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791B1 - 자동 초점 조정용 보조광원을 구비한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초점 조정용 보조광원을 구비한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791B1
KR101204791B1 KR1020060025507A KR20060025507A KR101204791B1 KR 101204791 B1 KR101204791 B1 KR 101204791B1 KR 1020060025507 A KR1020060025507 A KR 1020060025507A KR 20060025507 A KR20060025507 A KR 20060025507A KR 101204791 B1 KR101204791 B1 KR 101204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light
unit
irradiation direction
photographing
adj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6153A (ko
Inventor
류헌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5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791B1/ko
Publication of KR20070096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촬영장치는, 초점 렌즈부 및 촬상소자를 구비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부; 자동 초점조정(auto-focus, AF)을 위한 AF 보조광;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촬영동작을 지시하는 키 신호를 발생하는 조작부; AF 보조광에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AF 보조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는 액츄에이터부; 및 AF 보조광의 발광을 제어하고, 액츄에이터부를 제어하여 AF 보조광의 조사방향을 조정하고, 촬영부의 초점 렌즈부를 제어하여 AF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AF 보조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AF 보조광 발광으로 인한 피촬영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고, 카메라 앵글의 변화없이 AF 수행에 적당한 방향으로 보조광 발광 방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촬영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초점 조정용 보조광원을 구비한 촬영장치{Imaging device comprising assistant light source for auto-focus}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촬영장치의 일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촬영장치의 일예로서 도 1과 같은 디지털 카메라의 앞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촬영장치의 일예로서 도 1과 같은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촬영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촬영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도로서, AF 보조광이 장착되고 렌즈 경통 부위가 돌출된 카메라를 예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촬영장치에서 AF 보조광을 모니터링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촬영장치에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여 자동으로 AF 보조 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12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조작버튼에 의하여 AF 보조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촬영장치에서 AF 보조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도 4의 액츄에이터부의 일 실시예의 구조 및 동작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초점조정(auto-focus, AF) 기능이 있는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는 야간 촬영시 피사체의 자동초점조정(AF)을 수행하기 위한 AF 보조광을 발광한다.
AF 보조광은 대게 고광도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하며, AF 보조광은 카메라의 렌즈 방향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AF 보조광을 발광시에 특정 거리에 맺히는 상이 화면의 중앙부 근방에 위치하도록 AF 보조광의 고정위치를 설계한다. 이 때 특정 거리와 AF 보조광 고정위치는 제조사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다.
AF 보조광이 장착된 기종들 중에서 렌즈 경통 부위가 돌출된 기종의 경우, 돌출 정도에 따라 AF 보조광이 카메라의 경통에 가려져서 빛이 일부분만 피사체에 도달하게 된다.(도 6 참조)
특히 망원줌(telescopic-zoom) 상태에서는 줌 렌즈가 완전히 돌출되므로 AF 보조광이 더욱 가려지게 된다.
이렇게 렌즈 경통이 돌출된 기종들은 대부분 3배줌 이상의 고배율 줌의 카메라로서 하이엔드(high end)급이라 할 수 있는데, AF 보조광 부분은 오히려 보급기보다 기능이 떨어지는 상태이다.
게다가 착탈이 가능한 렌즈의 장착시에는 보급기를 포함한 거의 모든 카메라의 보조광이 무용지물 상태가 된다.
