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481B1 - Rfid/usn 시스템 - Google Patents

Rfid/usn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481B1
KR101231481B1 KR1020070009589A KR20070009589A KR101231481B1 KR 101231481 B1 KR101231481 B1 KR 101231481B1 KR 1020070009589 A KR1020070009589 A KR 1020070009589A KR 20070009589 A KR20070009589 A KR 20070009589A KR 101231481 B1 KR101231481 B1 KR 101231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fid
usn
informa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1397A (ko
Inventor
김남윤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9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481B1/ko
Publication of KR20080071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3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taking measurements, e.g. using sensing co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08General problems related to the reading of electronic memory record carriers, independent of its reading method, e.g. powe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11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sensing being preceded by at least one preliminary step
    • G06K7/1012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sensing being preceded by at least one preliminary step the step consisting of detection of the presence of one or more record carriers in the vicinity of the interrogation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19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setting parameters for the interrogator, e.g. programming parameters and operating modes
    • G06K7/10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setting parameters for the interrogator, e.g. programming parameters and operating modes parameter settings related to power consumption of the interrog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7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RFID associated with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RFID/USN 시스템은 RF수신단에 존재하는 신호를 커플링시키는 신호결합부; 전자계 영역에서 물체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커플링된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고 제1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신호감지부; 및 상기 제1감지신호에 의하여 상기 커플링된 신호에 변화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RF송신단을 동작시키고, 제2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RF 센서 장치; 및 상기 제2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물체의 위치추적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관리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감지 시스템을 구비할 필요없이 반사파 신호를 이용하여 전파 영역을 감시하고, 감시 결과에 따라 전력 및 회로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사파 개념을 도입하여 물체의 이동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고, 침입자 판단, 업무 흐름 파악, 자산 도난 방지 등의 건물 관리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RFID/USN 시스템{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biquitous Sensor Network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RFID 시스템의 설치 형태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USN 시스템 중 RF 센서 장치 및 센서 관리 장치가 연결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USN 시스템 중 RF센서 장치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센서 장치의 제어부에 구비되는 RF 전송파 디텍터 테이블을 예시한 데이터 테이블.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USN 시스템 중 센서 관리 장치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RFID/USN 시스템 120: RF 센서 장치
121, 122: 제1안테나, 제2안테나 123: LNA
124: 신호결합부 125: 신호감지부
126, 133: 제1필터, 제2필터 127: 신호변환부
128: 복조부 129: 제어부
130: 제1접속부 131: 전원부
132: 변조부 134: PAM
135: 위상동기회로부(PLL) 140: 센서 관리 장치
141: 제2접속부 142: 위치정보생성부
143: 추적정보관리부 144: 데이터해석부
145: 경보장치 146: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RFID/USN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유비쿼터스(ubiquitous) 네트워크 기술이 많은 이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데,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기술이란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다양한 네트워크에 자연스럽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기술의 예로서, RFID 또는 USN 기술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상거래에 도입된 RFID 기술이 대표적이다.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Ubiquitous Sensor Network)는 각종 센서에서 수집된 정보를 무선으로 취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시스템을 의미하는데, 가령 사람의 접근이 불가능한 취약지구에 수백개의 센서 네트워크 노드가 설치됨으로써, 사람이 감시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거래형 RFID 시스템은 상품에 부착되어 세부정보가 내장된 태 그, 태그의 정보를 RF통신을 이용하여 읽는 리더로 이루어지며, 상품의 유통, 조립, 가격 변동, 판매 등의 물류/유통 관리가 효율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RFID 시스템의 설치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RFID 시스템의 리더(10)는 주기적으로 정보요청신호를 송신하여 안테나(12)의 전파 영역에 진입한 태그(20)와 RFID 통신 채널을 설정하고 태그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리더(10)는 불특정 다수의 태그(20)를 대상으로 하여 정보를 수집하므로 항상 높은 전력으로 정보요청신호를 전송하며, 이러한 통신 방식은 하드웨어 자원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전력 낭비가 심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가령, 리더(10)는 태그(20)가 통신 영역에 진입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정보요청신호를 송신해야하며 주연산회로가 풀모드(Full Mode)로 동작되며 대기 상태를 유지하므로 불필요하게 회로의 부담이 증가되고 많은 전력이 소요된다.
