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1765A - 전자메일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메일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1765A
KR20060081765A KR1020050002169A KR20050002169A KR20060081765A KR 20060081765 A KR20060081765 A KR 20060081765A KR 1020050002169 A KR1020050002169 A KR 1020050002169A KR 20050002169 A KR20050002169 A KR 20050002169A KR 20060081765 A KR20060081765 A KR 20060081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data
unit
determined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3348B1 (ko
Inventor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2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348B1/ko
Priority to US11/324,262 priority patent/US20060168072A1/en
Priority to CNA2006100048754A priority patent/CN1804884A/zh
Publication of KR20060081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6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6Message adaptation to terminal or network requirements
    • H04L51/066Format adaptation, e.g. format conversion or com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전자메일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소정의 단말장치가 연결된 네트워크와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기 인쇄한 데이터 파일이 저장되는 메모리부,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전자메일이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전자메일의 내용 정보를 검출하는 전자메일처리부, 단말장치로 전송할 전자메일을 작성하는 전자메일작성부, 및,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 중 소정의 제1 데이터파일에 대한 전송요청 명령어가 내용 정보에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 데이터파일이 첨부된 전자메일을 작성한 후 단말장치로 전송하도록 전자메일작성부 및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를 간단하게 단말장치로 카피할 수 있게 된다.
화상형성장치, 전자메일, 텍스트, 명령어, 데이터파일

Description

전자메일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 Image forming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mail and method thereof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 및 도 4는 본 화상형성장치에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전자메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자메일송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자메일송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210 : 통신부 120, 220 : 전자메일처리부
130, 230 : 제어부 140, 240 : 전자메일작성부
150, 250 : 메모리부 260 : 전자메일인증부
본 발명은 전자메일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 저장된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전자메일이 수신되면, 요청된 데이터가 첨부된 전자메일을 작성한 후 회신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과 관련된 산업이 급속하게 확산됨에 따라, 인터넷 관련 기술 및 제품들이 급속하게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관련 제품 중 하나로써, 네트워크 화상형성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란 데이터를 용지상에 인쇄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써, 복사기, 팩시밀리, 프린터, 복합기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에 네트워크 카드를 장착하여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도록 한 것이 네트워크 화상형성장치이다. 최근에는, 네트워크 화상형성장치에 전자메일을 직접 전송하여 이를 인쇄하게 하거나,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캐닝한 데이터를 전자메일로 PC로 전송하도록 하는 기술도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하나의 네트워크 화상형성장치를 다수의 사용자가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이전에 인쇄, 복사, 스캔하였던 데이터파일 또는 그 목록을 확인해보고자 할 때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가 설치된 장소까지 가서, 화상형성장치를 직접 조작하여 데이터파일 또는 목록이 첨부된 전자메일을 자신의 메일계정으로 전송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는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공동장소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제3자가 임의로 화상형성장치를 조작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유출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데이터를 요청하는 내용의 전자메일이 수신되면, 전자메일의 내용을 확인하여 요청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데이터를 요청한 송신자를 확인한 후 데이터 전송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데이터의 외부유출을 막을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소정의 단말장치가 연결된 네트워크와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기 처리한 데이터 파일이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전자메일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전자메일의 내용에 해당하는 내용 정보를 검출하는 전자메일처리부,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할 전자메일을 작성하는 전자메일작성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 중 소정의 제1 데이터파일에 대한 전송요청 명령어가 상기 내용 정보에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데이터파일이 첨부된 전자메일을 작성한 후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전자메일작성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파일의 목록에 대한 전송요청명령어가 상기 내용 정보에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데이터파일 의 목록이 첨부된 전자메일을 작성한 후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전자메일작성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전자메일의 송신자 주소가 기 등록된 주소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수신된 전자메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전자메일인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메일인증부는, 