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3469A - 조출식 신축 필기구 - Google Patents

조출식 신축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3469A
KR20060083469A KR1020050004048A KR20050004048A KR20060083469A KR 20060083469 A KR20060083469 A KR 20060083469A KR 1020050004048 A KR1020050004048 A KR 1020050004048A KR 20050004048 A KR20050004048 A KR 20050004048A KR 20060083469 A KR20060083469 A KR 20060083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shaft
screw
cam
writing instrument
shaft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6741B1 (ko
Inventor
윤현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리스
Priority to KR1020050004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741B1/ko
Priority to EP05821852A priority patent/EP1838537B1/en
Priority to CNB2005800107116A priority patent/CN100506564C/zh
Priority to PCT/KR2005/004358 priority patent/WO2006075846A1/en
Priority to AT05821852T priority patent/ATE527123T1/de
Priority to JP2007551188A priority patent/JP4601674B2/ja
Priority to US11/814,165 priority patent/US7726894B2/en
Publication of KR20060083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5/00Assembling, finishing, or repairing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06Pencil-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with automatic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스크루 방식으로 외축캠, 카트리지홀더 및 내축캠 결합됨에 따라 축의 신장과 펜심의 조출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축길이의 축소 및 신장에 따라 소지, 휴대, 관리가 편리한 조출식 신축 필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조출식 신축 필기구는 제1스크루홈(11)이 내주연에 형성된 외축캠(10)과; 상기 제1스크루홈(11)에 대응하여 나사 결합되는 제1스크루(31)를 일측에 형성하고, 제2스크루(35)를 타측에 형성한 카트리지홀더(30)와; 상기 카트리지홀더(30)를 축심에 일치시켜 상기 제2스크루(35)에 대응하여 나사 결합되도록 제2스크루홈(45)을 내주연에 형성한 내축캠(40)과; 상기 내축캠(40)의 고정부위(41)를 축심에 일치시켜 헤드부위(51)의 안착구멍(59)에 고정하되, 복수개의 날개(54, 56)를 상기 헤드부위(51)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연장한 외축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외축캠(10)과 상기 외축부(50)에 왕복 직선 이동에 따른 축길이의 신장 또는 축소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홀더(30)에 결합된 펜심(20)의 팁(28)이 상기 외축캠(10)의 팁 구멍(18)을 통해 출몰하게 결합되어 있다.
조출식, 신축, 필기구, 펜심, 외축캠, 카트리지홀더, 내축캠, 외축부

Description

조출식 신축 필기구{SCREW-TYPE WRITING INSTRUMENT HAVING EXPANSION AND CONTRA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출식 신축 필기구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출식 신축 필기구가 신축된 상태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출식 신축 필기구의 분해 조립도,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외축캠의 단면도,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카트리지홀더의 단면도,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내축캠의 단면도,
도 4d는 도 3에 도시된 외축부의 단면도,
도 5a와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조출식 신축 필기구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축캠 11 : 제1스크루홈
18 : 팁 구멍 20 : 펜심
30 : 카트리지홀더 31 : 제1스크루
35 : 제2스크루 40 : 내축캠
42 : 축부 45 : 제2스크루홈
50 : 외축부 54, 56 : 날개
본 발명은 조출식 신축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필기용, 액세서리용, 간편 휴대용 조출식 신축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펜심(필심) 출몰(출입)식 필기구는 각종 색상의 볼펜, 샤프, 복합펜 등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필기를 할 때 케이스 내부에 안치되어 있는 펜심 또는 펜심을 돌출시키고, 필기를 하지 않을 때 몰입시키는 소정 형식의 출몰 기구 수단을 구비한다.
만일 출몰 기구 수단을 구비하지 않을 경우, 필기구의 축길이를 최소로 하여 소형 크기를 갖기 때문에, 필기구 본연의 기능과 함께 팬시 용품, 캐릭터 용품, 액세서리 등의 역할 수행이 가능하다. 그러나, 펜심의 출몰 기구 수단이 부재될 경우, 안전사고 방지와, 펜심 보호 및 잉크 등에 의해 얼룩이 의류에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기구 뚜껑과 같은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며, 매번 필기구를 사용할 때마다 불편하고, 필기구 뚜껑 분실에 따라 필기구의 수명이 단축되는 경향이 있 다.