이러한 비효율적인 통신 방식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별도의 감지 장비(30)를 도입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는데, 광(적외선) 센서, 진동(초음파) 센서와 같은 다수개의 감지 장비(30)가 리더(10)의 통신 영역을 감시하고, 물체가 감지되면 리더(10)로 동작신호를 전달한다.
비활성 모드(Sleep Mode)였던 리더(10)는 물체가 감지됨에 따라 회로 및 연산 자원을 활성화시키고 풀모드로 동작되어 태그와 통신을 수행한다.
그러나, 다수개의 감지 장비(30)가 추가됨으로 인하여 설치비용이 증가되고 네트워크 구성이 복잡해지며, 감지 장비(3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하여 별도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적 자원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연구소, 기업체, 호텔과 같은 건물 시설은 출입자의 통제, 근무자의 업무 흐름 파악, 자산 도난 방지 등과 같은 관리 측면이 중요한데, 출입자 장부를 기록하거나 근무자 카드를 이용하여 건물 출입을 통제하는 경우, 통제소가 위치되는 건물의 정문이나 현관에서만 출입이 통제될 뿐 빌딩 내부에서의 출입자 관리는 불가능하다.
종래에 영상촬영장치(비디오 카메라), 영상처리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인식카드 등을 이용하여 출입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솔루션이 제공되고 있으나, 사용이 번거롭고 설치가 까다로운 점, 높은 설치 비용과 설치 환경의 제한으로 인하여 전체 건물을 통제하기가 어려운 점, 설치 위치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출입자는 인위적으로 통제 영역을 벗어날 수 있는 점 등의 단점이 있다.
이에,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하여 출입자의 위치를 통제하고, 도난 방지, 업무 효율을 파악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감시 시스템 및 네트워크를 구비할 필요없이 RFID 또는 USN 통신환경이 가지는 특성을 이용하여 물체(태그)의 통신영역 진입을 판단할 수 있고, 물체의 진입 여부에 따라 연산자원과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근무자의 위치파악, 침입자 파악, 도난 방지 등의 건물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RFID/USN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RFID/USN 시스템은 RF수신단에 존재하는 신호를 커플링시키는 신호결합부; 전자계 영역에서 물체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커플링된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고 제1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신호감지부; 및 상기 제1감지신호에 의하여 상기 커플링된 신호에 변화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RF송신단을 동작시키고, 제2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RF 센서 장치; 및
상기 제2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물체의 위치추적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관리 장치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USN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USN 시스템(100) 중 RF 센서 장치(120) 및 센서 관리 장치(140)가 연결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USN 시스템(100)은 RF 센서 장치(120) 및 센서 관리 장치(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RF 센서 장치(120)는 태그와 통신하는 리더인 것으로 한다. 물론, 상기 RF 센서 장치(120)는 USN 시스템의 리더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센서 관리 장치(14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RF 센서 장치(120)와 연결되고 RF 센서 장치(120)가 감지한 물체의 이동 정보, 태그 정보 등 을 수집하여 관리하는 장치로서 가령, 건물의 중앙센터에 위치한 컴퓨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RF 센서 장치(120)는 다수개로서 건물내 여러 곳에 위치되어 물체의 이동을 감지하고, 태그가 부착된 물체인 경우 태그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RF 센서 장치(120)에서 생성된 감지신호, 태그정보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센서 관리 장치(140)로 전송되는데, RF 센서 장치(120) 및 센서 관리 장치(140)가, 가령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경우 