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4385A -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및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및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4385A
KR20060084385A KR1020060005378A KR20060005378A KR20060084385A KR 20060084385 A KR20060084385 A KR 20060084385A KR 1020060005378 A KR1020060005378 A KR 1020060005378A KR 20060005378 A KR20060005378 A KR 20060005378A KR 20060084385 A KR20060084385 A KR 20060084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bus line
crystal display
pixel electrod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3386B1 (ko
Inventor
요시히사 다구찌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4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07Structures for producing distorted electric fields, e.g. bumps, protrusions, recesses, slits in pixel 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13Storage capacitors associated with the pixel electr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ome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표시부 등에 이용되는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및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투과율로 밝고 양호한 표시 특성이 얻어지고, 높은 제조 수율이 얻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게이트 버스 라인(1)에 거의 평행하게 형성된 축적 용량 버스 라인(3)과, TFT(4)의 소스 전극 S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화소 전극(6)과, TFT(4)의 소스 전극 S에 절연막을 개재하여 대향 배치되고, 제1 화소 전극(6)과 분리하여 형성된 제2 화소 전극(7)과, 제1 화소 전극(6)과 제2 화소 전극(7)과의 인접 단부 간의 슬릿폭 a가, 축적 용량 버스 라인(3) 상에서 최단 슬릿폭 b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는 슬릿부(13)를 갖도록 구성한다.
게이트 버스 라인, 드레인 버스 라인, TFT, 축적 용량 전극, 컨택트홀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및 액정 표시 장치{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AND LIQUID CRYSTAL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1 화소의 구성을 도시하는 등가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의 1 화소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의 1 화소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게이트 버스 라인
2 : 드레인 버스 라인
3 : 축적 용량 버스 라인
4 : TFT
5 : 축적 용량 인출선
6 : 제1 화소 전극
7 : 제2 화소 전극
8 : 축적 용량 전극
9 : 컨택트홀
10 : 접속 전극
11, 12 : 가상 원
13 : 슬릿부
20 : TFT 기판
22 : 절연막
23 : 최종 보호막
40 : 대향 기판
43 : 공통 전극
80 : 게이트 버스 라인 구동 회로
82 : 드레인 버스 라인 구동 회로
84 : 제어 회로
86, 87 : 편광판
88 : 백 라이트 유닛
[특허문헌 1] 일본 특개평 2-12호 공보
[특허문헌 2] 미국 특허 제4840460호 명세서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제3076938호 공보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표시부 등에 이용되는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및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표시 장치는, 텔레비전 수상기나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 장치 등으로서 이용되게 되어 있다. 이들의 용도로는, 표시 화면을 모든 방향으로부터 고품질로 볼 수 있는 높은 시각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높은 시각 특성이 얻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MVA(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MVA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전압 무인가 시에 액정 분자를 기판에 수직으로 배향시키고, 액정에 전압이 인가되면, 기판에 형성된 돌기 혹은 투명 전극(ITO)에 설치된 슬릿에 의해서 액정 분자의 배향이 규정되도록 되어 있다.
MVA 방식과 같이 액정 분자를 기판에 수직으로 배향시키는 수직 배향 방식에서는 일반적으로, 액정에의 인가 전압에 대한 투과율 특성(T-V 특성)은 표시 화면의 법선 방향(정면 방향)과 그것보다 경사 방향에서 상이하다. 이 때문에, 화면 법선 방향의 T-V 특성을 최적으로 조정해도 화면을 경사 방향으로부터 보면 T-V 특성이 왜곡되어 화상의 색이 흰 빛을 띠게 변화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 화소 내를 2개의 부화소 A, B로 분할하고, 부화소 A의 화소 전극 α를 화소 구동용의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소스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부화소 B의 화소 전 극 β는 TFT의 소스 전극으로부터 절연시켜 플로팅 상태로 한 화소 구조가 알려져 있다.
