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1370A -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1370A
KR20060081370A KR1020060001760A KR20060001760A KR20060081370A KR 20060081370 A KR20060081370 A KR 20060081370A KR 1020060001760 A KR1020060001760 A KR 1020060001760A KR 20060001760 A KR20060001760 A KR 20060001760A KR 20060081370 A KR20060081370 A KR 20060081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metadata
information
name
te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8126B1 (ko
Inventor
이희경
강정원
김재곤
홍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60081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3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 A63F13/338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using television networks
    • A63F13/12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7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data related to game devices or game servers, e.g. configuration data,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4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platform network
    • A63F2300/409Data transfer via televis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5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 A63F2300/552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for downloading to client devices, e.g. using OS version, hardware or software profile of the client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5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 A63F2300/5593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involving scheduling aspects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게임을 비롯한 임의의 콘텐츠 타입의 공통적 특징을 기술하는 메타데이터와 게임만의 특징을 기술하는 메타데이터를 정의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단말 장치가 그 목적에 따라 게임을 적절하게 선택하고 소비할 수 있는 맞춤형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게임 콘텐츠를 포함한 맞춤형 방송 콘텐츠를 홈네트워크 환경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상기 게임 콘텐츠가 포함된 맞춤형 방송 콘텐츠 및 게임 메타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제공 수단; 및 상기 맞춤형 방송 콘텐츠 및 게임 메타데이터를 사용자에게 공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 및 선택 신호에 상응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검색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게임 메타데이터는 상기 게임 콘텐츠의 특성을 기술하기 위한 메타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TVA(TV-Anytime) 시스템 등에 이용됨.
TV-Anytime, 맞춤형 방송, 콘텐츠, 메타데이터

Description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aptive Broadcast Service using Game Metadat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방송 시스템의 일실시예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방송 시스템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공통 기술 메타데이터의 일실시예 구조도,
도 4b는 종래 TVA1의 AV콘텐츠 기술 메타데이터(BasicContentDescription) 의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 기술 메타데이터의 제1 실시예 구조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 기술 메타데이터의 제2 실시예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0 :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2000 : 사용자 단말
100 : 콘텐츠 생성부 200 :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
300 : 콘텐츠 검색/탐색부 400 : 위치 결정부
500 : 저장장치 관리부 600 : 사용자 상호작용부
본 발명은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게임 콘텐츠를 포함한 맞춤형 방송 콘텐츠를 홈네트워크 환경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의 디지털화에 따라 다매체, 다채널뿐만 아니라 기존의 단방향 방송 수신에서 방송통신망 연동을 통한 다양한 수신 단말의 수용 등 복잡한 형태로 방송환경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시청자의 측면에서는 제한된 채널 선택만으로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수동적인 시청에서 벗어나 방송 서비스에 직접 참여하거나 또는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프로그램을 수신, 시청하고자 하는 요구가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방송환경이 보다 복잡 다양하게 개인화된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고 요약할 수 있다. 맞춤형 방송은 이렇게 복잡 다양한 새로운 방송환경에서 시청자가 좀 더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원하는 방송 콘텐츠를 원하는 시간에 다양한 단말에서 시청자의 기호에 맞게 원하는 형태로 소비할 수 있게 한다. 즉, 맞춤형 방송은 사용자 기호, 단말 성능, 망 특성, 자연환경(시간, 장소, 사용자 기분상태 등 ) 등을 포함한 사용 환경에 적합한 맞춤형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맞춤형 방송에 대한 표준을 제정하기 위한 단체로 'TV-Anytime' 포럼이 있다. 'TV-Anytime' 포럼은 PDR(Personal Digital Recoder)을 구비한 사용자 환경에서 오디오 비주얼 관련 서비스 제공을 위한 표준 개발을 목적으로 1999년 9월에 설립된 민간 표준 기구이다.
상기 'TV-Anytime' 포럼에서의 맞춤형 방송에 대한 표준은 가정하는 시스템 환경과 제공하고자 하는 주요 기능적인 측면에서 Phase1(TVA-1)과 Phase2(TVA-2)의 두 단계로 나누어진다.
TVA-1은 주 방송 프로그램이 단방향의 방송채널로 전송되고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서 추가적인 메타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환경에서, PDR(Personal Digital Recoder)을 중심으로 AV(Audio/Video) 콘텐츠의 탐색, 선택, 획득, 소비 등의 응용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메타데이터란, 프로그램 제목, 쟝르, 개요와 같은 콘텐츠에 대한 설명적인 데이터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는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data about data)로 정의된다.
TVA-2는 단방향의 방송채널과 양방향 네트워크를 가정한 TVA-1의 소비환경을 확장하여,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TVA-1의 중요 서비스 대상이었던 AV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응용프로그램, 광고,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 콤포넌트를 결합하여 하나의 선택 단위로 식별, 획득될 수 있는 패키지(Package)를 제공한다.
패키지는 패키지와 콤포넌트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고, 패키지를 구성하는 각 콤포넌트(component)들이 소비환경 및 사용자 선호도에 맞게 선택될 수 있도록 하는 타겟팅 기능을 제공하며, 시간적/공간적 관계기술을 통해 정확한 소비가 가능하게 하는 동기화 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제안된 패키지를 구성하는 콤포넌트의 콘텐츠 유형에는 게임이 누락되어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 환경에서 게임의 중요성이 급속하게 확대되는 추세에 부응하여 새로운 콘텐츠 유형으로서 게임을 패키지에 추가할 필요가 있으며, 그에 따라, 게임을 기술하기 위한 게임 메타데이터를 정의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는 맞춤형 방송 시스템의 구현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게임을 비롯한 임의의 콘텐츠 타입의 공통적 특징을 기술하는 메타데이터와 게임 콘텐츠의 특징을 기술하는 메타데이터를 정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을 비롯한 임의의 콘텐츠 타입의 공통적 특징을 기술하는 메타데이터와 게임 콘텐츠만의 특징을 기술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정의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단말 장치가 그 목적에 따라 게임을 적절하게 선택하고 소비할 수 있는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게임 콘텐츠를 포함한 맞춤형 방송 콘텐츠를 홈네트워크 환경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상기 게임 콘텐츠가 포함된 맞춤형 방송 콘텐츠 및 게임 메타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제공 수단; 및 상기 맞춤형 방송 콘텐츠 및 게임 메타데이터를 사용자에게 공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 및 선택 신호에 상응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검색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게임 메타데이터는 상기 게임 콘텐츠의 특성을 기술하기 위한 메타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 콘텐츠를 포함한 맞춤형 방송 콘텐츠를 홈네트워크 환경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상기 게임 콘텐츠가 포함된 맞춤형 방송 콘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제공 수단; 및 상기 맞춤형 방송 콘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사용자에게 공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 및 선택 신호에 상응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검색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방송 콘텐츠의 공통적인 특성을 기술하기 위한 공통 기술 메타데이터; 및 상기 게임 콘텐츠의 특성을 기술하기 위한 게임 기술 메타데 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게임 콘텐츠를 포함한 맞춤형 방송 콘텐츠를 홈네트워크 환경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게임 콘텐츠가 포함된 맞춤형 방송 콘텐츠 및 게임 메타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공시하는 공시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 및 선택 신호에 상응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검색 단계;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의 물리적 위치를 결정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결정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제공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게임 메타데이터는 상기 게임 콘텐츠의 특성을 기술하기 위한 메타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기화 기능 및 타겟팅 기능을 지원하는 맞춤형 방송 서비스를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게임 콘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콘텐츠를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로서, 상기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공시받은 상기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게임 콘텐츠를 검색 및 선택하여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상호 작용부; 상기 획득한 게임 콘텐츠 및 게임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저장 장치 관리부 및 상기 게임 콘텐츠 및 게임 메타데이터를 사용자에게 표출하기 위한 콘텐츠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게임 메타데이터는 상기 게임 콘텐츠의 특성을 기술하기 위한 메타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 콘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콘텐츠를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방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게임 콘텐츠를 포함한 방송 콘텐츠를 타겟팅 기능을 지원하여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상기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게임 콘텐츠를 포함한 방송 콘텐츠 및 게임 메타데이터를 수신하여 소비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게임 메타데이터는 상기 게임 콘텐츠의 특성을 기술하기 위한 메타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TVA(TV-Anytime) 방송 서비스를 위한 게임 메타데이터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게임 메타데이터는, 사용자가 게임을 진행하는 역할 또는 시점에 관한 정보를 기술하는 관점 정보; 및 게임에 액세스할 수 있는 사용자의 인원수를 나타내는 플레이어 인원수 정보를 포함하여, 게임 콘텐츠의 특성을 기술하기 위한 메타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방송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방송 시스템은 맞춤형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0) 및 AV(Audio/Video) 콘텐츠를 포함하여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0)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의 탐색, 선택, 획득, 소비 등의 응용서비스를 소비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2000)이 방송 채널 또는 양방향 IP 망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방송 시스템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1000)는 콘텐츠 생성부(Content Creator)(100),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Content Service Provider)(200), 콘텐츠 검색/탐색부(Search and Navigation unit)(300) 및 위치 결정부(Location Resolution unit)(400)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2000)은 사용자 상호작용부(User Interaction Unit)(600), 저장장치 관리부(Local Storage Management Unit)(500)를 포함하며, 콘텐츠 출력부(Content Presentation Unit)(미도시) 및 보호 관리부(Rights Management and Protection Unit)(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콘텐츠 생성부(100)는 AV프로그램 또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포함한 패키지들을 생성한다. 스튜디오, 엔터테인먼트 회사, 웹 디자이너, 사용자 연동형 콘텐츠 제작자, 사용자가 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200)는 게임이 포함된 콘텐츠와 메타데이터의 재구성, 메타데이터의 삽입, 콘텐츠의 전송을 담당하며, 지상파, 위성, 케이블 방송사들 또는 웹캐스터, 포털 제공자들이 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콘텐츠 검색/탐색부(300)는 시청 가능한 콘텐츠에 대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이하 EPG라 함.)에 공시하는 방송 메타데이터에 기반한다. 방송사, 콘텐츠 생성자, 또는 제 3의 제공자, 웹기반 EPG 회사, TV 포털 회사에 의해 이러한 메타데이터는 방송에 삽입될 수 있다. 콘텐츠 검색 및 탐색 기능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또는 단말의 자동 선택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자(CRID)를 돌려준다.
