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6415B1 - 외장 플래시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세트 - Google Patents

외장 플래시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6415B1
KR101086415B1 KR1020050073554A KR20050073554A KR101086415B1 KR 101086415 B1 KR101086415 B1 KR 101086415B1 KR 1020050073554 A KR1020050073554 A KR 1020050073554A KR 20050073554 A KR20050073554 A KR 20050073554A KR 101086415 B1 KR101086415 B1 KR 101086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flash
trigger
flash
terminal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3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9085A (ko
Inventor
문신헌
정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3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415B1/ko
Publication of KR20070019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외장 플래시는 자체 전원을 구비하고, 전원의 턴온/턴오프가 가능한 외장 플래시 본체; 외장 플래시 본체가 턴온되면 일정한 트리거 전압을 출력하는 트리거 단자; 외부의 촬영장치로부터 액티브 로우의 외장 플래시 인에이블신호를 입력받는 데이터 단자; 및 데이터 단자에 애노드가 연결되고 트리거 단자에 캐소드가 연결된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장형 플래시를 사용하는 촬영장치에서 별도의 스위치를 장착하지 않고도 외장 플래시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내장 플래시와 외장 플래시의 동작을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외장 플래시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세트{External flash and imaging device set comprising the same}
도 1a는 핫슈에 외장 플래시가 결합된 카메라의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핫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외장 플래시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트리거부와 외장 플래시 검출부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촬영장치 세트에서 외장 플래시를 제어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 인에이블 신호, 외장 플래시 검출신호의 타이밍 차트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장 플래시를 포함한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외장 플래시를 카메라에 장착하는 형식으로는 일명 핫슈(hot shoe)라고 하는 외장 플래시 전용 단자에 장착할 수 있는 형식과 카메라의 삼각대 마운트에 브라켓(bracket)을 연결하여 외장 플래시를 장착하는 형식이 있다.
도 1a는 핫슈에 외장 플래시가 결합된 카메라의 도면으로서, 카메라 본체(100)와, 카메라 본체(100)의 상면에 구비된 핫슈(102)에 결합된 외장 플래시(104)를 구비한다. 도 1b는 도 1a의 핫슈(102)의 평면도로서, 외장 플래시 결합 가이드(106)와 접속 단자(108)를 구비한다.
도 1a의 핫슈를 이용한 형식은 외장 플래시(104)를 핫슈 단자(102)에 끼우기만 하면 접점(108)이 접촉하게 되므로, 셔터가 완전히 개방되는 순간에 플래시가 터지도록 촬영하는 셔터 동조 촬영이 가능한다. 또한 접속 단자(108)를 구비함으로써 본체의 TTL(through the lens) 측광과 조합시켜 자동적으로 외장 플래시의 광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내장 플래시가 구비된 카메라에 외장 플래시를 장착하고 외장 플래시의 전원을 켜지 않은 상태에서 사진을 촬영할 때 내장 플래시가 동작을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일본공개특허 제2000-19584호에 개시된 카메라는 외장 플래시 장착 검지용 스위치를 별도로 구비하여, 외장 플래시가 장착되면 스위치의 눌림으로 외장 플래시가 장착되었는지 판별하고 그에 따라 내장플래시를 동작시키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별도의 스위치를 장착하여 외장 플래시를 검출하는 방법은 핫슈의 구조가 제한적이고 잦은 사용으로 스위치가 마모되거나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장형 플래시를 사용하는 촬영장치에서 별도의 스위치를 장착하지 않고도 외장 플래시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내장 플래시와 외장 플래시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촬영장치 세트와 그 외장 플래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외장 플래시는 자체 전원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의 턴온/턴오프가 가능한 외장 플래시 본체; 상기 외장 플래시 본체가 턴온되면 일정한 트리거 전압을 출력하는 트리거 단자; 외부의 촬영장치로부터 액티브 로우의 외장 플래시 인에이블(inable)신호를 입력받는 데이터 단자; 및 상기 데이터 단자에 애노드가 연결되고 상기 트리거 단자에 캐소드가 연결된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촬영장치 세트는 상기 외장 플래시; 내장 플래시를 구비한 촬영장치 본체; 상기 외장 플래시의 트리거 단자에 대응한 트리거 단자; 상기 외장 플래시의 데이터 단자에 대응한 데이터 단자; 