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5872A - 새로운 환경 저항성 유전자, 염기 서열, 이에 대응하는단백질, 이를 포함하는 클로닝 벡터, 이들을 이용한 환경저항성 식물 - Google Patents

새로운 환경 저항성 유전자, 염기 서열, 이에 대응하는단백질, 이를 포함하는 클로닝 벡터, 이들을 이용한 환경저항성 식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5872A
KR20060085872A KR1020050006833A KR20050006833A KR20060085872A KR 20060085872 A KR20060085872 A KR 20060085872A KR 1020050006833 A KR1020050006833 A KR 1020050006833A KR 20050006833 A KR20050006833 A KR 20050006833A KR 20060085872 A KR20060085872 A KR 20060085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
ginseng
gsap
nucleotide sequence
g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5275B1 (ko
Inventor
최동욱
하영임
정화지
유장렬
Original Assignee
유진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진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6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275B1/ko
Publication of KR20060085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25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로운 환경 저항성 유전자(염기 서열), 이에 대응되는 단백질,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클로닝 벡터 및 이를 이용한 식물 형질전환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삼에서 가장 높게 발현되고 스트레스 조건에서 그 발현이 증가하는 인삼 특이 고발현 단백질 (GSAPs; ginseng specific abundant proteins)의 유전자, 그의 염기 서열, 이에 대응되는 단백질,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클로닝 벡터, 이에 의해 형질전환 된 식물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환경 저항성 유전자 및 이를 이용하는 식물 형질전환체 등은 혹한, 가뭄 및 염과 같은 외부 조건에 대한 저항성이 탁월하므로 산업적으로 널리 이용될 수 있다.
환경 저항성 유전자, 클로닝 벡터, 식물 형질전환체

Description

새로운 환경 저항성 유전자, 염기 서열, 이에 대응하는 단백질, 이를 포함하는 클로닝 벡터, 이들을 이용한 환경 저항성 식물{Novel Genes Resistant to Environmental Stress, Nucleotide Sequences, Proteins by the Nucleotide Sequences, Cloning Vectors and Plant Transformants using the Vectors}
도 1은 인삼 cDNA 라이브러리의 유전자군 (ESTs) 가운데 가장 높게 발현되는 인삼 특이 고발현 단백질 (GSAPs)의 유전자를 정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GSAP 1 유전자 및 GSAP 2 유전자가 발현되어 세포벽에 부착되는 양상을 세포형광 분석으로 확인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형질전환 된 식물 및 야생형 식물이 만니톨에 반응하는 양상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GSAP 유전자가 발현되는 형질전환 된 애기장대가 염 스트레스 환경에 대해 반응하는 양상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인삼에서 가장 높게5발현되는 GSAP 유전자를 서던 블럿으로 분석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GSAP 1 유전자 및 GSAP 2 유전자로부터 유추한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GSAP 1 유전자 및 GSAP 2 유전자가 발현되는 양상을 RT-PCR을 이용 분석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GSAP 1 유전자 및 GSAP 2 유전자가 스트레스 환경 하에서 발현되는 양상을 RT-PCR을 이용 분석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GSAP 1 유전자 및 GSAP 2 유전자가 MeJA, SA, ABA 처리하고 난 다음 발현되는 양상을 RT-PCR을 이용 분석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GSAP 1 유전자 및 GSAP 2 유전자가 비생물학적 스트레스를 가한 다음 발현되는 양상을 실시간 RT-PCR 방법으로 분석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클로닝 벡터의 개념적인 개열지도이다.
본 발명은 새로운 환경 저항성 새로운 환경 저항성 유전자 (염기서열), 이에 대응하는 단백질,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클로닝 벡터, 이들을 이용한 환경 저항성 식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삼에서 가장 높게 발현되고 스트레스 조건에서 그 발현이 증가하는 인삼 특이 고발현 단백질 (ginseng specific abundant proteins; 이하 “GSAPs”라고 약칭함) 유전자, 그의 염기 서열, 이에 대응하는 단백질,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클로닝 벡터, 이로 형질전환 된 식물체에 관한 것이다.
