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8507A - 통신 시스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8507A
KR20060088507A KR20060009660A KR20060009660A KR20060088507A KR 20060088507 A KR20060088507 A KR 20060088507A KR 20060009660 A KR20060009660 A KR 20060009660A KR 20060009660 A KR20060009660 A KR 20060009660A KR 20060088507 A KR20060088507 A KR 20060088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real time
time system
data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09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키 모테기
히데아키 다카하시
야스히로 가토
다케히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60088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5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74Buffer management
    • H04L1/1877Buffer management for semi-reliable protocols, e.g. for less sensitive applications like streaming video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2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 of which represent the time,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G04G9/0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 of which represent the time,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by controlling light sources, e.g. electroluminescent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2C-spring-type bracelets or wrist-watch hol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Unequal err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8Unequal error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계 및 비실시간계의 2 종류의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적절한 재송신 제어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종류 식별부(249)가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인지 혹은 비실시간인지를 식별하여, 제어부(210)와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310)가 식별된 데이터 종류에 따라서, 재송신 제어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조정한다.
실시간, 비실시간, 지연, 파라미터, 재송신, 통신,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이동국, 기지국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COMMUNICATION SYSTEM, TRANSMITTER AND RECEIVER}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이동국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판정 결과 유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데이터 송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서 기지국이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에서 이동국이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실시예 2에 따른 데이터 송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2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2에서 데이터 종류로 따라 이동국이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3에서 상태 리포트(status report)를 송신하고 해석하는 처 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 3에 따른 데이터 송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3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부호의 설명]
1: 통신 시스템 200, 200a ~ 200c: 기지국
210: 제어부 220: 데이터 유지부
230: 데이터 통신부 240: 데이터 종류 식별부
250: 재송신 횟수 제어부 260: 송신 윈도우 크기 제어부
265: 송신 타이머 제어부 270: 상태 리포트 해석부
280: 전송 블록 작성부 300, 300a ~ 300f: 이동국
310: 제어부 315: 데이터 유지부
320: 판정 결과 유지부 330: 데이터 통신부
340: 데이터 종류 취득부 350: 수신 타이머 제어부
360: 수신 윈도우 크기 제어부 370: 상위 블록 재생부
380: 검출부 390: 상태 리포트 작성부
400: 셀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2-27136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 2003-188916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3GPP TS25. 308 “UTR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HSDPA); Overall description; Stage 2”
본 발명은, 실시간계 및 비실시간계의 2 종류의 데이터를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중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수신 장치로부터 송신 장치에 대해서 에러가 발생한 데이터의 재송신을 요구함으로써 에러가 발생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정정하는 재송신 제어 기술이 이용되고 있었다. 예를 들면, QoS(Quality of Service)를 고려하여, 상기 재송신 제어 기술을 사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참조).
또, 3GPP(Third-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로 표준화되어 있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에서는, MAC-hs 계층에서, Nch Stop and Wait 방식의 Hybrid ARQ(Automatic Repeat reQuest), 즉 재송신 제어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Hybrid ARQ(HARQ)는 에러 정정 기술과 재송신 제어 기술을 병용하는 기술이다. 또, Nch Stop And Wait 방식의 HARQ는 하나의 이동국에 대해서 복수개의 HARQ 프로세스가 할당되고, 각 HARQ 프로세스에서 하나의 전송 블록(transport block)에 대한 송신 확인 및 재송신 처리를 행하는 기술이다(예를 들 면, 비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식별 정보(유료 로드 데이터의 데이터 종류, 시간 관련 데이터 순서를 포함한다)가 부가된 IP/UDP/RTP 패킷을 IP/UDP/RTP 헤더와 IP/UD P/RTP 데이터로 분리하고, 각각 상이한 채널을 통해서 송신하며, 수신 측에서 추출된 식별 정보에 따라, 수신 에러가 발생한 IP/UDP/RTP 데이터를 재송신함으로써, IP/UDP/RTP 패킷의 복원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재송신 제어 기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도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그런데, 제3 세대(3G; Third Generation) 이후의 이동 통신에서는, 모든 데이터가 패킷(packet)으로 불리우는 데이터 단위로 송수신되고 있다. 즉, 지금까지 P S(Packet Switching)와 명확하게 구별되어 있던 CS(Circuit Switching)에 의해 송수신되고 있던 실시간계의 데이터도 VoIP(Voice over IP) 등의 기술에 의해 패킷으로 송수신 되는 것이 상정되고 있다.
QoS를 고려하여 재송신 제어 기술을 사용하는 기술에서는, 비실시간계 데이터에서만, 재송신 제어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즉, 3G에서 이용되고 있는 용어에서는, 비실시간계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RLC-AM(Acknowledged Mode)가 적용되고, 실시간계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RLC-UM(Unacknowledged Mode)가 적용되고 있다.
HSDPA에서는, 비실시간계의 데이터만 취급하므로, 비실시간계의 데이터에만, HARQ, 즉 재송신 제어 기술이 사용된다.
한편, IP/UDP/RTP 패킷의 복원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재송신 제어 기술 을 사용하는 기술에서는, 전송 대역을 절약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여, IP/UDP/RTP 패킷의 특성(유료 로드 데이터의 데이터 종류, 시간 관련 데이터 순서를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에 따라 실시간계 패킷의 재송신 제어를 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PS에 의해 송수신되고 있던 비실시간계 데이터와, VoIP의 기술에 의해 패킷으로 송수신 되는 실시간계 데이터는 상반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실시간계의 데이터에 최적인 재송신 제어 처리를 비실시간계의 데이터에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마찬가지 이유에서, 비실시간계의 데이터에 적합한 재송신 제어 처리를 실시간계의 데이터에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실시간계와 비실시간계의 2 종류의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적절한 재송신 제어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실시간계 및 비실시간계의 2 종류의 데이터를 데이터 블록마다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이든 비실시간이든 관계없이, 상기 데이터 블록인 에러 데이터 블록의 재송신 요구를 송신하는 재송신 요구부와, 상기 재송신 요구에 따라, 상기 에러 데이터 블록을 재송신하는 재송신부와, 상기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지 혹은 비실시간계이지를 식별하는 데이터 종류 식별부와, 상기 데이터 종류 식별부에 의 해 식별된 상기 데이터 종류에 따라, 상기 2 종류의 데이터의 재송신 제어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 특징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재송신 요구부가, 실시간계와 비실시간계의 2 종류의 데이터에 대하여, 에러 데이터 블록의 재송신 요구를 송신하고, 재송신부가 에러 데이터 블록을 재송신하는 재송신 제어를 행한다. 또, 데이터 종류 식별부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지 혹은 비실시간계인지를 식별하고, 파라미터 조정부가 식별된 데이터 종류에 따라, 재송신 제어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조정한다. 그러므로, 실시간계와 비실시간계의 2 종류의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적절한 재송신 제어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제1 특징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재송신 제어에 사용되는 윈도우 크기, 대기 시간 및 최대 재송신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라도 된다. 그리고, 대기 시간에는, 송신 장치에서 사용되는 송신 측 대기 시간과 수신 장치에서 사용되는 수신 측 대기 시간이 포함될 수 있다. 또, 윈도우 크기에는, 송신 장치에서 사용되는 송신 윈도우 크기와, 수신 장치에서 사용되는 수신 윈도우 크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특징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조정부는, 상기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 상기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 경우보다 상기 윈도우 크기를 크게, 상기 대기 시간을 길게, 또 상기 최대 재송신 횟수를 많이 설정해도 된다.
또, 제1 특징에 관한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 우에는 복수개의 상기 데이터 블록에 대해서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데이터 블록을정확하게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수신 상황 통지를 하나 작성하고, 상기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 경우에는 하나의 상기 데이터 블록에 대해서 하나의 상기 수신 상황 통지를 작성하는 수신 상황 통지 작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재송신 요구는 상기 전송 블록이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상기 수신 상황 통지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특징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데이터 블록을 정확하게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수신 상황 통지를 상기 수신 장치에 요구하는 수신 상황 통지 요구부와 상기 수신 상황 통지를 작성하는 수신 상황 통지 작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재송신 요구부는 상기 수신 상황 통지 요구부로부터 상기 수신 상황 통지의 요구가 있을 때에, 상기 수신 상황 통지 작성부에 의해 작성된 상기 수신 상황 통지를 송신하고, 상기 재송신 요구는 상기 전송 블록이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상기 수신 상황 통지가 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제1 특징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수신 상황 통지 작성부는 상기 수신 상황 통지에 에러 검출을 가능하게 하는 부가 데이터를 부여하고, 상기 부가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는, 상기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 상기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일 경우보다 길어도 된다.
또한, 제1 특징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재송신 요구부는 상기 수신 상황 통지를 소정의 반복 횟수만큼 송신하고, 상기 반복 횟수는, 상기 데이터 종류 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 상기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 경우보다 많아도 된다.
또, 제1 특징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 상기 데이터 블록이 취급되는 프로토콜 계층보다 상위 프로토콜 계층에서 취급되는 데이터 단위인 상위 블록을 분할하거나 또는 결합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블록을 작성하고, 또 상기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 경우에 상기 상위 블록을 분할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블록을 작성하는 전송 블록 작성부와 상기 전송 블록 작성부에 의해 작성된 상기 전송 블록으로부터 상기 상위 블록을 재생하는 역처리를 행하는 상위 블록 재생부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특징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데이터 종류 식별부는 하나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실시간계 및 비실시간계의 2 종류의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에 상기 하나의 통신 채널로 송신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실시간계인 것으로 식별하여도 된다.
