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5850A - 터치 스크린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기기제어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기기제어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5850A
KR20060085850A KR1020050006797A KR20050006797A KR20060085850A KR 20060085850 A KR20060085850 A KR 20060085850A KR 1020050006797 A KR1020050006797 A KR 1020050006797A KR 20050006797 A KR20050006797 A KR 20050006797A KR 20060085850 A KR20060085850 A KR 20060085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touch screen
control
specific
specific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4439B1 (ko
Inventor
공민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6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439B1/ko
Publication of KR20060085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3/00Apparatus for stamping articles having integral means for suppor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 B41K3/02Apparatus for stamping articles having integral means for suppor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with stamping surface located above article-supporting surface
    • B41K3/04Apparatus for stamping articles having integral means for suppor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with stamping surface located above article-supporting surface and movable at right angles to the surface to be stam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3/00Apparatus for stamping articles having integral means for suppor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 B41K3/62Details or 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기기에서, 사전에 약속된 특정 패턴(Pattern)을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입력하면 그 패턴을 기기의 특정 기능에 대한 조절 명령으로 인식하여 해당 기능을 제어해 줄 수 있도록 한 터치 스크린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기기에서 특정 조절기능에 대응하는 명령으로 인식하기 위한 소정의 특정 패턴을 등록하여 저장하고,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중에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입력한 패턴을 인식하여 상기 저장된 특정 패턴과 비교하고,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패턴과 일치되는 특정 패턴을 확인하여 그 확인된 특정 패턴에 대응하는 조절기능을 수행시켜 줌으로써, 별도의 UI없이 콘텐츠의 재생, 정지, 탐색, 변속제어, 음량조절, 북마크 처리 등을 쉽고 간편하며, 빠르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패턴인식, 기능조절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방법과 장치{MULTIMEDIA DEVICE CONTROL SYSTEM BASED ON PATTERN RECOGNITION IN TOUCH SCREE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패턴들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방법의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로세서 20: 터치 스크린
21: 디스플레이부 22: 터치 입력부
30: 메모리부 31: 패턴 정보 저장부
40: A/V 재생부 50: 출력장치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기기에서, 사전에 약속된 특정 패턴(Pattern)을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사용자가 입력 하면 그 입력 패턴을 기기의 특정 기능에 대한 조절 명령으로 인식하여 해당 기능을 제어해 줄 수 있도록 한 터치 스크린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PC나 PDA, 스마트 폰, PMP(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MP3 플레이어 등이 보급되고 있다. 이들 기기에서는 오디오 뿐만 아니라, 동영상이나 정지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Multimedia Contents)를 재생하는 기능이 보편화되어 있다.
이러한 콘텐츠 들은 그 특성상, 재생(Play), 정지(Stop), 일시정지(Pause), 빨리감기(FF), 빨리 되감기(REW), 음량 증가(Volum Up), 음량 감소(Volum Down), 영상 회전(Rotate) 등의 조절 기능이 반드시 수반된다.