위치 결정부(400)는 상기 콘텐츠 검색/탐색부(300)에서 얻어진 콘텐츠 식별자(CRID)로부터 채널과 방송시간을 포함하는 콘텐츠의 물리적인 위치를 결정한다.
저장장치 관리부(500)는 방송 콘텐츠와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메타데이터의 경우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DB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B)로 관리가 가능하다.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 간의 양방향의 메타데이터 연결 기능은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 이력 정보와 사용자 선호도 정보 제공에 해당한다.
사용자 상호작용부(600)는 사용자 단말의 입력장치(키보드, 리모콘, 마우스, 조이스틱 등)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의 상기 구성 요소들을 구동시킨다.
콘텐츠 출력부(미도시)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로 방송 콘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제공한다.
보호 관리부(미도시)는 상기 각 구성 요소 간의 인터페이스를 적절한 보호 관리 정책에 따라 보호한다(ETSI TS 102 822-5-1/2 및 ETSI TS 102 822-7 "Bimetadata delivery protection" 문서 참조).
전술한 상기 실시예는 완전한 양방향 방송환경에서의 맞춤형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예로 든 것이다.
맞춤형 방송 시스템의 구현 방법은 서비스 환경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순수 단방향 방송환경이나 협대역 양방향 채널을 갖는 방송환경에서는 상기 맞춤형 방송 시스템의 구성들 중 콘텐츠 생성부,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만이 사용자 단말(Personal Digital Recorder)의 외부에 존재하며, 이들을 제외한 모든 구성들은 사용자 단말에서(Personal Digital Recorder)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검색, 선택, 위치 결정, 획득 과정을 통해 소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실시예와 같이, 완전한 양방향 방송환경에서는 맞춤형 방송 시스템의 구성들 중 콘텐츠 생성부,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뿐만 아니라 콘텐츠 검색/탐색부와 위치 결정부 역시 사용자 단말의 외부에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Personal Digital Recorder)은 사용자 상호작용부, 콘텐츠 출력부, 저장장치 관리부만을 갖으며,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나 콘텐츠 검색/탐색부와 양방향 연결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검색, 선택, 위치 결정, 획득 과정을 통해 소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과정은 기본적으로 공시(Publish), 검색(Search), 선택(Select), 위치 결정(Locate), 획득(Acquire), 시청(View) 및 종료(Finish)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을 포함하는 패키지는 패키지가 AV프로그램에 독립적인지 의존적인지에 따라 공시, 검색, 선택 단계에서 각각 두 가지 동작 시나리오를 갖는다.
공시 (Publish)
만약, 패키지가 AV프로그램에 독립적이면, 콘텐츠 생성부(100)는 게임을 포함하는 패키지(Package)를 생성한다. 패키지는 TVA-2 패키지 스키마에 따라 기술되며, 게임에 대한 어트랙티브 메타데이터인 게임 메타데이터는 패키지 스키마의 기술자(Descriptor) 요소의 하위 요소인 콘텐츠기술자(ContentDescription)를 통해 기술된다.
여기서, 상기 게임 메타데이터는 게임을 포함한 임의의 콘텐츠 타입의 공통적 특징을 기술하는 메타데이터인 공통 기술 메타데이터 및 게임만의 특징을 기술하는 게임 기술 메타데이터를 포함한다.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200)는 패키지를 식별하는 CRID(Content Reference IDentifier), 패키지 소비를 유도하는 패키지 어트랙티브 메타데이터와 패키지의 대략적인 스케쥴 정보를 공시한다. 더불어, 패키지가 언제, 어디서 획득될 수 있는지를 기술하는 위치 결정(Location resolution) 데이터를 공시한다.
여기서, 패키지의 어트랙티브 메타데이터와 스케쥴 정보는 일반적인 AV프로그램과 같이 TVA-1 메타데이터 스키마의 프로그램 정보(ProgramInformation)와 프로그램 위치(ProgramLocation)로 기술한다.
만약, 패키지가 AV프로그램에 의존적이면, 콘텐츠 생성자는 AV프로그램과 AV프로그램에 의존적이면서 게임을 포함하는 패키지를 생성한다.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는 AV프로그램을 식별하는 CRID(Content Reference IDentifier), AV프로그램의 어트랙티브 메타데이터,스케쥴 정보, 위치 결정 정보 및 AV프로그램에 연결된 패키지의 링크 정보를 공시한다.
여기서, AV프로그램의 어트랙티브 메타데이터와 스케쥴 정보는 TVA-1 메타데이터 스키마의 프로그램 정보(ProgramInformation)와 프로그램 위치(ProgramLocation)로 기술하며, AV프로그램에 연결된 패키지의 링크 정보는 AV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ProgramInformation)의 "RelatedMaterial"요소로 기술한다.
동종 또는 이종의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는 패키지를 식별하는 CRID(Content Reference IDentifier)와 패키지가 언제, 어디서 획득될 수 있는지를 기술하는 위치 결정(Location resolution) 데이터를 공시한다.
검색 (Search)
패키지가 AV프로그램에 독립적이면, EPG는 패키지 어트랙티브 메타데이터와 패키지 스케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는 EPG가 제공하는 패키지 타이틀, 시놉시스, 배우 등의 패키지 어트랙티브 메타데이터를 통해 관심있는 패키지를 검색한다.
한편, 패키지가 AV프로그램에 의존적이면, EPG는 AV프로그램의 어트랙티브 메타데이터와 스케쥴 정보와 함께 AV프로그램에 연결된 패키지의 링크 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EPG를 통해 AV프로그램을 검색하거나 프로그램을 시청할 때 AV프로그램에 연결된 패키지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선택 (Select)
패키지가 AV프로그램에 독립적인 경우, 사용자는 EPG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패키지를 선택했을 때 패키지의 CRID를 획득한다.
한편, 패키지가 AV프로그램에 의존적인 경우, 사용자는 AV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ProgramInformation)의 "RelatedMaterial"요소로부터 AV프로그램에 연결된 패키지의 CRID를 획득한다.
위치 결정 (Locate)
패키지 CRID로부터 위치 결정 메카니즘을 통해 실제 패키지가 제공되는 물리적인 위치 정보를 얻는다. 저장장치 관리부(500)는 녹화시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콘텐츠 위치(채널+시간 정보) 중 임의의 위치를 선택한다.
획득 (Acquire)
선택된 위치 정보(채널+시간 정보)에서 패키지를 수신한다.
패키지를 획득한 후 사용자는 패키지에 속한 개별 콤포넌트의 어트랙티브 메타데이터인 ContentDescription과 사용자의 사용 환경에 따라 소비하고자 하는 전체 또는 부분 콤포넌트를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선택한다.
이때, 개별 콤포넌트의 어트랙티브 메타데이터인 ContentDescription은 상기한 응용프로그램, 광고, 이미지, 텍스트 등과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콘텐츠들의 특성을 기술한다.
게임 콤포넌트가 선택되면, 각 게임 콤포넌트의 CRID로부터 위치 결정 메카니즘을 통해 실제 게임 콤포넌트가 제공되는 물리적인 위치 정보를 얻는다. 그리고 해당 위치로부터 게임 콤포넌트를 획득한다.
시청 (View)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 콤포넌트를 비롯한 모든 콤포넌트가 획득되면, 콤포넌트 간의 공간적/시간적 관계 정보를 이용해 화면을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종료 (Finishing)
사용자의 패키지 시청 이력 정보가 단말에 저장되어 사용자의 선호도 추출에 활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게임 메타데이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게임을 기술하기 위한 게임 메타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게임을 포함한 임의의 콘텐츠 타입의 공통적 특징을 기술하는 메타데이터인 공통 기술 메타데이터 및 게임 콘텐츠의 특징을 기술하는 게임 기술 메타데이터로 구분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공통 기술 메타데이터(BasicObjectDescriptionType)의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통 기술 메타데이터(BasicObjectDescriptionType)는 게임을 포함한 임의의 콘텐츠의 공통적 특징을 기술하는 메타데이터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통 기술 메타데이터(BasicObjectDescriptionType)에 정의한 대부분의 요소들은 도 4b에 도시된 TVA1에 정의된 AV콘텐츠 기술 메타데이터인 BasicContentDescriptionType의 구성 요소들을 이용한다.
공통 기술 메타데이터(BasicObjectDescriptionType)는 주요 구성 요소로서, 타이틀(Title), 미디어 타이틀(MediaTitle), 시놉시스(Synopsis), 언어(Language), 제작일(Production Date), 제작지(Production Location), 공개 정보(Releaseinformation) 및 가격(Price)을 포함한다.
상기 미디어 타이틀(MediaTitle)은 게임을 캡쳐링하기 전에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썸네일(thumbnail) 이미지 및 영화적 예고편을 포함한다.
상기 시놉시스(Synopsis)는 해당 게임이 어떤 특징을 갖는지에 대한 텍스트 기술을 제공하며, 가격(Price)은 해당 게임에 대한 가격 정보를 제공하며, BasicContentDescription 내의 PurchaseList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 기술 메타데이터(GameContentTypeObjectDescription)의 제1 실시예 구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임 기술 메타데이터(GameContentTypeObjectDescription)는 카테고리(Category), 등급(Rate), 플랫폼(Platform), 제작자(Producer), 개발자(Developer), 관점(Perspectives), 최대플레이어수(NbMaxPlayers), 동시액세스플레이어수(NbMaxSimPlayers), 지원OS(Supporting OS), 시스템요구사항(System Requirement), 사전요구애플레이션(Prerequisite), 난이도(Difficulty), 학습시간량(LearningCurve), 상위스코어(BestScores), 동작명령(Cheatcodes), 갱신애플리케이션(PatchApplication) 및 가상 머신(VirtualMachine)을 포함한다.
상기 개발자(Developer)는 컷씬 드로어(CutSceneBy), 사운드 제너레이터(SoundBy), 3D 엔진 엔지니어(ThreeDimension EngineBy), 사운드 엔진 엔지니어(SoundEngineBy) 및 패키지 디자이너(PackageDesignBy)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요구사항(System Requirement)은 CPU성능(CPUCapability), 메모리용량(MemoryCapacity), 저장용량(StorageCapacity) 및 네트워크용량(NetworkCapablility Type)을 포함한다.
상기 상위스코어(BestScores)는 플레이어 성명(PersonName) 및 스코어(Score)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명령(Cheatcodes)은 치트코드(Code) 및 효과(Effect)를 포함한다.
전술한, 상기 각 구성의 정의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Figure 112006001029013-PAT00001
Figure 112006001029013-PAT00002
상기 게임 기술 메타데이터(GameContentTypeObjectDescription)의 XML 구문은 아래와 같다.
