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8618A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8618A
KR20060088618A KR1020050009525A KR20050009525A KR20060088618A KR 20060088618 A KR20060088618 A KR 20060088618A KR 1020050009525 A KR1020050009525 A KR 1020050009525A KR 20050009525 A KR20050009525 A KR 20050009525A KR 20060088618 A KR20060088618 A KR 20060088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food waste
wing
contact
stirr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탁
Original Assignee
주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탁 filed Critical 주탁
Priority to KR1020050009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8618A/ko
Publication of KR20060088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6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5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elements, materials or mechanical properties
    • B01F27/052Stirrers with replaceable wearing elements; Wearing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되어 분해되는 분해조를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분해조 내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적어도 일부 외주 구간에 접촉하는 제1축접촉부를 갖는 제1날개부와, 제1축접촉부와 상반하는 회전축의 적어도 일부 외주 구간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를 갖는 제2날개부와,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를 상호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가지며, 분해조 내의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날개조립체와; 제1축접촉부와 제2축접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축의 방사상으로 요철부가 형성되어, 회전축과 교반날개조립체를 상호 요철 결합하는 회전멈춤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회전축에 교반날개조립체를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할 수 있고, 교반날개조립체의 조립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GARBAGE TREATMENT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일측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회전축과 교반날개조립체의 요부 조립단면도,
도 4는 도 3의 교반날개조립체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0 : 본체
20 : 분해조 25 : 집수조
41 : 회전축 50 : 교반날개조립체
51 : 제1날개부 53 : 제1축접촉부
61 : 제2날개부 63 : 제2축접촉부
71 : 관통공 73 : 볼트
75 : 이탈방지너트 77 : 고정너트
79 : 클램프 81 : 클램프고정볼트
85 : 요철부 87 : 요철수용부
91 : 패들 91a : 장공
95 : 조절스크루 97 : 패들고정너트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분해 처리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해조 내의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날개조립체와 회전축의 조립구조를 개선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먹고 남은 음식물쓰레기는 매립 등의 방법에 의해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음식물쓰레기는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므로, 매립 후 침출수가 발생하여 주변의 토양 및 수질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음식물쓰레기를 직접 매립하는 대신에 음식물쓰레기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켜 음식물쓰레기를 분해 처리하거나,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시켜서 비료 또는 퇴비로 만드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한편, 종래의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분해 처리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되어 분해되는 분해조와, 분해조 내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결합되어 분해조 내의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복수의 교반날개를 가진다.
교반날개들은, 음식물쓰레기의 원활한 교반을 위해, 회전축의 축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날개의 일단부가 용접에 의해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므로, 교반날개의 조립작업이 번거로워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작업 또한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축에 교반날개조립체를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할 수 있고, 교반날개조립체의 조립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되어 분해되는 분해조를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해조 내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적어도 일부 외주 구간에 접촉하는 제1축접촉부를 갖는 제1날개부와, 상기 제1축접촉부와 상반하는 상기 회전축의 적어도 일부 외주 구간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를 갖는 제2날개부와, 상기 제1날개부와 상기 제2날개부를 상호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가지며, 상기 분해조 내의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날개조립체와; 상기 제1축접촉부와 상기 제2축접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회전축의 방사상으로 요철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과 상기 교반날개조립체를 상호 요철 결합하는 회전멈춤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교반날개조립체는 상기 회전축의 축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날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날개부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패들과; 상기 제1날개부에 상기 패들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패들을 상기 제1날개부에 고정하는 조절스크루를 더 포함함으로써, 분해조의 내측 크기에 대응하여 패들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음식물쓰레기의 교반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마련되어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며 분해하는 분해조(20)를 가진다.
본체(10)는 밀폐된 사각통형상을 가지며, 본체(10)의 상측에는 분해조(20) 내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도어(11)가 개폐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체(10)의 전면 일 영역에는 사용자가 기기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도록 콘트롤러가 내장된 조작부(15)가 마련되어 있다.
분해조(20)의 하측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타공망(21)이 형성되어 있고, 타공망(21)의 하측에는 타공망(21)을 통하여 배출된 잔류물 및 처리수를 집수하는 집수조(25)가 위치되어 있다.
집수조(25)에는 상부 일측에 분해조(20)에서 타공망(21)을 통하여 배출된 처리수가 본체(10)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배출관(27)이 연결되어 있으며, 그 하측에는 집수조(25) 내의 처리수를 분해조(20)의 상측으로 순환하도록 안내하는 순환관(29)이 연결되어 있다.
순환관(29) 상에는 집수조(25) 내의 처리수를 강제적으로 펌핑하여 분해조(20) 내로 토출시키는 순환펌프(31)가 설치되어 있다.
분해조(20)의 상측에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공(미도시)을 갖는 분사관(3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분해조(20)의 상측에는 본체(10) 내에서 발생된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분해조(20) 내에는 회전축(4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41)의 일단부에는 스프로켓(43a)이 결합되어 있으며, 스프로켓(43a)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45)에 결합된 스프로켓(43b)과 체인(47)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모터(45)의 회전력은 스프로켓(43a,43b)과 체인(47)을 통해 회전축(41)으로 전달된다.