Wi-Fi(무선랜), UWB(Ultra Wide Band), 블루투스(Bluetooth),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지그비(Zigbee),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RF 센서 장치(120) 및 센서 관리 장치(140)가 무선랜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센서 관리 장치(140)는 전달된 감지신호 및 태그 정보에 의하여 물체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물체의 위치추적정보를 생성하며, 물체 인식, 침입자 판단, 직원 관리 등 업무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RF 센서 장치(120)와 센서 관리 장치(14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USN 시스템(100) 중 RF 센서 장치(120)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의하면, 상기 RF 센서 장치(120)는 제1안테나(121), LNA(Low Noise Amplifier)(123), 신호결합부(124), 신호감지부(125), 제1필터(126), 신호변환부(127), 복조부(128), 제어부(129), 제1접속부(130), 전원부(131), 변조부(132), 제2필터(133), PAM(134), 위상동기회로부(PLL; Phase Locked Loop)(135) 및 제2안테나(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129)는 전원부(131)를 제어하여, LNA(123) 내지 복조부(128)로 구성되는 수신경로단에 전력 공급이 유지되도록 하며, 따라서 수신경로단을 구성하는 회로 전체에 대하여 일정한 임피던스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제1안테나(121)는 태그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로서 수신경로단에 전력 공급이 유지되면 제1안테나(121) 주변에 전자계가 형성되고, 금속성 물질이나 인체와 같이 도전성 물체가 전자계 영역에서 이동되면 수신경로단의 임피던스 수치에 변화(임피던스 매칭이 틀어지는 현상)가 생긴다.
이는 로렌츠 법칙에 기초한 현상으로서, 물리력(물체의 이동력)이 전자계에 영향을 미쳐 전자계가 형성된 도전성 물체에 전류가 발생되는 것이며, 즉 물체가 RF 센서 장치 주변에서 이동되면 수신경로단에 일종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렇게 발생된 전류는 어느 연결단(가령, 제1안테나(121)를 기준으로 한 연결단) 상에서의 임피던스 차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반사량(계수)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전류는 소정의 반사계수(Γ, gamma, Reflection Coefficient)를 가지는 반사파 신호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이하, 물체의 이동에 의하여 수신경로단에 발생된 전류를 "반사파 신호"라 한다).
반사계수는 다음과 같은 수식에 의하여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07009224266-pat00001
수학식 1에서,
"V+"는 입력전압(수신경로단에 유지되는 전력의 전압)을 의미하고,
"V-"는 반사전압(반사파 신호에 의한 전압의 변화량)을 의미한다.
그리고, "ZL"은 수신경로단에 전력이 유지되는 경우 형성되는 임피던스(이하, "초기 임피던스"라 한다)를 의미하고,
"ZO"는 반사파 신호에 의하여 형성되는 임피던스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센서 장치(120)는 반사파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반사파 신호가 감지되면 근처에 물체가 진입한 것으로 해석한다.
상기 제어부(129)는 반사파 신호가 감지되면(물체의 이동이 확인되면) RFID 통신을 수행해야할 것으로 간주(태그가 접근한 것으로 간주)하여 풀 모드(Full Mode)로 동작되고, 반사파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저전력 모드(Power Save Mode)로 동작된다. 상기 풀 모드, 저전력 모드와 관련한 제어부(129)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LNA(123)는 제1안테나(121)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의 전력이 감쇄 및 잡음의 영향으로 인하여 낮아지면 잡음 성분을 억제하여 증폭시킨다.
상기 신호결합부(124)는 LNA(123)와 제1필터(126) 사이에 연결되며 수신경로단에 존재하는 신호 성분을 커플링시켜 신호감지부(125)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가령 결합커패시터(coupling capacitor) 또는 방향성 결합기(directional coupler) 등을 이용하여 구현가능하다.
상기 제1필터(126)는 쏘우(Saw) 필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안테나(121)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 중 해당 RFID 대역의 수신신호만을 필터링한다.