또, 제1 특징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종류 식별부는 상기 데이터 블록에 포함되는 트래픽 클래스 식별자, 또는 상기 송신 장치 및 상기 수신 장치 이외의 장치로부터 상기 송신 장치에 통지되는 트래픽 클래스에 따라, 상기 데이터 종류를 식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실시간계 및 비실시간계의 2 종류의 데이터를 데이터 블록마다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장치로서, 상기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이든 비실시간계이든 관계없이,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았던 상기 데이터 블록인 에러 데이터 블록의 재송신 요구를 취득하는 재송신 요구 취득부와, 상기 재송신 요구에 따라 상기 에러 데이터 블록을 재송신하는 재송신부와, 상기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지 혹은 비실시간계인지를 식별하는 데이터 종류 식별부와, 상기 데이터 종류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상기 데이터 종류에 따라, 상기 2 종류의 데이터의 재송신 제어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실시간계 및 비실시간계의 2 종류의 데이터를 데이터 블록마다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장치로서, 상기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이든 비실시간계이든 관계없이,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았던 상기 데이터 블록인 에러 데이터 블록의 재송신 요구를 송신하는 재송신 요구부와, 상기 재송신 요구에 따라 송신되는 상기 에러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는 에러 데이터 블록 수신부와,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종류를 취득하는 데이터 종류 취득부와, 상기 데이터 종류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데이터 종류에 따라 상기 2 종류의 데이터의 재송신 제어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통신 시스템)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단, 도면은 개략적으로 나타내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통신 시스템(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1)에서는, 실시간계 및 비실시간계의 2 종류의 데이터를 데이 터 블록마다 송수신한다. 통신 시스템(1)에는, 네트워크(100)와 네트워크(100)에 접속되는 복수개의 기지국(200)(200a ~ 200c)과 복수개의 이동국(300)(300a ~300f)이 포함된다. 그리고, 기지국(200a ~ 200c)은 동일한 구성 요소를 구비하고, 이동국(300a ~ 300f)도 동일한 구성 요소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단지 기지국(200) 및 이동국(300)으로 기재한다.
복수개의 기지국(200)은 서비스 구역, 즉 셀(400)(400a ~ 400c)을 형성함으로써, 이동국(300)간에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기지국(200)으로부터 이동국(300)에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는, 기지국(200)이 송신 장치이며 이동국(300)이 수신 장치이다. 한편, 이동국(300)으로부터 기지국(200)에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는 이동국(300)이 송신 장치이며 기지국(200)이 수신 장치이다.
또, 송수신 되는 데이터는, 소정의 크기의 데이터인 데이터 블록마다 송수신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블록은 전송 블록이다. 여기서, 전송 블록은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에서 취급될 수 있는 최소 단위의 데이터이다.
[실시예 1]
(송신 장치)
이하의 설명에서는, 기지국(200)으로부터 이동국(300)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즉, 기지국(200)이 송신 장치로서 기능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지국(200)에는 제어부(210), 데이터 유지부(220), 데이터 통신부(230), 데이터 종류 식별부(240), 재송신 횟수 제어부(250), 송신 윈도우 크기 제어부(260), 송신 타이머 제어부(265),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 및 전송 블록 작성부(280)가 구비된다.
제어부(210)는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해서 제어하고, 기지국(200) 전체의 동작을 관리한다. 제어부(210)는 후술하는 재송신 횟수 제어부(250), 송신 윈도우 크기 제어부(260) 및 송신 타이머 제어부(265)에 의해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데이터 종류에 따라 조정하는 파라미터 조정부로서도 기능한다. 그리고, 비실시간계의 데이터는 지연(delay)에 관해서는 어느 정도 관용적이지만 데이터의 에러에 관해서는 민감하다. 한편, 실시간계의 데이터는 크게 지연되는 것을 허용할 수 없지만, 데이터의 에러에 관해서는 어느 정도 관용적이다. 따라서, 제어부(210)는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는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 경우보다 최대 재송신 횟수를 많게, 또 송신 윈도우 크기를 크게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210)는 데이터 종류 식별부(240)에 의해 식별된 데이터 종류를 취득한다. 제어부(210)는 취득된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는 최대 재송신 횟수를 NR1에 설정하고, 실시간계인 경우에는 NR1보다 작은 NR2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NR1은 10회 정도, NR2는 0 ~ 3회 정도로 설정된다. 장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전송 블록을 송수신 가능한 최소의 시간 간격인 TTI(Transmission Timne Interval)를 3G에서의 10ms에 비해 훨씬 더 작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짧은 시간에 전송 블록을 복수회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지연에 대해서 민감한 실시간계의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도 수회의 재송신이 허용될 수 있다.
또, 제어부(210)는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는 송신 윈도우 크기를 SWS1으로 설정하고, 실시간계인 경우에는 SWS1보다 작은 SWS2로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는 송신 측 대기 시간을 ST1으로 설정하고, 실시간계인 경우에는 ST1보다 작은(짧은) T2로 설정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NR1, NR2, SWS1, SWS2, ST1 및 ST2의 값은 기지국(200)에서 사전에 설정해 둔다. 단, 이들 값은 제어부(210)에 의해 결정되어도 되고,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NC) 등의 다른 장치에 의해 정해져서, 기지국(200)에 통지되어도 된다.
데이터 유지부(220)는 이동국(300)에 송신된 전송를 복사하여 유지한다. 그리고, 전송 블록을 복사하여 후술하는 데이터 통신부(230)에 의해 저장된다.
데이터 통신부(230)는 이동국(300) 사이에서 전송 블록을 송수신한다. 데이터 통신부(230)는 송신 윈도우 크기 제어부(260)의 요구에 따라, 전송 블록을 송신한다. 데이터 통신부(230)는 이동국(300)에 전송 블록을 송신할 때, 송신되는 전송 블록을 복사하여 작성하고, 데이터 유지부(220)에 저장한다. 또, 데이터 통신부(230)는 전송 블록을 복사하여 저장된 것을 후술하는 송신 타이머 제어부(265)에 통지한다.
또, 데이터 통신부(230)는 이동국(300)으로부터 송신되는 상태 리포트를 취득한다. 따라서, 데이터 통신부(230)는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았던 전송 블록인 에러 데이터 블록의 재송신 요구를 취득하는 재송신 요구 취득부로서도 기능한다. 데이터 통신부(230)는 취득한 상태 리포트를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에 입력한다.
또한, 데이터 통신부(230)는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전송 블록을 재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로부터의 요구에 포함되는 전송 블록의 순번인 TSN(Transmission Sequence Number)에 대응하는 전송 블록을 데이터 유지부(220)로부터 취득하고 이동국(300)에 송신한다.
또, 데이터 통신부(230)는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 이동국(300)에 대해서 상태 리포트를 요구하기 위한 폴(Poll)을 송신한다. 여기서, 상태 리포트는 이동국(300)이 전송 블록을 정확하게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 수신 상황 통지이다. 따라서, 데이터 통신부(230)는 수신 상황 통지 요구부로서도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데이터 통신부(230)는 후술하는 데이터 종류 식별부(240)로부터 취득한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는 폴을 이동국(300)에 송신한다. 데이터 통신부(230)는 예를 들면, 정기적으로 폴을 이동국에 송신하여도 된다. 또는, 데이터 통신부(230)는 송신 윈도우 크기 제어부(260)로부터 전송 블록을 송신할 것을 요구받았을 경우에 폴을 송신하여도 된다. 그리고, 그 때 데이터 통신부(230)는 송신해야 할 전송 블록이 있는 경우에는 전송 블록에 폴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송신하고, 송신 해야 할 전송 블록이 없는 경우에는 Roll의 데이터만을 이동국(300)에 송신하여도 된다.
또한, 데이터 통신부(230)는 기지국(200)과 이동국(300) 사이에서 통신 링크 를 확립할 때에, 데이터 종류 식별부(240)로부터 취득한 데이터 종류를 이동국(300)에 통지한다.
데이터 종류 식별부(240)는 송신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지 혹은 비실시간계인지를 식별한다.
데이터 종류 식별부(240)는 예를 들면, IP 패킷의 헤더 부분에 포함되는 트래픽 클래스 식별자(DSCP(Diffserv Code Point))에 따라 데이터 종류를 식별한다. 또는, 데이터 종류 식별부(240)는 기지국(200) 및 이동국(300) 이외의 장치, 예를 들면 3G에서는 상위 프로토콜 계층(RANAP 등)에서의 CN(Core Net work)에 포함되는 장치로부터 RAN(Radio Access Network)에의 시그널링으로 통지되는 RAB(Radio Access Bearer)에 의해 나타내는 트래픽 클래스에 따라 데이터 종류를 식별하여도 된다. 단, 데이터 종류의 식별 방법은 전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데이터 종류 식별부(240)는 각 통신 채널에 대해서, 실시간계의 데이터가 취급되는지 혹은 비실시간계의 데이터가 취급되는지 식별한다. 데이터 종류 식별부(240)는 하나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실시간계 및 비실시간계의 2 종류의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에, 하나의 통신 채널로 송신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종류를 실시간계인 것으로 식별하여도 된다.
재송신 횟수 제어부(250)는 전송 블록을 재송신하는 횟수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재송신 횟수 제어부(250)는 데이터 종류 식별부(240)에 의해 식별된 데이터 종류에 따라 제어부(210)에 의해 설정된 최대 재송신 횟수를 취득한다. 여기서, 최대 재송신 횟수는 하나의 전송 블록을 재송신하는 횟수의 최대값이 다.
