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3546A - 외장 플래쉬를 연결할 수 있는 카메라 - Google Patents

외장 플래쉬를 연결할 수 있는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3546A
KR20060083546A KR1020050004390A KR20050004390A KR20060083546A KR 20060083546 A KR20060083546 A KR 20060083546A KR 1020050004390 A KR1020050004390 A KR 1020050004390A KR 20050004390 A KR20050004390 A KR 20050004390A KR 20060083546 A KR20060083546 A KR 20060083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camera
external flash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0410B1 (ko
Inventor
문신헌
정현우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4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410B1/ko
Publication of KR20060083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14Separate unit
    • G03B2215/056Connection with camera, e.g. adapter

Landscapes

  • Studio Device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는 USB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USB 접속단자에 접속된 USB 케이블에 의해 외장 플래쉬와 연결되고, USB 접속단자를 통하여 상기 외장 플래쉬로 플래쉬 트리거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에 의하면 별도의 전용 단자 없이 다양한 규격의 외장 플래쉬를 장착하면서도, USB 포트를 이용한 셔터 동조와 광량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플래쉬 촬영시에 정확한 발광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컴팩트한 카메라에도 외장 플래쉬를 장착하기에 적합한 카메라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외장 플래쉬를 연결할 수 있는 카메라{Camera connectable to external flash}
도 1a는 핫슈에 외장 플래쉬가 결합된 카메라의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핫슈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브라켓에 외장 플래쉬가 결합된 카메라의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의 브라켓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외장 플래쉬가 연결된 카메라의 정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카메라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장 플래쉬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외장 플래쉬를 카메라에 장착하는 형식으로는 일명 핫슈(hot shoe)라고 하는 외장 플래쉬 전용 단자에 장착할 수 있는 형식과 카메라의 삼각대 마운트에 브라켓(bracket)을 연결하여 외장 플래쉬를 장착하는 형식이 있다.
도 1a는 핫슈에 외장 플래쉬가 결합된 카메라의 도면으로서, 카메라 본체(100)와, 카메라 본체(100)의 상면에 구비된 핫슈(102)에 결합된 외장 플래쉬(104)를 구비한다. 도 1b는 도 1a의 핫슈(102)의 평면도로서, 외장 플래쉬 결합 가이드(106)와 접속 단자(108)를 구비한다.
도 1a의 핫슈를 이용한 형식은 외장 플래쉬(104)를 핫슈 단자(102)에 끼우기만 하면 접점(108)이 접촉하게 되므로, 셔터가 완전히 개방되는 순간에 플래쉬가 터지도록 촬영하는 셔터 동조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접속 단자(108)를 구비함으로써 본체의 TTL(through the lens) 측광과 조합시켜 자동적으로 외장 플래쉬의 광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형식은 핫슈 단자(108) 부분을 구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카메라(100) 내부 구조가 복잡해진다. 따라서 핫슈 형식은 컴팩트한 카메라에는 부적합한 구조이다.
도 2a는 브라켓에 외장 플래쉬가 결합된 카메라의 도면으로서, 카메라 본체(200), 카메라 본체(200)의 하면에 구비된 삼각대 마운트에 결합(206)된 브라켓(202), 브라켓(202)에 장착된 외장 플래쉬(204)를 구비한다. 도 2b는 도 2a의 브라켓(202)의 상세도로서, 삼각대 마운트 결합부(206)과 외장 플래쉬 결합부(208)를 구비한다.
도 2a의 브라켓을 이용한 형식은 카메라와 외장 플래쉬가 직접 연결되지 않으므로 셔터 동조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대신에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의 광량을 감지하는 구조로서, 내장 플래쉬가 터지면 그 빛에 반응하여 외장 플래쉬가 터지게 되는 무선동조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정확한 타이밍에 발광 동작이 수행되지 않을 우려가 많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컴팩트한 카메라에도 별도의 전용 단자 없이 외장 플래쉬를 장착하면서도 정확한 발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는, USB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USB 접속단자에 접속된 USB 케이블에 의해 외장 플래쉬와 연결되고, USB 접속단자를 통하여 상기 외장 플래쉬로 플래쉬 트리거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메라는 사용자 메뉴상에서 외장 플래쉬 모드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외장 플래쉬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상기 USB 접속단자를 통하여 외장 플래쉬로 플래쉬 트리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외부 전원 입력 단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외장 플래쉬와 상기 USB 접속단자 및 외부 전원 입력 단자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외부 전원 입력 단자에 상기 외장 플래쉬가 연결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USB 접속단자를 통하여 외장 플래쉬로 플래쉬 트리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USB 접속단자를 통하여 상기 외장 플래쉬로 플래쉬 광량 조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 안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7)는 타이밍 회로(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7)는 CDS-ADC 소자(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 및 기타 임시 처리 데이터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6)에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는 LCD 구동부(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칼라 LCD 패널(17)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18)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8)와 그 접속부(19)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데오 필터(9) 및 비데오 출력부(20)를 통하여 비데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버튼, 