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7070A - 풍량센서와 화염감지수단을 통해 이상 연소 상태를감지하는 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풍량센서와 화염감지수단을 통해 이상 연소 상태를감지하는 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7070A
KR20060087070A KR1020050007856A KR20050007856A KR20060087070A KR 20060087070 A KR20060087070 A KR 20060087070A KR 1020050007856 A KR1020050007856 A KR 1020050007856A KR 20050007856 A KR20050007856 A KR 20050007856A KR 20060087070 A KR20060087070 A KR 20060087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detection means
detecting
boil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2351B1 (ko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네트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네트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네트웍
Priority to KR1020050007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2351B1/ko
Priority to CNB2005800473502A priority patent/CN100489413C/zh
Priority to US11/795,912 priority patent/US8109758B2/en
Priority to EP05808527.5A priority patent/EP1846700B1/en
Priority to PCT/KR2005/003043 priority patent/WO2006080612A1/en
Priority to JP2007553022A priority patent/JP2008528924A/ja
Publication of KR20060087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351B1/ko
Priority to US12/816,772 priority patent/US801192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 F23N5/242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using electron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 E06B7/09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with weather se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mbustion chambers
    • F23M2900/11041Means for observing or monitoring flames using photoelectric devices, e.g. phototransis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29/00Flame sensors
    • F23N2229/04Flame sensors sensitive to the colour of fl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풍량센서(APS:Air Pressure Sensor)와 화염 감지 수단을 이용한 이상 연소 상태를 보다 더 정확하게 감지하는 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S1) 버너에 공급될 공기량을 팬을 통해 공급하는 공기공급 단계와, (S2) 상기 단계 (S1)을 통해 이루어지는 적정 공기량 체크(check)를 풍량센서를 통해 확인하는 단계와, (S3) 상기 단계 (S2)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점화부를 통해 불꽃이 점화되면 그 불꽃의 화염상태를 화염감지수단을 통해 감지하는 단계와, (S4) 상기 단계 (S3)를 통해 감지된 화염의 크기를 해당 전압값으로 변환함과 동시에 그 전압값을 마이컴에 입력하여 기 설정된 목표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S5) 상기 단계 (S4)를 통해 실제 전압값과 기 설정된 목표 전압값의 편차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마이컴에서 풍량센서의 오동작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S6) 상기 단계 (S5)에서 상기 마이컴이 풍량센서의 오동작으로 판단하면 연소상태 이상으로 에러 메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연소의 상태를 직접 파악하여 풍량센서의 고장을 감지함에 따라 보다 정확한 풍량센서 고장을 감지 할 수 있음은 물론 이를 통해 보다 더 안정적인 보일러의 운전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풍량센서와 화염감지수단을 통해 이상 연소 상태를 감지하는 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boiler and control method of unnormal burning situation using air pressure sensor and flame detector}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가스 보일러의 내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상 연소 상태를 감지하는 시스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 연소 상태를 감지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보일러 20 : 버너
30 : 팬 40 : 풍량센서
50 : 가스공급관 60 : 프레임로드
70 : 적외선센서 80 : 화염감지수단
90 : 제어장치 100 : 마이컴
110 : 메모리 120 : 표시부
본 발명은 보일러의 연소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풍량센서(APS:Air Pressure Sensor)와 화염 감지수단을 이용한 가스 보일러의 이상 연소 상태를 보다 더 정확하게 감지하고 이를 통해 보일러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보일러는 공급받는 연료에 따라 기름보일러 및 가스 보일러, 그리고 전기보일러로서 필요한 평수나 설치용도에 맞게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보일러들 중 특히, 가스 보일러는 외기의 온도변화에 따라 공기량을 조절하여 항상 일정량의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상 연소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렇게 가스 보일러에 필요한 공기의 적정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이 풍량센서(APS:Air Pressure Sensor)이다. 이 풍량센서는 특히, 풍압을 감지하여 마이컴으로 이루어지는 주제어부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을 제어하는 것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상기 풍량센서의 고장 여부를 판단이 적절하지 못하였고 고장이 발생될 경우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종래의 경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풍량센서의 고장을 감지하기 위해 연소 중 팬의 소정 부위에 구비된 홀 센서를 통해 팬의 회전수를 판단하고 그 회전수와 풍량센서의 감지 전압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그 범위가 벗어났을 경우 풍량센서으로 판단하여 연소를 중단하고 에러표시를 발생하였다.
