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1785A - 전자제품용 버튼조립체 및 그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용 버튼조립체 및 그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1785A
KR20060081785A KR1020050002195A KR20050002195A KR20060081785A KR 20060081785 A KR20060081785 A KR 20060081785A KR 1020050002195 A KR1020050002195 A KR 1020050002195A KR 20050002195 A KR20050002195 A KR 20050002195A KR 20060081785 A KR20060081785 A KR 20060081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ubstrate
assembly
edg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2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1785A/ko
Publication of KR20060081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01K97/125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using electronic compon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품용 버튼조립체 및 그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버튼조립체는 적어도 표면이 금속재질로 되는 버튼(22)과, 상기 버튼(22)이 안착되는 버튼시트(26)가 구비되고 선단에 버튼시트(26)가 연결되게 탄성레그(32)가 형성되어 버튼(22)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버튼어레이(24)와, 상기 버튼시트(26)의 일측에 의해 눌러져 동작되는 스위치(46)가 구비되는 기판(44)과, 상기 기판(44)이 안착되는 안착부(56)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어레이(24)와 체결되며 전면플레이트(14)에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64)가 구비되는 기판커버(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튼어레이(24)의 버튼시트(26)에는 그 가장자리를 둘러 차폐벽(28)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시트(26)에 안착된 버튼(22)과 상기 기판(44)사이에서 정전기가 전달되는 것을 차폐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버튼조립체를 미리 조립한 상태로 전자제품의 메인조립라인에 제공할 수 있어 전자제품의 조립 작업성이 좋아지고, 버튼을 통해 내부로 정전기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높아지며, 부품의 조립이 보다 정확하면서도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버튼조립체를 다양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전자제품, 버튼, 정전기, 장착

Description

전자제품용 버튼조립체 및 그 설치구조{Button assembly for electronic appliances and mounting structure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버튼조립체 및 그 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휴대형 디지털 오디오기기용 도킹시스템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면플레이트를 보인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버튼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튼어레이에 버튼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도킹시스템 12: 케이스
12t: 탑케이스 12b: 바텀케이스
14: 전면플레이트 14f: 전면부
14r: 테두리 15: 체결보스
15': 가조립돌기 20: 버튼조립체
22: 버튼 24: 버튼어레이
26: 버튼시트 28: 차폐벽
30: 삽입채널 32: 탄성레그
36: 끼움돌기 42: 체결나사
44: 기판 46: 스위치
48: 광원 50: 커넥터
54: 기판커버 56: 안착부
58: 지지단차 60: 기판걸이후크
64: 체결부 66: 관통공
67: 가조립공
본 발명은 전자제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제품의 동작을 조작하는 다수개의 버튼을 구비하는 버튼조립체와 이를 전자제품 내부에 장착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다양한 전자제품이 출시되면서, 그 외관 디자인 또한 다양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외관 디자인의 다양화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해당 전자제품의 동작을 조작하는 버튼조립체 및 그 설치구조의 설계 또한 달라질 수 밖에 없다.
본 명세서에서는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휴대형 디지털 오디오기기, 예를 들면 엠피쓰리 플레이어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전자제품인 도킹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엠피쓰리 플레이어와 같은 휴대형 디지털 오디오기기는 반도체 메모리에 디지털 파일을 저장하므로, 상대적으로 그 크기는 작으나 많은 양의 디지털 파일을 저장할 수 있어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하기가 편리하다. 그리고, 사용자들은 휴대형 디지털 오디오기기를 휴대하여 사용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이어폰이나 헤드폰으로 재생되는 소리를 듣게 된다.