상기 송신자 주소가 기 등록된 주소가 아닌 경우, 상기 전자메일처리부에서 검출된 내용 정보 중에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사용자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수신된 전자메일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메일인증부에 의해 상기 수신된 전자메일이 유효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수신된 전자메일에 기록된 전송요청명령어에서 요청하는 데이터가 첨부된 전자메일을 전송하도록 상기 전자메일작성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요청명령어에 의해 요청된 데이터에 대해 기 설정된 접근권한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수신된 전자메일의 송신자가 상기 데이터에 대한 접근권한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요청된 데이터가 첨부된 전자메일을 전송하도록 상기 전자메일작성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요청명령어에서 요청한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 및, 상기 수신된 전자메일의 송신자가 상 기 접근권한이 없는 경우 중 하나의 경우라고 판단되면, 소정의 에러 메시지를 포함한 전자메일을 작성한 후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전자메일작성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파일을 인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자메일전송방법은, (a)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된 제1전자메일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제1전자메일에 기록된 내용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c) 기 저장된 데이터파일 중 소정의 제1 데이터파일에 대한 전송요청명령어가 상기 내용 정보 중에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데이터파일이 첨부된 제2전자메일을 작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2전자메일을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e) 기 저장된 데이터파일의 목록에 대한 전송요청명령어가 상기 내용 정보 중에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기 저장된 데이터파일 목록이 첨부된 제3전자메일을 작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3전자메일을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전자메일의 송신자주소가 기 등록된 주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자주소가 기 등록된 주소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1전자메일이 유효하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전자메일의 송신자주소가 기 등록된 주소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1전자메일에 기록된 내용 정보 중에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사용자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가 포함되 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정보가 기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정보가 기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전자메일이 유효하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전자메일이 유효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c) 내지 (f)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요청명령어에 의해 요청된 데이터에 대해 기 설정된 접근권한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제1 전자메일의 송신자가 상기 요청된 데이터에 대한 접근권한을 가진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c) 내지 (f)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청된 데이터가 미저장 상태라고 판단되면, 소정의 에러 메시지를 포함한 전자메일을 작성한 후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자메일의 송신자가 상기 요청된 데이터에 대한 접근권한이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에러 메시지를 포함한 전자메일을 작성한 후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화상형성장치는 통신부(110), 전자메일처리부(120), 제어부(130), 전자메일작성부(140), 및, 메모리부(150)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구체적으로 프린터, 복사기, 스캐너, 복합기, 팩스 등의 장치가 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소정의 외부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부(110)는 네트워크 상에서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및, POP3(Post Office Protocol 3)를 지원하는 메일서버를 통해 전자메일을 송수신할 수 있다. SMTP는 메일 전송을 관장하는 프로토콜이고, POP3는 메일 수신을 관장하는 프로토콜이다. 즉, 외부 단말장치에서 전송한 전자메일이 서버에 저장되면, 통신부(110)는 서버에 저장된 전자메일을 POP3를 이용하여 소정 주기마다 읽어오게 된다. 반대로, 메일 전송을 하고자 하는 경우 SMTP를 이용하여 상대방 계정이 속하는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전자메일처리부(120)는 통신부(110)에서 수신한 전자메일의 내용을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전자메일처리부(120)는 수신된 전자메일의 송신자주소, 수신일시 등의 부가정보 및 전자메일의 내용을 확인한다. 이 중, 전자메일의 내용, 즉, 내용 정보는 텍스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각 텍스트의 비트스트림(bits stream)을 판독함으로써 전자메일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전자메일처리부(120)에서 판독한 내용 중 명령어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명령어는 특정 데이터를 전송하라는 "전송"명령, 특정 데이터를 인쇄하라는 "인쇄"명령, 특정 데이터를 삭제하라는 "삭제"명령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명령어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조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내부 레지스터에 이러한 명령어에 대응되는 비트스트림 데이터를 기록하여 둠으로써, 전자메일에 "전송", "인쇄", "삭제" 와 같은 텍스트가 포함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제어부(130)는 명령어가 지정한 타겟 데이터도 확인할 수 있다. 타겟 데이터는 특정 데이터파일명, 기 저장된 데이터파일의 전체목록 등이 될 수 있다.
전자메일작성부(140)는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로 송신할 송신용 전자메일을 작성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30)는 수신된 전자메일의 내용 중에서 소정의 제1 데이터파일을 지정한 전송요청명령어(즉, "전송")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제1 데이터 파일이 첨부된 전자메일을 작성하도록 전자메일작성부(14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전자메일을 송신한 송신자 주소를 수신자로 하는 전자메일을 통신부(110)를 통해 송신하게 된다.