기존의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재생기능을 갖는 기기에서는 사용자가 기기의 터치 스크린 상에 구현된 특정 항목을 억세스(Access) 함으로써 상기한 여러 가지 조절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콘텐츠를 재생할 경우에는 상기 조절 기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항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보여주는 방법을 사용하던가, 혹은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상기 조절 기능을 위한 UI를 화면에 나타내 주는 방법(예를 들면 OSD 기능 사용)을 사용해야 한다. 그런데 전자의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비효율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후자의 방법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모두, 조절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특정 위치 상에 나타낸 UI를 억세스(Pointing) 해야 한다. 그렇지만 휴대성과 이동성에 기반한 단말기의 경우는 그 특성상 디스플레이 장치(터치 스크린 장치)의 크기가 제한될 수 밖에 없고,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가 작은 기기에서는 UI의 크기 또한 따라서 작아질 수 밖에 없는 구조 상의 제약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이유로 터치 스크린용 펜을 사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기기 조작을 위해서 일일이 펜을 사용해야 하는 것은 사실 상 불편한 것이며,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Full Screen)를 이용하여 동영상이나 정지 영상을 재생하면서 동시에 조절 기능을 OSD로 구현하는 경우, 즉 후자의 경우는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를 OSD가 가리게 되어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 인식에 장애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한 기기에서 터치 스크린에 사용자가 입력하는 패턴의 인식을 이용해서 빠른 실행(Quick Running)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기기에서, 기존의 조절용 UI 기반 기기 조작방법에 비해서 쉽고 빠른 조절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터치 스크린에 사용자가 특정한 패턴을 입력하면 해당 패턴에 따라 미리 약속된 조절기능이 동작되도록 한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재생 제어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기기에서, 오디오/동영상/정지영상 등의 콘텐츠를 이용하는 경우, 터치 스크린을 이용해서 미리 약속된 조절 기능을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특히 변속 및 탐색제어 (FF/REW), 재생/정지 제어(PLAY/STOP/PAUSE), 음량제어(VOLUME CONTROL), 북마크 처리(BOOK MARK START/STOP) 등의 기능 조절을 별도의 UI가 없는 상황에서도 구현할 수 있는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재생 제어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방법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기능을 갖는 기기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기기의 특정한 조절기능에 대응하는 조절명령으로 인식하기 위한 특정 패턴을 등록하여 저장하는 단계;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입력된 패턴을 인식하여 상기 등록된 특정 패턴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패턴이 상기 등록된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해당 특정 패턴이 지시하는 상기 조절명령에 따라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패턴 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방법에서, 상기 특정 패턴에 의하여 동영상 재생시의 변속, 탐색, 정지/재생, 음량조절, 회전, 북마크 처리 등의 조절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패턴 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방법에서, 상기 특정 패턴에 의하여 정지영상 재생시의 재생정지, 이미지 탐색, 회전 등의 조절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패턴 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방법에서, 상기 특정 패턴에 의하여 오디오 재생시의 변속, 탐색, 정지/재생, 음량조절, 북마크 처리 등의 조절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패턴 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방법에서, 상기 특정 패턴은 동일한 하나의 패턴이라고 하더라도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조절 명령으로 인식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패턴 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방법에서, 상기 특정 패턴은 터치, 방향성을 갖는 직선이나 곡선 드래그(Drag), 체크(V) 패턴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패턴 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방법에서, 상기 특정 패턴을 사용자가 정의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해서 특정 패턴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구성된 특정 패턴을 기기의 조절기능 중의 하나와 대응시켜 등록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사용자 정의 패턴 등록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장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기능을 갖는 기기에 있어서, 영상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의 기기 조작을 위한 터치 스크린; 멀티미디어 기기의 특정한 조절기능에 대응하는 조절명령으로 인식하기 위한 특정 패턴을 등록하여 저장하는 패턴 저장수단;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입력된 패턴을 상기 저장된 특정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입력된 패턴이 상기 등록된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해당 특정 패턴이 지시하는 상기 조절명령에 따라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받아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패턴 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제어장치에서, 상기 특정 패턴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시의 재생/정지, 탐색, 변속제어, 음량조절, 회전, 북마크 처리의 조절 기능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패턴 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방법 및 그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재생기기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기기는, 패턴 인식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0)와, 영상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의 기기 조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20)과,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조절기능에 대응하는 특정 패턴 정보가 저장된 패턴 정보 저장부(31)를 포함하는 메모리부(30)와, 상기 프로세서(10)의 제어를 받아 오디오 및 동영상, 정지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A/V 재생부(40)와, 오디오 신호 출력을 위한 출력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1에 표현된 멀티미디어 기기의 일반적인 동작부터 살펴본다.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20)의 디스플레이부(21)에 표시되는 UI를 이용해서 입력하는 기기 조작 명령을 터치 입력부(22)를 통해서 인식하고, 인식된 기기 조작 명령에 따라 메모리부(30)를 구동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부(21)에 표시해 주거나 해당 명령에 따른 기기의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이 때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요구된 경우에는 A/V 재생부(40)에서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21)에 표시해주거나, 스피커 등의 출력장치(50)를 통해서 출력해 준다.