해당 화소 구조에서는, 부화소 B의 화소 전극 β 및 TFT의 소스 전극과, 양 전극 간에 끼워진 절연막에서 제어 용량 Cc가 형성된다. 이 제어 용량 Cc에 의한 용량 결합으로 부화소 B의 화소 전극 β에는 부화소 A의 화소 전극 α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인가된다. 이에 의해, 경사 방향의 T-V 특성의 왜곡을 완화하도록 1 화소 내의 2 영역에서 T-V 특성이 상이한 영역을 형성하여, 경사 방향으로부터 봤을 때의 화상의 색이 흰 빛을 띠게 되는 현상을 억제하여 시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런데, 부화소 A와 부화소 B를 분리하는 화소 전극 α, β의 인접 단부 간의 슬릿부의 폭은 통상적으로, 수㎛ 정도밖에 않된다. 이 때문에 화소 전극 α, β의 형성 시에 패터닝 불량이 발생하면 슬릿에 화소 전극 재료가 잔존하여 화소 전극 α, β 간이 단락하게 되어,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수율이 저하하게 될 우려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화소 전극 α, β 간이 단락하게 되면 양 부화소 A, B에 동일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경사 방향의 T-V 특성의 왜곡을 완화하는 효과를 잃게 되어 양호한 표시 특성이 얻어지기 어렵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투과율로 밝고 양호한 표시 특성이 얻어지며, 높은 제조 수율이 얻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절연 기판 상에 형성된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절연막을 개재하여 교차하여 형성된 드레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거의 평행하게 형성된 축적 용량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게이트 전극과, 상기 드레인 버스 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드레인 전극을 구비한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절연막을 개재하여 대향 배치되고,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분리하여 형성된 제2 화소 전극과,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과의 인접 단부 간의 슬릿폭이, 상기 축적 용량 버스 라인 상에서 최단 슬릿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는 슬릿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에 의해서 달성된다.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및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1 화소분의 구성을 등가 회로로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는, 절연막을 개재하여 상호 교차하여 형성된 게이트 버스 라인(1) 및 드레인 버스 라인(데이터 버스 라인(2))과, 화소마다 형성된 TFT(4) 및 제1 및 제2 화소 전극(6, 7)을 구비한 TFT 기판(20)을 갖고 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에는 TFT 기판(20)에 소정의 셀 갭으로 대향하는 대향 기판(40)이 배치되어 있다. TFT 기판(20)과 대향 기판(40)과의 사이에는 예를 들면 마이너스의 유전률 이방성을 갖는 액정이 밀봉되어 있다. 대향 기판(40)의 액정측 표면에는, 컬러 필터(CF)나 공통 전극(43)이 형성되어 있다.
TFT 기판(20)에는, 복수의 게이트 버스 라인(1)을 구동하는 드라이버 IC가 실장된 게이트 버스 라인 구동 회로(80)와, 복수의 드레인 버스 라인(2)을 구동하는 드라이버 IC가 실장된 드레인 버스 라인 구동 회로(82)가 접속되어 있다. 이들의 구동 회로(80, 82)는, 제어 회로(84)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게이트 버스 라인(1)에 주사 신호를 출력하고, 복수의 드레인 버스 라인(2)에 계조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TFT 기판(20)의 액정측 표면과 반대측의 면에는 편광판(87)이 배치되고, 대향 기판(40)의 액정측 표면과 반대측의 면에는, 편광판(87)과 크로스니콜로 편광판(86)이 배치되어 있다. 편광판(87)의 TFT 기판(2)과 반대측의 면에는 백 라이트 유닛(88)이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TFT(4)의 게이트 전극 G는 게이트 버스 라인(1)에 접속되고, 드레인 전극 D는 드레인 버스 라인(2)에 접속되어 있다. TFT(4)의 소스 전극 S는, 제1 화소 전극(6) 및 축적 용량 전극(8), 접속 전극(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화소 전극(6)과, 해당 제1 화소 전극(6)과 대향하는 대향 기판(40)측의 공통 전극(43)과, 제1 화소 전극(6)과 공통 전극(43)과의 사이에 끼워진 액정으로 제1 액정 용량 Clc1이 형성되어 있다. 