모드 선택 버튼, 기능 선택 버튼, 줌 버튼, 방향이동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INP)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각 기능 수행을 위한 명령을 발생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는 렌즈 구동부(10)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줌 모터(MZ), 포커스 모터(MF), 및 조리개(aperture) 모터(MA)가 광학계(OPS) 안의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조리개를 각각 구동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플래쉬 대기 램프 등이 포함 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제어기(12)는 플래쉬-광량 센서(1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쉬 제어기(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쉬(15)를 구동한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는, 도 3의 구성요소들을 모두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사양에 따라 그 구성요소 중 일부가 삭제되거나, 또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요소가 변형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외장 플래쉬가 연결된 카메라의 앞면(300F)과 플래쉬 앞면(302F)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카메라의 뒷면(300F)과 플래쉬 뒷면(302B)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카메라(300F)는 브라켓(304)에 의해 외장 플래쉬(302F)와 결합된다. 외장 플래쉬(302F)는 카메라 본체(300F)의 하면에 구비된 삼각대 마운트에 결합된 브라켓(304)에 장착된다. 브라켓(304)은 도 2b에 예시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카메라는 USB 커넥터를 접속하기 위한 USB 접속단자(306)와 AC 어댑터와 연결되는 DC 전원 입력 단자(310)가 구비된다.
카메라(300B)와 외장 플래쉬(302B)를 연결하기 위하여 다음 2가지 실시예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카메라는 USB 접속단자(306)에 접속된 USB 케이블(308)에 의해 외장 플래쉬(302B)와 연결되고, USB 접속단자(306)를 통하여 외장 플래쉬(302B)로 플래쉬 트리거 신호를 전송한다.
제1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카메라(300B)는 사용자 메뉴상에서 외장 플래쉬 모드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외장 플래쉬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USB 접속단자(306)를 통하여 외장 플래쉬(302B)로 플래쉬 트리거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셔터 동조 촬영이 가능한다. 만일 사용자가 메뉴상에서 외장 플래쉬 모드를 해제하면 USB 접속단자(306)는 본래의 통신사양으로 복귀하게 되어, 이를 통하여 컴퓨터와 같은 외부장치와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카메라는 외부 전원 입력 단자(310)를 구비하고, 외장 플래쉬와 USB 접속단자(306) 및 외부 전원 입력 단자(31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외부 전원 입력 단자(310)에 전원 케이블(312)에 의하여 외장 플래쉬(302)가 연결된 것이 감지되면, USB 접속단자(306)를 통하여 외장 플래쉬(302)로 플래쉬 트리거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셔터 동조 촬영이 가능한다. 만일 사용자가 전원 입력 단자(310)에서 전원 케이블(312)를 제거하면 USB 접속단자(306)는 본래의 통신사양으로 복귀하게 된다.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외장 플래쉬(302B)가 카메라(300B)에 연결되면 USB 접속단자(306)를 통하여 외장 플래쉬(302)로 플래쉬 광량 조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플래쉬 발광 방식에는 처음에 약하게 프리발광시킨 후에 측광 결과에 따라 메인발광의 광량을 결정하는 프리발광 방식과, 플래쉬를 터뜨린 후에 측광 결과에 따라 플래쉬를 끊어주는 조광방식이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는 USB 접속단자(306)를 통하여 외장 플래쉬(302B)로 플래쉬 광량 조정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자동 적으로 외장 플래쉬의 광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광량 조정을 위한 별도의 조작 없이도 간편하게 플래쉬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에 의하면, 별도의 전용 단자 없이 다양한 규격의 외장 플래쉬를 장착하면서도, 카메라에 구비된 USB 접속단자를 이용한 셔터 동조와 광량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플래쉬 촬영시에 정확한 발광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컴팩트한 카메라에도 외장 플래쉬를 장착하기에 적합한 카메라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들에 표현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의해 가르침 받은 당업자라면,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목적 내에서 치환, 소거, 병합 등에 의하여 전술한 실시 예들에 대해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USB 접속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USB 접속 단자에 접속된 USB 케이블에 의해 외장 플래쉬와 연결되고,
    USB 접속단자를 통하여 상기 외장 플래쉬로 플래쉬 트리거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메뉴상에서 외장 플래쉬 모드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외장 플래쉬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상기 USB 접속단자를 통하여 외장 플래쉬로 플래쉬 트리거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전원 입력 단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외장 플래쉬와 상기 USB 접속단자 및 외부 전원 입력 단자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외부 전원 입력 단자에 상기 외장 플래쉬가 연결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USB 접속단자를 통하여 외장 플래쉬로 플래쉬 트리거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USB 접속단자를 통하여 상기 외장 플래쉬로 플래쉬 광량 조정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KR1020050004390A 2005-01-18 2005-01-18 외장 플래쉬를 연결할 수 있는 카메라 KR101080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390A KR101080410B1 (ko) 2005-01-18 2005-01-18 외장 플래쉬를 연결할 수 있는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390A KR101080410B1 (ko) 2005-01-18 2005-01-18 외장 플래쉬를 연결할 수 있는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546A true KR20060083546A (ko) 2006-07-21
KR101080410B1 KR101080410B1 (ko) 2011-11-04