이와 같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중에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20)을 통해서 특정 패턴을 입력하면 프로세서(10)는 입력된 패턴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패턴을 패턴 정보 저장부(31)에 저장된 특정 패턴과 비교하며, 일치되는 특정 패턴이 있으면 그 특정 패턴이 의미하는 특정 조절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패턴 정보 저장부(31)에 저장되는 특정 패턴과 그 특정 패턴이 의미하게 되는 특정 조절기능의 예를 도2에 표현하였다. 도2에 나타낸 특정 패턴은 예시된 것이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패턴은 도2에 표현된 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도2에 나타낸 특정 패턴과 그 패턴에 대응하는 조절기능은 사전에 구성되어 패턴 정보 저장부(31)에 저장된다. 상기 특정 패턴은 기기의 제작 단계에서 미리 작성되어 저장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직접 특정 패턴을 특정 조절기능에 대응시켜 등록해 주는 방법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 '패턴 등록모드'를 두고,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20)을 이용해서 사용자가 정의하는 특정한 패턴을 입력하고, 이 것을 기기의 특정한 조절 기능에 대응시켜 주면 프로세서(10)에서 사용자가 정의한 특정 패턴을 사용자가 정의한 특정 조절기능에 등록시켜 패턴 정보 저장부(31)에 저장해 주는 것이다. 이후에 는 사용자가 정의하여 등록시켜 놓은 상기 특정 패턴이 입력되었을 때 그 패턴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의 조절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2에 나타낸 특정 패턴은 그 확장이나 축소가 가능하다.
도2에 나타낸 특정 패턴들은 동일한 패턴이라고 하더라도 현재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음을 함께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특정 패턴을 현재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명령으로 인식함으로써, 등록시킬 패턴의 수를 줄이고 메모리 공간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도2에 예시한 특정 패턴과 그에 따른 기기 조절기능을 살펴본다.
1회 터치(Spot) 패턴의 경우는 동영상 재생(Play)일 경우에 일시정지(Pause)와 복귀(Resume)를 토글(Toggle)로 인식한다. 즉, 1회의 짧은 터치는 현재 재생중인 동영상을 재생 일시정지(Pause)시켜 주고, 다시 1회의 짧은 터치가 이루어지면 일시정지 직전의 상태로 복귀(Resume)시켜 주는 동작을 토글로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1회 터치 패턴은 기기가 현재 동영상에 대한 변속 탐색(FF/REW) 중일 경우에는 재생(Play) 명령으로 인식한다. 즉, 현재 동영상에 대한 빨리 감기(FF)나 빨리 되감기(REW)가 수행중인 경우에 1회 터치가 이루어지면 재생(Play)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1회 터치 패턴은 정지영상 재생일 경우는 사용하지 않는 패턴이지만, 오디오 재생 중인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재생 일시정지(Pause)와 복귀(Resume)의 토글 동작으로 인식하며, 오디오의 변속 탐색(FF/REW)인 경우에는 재생(Play) 명령으로 인식 한다. 즉, 현재 오디오에 대한 빨리 감기(FF)나 빨리 되감기(REW)가 수행중인 경우에 1회 터치가 이루어지면 재생(Play)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다음, 길게 터치하는 패턴인 경우를 살펴본다. 이 패턴의 입력은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가 동영상일 경우, 정지 영상일 경우, 오디오 재생일 경우 모두 정지(Stop)로 인식한다.
다음, 오른쪽 방향의 드래그(Drag) 패턴인 경우를 살펴본다. 이 패턴의 입력은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가 동영상일 경우 빨리 감기(FF)의 탐색 조절 명령으로 인식하고,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가 정지 영상일 경우에는 다음 순번의 이미지(Next Image)를 탐색하는 명령으로 인식하며,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가 오디오인 경우는 빨리 감기(FF)의 탐색 조절 명령으로 인식한다.
다음, 왼쪽 방향의 드래그(Drag) 패턴인 경우를 살펴본다. 이 패턴의 입력은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가 동영상일 경우 빨리 되감기(REW)의 탐색 조절 명령으로 인식하고,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가 정지 영상일 경우에는 이전 순번의 이미지(Before Image)를 탐색하는 명령으로 인식하며,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가 오디오인 경우는 빨리 되감기(REW)의 탐색 조절 명령으로 인식한다.
다음, 위쪽 방향의 드래그(Drag) 패턴인 경우를 살펴본다. 이 패턴의 입력은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가 동영상일 경우 음량 증가(Volume Up) 명령으로 인식하고,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가 정지 영상일 경우는 유효하지 않으며,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가 오디오인 경우에는 음량 증가(Volume Up) 명령으로 인식한다.