상기 트리거 단자에 인가된 트리거 전압을 출력하는 트리거부; 상기 트리거 전압에 응답하여 외장 플래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외장 플래시 검출부; 및 상기 외장 플래시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액티브 로우의 외장 플래시 인에이블 신호를 상기 데이터 단자로 출력하고 상기 내장 플래시를 디스에이블(disable)시키고, 상기 외장 플래시의 발광 타이밍 제어신호를 상기 트리거부를 통하여 출력하고, 상기 촬영장치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장 플래시 검출부는, 정(+)전압원; 접지단; 상기 트리거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제1저항; 상기 제1저항의 타단과 상기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발광 타이밍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제1제어스위치; 상기 정전압원에 일단이 연결된 제2저항; 및 상기 제2저항의 타단과 상기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저항의 타단전압에 의해 스위칭되는 제2제어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2저항의 타단 전압을 외장 플래시 검출신호로서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 안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7)는 타이밍 회로(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7)는 CDS-ADC 소자(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 및 기타 임시 처리 데이터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6)에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는 LCD 구동부(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칼라 LCD 패널(17)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18)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8)와 그 접속부(19)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데오 필터(9) 및 비데오 출력부(20)를 통하여 비데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버튼, 모드 선택 버튼, 기능 선택 버튼, 줌 버튼, 방향이동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INP)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각 기능 수행을 위한 명령을 발생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는 렌즈 구동부(10)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줌 모터(MZ), 포커스 모터(MF), 및 조리개(aperture) 모터(MA)가 광학계(OPS) 안의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조리개를 각각 구동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플래시 대기 램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제어기(12)는 플래시-광량 센서(1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5)를 구동한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는, 도 2의 구성요소들을 모두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사양에 따라 그 구성요소 중 일부가 삭제되거나, 또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요소가 변형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외장 플래시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커넥터(218)(304)에 의해 상호 연결 가능한 촬영장치(200)와 외장 플래시(300)로 구비된다.
내장 플래시(220)를 구비한 촬영장치(200) 도 2의 디지털 카메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플래시 제어를 위하여 촬영장치(200)는 제어부(202), 트리거부(206), 외장 플래시 검출부(204), 커넥터부(218)를 구비한다.
촬영장치(200)의 커넥터부(218)는 외장 플래시(300)의 커넥터(304)에 대응하여 구비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플래시 제어를 위한 필수 구성요소로서 커넥터부(218)는 트리거 신호(216)를 연결하는 단자(TRIG)와 외장 플래시 인에이블 신호(208)을 연결하는 단자(DATA1)를 구비한다. 촬영장치(200)의 커넥터부(218)는 촬영장치(200)의 소정 부분에 구비되며, 촬영장치(200)와 외장 플래시(300)를 연결할 수 있는 소정 연결수단 예컨대 접촉단자(도 1b의 108)가 구비된 핫슈(도 1a의 102)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촬영장치(200)의 커넥터(218)는 핫슈가 아니더라도 외장 플래시(300)의 커넥터(304)와 짝을 이루는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서 구비될 수 있다.
트리거부(206)는 외장 플래시(300)에 제어부(202)로부터의 발광 타이밍 제어신호(210)를 트리거 신호(216)를 통하여 전달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플래시 제어를 위하여 트리거부(206)는 하이레벨(H)의 트리거 단자(TRIG) 전압(216)을 외장 플래시 검출부(214)로 출력한다.
외장 플래시 검출부(204)는 외장 플래시(300)가 연결된 경우에 하이레벨(H)의 트리거 신호(TRIG, 216)를 검지하여 외장 플래시 검출신호(212)로서 출력한다.