재송신 횟수 제어부(250)는 후술하는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로부터, NACK를 포함하는 상태 리포트를 취득한 취지의 통지를 받았을 경우에는, 재송신 횟수 제어부(250)가 전송 블록마다 유지하고 있는 재송신 횟수를 1씩 증가시킨다. 재송신 횟수 제어부(250)는 재송신 횟수가 최대 재송신 횟수에 이르렀을 경우에 재송신 횟수가 최대 재송신 횟수에 이른 전송 블록을 데이터 유지부(220)에서 삭제한다.
송신 윈도우 크기 제어부(260)는 송신 윈도우 크기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송신 윈도우 크기 제어부(260)는 데이터 종류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제어부(210)에 의해 설정된 송신 윈도우 크기를 취득한다. 그리고, 송신 윈도우의 크기에 대하여 설명하면, 송달 확인 없이(상태 리포트가 수신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송신할 수 있는 전송 블록의 개수를 정하는 것이다. 또, 송달 확인없이 송신한 전송 블록을 복사하여 데이터 유지부(220)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송신 윈도우 크기 제어부(260)는 데이터 유지부(220)를 참조하고, 데이터 통신부(230)에 전송 블록의 송신을 요구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통신부(230), 재송신 횟수 제어부(250) 및 송신 윈도우 크기 제어부(260)는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 상태 리포트에 따라,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았던 전송 블록인 에러 전송 블록을 재송신하는 재송신부로서 기능한다.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이동국(300)으로부터 송신되는 상태 리포트를 데이터 통신부(23O)로부터 취득하고, 해석함으로써 전송 블록이 정확하게 수신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태 리포트는 전송 블록이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송신 타이머 제어부(265)는 송신 측 대기 시간을 관리한다. 여기서, 송신 측 대기 시간은 재송신을 위해 송신된 전송 블록을 복사하여 유지하는 시간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송신 타이머 제어부(265)는 제어부(210)에 의해 설정된 송신 측 대기 시간을 취득하고, 타이머에 설정한다. 송신 타이머 제어부(265)는 데이터 통신부(230)로부터 전송 블록을 복사하여 저장된 것에 대한 통지를 취득했을 때, 타이머를 스타트시킨다. 그리고, 송신 타이머 제어부(265)는 상기 전송 블록이 정확하게 수신된 취지의 통지를 취득했을 때에 타이머를 정지시킨다. 한편, 타이머에 설정된 송신 측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상기 전송 블록이 정확하게 수신된 취지의 통지가 취득되었을 때, 데이터 유지부(220)에 유지되어 있는 그 전송 블록을 복사한 것을 삭제한다.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이동국(300)으로부터 송신된 상태 리포트의 내용이 ACK(전송 블록이 정확하게 수신된 것을 나타낸다)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상태 리포트에 대응하는 전송 블록을, 데이터 유지부(220)로부터 삭제한다. 한편,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상태 리포트의 내용이 NACK(전송 블록이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데이터 통신부(230)에 대응하는 전송 블록의 재송신을 요구한다. 또,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상태 리포트의 내용이 NACK인 것으로 판단한 취지를 재송신 횟수 제어부(250)에 통지한다.
그리고, 비실시간계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태 리포트는 복수개의 전송 블 록마다 작성되므로,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상태 리포트로부터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은, 즉 NACK로 판단된 전송 블록의 TSN을 추출하고 재송신 처리를 행한다. 한편, 실시간계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하나의 전송 블록마다 상태 리포트가 작성되므로,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상태 리포트에 NACK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재송신 처리를 행한다.
전송 블록 작성부(280)는 MAC 계층보다 상위 프로토콜에서 취급되는 데이터 단위인 상위 블록으로부터 MAC 계층에서 취급될 수 있는 크기의 전송 블록을 작성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송 블록 작성부(280)는 데이터 종류 식별부(240)로부터 제어부(210)를 통하여 데이터 종류를 취득한다.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는 전송 블록 작성부(280)는 상위 블록을 분할, 또는 결합하여 전송 블록을 작성한다. 한편,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 경우에는 전송 블록 작성부(280)는 상위 블록을 분할함으로써 전송 블록을 작성하고, 결합은 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전송 블록은, 재송신되는 데이터의 최소단위이기도 하다.
(수신 장치)
이하의 설명에서는, 기지국(200)으로부터 이동국(300)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즉 이동국(300)이 수신 장치로서 기능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국(300)에는 제어부(310), 데이터 유지부(315), 판정 결과 유지부(320), 데이터 통신부(330), 데이터 종류 취득부(340), 수 신 타이머 제어부(350), 수신 윈도우 크기 제어부(360), 상위 블록 재생부(370), 에러 검출부(38O) 및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가 구비된다.
제어부(310)는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해서 제어를 행하고, 이동국(300) 전체의 동작을 관리한다. 제어부(310)는 후술하는 수신 타이머 제어부(350) 및 수신 윈도우 크기 제어부(360)에 의해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데이터 종류에 따라 조정하는 파라미터 조정부로서도 기능한다. 그리고, 비실시간계의 데이터는 지연에 관해서는 어느 정도 관용적이지만, 에러에 관해서는 민감한데 비해, 실시간계의 데이터는 크게 지연되는 것을 허용할 수 없지만, 에러에 관해서는 어느 정도 관용적이다. 따라서, 제어부(310)는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는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 경우보다 수신 윈도우 크기를 크게, 또 재송신 요구를 송신한 에러 데이터 블록을 기다리는 시간인 대기 시간을 길게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310)는 데이터 종류에 따라, 상태 리포트 작성 방법을 「복수개의 전송 블록마다」 또는 「하나의 전송 블록마다」중 어느 하나로 결정한다. 비실시간계 데이터의 경우는 지연에 대해서 어느 정도 관용적이기 때문에, 상태 리포트는 복수개의 전송 블록의 판정 결과에 대하여 함께 작성되고, 기지국(200)으로 송신되어도 된다. 그러므로, 제어부(310)는 상태 리포트 작성 방법을 「복수개의 전송 블록마다」로 결정한다. 한편, 실시간계의 데이터의 경우는 지연에 민감하기 때문에, 상태 리포트는 하나의 전송 블록의 판정 결과에 대하여 작성되어 기지국(200)으로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제어부(310)는 상태 리포트 작성 방법을 「하나의 전송 블록마다」로 결정한다.
또, 제어부(310)는 정확하게 수신되었다고 판정된 전송 블록의 순서를 정돈하는 순서 제어의 처리를 행하고, 상위의 프로토콜 계층에 건네준다.
데이터 유지부(315)는 이동국(300)에 의해 수신된 전송 블록을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데이터 유지부(315)는 후술하는 에러 검출부(380)로부터 전송 블록을 취득한다. 데이터 유지부(315)는 취득한 전송 블록을 TSN에 따라 적절한 위치로 유지한다. 즉, 데이터 유지부(315)는 TSN의 순서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정 결과 유지부(320)는 후술하는 에러 검출부(380)에 의한 판정 결과를 수신한 전송 블록마다 유지한다.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는, 상태 리포트의 작성 방법은 「복수개의 전송 블록마다」 결정된다. 따라서,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정 결과 유지부(320)는 복수개의 전송 블록에 대응하는 판정 결과를 유지한다. 도 4(a)는 전회 폴이 수신되어 상태 리포트가 작성되고나서, 5개의 전송 블록이 수신된 후의 판정 결과 유지부(320)의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 경우에는 상태 리포트의 작성 방법은 「하나의 전송 블록마다」로 결정된다. 따라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정 결과 유지부(320)는 최대 하나의 전송 블록에 대응하는 판정 결과를 유지한다.
데이터 통신부(330)는 기지국(200)으로부터 송신되는 전송 블록을 수신한다. 또, 데이터 통신부(330)는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로부터 취득한 상태 리포트를 기지국(200)에 송신한다. 따라서, 데이터 통신부(330)는 NACK를 내용으로서 포함 하는 상태 리포트를 송신함으로써,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이든 비실시간계이든 관계없이, 이동국(300)에 의해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았던 전송 블록인 에러 전송 블록의 재송신 요구를 송신하는 재송신 요구부로서 기능한다. 또, 데이터 통신부(330)는 재송신 요구에 따라 송신되는 에러 전송 블록을 수신하는 에러 데이터 블록 수신부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데이터 통신부(330)는 기지국(200)으로부터 폴을 수신한 경우에는 그 취지를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에 통지하고,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로부터 상태 리포트를 취득한다. 따라서, 데이터 통신부(330)는 기지국(200)으로부터 폴이 수신되었을 때에 상태 리포트를 기지국(200)에 송신한다.
또, 데이터 통신부(330)는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한 전송 블록을 수신 윈도우 크기 제어부(360)에 입력한다.
데이터 종류 취득부(340)는 데이터 통신부(330)를 통하여, 기지국(200)으로부터의 데이터 종류의 통지를 받음으로써 데이터 종류를 취득한다.