다음, 아래 쪽 방향의 드래그(Drag) 패턴인 경우를 살펴본다. 이 패턴의 입 력은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가 동영상일 경우 음량 감소(Volume Down) 명령으로 인식하고,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가 정지 영상일 경우는 사용하지 않으며(Invalid),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가 오디오인 경우에는 음량 감소(Volume Down) 명령으로 인식한다.
다음, 시계 방향의 곡선 드래그(CW Drag) 패턴인 경우를 살펴본다. 이 패턴의 입력은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가 동영상일 경우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는 명령으로 인식하고,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가 정지 영상인 경우에도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는 명령으로 인식하며,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가 오디오인 경우는 사용하지 않는다. 즉, 유효하지 않은 패턴이다.
다음, 반시계 방향의 곡선 드래그(CCW Drag) 패턴인 경우를 살펴본다. 이 패턴의 입력은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가 동영상일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는 명령으로 인식하고,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가 정지 영상인 경우에도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는 명령으로 인식하며,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가 오디오인 경우는 사용하지 않는다.
다음, 체크(V) 형으로 드래그하는 패턴인 경우를 살펴 본다. 이 패턴의 입력은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가 동영상일 경우 및 오디오 재생일 경우에는 북마크의 시작과 중지(Book Mark Start/Stop)로 인식하며,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가 정지 영상일 경우는 사용하지 않는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특정 패턴과 그에 따른 기기 조절명령(기능조절)은 동일한 패턴이라고 하더라도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의 종 류에 따라 다른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상기 특정 패턴은 제작 단계에서 미리 정의되어 저장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한 패턴을 특정 조절 기능에 대응시켜 등록시켜 주는 방법으로 확장하거나, 혹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패턴을 제거하여 축소시켜 주는 것도 가능하다.
도2에서 보듯이, 패턴은 각각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따라 수행하는 조절기능이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동일한 패턴에 대하여 현재 어떤 콘텐츠를 재생중인가에 따라 링크(link) 되어야 할 동작만 달라질 뿐이기 때문에 메모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3은 동영상, 정지영상, 오디오 재생 시에 터치 스크린을 통해 패턴이 입력되면 미리 입력되어 있는 패턴과 비교하여 유효한 패턴인가를 판별하고, 유효한 패턴이면 해당 조절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일련의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제1 단계(S10)는 패턴 입력단계이다. 즉, 터치 스크린(20)을 통해서 사용자가 특정한 패턴을 입력하는 단계이다.
제2 단계(S20)는 상기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20)을 이용해서 입력한 특정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이다. 즉,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20) 상에 손이나 펜 등의 터치 오브젝트(Touch Object)를 이용해서 특정한 패턴을 그려 넣으면 이를 인식하는 단계이다.
제3 단계(S30)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패턴과 패턴 정보 저장부(31)에 저장된 특정 패턴을 서로 비교하여 사용자 입력 패턴이 유효한 패턴, 즉 사전에 등록되 어 있는 패턴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S30)의 판별 결과 유효하지 않은 패턴을 입력했다면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4 단계(S40)로 이행하여 패턴 입력 오류(인식 불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종료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입력한 패턴이 유효한 패턴이라면 제5 단계(S50)로 이행하여 현재 수행중인 동작을 검색한다. 즉, 현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중인지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중이라면 어떤 종류의 콘텐츠를 재생중인가를 판별하는 것이다.
제5 단계(S50)의 판별 결과에 따라 다음의 제6 단계(S61,S62,S63) 중의 어느 하나의 조절을 수행한다.
