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2345A - 각막과의 밀착을 방지하기 위한 양압 발생 기능을 갖는콘택트 렌즈 - Google Patents

각막과의 밀착을 방지하기 위한 양압 발생 기능을 갖는콘택트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2345A
KR20060082345A KR1020050003019A KR20050003019A KR20060082345A KR 20060082345 A KR20060082345 A KR 20060082345A KR 1020050003019 A KR1020050003019 A KR 1020050003019A KR 20050003019 A KR20050003019 A KR 20050003019A KR 20060082345 A KR20060082345 A KR 20060082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positive pressure
cornea
lens
t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환
Original Assignee
김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환 filed Critical 김석환
Priority to KR1020050003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2345A/ko
Publication of KR20060082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3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7Contact lens fitting; Contact lenses for orthokeratology; Contact lenses for specially shaped corneae

Abstract

본 발명은 각막과의 밀착을 방지하기 위한 양압 발생 기능을 갖는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 음압이 높아짐으로 인한 상기 콘택트 렌즈와 각막의 밀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콘택트 렌즈의 끝단부(Edge)에 양압 발생부를 구비하여 양압 발생을 위한 눈물층을 형성시키되, 상기 양압 발생부는 홀(Hole)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양압 발생부 주위에 상기 양압 발생을 위한 양압 발생 눈물층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택트 렌즈의 모양을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렌즈 밀착 현상으로 인한 각막의 산소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콘택트 렌즈의 직경에 관계없이 눈물 순환 과정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므로 직경의 제한을 받지 않는 착용감이 좋은 콘택트 렌즈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양압 발생부, 눈물 저장부, 각막, 콘택트 렌즈, 눈물 순환

Description

각막과의 밀착을 방지하기 위한 양압 발생 기능을 갖는 콘택트 렌즈{Contact Lens Having Function of Producing Positive Pressure for Preventing Lens Bind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막과의 밀착 방지를 위한 양압 발생부를 구비한 콘택트 렌즈를 설명하기 위해 각막에 산소가 공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렌즈 밀착 현상으로 인한 각막에 산소가 부족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제시되고 있는 해결 방안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각막과의 밀착 방지를 위한 양압 발생부를 구비한 콘택트 렌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각막과의 밀착 방지를 위한 양압 발생부를 구비한 콘택트 렌즈의 형상인 비구면 굴절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각막과의 밀착 방지를 위한 양압 발생부를 구비한 콘택트 렌즈를 설명하기 위해 직경이 큰 콘택트 렌즈를 착용한 상태를 보여 주는 예시 도면,
도 6은 종래의 콘택트 렌즈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의 차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비교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각막과의 밀착 방지를 위한 눈물 저장부를 구비한 콘택트 렌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및 종래의 콘택트 렌즈와 차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2 : 콘택트 렌즈 주변부 204 : 무게 중심
300, 504 : 콘택트 렌즈 302 : 양압 발생부
304 : 각막 502 : 상/하 눈꺼풀
602 : 음압 발생 눈물층 604 : 양압 발생 눈물층
702 : 눈물 저장부 706 : 두꺼운 눈물층
708 : 마일드(MILD)한 눈물층
본 발명은 각막과의 밀착을 방지하기 위한 양압 발생 기능을 갖는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콘택트 렌즈와 각막 사이에 원활한 눈물 순환이 되도록 함으로써 각막에 산소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콘택트 렌즈의 끝단부(Edge)에 항상 눈물이 고여 있게 하는 양압 발생부를 구비한 콘택트 렌즈 및 콘택트 렌즈의 광학부(Optical Zone)와 베벨(Bevel) 사이의 영역에 마일드한 눈물층을 생성하는 눈물 저장부를 성형하여 눈물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든 조직은 산소를 필요로 하며 눈의 각막도 공기의 접촉으로 산소를 공급받아야 한다. 따라서 잘못된 콘택트 렌즈를 착용하게 되면, 인체의 각막이 콘택트 렌즈로 인해 직접적인 산소 공급이 차단되고 단지 콘택트 렌즈 속에 녹아 있는 수분에서 간접적으로 산소를 공급받기 때문에 만성적인 산소 결핍을 초래하고, 이로 인해 잦은 충혈, 통증, 각막 건조, 각막 지각 감퇴 및 각막 부종 등이 생길 수 있으며, 심한 경우 각막염, 각막 궤양과 같은 치명적인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콘택트 렌즈의 착용 원리는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콘택트 렌즈가 안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방식에 의하고 있다. 즉, 각막과 콘택트 렌즈 사이에 접해 있는 눈물을 포함하는 액체 등이 그 표면을 작게 하려는 성질을 이용한다. 이 경우 액체와 콘택트 렌즈 사이의 간격이 좁을 수록 또는 액체의 표면적이 클수록 또는 큰 콘택트 렌즈일수록 표면장력은 강하게 되어 콘택트 렌즈는 각막에 잘 밀착된다.