그러나 팬의 회전수는 보일러의 설치조건(연도의 길이)에 따라 다르고, 연소 시 외풍에 의해 팬의 회전수가 변함에 따라 풍량센서의 고장을 판단하는 회전수의 범위가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정확한 풍량센서의 고장을 판단하기가 어려웠다.
결국, 풍량센서의 고장으로 연소에 필요한 적정 공기 량을 공급하지 못함으로서 연소가 불안정함에 따라 일산화탄소(Co)가 과다하게 배출되거나, 화염의 상태가 나빠지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로 인해, 보일러의 온도제어가 어려웠고 필요 이상의 가스가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이러한 문제점들은 보일러 전체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풍량센서(APS:Air Pressure Sensor)와 화염감지수단을 이용하여 이상 연소 상태를 보다 더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 공간으로 밀폐된 버너와, 상기 버너의 일측에 장착되어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팬과, 상기 팬의 소정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 공기량을 감지하는 풍량센서와, 상기 버너의 저면부에 마련되어 불꽃을 점화시키는 점화부와, 상기 버너에 마련되어 상기 불꽃의 화염을 감지하는 화염감지수단 및; 상기 풍량센서 및 화염감지수단의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염감지수단은; 상기 버너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불꽃과 직접 접촉됨에 따라 그 불꽃의 크기를 감지하는 프레임로드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로드는 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염감지수단은 상기 버너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불꽃의 화염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외선 센서는 불꽃의 크기에 따라 그 출력 전압값을 달리하는 포토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보일러의 화염 이상 연소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은;
(S1) 버너에 공급될 공기량을 팬을 통해 공급하는 공기공급 단계와, (S2) 상기 단계 (S1)을 통해 이루어지는 적정 공기량 체크(check)를 풍량센서를 통해 확인하는 단계와, (S3) 상기 단계 (S2)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점화부를 통해 불꽃이 점화되면 그 불꽃의 화염상태를 화염감지수단을 통해 감지하는 단계와, (S4) 상기 단계 (S3)를 통해 감지된 화염의 크기를 해당 전압값으로 변환함과 동시에 그 전압값을 마이컴에 입력하여 기 설정된 목표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S5) 상기 단계 (S4)를 통해 실제 전압값과 기 설정된 목표 전압값의 편차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마이컴에서 풍량센서의 오동작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S6) 상기 단계 (S5)에서 상기 마이컴이 풍량센서의 오동작으로 판단하면 연소상태 이상으로 에러 메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계 (S3)는; (S3a) 상기 화염감지수단이 불꽃과 직접 접촉하는 프레임로드 방식으로 선택되는 단계와, (S3a) 상기 화염감지수단이 상기 불꽃의 열 량을 통해 감지하는 적외선센서 방식으로 선택되는 단계와, (S3c) 상기 단계 (S3a) 또는 (S3a) 중에 어느 하나의 방식을 선택하거나 두 방식 모두를 동시에 사용하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판단하여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계 (S3c) 이후에 사용자는 화염의 열량(kcal), 전류(mA), 전압(V), 연소중단(공기과잉), 연소중단(공기부족)에 해당하는 설정값을 테이블화하여 상기 마이컴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계 (S5)는; (S5a) 상기 화염감지수단을 통해 검출된 신호가 사용자가 설정한 열량 대비 폭표 값과의 허용오차 범위에 해당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S5b) 상기 단계 (S5a)를 통한 판별결과 허용오차 범위에 해당되면 정상 운전되는 단계와, (S5c) 상기 단계 (S5b)를 통한 판별결과 허용오차 범위에 해당되지 않으면 일정 시간(time)동안 계속 그 허용오차 범위 내에 해당되는가를 판별하되, 설정 시간(time)이 지나도 목표값에 해당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연소를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가스 보일러의 내부 단면도로서, 이하에서는 공기량 제어를 통해 안정적인 연소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핵심 장치들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가스 보일러(10)는 소정 공간으로 밀폐된 버너(20)와, 상기 버너 (20)의 일측에 장착되어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팬(30)과, 상기 팬(30)의 소정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공급량을 감지하는 풍량센서(APS)(40)가 구비된다. 상기 버너(20)의 저면부에는 가스공급관(50)에 연결되어 연소시 불꽃(22)을 점화시키는 점화부(26)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버너(20)에는 화염 감지 수단(80)이 마련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버너(20)의 일측에는 상기 점화부(26)로부터 일정 간격 위로 배치되게 장착되어 상기 불꽃(22)과 직접 접촉되어 화염을 감지하는 제1감지수단인 프레임로드(60)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제2감지수단인 적외선 센서(70)가 배치되되, 상기 적외선 센서(70)는 상기 프레임로드(60)와 대략 평행한 위치에 배치시켜 상기 불꽃의 화염을 정확하게 감지토록 한다.