하지만, 휴대형 디지털 오디오기기는 그 음질이 상대적으로 좋기 때문에, 휴대하지 않고 실내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보다 좋은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생되는 소리를 들을 수 있기를 원하는 요청이 있어 왔다. 이를 위해 휴대형 디지털 오디오기기를 장착하여 기능 또는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는 도킹시스템에 대한 제품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도킹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버튼조립체의 구성 및 그 장착을 위한 구성은 전체 도킹시스템의 외관 설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제품의 동작을 위한 버튼조립체를 하나의 조립체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관을 미려하게 하면서도 정전기의 차폐가 용이한 버튼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품의 조립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버튼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위치에 장착이 가능한 버튼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어도 표면이 금속재질로 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이 안착되는 버튼시트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선단에 버튼시트가 연결되게 탄성레그가 형성되어 버튼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버튼어레이와, 상기 버튼시트의 일측에 의해 눌러져 동작되는 스위치가 구비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어레이와 체결되며 전면플레이트에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가 구비되는 기판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튼어레이의 버튼시트에는 그 가장자리를 둘러 차폐벽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시트에 안착된 버튼과 상기 기판사이에서 정전기가 전달되는 것을 차폐한다.
상기 버튼과 차폐벽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가이드와 삽입채널이 형성되어, 버튼이 상기 버튼시트에 안착되는 위치를 안내한다.
상기 버튼시트에는 상기 기판의 스위치를 직접 눌러주는 누름로드가 형성되고, 상기 차폐벽의 내측에는 버튼의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컬럼이 더 형성된다.
상기 기판커버의 안착부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기판커버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지지단차에 안착된 반대면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기판걸이후크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전면부와 이에 직교하게 후방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로 구성되며, 상기 테두리에 다수개의 버튼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의 연장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체결보스가 형성되는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버튼통공으로 노출되는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버튼에 의해 동작되는 스위치가 실장된 기판이 안착되는 기판커버에 상기 체결보스와 대응되게 관통공이 형성되는 체결부가 구비되는 버튼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전면플레이트의 상기 체결보스에 상기 테두리에 평행한 방향으로 체결나사가 체결된다.
상기 전면플레이트에는 상기 체결보스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가조립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기판커버의 체결부에는 상기 가조립돌기가 삽입되는 가조립공이 더 형성된다.
상기 버튼조립체의 버튼은 상기 버튼커버에 체결나사로 체결되는 버튼어레이 상에 형성된 버튼시트에 안착되는데, 상기 버튼시트에는 상기 버튼의 가장자리를 차폐하는 차폐벽이 형성되고, 상기 차폐벽에 의해 차폐된 중앙부분에는 상기 버튼의 내부에 위치되는 고정컬럼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컬럼이 형성된 반대방향에는 상기 기판에 실장된 스위치를 눌러주는 누름로드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시트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레그의 선단에 구비된다.
상기 기판커버에는 상기 기판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안착부의 내측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기판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기판커버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기판의 상면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기판 걸이후크가 구비된다.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전면부는 타원형상이고, 상기 테두리는 상기 전면부의 배면 가장자리에 직교하게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중 평평한 부분에 버튼통공이 천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버튼조립체를 미리 조립한 상태로 전자제품의 메인조립라인에 제공할 수 있어 전자제품의 조립 작업성이 좋아지고, 버튼을 통해 내부로 정전기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높아지며, 부품의 조립이 보다 정확하면서도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버튼조립체를 다양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용 버튼조립체 및 그 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버튼조립체 및 그 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기기용 도킹시스템의 외관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면플레이트의 구성이 배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버튼조립체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튼어레이에 버튼이 안착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도킹시스템(10)의 외관을 케이스(12)가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12)는 대략 타원형통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2)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도킹시스템(10)을 형성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도킹시스템(10)은 디지털 오디오기기를 장착시키는 기능 외에도 이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체에 스피커 기능을 구비할 수 있고, 컴퓨터나 스피커 등의 외부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기능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라디오 기능, 충전 기능 등 부가적인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2)는 탑케이스(12t)와 바텀케이스(12b)로 구성된다. 상기 탑케이스(12t)는 케이스(12)의 상반부를 형성하고, 바텀케이스(12b)는 하반부를 구성한다. 참고로 상기 케이스(12)의 후단에는 별도의 리어케이스(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도킹시스템(10)의 배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12)의 선단에는 전면플레이트(14)가 설치되어 도킹시스템(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플레이트(14)는 타원형 판상의 전면부(14f)와 상기 전면부(14f)의 가장자리를 둘러 후방으로 소정폭 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테두리(14r)로 구성된다. 상기 테두리(14r)는 상기 전면부(14f)의 배면에 대해 대략 직교하게 돌출된다.