<xs:complexType name="GameContentTypeObjectDescriptionType">
<xs:complexContent>
<xs:extension base="did:ContentTypeBasedObjectDescriptionType">
<xs:sequence minOccurs="0">
<xs:element name="Category" type="tva:ControlledTermType" minOccurs="0"/>
<xs:element name="Rate" type="tva:ControlledTermType" minOccurs="0"/>
<xs:element name="GameDevice" type="tva:ControlledTermType" minOccurs="0"/>
<xs:element name="Producer" type="xs:string" minOccurs="0"/>
<xs:element name="Developer" minOccurs="0">
<xs:complexType>
<xs:sequence>
<xs:element name="CutScenesBy" type="xs:string" minOccurs="0"/>
<xs:element name="SoundBy" type="xs:string" minOccurs="0"/>
<xs:element name="ThreeDimensionEngineBy" type="xs:string" minOccurs="0"/>
<xs:element name="SoundEngineBy" type="xs:string" minOccurs="0"/>
<xs:element name="PackageDesignBy" type="xs:string" minOccurs="0"/>
</xs:sequence>
</xs:complexType>
</xs:element>
<xs:element name="Perspectives" minOccurs="0">
<xs:simpleType>
<xs:restriction base="xs:string">
<xs:enumeration value="First-Person Perspective"/>
<xs:enumeration value="Third-Person Perspective"/>
<xs:enumeration value="Top-Down"/>
<xs:enumeration value="Isometric"/>
<xs:enumeration value="Side-Scroller"/>
<xs:enumeration value="Platform"/>
<xs:enumeration value="Text-Based Games"/>
</xs:restriction>
</xs:simpleType>
</xs:element>
<xs:element name="NbMaxPlayers" type="xs:nonNegativeInteger" minOccurs="0"/>
<xs:element name="NbMaxSimPlayers" type="xs:nonNegativeInteger" minOccurs="0"/>
<xs:element name="SupportingOS" type="did:SupportingOSType" minOccurs="0"/>
<xs:element name="SystemRequirement" type="did:SystemRequirementType" minOccurs="0"/>
<xs:element name="Prerequsite" type="xs:string" minOccurs="0"/>
<xs:element name="Difficulty" minOccurs="0">
<xs:simpleType>
<xs:restriction base="xs:string">
<xs:enumeration value="Hard"/>
<xs:enumeration value="Moderately Hard"/>
<xs:enumeration value="Medium Hard"/>
<xs:enumeration value="Easy"/>
</xs:restriction>
</xs:simpleType>
</xs:element>
<xs:element name="LearningCurve" type="mpeg7:mediaDurationType" minOccurs="0"/>
<xs:element name="BestScores" minOccurs="0">
<xs:complexType>
<xs:sequenc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xs:element name="PersonName" type="mpeg7:PersonNameType"/>
<xs:element name="Score" type="xs:nonNegativeInteger"/>
</xs:sequence>
</xs:complexType>
</xs:element>
<xs:element name="Cheatcodes" minOccurs="0">
<xs:complexType>
<xs:sequenc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xs:element name="Code" type="mpeg7:TextualType"/>
<xs:element name="Effect" type="mpeg7:TextualType"/>
</xs:sequence>
</xs:complexType>
</xs:element>
<xs:element name="PatchApplication" minOccurs="0">
<xs:complexType>
<xs:attribute name="applicationlist" type="tva:TVAIDRefsType"/>
</xs:complexType>
</xs:element>
</xs:sequence>
</xs:extension>
</xs:complexContent>
</xs:complexType>
이하, 전술한 게임 기술 메타데이터(GameContentTypeObjectDescription)의 구성 요소들 중, 주요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관점(Perspectives)은 플레이 관점(playing perspectives)을 나타내며, 플레이어가 게임을 진행하는 역할 또는 시점을 정의한다. 이들 관점은 1-인칭(First-Person), 3-인칭(Third-Person), 톱-다운(top-down), 아이소메트릭(isometric), 플랫(flat), 사이드-뷰(side-view) 및 텍스트-기반(text-based)을 포함한다.
상기 관점(Perspectives)은 아래와 같이 GamePerspectivesCS의 XML 구문으로 표현되며, 구성 요소의 정의는 아래의 표 2와 같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ClassificationScheme
uri="urn:tva:metadata:extended:cs:GamePerspectivesCS:2005">
<!--#####################################################################-->
<!--Perspectives for Game-->
<!--Definition: This is a set of terms used within Content Packaging to indicate -->
<!-- the kinds of perspectives which define the role or point of view that the player has on the game -->
<!--#####################################################################-->
<Term termId="1">
<Name xml:lang="en">First-Person</Name>
<Definition xml:lang="en">
Displayed from a 1st-person perspective or view; ie. from the viewer's own eyes.
</Definition>
</Term>
<Term termId="2">
<Name xml:lang="en">Third-Person</Name>
<Definition xml:lang="en">
Displayed from a 3rd-person perspective or view; ie. player is able to see him/herself.
</Definition>
</Term>
<Term termId="3">
<Name xml:lang="en">Top-Down</Name>
<Definition xml:lang="en">
Used to describe any game where the main setting of gameplay is represented by a "top-down" view of the playfield; used in describing both shooters and adventure games.
</Definition>
</Term>
<Term termId="4">
<Name xml:lang="en">Isometric</Name>
<Definition xml:lang="en">
Playfield is technically two-dimensional, but drawn in an isometric view so that the game looks three-dimensional.
</Definition>
</Term>
<Term termId="5">
<Name xml:lang="en">Flat, Side-View</Name>
<Definition xml:lang="en">
The flat, side-view is the traditional two-dimensional "side view" of the action.
</Definition>
<Term termId="5.1">
<Name xml:lang="en">Side-scroller</Name>
<Definition xml:lang="en">
Used to describe any game where the main setting of gameplay involves the player moving from one side of the playfield to the other horizontally for a length of time.
</Definition>
</Term>
<Term termId="5.2">
<Name xml:lang="en">platform</Name>
<Definition xml:lang="en">
Describes any action game where the playfield is set up as a series of floors, levels, or platforms for the player to navigate.
</Definition>
</Term>
</Term>
<Term termId="6">
<Name xml:lang="en">Text-Based Game</Name>
<Definition xml:lang="en">
There are very few text-based games that don't use graphics at all or very sparingly.
</Definition>
</Term>
</ClassificationScheme>
관 점 정 의
1인칭 (First-Person) 1인칭 관점 또는 뷰로부터, 즉 관찰자의 눈으로부터 보여진다. (상호작용하는 픽션을 기술하는데는 이용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모든 상호작용 픽션이 정의에 의해 1인칭이 되기 때문이다.)
3인칭 (Third-Person) 3인칭 관점 또는 뷰로부터 보여진다. 즉, 플레이어가 그/그녀 자신을 볼 수 있다.
톱다운 (Top-Down) 플레이필드의 "톱다운" 뷰에 의해 게임플레이의 주요 설정이 표현되는 소정의 게임을 기술하는데 이용된다. 슈터(Shooters) 및 어드벤처 게임 양쪽 모두를 기술하는데 이용된다.
아이소메트릭 (Isometric) 플레이필드는 기술적으로 2차원이지만, 게임이 3차원으로 보이도록 아이소메트릭 뷰(isometric view)로 묘사된다. 움직임은 곧은 상/하/좌/우 대신에 대각으로-바이어스된다. 예시: Ultima 7-8, The Immortal, Marble Madness, Diablo 등.
플랫, 사이드-뷰 (Flat, Side-View) 이 플랫, 사이드-뷰는 액션의 전통적인 2차원 "사이드-뷰"이고, 수년에 걸쳐 더욱 대중적이지 않게 된 관점이 표준으로 되었다. 이 뷰는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에 일반적이었던 "사이드-스크롤러" 또는 "플랫폼" 게임으로 대중화되었다.
사이드-스크롤러 (Side-Scroller) 게임플레이의 주요 설정이 플레이어가 플레이필드의 일측으로부터 시간길이에 있어서 수평으로 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수반하는 소정의 게임을 기술하는데 사용된다. 플레이어 캐릭터가 스크린 상의 동일 장소에 있지만, 전체 플레이필드는 플레이어가 언제든지 스크린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좌 또는 우로 스크롤되기 때문에, 이렇게 명명된다. 일반적으로, 액션 게임인 "슈터" 등을 기술하는데 변경자(modifier)로서 이용된다. 스크롤될 수도 있고 또는 스크롤되지 않을 수도 있는 플랫폼 게임과 혼동되지 않아야 한다.
플랫폼 (Platform) 조종하는 플레이어에 대한 일련의 플로어, 레벨 또는 플랫폼으로서 플레이필드가 설정되는 소정의 액션 게임을 기술한다. 일반적으로, 플랫폼 게임은 조금의 전략 및/또는 퍼즐 해석을 필요로 한다. 예시: Prince of Persia, Dark Castle 등. 관점 및 시점 카테고리의 부분이다.
텍스트-기반 게임 (Text-Based Games) 그래픽을 결코 이용하지 않거나 또는 매우 부족하게 이용하는 텍스트-기반 게임은 매우 적다. Infocom으로부터의 유명한 Zork 시리즈, Douglas Adams의 Hitchhiker's Guide to the Galaxy와 같은 1980년대 초반으로부터의 고전적인 텍스트 어드벤처 외에, 오늘날의 Outsmart 온라인 게임(Microsoft)는 이러한 유형의 게임의 좋은 예시이다.
