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7785A - 건강 기능성 베개 - Google Patents

건강 기능성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7785A
KR20060087785A KR1020050008615A KR20050008615A KR20060087785A KR 20060087785 A KR20060087785 A KR 20060087785A KR 1020050008615 A KR1020050008615 A KR 1020050008615A KR 20050008615 A KR20050008615 A KR 20050008615A KR 20060087785 A KR20060087785 A KR 20060087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buckwheat
dried
herbal medicine
rose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적정
Original Assignee
김적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적정 filed Critical 김적정
Priority to KR1020050008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7785A/ko
Publication of KR20060087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침구의 일종인 베개에 관한 것으로, 베게 속으로 채워지는 것을 한약재로 채움토록 하여 한약 특유의 발향에 의한 숙면과 각종 질병의 예방이나 치료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통상 사용되는 베개는 왕겨 또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입자상의 또는 발포상의 성형물 또는 섬유 등으로 속채움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단순한 머리의 받침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따라서 본 발명은 베게속의 채움을 한약재로 사용하고 이러한 한약재의 채움시 재질의 단단함에 의한 사용상의 문제와 장시간의 사용시 건조에 의한 부서짐 등을 메밀껍질로 감싸여 지도록 하여 냉 성분의 메밀껍질이 한약재의 특유한 발향에 의하여 항균 기능은 물론 숙면과 각종 질병의 예방치료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숙면 베개.

Description

건강 기능성 베개{A healthful functional pillow}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한약제와 메밀껍질이 혼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메밀껍질에 의하여 완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한방약재 2: 메밀껍질
3: 커버
본 발명은 머리를 바닥에 대고 휴식이나 취침시 사용되는 베개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베게에 채워지는 베게속을 한약재로 채움토록 하여 한약 특유의 발향에 의한 숙면의 유도와 각종 질병의 예방이나 치료가 가능토록 한 것이고, 동시에 한약재의 재질에 따라 단단함에 의한 베게의 사용의 불편함과 부서짐에 의한 지저분함을 보완하기 위하여 머리를 차게 식혀주는 메밀겁질을 사용하여 머리를 식혀주면서 동시에 완충과 부서짐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통상 사용되는 베개는 습을 빨아들이지 않는 왕겨 또는 중앙이 관통되어진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입자상의 알갱이 또는 발포상의 성형물 또는 섬유 등 또는 이들의 혼합은 물론 다양한 것을 이용하여 속채움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단순한 머리의 받침에 불과하다는 것이고 이러한 받침이 단지 머리를 받치기 위한 것이어서 새로운 기능성의 베게가 요구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머리를 맑게 하는 효능이 있는 석창포, 두통 치료 효능이 있는 감국, 혈액순환에 좋은 만형자, 소화에 좋은 진피, 강장제로 사용되는 원지, 발향 효과가 있는 자단, 감기 예방에 효능이 있는 세신, 항균 작용이 있는 정향들로 구성된 한방 약제 성분들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베개 속으로 사용토록 함으로서 다양한 건강 기능을 갖도록 하면서, 세균 번식 방지에 따른 청결 유지를 도모토록 하고, 또한 이러한 한약제가 딱딱한 질감을 발생토록 하거나 부서지는 부분에 대하여는 메밀껍질을 이용하여 이러한 메밀껍질이 차거운 성분과 완충효능을 발생토록 함으로서 딱딱한 질감과 부서짐을 완화토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개의 속채움재로 사용되는 것은 한방약재(1)와 이러한 한방약재(1)와 혼합되어 한방약재의 사이사이에 끼여질 수 있고 차가운 성질을 갖는 메밀껍질(2)이 적당량 혼합된 것이다.