인삼은 원기를 크게 보하고 폐를 튼튼하게 하며 비장을 좋게 하고 심장을 편안하게 해주는 효능이 있다고 중초약학에 기록되어 있다. 또한 신농본초경에는 인삼이 오장, 즉 간장, 심장, 폐장, 신장 및 비장의 양기를 돋구어주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오장육부로 들어가는 병사를 제거하고 눈을 밝게 하며 오래 복용하면 장수하게 한다고 나타나 있다. 이외에 본초강목에서도 비교적 광범위하게 인삼의 효능을 설명하고 있어 오늘날 이를 근거로 하여 인삼이 각종 임상 증상에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인삼은 많은 한의서에 그 약효와 처방 예가 기술되어 있으며 모든 처방의 중심 역할을 하는 상약, 즉 평상시에도 병에 걸리지 않게 할 뿐만 아니라 건강 유지를 위하여 복용하는 생약으로 무독하여 대량으로 복용하거나 장기간 복용하여도 사람을 상하게 하지 않는 약이라고 인정되고 있다.
특히 고려인삼은 미국의 서양삼이나 중국의 전칠삼 등과 종이 다를 뿐만 아니라 그 효능에 있어서도 세계인의 인정을 받고 있는 데, 그 이유는 한국이 인삼 생육에 적합한 지리적 여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고려인삼은 많이 재배되는 경작지가 주로 북위 36 ~ 38°이고 타국삼의 생육 기간 (연간 120 ~ 130일) 보다 긴 180일 동안 충분히 발육시키기 때문에, 내부 조직이 단단하고 치밀하며 고유의 향 또한 오래 간직할 수 있다.
인삼은 전체적으로 주근 이외에도 뇌두, 지근, 측근 및 근모 등 많은 잔뿌리가 나 있는 형상을 가지며 마치 사람과 비슷하다. 특히 인삼의 뇌두는 다음 해에 꽃과 잎이 될 어린 싹이 보관되어 있는 부위이다. 우리나라의 겨울은 강추위, 삼한 사온에 의한 결빙과 해빙 등으로 건조와 가습이 반복되는 환경이므로, 인삼의 뇌두에는 어린 조직을 보호하기 위한 특별한 유전자 및 단백질의 발현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새로운 환경 저항성 유전자를 얻기 위하여 계속 노력한 결과, 인삼으로부터 얻은 cDNA 라이브러리를 검토하여 인삼의 뇌두 또는 씨앗에서 주로 발현되고 스트레스 환경 하에서 그 발현이 증가되는 인삼 특이 유전자 (GSAPs)를 발견하고 이를 분리하여 그 염기 서열 및 이로부터 유추한 아미노산 서열을 결정한 다음, 그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클로닝 벡터를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아기장대(Arabidopsis sp.)를 형질전환 시키고 본 식물 형질전환체가 환경 스트레스에 저항성이 탁월한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성공적으로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인삼에서 유래된 새로운 환경 저항성 유전자(염기 서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환경 저항성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환경 저항성 단백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환경 저항성 유전자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클로닝 벡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클로닝벡터로 형질전환된 식물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삼에서 유래하는 신규한 환경 저항성 유전자 즉, 서열번호 1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환경 저항성 유전자 GSAP 1, 서열번호 2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환경 저항성 유전자 GSAP 2 및 서열번호 3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환경 저항성 유전자 GSAP 3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환경 저항성 유전자들에 의해 암호화되는 환경 저항성 단백질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환경 저항성 유전자 GSAP 1, GSAP 2 및 GSAP 3으로부터 유추한 아미노산 서열들을 각각 서열번호 4,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에 정리하였다(서열목록 참조).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환경 저항성 유전자 GSAP 1, GSAP 2 및/또는 GSAP 3 를 포함하는 클로닝 벡터 pGSAP1 (수탁번호 : KCTC10735BP), pGSAP2 (수탁번호 : KCTC10736BP), pGSAP3 (수탁번호 : KCTC10737BP)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클로닝 벡터로 식물체를 형질전환시킨 식물 형질전환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환경 저항성 유전자를 얻기 위하여, 인삼으로부터 약 9,600개의 cDNA 로 구성되는 약 20,000개의 ESTs 를 분리하고 이중 가장 높게 발현되는 유전자 가운데 아직까지 그 기능이 전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유전자, 즉 인 삼 특이 고발현 단백질 (ginseng specific abundant proteins; GSAPs)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도 1 참조).