상기 프레임로드(60)는 전도율이 좋은 통상의 금속막대를 사용하며, 상기 적외선 센서(70)는 화염의 열량에 따라 그 해당 출력값을 달리 하는 포토트랜지스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가스 보일러(10)의 모든 제어는 제어장치(90)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 1과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일러는 버너(20)의 일측에 구비되어 불꽃(22)의 화염을 감지하는 제1감지수단인 금속 막대 형상의 프레임로드(60)와, 상기 버너(20)의 타측에 구비되어 불꽃의 화염을 보다 더 정확하게 감지하는 제2감지수단인 적외선센서(70)와, 버너(20)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감지하는 풍량센서(40)와, 상기 풍량센서(40)와, 프레임로드(60) 및 적외선센서(70)의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데이터값과 비교 연산하여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100)과, 상기 마이컴(100)의 출력부에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회전하는 팬 (30)과, 불안정한 연소 시 이상신호를 알리기 위한 표시부(12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마이컴(100)을 통한 각종 연산 제어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110)가 구성된다.
이하, 상기 화염감지수단인 프레임로드와 적외선 센서의 동작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프레임로드(60)는 금속 막대 형상을 가지며 화염이 전류를 한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이는 화염이 금속막대를 통해 전류를 한 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불꽃의 유무를 직접 감지한다. 결국, 화염의 크기(금속막대에 접촉하는 화염의 크기)에 따라 전류량이 다르게 되어 이를 통해 상기 마이컴(100)의 입력 전압을 상이하게 하여 불안정한 연소 상태임을 감지하게 된다.
즉, 풍량센서(40)의 고장으로 공기가 과잉공급 되면, 화염의 크기가 작게 되고, 금속막대를 통한 화염의 전류가 작아지게 됨에 따라 상기 마이컴(100)으로 입력되는 전압이 작아지게 된다. 반대로, 공기가 부족하게 되면 화염이 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화염의 전류가 커지게 되어 상기 마이컴(100)으로의 입력 전압이 커지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풍량센서(40)의 고장 여부를 보다 더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 적외선센서 즉, 포토트랜지스터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포토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풍량센서(40)의 고장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각 열량 별로 연소를 중단해야 될 정도의 화염 상태의 과잉 공기 및 공기 부족 상태의 전압값을 테이블 화하여 상기 마이컴(100)에 입력한 후, 연소 중 해당되는 전압(정상 운전값이 아닌 값)이 입력되었을 시 연소를 중 단함과 동시에 상기 풍량센서(40)의 이상으로 판단하여 에러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제어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염 감지 제어 방법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보일러(10)가 정상으로 운전되는지의 여부를 마이컴(100)에서 확인하게 된다.(200) 보일러의 여러 가지 동작 사항 중에서도 특히, 풍량센서(40)가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물어서 정상동작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연소를 중단함(300)과 동시에 에러표시(310)를 하면 되고, 정상동작으로 판단되면, 연소 상태가 정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230) 여부를 물어서 연소상태가 정상이면 정상운전(200)으로 판단하고 만약, 정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설정시간 동안 유지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240) 즉, 소정의 시간동안 정상이 아닌 상태인지를 확인한 후 연소를 중단함(300)과 동시에 에러표시(310)를 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보일러(10)가 연소를 하기 위해 소정의 절차를 통해 연소가 이루어진 후, 먼저 풍량센서(40)가 마이컴(100)에 저장된 열량별 풍량센서의 기준값을 비교하여 정상동작인지 아닌지 판단한다.