따라서 크기가 작은 콘택트 렌즈를 사용할 경우 표면적이 작아지므로 표면장력이 약해지면서 안구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또한 약해진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각막과 콘택트 렌즈사이에 눈물이 침투하여 산소를 공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콘택트 렌즈를 착용할 경우 각막에 산소가 공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콘택트 렌즈의 눈물과 산소는 렌즈의 움직임에 따라 공급량이 결정되는 것으로 윗 눈꺼풀의 깜박임에 따라 콘택트 렌즈가 각막 센터에서 각막 상부로 약 1 mm ~ 1.5 mm 정도 올라갔다가 다시 서서히 센터 측으로 움직이면서 눈물 순환을 유도하는 방식에 의한다. 즉, 도 1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눈을 감았을 때 콘택트 렌즈는 눈꺼풀에 의해 덮힘과 동시에 눈물에 의해 완전히 잠기며, 이때 콘택트 렌즈가 각막 센터에서 각막 상부로 미세하게 이동하고 각막과 콘택트 렌즈 사이의 공간으로 눈물이 유입된다. 이는 보통의 각막이 완전한 구면이 아니고 중심부보다 주변부 커브가 크기 때문에 각막과 콘택트 렌즈 사이에 미세한 공간이 생기는 원리에 의한 것이다.
또한, 도 1B와 같이 콘택트 렌즈 착용자가 눈을 떴을 때는 도 1A의 과정에서 유입된 눈물에 의해 각막과 콘택트 렌즈 사이의 표면 장력이 약해짐과 동시에 센터 측으로 돌아가려는 콘택트 렌즈의 움직임이 일어나고 다시 새로운 눈물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는 동작이 반복된다
즉, 눈 깜빡임과 동시에 콘택트 렌즈의 상하 움직임이 일어나고 이러한 콘택트 렌즈의 상하 움직임은 각막에 눈물을 순환시키도록 돕는 눈물 순환 과정이 반복되면서 각막에 눈물과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도 1C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건강한 각막 유지를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눈물 순환 과정을 통해 각막에 끊임없이 눈물이 유입되면서 산소 공급이 이루어져야만 함에도 불구하고 눈을 깜박이는 순간에 눈꺼풀이 각막을 누르는 압력으로 인해 도 1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택트 렌즈와 각막 사이의 눈물 층이 얇아져서 렌즈의 밀착(Lens Binding)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렌즈의 밀착 현상은 각막과 콘택트 렌즈 사이의 표면 장력을 강하게 하여 콘택트 렌즈 의 움직임을 없게 하고 따라서, 앞서 설명한 눈물 순환 과정을 방해하므로 눈물의 불충분한 공급으로 인해 각막 부위에 산소 부족으로 인한 여러가지 부작용을 초래하게 된다.
도 2는 렌즈 밀착 현상으로 인한 각막에 산소가 부족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제시되고 있는 해결 방안이다.
현재 나와 있는 기술을 이용하여 렌즈 밀착 현상으로 인한 각막의 산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는 도 2A와 같이 콘택트 렌즈의 크기를 작게 하거나 즉, 각막과 콘택트 렌즈 사이에 존재하는 눈물 층의 표면적을 작게 하여 표면 장력을 약화시킴으로서 각막과 콘택트 렌즈 사이의 눈물 침투를 용이하게 하거나, 도 2B와 같이 콘택트 렌즈 주변부(202)를 디자인하거나, 즉 콘택트 렌즈 주변부(202)의 커브를 변형시킴으로서 각막과 콘택트 렌즈 사이의 눈물 유입구 부분을 넓게 하여 눈물 침투를 용이하게 하거나, 도 2C와 같이 콘택트 렌즈를 두껍게 하는 방법으로 콘택트 렌즈의 무게 중심(204)이 각막과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눈물 침투를 용이하게 하는 방안이 있다.