클로닝된 상기 GSAP 유전자들의 염기 서열 및 이로부터 유추한 아미노산 서열을 조사한 결과, 이들 유전자가 인삼의 게놈 내에서 3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작은 유전자 패밀리 (small gene family)를 구성하고 있으며 특히 이 가운데 2개의 유전자는 그 염기 서열과 이로부터 유추되는 아미노산 서열이 상호 매우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환경 저항성 유전자 GSAP 1, GSAP 2 및 GSAP 3으로부터 유추한 아미노산 서열들을 각각 서열번호 4,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에 정리하였다(서열목록 참조). 또한 세포 형광을 이용하여 상기 환경 저항성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조사한 바, 상기 유전자의 산물이 주로 세포벽에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참조).
상기 GSAP 유전자를 기존 벡터내에 삽입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클로닝 벡터를 제작하고 이 벡터를 이용하여 애기장대 (Arabidopsis sp.)를 형질전환시킨 환경 저항성 식물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식물 형질전환체를 이용하여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측정하고, 염 및 탈수 등과 같은 스트레스 환경 하에서 상기 형질전환 된 애기장대가 대조군에 비하여 그 생장이 월등히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도 4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GSAP 유전자는 혹한, 가뭄 및 염 등과 같은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는 용도로 식물, 미생물, 동물 등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이외에 본 발명의 유전자 등은 인삼이 토양에서 장기 간 다양한 미생물과 경쟁적인 관계에 있다는 점을 미루어 미생물에 대한 저항성도 증가시키는 데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인삼의 cDNA 라이브러리로부터 환경 저항성 유전자의 분리
인삼에 존재하는 유전자을 연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인삼의 각 조직으로부터 cDNA 은행을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약 21,152개의 ESTs를 생성하였다. 확보된 EST 중 17,685개의 EST를 분석한 결과 7,037 개의 EST는 단일 유전자로 그리고 나머지 10,648개의 EST는 같은 유전자가 두개 이상의 전사체로 발현되어 존재한 결과 최종적으로 2,620개의 cDNA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확보된 cDNA 중 전사체의 수가 가장 많은 유전자 및 그로부터 유추된 아미노산 서열을 blastX 및 blast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Genebank의 nr database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인삼 조직, 특히 인삼이 겨울을 나는 동안 어린 잎과 꽃눈이 저장되어 있는 뇌두에서 가장 높게 발현되는 유전자 중 하나는 지금까지 보고된 유전자와는 다른 새로운 유전자로 판단되었다. 이 유전자 그룹을 인삼 특이 고발현 단백질 (Ginseng Specific Abundant Protein; GSAP)의 유전자라고 명명하였다(도 1 참조).
이유전자는 인삼의 뇌두에서 가장 높게 발현될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조건에 있는 인삼의 다른 조직에서도 높게 발현되는 특징으로부터 추위나 수분 결핍등과 같은 환경 스트레스 저항 기작에 관여 할 것으로 추측되었다. GSAP 유전자는 유전자 분석 프로그램 cap3 및 clustal W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3종류의 유사 유전자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 유전자를 GSAP1, GSAP2 그리고 GSAP3라 명명하였다(도 6 참조).
GSAP1과 GSAP2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약 88%의 유사성을 보였지만 GSAP1과 GSAP3는 단지 하나의 아미노산에서만 변이를 보였다. 그러나 유전자의 염기서열에서는 보다 많은 차이를 보였다.
실시예 2 : 환경 저항성 유전자 GASP 의 염기 서열 결정
상기 실시예 1 에서 분리한 GSAP 유전자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염기 서열을 결정하였다(도 5도 6 참조).
인삼 genome내 GSAP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GSAP1 cDNA 유전자를 탐침으로 사용하여 Souther blot을 수행하였다(도 5 참조). 이를 위해서 인삼의 어린잎으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여 제한 효소 EcoRI (E), HindIII (H) 그리고 XbaI (X)로 자른 후 agarose gel 상에서 전기영동을 하여 크기별로 DNA조각을 분리하였다. 전기영동 후 DNA는 membrane으로 옮기고 GSAP1 cDNA를 탐침으로 사용하여 혼성화 반응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상기 GSAP 유전자는 인삼의 게놈 내에서 3개 이상의 작은 유전자 패밀리 (small gene family)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가운데 3개의 유전자를 분리한 후 염기 서열을 결정하여, 상기 GSAP 유전자 각각이 서열번호 1, 서열번호 2 및 서열번호 3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고 이중 2개 유전자는 그 염기 서열과 이로부터 유추되는 아미노산 서열이 매우 유사한 점을 밝혀내었다. 상기 GSAP 유전자로부터 유추한 아미노산 서열을 서열번호 4,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 에 정리하였다(서열목록 참조).