반대의 경우에, 출몰 기구 수단을 필기구의 몸체에 구비시키는 경우, 펜심의 길이에 출몰 기구 수단의 길이가 더해져서 전체적으로 필기구의 축길이가 상기 출몰 기구 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증가됨에 따라, 팬시 용품, 캐릭터 용품 등으로의 적용이 불가능하고, 상대적으로 보관, 소지, 휴대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한 종래 기술에 따른 신축 필기구의 선단팁 출입장치는 1988년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03848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몸통과 캡체를 서로 결합하여 신축자재케 하는 것에 있어서, 몸통의 상단에 잉크튜우브를 끼우는 보호관과 일체로 된 부재를 고정하고, 그 부재의 일축에는 수직구멍을 뚫어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핀의 상부를 끼우되, 적당한 부위에 혹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혹 이상을 여유 있는 길이로 연장하여 이를 상기한 수직구멍에 올려 끼운 후, 그 단부를 확대시키며, 상기한 보호관의 하단부에는 프렌지를 형성한 투관을 끼우는 동시에 그 투관의 외부에 통상의 코일스프링과 원추형 캡을 몸통 밑의 나사에 돌려끼워서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돌려지는 프렌지가 상기한 핀의 하단과 접촉되게 하고, 상기한 캡체에 있어서는 그 상단에 머리부재를 고정하여 그 바닥면이 상기한 핀의 상단에 접촉 가능케 한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신축 필기구의 선단팁 출입장치는 1) 몸통, 2) 캡체, 3) 잉크튜우브, 4) 보호관, 5) 부재, 6) 핀, 7) 투관, 8) 코일스프링, 9) 원추형 캡, 10) 머리부재 등과 같이 결합 작동에 꼭 필요한 다수의 필수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서 생산성과 조립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신축 필기구의 선단팁 출입장치는 신축 후 이차 단계에서 머리부재의 바닥면이 핀의 상단에 접촉함에 따라 선단팁이 돌출되고, 통상의 코일스프링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몰입되는 메커니즘을 갖기 때문에, 신축과 동시에 펜심이 출몰되지 않아 신속하게 선단팁을 돌출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신축 필기구의 선단팁 출입장치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캡체의 내부에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몸통이 출입함에 따라, 미적 형식 원리에 해당하는 밸런스나 하모니가 떨어지는 바와 같이 심미적 가치가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런 종래 기술에 따른 신축 필기구의 선단팁 출입장치는 몸통과 캡채를 잡아당기는 작동과, 선단팁을 출입시키는 작동이 별개로 되어 있어서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출원한 측면 노크식 조출식 신축 필기구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더욱 안정적으로 외축캠과 외축부의 신축과 동시에 펜심이 출몰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조출식 신축 필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중 스크루 방식으로 외축캠, 카트리지홀더 및 내축캠 결합됨에 따라 축의 신장과 펜심의 조출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축길이의 축소 및 신장에 따라 소지, 휴대, 관리가 편리한 조출식 신축 필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스(piece) 개수를 최소화하여 조립성과 제작 효율을 극대화하여 산업적 이용 가능성을 증대시키고, 신축과 동시에 출몰되는 펜심을 물리적인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고 필기구 수명을 펜심의 잉크 소진까지 안전하게 보전할 수 있는 조출식 신축 필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핸드폰 줄을 장착할 수 있는 장착구를 형성하고 있는 유선형 몸체로서 그립(grip)감이 양호할 뿐만 수요자의 미감을 자극하여 수요증대에 현실적으로 기여할 수 있고, 팬시, 캐릭터, 액세서리의 용도와 필기 용도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조출식 신축 필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펜심을 구비한 조출식 신축 필기구에 있어서, 제1스크루홈이 내주연에 형성된 외축캠과; 상기 제1스크루홈에 대응하여 나사 결합되도록 상대적으로 나사열 간격이 좁은 제1스크루를 일측에 형성하고, 상대적으로 나사열 간격이 넓은 제2스크루를 타측에 형성한 카트리지홀더와; 상기 카트리지홀더를 축심에 일치시켜 상기 제2스크루에 대응하여 나사 결합되도록 제2스크루홈을 내주연에 형성한 내축캠과; 상기 내축캠의 고정부위를 축심에 일치시켜 헤드부위의 안착구멍에 고정하되, 복수개의 날개를 상기 헤드부위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연장한 외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축캠과 상기 외축부에 왕복 직선 이동에 따른 축길이의 신장 또는 축소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홀더에 결합된 상기 펜 심의 팁이 상기 외축캠의 팁 구멍을 통해 출몰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출식 신축 필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축캠은 상기 날개와의 교합을 위해, 일측 양쪽표면이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있고, 타측 양쪽표면이 원형 내경에 대응한 원주면으로 팽출되어 있고, 상기 타측 양쪽표면에 상기 외축부의 날개를 미끄럼 작동 가능하게 교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축캠과 외축부가 교합된 상태의 레이아웃은, 유선형 몸체 형상으로서 양쪽 