상기 최대 플레이어수(NbMaxPlayers)는 게임에 액세스할 수 있는, 즉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플레이어의 최대수를 나타낸다. 이 값에 따라 게임은 모노플레이어 게임 또는 멀티플레이어 게임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게임 기술 메타데이터(GameContentTypeObjectDescription)의 구성 요소들 중 사용자 단말의 환경에 관련된 주요 요소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지원 OS(Supporting OS)는 게임이 소비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의 OS의 종류를 나타내며, MS-DOS, Window 3.1, Window 95/98/NT, OS/2, UNIX, LINUX, MAC OS, Solaris, Window CE 등으로 분류되며, XML 구문은 아래와 같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ClassificationScheme
uri="urn:tva:metadata:extended:cs:OperatingSystemCS:2005">
<Term termID="1">
<Name xml:lang="en">DOS</Name>
</Term>
<Term termID="2">
<Name xml:lang="en">Windows</Name>
<Term termID="2.1">
<Name xml:lang="en">Windows 3.X</Name>
</Term>
<Term termID="2.2">
<Name xml:lang="en">Windows 95</Name>
</Term>
<Term termID="2.3">
<Name xml:lang="en">Windows 98</Name>
</Term>
<Term termID="2.4">
<Name xml:lang="en">Windows Me</Name>
</Term>
<Term termID="2.5">
<Name xml:lang="en">Windows NT</Name>
</Term>
<Term termID="2.6">
<Name xml:lang="en">Windows 2000</Name>
</Term>
<Term termID="2.7">
<Name xml:lang="en">Windows 2003 Server</Name>
</Term>
<Term termID="2.8">
<Name xml:lang="en">Windows XP</Name>
</Term>
</Term>
<Term termID="3">
<Name xml:lang="en">Linux</Name>
</Term>
<Term termID="4">
<Name xml:lang="en">Unix</Name>
</Term>
<Term termID="5">
<Name xml:lang="en">Solaris</Name>
</Term>
<Term termID="6">
<Name xml:lang="en">OS2</Name>
</Term>
<Term termID="7">
<Name xml:lang="en">Mac</Name>
<Term termID="7.1">
<Name xml:lang="en">System 6</Name>
</Term>
<Term termID="7.2">
<Name xml:lang="en">System 7</Name>
</Term>
<Term termID="7.3">
<Name xml:lang="en">Mac OS 7.x</Name>
</Term>
<Term termID="7.4">
<Name xml:lang="en">Mac OS 8.x</Name>
</Term>
<Term termID="7.5">
<Name xml:lang="en">Mac OS 9.x</Name>
</Term>
<Term termID="7.6">
<Name xml:lang="en">Mac OS X</Name>
</Term>
<Term termID="7.7">
<Name xml:lang="en">Mac OS X Server</Name>
</Term>
</Term>
<Term termID="8">
<Name xml:lang="en">Mobile</Name>
<Term termID="8.1">
<Name xml:lang="en">Palm OS 1.x</Name>
</Term>
<Term termID="8.2">
<Name xml:lang="en">Palm OS 2.x</Name>
</Term>
<Term termID="8.3">
<Name xml:lang="en">Palm OS 3.x</Name>
</Term>
<Term termID="8.4">
<Name xml:lang="en">Palm OS 4.x</Name>
</Term>
<Term termID="8.5">
<Name xml:lang="en">Palm OS 5.x</Name>
</Term>
<Term termID="8.6">
<Name xml:lang="en">Windows CE 1.x</Name>
</Term>
<Term termID="8.7">
<Name xml:lang="en">Windows CE 2.x</Name>
</Term>
<Term termID="8.8">
<Name xml:lang="en">Pocket PC</Name>
</Term>
<Term termID="8.9">
<Name xml:lang="en">Pocket PC 2002</Name>
</Term>
<Term termID="8.10">
<Name xml:lang="en">Pocket PC 2003</Name>
</Term>
<Term termID="8.11">
<Name xml:lang="en">Celvic OS</Name>
</Term>
<Term termID="8.12">
<Name xml:lang="en">EPOC (Psion OS)</Name>
</Term>
<Term termID="8.13">
<Name xml:lang="en">Symbian</Name>
</Term>
<Term termID="8.14">
<Name xml:lang="en">Windows Mobile 2003 Phone Edition</Name>
</Term>
</Term>
<Term termID="9">
<Name xml:lang="en">Embedded OS</Name>
<Term termID="9.1">
<Name xml:lang="en">Windows CE</Name>
</Term>
<Term termID="9.2">
<Name xml:lang="en">Embedded Linux </Name>
</Term>
<Term termID="9.3">
<Name xml:lang="en">Embedded Java</Name>
</Term>
</Term>
<Term termID="10">
<Name xml:lang="en">RTOS (Real Time OS)</Name>
<Term termID="10.1">
<Name xml:lang="en">pSOS</Name>
</Term>
<Term termID="10.2">
<Name xml:lang="en">OS-9</Name>
</Term>
<Term termID="10.3">
<Name xml:lang="en">VxWorks</Name>
</Term>
<Term termID="10.4">
<Name xml:lang="en">QNX</Name>
</Term>
<Term termID="10.5">
<Name xml:lang="en">VRTX</Name>
</Term>
<Term termID="10.6">
<Name xml:lang="en">Nucleus</Name>
</Term>
<Term termID="10.7">
<Name xml:lang="en">Qplus</Name>
</Term>
<Term termID="10.8">
<Name xml:lang="en">Lynx</Name>
</Term>
<Term termID="10.9">
<Name xml:lang="en">RT-Linux</Name>
</Term>
</Term>
</ClassificationScheme>
상기 시스템 요구사항(System requirement)은 게임이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의 최소 사항을 기술한다. 예를 들어, "Pentium 이상"과 같은 CPU 성능, "256MB 이상"과 같은 메모리 용량 및 50Kbps와 같은 네트워크 성능을 기술하며, XML 구문은 다음과 같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ClassificationScheme
uri="urn:tva:metadata:extended:cs:CPUTypeCS:2005">
<!--######################################################################-->
<!--CPUType-->
<!--Definition: This is a set of terms used within Content Packaging to indicate -->
<!-- what kind of CPU is used in the Terminal written by HeeKyung Lee-->
<!--####################################################################-->
<Term termID="1">
<Name xml:lang="en">CPU for PC</Name>
<Term termID="1.1">
<Name xml:lang="en">Intel</Name>
<Term termID="1.1.1">
<Name xml:lang="en">4004</Name>
</Term>
<Term termID="1.1.2">
<Name xml:lang="en">8008</Name>
</Term>
<Term termID="1.1.3">
<Name xml:lang="en">8080</Name>
</Term>
<Term termID="1.1.4">
<Name xml:lang="en">8086</Name>
</Term>
<Term termID="1.1.5">
<Name xml:lang="en">8088</Name>
</Term>
<Term termID="1.1.6">
<Name xml:lang="en">(80)286</Name>
</Term>
<Term termID="1.1.7">
<Name xml:lang="en">(80)386</Name>
</Term>
<Term termID="1.1.8">
<Name xml:lang="en">(80)486</Name>
</Term>
<Term termID="1.1.9">
<Name xml:lang="en">Pentium</Name>
</Term>
<Term termID="1.1.10">
<Name xml:lang="en">Pentium Pro</Name>
</Term>
<Term termID="1.1.11">
<Name xml:lang="en">Pentium MMX</Name>
</Term>
<Term termID="1.1.12">
<Name xml:lang="en">Pentium II</Name>
</Term>
<Term termID="1.1.13">
<Name xml:lang="en">Celeron</Name>
<Term termID="1.1.13.1">
<Name xml:lang="en">Celeron Northwood</Name>
</Term>
<Term termID="1.1.13.2">
<Name xml:lang="en">CeleronD Prescott</Name>
</Term>
</Term>
<Term termID="1.1.14">
<Name xml:lang="en">Xeon</Name>
</Term>
<Term termID="1.1.15">
<Name xml:lang="en">Itanium</Name>
</Term>
<Term termID="1.1.16">
<Name xml:lang="en">Pentium IV</Name>
<Term termID="1.1.16.1">
<Name xml:lang="en">Pentium IV Northwood</Name>
</Term>
<Term termID="1.1.16.2">
<Name xml:lang="en">Pentium IV Willamette</Name>
</Term>
<Term termID="1.1.16.2">
<Name xml:lang="en">Pentium IV Prescott</Name>
</Term>
</Term>
<Term termID="1.1.17">
<Name xml:lang="en">McKinley</Name>
</Term>
<Term termID="1.1.18">
<Name xml:lang="en">Deerfield</Name>
</Term>
</Term>
<Term termID="1.2">
<Name xml:lang="en">AMD</Name>
<Term termID="1.2.1">
<Name xml:lang="en">K5</Name>
</Term>
<Term termID="1.2.2">
<Name xml:lang="en">K6</Name>
</Term>
<Term termID="1.2.3">
<Name xml:lang="en">K6-2</Name>
</Term>
<Term termID="1.2.4">
<Name xml:lang="en">K6-3</Name>
</Term>
<Term termID="1.2.5">
<Name xml:lang="en">Duron</Name>
</Term>
<Term termID="1.2.6">
<Name xml:lang="en">Sempron</Name>
<Term termID="1.2.6.1">
<Name xml:lang="en">Sempron ThoroughbredB</Name>
</Term>
<Term termID="1.2.6.2">
<Name xml:lang="en">Sempron Paris</Name>
</Term>
<Term termID="1.2.6.3">
<Name xml:lang="en">Sempron Palermo</Name>
</Term>
</Term>
<Term termID="1.2.7">
<Name xml:lang="en">Athlon Professional Ultra</Name>
<Term termID="1.2.7.1">
<Name xml:lang="en">Athlon 64</Name>
<Term termID="1.2.7.1.1">
<Name xml:lang="en">Athlon 64 NewCastle</Name>
</Term>
<Term termID="1.2.7.1.2">
<Name xml:lang="en">Athlon 64 Winchester</Name>
</Term>
<Term termID="1.2.7.1.3">
<Name xml:lang="en">Athlon 64 Claw-Hammer</Name>
</Term>
<Term termID="1.2.7.1.4">
<Name xml:lang="en">Athlon 64 FX 55 Claw-Hammer</Name>
</Term>
</Term>
<Term termID="1.2.7.2">
<Name xml:lang="en">AthlonXP</Name>
<Term termID="1.2.7.2.1">
<Name xml:lang="en">AthlonXP Barton</Name>
</Term>
<Term termID="1.2.7.2.2">
<Name xml:lang="en">AthlonXP M Barton</Name>
</Term>
</Term>
</Term>
<Term termID="1.2.8">
<Name xml:lang="en">Opteron Sledge-Hammer</Name>
</Term>
<Term termID="1.2.9">
<Name xml:lang="en">K8 </Name>
</Term>
</Term>
<Term termID="1.3">
<Name xml:lang="en">VIA</Name>
<Term termID="3.1">
<Name xml:lang="en">VIA C3 Nehemiah</Name>
</Term>
</Term>
</Term>
<Term termID="2">
<Name xml:lang="en">CPU for PDA</Name>
<Term termID="2.1">
<Name xml:lang="en">Motorola</Name>
<Term termID="2.1.1">
<Name xml:lang="en">Dragonball</Name>
</Term>
</Term>
<Term termID="2.2">
<Name xml:lang="en">Hitachi</Name>
<Term termID="2.2.1">
<Name xml:lang="en">SH</Name>
</Term>
</Term>
<Term termID="2.3">
<Name xml:lang="en">NEC</Name>
<Term termID="2.3.1">
<Name xml:lang="en">VR</Name>
</Term>
</Term>
<Term termID="2.4">
<Name xml:lang="en">Intel</Name>
<Term termID="2.4.1">
<Name xml:lang="en">StrongARM</Name>
</Term>
</Term>
</Term>
<Term termID="3">
<Name xml:lang="en">CPU for Settop</Name>
<Term termID="3.1">
<Name xml:lang="en">ATI</Name>
<Term termID="3.1.1">
<Name xml:lang="en">XILLEON</Name>
</Term>
</Term>
<Term termID="3.2">
<Name xml:lang="en">Zoran</Name>
<Term termID="3.2.1">
<Name xml:lang="en">Elite(G9)</Name>
</Term>
</Term>
<Term termID="3.3">
<Name xml:lang="en">Philips</Name>
<Term termID="3.3.1">
<Name xml:lang="en">SA7219</Name>
</Term>
<Term termID="3.3.2">
<Name xml:lang="en">SA7240</Name>
</Term>
</Term>
</Term>
</ClassificationScheme>
상기 사전요구애플리케이션(Prerequsite)은 게임 소비를 위해 사전에 요구되는 DirectX 및 MPEG-2 디코더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기술한다(XML 구문은 후술하는 제2 실시예의 기타시스템소프트웨어 정보(OtherSystemSW)의 XML 구문 참조).
