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062B1 - 베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베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2062B1
KR101312062B1 KR1020120003272A KR20120003272A KR101312062B1 KR 101312062 B1 KR101312062 B1 KR 101312062B1 KR 1020120003272 A KR1020120003272 A KR 1020120003272A KR 20120003272 A KR20120003272 A KR 20120003272A KR 101312062 B1 KR101312062 B1 KR 101312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bal composition
pillow
endothelial
ring
buckw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2207A (ko
Inventor
김두경
조순애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갈중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갈중이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갈중이
Priority to KR1020120003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2062B1/ko
Publication of KR20130082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Econom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제조방법은, 한방조성물을 베개 내피에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베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베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된 베개 내피를 준비하는 내피준비단계; 석창포, 순비기, 메밀, 들국화로 이루어진 한방조성물 재료를 분말 또는 환으로 가공하는 한방조성물가공단계; 상기 한방조성물을 베개의 내피 속으로 투입하고 한방조성물이 수용된 베개 내피를 마감처리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베개의 내피 속으로 석창포, 순비기, 메밀, 들국화가 각각 혼합된 한방조성물이 충전되기 때문에, 한방조성물이 가지는 각기의 효능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수면 시에 인체에 도움이 되는 기능이 발생하게 되어 신체적, 정신적으로 인체에 영향을 줌으로써 편안한 수면을 도모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베개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pillow}
본 발명은 베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방조성물을 베개 내피에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베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잠자리에서 수면이나 휴식을 취할 때 머리를 편안하게 받치는데 쓰이는 침구류로써, 통상적으로 외피와 내피를 구비하면서 상기 내피 속에는 어느 정도의 부피를 갖도록 하는 솜 등의 쿠션 부재를 사용하여 인체의 목과 머리 부분을 인체 특성에 맞게 보다 편안하게 괴이도록 하여 숙면을 도모하도록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베개는 만성피로에 시달리는 현대인들에게 활기찬 생활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편안한 자세에서의 숙면 및 편안한 잠자리를 위해 점점 관심을 끌게 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기능성베개가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항균작용이 뛰어난 황토나 숯을 볼의 형태로 만들어서 베개 속에 충전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황토볼은 베개의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고자 하여 많은 양을 베갯속으로 넣으면 베개 자체의 무게가 무거워져 사용이 불편하면서도 노약자나 어린이가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발생되며, 숯을 그대로 이용한 베개는 숯이 베개 속에서 부서짐으로 해서 외부로 배출되어 베개의 세탁을 야기시키거나 숯가루가 날리는 등의 단점이 발생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베개의 내피속으로 한방조성물을 충전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베개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한방조성물이 가지는 효능에 의해 잠자리가 쾌적하면서도 수면 시에 인체에 도움이 되는 기능이 발생하게 하는 베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제조방법은, 베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된 베개 내피를 준비하는 내피준비단계; 석창포, 순비기, 메밀, 들국화로 이루어진 한방조성물 재료를 분말 또는 환으로 가공하는 한방조성물가공단계; 상기 한방조성물을 베개의 내피 속으로 투입하고 한방조성물이 수용된 베개 내피를 마감처리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방조성물가공단계는 한방조성물이 석창포 25%, 순비기 25%, 메밀 25%, 들국화 25%의 중량비율 또는 석창포 20~ 30%, 순비기 20~ 30%, 메밀 20~ 30%, 들국화 20~ 30%의 중량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한방조성물가공단계에서 한방조성물이 가공되는 분말의 직경은 100㎛ ~ 300㎛, 환의 직경은 5 ~ 10㎜으로 이루어지고, 한방조성물을 환으로 가공하는 것은 가공된 분말을 바인더에 반죽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마감단계에서 한방조성물가공단계에서 환과 분말로 가공된 한방조성물이 내피로 투입될 때 환으로 이루어진 한방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분말로 이루어진 한방조성물 50중량부로 혼합하여 투입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한방조성물은 순비기를 대신하여 당귀, 천궁, 결명자, 구절초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베개의 제조방법은, 베개의 내피 속으로 석창포, 순비기, 메밀, 들국화가 각각 혼합된 한방조성물이 충전되기 때문에, 한방조성물이 가지는 각기의 효능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수면 시에 인체에 도움이 되는 기능이 발생하게 되어 신체적, 정신적으로 인체에 영향을 줌으로써 편안한 수면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연약재인 한방조성물을 사용하여 수면 중 인체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이 베개 외피나 베갯속 내용물에 스며들어 부패하여 악취에 대한 탈취성이 뛰어나며 약재의 향을 오랫동안 은은하게 배출시켜 쾌적한 잠자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베개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베개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상기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제조방법은 내피준비단계(S100), 한방조성물가공단계(S200), 마감단계(S300)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베개는 내부에 내용물이 충전되는 내피와 상기 내피를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에 직접 마찰되는 외피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내부에 내용물이 충전되는 내피의 구조만 포함되면 어떤 구조의 베개에도 적용이 가능함이 당연하다.