(210) 만약 정상이 아닌 경우 소정의 시간동안 그 상태가 계속 유지되면(220), 연소를 중단함과 동시에 에러표시를 하게 된다. 정상동작이면 연소상태를 감지하는 프레임로드(60)나 적외선센서(70)에 의해 미리 설정된 열량 대비 연소상태 기준값을 비교하게 된다. 연소상태 기준값은 공기과잉 또는 공기부족에 따라 연소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준값으로서 그 값에서 벗어나게 되면 정상이 아니라고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마이컴(100)에 미리 설정된 연소상태 기준값을 비교하여 정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게 된다. 정상동작으로 판단되면 정상적으로 운전됨은 당연하며, 정상동작이 아니면 설정 시간(time)동안(예를 들어 5초) 계속 연소상태 기준값을 벗어나는 것으로 유지가 되면 연소를 중단(300)하게 되며, 설정 시간(time)내에 검출값의 변화로 연소상태 기준값의 범위 내에 해당되면 정상운전 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결국, 연소상태 기준값은 상기 마이컴(100)에 설정한 데이터 값에 해당됨과 동시에 일정 시간(time)이 지날 때까지도 기준값으로 부터의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풍량센서(40)의 오동작으로 판별함과 아울러 연소를 중단(300)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프레임로드(60) 방식과 적외선센서(70)를 이용하는 방식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고 두개의 방식 모두를 동시에 사용하여 풍량센서(40)의 이상 여부를 보다 더 정확하게 감지함에 따라 보일러의 효율성을 보다 높게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화염감지수단인(80) 프레임로드(60) 또는 적외선 센서(70)를 통해 풍량센서(40)의 오동작을 정확하게 판별함에 따라 종래 홀 센서를 이용한 팬의 회전수 검출로 풍량센서의 오동작을 판별할 때 보다 더 정확한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홀센서를 쓰지 않을 수 있어 그 만큼 단가가 낮아지고 상기 기술을 수행하기 위해 별도로 장치를 추가할 필요 없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화염감지 장치인 프레임로드(60) 또는 적외선센서(70)를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미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사용했던 홀 센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원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소의 상태를 직접 파악하여 풍량센서의 고장을 감지함에 따라 보다 정확한 풍량센서 고장을 감지 할 수 있음은 물론 이를 통해 더욱 안정적인 보일러의 운전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소정 공간으로 밀폐된 버너와,
    상기 버너의 일측에 장착되어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팬과,
    상기 팬의 소정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 공기량을 감지하는 풍량센서와,
    상기 버너의 저면부에 마련되어 불꽃을 점화시키는 점화부와,
    상기 버너에 마련되어 상기 불꽃의 화염을 감지하는 화염감지수단 및;
    상기 풍량센서 및 화염감지수단의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센서와 화염감지수단을 통해 이상 연소 상태를 감지하는 보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감지수단은;
    상기 버너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불꽃과 직접 접촉됨에 따라 그 불꽃의 크기를 감지하는 프레임로드인 특징으로 하는 풍량센서와 화염감지수단을 통해 이상 연소 상태를 감지하는 보일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로드는 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센서와 화염감지수단을 통해 이상 연소 상태를 감지하는 보일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감지수단은;
    상기 버너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불꽃의 화염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센서와 화염감지수단을 통해 이상 연소 상태를 감지하는 보일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센서는 불꽃의 크기에 따라 그 출력 전압값을 달리하는 포토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센서와 화염감지수단을 통해 이상 연소 상태를 감지하는 보일러.