수신 타이머 제어부(350)는 순서 제어를 위해 유지하는 전송 블록의 수신 측 대기 시간을 관리한다. 즉, 수신 측 대기 시간은 다음에 수신해야 할 제1 전송 블록보다 먼저, 나중에 수신해야할 제2 전송 블록이 취득된 경우에 제2 전송 블록이 취득되고나서 제1 전송 블록이 취득되기까지 기다리는 시간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신 타이머 제어부(350)는 제어부(310)에 의해 설정된 수신 측 대기 시간을 취득하고, 타이머에 설정한다. 수신 타이머 제어부(350)는 다음에 수신해야 할 전송 블록인 제1 전송 블록보다 먼저, 나중에 수신해야 할 제2 전송 블록이 취득된 경우에 타이머를 스타트시킨다. 그리고, 수신 타이머 제어부(350)는 제1 전송 블록이 데이터 통신부(330)를 통하여 수신된 경우에 타이머를 정지시킨다. 한편, 타이머에 설정된 수신 측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제1 전송 블록이 데이터 통신부(330)를 통하여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전송 블록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수신 윈도우 크기 제어부(360)는 이동국(300)에 의해 받아들이는 전송 블록의 범위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신 윈도우 크기 제어부(360)는 제어부(310)에 의해 설정된 수신 윈도우 크기를 취득한다. 그리고, 수신 윈도우 크기는 이동국(300)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전송 블록의 범위를 정하는 것이다. 수신 윈도우 크기 제어부(360)는 이미 수신된 전송 블록의 순번인 TSN과 수신 윈도우 크기에 따라 기지국(200)으로부터 송신될 가능성이 있는 전송 블록의 TSN의 범위를 결정한다.
수신 윈도우 크기 제어부(360)는 에러 검출부(380)로부터 취득한 전송 블록의 TSN이 결정된 TSN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그 전송 블록을 데이터 유지부(315)에 저장한다. 한편, 수신 윈도우 크기 제어부(360)는 데이터 통신부(330)를 통하여 취득한 전송 블록의 TSN이 결정된 TSN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전송 블록을 삭제한다.
상위 블록 재생부(370)는 기지국(200)에 의해 생성된 전송 블록보다 상위 블록을 재생한다. 즉, 기지국(200)의 전송 블록 작성부(280)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의 역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위 블록 재생부(370)는 데이터 유지 부(315)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전송 블록을 분할하거나 또는 결합함으로써, 상위 블록을 복원한다. 그리고,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 경우에는 기지국(200)이 전송 블록을 생성할 때에 결합을 행하지 않으므로, 상위 블록 재생부(370)은 전송 블록의 분할은 행하지 않는다.
에러 검출부(380)는 기지국(200)으로부터 송신된 전송 블록이 이동국(300)에서 정확하게 수신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에러 검출부(380)는 데이터 통신부(330)를 통하여 취득한 전송 블록에 에러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에러 검출부(380)는 예를 들면, 기지국(200)에 의해 전송 블록에 부여되는 CRC(Cyclic Redundancy Code)를 사용하여 전송 블록에 포함되는 에러를 검출한다.
에러 검출부(380)는 전송 블록에 에러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전송 블록이 정확하게 수신된 것으로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ACK로 한다. 한편, 에러 검출부(380)는 전송 블록에 에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전송 블록이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은 경우라고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NACK로 한다. 에러 검출부(380)는 판정 결과를 판정 결과 유지부(320)에 저장한다.
에러 검출부(380)는 제어부(310)에 의해 결정된 상태 리포트 작성 방법을 취득한다. 상태 리포트 작성 방법이 「하나의 전송 블록마다」인 경우에는 에러 검출부(380)는 판정 결과가 판정 결과 유지부(320)에 유지되어 있는 취지를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에 통지한다.
또, 에러 검출부(380)는 전송 블록이 정확하게 수신된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는 전송 블록을 수신 윈도우 크기 제어부(360)에 입력한다. 한편, 또 에러 검출부(380)는 전송 블록이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해당 전송 블록을 삭제한다.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는 상태 리포트를 작성한다. 즉,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는 수신 상황 통지를 작성하는 수신 상황 통지 작성부이다. 또,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는 작성된 상태 리포트를 데이터 통신부(330)에 입력한다.
그리고,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는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는 복수개의 전송 블록에 대해서 상태 리포트를 하나 작성하고,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 경우에는 하나의 전송 블록에 대해서 하나의 상태 리포트를 작성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전송 블록이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전송 블록이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것도 상태 리포트의 역할로 한다.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는 판정 결과 유지부(320)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리포트를 작성한다.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 경우에는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는 에러 검출부(380)로부터 판정 결과가 판정 결과 유지부(320)에 유지되어 있는 취지의 통지를 받았을 때에 상태 리포트를 작성한다. 한편,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는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는 기지국(200)의 데이터 통신부(230)로부터, 데이터 통신부(330)를 통하여 폴을 수신한 취지의 통지를 받았을 때, 상태 리포트를 작성한다. 따라서, 상태 리포트는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는 복수개의 전송 블록에 대해서 하나가 작성되고,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 경우에는 하나의 전송 블록에 대해서 하나가 작성된다. 단, 폴이 수신된 때에, 판정 결과 유지부(320)에 하나의 판정 결과 밖에 유지되어 있지 않으면, 하나의 전송 블록에 대해서 하나의 상태 리포트가 작성된다.
(데이터 송신 방법)
다음에, 통신 시스템(1)에 포함되고, 송신 장치로서 기능하는 기지국(200)에 의하여 실시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기지국(200)에서 상위 블록을 전송 블록으로서 송신하고 필요한 경우에 재송신을 행하는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스텝 S101에서, 기지국(200)은 이동국(300) 사이에서 통신 링크를 확립하고, 데이터 종류 식별부(240)는 기지국(200)과 이동국(300) 사이에서 송수신 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종류를 식별한다.
스텝 S102에서, 제어부(210)는 데이터 종류에 따라 최대 재송신 횟수, 송신 윈도우 크기 및 송신 측 대기 시간을 결정한다.
스텝 S103에서,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 경우에는 전송 블록 작성부(280)가 상위 블록을 분할하고,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는 전송 블록 작성부(280)가 상위 블록을 분할, 또는 결합하여 전송 블록을 작성한다.
스텝 S104에서, 데이터 통신부(230)는 송신되는 전송 블록을 복사하여 작성하고 데이터 유지부(220)에 저장한다.
스텝 S105에서, 데이터 통신부(230)는 전송 블록 또는 폴을 이동국(300)에 송신한다. 그리고, 전송 블록에는 폴이 포함될 수 있다.
스텝 S106에서, 데이터 통신부(230)는 상태 리포트를 수신할 때까지 기다린다.
스텝 S107에서,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스텝 S106에서 수신된 상태 리포트를 해석한다.
스텝 S108에서,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가 상태 리포트에 NACK이 있는지, 즉 송신한 전송 블록이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108에서,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에 의해 NACK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스텝 S109에서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로부터 요구받은 데이터 통신부(330)가, 상태 리포트에 대응하는 전송 블록을 재송신한다.
스텝 Sl10에서, 재송신 횟수 제어부(250)는 전송 블록마다 유지하고 있는 재송신 횟수를 1씩 증가시킨다.
스텝 S111에서, 재송신 횟수 제어부(250)는 재송신 횟수가 최대 재송신 횟수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111에서, 재송신 횟수 제어부(250)는 재송신 횟수가 최대 재송신 횟수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112에서 재송신 횟수 제어부(250)가 데이터 유지부(220)에 유지되어 있는 대응하는 전송 블록을 삭제한다.
한편, 스텝 S108에서 상태 리포트 해석부에 의하여 NACK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 즉 모두 ACK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스텝 S113에서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가 상태 리포드에 대응하는 전송 블록을 데이터 유지부(220)로부터 삭제한다.
도 6은 데이터 종류에 따라 최대 재송신 횟수 및 송신 윈도우 크기를 설정하 는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즉,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스텝 S102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텝 S201에서, 제어부(210)는 데이터 종류 식별부(240)에 의해 식별된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201에서,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202에서 제어부(210)가 최대 재송신 횟수를 NR1으로 설정한다.
스텝 S203에서, 제어부(210)는 송신 윈도우 크기를 SWS1으로 설정한다.
스텝 S204에서, 제어부(210)는 송신 측 대기 시간을 ST1으로 설정한다.
한편, 스텝 S201에서,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가 아닌, 즉 실시간계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205에서 제어부(210)는 최대 재송신 횟수를 NR1보다 작은 NR2로 설정한다.
스텝 S206에서, 제어부(210)는 송신 윈도우 크기를 SWS1보다 작은 SWS2로 설정한다.
스텝 S207에서, 제어부(210)는 송신 측 대기 시간을 ST1보다 작은 ST2로 설정한다.
(데이터 수신 방법)
다음에, 통신 시스템(1)에 포함되고, 수신 장치로서 기능하는 이동국(300)에 의해 실시되는 데이터 수신 방법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이동국(300)에서 전송 블록을 수신하고, 필요한 경우에 재송신을 요구하는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스텝 S301에서, 데이터 종류 취득부(340)는 기지국(200)으로부터의 데이터 종류의 통지를 받음으로써 데이터 종류를 취득한다.
스텝 S302에서, 제어부(310)는 데이터 종류에 따라, 수신 측 대기 시간, 수신 윈도우 크기 및 상태 리포트 작성 방법을 결정한다.
스텝 S303에서, 데이터 통신부(330)는 전송 블록을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303에서, 전송 블록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에 스텝 S304에서 에러 검출부(380)는 수신된 전송 블록에 포함되어 에러를 검출한다.
스텝 S305에서, 에러 검출부(380)는 전송 블록에 에러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05에서, 전송 블록에 에러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306에서 에러 검출부(380)는 전송 블록이 정확하게 수신된 것으로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ACK로 한다.