제어부(202)는 외장 플래시 검출신호(212)에 응답하여 액티브 로우(active low)의 외장 플래시 인에이블 신호(EN, 208)를 제1데이터 단자(DATA1)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02)는 외장 플래시(300)를 인에이블시키는 동시에 내장 플래시(220)를 디스에이블(222) 즉 발광금지시키고, 외장 플래시(300)의 발광 타이밍 제어신호(210)를 트리거 단자(TRIG)를 통하여 출력하고, 촬영장치(200) 본체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촬영장치가 디지털 카메라로 구현된 경우에 제어부(202)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도 2의 7) 또는 마이크로 제어기(도 2의 1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외장 플래시 제어를 위한 필수적인 인터페이스 단자(TRIG, DATA1)들 이외에도 외장 플래시(300)의 제어를 위하여 추가적인 데이터(DATA2, DATA3, DATA4) 단자들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2데이터 단자(DATA2)는 클록(clock) 라인으로, 제3데이터 단자(DATA3)와 제4데이터 단자(DATA)는 각각 인/아웃(IN/OUT) 포트로 사용될 수 있다.
외장 플래시(300)는 외장 플래시 본체(302), 커넥터부(304), 다이오드(306)을 구비한다. 외장 플래시(300)의 커넥터부(304)는 촬영장치(200)의 커넥터부(218)의 구조와 짝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외장 플래시 본체(302)는 자체 전원을 구비하고, 전원의 턴온/턴오프가 가능하다. 외장 플래시 본체(302)가 턴온되면 트리거 단자(TRIG)를 통하여 일정한 트리거 전압(308) 예컨대 6V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플래시 제어를 위하여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제1데이터 단자(DATA1)과 트리거 단자(TRIG)와 이 두 단자 사이에 연결된 다이오드(306)이다.
제1데이터 단자(DATA1)는 외부의 촬영장치(218)로부터 액티브 로우의 외장 플래시 인에이블(inable, EN)신호를 입력받는다. 외장 플래시 인에이블(EN) 신호는 하이레벨(H)이 로직레벨로서 예컨대 3.3V일 수 있다.
다이오드(306)는 제1데이터 단자(DATA1)에 애노드가 연결되고 트리거 단자 (TRIG)에 캐소드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요소인 다이오드(306)로 인하여 외장 플래시(300)가 촬영장치(200)에 장착되어 양 커넥터(218, 304)가 연결된 상태이기만 하면 외장 플래시(300)가 턴온/턴오프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트리거 전압(308)은 하이레벨(6V/3.3V)를 유지하게 된다.
도 4는 도 3의 트리거부(206)와 외장 플래시 검출부(206)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회로도이다.
먼저 트리거부(206)는 트리거 신호(TRIG, 216) 입력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제1저항(R1), 제1저항(R1)의 타단과 접지단(GND) 사이에 연결되어 발광 타이밍 제어신호(210)에 의해 스위칭되는 제1제어스위치(TR1)를 구비한다.
또한 외장 플래시 검출부(206)는 정(+)전압원(Vcc), 정전압원(Vcc)에 일단이 연결된 제2저항(R2), 제2저항(R2)의 타단과 접지단(GND) 사이에 연결되어 제1저항의 타단전압(214)에 의해 스위칭되는 제2제어스위치(TR2)를 구비한다. 그리고 외장 플래시 검출부(206)는 제2저항(R2)의 타단 전압을 외장 플래시 검출신호(DETECT, 212)로서 출력한다.
여기서 제1제어스위치(TR1)와 제2제어스위치(TR2)는 도 4에 예시된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이외에도 FET(Field effect transistor) 등 스위칭 소자에 의해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도 3의 202)에서 입력된 발광 타이밍 제어신호(210)가 로우레벨(L)을 유지한 상태에서, 트리거 신호(TRIG, 216)가 L→H 천이하면 외장 플래시 검출신호 (DETECT, 212)는 H→L 천이한다. 또한 트리거 신호(TRIG, 216)가 H→L 천이하면 외장 플래시 검출신호(DETECT, 212)는 L→H 천이한다. 외장 플래시 검출신호(DETECT, 212)가 로우레벨(L)이면 외장 플래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제어부(도 3의 202)에서 입력된 발광 타이밍 제어신호(210)가 L→H 하면 트리거 신호(TRIG, 216)가 H→L 되어 외장 플래시가 발광하게 된다. 이 발광순간에도 외장 플래시 검출신호(DETECT, 212)는 L→H 천이하게 되는데, 이 시점에서는 제어부(도 3의 202)에서 내장 플래시(도 3의 220)를 디스에이블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촬영장치 세트에서 외장 플래시를 제어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TRIG, 216), 인에이블 신호(DATA1, 208), 외장 플래시 검출신호(DETECT, 212)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5의 예에서 모든 신호의 로우레벨(L)은 접지레벨(0V)이다. 또한 외장 플래시 본체에서 나오는 트리거 신호(TRIG, 216)의 하이레벨(H)은 6V이고, 인에이블 신호(DATA1, 208)의 하이레벨(H)은 3.3V, 외장 플래시 검출신호(DETECT, 212)의 하이레벨(H)은 5V인 경우를 예시한다. 외장 플래시 검출신호(DETECT, 212)는 액티브 로우이다. 제어부(도 3의 202)는 외장 플래시 검출신호(DETECT, 212)가 로우레벨(L)인 경우에 내장 플래시(도 3의 220)를 디스에이블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t0~t1 기간은 외장 플래시가 장착된 촬영장치가 턴오프된 상태이다.