상기 전면플레이트(14)에는 도킹쳄버(16)가 구비된다. 도킹쳄버(16)는 디지털 오디오기기(P)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도킹쳄버(16)의 깊이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기기(P)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는게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도킹쳄버(16)에 장착된 디지털 오디오기기(P)를 보다 쉽게 잡아 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킹쳄버(16)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4)의 테두리(14r)에서 상기 케이스 (12)의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도킹쳄버(16)의 형성방향은 상기 테두리(14r)의 표면에 대해 수직방향이다. 따라서, 상기 도킹쳄버(16)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4)의 전면부(14f)의 배면 쪽에 배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도킹쳄버(16)는 상기 전면부(14f)와 상기 테두리(14r)로 일부가 개구된다. 도면부호 18은 케이스(12)의 내부로 연장되는 덕트이다. 물론 상기 덕트(18)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도킹시스템(10)이 스피커기능을 구비할 경우에 필요하다.
상기 전면플레이트(14)의 테두리(14r)에는 도킹시스템을 조작하기 위한 버튼조립체(20)의 버튼(22)이 위치되는 버튼통공(14')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플레이트(14)의 전면부(14f) 배면에는 체결보스(15)와 가조립돌기(15')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보스(15)와 가조립돌기(15')는 쌍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보스(15)와 가조립돌기(15')는 상기 테두리(14r)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음으로, 도킹시스템을 조작하기 위한 구성인 버튼조립체(20)의 구성을 설명한다.
버튼조립체(20)는 다수개의 버튼(22)을 구비한다. 상기 버튼(22)는 합성수지를 재료로 만들어진 몰드물의 표면에 금속도금층을 형성한 것이다. 물론, 버튼(22) 자체를 금속으로 만들 수도 있다. 상기 버튼(22)은 대체로 일단부가 막힌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나,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예를 들어 소리크기를 조정하는 버튼은 2개로 분할된 원통형상이다.
상기 버튼(22)의 외면에는 버튼(22)의 설치방향과 설치위치를 안내하는 삽입 가이드(23)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가이드(23)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튼시트(26)의 삽입채널(30)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버튼(22)중 소리크기를 조정하는 버튼에는 삽입가이드(23)의 갯수가 달리 형성된다.
버튼어레이(24)는 상기 버튼(22)들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버튼(22)이 눌러진 후에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게 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버튼어레이(24)를 구성하는 어레이프레임(25)은 대략 납작한 장방형상이다. 상기 어레이프레임(25)은 그 내측 대부분이 상하로 관통되게 개구되어 있다.
상기 어레이프레임(25)에는 상기 버튼(22)이 안착되는 버튼시트(26)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시트(26)의 중앙에는 고정컬럼(27)이 형성되어 버튼(22)이 안착되는 위치를 가이드한다. 상기 고정컬럼(27)은 원기둥 형상이거나 반원형의 리브형상이다. 상기 버튼시트(26)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차폐벽(28)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22)과 다른 부분 사이에서 정전기 등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차폐벽(28)의 일측에는 상기 버튼(22)의 삽입가이드(23)가 안착되는 삽입채널(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채널(30)은 상기 버튼(22)의 삽입가이드(23)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대응되는 버튼(22)에 형성된 삽입가이드(23)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버튼시트(26)중 상기 고정컬럼(27)이 형성된 반대쪽에는 누름로드(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로드(31)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위치(46)를 직접 눌러주는 부분이다.