또한, 피사체로서의 사람이 AF 보조광의 발광을 바라보게 될 때 상당한 눈부심으로 인하여 불쾌감을 느끼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도 8참조)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AF 보조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촬영장치는, 초점 렌즈부 및 촬상소자를 구비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부; 자동 초점조정(auto-focus, AF)을 위한 AF 보조광;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촬영동작을 지시하는 키 신호를 발생하는 조작부; 상기 AF 보조광에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AF 보조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는 액츄에이터부; 및 상기 AF 보조광의 발광을 제어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부를 제어하여 상기 AF 보조광의 조사방향을 조정하고, 상기 촬영부의 상기 초점 렌즈부를 제어하여 AF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AF 보조광의 조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AF 영역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촬영부를 통하여 촬영되는 이미지를 프리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AF 보조광의 조사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촬영부를 통하여 입사되는 이미지 영역에서 휘도가 가장 높은 영역을 AF 보조광 조사 방향으로 검출하고, 상기 방향으로 AF 보조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AF 보조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는 조작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버튼의 조작 방향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부를 제어하여 상기 AF 보조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부는, 상기 AF 보조광을 고정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고정된 제1스퍼기어; 상기 제1스퍼기어에 결합된 제2스퍼기어; 및 상기 제2스퍼기어를 소정 스텝 각으로 정회전/역회전 시키는 제1구동원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부는, 상기 AF 보조광을 고정하며 너트 홀이 형성된 브라켓; 상기 너트 홀에 결합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를 정회전/역회전 시키는 제2구동원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 안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DSP(7)는 타이밍 회로(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auto gain control, AGC)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DSP(7)는 CDS-ADC 소자(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4)에는 DSP(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 및 기타 임시 처리 데이터가 임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에는 DSP(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즘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6)에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DSP(Digital Signal Processor, 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는 LCD 구동부(14)에서 LCD 패널의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되어 컬러 LCD 패널(17)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DSP(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18)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8)와 그 접속부(19)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디오 필터(9) 및 비디오 출력부(20)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DSP(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DSP(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버튼, 모드 선택 버튼, 기능 선택 버튼, 줌 버튼, 방향이동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INP)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각 기능 수행을 위한 명령을 발생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는 렌즈 구동부(10)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줌 모터(MZ), 포커스 모터(MF), 및 조리개(aperture) 모터(MA)가 광학계(OPS) 안의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조리개를 각각 구동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플래시 대기 램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제어기(12)는 플래시-광량 센서(1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5)를 구동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의 기능은 DSP(7)와 원칩(one chip)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는, 도 1의 구성요소들을 모두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사양에 따라 그 구성요소 중 일부가 삭제되거나, 또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요소가 변형되거나, 여러 구성요소의 기능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예로서 도 1과 같은 디지털 카메라의 앞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의 디지털 카메라 앞쪽에는 셔터버튼(104), 조그다이얼(117), 모드다이얼(103), 파워 스위치(126), 스피커(124), AF(auto-focus) 보조광(125), 마이크(123), 리모콘 수신부(122), 렌즈(121), 뷰 파인더(119), 플래시(118) 등이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예로서 도 1과 같은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에는, 뷰 파인더(100), 자동초점램프(101), 플래시 상태램프(102), 모드다이얼(103), 셔터버튼(104), LCD버튼(105), 광각줌 버튼(106), 망원줌 버튼(107), 5기능버튼(109), DC전원입력단자(110), 외부출력단자(111), 재생모드버튼(112), LCD 모니터(113), 수동초점 버튼(114), 자동노출 잠금버튼(115), 촬영화질 조정버튼(116) 등이 구비된다.
LCD 모니터(113)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현재 설정된 촬영모드와 상태를 나타내는 OSD(On Screen Display)가 표시되어 있다.
5기능 버튼(106)은 중앙에 메뉴(MENU)진입/확인(OK) 버튼, 상하좌우 방향 버튼을 구비한다. 모니터에 메뉴가 표시된 경우에 상하좌우 방향 버튼은 방향이동이 아닌 특수한 기능 버튼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여러 기능 버튼들은 그 명칭에서 나타나는 기능 이외에도 두 가지 이상의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촬영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조작부(200), 제어부(202), 촬영부(204), 액츄에이터부(206), AF 보조광(208)을 구비한다.
촬영부(204)는 초점 렌즈부 및 촬상소자를 구비하여 피사체를 촬영한다. 촬영부(204)에는 줌렌즈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촬영장치가 디지털 카메라로 구현되는 경우에 촬영부(204)는 도 1에서 제어부(DSP, 마이크로 제어기)와 사용자 입력부(INP)를 제외한 구성요소들로서 구비되어 제어부(202)의 제어하에 이미지 촬영을 수행한다.
AF 보조광(208)은 야간과 같이 주변 광량이 부족한 상태에서 AF를 수행하기 위하여 발광한다. AF 보조광(208)은 고광도의 LED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202)의 제어하에 발광한다. 본 발명의 촬영장치가 디지털 카메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AF 보조광(208)은 도 1의 발광부(LAMP)로 구비될 수 있다.