t1 에서 촬영장치가 턴온되고, 외장 플래시는 아직 턴오프된 상태이다. t1 에서 촬영장치가 턴온되면 인에이블 신호(DATA1, 208)가 L→H(3.3V) 천이하고, 이 에 따라 다이오드(도 3의 306)에 의하여 트리거 신호(TRIG, 216)가 L→H(2.7V) 천이한다. 여기서 다이오드 양단간 전위차를 0.6V로 가정하면, 트리거 신호(TRIG, 216)는 2.7V가 된다. 트리거 신호(TRIG, 216)가 L→H(2.7V) 천이함에 따라 외장 플래시 검출신호(DETECT, 212)는 로우레벨(L)을 유지한다.
t2 에서 외장 플래시가 턴온되면, 트리거 신호(TRIG, 216)는 H(2.7V)→H(6V) 천이한다. 외장 플래시 검출신호(DETECT, 212)는 로우레벨(L)을 유지한다. 제어부(도 3의 202)는 외장 플래시가 턴온된 t2에서 액티브 로우의 인에이블 신호(DATA1, 208)를 H→L 로 천이하여 외장 플래시를 인에이블시킨다. 외장 플래시가 인에이블된 기간(t2~t3)에서 데이터 단자(DATA2~DATA4)와 트리거 단자(TRIG)를 통한 외장 플래시 발광 제어가 가능해진다.
t3 에서 외장 플래시가 턴오프되면, 트리거 신호(TRIG, 216)는 H(6V)→H(2.7V) 천이한다. t3~t4 기간에는 인에이블 신호(DATA1, 208)가 L→H 천이하여 외장 플래시가 디스에이블될 뿐 외장 플래시 검출신호(DETECT, 212)는 로우레벨(L)을 유지한다. 따라서 내장 플래시는 여전히 디스에이블 상태를 유지한다.
t4 에서 외장 플래시가 촬영장치로부터 분리시키면, 촬영장치의 트리거 신호(TRIG, 216)는 오픈상태가 되고, 제1제어스위치(도 4의 TR1)의 기생 다이오드 성분에 의해 제2제어스위치는 턴오프되어 외장 플래시 검출신호(DETECT, 212)는 L→H 천이하게 된다. 이 때 제어부(도 3의 202)는 내장 플래시를 인에이블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촬영장치 세트에 외장 플래시가 장착되기만 하면 내장 플래시를 발광금지(disable) 시킴으로써 외장 플래시 장착시 동작을 안정적으로 제 어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외장형 플래시를 사용하는 촬영장치에서 별도의 스위치를 장착하지 않고도 외장 플래시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내장 플래시와 외장 플래시의 동작을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플래시 제어를 별도의 외부 스위치 설치 없이 내부 회로적으로 구현함으로써 종래 스위치 설치에 의해 외장 플래시를 검지하는 카메라에서 잦은 스위치 사용으로 인한 내구성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들에 표현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의해 가르침 받은 당업자라면,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목적 내에서 치환, 소거, 병합 등에 의하여 전술한 실시 예들에 대해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자체 전원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의 턴온/턴오프가 가능한 외장 플래시 본체;
    상기 외장 플래시 본체가 턴온되면 일정한 트리거 전압을 출력하는 트리거 단자;
    외부의 촬영장치로부터 액티브 로우의 외장 플래시 인에이블(inable)신호를 입력받는 데이터 단자; 및
    상기 데이터 단자에 애노드가 연결되고 상기 트리거 단자에 캐소드가 연결된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용 외장 플래시.