끝단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줄어드는 각진 모서리와 팽출된 표면을 갖는 사각형과, 원형과, 직각 사각형 및 삼각형 및 육각형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중공 단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축캠의 외부에는, 상기 외축부의 날개의 내표면에 형성된 가이드슬릿에서 미끄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슬릿에는, 상기 외축캠과 상기 외축부가 제2스트로크 이송 거리만큼 축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되었을 때 착탈되는 상기 걸림돌기를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사점 정지턱과 상사점 정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축캠과 상기 외축부의 교합 상태에서, 상기 제1스크루가 상기 제1스크루홈에 그리고 상기 제2스크루가 상기 제2스크루홈에 각각 이중으로 나사 대우 관계로 결합되어서, 상기 내축캠과 상기 외축부의 신축에 대응하여 상기 펜심의 팁을 팁 구멍에서 출몰시키는 이중 스크루 방식의 신축/출몰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카트리지홀더는 동일 회전수에도 불구하고 짧은 스트로크 이송 거리로 이송되도록 상기 제1스크루의 나사열 간격을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한 반면, 상기 외축캠과 외축부의 신축에 대응한 긴 스트로크 이송 거리를 위해 제2스크루의 나사열 간격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축캠과 외축부는 고정부위와 헤드부위의 합체 유무에 따라 분리형 또는 일체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위에는 상기 헤드부위의 안착구멍의 복수개의 고정홈에 고정되도록, 복수개의 비틀림 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축부는 헤드부위에 홀딩 수단을 장착할 수 있는 장착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출식 신축 필기구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출식 신축 필기구가 신축된 상태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출식 신축 필기구의 분해 조 립도이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외축캠의 단면도이며,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카트리지홀더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내축캠의 단면도이고, 도 4d는 도 3에 도시된 외축부의 단면도이며, 마지막으로, 도 5a와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조출식 신축 필기구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출식 신축 필기구는 핸드폰 줄, 고리 등과 같은 홀딩 수단(1)을 장착할 수 있는 장착구(2)를 외축부(50)의 헤드부위에 형성하고 있는 유선형 몸체를 갖는다. 예컨대, 본 발명의 조출식 신축 필기구는 중간부위에서 양쪽 끝단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줄어드는 비율에 대응하게, 중간부위가 완만하게 원주 전체에 걸쳐 팽출된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팽출된 형상은 본 발명을 손가락으로 축방향으로 축길이 신장을 위해 잡아당기거나 축길이 축소를 위해 반대방향으로 밀 때 마찰력을 증가시켜서 별도의 지지 돌기 없이 신축에 필요한 손가락 힘을 본 발명 필기구에 전달하기 용이하고, 전체적인 디자인을 심플하게 가져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런 본 발명의 조출식 신축 필기구는 대략 라운드 사각 형상을 갖고 있어서, 수요자의 미감을 자극하여 수요증대에 현실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하이테크한 디자인을 갖고 있으며, 축소된 기본형의 상태에서 콤팩트하고 심플한 미감을 일으킨다.
또한, 본 발명의 조출식 신축 필기구의 조립에 사용되는 피스(piece) 개수는 잉크를 담고 있는 펜심을 포함하더라도 4∼5개 정도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피스 개수가 4∼5개로 가변적인 이유는 필요에 따라 외축부(50)와 내축캠이 일체형 으로 형성되거나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일, 외축부(50)와 내축캠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제작비 상승이 예상되고, 사출 금형을 통해 대량 생산에 약간의 차질이 발생될 소지가 없지 않으나, 향후 사출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러한 우려는 제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적은 피스 개수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축과 펜심 출몰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게 이중 스크루 방식의 신축/출몰 메커니즘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조출식 신축 필기구는 기능적인 측면에서, 원추형 중공축 형상의 외축캠(10)과 외축부(50)를 축의 양측 끝단 방향으로 잡아당겨 신축시킬 경우에 외축캠(10)과 외축부(50)의 내부에 배치된 이중 스크루 방식의 신축/출몰 메커니즘에 따라 펜심(20)의 팁(28)이 돌출되고, 반대측 방향으로 힘을 외축캠(10)과 외축부(50)에 가할 경우 축길이가 축소됨과 동시에 팁(28)이 외축캠(10)의 내부로 몰입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이중 스크루 방식의 신축/출몰 메커니즘이 외축캠(10)과 외축부(50)의 내부에 위치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필기구의 두께가 증가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 외축캠(10)의 외형적 형상과, 이에 대응하는 외축부(50)의 외형적 형상에 특징이 발생된다.