  6. (S1) 버너에 공급될 공기량을 팬을 통해 공급하는 공기공급 단계;
    (S2) 상기 단계 (S1)을 통해 이루어지는 적정 공기량 체크(check)를 풍량센서를 통해 검출하는 단계;
    (S3) 상기 단계 (S2)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점화부를 통해 불꽃이 점화되면 그 불꽃의 화염상태를 화염감지수단을 통해 지속적으로 감지하는 단계;
    (S4) 상기 단계 (S3)를 통해 감지된 화염의 크기를 해당 전압값으로 변환함과 동시에 그 전압값을 마이컴에 입력하여 기 설정된 목표값과 비교하는 단계;
    (S5) 상기 단계 (S4)를 통해 실제 전압값과 기 설정된 목표 전압값의 편차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마이컴에서 풍량센서의 오동작으로 판단하여 연소를 중단하는 단계;
    (S6) 상기 단계 (S5)에서 상기 마이컴이 풍량센서의 오동작으로 판단되면 연소상태 이상으로 에러 메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센서와 화염감지수단을 통해 이상 연소 상태를 감지하는 보일러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3)는;
    (S3a) 상기 화염감지수단이 불꽃과 직접 접촉하는 프레임로드 방식으로 선택되는 단계;
    (S3a) 상기 화염감지수단이 상기 불꽃의 열량을 통해 감지하는 적외선센서 방식으로 선택되는 단계;
    (S3c) 상기 단계 (S3a) 또는 (S3a) 중에 어느 하나의 방식을 선택하거나 두 방식 모두를 동시에 사용하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판단하여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센서와 화염감지수단을 통해 이상 연소 상태를 감지하는 보일러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3c) 이후에 사용자는 화염의 열량(kcal), 전류(mA), 전압(V), 연소중단(공기과잉), 연소중단(공기부족)에 해당하는 설정값을 테이블화하여 상기 마이컴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센서와 화염감지수단을 통해 이상 연소 상태를 감지하는 보일러의 제어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5)는;
    (S5a) 상기 화염감지수단을 통해 검출된 신호가 사용자가 설정한 열량 대비 폭표 값과의 허용오차 범위에 해당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S5b) 상기 단계 (S5a)를 통한 판별결과 허용오차 범위에 해당되면 정상 운전으로 판별하는 단계;
    (S5c) 상기 단계 (S5b)를 통한 판별결과 허용오차 범위에 해당되지 않으면 일정 시간(time)동안 계속 그 허용오차 범위 내에 해당되는가를 판별하되, 설정 시간(time)이 지나도 목표값(기준값)에 해당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연소를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센서와 화염감지수단을 통해 이상 연소 상태를 감지하는 보일러의 제어방법.
KR1020050007856A 2005-01-28 2005-01-28 풍량센서와 화염감지수단을 통해 이상 연소 상태를감지하는 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 KR100742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856A KR100742351B1 (ko) 2005-01-28 2005-01-28 풍량센서와 화염감지수단을 통해 이상 연소 상태를감지하는 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
CNB2005800473502A CN100489413C (zh) 2005-01-28 2005-09-14 使用气压传感器和火焰检测异常燃烧情况的锅炉
US11/795,912 US8109758B2 (en) 2005-01-28 2005-09-14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detecting an abnormal burning situation using air pressure sensing and flame detection
EP05808527.5A EP1846700B1 (en) 2005-01-28 2005-09-14 Boiler for detecting abnormal burning situation using an air pressure sensor and a flame sensor
PCT/KR2005/003043 WO2006080612A1 (en) 2005-01-28 2005-09-14 Boiler for detecting unnormal burning situation using air pressure sensor and flame
JP2007553022A JP2008528924A (ja) 2005-01-28 2005-09-14 空気圧センサーと火炎検知手段により異常燃焼状態を検知するボイラー
US12/816,772 US8011921B2 (en) 2005-01-28 2010-06-16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detecting an abnormal burning situation using air pressure sensing and flame det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856A KR100742351B1 (ko) 2005-01-28 2005-01-28 풍량센서와 화염감지수단을 통해 이상 연소 상태를감지하는 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070A true KR20060087070A (ko) 2006-08-02
KR100742351B1 KR100742351B1 (ko) 2007-07-24

Family