내피준비단계(S100)는 내부가 중공된 베개 내피를 준비하여 후술되는 한방조성물의 인입을 도모하는 단계이다.
한방조성물가공단계(S200)는 상기 내피의 내부에 투입되는 한방조성물을 가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한방조성물은 석창포, 순비기, 메밀, 들국화로 이루어진 한방조성물 재료를 분말 또는 환으로 가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한방조성물을 환으로 가공하는 것은 한방조성물에 의해 분말로 가공시킨 후 가공된 분말을 바인더에 반죽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한방조성물을 이루는 한방조성물 재료의 알려진 효능을 살펴보면,
석창포는 천남성과의 석창포의 뿌리줄기를 말린 약재로 방향성을 내포하여 냄새를 좋게 하고 한의학적으로 습과 담을 없애주며 경락의 흐름을 수월하게 해주고 비위의 습기를 제거하고 가슴 답답한 증상, 동통, 입안에서 설태가 끼는 증상 등을 치료하는 효능을 가진다.
또한 정신을 맑게 하여 마음과 정신을 안정시키고 건망, 불면, 이명 등을 치료하고 정신이 혼미하거나 귀가 잘 들리지 않을 때, 눈이 침침하고 머리가 무거울 때 효과가 있는 효능을 가진다.
순비기는 순비기 나무의 열매, 씨를 사용한 것으로 혈액순환기능으로 수면 시 머리에 열이 오르는 현상을 방지하여 두통질환에 탁월하며 전신의 혈액순환촉진으로 피로회복에 도움이 되고 피를 맑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효능을 가진다.
메밀은 메밀껍질을 건조하여 사용되는 약재로 통풍성이 뛰어나 서늘하고 습하지 않아서 열기를 식히고 머리에 땀이 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베개 속의 세균을 억제하고 풍증을 없애 주어 예로부터 잠을 잘 오게 하는 것으로 유명하고 머리를 시원하게 해줌으로서 두통예방, 눈과 머리를 맑게 하면서도 본 발명에서는 순비기와 더불어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두통을 방지하고 숙면에 효능을 가진다.