즉, 외축캠(10)의 외형을 살펴보면, 양쪽 끝단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줄어드는 각진 모서리와 팽출된 표면의 사각형 중공 단면을 갖되, 이때, 일측 양쪽표면이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있고, 타측 양쪽표면이 상대적으로 함몰되어 있 다. 여기서, 함몰된 타측 양쪽표면은 원형 내경에 대응한 원주면을 갖되, 외축부(50)의 날개 각각을 교합시켜서 축방향으로만 슬라이딩 작동할 수 있게 가이드홈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반면, 외축부(50)의 외형을 살펴보면, 장착구(2)가 형성된 헤드부위를 제외한 일측 양쪽부위가 상기 외축캠(10)의 레이아웃에 대해 밸런스, 균형감 및 대칭감 중 어느 하나를 갖도록 두께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한 쌍의 날개가 헤드부위에서부터 상기 외축캠(10) 쪽으로 상기 외축캠(10)의 함몰된 타측 양쪽표면과 깊이에 대응하게 연장됨에 따라 미끄럼 결합 방식으로 교합될 수 있는 폭과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외축부(50)의 날개는 외축캠(10)의 함몰된 타측 양쪽표면에 상호 교합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외축캠(10)의 돌출된 일측 양쪽표면이 외축부(50)의 개방된 일측 양쪽부위에 교합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외축캠(10)과 외축부(50)가 교합된 상태의 레이아웃을 살펴보면,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끝단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줄어드는 각진 모서리와 팽출된 표면을 갖는 사각형뿐만 아니라, 원형, 직각 사각형, 삼각형 및 육각형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중공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3에 도시된 분해 조립도를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출식 신축 필기구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외축캠(10), 펜심(20), 카트리지홀더(30), 내축캠(40), 외축부(50)로 이루어져 있다.
외축캠(10)은 함몰된 타측 양쪽표면(14, 16)의 안쪽에 축방향을 따라 중공을 형성하여, 하기의 펜심(20)과 카트리지홀더(30) 및 내축캠(40)을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4a에서 보이듯이, 외축캠(10)은 중공(19)을 갖는 축형상으로서, 펜심(20)의 팁(28)이 출몰하게 팁 구멍(18)을 형성한 중공 원추형 부위와, 함몰된 타측 양쪽표면(14, 16)과, 이런 함몰된 타측 양쪽표면(14, 16)을 기준으로 직각에 배치되어 상대적으로 돌출된 일측 양쪽표면을 갖는다.
외축캠(10)에서 팁 구멍(18)에 근접한 내주연에는 제1스크루홈(11)이 내주연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스크루홈(11)은 미끄럼 작동이 가능하게 나선형 돌출턱 또는 동일한 복수개의 나선열 돌출 부위에 해당하는 제1스크루(31)와 나사 결합되어 나사 운동시 펜심(20)의 팁(28)이 외축캠(10)의 팁 구멍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적정량 표출되는 제1스트로크 이송 거리(a)만큼 카트리지홀더(30)를 이송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특히, 복수개의 나선열 돌출 부위의 제1스크루(31)는 나선형 돌출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된 접촉면적을 제1스크루홈(11)에 제공하여 안정된 나사 운동을 제공할 수 있다. 제1스크루(31)와 제2스크루(35)는 실리콘 등의 윤활제가 도포되어 있어서 원활한 나산 운동이 가능하며, 그의 재질도 마모, 파손이 작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함몰된 타측 양쪽표면(14, 16)에서 펜심(20)이 삽입되는 쪽 부위에는 걸림돌기(1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신장 작동시 가이드의 역할과 신장 작동 후 스토퍼(stopper)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펜심(20)은 통상적으로 잉크를 담고 있는 폴대(22)와, 폴대(22)의 일측 끝단에서 필기시 잉크를 정량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팁(28)을 갖는다.
도 3과 도 4b에 보이듯이, 카트리지홀더(30)는 그의 개구된 내경(39)에 펜심(20)을 삽입시키도록 되어 있고, 카트리지홀더(30)의 펜심 고정부위(36)의 내부 고정위치(38)에 억지끼움 결합방식으로 고정 및 장착된다.
카트리지홀더(30)는 펜심(20)을 내경의 축심에 일치시킨 상태로 삽입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중 스크루 방식의 신축/출몰 메커니즘을 위해서 개방된 끝단 측면쪽의 외주연에 제1스크루(31)를 형성하고, 이런 제1스크루(31)의 끝단으로부터 펜심 고정부위(36)의 시작점까지의 원주연에 제2스크루(35)를 형성하고 있다.
펜심 고정부위(36)는 중공 원통으로서 통기공(37)을 제외하게 끝단 측면을 폐쇄하고 있으며, 펜심(20)을 고정시킬 수 있는 크기의 고정위치(38)를 형성하고 있다. 이런 펜심 고정부위(36)는 내축캠(40)의 고정부위(41)의 안쪽에서 축방향으로 따라 형성된 회전구멍(4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카트리지홀더(30)는 그의 회전에 따라 제1스크루(31)와 제2스크루(35)를 일종의 나사 운동 방식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제1스크루(31)는 제1스크루홈(31)에 대응하게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의 나사열을 갖고, 제2스크루(35)는 제2스크루홈(45)에 대응하게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의 나사열을 갖는다.