상기 신호변환부(127)는 제1필터(126)로부터 전달된 수신신호를 발진주파수신호와 믹싱하여 중간주파수신호로 변환하는데, 두개의 믹서(127a, 127b)를 통하여 I(In-phase)신호 및 Q(Quadrature-phase)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위상동기회로부(135)는, 예를 들어 900 MHz 대역의 발진주파수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신호변환부(127) 및 변조부(132)로 각각 전달한다.
상기 복조부(128)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처리하고 이를 제어부(129)로 전달한다.
상기 신호감지부(124)는 커플링된 신호를 소정 레벨의 디지털 신호(이하, "제1감지신호"라 함)로 변환하여 제어부(129)로 전달하고, 제어부(129)는 변환된 신호를 해석하여 반사파 신호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신호감지부(124)는 커플링된 신호의 전계 및 임피던스 수치를 감지(detect)할 수 있는 결합기 형태, 예를 들어 로그 앰프로 구비될 수 있다.
로그 앰프는 증폭기, 감지 회로, 보상 회로, 바이어스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상태인 커플링 신호를 직류전압신호로 출력하여 레벨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커플링 신호를 직접 데시벨값에 비례한 직류전압신호로 출력시킴으로써 수신 가능한 전력 레벨의 신호 감도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129)는 통신 프로토콜을 구비하여 태그와의 무선 통신을 제어하고, 복조부(128)로부터 전달된 신호의 코드를 분석하며, 데이터 포맷의 변환, 정보 추출을 위한 필터링 등을 처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9)는 제1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전원부(131)로 제어신호를 인가함으로써, 변조부(132) 내지 PAM(134)까지의 송신경로단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제1감지신호가 전달되기 전에는 송신경로단의 전원이 단전되도록 한다.
즉, 물체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은 대기 상태에서는 수신경로단만이 동작을 유지하고(저전력 모드) 반사파 신호에 의하여 물체의 이동이 감지되면 송신경로단도 함께 동작을 개시하여(풀모드) RFID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물체가 감지되는 않은 상태에서 상기 RF 센서 장치(120)는 전력의 낭비를 막을 수 있고 연산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원부(131)는, 예를 들어 PMIC(Power management Intergrated Circuit)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센서 장치(120)의 제어부(129)에 구비되는 RF 전송파 디텍터 테이블을 예시한 데이터 테이블이다.
도 4를 참조하면, VSWR(정재파비; Voltage Standing Wave Ratio; 반사계수, 혹은 S11, S22 등을 표현한 값으로서, 반사에 의해 생성되는 정재파(standing wave)의 높이비를 의미함), 반사손실(RL; Return Loss; 반사계수를 전력의 log scale (dB)로 변환한 값임), 반사계수 (Γ; Reflection Coefficient) 등의 데이터가 테이블 수치화된 형태를 볼 수 있는데, 상기 VSWR은 다음과 같은 수식에 의하여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07009224266-pat00002
상기 제어부(129)는 반사파 신호에 의하여 수신경로단의 초기 임피던스에 변화가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초기 임피던스 또는 전계 수치를 보정(초기화)할 필요가 있으며, 상기 보정 동작은 RF 전송파 디텍터 테이블을 기준으로 하여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9)는 임피던스, 전계를 변수로 하여 상기 수학식1 또는 수학식2를 계산하고 결과값을 상기 테이블 수치와 비교함으로써 제1감지신호가 반사파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9)는 신호감지부(125)로부터 제1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제2감지신호를 생성하고 태그정보와 함께 제1접속부(130)로 전달한다.
상기 제1접속부(130)는 제2감지신호 및 태그정보를 무선랜 통신 규격에 맞추어 패킷 데이터로 구성하고 이를 전송 규격에 맞추어 센서 관리 장치(140)로 송신한다.