실시예 3 : 환경 저항성 유전자 GSAP 의 특성 조사
상기 환경 저항성 유전자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예 2에서 분리한 3개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세포형광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도 6 참조). 그 결과, 상기 GSAP 유전자에 의해 발현되는 단백질은 주로 세포벽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참조).
상기 GSAP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mRNA로부터 역전사 과정을 통해 얻어진 cDNA를 PCR로 증폭하여 정성적 분석뿐만 아니라 대조군 실험을 통하여 정량적인 분석을 하였다. 3종류의 유사 유전자들 중 88%의 유사성을 보이는 GSAP1, GSAP2에 대해서 인삼의 씨앗, 뿌리, 줄기, 잎, 꽃의 각 조직 및 저온과 탈수처리, 시간별 다양한 호르몬 처리 (MeJA, ABA, SA)와 같은 스트레스 환경에서의 인삼식물체의 조직을 액체질소에서 갈아 분말로 만든 뒤 TRIzolTM (Invitrogen)을 이용하여 total RNA를 분리하였다. 추출된 total RNA로부터 mRNA를 분리하고 역전 사 과정을 통해 1st strand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각 조직별 1st strand cDNA는 각각의 유전자에 specific 한 primer를 이용, PCR로 증폭하였으며 PCR product는 1%의 agarose 상에서 전기영동을 하여 발현되는 양상을 비교하였다.
조사 결과 상기 유전자는 인삼의 뇌두 또는 씨앗에서 주로 발현되었으며 (도 1 참조), 특히 추운 환경 (결빙), 가뭄, 탈수 또는 염기와 같은 스트레스 환경에서 상기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7, 도 8, 도 9도 10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GSAP 유전자는 식물이 비생물학적 환경을 극복하는 데 관여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실시예 4 : 환경 저항성 유전자 GSAP 를 포함하는 클로닝 벡터의 제작
상기 GSAP 유전자를 포함하는 클로닝 벡터들을 통상적인 과정으로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열번호 1, 2 및 3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DNA 영역을 기존 벡터 pBluscript KS 내에 각각 삽입하여 클로닝 벡터 pGSAP1, pGSAP2 및 pGSAP3을 제작하고 이를 생명공학연구원 부설 유전자은행에 2004년 12월 2일자로 기탁하였다 (수탁번호 각각: KCTC10735BP, KCTC10736BP 및 KCTC10737BP).
각 클로닝 벡터의 개념적인 개열지도를 도 11에 도시하였다. 도 11에서 GSAP1, GSAP2 및 GSAP3는 상호 치환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5 : 환경 저항성 식물 형질전환체의 제조
GSAP 유전자를 이용한 환경 저항성 식물 형질전환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4에서 클로닝된 GSAP1 유전자를 35S promoter를 이용 식물형질전환 벡터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식물 발현 벡터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애기장대 (Arabidopsis sp.)를 형질전환시키고 이로부터 식물 형질전환체를 선별하였다.