이런 제1스크루(31)는 상기 외축캠(10)의 내주연에 형성된 제1스크루홈(11) 과 나사 운동을 일으키는 나사 대우 관계에 있고, 제2스크루(35)는 내축캠(40)의 내주연(49)에 형성된 제2스크루홈(45)과 나사 대우 관계에 있다.
또한, 제1스크루(31)와 제2스크루(35)의 나선 시작 위치는 원주 방향으로 따라 상호 일치되지 않게 배치되어 있어서, 나사 운동의 시작점이 상이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이렇게 상이하게 설계된 경우, 카트리지홀더(30)가 외축캠(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도 3과 도 4c에 보이듯이, 내축캠(40)은 펜심(20)을 내부에 고정한 카트리지홀더(30)를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외축캠(10)과 외축부(50)의 상호 신축에 따른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런 내축캠(40)의 축부(42)는 중공축의 형상을 갖되, 축부(42)의 내주연에 제2스크루홈(45)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제2스크루홈(45)은 제2스크루(35)와 나사 결합되어 나사 운동시 제2스트로크 이송 거리(b)에 상응하게 본 발명의 조출식 신축 필기구의 축길이를 신축 또는 축소시킬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축부(42)의 일측 끝단은 내축캠(40)의 스크루 결합을 위해 개방되어 있고, 타측 끝단은 고정부위(41)와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축캠(40)의 고정부위(41)의 외부에는 평활형 원주면에서 축방향으로 따라 연장되고 직경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비틀림 방지턱(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축캠(40)의 고정부위(41)의 내부에는 카트리지홀더(30)의 펜심 고정부위(36)를 위한 회전구멍(46)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축캠(40)의 끝단은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외축부(50)의 헤드 부위(51) 내측에서 축심을 따라 형성된 안착구멍(59)에 삽착 및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과 도 4d에 보이듯이, 외축부(50)의 헤드부위(51) 내측에는 내축캠(40)을 고정시키기 위한 안착구멍(59)이 형성되어 있다. 안착구멍(59)에는 상기 내축캠(40)의 복수개의 비틀림 방지턱(43)과 교합되는 복수개의 고정홈(53)이 형성되어 있다.
외축부(50)는 헤드부위(51)에서 외축캠(10)쪽 방향으로 한 쌍의 대등한 형상의 유선형 날개(54, 56)가 형성되어 있다.
날개(54, 56)의 마주보는 안쪽 공간은 내축캠(40)이 축방향을 따라 삽입될 때, 날개(54, 56)의 내표면과 내축캠(40)의 축부(42)의 외주연 사이에 공극이 형성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공극은 상기 외축캠(10)과 외축부(50)가 상호 교합될 때, 외축캠(10)의 함몰된 타측 양쪽표면(14, 16)에 해당하는 부위의 두께에 소정 공차를 더한 값으로 제한된다.
결국, 외축캠(10)의 함몰된 타측 양쪽표면(14, 16) 부위가 상기 공극을 통해서 삽입될 때, 외축부(50)의 날개(54, 56)가 외축캠(10)의 함몰된 타측 양쪽표면(14, 16)을 감싸는 위치에 배치되며, 외축부(50)에 결합된 카트리지홀더(30)가 외축캠(10)의 중공으로 삽입되어 상호 교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날개(54, 56)의 내표면에는 상기 외축캠(10)의 걸림돌기(12)와 일치하는 곳에서 축방향으로 따라 미리 정해진 제2스트로크 이송 거리만큼 연장된 가이드 슬릿(52)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가이드슬릿(52)의 양쪽에는 상기 걸림돌기(12)의 슬라이딩 후 탈착되어 정지력을 발생시키는, 즉 정지턱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정지턱(55, 5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정지턱(55, 57)은 상사점 정지턱(57)과 하사점 정지턱(55)으로 이루어진다. 하사점 정지턱(55)은 제2스트로크 이송 거리만큼 축길이가 축소되었을 때 걸림돌기(12)와 만나는 곳에 위치하며, 상사점 정지턱(57)은 외축캠(10)과 외축부(50)가 제2스트로크 이송 거리만큼 축길이가 신장되었을 때 걸림돌기(12)와 만나는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통해 결합관계를 정리하면, 조립 작업자는 팁(28)이 바깥쪽에 위치하게 펜심(20)을 카트리지홀더(30)에 삽입한 후, 펜심(20)의 삽입된 끝단을 카트리지홀더(30)의 펜심 고정부위(36)의 내부에 고정시킨다.
이후, 조립 작업자는 카트리지홀더(30)를 외축캠(10)의 중공(19)을 통해 삽입한 후, 제1스크루(31)가 제1스크루홈(11)에 나사선의 끝에서 정지할 때까지 나사 회전시켜 결합한다.
한편, 조립 작업자는 내축캠(40)의 고정부위(41)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이를 외축부(50)의 헤드부위(51) 내측에 위치한 안착구멍(59)에 삽착 및 고정시킨다.