상기 버튼시트(26)와 상기 어레이프레임(25)은 탄성레그(32)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탄성레그(32)는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버튼시트(26) 가 버튼(22)과 함께 눌러질 때, 탄성변형되고, 힘이 제거되면 복원된다.
한편, 상기 어레이프레임(25)의 내측에는 광원가이드(34)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광원가이드(34)는 아래에서 설명될 광원(48)에서 나오는 광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어레이프레임(25)의 하면 네 모서리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기판커버(54)의 끼움공(68)에 끼워지는 끼움돌기(3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끼움돌기(36)는 기판커버(54)와 버튼어레이(24)를 가조립하는 것이다.
상기 어레이프레임(25)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간섭회피홈(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간섭회피홈(38)은 아래에서 설명될 기판걸이후크(6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어레이프레임(2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기판커버(54)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보스(40)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보스(40)는 어레이프레임(25)에 적어도 2개 이상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보스(40)를 체결나사(42)가 관통하여 기판커버(54)에 체결된다.
기판(44)에는 스위치(46)가 실장된다. 상기 스위치(46)는 상기 버튼(22)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기판(44)에는 또한 광원(48)이 실장된다. 상기 광원(48)은 상기 광원가이드(34)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광원(48)에서 나오는 광은 상기 광원가이드(34)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버튼통공(14')과 버튼(22)사이를 통해 외부로 나간다.
상기 기판(44)에는 또한 커넥터(50)가 설치된다. 상기 커넥터(50)는 상기 기판(44)과 외부의 전원이나 다른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기판(44)에는 또한 상기 버튼어레이(24)의 체결보스(40)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52)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52)은 상기 체결나사(42)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기판커버(54)는 상기 기판(44)의 일면을 차폐함과 동시에 상기 전면플레이트(14)에 체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기판커버(54)의 상면에는 안착부(56)가 상대적으로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56)에는 상기 기판(44)이 안착된다. 상기 안착부(56)의 내측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지지단차(58)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단차(58)는 상기 안착부(56)의 바닥면보다 상대적으로 돌출되는 부분으로, 상기 기판(44)의 가장자리를 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판커버(54)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기판걸이후크(60)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기판걸이후크(60)는 상기 기판커버(54)의 안착부(56)에 안착된 기판(44)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판걸이후크(60)는 약간의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기판(44)을 기판커버(54)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 기판걸이후크(60)의 선단에는 걸이턱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면 부호 62는 상기 체결나사(42)가 체결되는 체결보스이다.
상기 기판커버(54)에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4)에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64)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64)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4)의 체결보스(15)와 가조립돌기(15')를 차폐할 수 있는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체결부(64)는 본 실시예에서 총 3군데 형성되는데,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기판커버(54)의 크기 등 설계조건에 따라 달리 될 수 있다. 상기 기판커버(54)에는 상기 체결보스(15)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66)이 형성되고, 상기 가조립돌기(15')에 해당되는 위치에 가조립공(67)이 형성된다. 상기 기판커버(54)는 상기 기판(44) 및 버튼어레이(24)가 체결된 상태에서 전면플레이트(14)의 배면에 체결나사(70)로 체결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버튼조립체 및 그 장착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버튼조립체를 조립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기판(44)은 상기 기판커버(54)의 안착부(56)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기판(44)을 상기 안착부(56)에 위치시키고, 하면 가장자리를 상기 기판걸이후크(60)에 대고 누르면, 상기 기판걸이후크(60)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기판(44)의 가장자리는 상기 지지단차(58)상에 안착된다. 상기 기판걸이후크(60)는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그 걸림턱이 상기 기판(44)의 가장자리 상에 걸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버튼어레이(24)를 상기 기판커버(54)에 안착시킨다. 상기 끼움돌기(36)를 상기 기판커버(54)의 끼움공(68)에 삽입되게 하여 버튼어레이(24)를 기판커버(54)에 가조립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체결나사(42)를 상기 체결보스(40)과 관통공(52)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보스(62)에 체결한다.