우선 한방약제의 종류로는 머리를 맑게 하는 석창포와; 두통 치료 효능이 있는 감국과; 혈액순환에 좋은 만형자와; 소화에 좋은 진피와; 강장제로 사용되는 원 지와; 발향 효과가 있는 자단과; 감기 예방 효능이 있는 세신과; 항균 작용이 있는 정향으로 구성되는 것이고, 이러한 한약제의 종류는 동일한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한방약제와 이러한 한방약제의 딱딱한 질감과 부서짐을 방지하기 위한 메밀껍질은 머리를 차갑게 하여 혈액순환에 효능을 발휘하는 메밀껍질을 혼합하는 것이고 그 혼합비율은 약제 성분들을 1로 할때 메밀껍질은 1 ~ 3.5의 비율로 혼합시킨 것을 베개 속으로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한방 약제 성분과 메밀껍질의 비율에 있어서, 메밀껍질이 1 이하로 될 경우에는 한방약제의 딱딱한 질감을 느끼게 되고 메밀껍질이 한방약재의 사이에 골고루 침투되어지지 않게 되면서 부스러짐이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고, 3.5 이상으로 될 경우에는 메밀껍질의 함량 과다로 한방약재가 파묻히게 되어 발향효과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한방약재의 딱딱한 질감이 없고 발향이 가장 적정하게 발향토록 되는 것은 메밀껍질이 한방약재보다 1 ~ 3.5배 사이로 할 경우가 베개의 질감과 한방약재의 발향에 의한 효능을 고려해 볼 때 적정 혼합비율인 것이다.
이때 메밀껍질과 한방약재가 혼합된 이후에는 일정한 압으로 가압토록 함으로서 메밀껍질의 긴밀한 밀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한방 약제 성분들은 전체 한방 약제 성분 대비 석창포 20%, 감국 20%, 만형자 20%, 진피 5%, 원지 10%, 자단 10%, 세신 10%, 정향 5%의 혼합비율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혼합비율은 주로 머리를 맑게 하는 석창포, 두통 치료 효능이 있는 감국, 혈액순환에 좋은 만형자를 각각 20%의 동일한 비율로 혼합하여 한방 약제 성분 전체량의 60%가 되도록 높게 함유토록 함으로서 주로 머리에 대한 효능에 주력토록 하였으며, 강장제로 사용되는 원지에는 가래를 쉽게 내보내는 작용과 급성 및 만성기관지염, 폐염, 후두염에도 작용되는 성분이 포함되어 감기 예방 효과가 있는 세신과 그 작용면에서 유사할 뿐 아니라 상승 작용에 의한 보다 높은 효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각각 10%의 동일한 비율로 함유토록 하여 한방 약제 성분 전체량의 20%가 되도록 함으로서 감기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소화에 좋은 진피는 귤 껍질로서 감기 예방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모세혈관의 저항성과 적혈구의 삼투저항성, 정맥울형 등 주로 혈액순환에 관계되어 다른 성분들과의 중복 효능이 있고, 껍질 형태로서 다량 포함 시 베개의 질감을 딱딱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성분들보다 적은 5%의 비율로 함유토록 하였고, 발향효과가 있는 자단은 10%의 비율을 함유시켜 은은한 향나무 향에 의한 발향효과로 심신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항균작용이 있는 정향은 이미 상기한 한방 성분들과 메밀껍질 등에 의하여 머리에 땀이 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5%의 소량 비율만을 함유시켜도 베개 속의 세균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베개 속 구성성분들의 혼합 비율은 상기 언급한 비율에서 각각의 성분비율 ±30% 범위 내에서의 조정이 가능한 것으로, 이 정도의 조정 범위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전혀 문제가 없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베개 속 구성성분들의 각각에 대한 사용일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한방약제 성분으로서, 석창포는 석창포의 줄기를 세절하여 건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세절 형태에 따른 효과의 차이는 없는 것이고, 감국은 꽂을 건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고, 만형자는 순비기나무의 열매를 건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고, 진피는 오래묵은 귤 껍질을 건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고, 원지는 원지의 뿌리를 세절하여 건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고, 자단은 자단나무의 껍질을 건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고, 세신은 세신의 뿌리를 세절하여 건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고, 정향은 정향의 꽂봉오리를 건조하여 사용한 것으로, 상기 한방약제성분들은 통상의 한방약제상에서 모두 구입할 수 있는 것으로, 이미 그 약제 성분들에 대한 효능이 입증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밀껍질은 한국식 전통 베개 속에 사용되었던 형태의 것을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베게는 