한편, 스텝 S305에서 전송 블록에 에러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307에서 에러 검출부(380)는 전송 블록이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NACK로 한다.
스텝 S308에서, 에러 검출부(380)는 판정 결과를 판정 결과 유지부(320)에 저장한다.
스텝 S309에서, 에러 검출부(380)는 상태 리포트 작성 방법이 「하나의 전송 블록마다」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309에서, 상태 리포트 작성 방법이 「하나의 전송 블록마다」인 것으로 판단한 에러 검출부(380)로부터 통지를 받은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는 스텝 S310에서 판정 결과 유지부(320)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리포트를 작성하고 데이터 통신부(330)에 입력한다.
스텝 S311에서, 데이터 통신부(330)는 상태 리포트를 기지국(200)에 송신한다.
한편, 스텝 S303에서, 데이터 통신부(330)는 전송 블록을 수신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312에서 데이터 통신부(330)가 폴을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312에서, 데이터 통신부(330)는 폴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도 데이터 통신부(330)로부터 그 취지의 통지를 받은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는 스텝 S310에서 판정 결과 유지부(320)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리포트를 작성하고 데이터 통신부(330)에 입력한다. 그리고, 스텝 S311에서, 데이터 통신부(330)는 상태 리포트를 기지국(200)에 송신한다.
그리고, 스텝 S309에서 상태 리포트 작성 방법이 「하나의 전송 블록마다」가 아닌것으로 판단된 경우, 및 스텝 S312에서 폴이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303으로 되돌아와서 처리가 행해진다.
도 8은 데이터 종류에 따라 수신 측 대기 시간, 수신 윈도우 크기 및 상태 리포트 작성 방법을 설정하는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즉, 도 8은 도 7에서 나타내는 스텝 S302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텝 S401에서, 제어부(310)는 데이터 종류 취득부(340)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401에서,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402에서, 제어부(310)가 수신 측 대기 시간을 RT1으로 설정한다.
스텝 S403에서, 제어부(310)는 수신 윈도우 크기를 RWS1으로 설정한다.
스텝 S404에서, 제어부(310)는 상태 리포트 작성 방법을 「복수개의 전송 블록마다」로 설정한다.
한편, 스텝 S401에서,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가 아닌, 즉 실시간계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405에서 제어부(310)는 수신 측 대기 시간을 RT1보다 작은(짧은) RT2로 설정한다.
스텝 S406에서, 제어부(310)는 수신 윈도우 크기를 RWS1보다 작은 RWS2로 설정한다.
스텝 S407에서, 제어부(310)는 상태 리포트 작성 방법을 「 하나의 전송 블록마다」로 설정한다.
(효과)
종래에는 실시간계의 데이터에 관해서는 재송신 제어를 행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실시간계의 데이터에 관해서도 재송신 제어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데이터의 에러를 억제할 필요가 있었다.
또, 종래에는 비실시간계의 데이터에 대해서 재송신 제어 기술을 적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비실시간계의 데이터의 지연에 관해서는 어느 정 도 관용적이지만, 에러에 관해서는 민감하였고, 한편 실시간계의 데이터는 크게 지연되는 것을 허용할 수 없지만, 데이터의 에러에 관해서는 어느 정도 관용적이다. 즉, 실시간계의 데이터와 비실시간계의 데이터의 특성은 트레이드 오프(trade off)의 관계에 있다. 그러므로, 실시간계의 데이터와 비실시간계의 데이터에 동일한 재송신 제어 기술을 적용하면, 실시간계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지연이 문제가 되고, 비실시간계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충분히 에러를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실시간계와 비실시간계의 2 종류의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재송신 제어 기술을 적용할 때에는, 재송신 제어 기술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데이터 종류에 따라 조정, 즉 튜닝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에 의하면, 데이터 종류 식별부(240)는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종류를 실시간계와 비실시간계로 식별하고, 제어부(210)는 식별된 데이터 종류에 따라 재송신 횟수 제어부(250), 송신 윈도우 크기 제어부(260) 및 송신 타이머 제어부(265)에 의해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조정한다. 또, 제어부(310)는 기지국(200)에 의해 식별된 데이터 종류에 따라, 수신 타이머 제어부(350) 및 수신 윈도우 크기 제어부(360)에 의해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조정한다. 그러므로, 실시간계와 비실시간계의 2 종류의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적절한 재송신 제어 기술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파라미터 조정부가 기지국(200)과 이동국(300)의 양쪽에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200)에서 재송신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파라미터는 최대 재송신 횟수, 송신 윈도우 크기 및 송신 측 대기 시간이고, 이동국(300)에서 재송신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파라미터는 수신 측 대기 시간 및 수신 윈도우 크기이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재송신 제어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실시간계의 데이터와 비실시간계의 데이터 각각에 대해서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310)는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 경우보다 수신 윈도우 크기를 크게, 또 수신 측 대기 시간을 길게 설정하고, 제어부(210)는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 경우보다 최대 재송신 횟수를 많게, 또 송신 윈도우 크기를 크게 설정한다. 그러므로, 지연에 관해서는 어느 정도 관용적이지만 데이터의 에러에 관해서는 민감한 비실시간계의 데이터와, 크게 지연되는 것을 허용할 수 없지만 에러에 관해서는 어느 정도 관용적인 실시간계의 데이터의 각각에 적절하게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지연에 민감한 실시간계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재송신 횟수를 적게 하고, 송신 윈도우 크기 및 수신 윈도우 크기를 작게함으로써 지연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실시간계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재송신 횟수를 적게함으로써 채널의 오버헤드(overhead)를 적게하여 채널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지연에 관용적이고, 에러(로스)에 민감한 비실시간계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재송신 횟수를 많이함으로써 에러의 발생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는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 경우에는 하나의 전송 블록에 대해서 하나의 상태 리포트를 작성하여 데이터 통신부(330)가 송신 하는데 비해,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는 복수개의 전송 블록에 대해서 하나의 상태 리포트를 작성하여 데이터 통신부(330)가 송신한다. 또,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는 기지국(200)으로부터 상태 리포트의 요구(Poll)가 있을 때에만,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가 상태 리포트를 작성하여 데이터 통신부(330)가 송신한다. 그러므로, 크게 지연되는 것을 허용할 수 없는 실시간계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신속하게 재송신의 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지연에 대해서 어느 정도 관용적인 비실시간계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무선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 전송 블록 작성부(280)는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 상위 블록을 분할하거나 또는 결합함으로써 전송 블록을 작성하고, 또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 경우에 상위 블록을 분할함으로써 전송 블록을 작성한다. 그러므로, MAC 계층에서의 데이터의 송수신에 적합한 방법으로 상위 블록을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 경우에는 전송 블록 작성부(280)는 상위 블록의 결합을 행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실시간계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위 블록 재생부(370)는 상위 블록 재생 처리를 신속히 행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종류 식별부(240)는 하나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실시간계 및 비실시간계의 2 종류의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에, 상기 하나의 통신 채널로 송신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종류를 실시간계인 것으로 식별하여도 된다. 이 경우, 실시간계의 데이터가 송신될 때의 지연을 우선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데이터 종류 식별부(240)는 전송 블록에 포함되는 트래픽 클래스 식별자, 또는 기지국(200) 및 이동국(300) 이외의 장치로부터 기지국(200)에 통지되는 트래픽 클래스에 따라, 데이터 종류를 식별한다. 그러므로, 데이터 종류 식별부(240)는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되고 있는 데이터에 따라 데이터 종류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2]
(송신 장치)
이하의 설명에서는, 기지국(200)으로부터 이동국(300)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즉 기지국(200)이 송신 장치로서 기능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00)은 실시예 1에 따른 기지국(200)과 동일한 구성 요소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실시예 1과 다른 기능을 가지는 구성 요소인,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실시예 1에서의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와 마찬가지로, 상태 리포트를 해석함으로써, 전송 블록이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상태 리포트 자체가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국(300)으로부터 송신되는 상태 리포트에는, CRC(Cyclic Redundancy Code) 등, 에러 검출을 가능하게 하는 부가 데이터가 부여되어 있다.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데이터 통신부(230)로부터 취득한 상태 리포트에 부여된 부가 데이터에 따라, 상태 리포트에 포함되는 에러를 검출한다.
상태 리포트의 에러가 검출된 경우에는,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상태 리 포트를 삭제하고, 상태 리포트에 포함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는 TSN에 대응하는 전송 블록, 즉 상태 리포트에 대응하는 전송 블록을 재송신한다.
그리고,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상태 리포트의 에러가 검출된 경우에 상태 리포트의 재송신을 이동국(300)에 요구할 수도 있다.
한편, 상태 리포트의 에러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태 리포트의 내용을 판단한다.