형질전환 된 애기장대와 대조군의 씨앗을 멸균 소독하여 2-3일간 4℃, 암 상태에서 춘화처리 (vernalization) 후, 300mM의 mannitol이 첨가된 배지나 100mM의 NaCl이 포함된 배지에서 발아, 배양하였다. 16시간 명상태/8시간 암상태의 광주기로 조절되는 23℃ growth chamber에서 배양 20일째 탈수 및 염 스트레스에 대한 생장정도를 대조군과 비교, 관찰하였다. 그 결과 염 및 탈수 등의 스트레스 환경 하에서 식물 형질전환체의 생장이 대조군에 비하여 월등히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도 4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GSAP 유전자는 식물에게 있어서 혹한, 가뭄 및 염 등과 같은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는 유전자인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인삼의 경우는 토양에서 장기간 다양한 미생물과 경쟁적인 관계에 있다는 점을 미루어 이 유전자 산물이 미생물에 대한 저항성도 증가시키는 데 관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에서 설명하고 입증한 바와 같이, 인삼에서 가장 높게 발현되고 스트레스 조건에서 그 발현이 증가하는 본 발명의 환경 저항성 유전자는 혹한, 가뭄 및 염과 같은 외부 조건에 대한 저항성이 탁월하므로 환경 스트레스를 견디는 식물, 동물 및 미생물 등을 개발하는 등의 산업적 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110> EUGENTECH INC. <120> Novel Genes Resistant to Environmental Stress, Nucleotide Sequences, Proteins by the Nucleotide Sequences, Cloning Vectors and Plant Transformants using the Vectors <160> 6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691 <212> DNA <213> ginseng <400> 1 gaaaaaaaca cggaaaaaac atgttcattg taatcatccc agctcgttca ctgtaaaaag 60 gattgcttat aggataatct aatatacagt aaaaagtact cataactaac ggaaatggag 120 aacaagaagg ttgctctggt ggtggtagca atggtggtgg ttctgatatc taccttcgca 180 cccttggctc tggcagctga tgaggctggt aggtctgacg gtggaaatgg agatttaatt 240 gctgtggagt ccgtcagtcg ctctaacggc ggtaatggag attcagttac tgttgacacc 300 gtcagttggg taagttctaa caggaaaacg ctccggtcaa gcatctttct gccgcaggga 360 tatctcccgg acggcggcct aggctgcaaa tcttctggag cgtggtgcgg ttttgatcca 420 cacggctgct gtggcaactg tggctgtttg gttggttttt gctacggtac tggttgctga 480 gctgtggccg tggtgcttgt gcttgaggga gatggcattg tgccttttat cagtgtcttt 540 tagtaattat gtgttaatta aaacgccttc atttcattca aaccgatagt ttggatgaac 600 tatgtaaggc tcctttttgt gtgtagaaga aatttacttt gtactgcaaa gtaacataat 660 aattaaaata aatactccct ccgttaactc a 691 <210> 2 <211> 590 <212> DNA <213> ginseng <400> 2 ctcataacta acggaaatgg agaacaagaa ggttgctctg gtggtggtgg caatggtggt 60 ggttctgata tcgaccgtcg cacccttggc tatggcagtt gatgatgctg gtagctctga 120 cggtttaatt gctgtggagt ccgtcagtcg ctctaatggc ggtaatggag attcagttgc 180 tgttgacacc gtcagttggg taagttctaa caggaaaacg ctccggtcaa agatctttct 240 gccgcaggga tacctcccgg acggcggtct aggctgcaaa tctgccggaa cgtggtgcgg 300 ttttgatcca cacggctgct gcggcagctg tggttgtctg gtgggttttt gctacggtgt 360 tagttgctga gctgtggccg tggtggttgt gctcgaggga gatggcattg tgcctaattt 420 tatcagtgtc ttttagtact tatatgtgtt aattaaaacg ccttcatttc attcaaaccg 480 atagtttgga tgaactatgt aaggctcctt tctctgtgta aaagaaattt actttctacc 540 gcaaagtaac ataataatta aaataaatac tccctccgtt aattcacgct 590 <210> 3 <211> 553 <212> DNA <213> ginseng <400> 3 aaagtactca tcataactaa cggaaatgga gaacaagaag gttgctctgg tggtggtggc 60 aatggtggtg gttctaatat cgaccttcgc acccttggct ctggcagctg atgaggctgg 120 taggtctgac ggtggaaatg gagatttaat tgctgtggag tccgtcagtc gctctaacgg 180 cggtaatgga gattcagtca ctgttgacac agtcagttgg gtaagttcta acaggaaaac 240 gctccggtca agcatctttc tgccgcaggg atacctcccg gacggcggcc taggctgcaa 300 