축적 용량 전극(8)과, 해당 축적 용량 전극(8)과 대향하는 축적 용량 버스 라인(3)과, 축적 용량 전극(8)과 축적 용량 버스 라인(3)과의 사이에 끼워진 절연막으로 축적 용량 Cs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 전극(10)과, 해당 접속 전극(10)과 대향하는 제2 화소 전극(7)과, 접속 전극(10)과 제2 화소 전극(7)과의 사이에 끼워진 절연막으로 제어 용량 C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화소 전극(7)과, 해당 제2 화소 전극(7)과 대향하는 대향 기판(40)측의 공통 전극(43)과, 제2 화소 전극(7)과 공통 전극(43)과의 사이에 끼워진 액정으로 제2 액정 용량 Clc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축적 용량 버스 라인(3)과 공통 전극(43)에는 동 전위가 인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화소는, 제2 액정 용량 Clc2와 제어 용량 Cc가 직렬로 접속되고, 이들과, 제1 액정 용량 Clc1, 축적 용량 Cs가 각각 병렬로 접속된 회로 구성으로 되어 있다. TFT(4)가 온 상태로 되면 드레인 버스 라인(2)에 공급된 계조 신호가 제1 화소 전극(6), 공통 전극(8), 접속 전극(10)에 인가되고, 한편 축적 용량 버스 라인과 공통 전극(43)에는 공통 전위가 인가된다. 이에 의해, 제2 화소 전극(7)에는, 제1 화소 전극(6)에 인가된 계조 신호의 전위보다 소정량만큼 낮은 전위가 유지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인 TFT 기판(20)의 1 화소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으로 절단한 TFT 기판(20)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TFT 기판(20)은, 글래스 기판(절연 기판)(21) 상에 형성된 게이트 버스 라인(1)과, SiN 막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연막(22)을 개재하여 게이트 버스 라인(1)에 교차하여 형성된 드레인 버스 라인(2)을 갖고 있다. 게이트 버스 라인(1) 및 드레인 버스 라인(2)의 교차 위치 근방에는, 스위칭 소자로서 TFT(4)가 배치되어 있다. 게이트 버스 라인(1)의 일부는 TFT(4)의 게이트 전극(G)으로서 기능한다. 게이트 버스 라인(1) 상에는, 절연막(게이트 절연막)(22)을 개재하여 TFT(4)의 동작 반도체층이 형성되고, 해당 동작 반도체층 상에는 드레인 전극(D)과, 소스 전극(S)이 소정의 간극을 통하여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드레인 전극(D) 및 소스 전극(S) 상의 기판 전체 면에는, SiN막 등으로 이루어지는 최종 보호막(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게이트 버스 라인(1) 및 드레인 버스 라인(2)에 의해 획정된 화소 영역을 가로 질러, 게이트 버스 라인(1)에 병렬하여 연장되는 축적 용량 버스 라인(3)이 형성되어 있다. 축적 용량 버스 라인(3) 상에는, 절연막(22)을 개재하여 축적 용량 전극(8)이 화소마다 형성되어 있다. 축적 용량 전극(8)은, 접속 전극(10)을 통하여 TFT(4)의 소스 전극(S)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절연막(22) 및 그것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축적 용량 버스 라인(3)과 축적 용량 전극(8)으로 축적 용량 Cs가 형성된다.
게이트 버스 라인(1) 및 드레인 버스 라인(2)에 의해 획정된 화소 영역은, 제1 부화소 A와 제2 부화소 B로 분할되어 있다. 도 3에서, 예를 들면 사다리꼴 형상의 제1 부화소 A는 화소 영역의 중앙부 왼쪽에 배치되고, 제2 부화소 B는 화소 영역 중 제1 부화소 A의 영역을 제외한 상부, 하부 및 중앙부 우측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화소 영역 내의 제1 및 제2 부화소 A, B의 배치는, 예를 들면 축적 용량 버스 라인(3)에 대하여 각각 거의 선대칭으로 되어 있다. 제1 부화소 A에는 제1 화소 전극(6)이 형성되고, 제2 부화소 B에는 제2 화소 전극(7)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화소 전극(6, 7)은, 모두 ITO 등의 투명 도전막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 화소 전극(6)과 제2 화소 전극(7)과의 인접 단부 간은, ITO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슬릿부(13)로 되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화소 전극(6)과 제2 화소 전극(7)과의 형상이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슬릿부(13)는 축적 용량 버스 라인(3)에 대하여 화소 우측으로부터 거의 직교하여 연장되어, 다음으로 화소 좌측을 향하여 경사 상하로 각각 연장되는 형상을 하고 있다.