이런 상태에서, 조립 작업자는 외축부(50)의 날개(54, 56)를 외축캠(10)의 함몰된 타측 양쪽표면(14, 16)에 교합시켜 축방향으로 삽입시킨다. 이런 경우,
① 함몰된 타측 양쪽표면(14, 16)의 걸림돌기(12)는 날개(54, 56)의 내표면 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슬릿(52)에 삽입됨과 함께 상사점 정지턱(57)에 의해 탄발력을 이용하여 탄착 및 정지되고,
② 내축캠(40)의 축부(42)는 외축캠(10)의 중공(19)에 삽입되고,
③ 카트리지홀더(30)의 제2스크루(35)는 내축캠(40)의 제2스크루홈(45)에 나사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본 발명의 조출식 신축 필기구는 도 5b와 같은 상태로 되어 신축된 상태이다.
사용자는 외축캠(10)과 외축부(50)를 두 손의 손가락으로 각각 잡고 축길이를 축소시키는 쪽으로 가압하거나, 또는 외축부(50)를 지면에 놓고 한 손의 손가락으로 외축캠(10)을 잡은 상태에서 지면쪽으로 가압을 하여 축소 작동을 시작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외축캠(10)의 함몰된 타측 양쪽표면(14, 16)이 외축부(50)의 날개(54, 56)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상기 가압에 따른 힘에 의해 걸림돌기(12)가 상사점 정지턱(57)을 넘어 가이드슬릿(52)을 따라 직선 이동하여 축길이 축소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
이런 축길이 축소 직선 이동은 제2스크루(35)와 제2스크루홈(45)의 나사 결합 관계에 의해 카트리지홀더(4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런 카트리지홀더(40)의 회전은 제1스크루(31)로 하여금 외축캠(10)의 제1스크루홈(11)을 따라 나사 운동을 하게 하고, 결과적으로 제1스트로크 이송 거리만큼 이송함에 펜심(20)의 팁(28)을 외축캠(10)의 내부로 몰입시켜 도 5a와 같은 상 태가 된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외축캠(10)과 외축부(50)를 두 손의 손가락으로 각각 잡고 축길이를 신장시키는 쪽으로 잡아당기는 경우, 축길이 신장 직선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런 축길이 신장 직선 이동은 제2스크루(35)와 제2스크루홈(45)의 나사 결합 관계에 의해 카트리지홀더(4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런 카트리지홀더(40)의 반대방향의 회전은 제1스크루(31)로 하여금 외축캠(10)의 제1스크루홈(11)을 따라 반대방향으로 나사 운동을 하게 하고, 결과적으로 제1스트로크 이송 거리만큼 반대방향으로 이송함에 펜심(20)의 팁(28)을 외축캠(10)의 외부로 돌출시켜 다시 도 5b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조출식 신축 필기구는 축길이 신축과 동시에 펜심의 출몰을 가져오는 이중 스크루 방식의 신축/출몰 메커니즘에 의해서 콤팩트한 사이즈와 유선형 디자인을 갖고 있어서 수요자의 미감을 자극하여 수요증대에 현실적으로 기여할 수 있고, 팬시, 캐릭터, 액세서리의 용도와 필기 용도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출식 신축 필기구는 외축캠, 펜심, 카트리지홀더, 내축캠, 외축부로 이루어져 있어서, 생산성과 조립성이 양호하고 잔 고장이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출식 신축 필기구는 날개를 함몰된 표면의 안쪽에 교합시킴에 따라 상호 균형감 있는 제품으로 양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출식 신축 필기구는 핸드폰 줄, 고리 등과 같은 홀딩 수단을 장착할 수 있는 장착구를 형성하고 있는 유선형 몸체로서, 양쪽 끝단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줄어드는 비율에 대응하게 중간부위가 완만하게 원주 전체에 걸쳐 팽출된 형상을 갖고 있어 그립감이 양호하고, 소지,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조출식 신축 필기구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10)

  1. 펜심(20)을 구비한 조출식 신축 필기구에 있어서,
    제1스크루홈(11)이 내주연에 형성된 외축캠(10)과;
    상기 제1스크루홈(11)에 대응하여 나사 결합되는 제1스크루(31)를 일측에 형성하고, 제2스크루(35)를 타측에 형성한 카트리지홀더(30)와;
    상기 카트리지홀더(30)를 축심에 일치시켜 상기 제2스크루(35)에 대응하여 나사 결합되도록 제2스크루홈(45)을 내주연에 형성한 내축캠(40)과;
    상기 내축캠(40)의 고정부위(41)를 축심에 일치시켜 헤드부위(51)의 안착구멍(59)에 고정하되, 복수개의 날개(54, 56)를 상기 헤드부위(51)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연장한 외축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외축캠(10)과 상기 외축부(50)에 왕복 직선 이동에 따른 축길이의 신장 또는 축소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홀더(30)에 결합된 상기 펜심(20)의 팁(28)이 상기 외축캠(10)의 팁 구멍(18)을 통해 출몰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출식 신축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축캠(10)은 상기 날개(54, 56)와의 교합을 위해, 일측 양쪽표면이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있고, 타측 양쪽표면(14, 16)이 원형 내경에 대응한 원주면으로 팽출되어 있고, 상기 타측 양쪽표면(14, 16)에 상기 외축부(50)의 날개(54, 56)를 미끄럼 작동 가능하게 교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출식 신축 필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축캠(10)과 외축부(50)가 교합된 상태의 레이아웃은, 유선형 몸체 형상으로서 양쪽 끝단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줄어드는 각진 모서리와 팽출된 표면을 갖는 사각형과, 원형과, 직각 사각형 및 삼각형 및 육각형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중공 단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출식 신축 필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축캠(10)의 외부에는, 상기 외축부(50)의 날개(54, 56)의 내표면에 형성된 가이드슬릿(52)에서 미끄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출식 신축 필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슬릿(52)에는, 상기 외축캠(10)과 상기 외축부(50)가 제2스트로크 이송 거리(b)만큼 축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되었을 때 착탈되는 상기 걸림돌기 (12)를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사점 정지턱(55)과 상사점 정지턱(5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출식 신축 필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축캠(10)과 상기 외축부(50)의 교합 상태에서, 상기 제1스크루(31)가 상기 제1스크루홈(11)에 그리고 상기 제2스크루(35)가 상기 제2스크루홈(45)에 각각 이중으로 나사 대우 관계로 결합되어서, 상기 내축캠(40)과 상기 외축부(50)의 신축에 대응하여 상기 펜심(20)의 팁(28)을 팁 구멍(18)에서 출몰시키는 이중 스크루 방식의 신축/출몰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출식 신축 필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홀더(30)는 동일 회전수에도 불구하고 짧은 스트로크 이송 거리(a)로 이송되도록 상기 제1스크루(31)의 나사열 간격을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한 반면, 상기 외축캠(10)과 외축부(50)의 신축에 대응한 긴 스트로크 이송 거리(b)를 위해 제2스크루(35)의 나사열 간격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출식 신축 필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축캠(40)과 외축부(50)는 고정부위(41)와 헤드부위(51)의 합체 유무에 따라 분리형 또는 일체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출식 신축 필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위(41)에는 상기 헤드부위(51)의 안착구멍(59)의 복수개의 고정홈(53)에 고정되도록, 복수개의 비틀림 방지턱(4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출식 신축 필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축부(50)는 헤드부위(51)에 홀딩 수단(1)을 장착할 수 있는 장착구(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출식 신축 필기구.
KR1020050004048A 2005-01-17 2005-01-17 조출식 신축 필기구 KR100676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048A KR100676741B1 (ko) 2005-01-17 2005-01-17 조출식 신축 필기구
EP05821852A EP1838537B1 (en) 2005-01-17 2005-12-16 Screw-type writing instrument having expansion and contraction function
CNB2005800107116A CN100506564C (zh) 2005-01-17 2005-12-16 具有延伸和收缩功能的螺纹式书写工具
PCT/KR2005/004358 WO2006075846A1 (en) 2005-01-17 2005-12-16 Screw-type writing instrument having expansion and contraction function
AT05821852T ATE527123T1 (de) 2005-01-17 2005-12-16 Schreibgerät der schraubart mit expansions- und kontraktionsfunktion
JP2007551188A JP4601674B2 (ja) 2005-01-17 2005-12-16 操出式伸縮筆記具
US11/814,165 US7726894B2 (en) 2005-01-17 2005-12-16 Screw-type writing instrument having expansion and contrac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048A KR100676741B1 (ko) 2005-01-17 2005-01-17 조출식 신축 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469A true KR20060083469A (ko) 2006-07-21
KR100676741B1 KR100676741B1 (ko) 2007-01-31

Family

ID=36677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048A KR100676741B1 (ko) 2005-01-17 2005-01-17 조출식 신축 필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26894B2 (ko)
EP (1) EP1838537B1 (ko)
JP (1) JP4601674B2 (ko)
KR (1) KR100676741B1 (ko)
CN (1) CN100506564C (ko)
AT (1) ATE527123T1 (ko)
WO (1) WO20060758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850B1 (ko) * 2008-12-15 2009-07-29 주식회사 제이아이테크 컴팩트 필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36283A1 (en) * 2007-11-28 2009-05-28 Jay Alexander Diamond Writing instrument for hand-held devices
GB2467775A (en) * 2009-02-13 2010-08-18 Richard Colin Thomas Allan Writing instrument
DE202009007040U1 (de) * 2009-05-15 2010-10-14 Stabilo International Gmbh Auftraggerätebund und Auftraggerät geeignet hierfür
CN102053730A (zh) * 2009-10-28 2011-05-1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触控笔
CN102147668B (zh) * 2010-02-08 2014-12-10 南通奥普机械工程有限公司 触控笔
US8480323B2 (en) 2010-04-30 2013-07-09 A.T.X. International, Inc. Expandable writing instrument
CN201725288U (zh) * 2010-05-27 2011-01-2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触控笔
KR101992192B1 (ko) * 2012-11-02 201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TWI556139B (zh) * 2014-01-17 2016-11-01 Egalax Empia Technology Inc Active stylus with switching function
JP7146393B2 (ja) 2017-12-28 2022-10-04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筆記具
KR20210094200A (ko) * 2020-01-20 2021-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펜
EP4249283A1 (en) * 2022-03-23 2023-09-27 BIC Violex Single Member S.A. A writing instrument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892A (en) * 1906-12-27 1908-09-08 Robert A Hamilton Fountain-pen.