조작부(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촬영동작을 지시하는 키 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촬영장치가 디지털 카메라로 구현된 경우에 조작부(200)는 셔터 등을 포함하며 도 1의 사용자 입력부(INP)로 구비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부(206)는 AF 보조광(208)에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AF 보조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한다. 액츄에이터부(206)는 AF 보조광(208)의 조사 방향을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조정하는 기구적인 제1액츄에이터부(도 13의 418, 408, 40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부(206)는 제1액츄에이터부의 조정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AF 보조광(208)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는 제2액츄에이터부(도 13의 416, 41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부(206)의 실시예에 대하여는 도 13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202)는 액츄에이터부(206)를 제어하여 AF 보조광(208)의 조사방향을 조정하고, 촬영부(204)의 초점 렌즈부를 제어하여 AF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촬영장치가 디지털 카메라로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면, 제어부(203)는 DSP(7) 또는 마이크로 제어기(12)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촬영장치에 있어서 조작부(200)는 AF 보조광(208)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는 조작버튼을 구비하고, 제어부(202)는 상기 조작버튼의 조작 방향에 따라 액츄에이터(206)를 제어하여 AF 보조광(208)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는 도 12 및 도 13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촬영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도 4의 촬영장치의 구성에 더하여 디스플레이부(210)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부(210)는 촬영부(204)를 통하여 촬영되는 이미지를 프리뷰 (preview)하고, 디스플레이부(210)에 AF 보조광(208)의 조사 방향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촬영장치가 디지털 카메라로 구현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부(210)는 도 1의 LCD 구동부(14)와 LCD 패널(17)로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202)는 액츄에이터부(206)를 제어하면서, 제어상태를 디스플레이부(210)에 반영되도록 한다.
또한 이와 더불어 AF 보조광이 조정된 위치로 AF 영역도 이동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하여 AF 영역의 이동 상태도 모니터링될 수 있다. 도 3과 같은 디지털 카메라에서 AF는 디스플레이 화면(113)의 중앙부의 AF 영역에 속한 화소에 대하여, 초점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입력되는 피사체의 영상의 고주파 성분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초점 위치로 결정하는 방식으로 초점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AF 보조광(208)의 조사 방향의 조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10)의 표시예는 도 10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도로서, AF 보조광(302)이 장착된 기종의 카메라(300)로서 렌즈 경통(304) 부위가 돌출된 기종을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셔터(306)를 반누름 하여 AF를 수행시에 AF 보조광(302)을 발광시에 특정 거리에 맺히는 상(312)이 화면의 중앙부(310) 근방에 위치하도록 AF 보조광(302)의 고정위치를 설계한다. 이 때 특정 거리와 AF 보조광 고정위치는 제조사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렌즈 경통(304)의 돌출 정도에 따라 AF 보조광(302)에서 발사된 광이 카메라(300)의 경통(304)에 간섭(305)되어 그 일부분(312)만 상(308)에 도달하게 된다. 특히 망원줌(telescopic-zoom) 상태에서는 줌 렌즈가 완전히 돌출되므로 AF 보조광(302)이 더욱 가려지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AF 보조광(302)의 조사 방향(314)을, 상면(308)의 중앙부(310)에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이미지 처리에 의해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정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데에 특징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렌즈 경통에 의해 AF 보조광이 간섭되는 문제점 이외에도, 피사체로서의 사람이 AF 보조광의 발광(316)을 바라보게 될 때 상당한 눈부심으로 인하여 불쾌감을 느끼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사람을 촬영함에 있어, 반신(半身) 샷 또는 얼굴부위를 클로즈업해서 촬영할 때, AF 보조광이 사람의 얼굴부위에 조사되게 된다. AF 보조광의 밝기는 거리에 따라 달라지지만, 광원을 정면에서 볼 때에는 거리와 무관하게 상당한 눈부심이 발생한다. 특히 아기를 촬영할 경우, 눈부심으로 인해 고개를 돌리는 경우도 발생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도 8과 같은 AF 보조광 발광 촬영시에 피촬영자가 느끼는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사체의 눈을 피하여 AF 보조광(302)을 발광(318)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촬영장치에서 AF 보조광을 모니터링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308)상에서 AF 보조광의 조사방향이 316 →318로 조정되는 것이 모니터링된다.