메밀껍질과 다양한 성분의 한방약제를 속으로 사용토록 함으로서 통풍이 우수하여 머리에 땀이 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메밀껍질의 딱딱한 질감을 한방약제에 의하여 어느 정도 완화시켜 머리가 덜 배기게 됨으로서 현대인들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메밀껍질과 만형자의 혈액순환 기능으로 수면 시 머리에 열이 오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전신의 혈액순환 촉진으로 피로를 덜 수 있고, 또한 석창포에 의하여 머리가 맑아져 수험생들의 학업과 직장인들의 업무에 도움을 주고, 감국에 의하여 스트레스나 과로에 의한 두통을 완화시킬 수 있고, 진피에 의한 소화 촉진과, 원지에 의한 신진대사의 촉진으로 체력에 도움을 주고, 자단의 발향으로 심신의 안정 및 불면증을 해소하고, 세신에 의한 감기 예방과, 정향에 의항 항균 작용으로 베개 속 세균들의 번식 및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배개 속의 구성성분들은 주로 머리를 많은 쓰는 현대인들을 위하여 대부분이 머리를 맑게 하고 머리에 열을 내려주는 성분들의 비율을 높임으로서 수면을 취하는 동안 머리를 충분히 안락하고 편안한 상태를 유지토록 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다른 신체 활동에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 현대인의 고질병인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베개는 한국식 베개 속으로 사용해 왔던 메밀껍질에 치료, 항균, 발향 기능이 있는 다양한 한방 약제들을 혼합하여 사용토록 함으로서 혼합된 성분들의 상승 및 보완 작용으로 다양한 건강 효능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메밀껍질만을 속으로 사용한 것보다 질감이 부드러워 사용이 편리하고, 항균 기능으로 세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고, 향 발산으로 정신적 안정감은 물론 머리 냄새를 없애주기 때문에 안락한 수면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한방약제와 메밀껍질이 1:1∼3.5의 비율로 혼합되어 메밀껍질이 한방약재의 사이에 침투되면서 완충과 부서짐을 방지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능성 베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약제성분은 석창포20%, 감국은 20%, 만형자 20%, 진피 5%, 원지 10%, 자단 10%, 세신 10%, 정향 5%의 혼합비율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능성 베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약제성분들의 성분비율은 각각 ±30% 범위 내에서 조정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능성 베개.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석창포는 줄기를 세절하여 건조한 것을 사용하고, 감국은 꽂을 건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고, 만형자는 순비기나무의 열매를 건조한 것을 사용하고, 진피는 귤 껍질을 건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고, 원지는 원지의 뿌리를 세절하여 건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고, 자단은 자단나무의 껍질을 건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고, 세신은 세신의 뿌리를 세절하여 건조한 것을 사용하고, 정향은 정향의 꽂봉오리를 건조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능성 베개.
KR1020050008615A 2005-01-31 2005-01-31 건강 기능성 베개 KR20060087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615A KR20060087785A (ko) 2005-01-31 2005-01-31 건강 기능성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615A KR20060087785A (ko) 2005-01-31 2005-01-31 건강 기능성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785A true KR20060087785A (ko) 2006-08-03

Family

ID=37177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615A KR20060087785A (ko) 2005-01-31 2005-01-31 건강 기능성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7785A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85531B (zh) * 2009-02-25 2011-01-05 李艳 治疗颈椎骨质增生的药枕
CN102178424A (zh) * 2011-05-08 2011-09-14 曾瑞光 中老年人天然青草药保健枕
CN102178423A (zh) * 2011-05-08 2011-09-14 马永珍 一种中老年人中草药籽保健枕
CN102266181A (zh) * 2011-09-08 2011-12-07 鲁杨 一种具有保健功能的枕头