(수신 장치)
이하의 설명에서는, 기지국(200)으로부터 이동국(300)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즉 이동국(300)이 수신 장치로서 기능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300)은 실시예 1에 따른 이동국(300)과 동일한 구성 요소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실시예 1과 다른 기능을 가지는 구성 요소인, 제어부(310) 및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어부(310)는 실시예 1에서의 제어부(310)와 마찬가지로, 이동국(300) 전체의 동작을 관리하고, 또한 수신 윈도우 크기의 크기나 수신 측 대기 시간의 길이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조정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310)는 상태 리포트에 부여되는 부가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도 조정한다. 그리고, 비실시간계의 데이터는 지연에 관해서는 어느 정도 관용적이지만, 에러에 관해서는 민감한데 비해, 실시간계의 데이터는 크게 지연되는 것을 허용할 수 없지만, 에러에 관해서는 어느 정도 관용적이다. 따라 서, 제어부(310)는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는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 경우보다 부가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를 길게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는 데이터 종류 비실시간계인 경우에는 부가 데이터의 길이를 NC1으로 설정하고, 실시간계인 경우에는 NC1보다 작은 NC2로 설정한다. 그리고, NC1, NC2의 값은 제어부(310)에 의해 정해질 수도 있고,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 RNC 등의 다른 장치에 의해 정해지고, 이동국(300)에 통지되어도 된다. 또,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 경우에, 상태 리포트에 부여되는 부가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 및 NC2는 제로(0)로 설정되어도 된다.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는 실시예 1에서의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와 마찬가지로, 전송 블록이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상태 리포트를 작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는 작성된 상태 리포트에 부가 데이터를 부여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는 제어부(310)에 의해 설정된 부가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를 취득한다.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는 작성된 상태 리포트에 제어부(310)로부터 취득한 개수만큼의 부가 데이터를 부여한 후에, 상태 리포트를 데이터 통신부(330)에 입력한다. 그리고, 제어부(310)에 의해 부가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가 제로(0)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는 상태 리포트에 부가 데이터를 부여하지 않는다.
(데이터 송신 방법)
다음에, 실시예 2에서, 송신 장치로서 기능하는 기지국(200)에 의해 실시되 는 데이터 송신 방법에 대하여, 도 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스텝 S501 ~ 스텝 S506는 도 5에서 나타내는 스텝 S101 ~ 스텝 S106과 동일하다.
스텝 S507에서,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부가 데이터에 따라 상태 리포트에 에러가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507에서, 상태 리포트에 에러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508 ~ 스텝 S514의 처리가 행해진다. 스텝 S508 ~ 스텝 S514의 처리는 도 5에 나타내는 스텝 S107 ~ 스텝 S113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태 리포트에 부가 데이터가 부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스텝 S508 ~ 스텝 S514의 처리가 행해진다.
한편, 스텝 S507에서, 상태 리포트에 에러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판정 결과에 NACK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송 블록이 재송신된다. 즉, 스텝 S510 ~ 스텝 S512의 처리가 행해진다.
(데이터 수신 방법)
다음에, 실시예 2에서, 수신 장치로서 기능하는 이동국(300)에 의해 실시되는 데이터 수신 방법에 대하여, 도 10 및 도 1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스텝 S601은 도 7에서 나타내는 스텝 S301과 동일하다.
스텝 S602에서, 제어부(310)는 수신 측 대기 시간, 수신 윈도우 크기 및 상태 리포트 작성 방법 외에, 부가 데이터의 길이도 설정한다.
스텝 S603 ~ 스텝 S610는 도 7에서 나타내는 스텝 S303 ~ 스텝 S310과 동일 하다.
스텝 S611에서,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는 상태 리포트에 부가 데이터를 부여한다. 그리고, 제어부(310)에 의해 부가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가 제로(0)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는 상태 리포트에 부가 데이터를 부여하지 않는다.
스텝 S612에서, 데이터 통신부(330)는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로부터 취득한 부가 데이터가 부여된 상태 리포트를 기지국(200)에 송신한다.
스텝 S613은 도 7에서 나타내는 스텝 S312와 동일하다.
도 11은 데이터 종류에 따라 수신 측 대기 시간, 수신 윈도우 크기 및 상태 리포트 작성 방법 외에, 부가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를 설정하는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즉,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스텝 S602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텝 S701 ~ 스텝 S704는 도 8에 나타내는 스텝 S401 ~ 스텝 S404와 동일하다.
스텝 S701에서,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705에서 제어부(310)는 부가 데이터의 길이를 NC1으로 설정한다.
스텝 S706 및 스텝 S707은 도 8에 나타내는 스텝 S405 및 스텝 S406와 동일하다.
스텝 S701에서,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가 아닌, 즉 실시간계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708에서 제어부(310)는 부가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를 NC1보다 짧은 NC2로 설정한다.
(효과)
본 실시예에서의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 제어부(310) 및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에 의하면, 실시예 1에서 얻어지는 효과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는 에러 검출을 가능하게 하는 부가 데이터가 부여된 상태 리포트를 작성하여 데이터 통신부(330)가 기지국(200)에 송신하고,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부가 데이터에 따라, 취득한 상태 리포트의 에러를 검출하기 위해, 상태 리포트에 대한 에러 내성이 강화된다. 그러므로, 송신 장치로서 기능하는 기지국(200)에서 상태 리포트가 해석될 때의 에러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MAC 계층에서의 불필요한 재송신 처리나, 상위 계층에서의 불필요한 재송신 처리 등이 억제되고, 통신 시스템(1)에서의 스루풋(throughput) 특성이 향상된다.
또,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 경우보다 부가 데이터의 길이가 길다. 그러므로, 에러에 대한 요구가 비교적 낮은 실시간계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충분한 에러 내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채널의 오버헤드를 적게할 수 있어서 채널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에러에는 민감한 비실시간계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수신 장치에서 정확하게 수신할 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송신 장치가 수신 장치에 의해 정확하게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ACK/NACK 에러를 억제할 수 있고, 신뢰도가 높은 ACK/NACK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3]
(송신 장치)
이하의 설명에서는, 기지국(200)으로부터 이동국(300)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즉 기지국(200)이 송신 장치로서 기능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기지국(200)은 실시예 1에 관한 기지국(200)과 동일한 구성 요소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실시예 1과 다른 기능을 가지는 구성 요소인,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실시예 1에서의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와 마찬가지로, 상태 리포트를 해석함으로써, 전송 블록이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국(300)은 상태 리포트를 소정의 반복 횟수(RN)만큼 송신한다. 따라서,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데이터 통신부(230)를 통하여 동일한 내용을 포함하는 상태 리포트를 RN회 만큼 취득한 경우에 유효한 상태 리포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태 리포트의 내용을 판단한다.
한편,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취득한 RN개의 상태 리포트가 동일한 내용이 아닌 경우는, 무효 상태 리포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고, RN개의 상태 리포트를 삭제한다.
소정의 반복 횟수 RN은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 경우보다 많게 설정된다. 그리고, 소정의 반복 횟수 RN은 제어부(210)에 의해 설정되어도 되고, 이동국(300)의 제어부(310) 또는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 러(RNC) 등의 다른 장치에 의해 설정되고, 기지국(200)에 통지되어도 된다. 단, 소정의 반복 횟수 RN은 기지국(200)과 이동국(300)의 사이에서 사전에 합의되어 있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태 리포트를 송신하고 해석하는 처리에 대하여 도 1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2에서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태 리포트는 1 비트로 구성되며,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NACK를 나타낸 상태 리포트는 “0”이며, ACK를 나타낸 상태 리포트는 “1”이다. 또, 반복 횟수 RN은 5이다.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도 12(d)에서 비트열“0000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통신부(230)를 통하여 5개의 상태 리포트 “0”를 취득한 경우에는 유효한 상태 리포트 “0”를 취득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태 리포트 해삭부(270)는 NACK를 내용으로 하는 상태 리포트를 취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도 12(d)에 비트열“1111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통신부(230)를 통하여 5개의 상태 리포트“1”을 취득한 경우에는 유효한 상태 리포트“1”을 취득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ACK를 내용으로 하는 상태 리포트를 취득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도 12(e)에서 비트열 “01000”나 “11101”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5개의 상태 리포트가 동일한 내용이 아닌 경우에는 무효 상태 리포트가 취득된 것으로 판단하고, 5개의 상태 리포트를 삭제한다.
(수신 장치)
이하의 설명에서는, 기지국(200)으로부터 이동국(300)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즉 이동국(300)이 수신 장치로서 기능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이동국(300)은 실시예 1에 따른 이동국(300)과 동일한 구성 요소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실시예 1과 다른 기능을 가지는 구성 요소인,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는 실시예 1에서의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와 마찬가지로, 전송 블록이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 상태 리포트를 작성한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는 상태 리포트를 소정의 반복 횟수(RN)만큼 데이터 통신부(330)에 입력한다.
여기서, 데이터 통신부(330)는 취득한 상태 리포트를 기지국(200)에 송신하므로, 데이터 통신부(330)는 상태 리포트를 소정의 반복 횟수(RN) 만큼 송신한다.
그리고, 소정의 반복 횟수 RN의 설정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태 리포트를 소정의 횟수만큼 송신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1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NACK를 나타낸 상태 리포트는 “0”이며, ACK 를 나타낸 상태 리포트는 “1”이다. 또, 반복 횟수 RN은 5이다.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는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상태 리포트를 5회만큼 데이터 통신부(330)에 입력한다.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는 NACK를 나타낸 상태 리포트를 작성한 경우에는 “0”를 포함하는 상태 리포트를 5회만큼 데이터 통신부(330)에 입력하고, ACK를 나타낸 상태 리포트를 작성한 경우에는, “ 1”을 포함하는 상태 리포트를 5회만큼 데이터 통신부(330)에 입력한다.
도 12(c)는 5개의 상태 리포트가 송신되는 타이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는 사전에 정해진 소정의 시간 간격 t로 5개의 상태 리포트를 데이터 통신부(330)에 입력한다. 도 12(c)는 일례로서, 소정의 시간 간격 t가 1TTI인 경우에 상태 리포트가 송신되는 예를 나타낸다.