회전축(41)의 외주에는 분해조(20) 내의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복수의 교반날개조립체(5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교반날개조립체(50)는 회전축(41)의 축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회전축(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교반날개조립체(50)는 회전축(41)의 적어도 일부 외주 구간에 접촉하는 제1 축접촉부(53)를 갖는 제1날개부(51)와, 제1축접촉부(53)와 상반하는 회전축(41)의 적어도 일부 외주 구간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63)를 갖는 제2날개부(61)와, 제1날개부(51)와 제2날개부(61)를 상호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가진다.
제1날개부(51)는 회전축(41)의 외주에 접촉하는 제1축접촉부(53)와, 제1축접촉부(53)의 일단부로부터 회전축(41)의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분해조(20) 내의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부(55)를 가진다.
제1축접촉부(53)는 회전축(41)의 외주에 접촉이 용이하도록 반원호 단면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제2날개부(61)가 개시되어 있으며, 한 쌍의 제2날개부(61)는 제1날개부(51)를 사이에 두고 부분적으로 밀착되어 있다. 제2날개부(61)는 회전축(41)의 외주에 접촉하는 제2축접촉부(63)와, 제2축접촉부(63)의 일단부로부터 회전축(41)의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교반부(55)의 일측을 지지하는 날개지지부(65)를 가진다.
제2축접촉부(63)는 회전축(41)의 외주에 접촉이 용이하도록 반원호 단면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제2날개부(61)는 제1날개부(51)의 양측면에 부분적으로 밀착되어 교반작업시 제1날개부(51)를 보강하는 역할도 한다.
한편, 제1날개부(51)와 제2날개부(61)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으로서, 제1날개부(51)의 교반부(55)와 제2날개부(61)의 날개지지부(65)에 각각 관통 형성된 관통공(71)과, 각 관통공(71)에 관통 결합되는 볼트(73)와, 볼트(73)에 결합되어 제1날 개부(51)와 한 쌍의 제2날개부(61)가 회전축(41)의 방사상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너트(75)를 가진다.
또한, 제1날개부(51)와 제2날개부(61)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으로서 제1날개부(51)에 고정된 고정너트(77)와, 제1날개부(51)와 한 쌍의 제2날개부(61)의 각 축접촉부(53, 63)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제1날개부(51)와 한 쌍의 제2날개부(61)의 일측을 둘러싸는 대략 'ㄷ'자 단면형상의 클램프(79)와, 제1날개부(51)에 고정된 고정너트(77)와, 클램프(79)를 관통하여 고정너트(77)에 나사 결합되어 제1날개부(51)와 한 쌍의 제2날개부(61)가 회전축(41)의 축선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클램프고정볼트(81)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회전축(41)과 날개부(51,61)를 상호 요철 결합하는 회전멈춤수단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멈춤수단으로서 요철부(85)와 요철수용부(87)가 개시되어 있으며, 요철부(85)는 제1날개부(51)의 제1축접촉부(53)로부터 회전축(41)을 향해 회전축(41)의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요철부(85)가 수용 결합되는 요철수용부(87)는 회전축(41)의 외주로부터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요철수용부(87)는 회전축(41)의 축선에 대해 120도 각도의 등각도를 이루며 회전축(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교반날개조립체(50)는 회전축(41)에 교호적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각 요철수용부(87)는 다양한 각도를 이루며 회전축(41)의 외주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41)과 제1날개부(51)가 요철 결합함으로써, 교반날개조립체(50)는 교반작업시 회전축(41)의 외주를 따라 공회전하지 않으며, 안정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회전멈춤수단은 회전축(41)과 교반날개조립체(50)의 조립시 세팅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회전멈춤수단으로서 회전축(41)과 날개부(51,61)의 축접촉부(53,63)에 스플라인을 형성하여 회전축(41)과 날개부(51,61)를 스플라인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제1날개부(51)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패들(91)과, 패들(91)을 제1날개부(51)에 고정하는 조절스크루(95)를 가진다.
패들(91)에는 제1날개부(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91a)이 형성되어 있다.
조절스크루(95)는 제1날개부(51)에 패들(91)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장공(91a)을 따라 이동하며 제1날개부(51)에 마련된 패들고정너트(97)에 체결되어, 패들(91)을 제1날개부(51)에 고정한다. 이에, 분해조(20)의 내측 크기에 대응하여 패들(91)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음식물쓰레기의 교반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의 회전축(41)과 교반날개조립체(50)를 조립하는 경우, 먼저 회전축(41)의 외주에 형성된 요철수용부(87)에 요철부(85)가 수용 결합되도록 제1날개부(51)를 배치한다. 이 때, 제1날개부(51)의 제1축접촉부(53)를 회전축(41)의 외주에 접촉시킨다.