상기 버튼어레이(24)의 버튼시트(26)에는 버튼(22)이 안착된다. 이때, 상기 버튼(22)의 삽입가이드(23)는 상기 삽입채널(30)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22)이 버튼시트(26)에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버튼조립체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4)의 배면에 설치된다. 먼저, 상기 버튼조립체의 기판커버(54)의 체결부(64)가 상기 전면플레이트(14)의 체결보스(15) 및 가조립돌기(15')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버튼(22)은 상기 버튼통공(14')을 통해 전면플레이트(14)의 테두리(14r)에 노출된 다.
그리고, 상기 가조립돌기(15')가 상기 체결부(64)의 가조립공(67)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버튼조립체를 전면플레이트(14)에 가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나사(70)를 상기 관통공(66)을 관통하여 전면플레이트(14)의 체결보스(15)에 체결한다. 이와 같이 하면 버튼조립체의 조립이 완성된다.
상기 버튼(22)은 상기 버튼시트(26)의 차폐벽(28)에 의해 둘러싸여 있어, 정전기가 버튼(22)으로 전달되더라도, 상기 기판(44)까지 전달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22)의 표면에 금속도금이 되거나 버튼(22) 자체가 금속재질로 되더라도 정전기가 기판(44)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튼(22)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눌러주면, 상기 버튼시트(26)가 버튼(22)과 함께 밀린다. 이때, 상기 탄성레그(32)가 탄성변형된다. 상기 버튼시트(26)가 후방으로 밀리게 되면, 상기 누름로드(31)에 의해 상기 스위치(46)가 눌러지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버튼(22)을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레그(32)가 복원되면서 원래의 위치로 돌아온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버튼조립체 및 그 설치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버튼, 버튼어레이, 기판 및 기판커버로 구성되는 버튼조립체가 하나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제품의 조립라인에 미리 조립된 상태로 제공되어 전면플레이트에 설치될 수 있어, 조립작업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버튼조립체의 버튼이 전면플레이트의 테두리로 노출되어 설치되는데, 버튼어레이의 버튼시트의 가장자리를 둘러 차폐벽이 형성되므로, 버튼의 표면에 금속도금이 되거나 버튼이 금속으로 형성되더라도 내부로 정전기가 전달되지 않게 되고, 버튼이 금속성의 외관을 가져 보다 미려한 외관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버튼을 버튼시트에 안착시킬 때, 그 삽입가이드가 차폐벽의 삽입채널에 안착되도록 하므로, 오조립의 가능성이 전혀없게 된다. 따라서, 버튼조립체를 구성하는 부품의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판커버에 기판을 고정시키고, 기판커버에 체결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전면플레이트의 배면에 직교하는 방향, 즉 전면플레이트의 테두리에 평행하게 기판을 설치하였다. 따라서, 버튼이 노출되는 위치를 테두리로 할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0)

  1. 적어도 표면이 금속재질로 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이 안착되는 버튼시트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선단에 버튼시트가 연결되게 탄성레그가 형성되어 버튼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버튼어레이와,
    상기 버튼시트의 일측에 의해 눌러져 동작되는 스위치가 구비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어레이와 체결되며 전면플레이트에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가 구비되는 기판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버튼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어레이의 버튼시트에는 그 가장자리를 둘러 차폐벽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시트에 안착된 버튼과 상기 기판사이에서 정전기가 전달되는 것을 차폐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버튼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과 차폐벽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가이드와 삽입채널이 형성되어, 버튼이 상기 버튼시트에 안착되는 위치를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버튼조립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시트에는 상기 기판의 스위치를 직접 눌러주는 누름로드가 형성되고, 상기 차폐벽의 내측에는 버튼의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컬럼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버튼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커버의 안착부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기판커버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지지단차에 안착된 반대면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기판걸이후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버튼조립체.