CN102273873A (zh) * 2011-07-22 2011-12-14 十堰天翔茧丝生化有限公司 保健枕
CN102462293A (zh) * 2010-11-11 2012-05-23 尹琼剑 中药保健枕及其制备方法
CN102894787A (zh) * 2012-11-16 2013-01-30 张旻 一种治疗小儿湿疹的新型药枕
KR101312062B1 (ko) * 2012-01-11 2013-09-25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갈중이 베개의 제조방법
CN104305791A (zh) * 2014-10-12 2015-01-28 马永珍 一种治疗颈椎病及肩椎炎的青草药保健枕
CN104323645A (zh) * 2014-10-12 2015-02-04 马永珍 一种治疗神经衰弱及失眠的青草药保健枕
CN105342258A (zh) * 2015-11-10 2016-02-24 赵烨 一种治疗鼻咽炎的药枕
US20160213732A1 (en) * 2014-11-15 2016-07-28 Je Kyun Lee Pillow using acorus gramine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6667172A (zh) * 2016-12-12 2017-05-17 黄宝胜 火麻枕头及制作方法
CN107518711A (zh) * 2017-07-12 2017-12-29 安徽壹隆羽毛股份有限公司 一种治疗脑动脉硬化的羽绒枕头
CN107647724A (zh) * 2017-11-09 2018-02-02 贵州紫日茶业科技有限公司 苗药茶枕及其制备方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85531B (zh) * 2009-02-25 2011-01-05 李艳 治疗颈椎骨质增生的药枕
CN102462293A (zh) * 2010-11-11 2012-05-23 尹琼剑 中药保健枕及其制备方法
CN102178424A (zh) * 2011-05-08 2011-09-14 曾瑞光 中老年人天然青草药保健枕
CN102178423A (zh) * 2011-05-08 2011-09-14 马永珍 一种中老年人中草药籽保健枕
CN102273873A (zh) * 2011-07-22 2011-12-14 十堰天翔茧丝生化有限公司 保健枕
CN102266181A (zh) * 2011-09-08 2011-12-07 鲁杨 一种具有保健功能的枕头
KR101312062B1 (ko) * 2012-01-11 2013-09-25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갈중이 베개의 제조방법
CN102894787A (zh) * 2012-11-16 2013-01-30 张旻 一种治疗小儿湿疹的新型药枕
CN104305791A (zh) * 2014-10-12 2015-01-28 马永珍 一种治疗颈椎病及肩椎炎的青草药保健枕
CN104323645A (zh) * 2014-10-12 2015-02-04 马永珍 一种治疗神经衰弱及失眠的青草药保健枕
US20160213732A1 (en) * 2014-11-15 2016-07-28 Je Kyun Lee Pillow using acorus gramine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5342258A (zh) * 2015-11-10 2016-02-24 赵烨 一种治疗鼻咽炎的药枕
CN106667172A (zh) * 2016-12-12 2017-05-17 黄宝胜 火麻枕头及制作方法
CN107518711A (zh) * 2017-07-12 2017-12-29 安徽壹隆羽毛股份有限公司 一种治疗脑动脉硬化的羽绒枕头
CN107647724A (zh) * 2017-11-09 2018-02-02 贵州紫日茶业科技有限公司 苗药茶枕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87785A (ko) 건강 기능성 베개
KR100606452B1 (ko) 한방 조성물이 함유된 생리대
CN100551308C (zh) 中药枕
WO2016111434A1 (ko) 아로마테라피 및 항균 기능을 갖는 젤쿠션 및 그 제조방법
CN104924819A (zh) 一种活性矿物质与驱蚊提取物复配的文具收纳筒
KR200405651Y1 (ko) 한방 조성물이 함유된 생리대
CN106259533A (zh) 驱蚊组合物及由驱蚊组合物制成的驱蚊包及其驱蚊包的使用方法
KR20030077509A (ko) 한방 조성물이 함유된 생리대 및 그 제조방법
KR101334827B1 (ko) 참외씨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 팩 제조방법
KR102274948B1 (ko) 탈모 예방을 위한 천연 한방 헤어 에센스의 제조방법
CN100593974C (zh) 一枝蒿茶
KR100879051B1 (ko) 무좀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312062B1 (ko) 베개의 제조방법
KR20140137155A (ko) 원적외선수가 포함되는 발효 흑한방약재 제조방법
KR980008119A (ko) 한약재를 이용한 베개
CN104207564A (zh) 一种莞香枕头及其制作工艺
CN116268152A (zh) 中药组合物在制备改善咽喉不适的清茶中的应用
KR20090012762A (ko) 허브 발효차 및 그 제조방법
KR20010104791A (ko) 민들레차제조방법
CN104473268A (zh) 含金银花的饮料及其制备方法
CN107087950A (zh) 一种中药填充物保健药枕
KR102663826B1 (ko) 한방 재료로 제조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KR101105011B1 (ko) 한약재를 이용한 방향제
CN107927342A (zh) 氨化粗饲料功能性添加剂及其应用
CN106509279A (zh) 一种迷迭香玫瑰花草茶及其配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