이어서, 제1날개부(51)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제2날개부(61)를 제1날개부(51)의 양측면에 부분적으로 밀착시킨다. 이 때, 제2날개부(61)의 제2축접촉부(63)를 제1축접촉부(53)와 상반하는 회전축(41)의 외주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볼트(73)를 제1날개부(51) 및 제2날개부(61)의 각 관통공(71)에 관통 결합시킨 후, 이탈방지너트(75)를 볼트(73)의 단부에 체결하여 제1날개부(51)와 제2날개부(61)를 결합한다.
계속하여, 각 날개부(51,61)의 축접촉부(53,63)를 회전축(41)의 외주에 밀착시킨 후, 클램프(79)로 제1날개부(51)와 한 쌍의 제2날개부(61)의 일측을 둘러싸고, 클램프고정볼트(81)를 클램프(79)를 관통하여 제1날개부(51)에 고정된 고정너트(77)에 나사 결합하여, 교반날개조립체(50)의 조립이 완료된다.
또한, 분해조(20)의 내측 크기에 대응하여 패들(91)의 장착 위치를 조절하는 경우, 패들(91)을 제1날개부(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킨 후, 장공(91a)에 관통 결합된 조절스크루(95)로 패들(91)을 제1날개부(51)에 고정하여, 제1날개부(51)에 패들(91)의 장착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회전축(41)과 교반날개조립체(50)를 조립하게 될 경우,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게 교반날개조립체(50)를 회전축(41)에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로 이루어지며 분해조 내의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날개조립체를 회전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회전축에 교반날개조립체를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할 수 있고, 교반 날개조립체의 조립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날개부의 제1축접촉부와 회전축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제2날개부의 제2축접촉부와 회전축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회전축과 날개조립체를 요철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날개부의 축접촉부와 회전축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회전축과 날개조립체를 요철결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축에 교반날개조립체를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할 수 있고, 교반날개조립체의 조립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3)

  1.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되어 분해되는 분해조를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해조 내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적어도 일부 외주 구간에 접촉하는 제1축접촉부를 갖는 제1날개부와, 상기 제1축접촉부와 상반하는 상기 회전축의 적어도 일부 외주 구간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를 갖는 제2날개부와, 상기 제1날개부와 상기 제2날개부를 상호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가지며, 상기 분해조 내의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날개조립체와;
    상기 제1축접촉부와 상기 제2축접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회전축의 방사상으로 요철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과 상기 교반날개조립체를 상호 요철 결합하는 회전멈춤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조립체는 상기 회전축의 축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날개부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패들과;
    상기 제1날개부에 상기 패들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패들을 상기 제1날개부에 고정하는 조절스크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0050009525A 2005-02-02 2005-02-02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600886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525A KR20060088618A (ko) 2005-02-02 2005-02-02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525A KR20060088618A (ko) 2005-02-02 2005-02-02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618A true KR20060088618A (ko) 2006-08-07

Family

ID=37176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525A KR20060088618A (ko) 2005-02-02 2005-02-02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86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5627A (zh) * 2018-11-09 2019-03-01 洛阳双瑞金属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可调节搅拌角度的搅拌扇叶
KR20230030068A (ko) * 2021-08-23 2023-03-06 주식회사 에이치앤엠바이오 유기성 폐기물 건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5627A (zh) * 2018-11-09 2019-03-01 洛阳双瑞金属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可调节搅拌角度的搅拌扇叶
KR20230030068A (ko) * 2021-08-23 2023-03-06 주식회사 에이치앤엠바이오 유기성 폐기물 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3557A (ko) 유기성오니 처리 장치
KR101777088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60088618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33914A (ko) 유기성폐기물 처리기
JP2007225181A (ja) 含水性廃棄物処理装置
US20220192442A1 (en) Aerothermodynamic Environment-friendly Toilet, Mounting Method, and Application of Aerothermodynamic Environment-friendly Toilet
JP2004141792A (ja) 発酵及び乾燥処理機に於ける撹拌移送装置
CN111604140A (zh) 一种养鸡场用病死鸡无害化处理设备
KR102209755B1 (ko) 슬러지 처리기
KR200222007Y1 (ko)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KR20010028144A (ko) 음식물쓰레기 자동감량화기기.
KR100467201B1 (ko) 음식물 쓰레기처리기의 교반장치
KR101570306B1 (ko) 재순환장치가 구비된 음식물처리기용 교반장치
KR101350238B1 (ko) 유기성폐기물 감량화 처리장치
KR100443748B1 (ko) 음식물쓰레기처리기의 냄새탈취장치
CN219339974U (zh) 一种生活垃圾减量化破袋机
JP2004141791A (ja) 発酵及び乾燥処理機
CN111534417A (zh) 一种可快速拆装的三段式发酵罐设备
JP2013043152A (ja) 有機廃棄物の処理装置
CN216612532U (zh) 厨余垃圾处理器
JP3253393B2 (ja) 厨芥処理装置
KR102355027B1 (ko) 음식물쓰레기, 가축분뇨, 동식물 잔존물 또는 하수슬러지 분해소멸 장치
KR20050015278A (ko) 잔반처리기
JP2004033810A (ja) 生ごみ処理機
JPH11314045A (ja) 生ごみ処理用破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