단계(S61)는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가 동영상인 경우에 해당한다.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가 동영상인 경우에는 앞서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인식된 패턴에 따라 프로세서(10)에서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재생, 정지, 변속 탐색, 회전, 음량 증감, 북마크 처리 등의 기기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단계(S62)는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가 정지 영상인 경우에 해당한다.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가 정지영상인 경우에는 앞서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인식된 패턴에 따라 프로세서(10)에서 정지 영상 콘텐츠에 대한 이미지 탐색, 정지, 음량 증감, 회전 등의 기기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단계(S63)는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가 오디오인 경우에 해당한다.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가 오디오인 경우에는 앞서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인식된 패턴에 따라 오디오 콘텐츠에 대한 재생, 정지, 변속 탐색, 음량 증감, 북마크 처 리 등의 기기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지금까지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조절기능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콘텐츠 재생과 관련된 제어 이외에도 다른 기능조절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 패턴을 입력하면 전원을 오프시키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서의 '특정 패턴'은 모양으로 정의되는 패턴 뿐만 아니라, 넓은 의미에서 '문자'도 하나의 패턴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를 현재 재생중인 동영상의 정지(Stpo) 명령으로 인식한다던가, 'F'를 현재 재생 중인 동영상의 빨리감기(FF) 명령으로 인식하는 등의 확장된 패턴 인식도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패턴 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시스템은 제한된 스크린 크기를 갖는 이동 단말기에 특히 유용하다. 즉, 스마트 폰이나 PDA, PMP 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을 입력 및 영상 출력장치로 사용하는 단말기에서, 제한된 크기의 스크린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중에 별도의 UI를 위한 화면 전환이나 OSD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해당 콘텐츠의 재생 상태의 조절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갖는 멀티미디어 재생기기에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입력하는 패턴을 특정 기능에 대한 조절 명령으로 인식함으로써, 보다 쉽고 간단하게 특정한 조절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이 부착된 멀티미디어 재생기기의 경우 소프트웨 어(도3의 제어 수순)를 탑재함으로써 구현 가능하기 때문에 하드웨어적인 설계와 제작 및 비용 부담이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조절기능을 구현하는 데는 터치 펜을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AV 출력 기능이 있는 기기의 경우, TV나 오디오 기기와 같은 외부기기와 연결하여 사용할 때, 기기를 쉽게 원격 제어기(Remote Controller)와 같이 사용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기능을 갖는 기기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기기의 특정한 조절기능에 대응하는 조절명령으로 인식하기 위한 특정 패턴을 등록하여 저장하는 단계;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입력된 패턴을 인식하여 상기 등록된 특정 패턴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패턴이 상기 등록된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해당 특정 패턴이 지시하는 상기 조절명령에 따라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패턴에 의하여 동영상 재생시의 변속, 탐색, 정지/재생, 음량조절, 회전, 북마크 처리 등의 조절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패턴에 의하여 정지영상 재생시의 재생정지, 이미지 탐색, 회전 등의 조절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패턴에 의하여 오디오 재생시의 변속, 탐색, 정지/재생, 음량조절, 북마크 처리 등의 조절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패턴은 동일한 하나의 패턴이라고 하더라도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조절 명령으로 인식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패턴은 터치, 방향성을 갖는 직선이나 곡선 드래그(Drag), 체크(V) 패턴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패턴을 사용자가 정의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해서 특정 패턴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구성된 특정 패턴을 기기의 조절기능 중의 하나와 대응시켜 등록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사용자 정의 패턴 등록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방법.
  8.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기능을 갖는 기기에 있어서,
    영상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의 기기 조작을 위한 터치 스크린; 멀티미디어 기 기의 특정한 조절기능에 대응하는 조절명령으로 인식하기 위한 특정 패턴을 등록하여 저장하는 패턴 저장수단;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입력된 패턴을 상기 저장된 특정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입력된 패턴이 상기 등록된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해당 특정 패턴이 지시하는 상기 조절명령에 따라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받아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패턴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시의 재생/정지, 탐색, 변속제어, 음량조절, 회전, 북마크 처리의 조절 기능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장치.