그러나 콘택트 렌즈의 크기를 작게 하거나, 콘택트 렌즈의 모양을 변형시키는 방안 등은 표면 장력을 약화시킴으로써 눈물 침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반면에 착용감이 나쁘다는 문제, 콘택트 렌즈가 이탈되는 문제 및 각막이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콘택트 렌즈의 크기 및 콘택트 렌즈의 모양을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렌즈 밀착 현상으로 인한 산소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콘택트 렌즈가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의 끝단부에 항상 눈물이 고여있게 하는 양압 발생부를 구비하도록 하여 콘택트 렌즈와 각막사이에 원활한 눈물 순환이 되도록 함으로써 각막에 산소 공급을 하는 콘택트 렌즈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콘택트 렌즈의 광학부(Optical Zone)와 베벨(Bevel) 사이의 영역에 마일드한 눈물층을 생성하는 눈물 저장부를 성형하여 눈물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콘택트 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 음압이 높아짐으로 인한 콘택트 렌즈와 각막의 밀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콘택트 렌즈의 끝단부(Edge)에 양압 발생부를 구비하여 양압 발생을 위한 눈물층을 형성시키되, 상기 양압 발생부는 홀(Hole)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압 발생부 주위에 양압 발생을 위한 양압 발생 눈물층을 발생시키는 콘택트 렌즈를 제공한다.
또한,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 음압이 높아짐으로 인한 콘택트 렌즈와 각막의 밀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콘택트 렌즈의 광학부(Optical Zone)와 베벨(Bevel) 사이의 영역에 마일드한 눈물층을 생성하는 눈물 저장부를 성형하되, 전술한 눈물 저장부는 폭이 0.2 mm 내지 0.8 mm이고 수학식
Figure 112005001807409-PAT00001
에 의하는 굴절면 형상이며, 전술한 수학식에서의 K는 각막 커브의 비구면 계수, A, A8, A10, A12 및 A14는 각각 SAG6, SAG8, SAG10, SAG12 및 SAG14의 비구면 계수, SAG는 각막 커브의 각각의 굴절면 영역을 나타내는 단위, H는 각막 커브의 각각의 굴절면 영역의 직경(diameter), R1은 콘택트 렌즈의 반경 크기인 콘택트 렌즈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각막과의 밀착 방지를 위한 양압 발생부를 구비한 콘택트 렌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300)는 비구면이므로 각막(304) 커브와 자연스러운 조화를 이루어 각막의 압박이 거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비구면이란 중심부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점점 편평해지는 곡률을 가진 곡선을 말하며, 사람의 안구는 비구면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구면의 형태를 가진 콘택트 렌즈는 각막과 렌즈가 접촉하는 부위에 심한 압박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300)는 비구면 형상으로 성형하여 각막(304)과 평행한 형태를 이루므로 각막 면에 압력을 골고루 분산시키 는 방식을 통해 각막이 느끼는 압박감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300)의 비구면 굴절면은 다음 수학식 1에 의하도록 하며, 도 4를 참고로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Figure 112005001807409-PAT00002
여기서, K= -e2 e= 0.4~ 0.8
수학식 1에서 K는 각막 커브의 비구면 계수이고, A, A8, A10, A12 및 A14는 각각 SAG6, SAG8, SAG10, SAG12 및 SAG14의 비구면 계수로서, 각막 커브의 비구면 계수(K)에 따라 굴절면의 형태가 결정된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SAG는 각막 커브의 각각의 굴절면 영역을 나타내는 단위이고, H는 각막 커브의 각각의 굴절면 영역의 직경(diameter)이다. 그리고 R1은 콘택트 렌즈의 반경 크기를 의미하고, e는 K값의 또 다른 표현으로서 각막 커브의 편평한 정도를 나타내는 편심률을 의미한다. 