또한 이와 더불어 AF 보조광이 조정된 위치로 AF 영역도 이동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AF 영역의 이동 상태(320→322)도 디스플레이 화면(308)에서 모니터링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촬영장치에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여 자동으로 AF 보조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11의 윗그림은 촬영부를 통하여 입사된 이미지의 프리뷰된 화면에서 이미지 영역의 휘도가 가장 어두운 오른쪽 아래부분(314)으로부터 왼쪽 윗 방향(326)으로 점점 밝아지는 휘도 환경을 예시한다.
이러한 피사체 휘도 환경에서는, 본 발명의 촬영장치는 이미지 영역에서 휘도가 가장 높은 영역을 검출하고, 이 방향으로 AF 보조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한다.
도 11의 아래그림을 참조하면, AF 보조광은, 휘도가 가장 높은 영역(326)으로 AF 보조광의 조사 방향(328)을 조정한다.
도 11과 같이 이미지 처리에 의하여 전체 화면 중에서 가장 휘도가 높은 지점으로 AF 보조광을 이동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타 부위에 AF 보조광을 조사했을 때보다 피사체가 더 밝아짐으로서 AF가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조작버튼에 의하여 AF 보조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사용자가 5기능키(109)의 방향버튼을 조작하면, 카메라 내부의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액츄에이터부(도 13의 예시구조 참조)가 상,하,좌,우로 조작되어 피사체 상면에서 AF 보조광(400)의 조사방향이 조정된다. 이 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3)에서 AF 보조광의 조사방향을 모니터링하면서 AF 보조광(400)의 조사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참조부호 125는 AF 보조광(400)의 창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촬영장치에서 AF 보조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부(도 4의 206)의 일 실시예의 구조 및 동작을 나타낸다.
AF 보조광을 상하 또는 좌우로 조작하는 다양한 기구의 액츄에이터 구성이 가능하며, 도 13에서는 조작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모터를 이용하여 전자식으로 액츄에이터부를 구성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AF 보조광(400)의 좌우 이동을 위하여 액츄에이터부는, AF 보조광(400)을 고정하는 브라켓(402), 브라켓(402)에 고정된 제1스퍼기어(418), 제1스퍼기어(418)에 결합된 제2스퍼기어(408), 제2스퍼기어(408)를 소정 스텝각으로 정회전/역회전 시키는 제1구동원(404)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AF 보조광(400)이 결합된 브라켓(402)에 부채꼴 모양의 제1스퍼기어(418)가 고정되고, 제1스퍼기어(418)에 맞물리는 원통형의 제2스퍼기어(408)가 스텝모터(404)에 의해 정회전/역회전(406)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스텝모터(404)의 정회전/역회전에 의해 원통형 제2스퍼기어(406)가 회전(406)하고, 이에 연결된 부채꼴의 제1스퍼기어(418)가 함께 회전(418)하여 AF 보조광(400) 축이 좌우(414)로 이동한다.
또한 AF 보조광(400)의 상하 이동(422)을 위하여 브라켓(402)에는 너트홀(420)이 형성되고, 너트홀(420)에 결합되는 스크류(418), 스크류(418)의 일단에 결 합되어 스크류(418)를 정회전/역회전 시키는 제2구동원(416)을 구비할 수 있다. 제2구동원(416)은 리니어 모터에 의해 구비될 수 있다. 제1구동원(404)이 정지된 상태에서 제2구동원(416)을 작동하면, 브라켓(402)은 스크류(418)를 타고 상하로 이동하며, 이 때 부채꼴의 제1스퍼기어(418)는 원통형의 제2스퍼기어(408)를 타고 슬라이딩하게 된다.