KR1020050006797A 2005-01-25 2005-01-25 터치 스크린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기기제어방법과 장치 KR101034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797A KR101034439B1 (ko) 2005-01-25 2005-01-25 터치 스크린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기기제어방법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797A KR101034439B1 (ko) 2005-01-25 2005-01-25 터치 스크린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기기제어방법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850A true KR20060085850A (ko) 2006-07-28
KR101034439B1 KR101034439B1 (ko) 2011-05-12

Family

ID=37175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797A KR101034439B1 (ko) 2005-01-25 2005-01-25 터치 스크린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기기제어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439B1 (ko)

Cited B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453B1 (ko) * 2007-02-23 2008-11-10 주식회사 휴맥스 디지털 기기에서의 오디오 특수 재생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873301B1 (ko) 2007-04-04 2008-12-0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터치스크린의 입력키 처리 방법
WO2009038264A1 (en) * 2007-09-17 2009-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inputting user command using user's motion and multimedia apparatus thereof
KR100896711B1 (ko) * 2007-02-08 2009-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탭을 통한 기능 실행방법
KR100908845B1 (ko) * 2007-04-20 2009-07-21 주식회사 아이리버 필기입력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제어 시스템 및제어 방법
WO2010013974A2 (en) * 2008-07-31 2010-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using pattern recognition in handy terminal
WO2010076623A1 (en) * 2008-12-30 2010-07-08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 personalizable user interface
WO2010114251A2 (en) * 2009-04-03 2010-10-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gesture-based function control
KR101019335B1 (ko) * 2008-11-11 2011-03-07 주식회사 팬택 제스처를 이용한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83390A (ko) * 2010-01-14 2011-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121516B1 (ko) * 2006-09-06 2012-02-28 애플 인크. 상이한 제스처에 대해 유사한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US8558814B2 (en) 2007-01-19 2013-10-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46931B1 (ko) * 2007-01-19 201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 및 이를 이용한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KR101417830B1 (ko) * 2012-10-31 2014-07-09 주식회사 러빙아이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457351B1 (ko) * 2013-05-27 2014-11-0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터치 스크린 기반의 투명 제어 영역과 제스처 패턴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제어 방법
US8893057B2 (en) 2006-11-09 2014-1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hanging and rotating a mobile terminal standby screen
KR101501949B1 (ko) * 2008-04-04 201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동작 제어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그 제어방법
KR101513024B1 (ko) * 2008-04-22 2015-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것의 이미지 인식 방법
KR101521929B1 (ko) * 2008-12-16 2015-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9052814B2 (en) 2007-01-07 2015-06-0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zooming in on a touch-screen display
KR20150078243A (ko) *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케이티 동영상 주석 설정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9354811B2 (en) 2009-03-16 2016-05-31 Apple Inc. Multifunction device with integrated search and application selection
US9361018B2 (en) 2010-03-01 2016-06-07 Blackberry Limited Method of providing tactile feedback and apparatus
US9367232B2 (en) 2007-01-07 2016-06-14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user navigations of graphical objects on a touch screen display
KR101709326B1 (ko) * 2016-08-12 2017-03-08 주식회사 온매칭 멀티터치 명령 생성 장치 및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US9619143B2 (en) 2008-01-06 2017-04-1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ewing application launch icons
US9772751B2 (en) 2007-06-29 2017-09-26 Apple Inc. Using gestures to slide between user interfaces
US9933913B2 (en) 2005-12-30 2018-04-03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US10313505B2 (en) 2006-09-06 2019-06-04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displaying widgets
US10379728B2 (en) 2008-03-04 2019-08-13 Apple Inc.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conducting searches on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US10503388B2 (en) 2013-09-03 2019-12-10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620780B2 (en) 2007-09-04 2020-04-14 Apple Inc. Editing interface
US10691230B2 (en) 2012-12-29 2020-06-23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817162B2 (en) 2007-01-07 2020-10-27 Apple Inc.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scrolling operations
US11126321B2 (en) 2007-09-04 2021-09-21 Apple Inc. Application menu user interface
US11157158B2 (en) 2015-01-08 2021-10-26 Apple Inc. Coordination of static backgrounds and rubberband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6523B1 (en) 1999-07-29 2002-05-28 Interlink Electronics, Inc. Home entertainment device remote control
JP2004104594A (ja) 2002-09-11 2004-04-02 Toshiba Corp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及びユーザ指示入力方法
KR100538248B1 (ko) * 2003-03-11 2005-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글 모음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1058011B1 (ko) * 2004-10-01 201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조작 방법

