기초하여 비접촉식 카드 (300)에 저장된 정보(DATA)를 판독한다(460단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해당 프로그램은 디지털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에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씨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카드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 발생방법과 신호 발생장치는 비접촉 카드의 존재여부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 방법과 장치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비접촉식 카드의 존재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신호 발생방법에 있어서,
    비접촉식 카드의 존재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발생하고 발생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송신된 감지신호가 소정의 매질로부터 반사되어 입사되는 입사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사신호에 기초하여 DC신호 및 진동하는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를 검출신호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카드의 존재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신호 발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신호로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입사신호가 제1진폭을 갖는 경우 진동하는 신호를 상기 검출신호로서 출력하고,
    상기 입사신호가 제2진폭을 갖는 경우 상기 DC신호를 상기 검출신호로서 출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카드의 존재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신호 발생방법.
  3.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비접촉식 카드의 존재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발생하고 발생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송신된 감지신호가 소정의 매질로부터 반사되어 입사되는 입사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사신호에 기초하여 DC레벨을 갖는 신호 및 진동하는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를 검출신호로서 출력하는 단계;
    상기 DC레벨을 갖는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비접촉식 카드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고 판독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 방법.
  4. 비접촉식 카드의 존재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신호 발생장치에 있어서,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의 매질로부터 반사되어 입사되는 입사신호 및 접지전원의 전압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전송하는 전송회로; 및
    상기 전송회로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DC레벨을 갖는 신호와 진동하는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검출신호로서 출력하는 슈미트 트리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카드의 존재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신호 발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카드의 존재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신호 발생장치는,
    대응되는 제1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전원의 전압을 상기 슈미트 트리거 의 제1노드로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회로; 및
    대응되는 제2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접지 전원의 전압을 상기 슈미트 트리거의 제2노드로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카드의 존재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신호 발생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슈미트 트리거는,
    상기 전송회로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과 상기 제1노드 사이를 스위칭하는 제1스위치;
    상기 전송회로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노드와 상기 슈미트 트리거의 출력단 사이를 스위칭하는 제2스위치;
    상기 전송회로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슈미트 트리거의 출력단과 상기 제2노드 사이를 스위칭하는 제3스위치;
    상기 전송회로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노드와 상기 접지전원 사이를 스위칭하는 제4스위치;
    상기 슈미트 트리거의 출력단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노드와 상기 접지전원사이를 스위칭하는 제5스위치; 및
    상기 슈미트 트리거의 출력단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노드와 상기 전원사이를 스위칭하는 제6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카드의 존재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신호 발생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공급 회로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회로의 출력단의 신호와 상기 전원의 전압 중에서 어느 하나를 상기 대응되는 제1스위칭 제어신호로서 출력하는 제1선택회로; 및
    상기 제1선택회로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과 상기 슈미트 트리거의 제1노드사이를 스위칭하는 제1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2전원공급 회로는,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회로의 출력단의 신호와 상기 접지전원의 전압 중에서 어느 하나를 상기 대응되는 제2스위칭 제어신호로서 출력하는 제2선택회로; 및
    상기 제2선택회로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접지전원과 상기 슈미트 트리거의 제2노드사이를 스위칭하는 제2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카드의 존재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신호 발생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카드 검출기는 상기 슈미트 트리거의 출력신호를 반전시키기 위한 인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카드의 존재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신호 발생장치.
  9.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비접촉식 카드 리더에 있어 서,
    상기 비접촉식 카드와 소정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동작을 제어하고, 제어신호 및 소정의 주기로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기;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비접촉식 카드의 존재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발생하고 발생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송신기; 및
    상기 제어신호 및 활성화된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감지신호가 소정의 매질로부터 반사되어 입사되는 입사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사신호에 기초하여 DC레벨을 갖는 신호 및 진동하는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를 검출신호로서 상기 제어기로 출력하는 검출신호 발생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비접촉식 카드 리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신호 발생장치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매질로부터 반사되어 입사되는 입사신호 및 접지전원의 전압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전송하는 전송회로;
    상기 전송회로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DC레벨을 갖는 신호와 진동하는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를 상기 검출신호로서 출력하는 슈미트 트리거;
    대응되는 제1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전원의 전압을 상기 슈미트 트리거의 제1노드로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회로; 및
    대응되는 제2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접지 전원의 전압을 상기 슈 미트 트리거의 제2노드로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비접촉식 카드 리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공급 회로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회로의 출력단의 신호와 상기 전원의 전압 중에서 어느 하나를 상기 대응되는 제1스위칭 제어신호로서 출력하는 제1선택회로; 및
    상기 제1선택회로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과 상기 슈미트 트리거의 제1노드사이를 스위칭하는 제1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2전원공급 회로는,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회로의 출력단의 신호와 상기 접지전원의 전압 중에서 어느 하나를 상기 대응되는 제2스위칭 제어신호로서 출력하는 제2선택회로; 및
    상기 제2선택회로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접지전원과 상기 슈미트 트리거의 제2노드사이를 스위칭하는 제2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비접촉식 카드 리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DC레벨을 갖는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비접촉식 카드 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명령을 상기 송신기를 통하여 전송하고, 상기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비접촉식 카드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상기 수신기를 통하여 수신하고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비접촉식 카드 리더.