  2. 제1항의 외장 플래시;
    내장 플래시를 구비한 촬영장치 본체;
    상기 외장 플래시의 트리거 단자에 대응한 트리거 단자;
    상기 외장 플래시의 데이터 단자에 대응한 데이터 단자;
    상기 트리거 단자에 인가된 트리거 전압을 출력하는 트리거부;
    상기 트리거 전압에 응답하여 외장 플래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외장 플래시 검출부; 및
    상기 외장 플래시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액티브 로우의 외장 플래시 인에이블 신호를 상기 데이터 단자로 출력하고 상기 내장 플래시를 디스에이블 (disable)시키고, 상기 외장 플래시의 발광 타이밍 제어신호를 상기 트리거부를 통하여 출력하고, 상기 촬영장치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플래시 검출부는
    정(+)전압원;
    접지단;
    상기 트리거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제1저항;
    상기 제1저항의 타단과 상기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발광 타이밍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제1제어스위치;
    상기 정전압원에 일단이 연결된 제2저항; 및
    상기 제2저항의 타단과 상기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저항의 타단전압에 의해 스위칭되는 제2제어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2저항의 타단 전압을 외장 플래시 검출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세트.
KR1020050073554A 2005-08-11 2005-08-11 외장 플래시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세트 KR101086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554A KR101086415B1 (ko) 2005-08-11 2005-08-11 외장 플래시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554A KR101086415B1 (ko) 2005-08-11 2005-08-11 외장 플래시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085A KR20070019085A (ko) 2007-02-15
KR101086415B1 true KR101086415B1 (ko) 2011-11-25

Family

ID=43652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3554A KR101086415B1 (ko) 2005-08-11 2005-08-11 외장 플래시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4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02320A (zh) * 2012-08-31 2012-11-28 哈尔滨工业大学 面向机器视觉的数字化led光源控制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9584A (ja) 1998-06-26 2000-01-21 Fuji Photo Optical Co Ltd アクセサリシュー付カメ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9584A (ja) 1998-06-26 2000-01-21 Fuji Photo Optical Co Ltd アクセサリシュー付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085A (ko)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2702B1 (en) Image pickup apparatus with lens unit detection and recording
US9049378B2 (en) Accessory, camera, accessory shoe, and connector
WO2013099588A1 (ja) レンズ交換式カメラ、カメラ本体、レンズユニット及びビジー信号制御方法
WO2013099788A1 (ja) レンズ交換式カメラ、カメラ本体及びレンズ装着判定方法
KR20040104964A (ko) Usb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디지털 카메라
JP2007049458A (ja) 撮像素子ユニット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WO2018139170A1 (ja) カメラシステム、交換レンズ、カメラ、及び、カメラシステムの電源供給方法
US20130002897A1 (en) Accessory, camera, accessory control program, and camera control program
KR101086415B1 (ko) 외장 플래시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세트
KR101964380B1 (ko) 외부 장치의 종류를 인식하는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외부 장치
WO2006085717A1 (en) Auto-focusing camera module
US20130002944A1 (en) Accessory, camera, accessory control program, and camera control program
TW466380B (en) Exchangeable connecting device between video camera and automatic iris lens
KR101080410B1 (ko) 외장 플래쉬를 연결할 수 있는 카메라
KR101436320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101086406B1 (ko) 간략화된 전원 입력 시퀀스를 수행하는 카메라
US20130002943A1 (en) Accessory, camera, accessory control program, and camera control program
JP6503619B2 (ja)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185573B1 (ko) 이미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KR101255206B1 (ko) 스트로보 충전 제어회로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KR200207592Y1 (ko) 디지탈 카메라의 전원장치
KR101176178B1 (ko) 스트로보 장치,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및 스트로보 충전제어방법
CN115695958A (zh) 适配器装置、摄像设备及其控制方法
US20100123799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JP4231296B2 (ja) 電子内視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