이를 위해, 메모리부(150)에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전에 처리하였던 각종 데이터 파일이 저장된다. 제어부(130)는 수신된 전자메일이 데이터파일의 목록을 요청하는 내용이라고 판단되면,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전체 데이터파일의 목록을 작성한 후, 이를 송신용 전자메일에 첨부하여 회신(回信)하도록 전자메일작성부(140), 및,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한편, 데이터 삭제를 요청하는 내용이거나, 데이터 인쇄를 요청하는 내용이라면, 요청에 따라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데이터파일을 삭제하거나, 인쇄할 수도 있다. 데이터 파일을 인쇄하기 위한 엔진파트(engine part)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화상형성장치는, 통신부(210), 전자메일처리부(220), 제어부(230), 전자메일작성부(240), 메모리부(250), 및, 전자메일인증부(260)를 포함한다. 이 중, 전자메일인증부(26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부분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메일인증부(260)는 전자메일처리부(220)에서 도출한 부가정보를 확인하여, 전자메일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즉, 수신된 전자메일의 송신자 주소가 기 등록된 주소와 일치하는지 확인한 후, 일치하면 유효한 전자메일이라고 판단한다. 만약, 기 등록된 주소와 일치하지 않는다면, 유효한 전자메일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30)는 상술한 회신(回信) 작업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
한편, 전자메일인증부(260)는, 송신자 주소가 기 등록된 주소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전자메일처리부(220)에서 독출한 내용 정보 중에 정당 사용자임을 인증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 정보란 구체적으로는 전자메일주소나 ID, 및, 이에 대응되는 패스워드, 주민등록번호, 사원번호 등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정보가 정당한 것이라고 판단되면, 송신자 주소가 기 등록되지 않은 것이라 하더라도 유효한 전자메일이라고 판단한다. 제어부(230)는 전자메일인증부(260)에서 유효한 전자메일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만, 상술한 회신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타겟 데이터가 메모리부(250)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230)는 요청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을 알리는 에러 메시지가 기록된 전자메일을 작성하여 회신하도록 전자메일작성부(240), 및,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정당한 사용자라고 할 지라도 특정 데이터에 대 해서는 접근 권한이 부여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즉, 기밀 사항인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하여 접근권한이 있는 사용자를 지정하여 둘 수 있다. 이러한 접근권한정보는 메모리부(250)에 데이터파일을 저장할 때,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유효한 전자메일이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더라도, 요청된 데이터에 대한 접근권한이 없다면, 이를 알리는 에러 메시지가 기록된 전자메일을 작성하여 회신하도록 전자메일작성부(240), 및,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화상형성장치로 전송된 전자메일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사용자는 소정의 타겟 데이터(310, 320)의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명령어가 포함된 전자메일을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전자메일의 내용을 이루는 각 텍스트 문자의 비트스트림을 판독한다. 이에 따라, "abc.prt"라는 데이터파일명, "목록"이라는 명칭, "전송"이라는 명령어를 확인되면, abc.prt라는 파일과 전체 목록을 전송하라는 내용임을 인식하게 된다. 이에 따라, abc.prt파일 및 전체 파일의 목록이 첨부된 전자메일을 작성한 후에 회신하게 된다.
도 4는 본 화상형성장치로 전송된 전자메일의 또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사용자는 인증에 필요한 별도의 사용자 정보(340)도 전자메일의 내용 중에 기록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사용자 정보(340)로써 사용자 계정 주소 및 비밀번호가 사용되었다. 이와 함께, 타겟 데이터인 "def.prt" 및, 명령어인 "전송"도 기록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전자메일의 송신자주소인 "def@abc.co.kr"이 기 등록된 송신 자 주소인지를 확인하여 전자메일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기 등록된 송신자 주소가 아니라면, 별다른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한편, 기 등록된 송신자 주소가 아닌 경우에도, 사용자 정보(340)가 기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한다면, 이를 통해서 전자메일이 유효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명령어에 따라 "def.prt"파일이 첨부된 전자메일을 작성하여 전송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자메일전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따르면, 전자메일이 수신되면(S510), 수신된 전자메일의 내용을 이루는 내용 정보를 확인한다(S520).
이에 따라, 확인된 내용 정보 중에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명령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30). 이러한 명령어가 포함되지 않았다면, 전자메일 인쇄와 같은 기 설정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명령어가 포함되어 있다면, 요청된 데이터가 메모리부(150, 250)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40).
요청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면, 요청된 데이터가 첨부된 전자메일을 작성하여(S550), 회신하게 된다(S560). 한편, 요청된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았다면, 에러 메시지를 포함하는 전자메일을 전송할 수 있다(S570).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자메일전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따르면, 전자메일이 수신되면(S610), 전자메일의 송신자 주소를 확인한다(S620). 이에 따라, 기 등록된 사용자 주소와 비교함으로써, 송신자 주소가 기 등록된 주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30).