KR1020050009393A 2005-02-02 2005-02-02 비접촉식 카드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 발생방법과 신호발생장치,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방법과 장치 KR100659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393A KR100659180B1 (ko) 2005-02-02 2005-02-02 비접촉식 카드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 발생방법과 신호발생장치,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방법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393A KR100659180B1 (ko) 2005-02-02 2005-02-02 비접촉식 카드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 발생방법과 신호발생장치,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방법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915A true KR20060088915A (ko) 2006-08-07
KR100659180B1 KR100659180B1 (ko) 2006-12-19

Family

ID=37177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393A KR100659180B1 (ko) 2005-02-02 2005-02-02 비접촉식 카드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 발생방법과 신호발생장치,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1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181B1 (ko) * 2006-06-12 2006-12-20 쓰리에이로직스(주) Ask rf 신호 복조기와 이를 구비하는 리더 시스템
WO2008050951A1 (en) * 2006-10-23 2008-05-02 Lg Innotek Co., Ltd Rf senso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231481B1 (ko) * 2007-01-30 2013-0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Rfid/usn 시스템
US9218518B2 (en) 2013-03-13 2015-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operating contactless IC card reader, detection circuit of contactless IC card reader, contactless IC card reader and card system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243B1 (ko) 2014-09-18 2021-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드 리더기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10212576B2 (en) 2016-09-08 2019-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181B1 (ko) * 2006-06-12 2006-12-20 쓰리에이로직스(주) Ask rf 신호 복조기와 이를 구비하는 리더 시스템
WO2008050951A1 (en) * 2006-10-23 2008-05-02 Lg Innotek Co., Ltd Rf senso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0828872B1 (ko) * 2006-10-23 2008-05-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Rf 센서 시스템
US8103222B2 (en) 2006-10-23 2012-01-24 Lg Innotek Co., Ltd. RF senso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231481B1 (ko) * 2007-01-30 2013-0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Rfid/usn 시스템
US9218518B2 (en) 2013-03-13 2015-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operating contactless IC card reader, detection circuit of contactless IC card reader, contactless IC card reader and card system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9180B1 (ko) 200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180B1 (ko) 비접촉식 카드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 발생방법과 신호발생장치,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방법과 장치
KR100470948B1 (ko) 접촉 그리고 비접촉 동작 모드의 마이크로 회로
CN100394408C (zh) 电压低频干扰检测装置和方法
KR100295473B1 (ko) 비접촉식정보기록매체
KR101147250B1 (ko) 적응적으로 펄스 폭 변조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 및 복조방법
US20090295543A1 (en) Transponder, interrogator, and communication device
JP2008226277A (ja) 無線周波数識別のために使用される選択的クローキング回路及びrfidタグのクローキング方法
EP2266042A1 (en) Memory device, host device, memory system5 memory device control method, host device control method and memory system control method
JP5355092B2 (ja) クロックフリー起動回路
JP2007288718A (ja) 情報処理端末,icカード,携帯型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90005748A (ko) Rfid 태그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09302953A (ja) 非接触データ通信装置
JPWO2005101304A1 (ja) 半導体集積回路、及びこれを搭載した非接触型情報システム
KR20200062860A (ko) Nfc 회로 및 이의 동작 방법
EP3930133B1 (en) Internal voltage generation circuit of smart card and smart card including the same
US6799015B1 (en) Electromagnetic transponder with a frequency detuning
JP2001007745A (ja) 非接触データ転送システム
KR20070104825A (ko)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를 포함하는 rfid에서의파워-온 리셋 회로
US6931234B1 (en) Data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data processing device
JPH06325229A (ja) 携帯可能な情報記録媒体
CN113723129B (zh) 具有不稳定的基准时钟的调幅信号的射频载波跟踪
KR101939239B1 (ko) Rfid 통신용 포락선 검출기
JP7079661B2 (ja) フラグ保持回路及びフラグ保持方法
KR101337156B1 (ko) 카드 인식 장치 및 방법
JPH10341192A (ja) データ伝送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