한국인의 경우 대다수의 각막 커브는 원형이 아니고 비구면이고 편심률 e는 대개 e= 0.4~ 0.8 범위 내에 분포한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300)는 수학식 1을 사용하여 비구면 굴절면의 형태를 결정하도록 하며, 이러한 비구면 굴절면 형상을 통해 비구면인 각막(304)과 평행한 형태를 이루므로 각막 면에 압력을 골고루 분산시키는 방 식을 통해 각막이 느끼는 압박감을 최소화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300)는 렌즈의 끝 부분(Edge)에 양압 발생부(302)를 구비하여 어떠한 외부적 조건 변화에도 관계없이 항상 눈물 순환 과정이 이루어져 지속적으로 각막(304)에 산소 공급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종래의 콘택트 렌즈는 렌즈 밀착(Lens Binding) 현상 등의 외부의 물리적 조건이 변함으로 인해 음압이 높아지면, 렌즈의 움직임이 없어서 눈물 순환 과정이 단절되고 결국 각막의 산소 결핍을 초래할 수밖에 없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300)는 폭이 0.02 mm 내지 0.3 mm인 홀 모양의 양압 발생부(302)를 구비하여 외부의 물리적 조건 변화에 따른 음압 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눈물 순환을 위한 양압을 발생시키므로 어떠한 상황에서도 눈물 순환을 위한 움직임(Movement)이 잘 일어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양압 발생부(302)는 콘택트 렌즈의 끝단(Edge)에 위치하며 폭이 0.02 mm 내지 0.3 mm, 표면 곡률(반지름 : r)이 15.0 mm 내지 20.0 mm인 홀 모양의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양압 발생부(302)를 제작해본 결과 콘택트 렌즈의 끝단에는 도 6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양압을 발생시키는 눈물층이 항상 발생하므로, 종래의 문제점인 음압이 높아짐으로 인해 콘택트 렌즈의 움직임(Movement)이 없어지는 현상을 완벽하게 제거하고 콘택트 렌즈의 움직임이 이상적으로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베벨(Bevel)의 Edge Lift를 너무 크게 하면 전술한 양압 발생부(302)에도 불구하고 다시 도 6A와 같은 음압을 발생시키는 눈물층이 형성되므로 Edge Lift를 0.08 mm 이하가 되도록 콘택트 렌즈(300)를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Edge Lift를 0.08 mm 이하가 되도록 콘택트 렌즈(300)를 성형할 경우 콘택트 렌즈가 상하 눈꺼풀에 걸리는 불편함이 줄어들고 각막과 공막에 Edge가 직접 닿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양압 발생부(302)는 앞서 종래 문제점으로 지적했던 눈을 깜박이는 순간에 눈꺼풀이 각막을 누르는 압력으로 인해 도 1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택트 렌즈와 각막 사이의 눈물 층이 얇아져서 렌즈의 밀착(Lens Binding)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택트 렌즈의 직경을 크게 하면 할 수록 착용감이 좋음에도 불구하고 각막과 콘택트 렌즈의 접촉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표면장력이 너무 강해지는 이유로, 즉 음압이 커지면서 콘택트 렌즈의 움직임이 없어지는 이유로 콘택트 렌즈의 크기를 제한할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콘택트 렌즈의 직경을 크게 하면 할 수록 착용감이 좋은 이유는 콘택트 렌즈의 크기가 직경 9.3 mm 이상일 경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 눈꺼풀(502)이 항상 콘택트 렌즈(504)를 덮고 있어서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기 때문이며, 콘택트 렌즈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이러한 착용감은 훨씬 좋게 느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콘택트 렌즈(504)의 크기를 크게 하면 표면 장력이 커지고(즉, 음압이 높아지고), 앞서 설명한 콘택트 렌즈의 움직임이 없어지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콘택트 렌즈의 크기를 제한할 수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양압 발생 부(302)에 의해 콘택트 렌즈의 크기로 인한 콘택트 렌즈의 움직임(Movement)이 없어지는 현상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실제로 제작을 해 본 결과 콘택트 렌즈의 크기와 관계없이 양압 발생부가 만드는 양압에 의해 콘택트 렌즈의 움직임이 이상적으로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양압 발생부(302)는 하드 렌즈 뿐만 아니라 소프트 렌즈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렌즈가 사용되는 분야에서 렌즈의 밀착 현상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해결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종래의 콘택트 렌즈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의 차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비교 도면이다.