들국화는 충추신경의 진정작용, 혈압강하작용, 결핵균 및 각종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효능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석창포와 더불어 베개의 방부제, 방충제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효능을 가진 한방조성물의 한방조성물가공단계(S200)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한방조성물가공단계(S200)는 한방조성물이 석창포 25%, 순비기 25%, 메밀 25%, 들국화 25%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한방조성물이 가지는 효능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잠자리가 쾌적하면서도 수면 시에 인체에 도움이 되는 기능이 발생하게 되어 신체적, 정신적으로 인체에 영향을 줌으로써 편안한 수면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한방조성물가공단계(S200)는 한방조성물이 석창포 20~ 30%, 순비기 20~ 30%, 메밀 20~ 30%, 들국화 20~ 30%의 중량비율로 혼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한방조성물을 이루는 석창포, 순비기, 메밀, 들국화가 한방조성물가공단계(S200)에서 한방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혼합비율이 20% 미만일 때에는 그 효능이 발휘되지 않으며 한방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혼합비율이 30%를 초과할 때에는 초과된 어느 하나의 한방조성물 기능이 다른 한방조성물을 기능을 압도하여 본 발명이 가지는 효능을 발휘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러한 혼합비율의 범위를 벗어나면 한방조성물의 배합 및 베개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어우러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한방조성물가공단계(S200)에서 한방조성물이 가공되는 환의 직경은 5 ~ 1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한방조성물을 이루는 환의 직경이 5mm 이하인 경우는 환의 크기가 작아 한방조성물이 뭉쳐져 베개의 통기성이 좋지 않으면서도 쿠션력이 저하되어 편안함을 얻을 수 없으며, 한방조성물을 이루는 환의 직경이 10mm 이상인 경우는 환의 크기가 커서 베개 속으로 적용했을 경우 환의 배열이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자의 목과 어깨를 받치는 부위의 안락감이 떨어지고 한방조성물을 이루는 환의 중량이 과다하여 베개의 내피를 손상시키면서도 사용자의 하중을 골고루 받지못하여 환의 파손을 야기시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한방조성물가공단계(S200)에서 한방조성물이 가공되는 분말의 직경은 100㎛ 내지 30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환과 같이 내피에 충전될 때 환의 사이사이에 충전되어 환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면서도 베개의 쿠션력을 제공할 수 있는 최적의 크기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한방조성물가공단계(S200)에서 한방조성물 중 순비기를 대신하여 당귀, 천궁, 결명자, 구절초 중 어느 하나로 대체가 가능하며 이는 순비기 나무의 열매, 씨를 채취하지 못하는 시기에 사용이 용이하면서도 당귀, 천궁, 결명자, 구절초는 순비기와 동일하게 약리의 효능을 제공할 수 있는 약재이기 때문이다.
마감단계(S300)는 상기 한방조성물가공단계(S200)에서 가공된 한방조성물을 베개의 내피 속으로 투입하고 한방조성물이 수용된 베개 내피를 마감처리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감단계(S300)에서 한방조성물가공단계(S200)에서 환과 분말로 가공된 한방조성물이 내피로 투입될 때 환으로 이루어진 한방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분말로 이루어진 한방조성물 50중량부로 혼합하여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환이 사용자의 어깨 또는 목 등에 마찰될 때 분말이 환 사이에서 지지됨으로서 한방조성물을 이루는 환과 분말이 각각 최고의 쿠션력을 제공하는 중량비율이며 분말에 지지되는 환이 자체의 견고성에 의해 목의 경추 부분을 머리의 무게로 눌러주어 지압의 효과가 발생되는 효과가 있다.