도 12와 같이 방향 버튼(109)에 연동하여 AF 보조광(400)을 조작하도록 하면, 방향 버튼의 입력 횟수에 따라 제1구동원(404)과 제2구동원(418)을 소정 계산식에 의하여 제어하도록 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촬영장치의 일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카메라 기능이 부가되고 AF 보조광이 채용된 카메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AF 보조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AF 보조광 발광으로 인한 피촬영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고, 카메라 앵글의 변화없이 AF 수행에 적당한 방향으로 보조광 발광 방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촬영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들에 표현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의해 가르침 받은 당업자라면,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목적 내에서 치환, 소거, 병합 등에 의하여 전술한 실시 예들에 대해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1. 초점 렌즈부 및 촬상소자를 구비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부;
    자동 초점조정(auto-focus, AF)을 위한 AF 보조광;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촬영동작을 지시하는 키 신호를 발생하는 조작부;
    상기 AF 보조광에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AF 보조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는 액츄에이터부; 및
    상기 AF 보조광의 발광을 제어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부를 제어하여 상기 AF 보조광의 조사방향을 조정하고, 상기 촬영부의 상기 초점 렌즈부를 제어하여 AF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AF 보조광의 조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AF 영역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를 통하여 촬영되는 이미지를 프리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AF 보조광의 조사 방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를 통하여 입사되는 이미지 영역에서 휘도가 가장 높은 영역을 AF 보조광 조사 방향으로 검출하고, 상기 방향으로 AF 보조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AF 보조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는 조작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버튼의 조작 방향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부를 제어하여 상기 AF 보조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부는
    상기 AF 보조광을 고정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고정된 제1스퍼기어;
    상기 제1스퍼기어에 결합된 제2스퍼기어; 및
    상기 제2스퍼기어를 소정 스텝각으로 정회전/역회전 시키는 제1구동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F 보조광을 고정하며 너트홀이 형성된 브라켓;
    상기 너트홀에 결합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를 정회전/역회전 시키는 제2구동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KR1020060025507A 2006-03-21 2006-03-21 자동 초점 조정용 보조광원을 구비한 촬영장치 KR101204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507A KR101204791B1 (ko) 2006-03-21 2006-03-21 자동 초점 조정용 보조광원을 구비한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507A KR101204791B1 (ko) 2006-03-21 2006-03-21 자동 초점 조정용 보조광원을 구비한 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153A KR20070096153A (ko) 2007-10-02
KR101204791B1 true KR101204791B1 (ko) 2012-11-26

Family

ID=38803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507A KR101204791B1 (ko) 2006-03-21 2006-03-21 자동 초점 조정용 보조광원을 구비한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7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403B1 (ko) * 2008-02-20 2015-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장치의 보조광원 고정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4559A (ja) 2002-09-27 2004-06-10 Fuji Photo Film Co Ltd 携帯端末装置
JP2005017891A (ja) 2003-06-27 2005-01-20 Nikon Corp 補助光投光装置とこれを用いたカメラ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4559A (ja) 2002-09-27 2004-06-10 Fuji Photo Film Co Ltd 携帯端末装置
JP2005017891A (ja) 2003-06-27 2005-01-20 Nikon Corp 補助光投光装置とこれを用いたカメラ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153A (ko) 2007-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6068B2 (en) Imaging apparatus
US747132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otating image in digital camera
US10091427B2 (en) Image pickup apparatus to perform a process based on state transition of viewfinder
US20170045805A1 (en) Image pickup apparatus
JP2008275732A (ja) 撮像装置
JP4743868B2 (ja) 画像記録装置
KR101204791B1 (ko) 자동 초점 조정용 보조광원을 구비한 촬영장치
KR20110090291A (ko)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
JP7022885B2 (ja) 撮像装置
KR101058028B1 (ko) 두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JP4542109B2 (ja) 鏡筒及び撮影装置
KR101284010B1 (ko) 회전 렌즈가 장착된 카메라
JP2008028997A (ja) デジタルカメラ
KR101176178B1 (ko) 스트로보 장치,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및 스트로보 충전제어방법
KR101244913B1 (ko) 디지털 이미지 촬영 장치의 이미지 처리 방법
JP5166206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KR20090072503A (ko)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385959B1 (ko) 전원 on 또는 off 시 특정 방향에 대응하는 특정동작을 수행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651812B1 (ko) 키 조합 단축키 설정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128891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1128518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촬영방법
JP2005292443A (ja) カメラの至近距離撮影用の制御装置
KR20100070055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20100013699A (ko) 촬상 장치
JP2009008706A (ja) ストロボ装置および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