atctggcgga gcgtggtgcg gttttgatcc acacggctgc tgtggcaact gtggctgttt 360 ggttggtttt tgctacggta ctggttgctg agctgtggcc gtggtggttg tgcttgaggg 420 agatgcatga gattgtgcct tttattagtg tcttttagta cttgtatgtg ttaattaaaa 480 cgccttcatt tcattcaaac ccgatagttt ggatgaacta tgcaaggctc ctttctatgt 540 gtactgccaa gta 553 <210> 4 <211> 121 <212> PRT <213> ginseng <400> 4 Met Glu Asn Lys Lys Val Ala Leu Val Val Val Ala Met Val Val Val 1 5 10 15 Leu Ile Ser Thr Phe Ala Pro Leu Ala Leu Ala Ala Asp Glu Ala Gly 20 25 30 Arg Ser Asp Gly Gly Asn Gly Asp Leu Ile Ala Val Glu Ser Val Ser 35 40 45 Arg Ser Asn Gly Gly Asn Gly Asp Ser Val Thr Val Asp Thr Val Ser 50 55 60 Trp Val Ser Ser Asn Arg Lys Thr Leu Arg Ser Ser Ile Phe Leu Pro 65 70 75 80 Gln Gly Tyr Leu Pro Asp Gly Gly Leu Gly Cys Lys Ser Ser Gly Ala 85 90 95 Trp Cys Gly Phe Asp Pro His Gly Cys Cys Gly Asn Cys Gly Cys Leu 100 105 110 Val Gly Phe Cys Tyr Gly Thr Gly Cys 115 120 <210> 5 <211> 117 <212> PRT <213> ginseng <400> 5 Met Glu Asn Lys Lys Val Ala Leu Val Val Val Ala Met Val Val Val 1 5 10 15 Leu Ile Ser Thr Val Ala Pro Leu Ala Met Ala Val Asp Asp Ala Gly 20 25 30 Ser Ser Asp Gly Leu Ile Ala Val Glu Ser Val Ser Arg Ser Asn Gly 35 40 45 Gly Asn Gly Asp Ser Val Ala Val Asp Thr Val Ser Trp Val Ser Ser 50 55 60 Asn Arg Lys Thr Leu Arg Ser Lys Ile Phe Leu Pro Gln Gly Tyr Leu 65 70 75 80 Pro Asp Gly Gly Leu Gly Cys Lys Ser Ala Gly Thr Trp Cys Gly Phe 85 90 95 Asp Pro His Gly Cys Cys Gly Ser Cys Gly Cys Leu Val Gly Phe Cys 100 105 110 Tyr Gly Val Ser Cys 115 <210> 6 <211> 121 <212> PRT <213> ginseng <400> 6 Met Glu Asn Lys Lys Val Ala Leu Val Val Val Ala Met Val Val Val 1 5 10 15 Leu Ile Ser Thr Phe Ala Pro Leu Ala Leu Ala Ala Asp Glu Ala Gly 20 25 30 Arg Ser Asp Gly Gly Asn Gly Asp Leu Ile Ala Val Glu Ser Val Ser 35 40 45 Arg Ser Asn Gly Gly Asn Gly Asp Ser Val Thr Val Asp Thr Val Ser 50 55 60 Trp Val Ser Ser Asn Arg Lys Thr Leu Arg Ser Ser Ile Phe Leu Pro 65 70 75 80 Gln Gly Tyr Leu Pro Asp Gly Gly Leu Gly Cys Lys Ser Gly Gly Ala 85 90 95 Trp Cys Gly Phe Asp Pro His Gly Cys Cys Gly Asn Cys Gly Cys Leu 100 105 110 Val Gly Phe Cys Tyr Gly Thr Gly Cys 115 120

Claims (12)

  1. 서열번호 1의 염기 서열에 의한 아미노산 서열과 90% 이상의 동일성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염기 서열.
  2. 제 1 항에 의한 염기서열에 대응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단백질.
  3. 제 1 항에 의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클로닝 벡터 pGSAP1(수탁번호: KCTC 10735BP).
  4. 제 3 항에 의한 클로닝 벡터에 의하여 형질전환된 식물체.
  5. 서열번호 2의 염기 서열에 의한 아미노산 서열과 90% 이상의 동일성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염기 서열.
  6. 제 5 항에 의한 염기서열에 대응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단백질.
  7. 제 5 항에 의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클로닝 벡터 pGSAP2(수탁번호: KCTC 10736BP).
  8. 제 7 항에 의한 클로닝 벡터에 의하여 형질전환된 식물체.
  9. 서열번호 3의 염기 서열에 의한 아미노산 서열과 90% 이상의 동일성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염기 서열.
  10. 제 9 항에 의한 염기서열에 대응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단백질.
  11. 제 9 항에 의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클로닝 벡터 pGSAP3(수탁번호: KCTC 10737BP).
  12. 제 11 항에 의한 클로닝 벡터에 의하여 형질전환된 식물체.