ID=36740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856A KR100742351B1 (ko) 2005-01-28 2005-01-28 풍량센서와 화염감지수단을 통해 이상 연소 상태를감지하는 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109758B2 (ko)
EP (1) EP1846700B1 (ko)
JP (1) JP2008528924A (ko)
KR (1) KR100742351B1 (ko)
CN (1) CN100489413C (ko)
WO (1) WO200608061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188A (ko) * 2019-03-06 2020-09-16 박종래 구들 난방 장치
KR20210011601A (ko) * 2019-07-23 2021-02-02 주식회사 삼성보일러 저가스 상태의 가스 보일러 점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스 점화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61752A1 (en) 2007-08-28 2009-03-05 Current Energy Controls, Lp Autonomous Ventilation System
DE102008038949A1 (de) * 2008-08-13 2010-02-18 Ebm-Papst Landshut Gmbh Sicherungssystem in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Verbrennungsanlage
SG171458A1 (en) 2008-12-03 2011-07-28 Halton Group Ltd Oy Exhaust flow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110271880A1 (en) * 2010-05-04 2011-11-10 Carrier Corporation Redundant Modulating Furnace Gas Valve Closure System and Method
US9217654B2 (en) * 2010-09-15 2015-12-22 General Electric Company Submetering hydrocarbon fueled water heaters with energy manager systems
US9249988B2 (en) * 2010-11-24 2016-02-02 Grand Mate Co., Ted. Direct vent/power vent water heater and method of testing for safety thereof
US9086068B2 (en) 2011-09-16 2015-07-21 Grand Mate Co., Ltd. Method of detecting safety of water heater
RU2601021C1 (ru) 2012-09-21 2016-10-27 Роузмаунт Инк. Контроль за неустойчивостью пламени посредством давления тяги и переменной процесса
KR101436867B1 (ko) * 2012-12-28 2014-09-0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비례제어식 연소장치와 그 열량 조정방법
US9163528B2 (en) * 2013-01-29 2015-10-20 Middlebury Colleg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biomass power plant
CN103148509A (zh) * 2013-04-01 2013-06-12 合肥丰华燃烧技术有限公司 一种通过检测火焰状态调节富氧流量提高工业炉窑热效率的方法
CN103148504A (zh) * 2013-04-11 2013-06-12 安徽华丰节能科技有限公司 自适应经济燃烧控制系统
CN104390240A (zh) * 2014-11-26 2015-03-04 无锡贺邦金属制品有限公司 智能取暖炉
JP2017138018A (ja) * 2016-02-01 2017-08-10 アズビル株式会社 燃焼システム
CN107014088B (zh) * 2017-04-13 2021-11-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燃气热水炉的点火保护方法和系统
US10865985B2 (en) * 2018-02-20 2020-12-15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bustion chamber
TWI650519B (zh) * 2018-03-07 2019-02-11 台灣櫻花股份有限公司 熱水裝置的火焰電流檢知方法及其熱水裝置
CN108518847A (zh) * 2018-04-16 2018-09-11 广东万家乐燃气具有限公司 燃气热水器及火力调节方法
CN111637496A (zh) * 2020-04-28 2020-09-08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提醒空气供应不足的燃气灶系统及其控制方法
US11635220B2 (en) * 2020-07-29 2023-04-25 Emerson Electric Co. Systems and methods for checking status of a pressure transducer
CN113503568A (zh) * 2021-07-26 2021-10-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燃气灶、燃烧器、燃烧器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US11892173B2 (en) * 2021-08-12 2024-02-06 Robertshaw Controls Company Intelligent gas cooktop burner
CN116429765A (zh) * 2023-03-17 2023-07-14 徐州工业锅炉有限公司 一种非接触式远程工业锅炉外部检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34853A5 (de) 1978-06-08 1983-02-28 Sandoz Ag Schwefelhaltige metabolit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in arznei- und futtermitteln.