상기 가상 머신(VirtualMachine)은 게임이 소비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의 가상 머신의 종류를 기술하며, XML 구문은 다음과 같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ClassificationScheme
uri="urn:tva:metadata:extended:cs:VirtualMachineCS:2005">
<!--######################################################################-->
<!--VirtualMachineCS-->
<!--Definition: This is a set of terms used within Content Packaging to indicate -->
<!-- what kind of virtual machine is used in the Terminal written by HeeKyung Lee-->
<!--#####################################################################-->
<Term termID="1">
<Name xml:lang="en">Core War</Name>
</Term>
<Term termID="2">
<Name xml:lang="en">Java VM</Name>
<Term termID="2.1">
<Name xml:lang="en">Platform</Name>
<Term termID="2.1.1">
<Name xml:lang="en">J2SE</Name>
</Term>
<Term termID="2.1.2">
<Name xml:lang="en">J2EE</Name>
</Term>
<Term termID="2.1.3">
<Name xml:lang="en">J2ME</Name>
</Term>
</Term>
<Term termID="2.2">
<Name xml:lang="en">Speed</Name>
<Term termID="2.2.1">
<Name xml:lang="en">Classic</Name>
</Term>
<Term termID="2.2.2">
<Name xml:lang="en">Hotspot</Name>
</Term>
</Term>
<Term termID="2.3">
<Name xml:lang="en">For J2ME</Name>
<Term termID="2.3.1">
<Name xml:lang="en">KVM(Kilobyte VM)</Name>
</Term>
<Term termID="2.3.2">
<Name xml:lang="en">GVM(Game VM)</Name>
</Term>
<Term termID="2.3.3">
<Name xml:lang="en">MAP(Mobile Application S/W plug-in)</Name>
</Term>
<Term termID="2.3.4">
<Name xml:lang="en">BREW</Name>
</Term>
<Term termID="2.3.5">
<Name xml:lang="en">Redbook compliant VM </Name>
</Term>
</Term>
</Term>
<Term termID="3">
<Name xml:lang="en">OCODE</Name>
</Term>
<Term termID="4">
<Name xml:lang="en">OS/2</Name>
</Term>
<Term termID="5">
<Name xml:lang="en">POPLOG</Name>
</Term>
<Term termID="6">
<Name xml:lang="en">Portable Scheme Interpreter</Name>
</Term>
<Term termID="7">
<Name xml:lang="en">Portable Standard Lisp</Name>
</Term>
<Term termID="8">
<Name xml:lang="en">Parallel Virtual Machine</Name>
</Term>
<Term termID="9">
<Name xml:lang="en">Sequential Parlog Machine</Name>
</Term>
<Term termID="10">
<Name xml:lang="en">SNOBOL Implementation Language</Name>
</Term>
<Term termID="11">
<Name xml:lang="en">SODA</Name>
</Term>
<Term termID="12">
<Name xml:lang="en">Smalltalk</Name>
</Term>
</ClassificationScheme>
이하, 상기 게임 기술 메타데이터(GameContentTypeObjectDescription)의 기타 주요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상술한다.
상기 카테고리(Category)는 게임의 종류를 기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고리의 XML 표현인 게임 카테고리 CS(Game Category CS)는 Mark J. P. Wolf에 의해 저술된 책인 "The Medium of the Video Game(http://www.robinlionheart.com/gamedev/genres.xhtml 참조)"에서 제안된 게임 카테고리로부터 도출하였으며, XML 구문은 다음과 같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ClassificationScheme uri="urn:tva:metadata:Phase2:cs:GameCategoryCS:2005">
<!--##############################################################-->
<!--Game Category -->
<!--Definition: This is a set of terms used within Content Packaging to indicate the kinds of game -->
<!--##############################################################-->
<Term termId="1">
<Name xml:lang="en">Abstract</Name>
</Term>
<Term termId="2">
<Name xml:lang="en">Adaptation</Name>
</Term>
<Term termId="3">
<Name xml:lang="en">Adventure</Name>
</Term>
<Term termId="4">
<Name xml:lang="en">Artificial Life</Name>
</Term>
<Term termId="5">
<Name xml:lang="en">Board Games</Name>
</Term>
<Term termId="6">
<Name xml:lang="en">Capturing</Name>
</Term>
<Term termId="7">
<Name xml:lang="en">Card Games</Name>
</Term>
<Term termId="8">
<Name xml:lang="en">Catching</Name>
</Term>
<Term termId="9">
<Name xml:lang="en">Chase</Name>
</Term>
<Term termId="10">
<Name xml:lang="en">Collecting</Name>
</Term>
<Term termId="11">
<Name xml:lang="en">Combat</Name>
</Term>
<Term termId="12">
<Name xml:lang="en">Demo</Name>
</Term>
<Term termId="13">
<Name xml:lang="en">Diagnostic</Name>
</Term>
<Term termId="14">
<Name xml:lang="en">Dodging</Name>
</Term>
<Term termId="15">
<Name xml:lang="en">Driving</Name>
</Term>
<Term termId="16">
<Name xml:lang="en">Educational</Name>
</Term>
<Term termId="17">
<Name xml:lang="en">Escape</Name>
</Term>
<Term termId="18">
<Name xml:lang="en">Fighting</Name>
</Term>
<Term termId="19">
<Name xml:lang="en">Flying</Name>
</Term>
<Term termId="20">
<Name xml:lang="en">Gambling</Name>
</Term>
<Term termId="21">
<Name xml:lang="en"> Interactive Movie</Name>
</Term>
<Term termId="22">
<Name xml:lang="en">Management Simulation</Name>
</Term>
<Term termId="23">
<Name xml:lang="en">Maze</Name>
</Term>
<Term termId="24">
<Name xml:lang="en">Obstacle Course</Name>
</Term>
<Term termId="25">
<Name xml:lang="en">Pencil-and-Paper Games</Name>
</Term>
<Term termId="26">
<Name xml:lang="en">Pinball</Name>
</Term>
<Term termId="27">
<Name xml:lang="en">Platform</Name>
</Term>
<Term termId="28">
<Name xml:lang="en">Programming Games</Name>
</Term>
<Term termId="29">
<Name xml:lang="en">Puzzle</Name>
</Term>
<Term termId="30">
<Name xml:lang="en">Quiz</Name>
</Term>
<Term termId="31">
<Name xml:lang="en">Racing</Name>
</Term>
<Term termId="32">
<Name xml:lang="en">Role-Playing</Name>
</Term>
<Term termId="33">
<Name xml:lang="en">Rhythm and Dance</Name>
</Term>
<Term termId="34">
<Name xml:lang="en">Shooter</Name>
</Term>
<Term termId="35">
<Name xml:lang="en">Simulation</Name>
</Term>
<Term termId="36">
<Name xml:lang="en">Sports</Name>
</Term>
<Term termId="37">
<Name xml:lang="en">Strategy</Name>
</Term>
<Term termId="38">
<Name xml:lang="en">Table-Top Games</Name>
</Term>
<Term termId="39">
<Name xml:lang="en">Target</Name>
</Term>
<Term termId="40">
<Name xml:lang="en">Text Adventure</Name>
</Term>
<Term termId="41">
<Name xml:lang="en">Training Simulation</Name>
</Term>
<Term termId="42">
<Name xml:lang="en">Utility</Name>
</Term>
</ClassificationScheme>
상기 플랫폼(Platform)은 게임 공급자가 게임이 어떤 종류의 사용자 단말(플랫폼)을 타겟으로 하는지를 명시하여 게임이 적절히 소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플랫폼의 XML 표현인 게임 플랫폼 CS(Game Platform CS)는 PC, PDA, 플레이 스테이션(Play Station), 엑스박스(Xbox), 게임 보이(Game boy) 등과 같은 다양한 게임 플랫폼을 분류하여 기술한다(상기 플랫폼(Platform)의 XML 구문은 후술하는 단말 유형정보(TerminalType)의 XML 구문 참조).
상기 등급(Rate)은 콘텐츠 및 연령-적합성(age-appropriateness)으로 게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등급은 부모 및 다른 소비자가 그들의 가족을 위해 올바른 게임을 선택하도록 도움을 주며, 국가에 따라 여러 종류의 게임 등급 기관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미국에는 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Entertainment Software Rating Board: ESRB), 일본에는 컴퓨터 오락 등급 기구(Computer Entertainment Rating Organization: CERO), 유럽에는 팬 유러피언 게임 인디케이터(Pan European Game Indicator: PEGI), 한국에는 영상물 등급 위원회(Korea Media Rating Board: KMRB)가 있다. 이들 등급 기관 중 일부는 아래의 [표 3]의 설명과 같다.