한편, 상기 변조부(132)는 제어부(129)로부터 전달된 디지털 신호를 고주파 대역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처리하는데, 변조 시, 위상동기회로부(135)로부터 전달된 발진주파수신호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 제2필터(133)(제1필터(126), 제2필터(133)는 쏘우 필터로 구비될 수 있음)는 변조시 혼재된 불요파 성분의 신호를 필터링한다.
상기 PAM(134)은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여 제2안테나(122)로 전달하고, 리더 정보(Command data)는 제2안테나(122)를 통하여 태그로 전달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USN 시스템(100) 중 센서 관리 장치(140)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의하면, 센서 관리 장치(140)는 제2접속부(141), 위치정보생성부(142), 추적정보관리부(143), 데이터해석부(144), 경보장치(145) 및 데이터베이스(D/B)(1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2접속부(141)는 제1접속부(130)와 무선랜 통신을 수행하여 제2감지신호 및 태그정보를 전달받는다.
상기 제2접속부(141)는 신호규격에 따라 제2감지신호 및 태그정보를 해석/추출하고 이를 프로그램에서 처리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위치정보생성부(142)로 전달한다.
상기 위치정보생성부(142)는 제2감지신호가 전달됨에 따라 감지된 물체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며, 해당 물체에 태그가 부착된 경우 태그정보에 의하여 물체를 인식하고 이를 위치정보와 매칭시킨다.
예를 들어, 건물의 구획 영역은 좌표화되어 있으며, RF 센서 장치(120)는 설 치 지역에 따라 좌표정보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RF 센서 장치로부터 제2감지신호가 전달되었는지를 판단하여 감지된 물체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체가 이동는 경우, RF 센서 장치(120)들로부터 제2감지신호가 연속적으로 수신되며, 상기 추적정보관리부(143)는 위치정보들을 그룹 데이터로 관리함으로써 위치추적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데이터해석부(144)는 상기 위치정보, 위치추적정보, 태그정보 등을 이용하여 물체 인식, 침입자 판단, 직원관리, 업무 효율 파악 등의 정보처리를 수행하는데, 위치정보에 해당되는 태그정보가 없다면 상기 데이터해석부(144)는 이를 침입자의 위치정보로 해석하고 상기 경보장치(145)를 작동시킨다.
반면, 위치정보에 해당되는 태그정보가 있다면, 상기 데이터해석부(144)는, 가령 근무자가 어느 장소 및 시간에 어떤 업무를 수행하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D/B(146) 데이터를 통계정보로 처리함으로써 직원을 관리하고, 업무 효율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RFID/USN 시스템에 의하면, 별도의 감지 시스템을 구비할 필요없이 반사파 신호를 이용하여 전파 영역을 감시하고, 감시 결과에 따라 전력 및 회로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사파 개념을 도입하여 물체의 이동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회로 구성 및 소프트웨어적 처리를 통하여 손쉽게 건물 관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고, 침입자 판단, 업무 흐름 파악, 자산 도난 방지 등의 건물 관리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RF송신단 및 RF수신단을 포함하는 RF 장치에 있어서, 상기 RF수신단에 존재하는 신호를 커플링시키는 신호결합부; 전자계 영역에서 물체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커플링된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고 제1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신호감지부; 및 상기 제1감지신호에 의하여 상기 커플링된 신호에 변화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RF송신단을 동작시키고, 제2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RF 센서 장치; 및
    상기 제2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물체의 위치추적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RFID/USN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감지부는
    상기 커플링된 신호의 기본 임피던스 수치 및 기본 전계 수치 중 하나 이상의 수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RFID/USN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플링된 신호에 변화가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RF송신단의 동작을 오프시키는 RFID/USN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RF송신단으로 전원이 공급되거나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RFID/USN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감지부는
    로그 앰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RFID/USN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에 따른 반사계수를 계산함으로써 상기 커플링된 신호의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RFID/USN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수신단에 전원이 공급되면 소정 영역의 전자계가 형성되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에 상관없이 상기 RF수신단을 동작모드로 유지시키는 RFID/USN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RF 전송파 디텍터(Carrier Detector) 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테이블 수치에 의하여 상기 기본 임피던스 수치 및 상기 기본 전계 수치의 초기 수치를 보정하는 RFID/USN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 센서 장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 또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시스템의 리더인 RFID/USN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 센서 장치는 상기 RF송신단이 동작됨에 따라 상기 물체에 부착된 태그와 통신을 수행하고, 태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센서 관리 장치로 전달하며,
    상기 센서 관리 장치는 상기 태그정보에 의하여 물체 인식, 침입자 판단, 직원 관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처리를 수행하는 RFID/USN 시스템.