US4457692A (en) 1983-08-22 1984-07-03 Honeywell Inc. Dual firing rate flame sensing system
JPS60213730A (ja) * 1984-04-09 1985-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ス燃焼安全装置
US4578831A (en) * 1984-10-31 1986-04-01 Mel Mellinger Toilet fixture
JPS62245021A (ja) 1986-04-18 1987-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焼制御装置
US4716858A (en) * 1986-12-18 1988-01-05 Honeywell Inc. Automatic firing rate control mode means for a boiler
KR950005093B1 (ko) * 1991-06-28 1995-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레임로드의 구조체
US5245196A (en) * 1991-08-29 1993-09-14 Hydrotech Chemical Corporation Infrared flame sensor responsive to infrared radiation
JP3127668B2 (ja) 1992-07-01 2001-01-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焼制御方法
KR100220715B1 (ko) 1992-07-08 1999-09-15 윤종용 난방기의 연소제어방법과 그 회로
DE9310451U1 (de) * 1993-03-05 1994-06-30 Landis & Gyr Business Support Steuer- bzw. Regeleinrichtung für Gas-Feuerungsautomaten von Heizungsanlagen
EP0626519A1 (en) * 1993-05-17 1994-11-30 BROD & McCLUNG - PACE CO. Airflow measuring centrifugal fan
KR960016352B1 (ko) 1994-03-24 1996-12-0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에서 폐가스 배출시 안전연소 제어장치
KR0119194B1 (ko) 1994-10-12 1997-10-04 오세희 이동국의 기지국 억세스 방법
TW294771B (ko) 1995-01-30 1997-01-01 Gastar Co Ltd
JP3579484B2 (ja) 1995-01-31 2004-10-20 株式会社ガスター 燃焼装置
KR0170179B1 (ko) * 1995-03-22 1999-03-20 최창선 연소장치
JPH0960867A (ja) 1995-08-28 1997-03-04 Sumitomo Metal Ind Ltd 異常バーナ検出方法
KR100295087B1 (ko) 1995-09-27 2001-09-17 전주범 가스보일러의역풍감지방법
JP3673363B2 (ja) 1997-02-28 2005-07-20 株式会社ガスター 燃焼機器
KR100427390B1 (ko) 1997-05-30 2004-07-3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도중실화 검지장치 및 그 방법
FR2775782B1 (fr) * 1998-03-06 2000-05-05 Theobald Sa A Dispositif de mesure de pression differentielle et dispositif pour la regulation active du rapport air/gaz d'un bruleur utilisant un tel dispositif de mesure
JP2001041079A (ja) 1999-07-27 2001-02-13 Sanshin Ind Co Ltd 船外機の燃料噴射制御システム
JP2002257338A (ja) * 2001-03-02 2002-09-11 Corona Corp 燃焼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188A (ko) * 2019-03-06 2020-09-16 박종래 구들 난방 장치
KR20210011601A (ko) * 2019-07-23 2021-02-02 주식회사 삼성보일러 저가스 상태의 가스 보일러 점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스 점화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55434A1 (en) 2010-10-07
US20080138750A1 (en) 2008-06-12
EP1846700A4 (en) 2014-09-10
US8011921B2 (en) 2011-09-06
EP1846700B1 (en) 2018-03-14
WO2006080612A1 (en) 2006-08-03
CN101111726A (zh) 2008-01-23
US8109758B2 (en) 2012-02-07
JP2008528924A (ja) 2008-07-31
KR100742351B1 (ko) 2007-07-24
EP1846700A1 (en) 2007-10-24
CN100489413C (zh)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2351B1 (ko) 풍량센서와 화염감지수단을 통해 이상 연소 상태를감지하는 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
US8821154B2 (en) Combus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ustion control thereof
US6520122B2 (en) Pressurized steam boilers and their control
KR101322619B1 (ko) 차압센서를 이용한 가스압 저하검출방법
JP3717291B2 (ja) 燃焼装置
KR101322616B1 (ko) 차압센서를 이용한 가스압 저하검출방법
KR100243898B1 (ko) 가스보일러의 배기연도 막힘검지방법
JPH04106311A (ja) 暖房器の安全装置
JP3476594B2 (ja) 給湯器
KR0153713B1 (ko) 연소장치
JP2007309554A (ja) ガス燃焼装置
JP3030167B2 (ja) 給湯器の燃焼制御装置
JP3115829B2 (ja) 流量センサ診断装置
JP3115827B2 (ja) 流量センサ診断装置
JP4161105B2 (ja) ガス瞬間湯沸器の燃焼停止要因の判定装置
KR0131841B1 (ko) 연소기기의 송풍제어장치
JPH07324744A (ja) 燃焼機器の不完全燃焼検出装置
JP2945602B2 (ja) 燃焼装置
KR200182776Y1 (ko) 보일러용 가스감지기의 경고기준 설정장치
KR100201318B1 (ko) 가스보일러의 가스점검방법
KR100216009B1 (ko) 가스보일러의 역풍시 연소 제어방법
JP3219091B2 (ja) ガスの燃焼装置
JPH09196367A (ja) 未燃成分検出センサの検査方法と検査装置
KR19990017382A (ko) 가스보일러의 배기팬 제어방법
KR19990053119A (ko) 화염감지불량 체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