이에 따라, 기 등록된 주소가 아니라면, 수신된 전자메일의 내용 정보를 확 인하여, 소정의 사용자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40). 사용자 정보가 포함되었다면,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45). 이에 따라,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한다면, 내용 정보 중에 소정의 명령어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한다(S650). 한편, 전자메일의 송신자 주소가 기 등록된 주소라면(S630), 수신된 전자메일의 내용 정보를 확인하여(S635), 명령어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한다(S650).
이에 따라, 명령어가 포함되었다면, 명령어에서 요청한 데이터가 기 저장된 상태인지 확인한다(S660). 저장되지 않았다면 에러 메시지를 포함한 전자메일을 이용하여 회신한다(S670, S690).
한편, 요청된 데이터가 저장된 상태라면,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접근권한을 확인한다(S665). 이에 따라, 전자메일의 송신자가 접근권한을 가진 자라고 판단되면, 요청된 데이터가 첨부된 전자메일을 작성하여 회신한다(S680, S690). 이 경우, 요청되는 데이터는 데이터파일 자체 또는 파일의 목록이 될 수 있다. 또는, 데이터파일의 송신자, 작성자, 인쇄일시 등과 같은 데이터가 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데이터를 요청하는 전자메일이 수신되면, 화상형성장치가 전자메일의 내용을 확인하여 요청된 데이터가 첨부된 전자메일을 작성한 후, 회신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간단한 방법으로 자신의 PC로 카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자메일의 송신자 주소 등을 확인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 권한을 가진 정당 사용자에게만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정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4)

  1. 소정의 단말장치가 연결된 네트워크와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기 처리한 데이터 파일이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전자메일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전자메일의 내용 정보를 검출하는 전자메일처리부;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할 전자메일을 작성하는 전자메일작성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 중 소정의 제1 데이터파일에 대한 전송요청 명령어가 상기 내용 정보에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데이터파일이 첨부된 전자메일을 작성한 후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전자메일작성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파일의 목록에 대한 전송요청명령어가 상기 내용 정보에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데이터파일의 목록이 첨부된 전자메일을 작성한 후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전자메일작성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전자메일의 송신자 주소가 기 등록된 주소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수신된 전자메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전자메일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메일인증부는,
    상기 송신자 주소가 기 등록된 주소가 아닌 경우, 상기 전자메일처리부에서 검출된 내용 정보 중에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사용자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수신된 전자메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메일인증부에 의해 상기 수신된 전자메일이 유효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수신된 전자메일에 기록된 전송요청명령어에서 요청하는 데이터가 첨부된 전자메일을 전송하도록 상기 전자메일작성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요청명령어에 의해 요청된 데이터에 대해 기 설정된 접근권한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수신된 전자메일의 송신자가 상기 데이터에 대한 접근권한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요청된 데이터가 첨부된 전자메일을 전송하도록 상기 전자메일작성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요청명령어에서 요청한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 및, 상기 수신된 전자메일의 송신자가 상기 접근권한이 없는 경우 중 하나의 경우라고 판단되면, 소정의 에러 메시지를 포함한 전자메일을 작성한 후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전자메일작성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자메일전송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된 제1전자메일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제1전자메일에 기록된 내용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c) 기 저장된 데이터파일 중 소정의 제1 데이터파일에 대한 전송요청명령어가 상기 내용 정보 중에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데이터파일이 첨부된 제2전자메일을 작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2전자메일을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자메일전송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e) 기 저장된 데이터파일의 목록에 대한 전송요청명령어가 상기 내용 정보 중에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기 저장된 데이터파일 목록이 첨부된 제3전자메일을 작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3전자메일을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자메일전송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자메일의 송신자주소가 기 등록된 주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 계; 및,
    상기 송신자주소가 기 등록된 주소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1전자메일이 유효하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자메일전송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자메일의 송신자주소가 기 등록된 주소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1전자메일에 기록된 내용 정보 중에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사용자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정보가 기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정보가 기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전자메일이 유효하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자메일전송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메일이 유효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c) 내지 (f)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자메일전송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요청명령어에 의해 요청된 데이터에 대해 기 설정된 접근권한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제1 전자메일의 송신자가 상기 요청된 데이터에 대한 접근권한을 가진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c) 내지 (f)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자메일전송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된 데이터가 미저장 상태라고 판단되면, 소정의 에러 메시지를 포함한 전자메일을 작성한 후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자메일의 송신자가 상기 요청된 데이터에 대한 접근권한이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에러 메시지를 포함한 전자메일을 작성한 후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자메일전송방법.