슬릿부(13)에서의 제1 화소 전극(6)과 제2 화소 전극(7)과의 인접 단부 간의 슬릿폭은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다. 슬릿부(13)의 경사 방향의 영역은 제1 및 제2 화소 전극(6, 7)을 분리하는 분리용 슬릿으로서의 기능과 함께, 액정의 배향 방위를 제어하는 배향 제어용 구조물로서의 기능도 겸하고 있다. 또한, 슬릿부(13)의 슬릿폭을 너무 넓게하면, 제1 및 제2 화소 전극(6, 7) 각각의 전극 면적이 좁아지게 되어 투과율이 내려가서 휘도가 저하하게 된다. 이들의 조건을 고려하여, 슬릿부(13)의 화소 좌측을 향하여 상하로 각각 연장되는 영역의 슬릿폭 c는 약 10㎛로 되어 있다.
한편, 가상 원(12) 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부(13) 중 축적 용량 버스 라인(3)에 대하여 화소 우측으로부터 거의 직교하여 연장되는 영역은, 액정의 배향 제어에는 기여하지 않고, 단순히 제1 및 제2 화소 전극(6, 7)을 분리하기 위해서만 존재하고 있다. 이 때문에, 현상의 액정 표시 장치용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에서의 패터닝의 마진을 고려한 최단 슬릿폭 c를 확보하면 되고, 본 예에서는 최단 슬릿폭 c는 7㎛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화소 전극의 제조 시에 제1 및 제2 화소 전극(6, 7)이 접속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원(11) 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적 용량 버스 라인(3) 상은 백 라이트 유닛으로부터의 광이 차광되므로, 투과율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 부분이다. 따라서, 화소 전극의 제조 시에 제1 및 제2 화소 전극(6, 7)이 접속될 가능성을 더욱 확실하게 저감하기 위해 축적 용량 버스 라인(3) 상의 슬릿폭 a는, 최단 슬릿폭 b보다 넓게 형성하고 있다. 축적 용량 버스 라인(3) 상의 슬릿폭 a는, 본 예에서는 약 10㎛로 슬릿폭 c와 동일하게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슬릿폭 a는 최단 슬릿폭 b보다 넓으면 슬릿폭 c보다 좁거나 넓어도 된다. 이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의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고서, 화소 전극의 제조 시에 제1 및 제2 화소 전극(6, 7)의 단락의 발생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런데, 제1 화소 전극(6)은, 최종 보호막(23)을 개구한 컨택트홀(9)을 통하여, 축적 용량 전극(8)에 접속되어 있다. 축적 용량 전극(8)은 접속 전극(10)을 통하여 TFT(4)의 소스 전극(S)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화소 전극(6)은 TFT(4)의 소스 전극(S)에 직결되어, TFT(4)가 온 상태일 때에 드레인 버스 라인(2) 상의 계조 신호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제2 화소 전극(7)의 일부는, 기판면 법선 방향에서 보아, 접속 전극(10) 및 축적 용량 전극(8)의 일부에 최종 보호막(23)을 개재하여 중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2 화소 전극(7)에 중첩되어 배치된 영역의 접속 전극(10) 및 축적 용량 전극(8)은 제어 용량 전극으로서 기능하고, 해당 제어 용량 전극 및 제2 화소 전극(7)과 이들에 끼워진 최종 보호막(23)으로 제어 용량(제2 축적 용량) Cc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제2 화소 전극(7)은, 제어 용량 Cc를 통한 용량 결합에 의해 TFT(4)의 소스 전극(S)에 간접적으로 접속되 어 있다.
대향 기판(40)은, 글래스 기판 상에 형성된 CF 수지층(도시 생략)과, CF 수지층 상에 형성된 공통 전극(43)을 갖고 있다. 액정을 통하여 대향하는 제1 부화소 A의 제1 화소 전극(6)과 공통 전극(43)과의 사이에는 액정 용량 Clc1이 형성되고, 제2 부화소 B의 제2 화소 전극(7)과 공통 전극(43)과의 사이에는 액정 용량 Clc2가 형성된다. TFT 기판(20)의 액정과의 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수직 배향막이 형성되고, 대향 기판(40)의 액정과의 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수직 배향막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압 무인가 시의 액정 분자는, 기판면에 거의 수직으로 배향한다.