준비단계 : S100 한방조성물가공단계 : S200
마감단계 : S300

Claims (5)

  1. 베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된 베개 내피를 준비하는 내피준비단계(S100);
    석창포, 순비기, 메밀, 들국화로 이루어진 한방조성물 재료를 분말 또는 환으로 가공하는 한방조성물가공단계(S200);
    상기 한방조성물을 베개의 내피 속으로 투입하고 한방조성물이 수용된 베개 내피를 마감처리하는 마감단계(S300);
    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방조성물가공단계(S200)는 한방조성물이 석창포 25%, 순비기 25%, 메밀 25%, 들국화 25%의 중량비율 또는 석창포 20~ 30%, 순비기 20~ 30%, 메밀 20~ 30%, 들국화 20~ 30%의 중량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한방조성물가공단계(S200)에서 한방조성물이 가공되는 분말의 직경은 100㎛ ~ 300㎛, 환의 직경은 5 ~ 10㎜으로 이루어지고, 한방조성물을 환으로 가공하는 것은 가공된 분말을 바인더에 반죽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마감단계(S300)에서 한방조성물가공단계(S200)에서 환과 분말로 가공된 한방조성물이 내피로 투입될 때 환으로 이루어진 한방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분말로 이루어진 한방조성물 50중량부로 혼합하여 투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조성물은 순비기를 대신하여 당귀, 천궁, 결명자, 구절초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003272A 2012-01-11 2012-01-11 베개의 제조방법 KR101312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272A KR101312062B1 (ko) 2012-01-11 2012-01-11 베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272A KR101312062B1 (ko) 2012-01-11 2012-01-11 베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207A KR20130082207A (ko) 2013-07-19
KR101312062B1 true KR101312062B1 (ko) 2013-09-25

Family

ID=48993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272A KR101312062B1 (ko) 2012-01-11 2012-01-11 베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20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2040A (zh) * 2016-03-04 2016-06-15 宁波高新区苗姑养生科技有限公司 一种防治痰火扰心型恐怖症的保健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13732A1 (en) * 2014-11-15 2016-07-28 Je Kyun Lee Pillow using acorus gramine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5747721A (zh) * 2016-02-28 2016-07-13 宁波高新区苗姑养生科技有限公司 一种防治儿童恐怖症的保健枕
CN105832077A (zh) * 2016-05-05 2016-08-10 刘秀梅 一种治疗失眠的药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758A (ko) * 1998-08-25 2000-03-15 김관식 건강 베개
KR20040092326A (ko) * 2003-04-26 2004-11-03 (주)한방나라 천연생약성분의 베개
KR20060087785A (ko) * 2005-01-31 2006-08-03 김적정 건강 기능성 베개
KR20100039109A (ko) * 2008-10-07 2010-04-15 황순애 다기능 한방 경추 베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758A (ko) * 1998-08-25 2000-03-15 김관식 건강 베개
KR20040092326A (ko) * 2003-04-26 2004-11-03 (주)한방나라 천연생약성분의 베개
KR20060087785A (ko) * 2005-01-31 2006-08-03 김적정 건강 기능성 베개
KR20100039109A (ko) * 2008-10-07 2010-04-15 황순애 다기능 한방 경추 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2040A (zh) * 2016-03-04 2016-06-15 宁波高新区苗姑养生科技有限公司 一种防治痰火扰心型恐怖症的保健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207A (ko) 2013-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93941A (zh) 杀菌抗病毒熏香及其制备方法
KR101312062B1 (ko) 베개의 제조방법
KR20060087785A (ko) 건강 기능성 베개
CN105815978B (zh) 一种天然野山菊保健枕头
CN100551308C (zh) 中药枕
KR20060125973A (ko) 수면촉진 숨쉬는 베개용볼 및 베개 제작방법
KR200474979Y1 (ko) 피톤치드 베개
KR200366348Y1 (ko) 건강베개
CN105641504A (zh) 用于制备保健枕的药物组合物和安神助眠保健枕
CN102247084A (zh) 一种柠檬香茶叶保健枕
CN104905624A (zh) 一种野菊茶香枕及其制作方法
CN110960040A (zh) 一种纯天然植物枕
RU61526U1 (ru) Изделие для домашнего обихода
CN107087950A (zh) 一种中药填充物保健药枕
CN203407818U (zh) 一种改进式可塑性保健枕头
KR200408702Y1 (ko) 한방황토볼기능성베개
CN203564013U (zh) 一种多功能调整型枕芯
KR101175995B1 (ko) 침구류의 구성방법
CN106237622A (zh) 一种儿童玩具
KR100784343B1 (ko) 한방황토볼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한 한방황토볼
CN105310389A (zh) 一种生态健康枕及其生产工艺
CN206836713U (zh) 一种中草药颈椎曲度保健枕
CN206491609U (zh) 一种功能性的乳胶药枕
CN206333679U (zh) 对颈椎病有理疗功效的海绵u型药枕
JPH04329908A (ja) 健康枕及び健康マ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