(데이터 송신 방법)
다음에, 실시예 3에서, 송신 장치로서 기능하는 기지국(200)에 의해 실시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에 대하여,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복수개의 상태 리포트에 따라, 전송 블록이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즉, 도 13은 도 5에서 나타내는 스텝 S106 ~ 스텝 S108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텝 S801에서,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RN개의 상태 리포트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801에서,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RN개의 상태 리포트를 수신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802에서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복수개의 상태 리포트가 모두 동일한 내용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802에서,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이 RN개의 모든 상태 리포트가 동일한 내용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803에서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상태 리포트의 내용이 ACK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803에서, 모든 상태 리포트가 ACK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804에서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상태 리포트의 내용이 ACK인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스텝 S803에서 모든 상태 리포트가 NACK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805에서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상태 리포트의 내용이 NACK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스텝 S804의 처리 후에, 도 5에 나타내는 스텝 S113 이후의 처리가 행해지고, 스텝 S805의 처리 후에, 도 5에 나타나 있는 스텝 S113 이후의 처리가 행해진다.
또, 스텝 S801에서,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가 RN개의 상태 리포트를 수신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및 스텝 S802에서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가 RN개의 모든 상태 리포트가 동일한 내용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유효한 상태 리포트를 수신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스텝 S801부터 처리가 계속된다.
그리고,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가 유효한 상태 리포트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스텝 S801부터 처리가 계속 되는 것은 도 5에 나타내는 스텝 S106에서 상태 리포트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의 처리에 대응한다.
(데이터 수신 방법)
다음에, 실시예 3에서, 수신 장치로서 기능하는 이동국(300)에 의해 실시되는 데이터 수신 방법에 대하여, 도 1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복수개의 상태 리포트를 송신하는 것에 따라서 임의의 상태 리포트 를 송신하는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즉, 도 14는 도 7에서 나타내는 스텝 S311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텝 S901에서,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로부터 취득한 상태 리포트를 데이터 통신부(330)가 송신한다.
스텝 S902에서,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는 송신 횟수를 1씩 증가시켜서, 상태 리포트를 데이터 통신부(330)에 입력한 횟수, 즉 송신 횟수가 RN회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902에서,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가 송신 횟수가 RN회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상태 리포트를 데이터 통신부(330)에 입력하는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902에서,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가 송신 횟수가 RN회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901로 복귀하고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가 데이터 통신부(330)에 상태 리포트를 입력하기 위해, 데이터 통신부(330)가 상태 리포트를 송신한다.
(효과)
본 실시예,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와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에 의하면, 실시예 1에서 얻어지는 효과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330)는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로부터 취득한 상태 리포트를 반복 횟수만큼 송신하고,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동일한 상태 리포트를 반복 횟수만큼 수신한 경우에 유효한 상태 리포트를 수신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므로, 수신 장치로 정확하게 수신할 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송신 장치가 수신 장치 에 의해 정확하게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ACK/NACK 에러를 억제할 수 있고, 신뢰도가 높은 ACK/NACK 송수신, 즉 상태 리포트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 반복 횟수는,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 경우보다 많다. 그러므로, 에러에 관해서는 어느 정도 관용적인 실시간계의 데이터의 경우에 충분한 에러 내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채널의 오버헤드를 억제하여 채널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지연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관용적이지만, 에러에 대해서는 민감한 비실시간계 데이터의 경우에 많은 상태 리포트가 송수신됨에 따라서 보다 신뢰도가 높은 ACK/NACK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그 외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따라서 기재했지만, 명시된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않된다. 본 개시에 의하여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예,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분명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기지국(200)에 구비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이동국(300)이 구비하고, 이동국(300)에 구비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기지국(200)이 구비하여도 된다. 이 경우, 이동국(300)으로부터 기지국(200)에 송신되는 데이터에 대한 재송신 제어를 데이터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기지국(200)에 구비되어 있는 구성 요소가 복수개의 장치로 나누어져 구비되어 있어도 되고, 이동국(300)에 구비되어 있는 구성 요소가 복수개의 장치로 나누어져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그 때는, 이들 복수개의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가 교환되도록 버스 등으로 장치 사이가 접속되어 있는 것으 로 가정한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기지국(200)에 구비되어 있는 데이터 종류 식별부(240)가 데이터 종류를 식별하여 제어부(210) 및 기지국(200)으로부터 통지된 데이터 종류를 취득한 제어부(310)가 파라미터를 조정하였지만, 재송신 제어에 사용되는 모든 파라미터를 기지국(200)이 설정하여 이동국(300)에 통지해도 되고, 또는 모든 파라미터를 이동국(300)이 설정하여 기지국(200)에 통지해도 된다. 즉, 파라미터 조정부가 송신 장치 또는 수신 장치의 어느 하나의 장치에만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 등의 다른 장치가 재송신 제어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기지국(200) 및 이동국(300)에 통지해도 된다. 즉,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외의 다른 장치에 파라미터 조정부가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전술한 실시예 3에서는,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복수개의 상태 리포트가 모두 동일하지 않는 경우에 상태 리포트가 무효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예를 들면, 복수개의 상태 리포트 중, 50% 이상의 상태 리포트가 동일한 경우에 유효한 상태 리포트를 취득한 것으로 판단하여도 된다. 이 경우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는, 50% 이상의 상태 리포트가 나타낸 내용으로부터 전송 블록이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 기지국(200)과 이동국(300)이 실시예 2와 실시예 3을 조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200)에 구비되는 상태 리포트 해석부(270)와 이동국(300)에 구비되는 제어부(310) 및 상태 리포트 작성부(390)는 실시예 1에서 구비하는 기 능에 더하여 상태 리포트에 대한 부가 데이터 부여에 관한 기능 및 상태 리포트의 반복 횟수 송신에 관한 기능을 가져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기지국(200)이 송신 장치로서 기능하고 이동국(300)이 수신 장치로서 기능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므로, 기지국(200)과 이동국(300) 사이의 무선 링크를 통하여 상위 블록 또는 전송 블록으로서 데이터가 송수신 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전송로는 무선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유선일 수도 있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재송신 되는 데이터 단위인 데이터 블록은 MAC 계층에서 취급되는 전송 블록인 것으로 가정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MAC 계층보다 상위의 프로토콜 계층에서 취급되는 데이터 단위일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시간계와 비실시간계의 2 종류의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적절한 재송신 제어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2)

  1. 실시간계 및 비실시간계의 2 종류의 데이터를 데이터 블록마다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이든 비실시간계이든 관계없이,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았던 상기 데이터 블록인 에러 데이터 블록의 재송신 요구를 송신하는 재송신 요구부와,
    상기 재송신 요구에 따라, 상기 에러 데이터 블록을 재송신하는 재송신부와,
    상기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지 혹은 비실시간계인지를 식별하는 데이터 종류 식별부와,
    상기 데이터 종류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상기 데이터 종류에 따라, 상기 2 종류의 데이터의 재송신 제어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재송신 제어에 사용되는 윈도우 크기, 대기 시간 및 최대 재송신 횟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조정부는, 상기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 상기 데 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 경우보다 상기 윈도우 크기를 크게, 상기 대기 시간을 길게, 또 상기 최대 재송신 횟수를 많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는 복수개의 상기 데이터 블록에 대해서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상기 데이터 블록이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수신 상황 통지를 하나 작성하고, 상기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 경우에는 하나의 상기 데이터 블록에 대해서 하나의 상기 수신 상황 통지를 작성하는 수신 상황 통지 작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재송신 요구는 전송 블록(transport block)이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 상기 수신 상황 통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데이터 블록을 정확하게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 수신 상황 통지를 상기 수신 장치에 요구하는 수신 상황 통지 요구부와,
    상기 수신 상황 통지를 작성하는 수신 상황 통지 작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재송신 요구부는 상기 수신 상황 통지 요구부로부터 상기 수신 상황 통지의 요구가 있을 때에 상기 수신 상황 통지 작성부에 의해 작성된 상기 수신 상황 통지를 송신하고,
    상기 재송신 요구는 상기 전송 블록이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 상기 수신 상황 통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상황 통지 작성부는 상기 수신 상황 통지에 에러 검출을 가능하게 하는 부가 데이터를 부여하고,
    상기 부가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는, 상기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 상기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 경우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송신 요구부는 상기 수신 상황 통지를 소정의 반복 횟수 송신하고,
    상기 반복 횟수는, 상기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 상기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 경우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종류가 비실시간계인 경우에 상기 데이터 블록이 취급되는 프로토콜 계층(protocol layer)보다 상위의 프로토콜 계층에서 취급되는 데이터 단위인 상위 블록을 분할하거나 또는 결합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블록을 작성하고, 또한 상기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 경우에 상기 상위 블록을 분할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블록을 작성하는 전송 블록 작성부와,
    상기 전송 블록 작성부에 의해 작성된 상기 전송 블록으로부터 상기 상위 블록을 재생하는 역처리를 행하는 상위 블록 재생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종류 식별부는 하나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실시간계 및 비실시간계의 2 종류의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에 상기 하나의 통신 채널로 송신되는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종류를 실시간계인 것으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된 통신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종류 식별부는 상기 데이터 블록에 포함되는 트래픽 클래스 식별자, 또는 상기 송신 장치 및 상기 수신 장치 이외의 장치로부터 상기 송신 장치에 통지되는 트래픽 클래스에 따라, 상기 데이터 종류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1. 실시간계 및 비실시간계의 2 종류의 데이터를 데이터 블록마다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장치로서,