상기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급 기관은 대부분 뷰어(viewer)의 나이에 따라 게임을 카테고리화 되어 있다. 따라서, TVA-1에 이미 정의되어 있는 IntendedAudienceCS가 등급분류를 위해 재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작자(Producer)는 게임을 생산한 제작자를 나타내고, 상기 개발자(Developer)는 게임을 개발한 사람을 나타내며, 전술한 바와 같이, 개발자(Developer)는 컷씬 드로어, 사운드 제너레이터, 3D 엔진 엔지니어, 사운드 엔진 엔지니어 및 패키지 디자이너일 수 있다.
상기 동시액세스플레이어수(NbMaxSimPlayers)는 히스토리에서 게임에 동시에 액세스하는 플레이어의 최대수를 나타내며, 이 값은 게임이 얼마나 대중적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난이도(Difficulty)는 게임이 얼마나 많이 어려운지를 표시한다. 난이도(Difficulty)의 등급은 어려움(Hard), 적당히 어려움(Moderately Hard), 중간 어려움(Medium Hard) 및 쉬움(Easy)으로 분류된다.
상기 학습시간량(LearningCurve)은 게임을 학습하는데 얼마나 많은 시간이 걸릴 수 있는지를 표시한다. 이는 "mpeg7:mediaDurationType"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기술될 수 있다.
상기 상위스코어(BestScores)는 상위 계층에 있는 플레이어의 리스트 및 스코어를 나타낸다.
상기 동작명령(Cheatcodes)은 StarCraft 게임을 예를 들면, "show me the money" 및 "black sheep wall"과 같이 게임을 용이하게 클리어하거나, 동작시키는 명령을 나타낸다.
상기 갱신애플리케이션(PatchApplication)은 게임을 갱신하거나 게임에서의 버그를 고치는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낸다. 갱신애플리케이션(PatchApplication)은 TVA의 "ApplicationContentModeObjectDescription"으로부터의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기술될 수 있으며, 게임으로부터 갱신애플리케이션(PatchApplication)의 구성요소로의 링크가 제공된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 기술 메타데이터의 제2 실시예 구조도이다.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임 기술 메타데이터의 제2 실시예는 관점(Perspectives) 정보 및 최대 플레이어수(MaxNumPlayers) 정보를 포함하는 게임문맥특성 메타데이터(GameContextAttributes Type)와 게임 콘텐츠가 소비되는 사용자 단말의 환경을 기술하는 단말정보 메타데이터((TerminalInformation Type)로 구분되어 사용된다.
도 6a에 도시된 상기 게임문맥특성 메타데이터(GameContextAttributes Type)의 관점(Perspectives) 정보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관점(Perspectives)과 동일하며, 상기 최대 플레이어수(MaxNumPlayers) 정보 역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최대플레이어수(NbMaxPlayers)와 동일하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정보 메타데이터((TerminalInformation Type)는 디코더 정보(DecorderInformation), 인코더 정보(EncoderInformation), 디스플레이 정보(DisplayInformation), 오디오 정보(AudioInformation), 상호작용 입력 정보(InteractionInformation), 저장 정보(StorageInformation), 시스템 정보(SystemInformation), 하드웨어 제작자 정보(HardwareManufacturer) 및 단말 유형정보(TerminalType)을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 정보(SystemInformation)는 지원 OS 정보(SuppportingOS), 미들웨어 정보(MiddleWare), 가상 머쉰 정보(VirtualMachin), 기타시스템소프트웨어정보(OtherSystemSW), CPU 정보(CPU) 및 메모리 정보(RAM)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 정보(SystemInformation)의 지원 OS 정보(SuppportingOS)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지원 OS(SupportingOS)와 동일하고, 상기 CPU 정보(CPU)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CPU 성능(CPUCapability)과 동일하며, 상기 가상 머쉰 정보(VirtualMachine) 역시 제1 실시예의 가상 머쉰(VirtualMachine)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시스템 정보(SystemInformation)의 기타시스템소프트웨어정보(OtherSystemSW)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사전요구애플리케이션(Prerequisite)의 내용을 포함하여 아래와 같은 XML 구문으로 기술된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ClassificationScheme
uri="urn:tva:metadata:extended:cs:OtherSystemSoftwareCS:2005">
<!--######################################################################-->
<!--OtherSystemSoftwareCS -->
<!--Definition: This is a set of terms used within Content Packaging to indicate -->
<!-- what kind of system softwares are needed in the Terminal written by HeeKyung Lee -->
<!--####################################################################-->
<Term termID="1">
<Name xml:lang="en">Graphic library</Name>
<Term termID="1.1">
<Name xml:lang="en">DirectX</Name>
<Term termID="1.1.1">
<Name xml:lang="en">DirectX8.0</Name>
</Term>
<Term termID="1.1.2">
<Name xml:lang="en">DirectX8.1</Name>
</Term>
<Term termID="1.1.3">
<Name xml:lang="en">DirectX9.0</Name>
</Term>
</Term>
<Term termID="1.2">
<Name xml:lang="en">OpenGL</Name>
</Term>
</Term>
<Term termID="2">
<Name xml:lang="en">Media</Name>
<Term termID="2.1">
<Name xml:lang="en">mpeg-1 codec</Name>
</Term>
<Term termID="2.2">
<Name xml:lang="en">mpeg-2 codec</Name>
</Term>
<Term termID="2.3">
<Name xml:lang="en">real audio codec</Name>
</Term>
<Term termID="2.4">
<Name xml:lang="en">quicktime format codec</Name>
</Term>
<Term termID="2.5">
<Name xml:lang="en">windows media player</Name>
</Term>
<Term termID="2.6">
<Name xml:lang="en">flash</Name>
</Term>
</Term>
<Term termID="3">
<Name xml:lang="en">DB</Name>
<Term termID="3.1">
<Name xml:lang="en">JDBC</Name>
</Term>
<Term termID="3.2">
<Name xml:lang="en">Firebird/InterBase</Name>
</Term>
<Term termID="3.3">
<Name xml:lang="en">Microsoft SQL Server</Name>
</Term>
<Term termID="3.4">
<Name xml:lang="en">MySQL</Name>
</Term>
<Term termID="3.5">
<Name xml:lang="en">Oracle</Name>
</Term>
<Term termID="3.6">
<Name xml:lang="en">Other network-based DBMS</Name>
</Term>
<Term termID="3.7">
<Name xml:lang="en">PostgreSQL</Name>
</Term>
</Term>
<Term termID="4">
<Name xml:lang="en">GUI Library</Name>
<Term termID="4.1">
<Name xml:lang="en">Amulet</Name>
</Term>
<Term termID="4.2">
<Name xml:lang="en">FLTK</Name>
</Term>
<Term termID="4.3">
<Name xml:lang="en">GTK</Name>
</Term>
<Term termID="4.4">
<Name xml:lang="en">MFC</Name>
</Term>
<Term termID="4.5">
<Name xml:lang="en">Morphic</Name>
</Term>
<Term termID="4.6">
<Name xml:lang="en">Motif</Name>
</Term>
<Term termID="4.7">
<Name xml:lang="en">Python</Name>
</Term>
<Term termID="4.8">
<Name xml:lang="en">Qt</Name>
</Term>
<Term termID="4.9">
<Name xml:lang="en">wxWindows </Name>
</Term>
</Term>
<Term termID="5">
<Name xml:lang="en">Mobile</Name>
<Term termID="5.1">
<Name xml:lang="en">ActiveSync</Name>
</Term>
<Term termID="5.2">
<Name xml:lang="en">.Net Framework</Name>
</Term>
<Term termID="5.3">
<Name xml:lang="en">DioPen V5.0</Name>
</Term>
</Term>
</ClassificationScheme>
상기 시스템 정보(SystemInformation)의 단말 유형정보(TerminalType)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플랫폼(Platform)을 포함하며, XML 구문은 다음과 같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ClassificationScheme
uri="urn:tva:metadata:extended:cs:TerminalTypeCS:2005">
<Term termId="1">
<Name xml:lang="en">PC</Name>
</Term>
<Term termId="2">
<Name xml:lang="en">PDA</Name>
</Term>
<Term termId="3">
<Name xml:lang="en">Set-Top Box</Name>
<Term termId="3.1">
<Name xml:lang="en">PDR</Name>
</Term>
<Term termId="3.2">
<Name xml:lang="en">NDR</Name>
</Term>
<Term termId="3.3">
<Name xml:lang="en">Cable Set-Top Box</Name>
</Term>
<Term termId="3.4">
<Name xml:lang="en">Other Set-Top Box</Name>
</Term>
</Term>
<Term termId="4">
<Name xml:lang="en">Printer</Name>
</Term>
<Term termId="5">
<Name xml:lang="en">Mobile Phone</Name>
</Term>
<Term termId="6">
<Name xml:lang="en">Digital Still Camera</Name>
</Term>
<Term termId="7">
<Name xml:lang="en">Digital Video Camera</Name>
</Term>
<Term termId="8">
<Name xml:lang="en">Audio Player</Name>
</Term>
<Term termId="9">
<Name xml:lang="en">Television</Name>
</Term>
<Term termId="10">
<Name xml:lang="en">Gateway</Name>
</Term>
<Term termId="11">
<Name xml:lang="en">Router</Name>
</Term>
<Term termId="12">
<Name xml:lang="en">Car Terminal</Name>
<Term termId="12.1">
<Name xml:lang="en">Car Stereo</Name>
</Term>
<Term termId="12.2">
<Name xml:lang="en">Car Navigation</Name>
</Term>
<Term termId="12.3">
<Name xml:lang="en">Car AV</Name>
</Term>
</Term>
<Term termId="13">
<Name xml:lang="en">Game Platform</Name>
<Term termID="13.1">
<Name xml:lang="en">3DO</Name>
</Term>
<Term termID="13.2">
<Name xml:lang="en">Amiga</Name>
</Term>
<Term termID="13.3">
<Name xml:lang="en">Apple II</Name>
</Term>
<Term termID="13.4">
<Name xml:lang="en">Atari</Name>
<Term termID="13.4.1">
<Name xml:lang="en">2600</Name>
</Term>
<Term termID="13.4.2">
<Name xml:lang="en">5200</Name>
</Term>
<Term termID="13.4.3">
<Name xml:lang="en">7800</Name>
</Term>
<Term termID="13.4.4">
<Name xml:lang="en">ST</Name>
</Term>
</Term>
<Term termID="13.5">
<Name xml:lang="en">ColecoVision</Name>
</Term>
<Term termID="13.6">
<Name xml:lang="en">Commodore 64</Name>
</Term>
<Term termID="13.7">
<Name xml:lang="en">Dreamcast</Name>
</Term>
<Term termID="13.8">
<Name xml:lang="en">Game Boy</Name>
<Term termID="13.8.1">
<Name xml:lang="en">Usual</Name>
</Term>
<Term termID="13.8.2">
<Name xml:lang="en">Advance</Name>
</Term>
<Term termID="13.8.3">
<Name xml:lang="en">Color</Name>
</Term>
</Term>
<Term termID="13.9">
<Name xml:lang="en">Game Cube</Name>
</Term>
<Term termID="13.10">
<Name xml:lang="en">Game Gear</Name>
</Term>
<Term termID="13.11">
<Name xml:lang="en">Genesis</Name>
</Term>
<Term termID="13.12">
<Name xml:lang="en">Intellivision</Name>
</Term>
<Term termID="13.13">
<Name xml:lang="en">Jaguar</Name>
</Term>
<Term termID="13.14">
<Name xml:lang="en">Lynx</Name>
</Term>
<Term termID="13.15">
<Name xml:lang="en">NES</Name>
</Term>
<Term termID="13.16">
<Name xml:lang="en">N-Gage</Name>
</Term>
<Term termID="13.17">
<Name xml:lang="en">Nintendo</Name>
<Term termID="13.17.1">
<Name xml:lang="en">64</Name>
</Term>
<Term termID="13.17.2">
<Name xml:lang="en">DS</Name>
</Term>
</Term>
<Term termID="13.18">
<Name xml:lang="en">PC Booter</Name>
</Term>
<Term termID="13.19">
<Name xml:lang="en">PlayStation</Name>
<Term termID="13.19.1">
<Name xml:lang="en">Usual</Name>
</Term>
<Term termID="13.19.2">
<Name xml:lang="en">2</Name>
</Term>
</Term>
<Term termID="13.20">
<Name xml:lang="en">PSP</Name>
</Term>
<Term termID="13.21">
<Name xml:lang="en">Saturn</Name>
</Term>
<Term termID="13.22">
<Name xml:lang="en">Sega</Name>
<Term termID="13.22.1">
<Name xml:lang="en">32X</Name>
</Term>
<Term termID="13.22.2">
<Name xml:lang="en">CD</Name>
</Term>
<Term termID="13.22.3">
<Name xml:lang="en">Master System</Name>
</Term>
</Term>
<Term termID="13.23">