  6.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전면부와 이에 직교하게 후방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로 구성되며, 상기 테두리에 다수개의 버튼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의 연장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체결보스가 형성되는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버튼통공으로 노출되는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버튼에 의해 동작되는 스위치가 실장된 기판이 안착되는 기판커버에 상기 체결보스와 대응되게 관통공이 형성되는 체결부가 구비되는 버튼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전면플레이트의 상기 체결보스에 상기 테두리에 평행한 방향으로 체결나사가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버튼조립체 설치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플레이트에는 상기 체결보스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가조립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기판커버의 체결부에는 상기 가조립돌기가 삽입되는 가조립공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버튼조립체 설치구 조.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조립체의 버튼은 상기 버튼커버에 체결나사로 체결되는 버튼어레이 상에 형성된 버튼시트에 안착되는데, 상기 버튼시트에는 상기 버튼의 가장자리를 차폐하는 차폐벽이 형성되고, 상기 차폐벽에 의해 차폐된 중앙부분에는 상기 버튼의 내부에 위치되는 고정컬럼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컬럼이 형성된 반대방향에는 상기 기판에 실장된 스위치를 눌러주는 누름로드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시트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레그의 선단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버튼조립체 설치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커버에는 상기 기판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안착부의 내측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기판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기판커버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기판의 상면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기판걸이후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버튼조립체 설치구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전면부는 타원형상이고, 상기 테두리는 전면부의 배면 가장자리에 직교하게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테두리중 평평한 부분에 버튼통공이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버튼조립체 설치구조.
KR1020050002195A 2005-01-10 2005-01-10 전자제품용 버튼조립체 및 그 설치구조 KR20060081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195A KR20060081785A (ko) 2005-01-10 2005-01-10 전자제품용 버튼조립체 및 그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195A KR20060081785A (ko) 2005-01-10 2005-01-10 전자제품용 버튼조립체 및 그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785A true KR20060081785A (ko) 2006-07-13

Family

ID=37172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195A KR20060081785A (ko) 2005-01-10 2005-01-10 전자제품용 버튼조립체 및 그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17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5811A3 (en) * 2010-06-30 2012-03-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witch system having a button travel limit fea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5811A3 (en) * 2010-06-30 2012-03-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witch system having a button travel limit feature
US8404990B2 (en) 2010-06-30 2013-03-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witch system having a button travel limit fea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3370B2 (en) Computer button apparatus
US5573317A (en) Bracket apparatus for a cabinet
US20050276013A1 (en) Rail assembly for a data storage device
KR20060081785A (ko) 전자제품용 버튼조립체 및 그 설치구조
KR101136735B1 (ko) 이어폰 잭용 커넥터
JP5304486B2 (ja) 照明制御用操作盤
US4351222A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with casing comprising two halves
JP3589142B2 (ja) ハンズフリーインターホンのマイク固定構造
CN210868401U (zh) 功能按键装置及显示装置
US6219430B1 (en) Electronic appliance with loudspeaker unit
KR20000000641U (ko) 컴퓨터 시스템의 옵션 보드 장착 구조
US20140036507A1 (en) Electronic device enclosure with media-synchronized lighting
KR200159260Y1 (ko) 스피커음에 따른 진동방지구조
JP2506797B2 (ja) 配線装置
JP2006167053A (ja) カバー
KR200275404Y1 (ko) 멀티콘센트 장착틀
JP2020098738A (ja) 押ボタンスイッチ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2026545A (ja) ガイドレール構造
JPH10303572A (ja) 電子機器用筐体のカバー取付構造
JPH11191450A (ja) ケーブル接続用端子板
KR0133707Y1 (ko) 스피커의 메탈그릴 취부장치
KR20020063033A (ko) 컴퓨터 시스템의 옵션 보드 장착구조
CN114005691A (zh) 按键结构和充电盒
JP2007179780A (ja) 回路遮断器
JP2007035460A (ja) 筐体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