    상기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이든 비실시간계이든 관계없이,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았던 상기 데이터 블록인 에러 데이터 블록의 재송신 요구를 취득하는 재송신 요구 취득부와,
    상기 재송신 요구에 따라, 상기 에러 데이터 블록을 재송신하는 재송신부와
    상기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인지 혹은 비실시간계인지를 식별하는 데이터 종류 식별부와,
    상기 데이터 종류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상기 데이터 종류에 따라, 상기 2 종류의 데이터의 재송신 제어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2. 실시간계 및 비실시간계의 2 종류의 데이터를 데이터 블록마다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장치로서,
    상기 데이터 종류가 실시간계이든 비실시간계이든 관계없이,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았던 상기 데이터 블록인 에러 데이터 블록의 재송신 요구를 송신하는 재송신 요구부와,
    상기 재송신 요구에 따라 송신되는 상기 에러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는 에러 데이터 블록 수신부와,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종류를 취득하는 데이터 종류 취득부와,
    상기 데이터 종류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데이터 종류에 따라, 상기 2 종류의 데이터의 재송신 제어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KR20060009660A 2005-02-01 2006-02-01 통신 시스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KR200600885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25650 2005-02-01
JP2005025650A JP4580770B2 (ja) 2005-02-01 2005-02-01 通信システム及び受信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692A Division KR20070100196A (ko) 2005-02-01 2007-08-17 통신 시스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507A true KR20060088507A (ko) 2006-08-04

Family

ID=360009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09660A KR20060088507A (ko) 2005-02-01 2006-02-01 통신 시스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KR1020070082692A KR20070100196A (ko) 2005-02-01 2007-08-17 통신 시스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692A KR20070100196A (ko) 2005-02-01 2007-08-17 통신 시스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190610A1 (ko)
EP (1) EP1686716B1 (ko)
JP (1) JP4580770B2 (ko)
KR (2) KR20060088507A (ko)
CN (1) CN1815943A (ko)
DE (1) DE602006011661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4110B2 (en) 2007-01-23 2013-0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6878B2 (en) * 2002-06-04 2013-11-05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parties in real-time data communication
CN101132260B (zh) 2006-08-22 2010-06-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增强上行链路异步混合自动重传请求的重传控制方法
US7519602B2 (en) * 2006-10-31 2009-04-14 Sap Ag Systems and methods for information exchange using object warehousing
US7865887B2 (en) * 2006-11-30 2011-01-04 Sap Ag Context based event handling and execution with prioritization and interrupt management
US7813296B2 (en) * 2006-12-27 2010-10-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dap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time in packet based cellular systems
EP2115924A4 (en) 2007-03-06 2012-11-28 Thomson Lic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AND EVOLVING PACKET ERROR CORRECTION
US8134963B1 (en) * 2007-04-05 2012-03-13 Ericsson Ab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connection set-up time
US8775450B2 (en) * 2007-04-19 2014-07-08 Sap Ag Systems and methods for information exchange using object warehousing
KR101007824B1 (ko) * 2007-05-02 2011-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합 자동 재송 요구 방식을 사용하는 기지국과 단말간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RU2449502C2 (ru) * 2007-06-19 2012-04-27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Способы и системы для планирования ресурсов в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истеме
JP4478180B2 (ja) 2007-08-10 2010-06-09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CN103067142B (zh) * 2007-10-03 2016-03-02 富士通株式会社 无线通信装置
US20100122134A1 (en) * 2008-11-10 2010-05-13 Qualcomm Incorporated Application-configured, content-based retransmission scheme for dropped media access control frames
KR101635894B1 (ko) * 2008-12-09 2016-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실시간 서비스 처리 방법 및 방송 수신기
KR20100082106A (ko) * 2009-01-08 2010-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 파이 멀티미디어 기반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8782725B2 (en) 2009-01-15 2014-07-15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non-real time service and broadcast receiver
KR101695820B1 (ko) * 2009-01-15 2017-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실시간 서비스 처리 방법 및 방송 수신기
JP2010239176A (ja) * 2009-03-30 2010-10-21 Saxa Inc 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および無線通信制御方法
CN102055571B (zh) * 2009-11-05 2014-01-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包的传输方法、通信设备和通信系统
JP5800365B2 (ja) 2009-12-18 2015-10-28 日本電気株式会社 転送装置、転送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2291770B (zh) 2010-06-21 2014-07-30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基于载波聚合的通信系统中优化用户面操作的方法和装置
US8418017B2 (en) * 2010-08-31 2013-04-09 Canon Kabushiki Kaisha Adaptive acknowledgment mechanism for network communication
US9438384B2 (en) * 2011-03-08 2016-09-06 Qualcomm Incorporated Providing multiple retransmission policies for a single data stream by mapping differentiated services code point (DSCP) bit fields to 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 (MPDU) bit fields
EP2661138A1 (en) * 2012-05-04 2013-11-06 Panasonic Corporation Threshold-based and power-efficient scheduling request procedure
JP5976934B2 (ja) * 2013-06-28 2016-08-24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JP6123905B2 (ja) * 2013-09-26 2017-05-10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移動局、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EP3241297B1 (en) * 2015-01-30 2020-07-15 Sony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JP6845628B2 (ja) 2016-07-07 2021-03-17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N112713970B (zh) * 2016-11-02 2022-05-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发送报文的方法、装置、芯片及终端
CN108988994B (zh) * 2017-05-31 2020-09-04 华为技术有限公司 报文的重传方法及装置
CN109756305B (zh) * 2017-11-01 2022-05-06 上海交通大学 传输文件的控制/管理方法、系统、可读存储介质及设备
CN110034857B (zh) * 2019-04-17 2021-12-21 广东三维家信息科技有限公司 请求发送的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US11202314B2 (en) * 2019-06-18 2021-12-14 Sony Group Corporation Immediate retransmission scheme for real time applications
US11464054B2 (en) 2019-07-24 2022-10-04 Sony Group Corporation RTA contention collision avoidance
US11696112B2 (en) * 2020-03-31 2023-07-04 Sony Group Corporation TS operation for RTA session management
US11516846B2 (en) * 2020-05-11 2022-11-29 Sony Group Corporation RTA packet duplication in time and frequency
WO2023210705A1 (ja) * 2022-04-27 2023-11-02 京セラ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8829B2 (ja) * 1996-02-05 2005-06-08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通信方法
JPH1084336A (ja) * 1996-07-18 1998-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再送制御方法
US6920150B1 (en) * 1997-09-30 2005-07-19 Lucent Technologies Inc. Adaptive communications transcoding and error control
US6496481B1 (en) * 1998-07-16 2002-12-1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Data transfer method for wire real-time communications
JP4101993B2 (ja) * 1999-12-03 2008-06-18 三菱電機株式会社 有線無線混在網データ配信装置及び有線無線混在網データ配信方法
WO2002032082A1 (fr) * 2000-10-13 2002-04-18 Sony Corporation Systeme de commande de la vitesse de communication de donnees, appareil emetteur et appareil recepteur
FI111421B (fi) * 2000-12-20 2003-07-15 Nokia Corp Tiedonsiirtomenetelmä ja radiojärjestelmä
US7142508B2 (en) * 2000-12-22 2006-11-28 Radianc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transfer rates on a network
JP2002359609A (ja) * 2001-05-31 2002-12-13 Nec Eng Ltd 誤り訂正レート可変システム
JP4198921B2 (ja) * 2002-02-28 2008-12-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適応無線パラメータ制御方法、QoS制御装置、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434054B1 (ko) * 2002-04-26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래디오 링크 콘트롤의 폴링방법
KR100802619B1 (ko) * 2002-11-07 2008-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에 따르는 수신기에서의 알엘씨데이터 수신 윈도우 처리 방법
KR100800797B1 (ko) * 2004-01-28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4110B2 (en) 2007-01-23 2013-0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86716A1 (en) 2006-08-02
EP1686716B1 (en) 2010-01-13
DE602006011661D1 (de) 2010-03-04
KR20070100196A (ko) 2007-10-10
US20060190610A1 (en) 2006-08-24
CN1815943A (zh) 2006-08-09
JP4580770B2 (ja) 2010-11-17
JP2006217085A (ja) 200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0770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受信装置
US80002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of radio link control lay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U2003276747B2 (en) Method for moving a receive window in a radio access network
US7920477B2 (en) Network layer error control systems and methods
DK2315383T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bmitting a status report
JP5064378B2 (ja) データブロック伝送制御装置及び方法
US8526397B2 (en) TTI bundling indication to non-serving base station
US68395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based reception of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88784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base station and hand over reconnection method for use therewith including an accumulation portion for holding data
CN100438397C (zh) 无线通信系统中的下行数据重传方法
US20070140123A1 (en) Control station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packet communication system, and packet communication method
US8934935B2 (en) Processing of uplink data in a communications system
JP2005064594A (ja) フレーム送受信システム、フレーム送信装置、フレーム受信装置、及びフレーム送受信方法
JPWO2002056631A1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CN101507319A (zh) 数据重传方法、网络控制装置、移动台及基站
US7881204B2 (en) Mobile telecommunication
US881292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program storage medium,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storage medium
US20090312007A1 (en) Re-establishment of a rlc entity
KR20100051159A (ko) 통신 시스템 및 그의 패킷 송수신 방법
JP2007158495A (ja) データ通信装置およびデータ通信方法
WO2007148630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無線通信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718

Effective date: 2007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