Cited By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9194B2 (en) 2005-12-30 2022-09-20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US9933913B2 (en) 2005-12-30 2018-04-03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US10359907B2 (en) 2005-12-30 2019-07-23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US11650713B2 (en) 2005-12-30 2023-05-16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US10884579B2 (en) 2005-12-30 2021-01-05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US10915224B2 (en) 2005-12-30 2021-02-09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KR101121516B1 (ko) * 2006-09-06 2012-02-28 애플 인크. 상이한 제스처에 대해 유사한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US10778828B2 (en) 2006-09-06 2020-09-15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displaying widgets
US11240362B2 (en) 2006-09-06 2022-02-01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displaying widgets
US10313505B2 (en) 2006-09-06 2019-06-04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displaying widgets
US11736602B2 (en) 2006-09-06 2023-08-22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displaying widgets
US8893057B2 (en) 2006-11-09 2014-1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hanging and rotating a mobile terminal standby screen
US11461002B2 (en) 2007-01-07 2022-10-04 Apple Inc. List scrolling and document translation, scaling, and rotation on a touch-screen display
US11586348B2 (en) 2007-01-07 2023-02-21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user navigations of graphical objects on a touch screen display
US10817162B2 (en) 2007-01-07 2020-10-27 Apple Inc.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scrolling operations
US9052814B2 (en) 2007-01-07 2015-06-0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zooming in on a touch-screen display
US10732821B2 (en) 2007-01-07 2020-08-04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user navigations of graphical objects on a touch screen display
US11269513B2 (en) 2007-01-07 2022-03-08 Apple Inc. List scrolling and document translation, scaling, and rotation on a touch-screen display
US10983692B2 (en) 2007-01-07 2021-04-20 Apple Inc. List scrolling and document translation, scaling, and rotation on a touch-screen display
US11169691B2 (en) 2007-01-07 2021-11-09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user navigations of graphical objects on a touch screen display
US10254949B2 (en) 2007-01-07 2019-04-09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user navigations of graphical objects on a touch screen display
US11886698B2 (en) 2007-01-07 2024-01-30 Apple Inc. List scrolling and document translation, scaling, and rotation on a touch-screen display
US9367232B2 (en) 2007-01-07 2016-06-14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user navigations of graphical objects on a touch screen display
US8558814B2 (en) 2007-01-19 2013-10-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46931B1 (ko) * 2007-01-19 201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 및 이를 이용한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US9641749B2 (en) 2007-02-08 2017-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Onscreen function execution method for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screen
US9395913B2 (en) 2007-02-08 2016-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Onscreen function execution method for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screen
KR100896711B1 (ko) * 2007-02-08 2009-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탭을 통한 기능 실행방법
US9041681B2 (en) 2007-02-08 2015-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Onscreen function execution method for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screen
KR100867453B1 (ko) * 2007-02-23 2008-11-10 주식회사 휴맥스 디지털 기기에서의 오디오 특수 재생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873301B1 (ko) 2007-04-04 2008-12-0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터치스크린의 입력키 처리 방법
KR100908845B1 (ko) * 2007-04-20 2009-07-21 주식회사 아이리버 필기입력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제어 시스템 및제어 방법
US10761691B2 (en) 2007-06-29 2020-09-01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with animated user interface transitions
US11507255B2 (en) 2007-06-29 2022-11-22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with animated sliding user interface transitions
US9772751B2 (en) 2007-06-29 2017-09-26 Apple Inc. Using gestures to slide between user interfaces
US11604559B2 (en) 2007-09-04 2023-03-14 Apple Inc. Editing interface
US10620780B2 (en) 2007-09-04 2020-04-14 Apple Inc. Editing interface
US11010017B2 (en) 2007-09-04 2021-05-18 Apple Inc. Editing interface
US11861138B2 (en) 2007-09-04 2024-01-02 Apple Inc. Application menu user interface
US11126321B2 (en) 2007-09-04 2021-09-21 Apple Inc. Application menu user interface
CN101743531B (zh) * 2007-09-17 2014-06-18 三星电子株式会社 使用用户运动输入用户命令的方法及其多媒体设备
WO2009038264A1 (en) * 2007-09-17 2009-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inputting user command using user's motion and multimedia apparatus thereof
US10628028B2 (en) 2008-01-06 2020-04-21 Apple Inc. Replacing display of icons in response to a gesture
US9619143B2 (en) 2008-01-06 2017-04-1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ewing application launch icons
US10379728B2 (en) 2008-03-04 2019-08-13 Apple Inc.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conducting searches on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KR101501949B1 (ko) * 2008-04-04 201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동작 제어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그 제어방법