Family

ID=37173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390A KR101080410B1 (ko) 2005-01-18 2005-01-18 외장 플래쉬를 연결할 수 있는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4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378B1 (ko) * 2005-07-04 2012-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장치용 액세서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5811A (ja) 2000-05-16 2001-11-22 Yamada Shomei Kk 照明器具
KR200266619Y1 (ko) 2001-11-24 2002-02-28 김준형 밝기 조절이 가능한 유에스비 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378B1 (ko) * 2005-07-04 2012-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장치용 액세서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0410B1 (ko) 201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3039B1 (ko) 사용자가 쉽게 증명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디지털카메라의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US20060061663A1 (en) Digital camera with touch screen display panel usable as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digital camera
US8214568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to coupl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a camera
US20050083426A1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portable digital apparatus and portable digital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20040032378A (ko) 이차 함수를 이용한 카메라의 자동 포커싱 방법
KR100530750B1 (ko)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접사 및 일반 촬영 방법
KR20040072174A (ko) 디지털 카메라 및 이에 구비된 유에스비 드라이브의 전원공급 방법
KR101080410B1 (ko) 외장 플래쉬를 연결할 수 있는 카메라
KR20040110155A (ko) 폴더 아이콘들이 이동하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제어 방법
JP2004297800A (ja) 携帯用複合装置のウェブカメラモードの設定方法
CN102025915B (zh) 数字拍摄设备以及控制该设备的方法
US20040165077A1 (en) Digital camera having separable user module
KR101086415B1 (ko) 외장 플래시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세트
JP6503619B2 (ja)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029329A (ja) 撮像装置
KR20040037576A (ko) 저시력자를 위한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
KR101244913B1 (ko) 디지털 이미지 촬영 장치의 이미지 처리 방법
KR101086406B1 (ko) 간략화된 전원 입력 시퀀스를 수행하는 카메라
KR101204791B1 (ko) 자동 초점 조정용 보조광원을 구비한 촬영장치
KR101176178B1 (ko) 스트로보 장치,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및 스트로보 충전제어방법
KR100685139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적목촬영 방법
KR101156113B1 (ko) 편리한 통신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20040033967A (ko) 지정 검출 영역의 위치가 변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 방법
KR101009342B1 (ko) 가상 머신이 설치된 휴대용 디지털 장치
KR100468872B1 (ko) 스케일 값 및 그 편차 범위를 제공하는 디지털 카메라 및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