TFT(4)가 온 상태로 되어 계조 신호가 공급되면, 제1 화소 전극(6)에는 계조 신호 전위가 인가되고, 제2 화소 전극(7)에는 접속 전극(10)으로부터 최종 보호막(23)을 개재하여 계조 신호 전위보다 낮은 소정의 전위가 공급된다. 이에 의해, 경사 방향의 T-V 특성의 왜곡을 완화하도록 1 화소 내의 2 영역에서 T-V 특성이 상이한 영역을 형성하여, 경사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화상의 색이 흰 빛을 띠게 되는 현상을 억제하여 시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슬릿부(13)의 폭은 최단이라도 7㎛이며, 또한 표시 특성에 기여하지 않은 영역의 슬릿폭을 그것보다 넓게 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화소 전극(6, 7)의 패터닝 시에 슬릿부(13)에 화소 전극 재료가 잔존하여 제1 및 제2 화소 전극(6, 7) 간이 단락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수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및 제2 화소 전극 (6, 7) 간의 단락 불량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경사 방향의 T-V 특성의 왜곡을 완화한 양호한 표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부(13)의 거의 중앙을 따라, 축적 용량 버스 라인(3)으로부터 인출된 축적 용량 인출선(5)이 형성되어 있다. 축적 용량 인출선(5)을 설치함으로써, 액정에 전압을 인가하여도 슬릿부(13) 상의 전계를 플랫으로 할 수 있어, 슬릿부(13) 상에 액정 분자의 배향 벡터의 특이점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적 용량 인출선(5)의 일부와 제1 화소 전극(6)의 일부가 기판면 법선 방향으로 보아 중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축적 용량 Cs를 구성하는 전극 면적을 벌면서 부화소 A의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하지 않고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MVA 방식을 이용한 VA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를 예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TN 모드 등의 다른 액정 표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반사형이나 반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TFT 기판에 대향하여 배치된 대향 기판 상에 CF가 형성된 액정 표시 장치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TFT 기판 상에 CF가 형성된, 소위 CF-on-TFT 구조의 액정 표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및 액정 표시 장치는, 이하와 같이 통합된다.
(부기 1) 절연 기판 상에 형성된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절연막을 개재하여 교차하여 형성된 드레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거의 평행하게 형성된 축적 용량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게이트 전극과, 상기 드레인 버스 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드레인 전극을 구비한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절연막을 개재하여 대향 배치되고,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분리하여 형성된 제2 화소 전극과,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과의 인접 단부 간의 슬릿폭이, 상기 축적 용량 버스 라인 상에서 최단 슬릿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는 슬릿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부기 2) 부기 1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에 있어서,
상기 축적 용량 버스 라인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슬릿부에 연장하는 축적 용량 인출선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부기 3) 부기 2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에 있어서,
상기 축적 용량 인출선의 적어도 일부는, 기판면 법선 방향으로 보아, 상기 제1 화소 전극에 중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부기 4) 부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에 있어서,
상기 최단 슬릿폭은, 7㎛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부기 5) 대향 배치된 한쌍의 기판과, 상기 한쌍의 기판 간에 밀봉된 액정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한 쌍의 기판 중 한 쪽에, 부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이 이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본 발명에 따르면, 고투과율로 밝고 양호한 표시 특성이 얻어져, 높은 제조 수율이 얻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를 실현된다.

Claims (5)

  1. 절연 기판 상에 형성된 게이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절연막을 개재하여 교차하여 형성된 드레인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거의 평행하게 형성된 축적 용량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게이트 전극과, 상기 드레인 버스 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드레인 전극을 구비한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절연막을 개재하여 대향 배치되고,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분리하여 형성된 제2 화소 전극과,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과의 인접 단부 간의 슬릿폭이, 상기 축적 용량 버스 라인 상에서 최단 슬릿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는 슬릿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 용량 버스 라인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슬릿부에 연장하는 축적 용량 인출선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 용량 인출선의 적어도 일부는, 기판면 법선 방향으로 보아, 상기 제1 화소 전극에 중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단 슬릿폭은, 7㎛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5. 대향 배치된 한쌍의 기판과, 상기 한쌍의 기판 간에 밀봉된 액정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한쌍의 기판 중 한 쪽에,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이 이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60005378A 2005-01-19 2006-01-18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0823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11332 2005-01-19
JP2005011332A JP4658622B2 (ja) 2005-01-19 2005-01-19 液晶表示装置用基板及び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385A true KR20060084385A (ko) 2006-07-24
KR100823386B1 KR100823386B1 (ko) 2008-04-17

Family

ID=36959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378A KR100823386B1 (ko) 2005-01-19 2006-01-18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및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4) US7586574B2 (ko)