<Name xml:lang="en">SNES</Name>
</Term>
<Term termID="13.24">
<Name xml:lang="en">TI-99/4A</Name>
</Term>
<Term termID="13.25">
<Name xml:lang="en">TurboGrafx</Name>
<Term termID="13.25.1">
<Name xml:lang="en">16</Name>
</Term>
<Term termID="13.25.2">
<Name xml:lang="en">CD</Name>
</Term>
</Term>
<Term termID="13.26">
<Name xml:lang="en">Vectrex</Name>
</Term>
<Term termID="13.27">
<Name xml:lang="en">VIC-20</Name>
</Term>
<Term termID="13.28">
<Name xml:lang="en">Virtual Boy</Name>
</Term>
<Term termID="13.29">
<Name xml:lang="en">V.Smile</Name>
</Term>
<Term termID="13.30">
<Name xml:lang="en">Xbox</Name>
</Term>
<Term termID="13.31">
<Name xml:lang="en">ZX Spectrum</Name>
</Term>
</Term>
<Term termId="14">
<Name xml:lang="en">Home Server</Name>
<Term termId="14.1">
<Name xml:lang="en">Media Server</Name>
</Term>
<Term termId="14.2">
<Name xml:lang="en">Refrigerator HS</Name>
</Term>
<Term termId="14.3">
<Name xml:lang="en">Game machine HS</Name>
</Term>
</Term>
</ClassificationSchem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게임 콘텐츠의 특징을 기술하는 메타데이터를 정의하여 이용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단말 장치가 그 목적에 따라 게임을 적절하게 선택하고 소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9)

  1. 게임 콘텐츠를 포함한 맞춤형 방송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상기 게임 콘텐츠가 포함된 맞춤형 방송 콘텐츠 및 게임 메타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공시하고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제공 수단;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 및 선택 신호에 상응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검색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게임 메타데이터는 상기 게임 콘텐츠의 특성을 기술하기 위한 메타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메타데이터는,
    사용자가 게임을 진행하는 역할 또는 시점에 관한 정보를 기술하는 관점 정보; 및
    게임에 액세스할 수 있는 사용자의 인원수를 나타내는 플레이어 인원수 정보
    를 포함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점 정보는,
    사용자의 시점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를 나타내는 1인칭 관점 정보; 및
    사용자가 자신을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나타내는 3인칭 관점 정보
    를 포함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점 정보는,
    톱다운 뷰에 의해 게임 플레이의 주요 설정이 표현되는 톱다운 정보; 및
    2차원 플레이필드의 게임이 3차원으로 보이도록 아이소메트릭 뷰로 묘사되는 아이소메트릭 관점 정보
    를 더 포함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점 정보는,
    그래픽을 이용하지 않는 게임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기술하는 텍스트 기반 게임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점 정보는,
    게임의 플레이어가 플레이 필드의 일측으로부터 수평으로 타측으로 이동하는 게임을 기술하는 사이드 스크롤러 정보; 및
    플레이어에 대한 일련의 플로어, 레벨 또는 플랫폼으로 플레이필드가 설정되는 게임을 기술하는 플랫폼 정보를 포함하는
    플랫/사이드 뷰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원수는
    게임에 액세스할 수 있는 사용자의 최대 인원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메타데이터는,
    게임이 소비되는 사용자 단말의 환경을 기술하는 사용자 정보 메타데이터
    를 포함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메타데이터는,
    게임이 소비될 수 있는 운영 체제의 종류를 기술하는 운영 체제 정보;
    게임이 동작하기 위한 프로세스 성능을 기술하는 프로세스 정보; 및
    게임 소비를 위해 사전에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술하는 시스템소프트웨어 정보
    를 포함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메타데이터는,
    게임이 소비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의 가상 머쉰의 종류를 기술하는 가상 머쉰 정보
    를 더 포함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메타데이터는,
    게임이 타겟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플랫폼 정보를 기술하는 단말 유형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수단은,
    패키지가 프로그램에 독립적이면 게임을 포함하는 패키지만을 생성하고,
    패키지가 프로그램에 의존적이면, AV프로그램 및 게임을 포함하는 패키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로부터 채널과 방송시간을 포함하는 콘텐츠의 물리적인 위치를 결정하여 제공하기 위한 위치 결정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위치 결정 수단으로부터 콘텐츠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콤포넌트의 물리적인 위치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위치로부터 콤포넌트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콤포넌트들은 콤포넌트 간의 공간적/시간적 관계 정보에 따라 구성된 화면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패키지 시청 이력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의 선호도 추출 정보에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17. 게임 콘텐츠를 포함한 맞춤형 방송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상기 게임 콘텐츠가 포함된 맞춤형 방송 콘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공시하고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제공 수단;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 및 선택 신호에 상응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검색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방송 콘텐츠의 공통적인 특성을 기술하기 위한 공통 기술 메타데이터; 및
    상기 게임 콘텐츠의 특성을 기술하기 위한 게임 기술 메타데이터
    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기술 메타데이터는,
    타이틀, 미디어 타이틀, 시놉시스, 언어, 제작일 및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기술 메타데이터는,
    TVA1의 "BasicContentDescriptionType" 메타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기술 메타데이터는,
    사용자가 게임을 진행하는 역할 또는 시점에 관한 정보를 기술하는 관점 정보; 및
    게임에 액세스할 수 있는 사용자의 인원수를 나타내는 플레이어 인원수 정보
    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점 정보는,
    사용자의 시점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를 나타내는 1인칭 관점 정보; 및
    사용자가 자신을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나타내는 3인칭 관점 정보
    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점 정보는,
    톱다운 뷰에 의해 게임 플레이의 주요 설정이 표현되는 톱다운 정보;
    2차원 플레이필드의 게임이 3차원으로 보이도록 아이소메트릭 뷰로 묘사되는 아이소메트릭 관점 정보; 및
    그래픽을 이용하지 않는 게임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기술하는 텍스트 기반 게임 정보
    를 더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점 정보는,
    게임의 플레이어가 플레이 필드의 일측으로부터 수평으로 타측으로 이동하는 게임을 기술하는 사이드 스크롤러 정보; 및
    플레이어에 대한 일련의 플로어, 레벨 또는 플랫폼으로 플레이필드가 설정되는 게임을 기술하는 플랫폼 정보를 포함하는
    플랫/사이드 뷰 정보를 더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게임 콘텐츠가 소비되는 사용자 단말의 환경을 기술하는 사용자 정보 메타데이터
    를 더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메타데이터는,
    게임이 소비될 수 있는 운영 체제의 종류를 기술하는 운영 체제 정보;
    게임이 동작하기 위한 프로세스 성능을 기술하는 프로세스 정보; 및
    게임 소비를 위해 사전에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술하는 시스템소프트웨어 정보
    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메타데이터는,
    게임이 소비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의 가상 머쉰의 종류를 기술하는 가상 머쉰 정보
    를 더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메타데이터는,
    게임이 타겟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플랫폼 정보를 기술하는 단말 유형 정보를 더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28. 게임 콘텐츠를 포함한 맞춤형 방송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게임 콘텐츠가 포함된 맞춤형 방송 콘텐츠 및 게임 메타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공시하는 공시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 및 선택 신호에 상응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검색/선택 단계;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의 물리적 위치를 결정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결정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제공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게임 메타데이터는 상기 게임 콘텐츠의 특성을 기술하기 위한 메타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 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메타데이터는,
    사용자가 게임을 진행하는 역할 또는 시점에 관한 정보를 기술하는 관점 정보; 및
    게임에 액세스할 수 있는 사용자의 최대 인원수를 나타내는 플레이어 인원수 정보
    를 포함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점 정보는,
    사용자의 시점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를 나타내는 1인칭 관점 정보; 및
    사용자가 자신을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나타내는 3인칭 관점 정보
    를 포함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점 정보는,
    톱다운 뷰에 의해 게임 플레이의 주요 설정이 표현되는 톱다운 정보;
    2차원 플레이필드의 게임이 3차원으로 보이도록 아이소메트릭 뷰로 묘사되는 아이소메트릭 관점 정보;
    그래픽을 이용하지 않는 게임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기술하는 텍스트 기반 게임 정보;
    게임의 플레이어가 플레이 필드의 일측으로부터 수평으로 타측으로 이동하는 게임을 기술하는 사이드 스크롤러 정보; 및
    플레이어에 대한 일련의 플로어, 레벨 또는 플랫폼으로 플레이필드가 설정되는 게임을 기술하는 플랫폼 정보
    를 더 포함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32.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메타데이터는,
    게임이 소비되는 사용자 단말의 환경을 기술하는 사용자 정보 메타데이터
    를 포함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메타데이터는,
    게임이 소비될 수 있는 운영 체제의 종류를 기술하는 운영 체제 정보;
    게임이 동작하기 위한 프로세스 성능을 기술하는 프로세스 정보;
    게임 소비를 위해 사전에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술하는 시스템소프트웨어 정보; 및
    게임이 소비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의 가상 머쉰의 종류를 기술하는 가상 머쉰 정보
    를 포함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메타데이터는,
    게임이 타겟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플랫폼 정보를 기술하는 단말 유형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35. 동기화 기능 및 타겟팅 기능을 지원하는 맞춤형 방송 서비스를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게임 콘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콘텐츠를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로서,
    상기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공시받은 상기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게임 콘텐츠를 검색 및 선택하여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상호 작용부;
    상기 획득한 게임 콘텐츠 및 게임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저장 장치 관리부 및
    상기 게임 콘텐츠 및 게임 메타데이터를 사용자에게 표출하기 위한 콘텐츠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게임 메타데이터는 상기 게임 콘텐츠의 특성을 기술하기 위한 메타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상호 작용부는,
    상기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콘텐츠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게임 콘텐츠의 물리적인 위치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위치로부터 게임 콘텐츠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출력부는,
    상기 획득된 게임 콘텐츠를 구성하는 콤포넌트 간의 공간적/시간적 관계 정 보에 따라 구성된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8.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장치 관리부는,
    상기 게임 콘텐츠의 패키지 시청 이력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의 선호도 추출 정보에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9.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메타데이터는,
    사용자가 게임을 진행하는 역할 또는 시점에 관한 정보를 기술하는 관점 정보; 및