KR101513024B1 (ko) * 2008-04-22 2015-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것의 이미지 인식 방법
WO2010013974A2 (en) * 2008-07-31 2010-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using pattern recognition in handy terminal
WO2010013974A3 (en) * 2008-07-31 2010-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using pattern recognition in handy terminal
KR101509245B1 (ko) * 2008-07-31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패턴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방법
US8893052B2 (en) 2008-11-11 2014-11-18 Pantech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application using gesture
KR101019335B1 (ko) * 2008-11-11 2011-03-07 주식회사 팬택 제스처를 이용한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521929B1 (ko) * 2008-12-16 2015-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WO2010076623A1 (en) * 2008-12-30 2010-07-08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 personalizable user interface
US8289287B2 (en) 2008-12-30 2012-10-16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 personalizable user interface
US10042513B2 (en) 2009-03-16 2018-08-07 Apple Inc. Multifunction device with integrated search and application selection
US9354811B2 (en) 2009-03-16 2016-05-31 Apple Inc. Multifunction device with integrated search and application selection
US11720584B2 (en) 2009-03-16 2023-08-08 Apple Inc. Multifunction device with integrated search and application selection
US10067991B2 (en) 2009-03-16 2018-09-04 Apple Inc. Multifunction device with integrated search and application selection
WO2010114251A3 (en) * 2009-04-03 2010-1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gesture-based function control
WO2010114251A2 (en) * 2009-04-03 2010-10-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gesture-based function control
KR20110083390A (ko) * 2010-01-14 2011-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10401965B2 (en) 2010-03-01 2019-09-03 Blackberry Limited Method of providing tactile feedback and apparatus
US10162419B2 (en) 2010-03-01 2018-12-25 Blackberry Limited Method of providing tactile feedback and apparatus
US9588589B2 (en) 2010-03-01 2017-03-07 Blackberry Limited Method of providing tactile feedback and apparatus
US9361018B2 (en) 2010-03-01 2016-06-07 Blackberry Limited Method of providing tactile feedback and apparatus
KR101417830B1 (ko) * 2012-10-31 2014-07-09 주식회사 러빙아이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691230B2 (en) 2012-12-29 2020-06-23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101457351B1 (ko) * 2013-05-27 2014-11-0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터치 스크린 기반의 투명 제어 영역과 제스처 패턴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제어 방법
US10503388B2 (en) 2013-09-03 2019-12-10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20150078243A (ko) *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케이티 동영상 주석 설정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11157158B2 (en) 2015-01-08 2021-10-26 Apple Inc. Coordination of static backgrounds and rubberbanding
US11644966B2 (en) 2015-01-08 2023-05-09 Apple Inc. Coordination of static backgrounds and rubberbanding
KR101709326B1 (ko) * 2016-08-12 2017-03-08 주식회사 온매칭 멀티터치 명령 생성 장치 및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4439B1 (ko)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439B1 (ko) 터치 스크린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기기제어방법과 장치
US1060640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operation input method and operation input program
US108254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reset operation mode using voice recognition
KR102373510B1 (ko) 디스플레이를 회전함에 따라 컨텐츠를 시각화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97496B1 (ko) 폴더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RU2533634C2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и программа
JP4621637B2 (ja) ジョグダイヤルを備えた携帯端末機及びその制御方法
US932335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905513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US20150193036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148789A1 (en) Mobile device having projector modu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954794B1 (ko) 영상 표시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구간을 탐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275132B2 (en) Display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and recordable medium storing program for performing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20100149114A1 (en) Simulating a multi-touch screen on a single-touch screen
BR102014002492A2 (pt) método e aparelho para multitarefa
KR20120080859A (ko) 손가락 추적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4146309A (ja) コンテンツ再生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その装置
US9413870B2 (en)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attribute of application based on motion and method thereof
KR101838719B1 (ko) 멀티 터치를 이용한 표시 정보 회전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단말기
JP5944147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16931871A (zh) 播放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JP6416028B2 (ja) カラオケ用入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3348255A (ja) データ表示システム及びデータ通信装置
WO20091306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deo output
KR20190054397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