KR1020070009589A 2007-01-30 2007-01-30 Rfid/usn 시스템 KR101231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589A KR101231481B1 (ko) 2007-01-30 2007-01-30 Rfid/usn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589A KR101231481B1 (ko) 2007-01-30 2007-01-30 Rfid/usn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397A KR20080071397A (ko) 2008-08-04
KR101231481B1 true KR101231481B1 (ko) 2013-02-07

Family

ID=39882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589A KR101231481B1 (ko) 2007-01-30 2007-01-30 Rfid/usn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4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5827A (ko) * 2004-07-14 2006-01-18 창 와 텍 (주) 이동하는 물체의 위치 인식 및 추적을 위한 알에프 아이디시스템 및 알에프 태그와 리더 사이의 통신 방법
US7081818B2 (en) * 2003-05-19 2006-07-25 Checkpoint Systems, Inc. Article identification and tracking using electronic shadows created by RFID tags
KR20060088915A (ko) * 2005-02-02 2006-08-07 쓰리에이로직스(주) 비접촉식 카드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 발생방법과 신호발생장치,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방법과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1818B2 (en) * 2003-05-19 2006-07-25 Checkpoint Systems, Inc. Article identification and tracking using electronic shadows created by RFID tags
KR20060005827A (ko) * 2004-07-14 2006-01-18 창 와 텍 (주) 이동하는 물체의 위치 인식 및 추적을 위한 알에프 아이디시스템 및 알에프 태그와 리더 사이의 통신 방법
KR20060088915A (ko) * 2005-02-02 2006-08-07 쓰리에이로직스(주) 비접촉식 카드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 발생방법과 신호발생장치,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방법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397A (ko) 2008-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8872B1 (ko) Rf 센서 시스템
US9633551B2 (en) Enhanced wireless location system and method
US8947210B2 (en) Near field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system
US7049965B2 (en) Surveillance systems and methods
CN104345721B (zh) 一种基于rfid技术的物资状态监控系统与方法
US20070120677A1 (en) Rfid system including peak detector
JP2010505189A (ja) 電子商品監視対応の無線周波識別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70092548A (ko) Rfid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
US20070252208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position detecting method using the semiconductor device
CN104897978A (zh) 用于检测电活动的电活动传感器设备以及电活动监视装置
JP2009015412A (ja) 入場監視システム
CN102870004A (zh) 用于无线传感器网络的网络节点
US8461994B2 (en) RF receiver and RFID/USN system having the same
JP5224705B2 (ja) 電波センサ及び電波強度分布測定システム
JP2009288061A (ja) 監視装置
JP2005190386A (ja) センサインターフェース付きicタグ及びセンサインターフェース付きicタグを用いた測定方法
KR101231481B1 (ko) Rfid/usn 시스템
JP5527335B2 (ja) 電波強度分布測定システム、及び電波強度分布測定方法
KR101850610B1 (ko) Rtls 기반의 실시간 안전, 보안 및 위치추적 통합관제시스템
KR20060082115A (ko) Rfid를 이용한 보안/안전관리 시스템
KR20070091876A (ko) Rfid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KR101219902B1 (ko) Rfid리더 네트워크 측정시스템
JP4410591B2 (ja) 入場者数計数システム及び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H11283170A (ja) 無線エリアを利用した存在確認システム
JP2019066994A (ja) Rfid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