JP (1) JP4658622B2 (ko)
KR (1) KR100823386B1 (ko)
TW (2) TWI3462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8622B2 (ja) * 2005-01-19 2011-03-23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用基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4713946B2 (ja) 2005-05-30 2011-06-29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1294269B1 (ko) * 2006-05-24 2013-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기판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JP5329053B2 (ja) * 2006-05-24 2013-10-30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表示基板
KR101309777B1 (ko) * 2007-01-03 2013-09-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5542297B2 (ja) * 2007-05-17 2014-07-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表示装置、表示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JP5542296B2 (ja) 2007-05-17 2014-07-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表示装置、表示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KR101448001B1 (ko) * 2008-01-29 2014-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090084176A (ko) 2008-01-31 2009-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N103941510B (zh) * 2013-08-09 2016-09-2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tft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204496141U (zh) * 2015-03-04 2015-07-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液晶屏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0460A (en) 1987-11-13 1989-06-20 Honeywel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gray scale capability in a liquid crystal display unit
JPH0376938U (ko) 1989-11-29 1991-08-01
US5126865A (en) 1990-12-31 1992-06-30 Honeywell Inc. Liquid crystal display with sub-pixels
KR19990051226A (ko) * 1997-12-19 1999-07-05 김영환 액정표시소자
KR100309918B1 (ko) 1998-05-16 2001-12-17 윤종용 광시야각액정표시장치및그제조방법
KR100380141B1 (ko) * 2000-09-25 2003-04-1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432038B1 (ko) * 2001-01-02 2004-05-20 김해수 인터넷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27203A (ko) * 2001-09-14 2003-04-07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프린지 필드 스위칭 액정표시장치
TWI297801B (ko) 2002-01-08 2008-06-1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KR100961941B1 (ko) * 2003-01-03 2010-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도메인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KR100961946B1 (ko) 2003-05-13 2010-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 배향형 액정 표시 장치
US20050078253A1 (en) * 2003-08-04 2005-04-14 Hee-Seop Kim Liquid crystal display and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therefor
US7206048B2 (en) * 2003-08-13 2007-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panel therefor
JP3858882B2 (ja) * 2003-10-21 2006-12-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7221413B2 (en) * 2004-08-05 2007-05-22 Au Optronics Corporation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repairing method thereof
CN100523923C (zh) 2004-10-06 2009-08-05 夏普株式会社 液晶显示器
TWI338796B (en) 2004-10-29 2011-03-11 Chimei Innolux Corp Multi-domain vertically alignmentliquid crystal display panel
JP4571845B2 (ja) * 2004-11-08 2010-10-27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用基板及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4658622B2 (ja) * 2005-01-19 2011-03-23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用基板及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10321A1 (en) 2010-05-06
US7719653B2 (en) 2010-05-18
US20110122360A1 (en) 2011-05-26
US7586574B2 (en) 2009-09-08
TWI346241B (en) 2011-08-01
US20090147166A1 (en) 2009-06-11
TW201128274A (en) 2011-08-16
US7903221B2 (en) 2011-03-08
US8094281B2 (en) 2012-01-10
JP2006201344A (ja) 2006-08-03
TWI432858B (zh) 2014-04-01
JP4658622B2 (ja) 2011-03-23
KR100823386B1 (ko) 2008-04-17
TW200632491A (en) 2006-09-16
US20060209221A1 (en) 200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386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및 액정 표시 장치
JP4738000B2 (ja) 液晶表示装置
JP4381782B2 (ja) 液晶表示装置
JP4326307B2 (ja) 液晶表示装置
JP3712899B2 (ja) 液晶表示装置
JP4667587B2 (ja) 液晶表示装置
JP3792485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JP4689352B2 (ja) 表示装置用基板及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4516432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1174818A (ja) 液晶表示装置
KR20000053522A (ko) 수직 배향형 액정 표시 장치
KR100853213B1 (ko) 다중 도메인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JP3754179B2 (ja) 液晶表示装置
JP5150082B2 (ja) 液晶表示装置
US20100097558A1 (en) Crystal display and electronic apparatus
JP5154597B2 (ja) 液晶表示装置
JP5154592B2 (ja) 液晶表示装置
JP2011048396A (ja) 表示装置用基板及び表示装置
KR20020054912A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JP2006072387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