도 6A는 일반 콘택트 렌즈로서 각막과 콘택트 렌즈 사이에 알맞은 음압을 유지하여서 콘택트 렌즈가 각막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음압 발생 눈물층(602)을 형성하는 상태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이때 음압이 너무 높아지면 콘택트 렌즈의 움직임이 없어서 눈물 순환 과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각막의 산소 결핍 현상을 초래하게 된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양압 발생부를 구비한 콘택트 렌즈를 사용할 경우 양압이 발생하도록 하는 양압 발생 눈물층(604)이 양압 발생부(302)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양압 발생부(302)는 콘택트 렌즈 압박 등의 외부의 물리적 조건 변화에 따른 음압 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눈물 순환을 위한 양압 발생 눈물층(604)을 생성시키므로 어떠한 상황에서도 눈물 순환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각막 의 산소 결핍으로 인한 여러가지 부작용을 해소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각막과의 밀착 방지를 위한 눈물 저장부를 구비한 콘택트 렌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300)는 전술한 수학식 1을 사용한 굴절면 형상을 이루며 또한 양압 발생을 위해 마일드(mild)한 눈물층(708)을 항상 형성시키는 기능을 갖는 눈물 저장부(702)를 구비하고 있다.
눈물 저장부(702)는 광학부(Optical Zone)와 베벨(Bevel) 사이의 영역에 전술한 수학식 1을 사용하여 형성시킨 굴절면으로서, 이 경우 폭을 0.2 mm 내지 0.8 mm로 하여 눈물 저장부를 성형할 수 있다.
이러한 눈물 저장부는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압을 발생시키는 마일드한 눈물층(708)을 항상 형성시키므로, 앞서 설명하였던 음압이 높아짐으로 인한 콘택트 렌즈의 밀착 문제와 이로 인해 발생하는 각막에 산소가 차단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콘택트 렌즈(704)는 눈물 저장부를 따로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콘택트 렌즈의 눈물 유입구에 두꺼운 눈물층(706) 만을 형성시킬 수 있었으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는 눈물 저장부(702)에 의한 마일드한 눈물층(708)을 콘택트 렌즈와 각막과의 사이에 항상 형성시키는 방식으로 외부의 물리적 조건 변화에 따른 음압 변화에 관계없이(즉, 외부 압력이나 콘택트 렌즈의 직경을 크게함으로써 생기는 음압 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눈물 순환을 위한 양압을 발생시키므로 어떠한 상황에서도 눈물 순환을 위한 움직임(Movement)이 잘 일어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또한, 이러한 제 2 실시예의 경우에도 각막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서 눈물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눈물층을 형성한다는 점, 이를 위해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학식 1을 사용한 굴절면 형상의 커브를 성형한다는 점에서, 앞서에서 설명했던 제 1 실시예와 상호 관련성있는 기술적 사상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콘택트 렌즈의 모양을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렌즈 밀착 현상으로 인한 각막의 산소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콘택트 렌즈의 직경에 관계없이 눈물 순환 과정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므로 직경의 제한을 받지 않는 착용감이 좋은 콘택트 렌즈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
    음압이 높아짐으로 인한 상기 콘택트 렌즈와 각막의 밀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콘택트 렌즈의 끝단부(Edge)에 양압 발생부를 구비하여 양압 발생을 위한 눈물층을 형성시키되, 상기 양압 발생부는 홀(Hole)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양압 발생부 주위에 상기 양압 발생을 위한 양압 발생 눈물층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압 발생부에서, 상기 홀 형상은,
    폭이 0.02 mm ~ 0.3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압 발생부에서, 상기 홀 형상은,
    표면 곡률(반지름 : r)이 15.0 mm ~ 20.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렌즈는,
    비구면 형상으로 성형하여 상기 각막과 평행한 형태를 이루며, 상기 비구면 형상으로의 성형을 위한 비구면 굴절면은 수학식
    Figure 112005001807409-PAT00003
    에 의하되, 상기 수학식에서의 상기 K는 각막 커브의 비구면 계수, 상기 A, A8, A10, A12 및 A14는 각각 SAG6, SAG8, SAG10, SAG12 및 SAG14의 비구면 계수이고, 상기 SAG는 각막 커브의 각각의 굴절면 영역을 나타내는 단위, 상기 H는 각막 커브의 각각의 굴절면 영역의 직경(diameter)이며, 상기 R1은 상기 콘택트 렌즈의 반경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5.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