KR1020050006833A 2005-01-25 2005-01-25 식물체의 환경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방법 KR101055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833A KR101055275B1 (ko) 2005-01-25 2005-01-25 식물체의 환경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833A KR101055275B1 (ko) 2005-01-25 2005-01-25 식물체의 환경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872A true KR20060085872A (ko) 2006-07-28
KR101055275B1 KR101055275B1 (ko) 2011-08-09

Family

ID=37175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833A KR101055275B1 (ko) 2005-01-25 2005-01-25 식물체의 환경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2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152A (ko) * 2016-10-21 2018-05-0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김 유래 건조 및 삼투 스트레스 저항성 유전자 및 이를 이용한 형질전환체
EP3538541A4 (en) * 2016-11-09 2020-12-02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MANUFACTURING AND USE OF GINSENTIDES AND GINSENTID-LIKE PEPTIDES
CN113558011A (zh) * 2021-07-23 2021-10-29 深圳市中医院 基于γ-分泌酶激活蛋白基因的干燥综合征动物模型的建立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152A (ko) * 2016-10-21 2018-05-0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김 유래 건조 및 삼투 스트레스 저항성 유전자 및 이를 이용한 형질전환체
KR101876775B1 (ko) * 2016-10-21 2018-07-10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김 유래 건조 및 삼투 스트레스 저항성 유전자 및 이를 이용한 형질전환체
EP3538541A4 (en) * 2016-11-09 2020-12-02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MANUFACTURING AND USE OF GINSENTIDES AND GINSENTID-LIKE PEPTIDES
CN113558011A (zh) * 2021-07-23 2021-10-29 深圳市中医院 基于γ-分泌酶激活蛋白基因的干燥综合征动物模型的建立方法
CN113558011B (zh) * 2021-07-23 2022-05-10 深圳市中医院 基于γ-分泌酶激活蛋白基因的干燥综合征动物模型的建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5275B1 (ko) 201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od et al. Characterization and expression of dehydrins in water‐stressed Sorghum bicolor
BRPI0616523A2 (pt) método para aumentar a toleráncia de uma planta a um estresse abiótico, método para aumentar a biomassa, vigor e/ou rendimento de uma planta, construção de ácido nucléico, célula de planta e polipeptìdeo isolado
CN111499706A (zh) 棉花锌指蛋白GhZFPH4及其编码基因和应用
CN102643830B (zh) 一种棉花抗旱相关基因GbMYB5的应用
CN107058339A (zh) 大豆GmCIB1基因和GmCRY2基因及其调控开花及衰老的作用
CN113388622B (zh) 火龙果HubHLH93基因及其编码蛋白在抗盐胁迫中的应用
US20150128304A1 (en) Plant Body Showing Improved Resistance Against Environmental Stres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Takahashi et al. cDNA sequence analysis and expression of two cold-regulated genes in soybean
KR101055275B1 (ko) 식물체의 환경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방법
CN111909252B (zh) 人参PgbHLH149转录因子及其应用
CN106554964B (zh) 棉花GbABR1基因在抗黄萎病中的应用
KR100510055B1 (ko) 식물의 뿌리 발달 조절 유전자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뿌리 발달 촉진방법
JP2015171326A (ja) 植物に耐病性・耐乾性・耐塩性・光合成効率向上・分げつ数増大を付与する遺伝子
CN107326030B (zh) 一种调控低钾耐受性的wrky转录因子及其应用
CN109097367B (zh) 一种橡胶树HbWRKY82基因及其应用
Joshi et al.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cDNA encoding a water stress protein (WSP23) from wheat roots
JP3731048B2 (ja) ストレスに応答する根特異的遺伝子
CN110468138B (zh) 控制水稻耐冷性的基因tsg2及其应用
CN114480341A (zh) 枳蛋白激酶PtrSnRK2.4在植物抗旱遗传改良中的应用
KR20060080973A (ko) 글리신-풍부 rna-결합 단백질을 암호화하는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이용하여 식물에 저온 또는 동결내성을 부여하는 방법
CN113403322A (zh) 一种茶树干旱响应基因CsNAC168及其编码蛋白和应用
JP2002262885A (ja) 植物に対するストレス耐性付与方法
CN113862279B (zh) 抑制水稻幼苗生长的基因OsACO及其应用
JP2008521445A5 (ko)
CN109355270A (zh) 一种水稻激酶osk1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