    게임에 액세스할 수 있는 사용자의 인원수를 나타내는 플레이어 인원수 정보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40.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메타데이터는,
    게임이 소비되는 사용자 단말의 환경을 기술하는 사용자 정보 메타데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메타데이터는,
    게임이 소비될 수 있는 운영 체제의 종류를 기술하는 운영 체제 정보;
    게임이 동작하기 위한 프로세스 성능을 기술하는 프로세스 정보;
    게임 소비를 위해 사전에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술하는 시스템소프트웨어 정보; 및
    게임이 소비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의 가상 머쉰의 종류를 기술하는 가상 머쉰 정보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메타데이터는,
    게임이 타겟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플랫폼 정보를 기술하는 단말 유형 정보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43. 게임 콘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콘텐츠를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방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게임 콘텐츠를 포함한 방송 콘텐츠를 타겟팅 기능을 지원하여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상기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게임 콘텐츠를 포함한 방송 콘텐츠 및 게임 메타데이터를 수신하여 소비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되,
    상기 게임 메타데이터는 상기 게임 콘텐츠의 특성을 기술하기 위한 메타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시스템.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게임 콘텐츠가 포함된 맞춤형 방송 콘텐츠 및 게임 메타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공시하고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제공 수단;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 및 선택 신호에 상응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검색 수단
    을 포함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시스템.
  4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게임 콘텐츠를 검색 및 선택하여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상호 작용부;
    상기 획득한 게임 콘텐츠 및 게임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저장 장치 관리부 및
    상기 게임 콘텐츠 및 게임 메타데이터를 사용자에게 표출하기 위한 콘텐츠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시스템.
  46.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메타데이터는,
    사용자가 게임을 진행하는 역할 또는 시점에 관한 정보를 기술하는 관점 정보; 및
    게임에 액세스할 수 있는 사용자의 인원수를 나타내는 플레이어 인원수 정보
    를 포함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시스템.
  47.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메타데이터는,
    게임이 소비되는 사용자 단말의 환경을 기술하는 사용자 정보 메타데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시스템.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메타데이터는,
    게임이 소비될 수 있는 운영 체제의 종류를 기술하는 운영 체제 정보;
    게임이 동작하기 위한 프로세스 성능을 기술하는 프로세스 정보;
    게임 소비를 위해 사전에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술하는 시스템소프트웨어 정보;
    게임이 소비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의 가상 머쉰의 종류를 기술하는 가상 머쉰 정보 및
    게임이 타겟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플랫폼 정보를 기술하는 단말 유형 정보를 포함하는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시스템.
  49. TVA(TV-Anytime) 방송 서비스를 위한 게임 메타데이터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게임 메타데이터는,
    사용자가 게임을 진행하는 역할 또는 시점에 관한 정보를 기술하는 관점 정보; 및
    게임에 액세스할 수 있는 사용자의 인원수를 나타내는 플레이어 인원수 정보
    를 포함하여,
    게임 콘텐츠의 특성을 기술하기 위한 메타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메타데이터 구조.
KR1020060001760A 2005-01-07 2006-01-06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및 방법 KR100848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861 2005-01-07
KR20050001861 2005-0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370A true KR20060081370A (ko) 2006-07-12
KR100848126B1 KR100848126B1 (ko) 2008-07-24

Family

ID=36647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760A KR100848126B1 (ko) 2005-01-07 2006-01-06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60884B2 (ko)
EP (1) EP1839190A4 (ko)
JP (1) JP2008531072A (ko)
KR (1) KR100848126B1 (ko)
CN (1) CN101137976A (ko)
WO (1) WO20060732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880B1 (ko) * 2006-08-09 2008-03-18 전자부품연구원 에이전트 모듈을 이용한 티비-애니타임 시스템의 검색 장치및 검색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3283A1 (en) * 2005-01-07 2006-07-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aptive broadcast service using game metadata
US8224087B2 (en) * 2007-07-16 2012-07-17 Michael Bronstei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digest generation
US8849183B2 (en) * 2007-10-05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Location and time based filtering of broadcast information
EP2061213A1 (en) * 2007-11-19 2009-05-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application preference registration to a content delivery system
US20120005017A1 (en) * 2010-07-01 2012-01-05 Yahoo!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s
US9095772B2 (en) * 2012-02-07 2015-08-04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Online gaming
US10810286B2 (en) * 2018-04-24 2020-10-20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ly accessing media content based on rights
CN110225395B (zh) * 2019-07-10 2021-06-04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节目内容展示方法、机顶盒终端和节目管理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00205A3 (en) * 1994-08-31 1997-04-02 Toshiba Kk Multimedia television receiver and initialization process therefor
KR20010021813A (ko) 1998-05-13 2001-03-15 이데이 노부유끼 콘텐츠 제공 시스템
JP4554806B2 (ja) 2000-05-11 2010-09-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受信方法及び送信方法
US7548565B2 (en) * 2000-07-24 2009-06-16 Vmar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metadata generation, delivery and access for live broadcast program
US7805680B2 (en) * 2001-01-03 2010-09-28 Nokia Corporation Statistical metering and filtering of content via pixel-based metadata
JP2003018579A (ja) 2001-06-28 2003-01-17 Toshiba Corp コンテンツ提供方法、受信端末装置、コンテンツ提供サーバ
CA2664732C (en) * 2002-04-12 2013-07-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n apparatus to edit, reproduce, deliver, search and re-generate condition settings for metadata
JP2005534102A (ja) * 2002-07-23 2005-11-10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メタデータのインデックス構造と記録媒体
SG142157A1 (en) 2002-07-23 2008-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dex structure of metadata, method for providing indices of metadata, and metadata search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indices of metadata
EP1566055A1 (en) 2002-11-19 2005-08-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concurrently presenting multiple content types in a tv platform
US8491391B2 (en) * 2003-03-10 2013-07-23 Igt Regulated gaming—agile media player for controlling games
KR101009629B1 (ko) 2003-03-13 2011-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확장메타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와 이를 이용한 적응적 프로그램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7846023B2 (en) 2003-03-27 2010-12-07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centric user interface techniques
KR100493896B1 (ko) 2003-04-18 200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콘텐트 메타데이터 변환 방법 및 장치, 그리고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US8930561B2 (en) * 2003-09-15 2015-01-0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Addition of supplemental multimedia content and interactive capability at the client
WO2006073283A1 (en) * 2005-01-07 2006-07-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aptive broadcast service using game metadata
KR101719992B1 (ko) * 2010-11-16 201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타데이터 활용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880B1 (ko) * 2006-08-09 2008-03-18 전자부품연구원 에이전트 모듈을 이용한 티비-애니타임 시스템의 검색 장치및 검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73283A1 (en) 2006-07-13
JP2008531072A (ja) 2008-08-14
EP1839190A4 (en) 2012-01-18
US8360884B2 (en) 2013-01-29
US20080132337A1 (en) 2008-06-05
EP1839190A1 (en) 2007-10-03
CN101137976A (zh) 2008-03-05
KR100848126B1 (ko) 2008-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126B1 (ko) 게임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및 방법
US20220249953A1 (en) Integrated online gaming portal offering entertainment-related casual games and user-generated media
CN112334886B (zh) 内容分发系统、内容分发方法、记录介质
US9990437B2 (en) Server system for sharing game play videos
US8246454B2 (en) System for converting television commercials into interactive networked video games
US20210297726A1 (en) Determination of Enhanced Viewing Experiences Based on Viewer Engagement
US20090253507A1 (en) Game movie distribution method and system
US20090253506A1 (en) Game movie distribution method and system
US20130183021A1 (en) Supplemental content on a mobile device
WO2013013281A1 (en) Game enhancement system for gaming environment
US892024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6186068B1 (ja)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
US202201262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Real-Time Customization of Video Game Content Based on Player Data
US20220277493A1 (en) Content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JP5090557B2 (ja) 配信システム、端末装置のプログラム、配信方法、及び、コマンド設定方法
KR100721409B1 (ko) 동영상 장면 검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면 검색 시스템
Sell E-Sports broadcasting
JP2009060458A (ja) 動画配信システム、端末装置のプログラム、配信動画再生方法、及び、コマンド設定方法
KR101508766B1 (ko) 게임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US202103701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er-to-peep wireless gaming
JP727013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7360715B2 (ja) 制御システム、情報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5814432A (zh) 游戏片段推荐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20170361219A1 (en) Utilization Of In-Game Currency In A Movie Trivia Game.
JP2005260918A (ja) データ配信システム、データ配信方法およびシナリオデータが記憶されている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