US2952242A (en) * 1958-08-21 1960-09-13 Rosso Mario Fountain pens
US3597100A (en) * 1970-04-20 1971-08-03 K C Pen Co Inc Writing implement
JPS61202894A (ja) * 1985-03-05 1986-09-08 シヤチハタ工業株式会社 伸縮式ボ−ルペン
EP0402558A1 (en) * 1989-06-15 1990-12-19 Giuliana Mongardi Extensible body ball pen
JPH08164699A (ja) * 1994-12-13 1996-06-25 Mitsubishi Pencil Co Ltd 伸縮式筆記具
US6022161A (en) * 1998-06-29 2000-02-08 Choi; Man Soo Variable-length applicator
KR19980065134A (ko) * 1998-06-29 1998-10-07 최만수 길이 가변식 펜슬
US6497524B1 (en) * 1999-10-25 2002-12-24 Joung Chul Kim Hand-held multipurpose casing with structure for reversibly extending functional tipped device
US6273627B1 (en) * 2000-10-16 2001-08-14 A.T.X. International, Inc. Expandable writing instrument
CN1364700A (zh) * 2001-01-09 2002-08-21 A.T.X.国际公司 伸缩式书写器具
KR20030019671A (ko) * 2001-08-29 2003-03-07 김성림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
JP3950441B2 (ja) * 2003-10-06 2007-08-01 加藤金属工業株式会社 伸縮ボールペン
JP3835695B2 (ja) * 2004-02-12 2006-10-18 加藤金属工業株式会社 繰り出し式印鑑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850B1 (ko) * 2008-12-15 2009-07-29 주식회사 제이아이테크 컴팩트 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27123T1 (de) 2011-10-15
JP4601674B2 (ja) 2010-12-22
EP1838537A4 (en) 2009-11-25
EP1838537A1 (en) 2007-10-03
JP2008526571A (ja) 2008-07-24
EP1838537B1 (en) 2011-10-05
CN1938167A (zh) 2007-03-28
US7726894B2 (en) 2010-06-01
US20080131189A1 (en) 2008-06-05
CN100506564C (zh) 2009-07-01
WO2006075846A1 (en) 2006-07-20
KR100676741B1 (ko)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741B1 (ko) 조출식 신축 필기구
US7452149B2 (en) Rotating retractable writing instrument
US9366326B2 (en) Device with a rotation effect
US5186562A (en) Elongate handwriting implement with rotatable decoration on rear end
CN210363090U (zh) 手持伸缩笔
JP2023054261A (ja) ペン型コンパス
KR102091564B1 (ko) 커터날을 포함하는 출몰식 필기구
CN213649197U (zh) 一种新型的中性笔笔壳
WO2007027047A1 (en) Makeup brush case equipped with open and shut member for in and out hole
KR200356696Y1 (ko) 전방녹크식 볼펜
CN210283693U (zh) 一种具有自动密封装置的揿动书写工具
CN110303800B (zh) 一种可换笔芯的压缩笔
CN221059842U (zh) 一种使用便捷的眉笔
KR102067015B1 (ko) 펜슬형 화장 도구
CN207285546U (zh) 一种四合一眉笔
KR20110002480U (ko) 펜심 출몰장치를 구비한 필기구
CN209920841U (zh) 一种可伸缩的双头笔
CN213441774U (zh) 一种侧按式伸缩笔
WO2023108592A1 (zh) 具有多节式芯体的自动记号工具
KR20190128324A (ko) 노크식 펜
CN220655004U (zh) 一种带毛刷的彩妆膏体
CN218527989U (zh) 一种防分离的弹跳式口红
CN213441767U (zh) 一种旋转笔
JP5256651B2 (ja) 連結構造
CN215776143U (zh) 一种按压隐藏式化妆品包装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