KR1020050002169A 2005-01-10 2005-01-10 전자메일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KR100693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169A KR100693348B1 (ko) 2005-01-10 2005-01-10 전자메일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US11/324,262 US20060168072A1 (en) 2005-01-10 2006-01-04 Image forming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mail message and method thereof
CNA2006100048754A CN1804884A (zh) 2005-01-10 2006-01-10 用于发送和接收电子邮件消息的成像装置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169A KR100693348B1 (ko) 2005-01-10 2005-01-10 전자메일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765A true KR20060081765A (ko) 2006-07-13
KR100693348B1 KR100693348B1 (ko) 2007-03-09

Family

ID=36698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169A KR100693348B1 (ko) 2005-01-10 2005-01-10 전자메일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168072A1 (ko)
KR (1) KR100693348B1 (ko)
CN (1) CN180488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6733B1 (en) 1997-09-19 2003-10-21 Thompson Trust Wireless messaging method
US7003304B1 (en) 1997-09-19 2006-02-21 Thompson Investment Group, Llc Paging transceiver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retrieving messages
US6253061B1 (en) 1997-09-19 2001-06-26 Richard J. Helferich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information to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US6826407B1 (en) 1999-03-29 2004-11-30 Richard J. Helferich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audio and visual messaging
US6983138B1 (en) 1997-12-12 2006-01-03 Richard J. Helferich User interface for message access
US20060041848A1 (en) * 2004-08-23 2006-02-23 Luigi Lira Overlaid display of messages in the user interface of instant messaging and other digital communication services
US8259568B2 (en) * 2006-10-23 2012-09-04 Mcafe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access to a network
US8606854B2 (en) * 2007-01-08 2013-12-10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opportunistic image sharing
US8949339B2 (en) * 2007-01-08 2015-02-03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opportunistic data and image sharing
JP4613238B2 (ja) * 2008-12-16 2011-01-12 キヤノンIt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499598B2 (ja) * 2009-09-28 2014-05-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多機能機
JP5725844B2 (ja) * 2010-12-21 2015-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238521A1 (en) * 2012-03-08 2013-09-12 Sven Graupner Interpreting requests and providing responses in the context of a process
JP7474554B2 (ja) * 2019-10-09 2024-04-25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機器監視方法、機器監視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212B1 (ko) 2000-12-27 2004-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리보기 기능을 갖는 전자메일 수신 가능 팩스
JP2003069779A (ja) * 2001-08-24 2003-03-07 Brother Ind Ltd プリント装置
US7031008B2 (en) * 2001-12-26 2006-04-18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US7313698B2 (en) * 2002-12-27 2007-12-2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data processing system, image data generating apparatus, terminal equipment and program product
JP4498770B2 (ja) * 2003-03-10 2010-07-07 株式会社リコー データ配信する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画像形成装置からデータを取得する情報処理装置
JP3800227B2 (ja) * 2004-05-17 2006-07-26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情報処理方法並びに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4601334B2 (ja) * 2004-06-03 2010-12-22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インターネットファクシミリ装置および画像伝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04884A (zh) 2006-07-19
KR100693348B1 (ko) 2007-03-09
US20060168072A1 (en) 200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3348B1 (ko) 전자메일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US20190158485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electronic mail transmitting method, and electronic mail transmitting program
US20060126100A1 (en) Multifunction peripheral (MFP) and a method for restricting use thereof
US200702831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secure communications from a shared multifunction peripheral device
US816966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file transmission method
JP2007325256A (ja) 走査された文書の安全なハンドリ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2009111660A (ja) 画像処理装置
US887293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JP2009268103A (ja) 電子データの管理及び/又は送信のための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7177038B2 (en) Image forming system
JP2008098883A (ja) データ送信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209263B2 (en) E-mail transmission apparatus, e-mail transmission method and e-mail transmission program
US85648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communication management report with security function
JP4788293B2 (ja) ネットワーク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804679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6270415A (ja) 画像処理装置
JP2006186814A (ja) 印刷物出力装置の印刷物への識別情報の自動付加出力方法
JP2000010884A (ja) 通信装置
JP2006072793A (ja) E−Mailステータス機能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843296B2 (ja) 情報誤送信防止システム
JP4692493B2 (ja) 画情報送信装置及び画情報送信管理プログラム
JP4684216B2 (ja)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778322B2 (ja) ネットワークファクシミリ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1228893A (ja) ファクシミリ送信許可装置及びその方法
JP5009237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配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配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