    음압이 높아짐으로 인한 상기 콘택트 렌즈와 각막의 밀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콘택트 렌즈의 광학부(Optical Zone)와 베벨(Bevel) 사이의 영역에 마일드한 눈물층을 생성하는 눈물 저장부를 성형하되, 상기 눈물 저장부는 폭이 0.2 mm 내지 0.8 mm이고, 수학식
    Figure 112005001807409-PAT00004
    에 의하는 굴절면 형상이며, 상기 수학식에서의 상기 K는 각막 커브의 비구면 계수, 상기 A, A8, A10, A12 및 A14는 각각 SAG6, SAG8, SAG10, SAG12 및 SAG14의 비구면 계수, 상기 SAG는 각막 커브의 각각의 굴절면 영역을 나타내는 단위, 상기 H는 각막 커브의 각각의 굴절면 영역의 직경(diameter), 상기 R1은 상기 콘택트 렌즈의 반경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렌즈는,
    직경이 9.3 mm 이상인 콘택트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7.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렌즈는,
    하드 렌즈 또는 소프트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KR1020050003019A 2005-01-12 2005-01-12 각막과의 밀착을 방지하기 위한 양압 발생 기능을 갖는콘택트 렌즈 KR200600823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019A KR20060082345A (ko) 2005-01-12 2005-01-12 각막과의 밀착을 방지하기 위한 양압 발생 기능을 갖는콘택트 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019A KR20060082345A (ko) 2005-01-12 2005-01-12 각막과의 밀착을 방지하기 위한 양압 발생 기능을 갖는콘택트 렌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345A true KR20060082345A (ko) 2006-07-18

Family

ID=37173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019A KR20060082345A (ko) 2005-01-12 2005-01-12 각막과의 밀착을 방지하기 위한 양압 발생 기능을 갖는콘택트 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2345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698U (ja) * 1993-03-29 1995-09-05 株式会社レインボーオプチカル研究所 コンタクトレンズ
EP0683416A1 (en) * 1994-05-20 1995-11-22 Alvis E. Blackburn Corneal contact lens for controlled keratoreformation
KR970028646A (ko) * 1995-11-30 1997-06-24 이범진 새로운 형상의 콘택트 렌즈
KR0129569Y1 (ko) * 1995-03-29 1999-05-01 이범진 콘택트렌즈
JP2003102764A (ja) * 2001-10-01 2003-04-08 Universal Vision Kk 角膜補正レンズ
KR20040055763A (ko) * 2004-06-08 2004-06-26 주식회사시리스케이 렌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698U (ja) * 1993-03-29 1995-09-05 株式会社レインボーオプチカル研究所 コンタクトレンズ
EP0683416A1 (en) * 1994-05-20 1995-11-22 Alvis E. Blackburn Corneal contact lens for controlled keratoreformation
KR0129569Y1 (ko) * 1995-03-29 1999-05-01 이범진 콘택트렌즈
KR970028646A (ko) * 1995-11-30 1997-06-24 이범진 새로운 형상의 콘택트 렌즈
JP2003102764A (ja) * 2001-10-01 2003-04-08 Universal Vision Kk 角膜補正レンズ
KR20040055763A (ko) * 2004-06-08 2004-06-26 주식회사시리스케이 렌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3754C (en) Bifocal contact lens
AU2005238546A1 (en) A multifocal contact lens
CN117631322A (zh) 接触镜片
KR200477407Y1 (ko) 콘택트렌즈
JP6101633B2 (ja) 色付コンタクトレンズ
CN211293490U (zh) 角膜接触镜
CN211293489U (zh) 多焦点角膜接触镜
WO2005121874A1 (en) Tear groove hard contact lens
WO2006078089A1 (en) Orthokeratology contact lens with penetration hole
KR20050052442A (ko) 함수성 소프트렌즈
US8690320B2 (en) Contact lenses having hybrid orientation features
EP0683416A1 (en) Corneal contact lens for controlled keratoreformation
KR20060082345A (ko) 각막과의 밀착을 방지하기 위한 양압 발생 기능을 갖는콘택트 렌즈
US6074061A (en) Progressive focal lens for eyeglasses
JPWO2013002379A1 (ja) 眼鏡フレーム用のテンプ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107411A (ja) コンタクトレンズ
JP3587456B2 (ja) 角膜補正レンズ
JP6216214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
JP3899659B2 (ja) 累進多焦点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4167623A (zh) 一种角膜塑形镜及其设计方法
CN219891502U (zh) 离焦镜片及眼镜
CA1244687A (en) Contact lens
CN214098004U (zh) 具有象限特异性的角膜塑形镜
CN214098005U (zh) 角膜塑形镜
CN210573062U (zh) 一种硬性角膜接触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