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9625A - 적색 인광 발광 이리듐 착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기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적색 인광 발광 이리듐 착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기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9625A
KR20060079625A KR1020050000069A KR20050000069A KR20060079625A KR 20060079625 A KR20060079625 A KR 20060079625A KR 1020050000069 A KR1020050000069 A KR 1020050000069A KR 20050000069 A KR20050000069 A KR 20050000069A KR 20060079625 A KR20060079625 A KR 20060079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light emitting
laye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9096B1 (ko
Inventor
변기남
이범성
정상윤
유한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0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9096B1/ko
Publication of KR20060079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3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curved surfaces of essentially spherical, or part-spherical, articles
    • B41F17/34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curved surfaces of essentially spherical, or part-spherical, articles on articles with surface irregularities, e.g. fruits, nu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3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curved surfaces of essentially spherical, or part-spheric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41F33/04Tripping devices or stop-motions
    • B41F33/14Automatic control of tripping devices by feelers, photoelectric devices, pneumatic devices, or other de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적색 인광 발광 이리듐 유기착체 및 이를 발광물질로 포함하는 유기 전기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주요 리간드로 벤조퀴놀린기 또는 벤조퀴녹살린기를, 보조 리간드로 아세틸아세톤기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리듐 유기착체는 전기적 안정성 및 발광효율이 우수하며, 고휘도 발광 및 높은 색순도 구현이 가능한 적색 영역의 발광을 나타내므로,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적색 인광 발광물질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적색 인광 발광 이리듐 착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발광 소자{PHOSPHORESCENT RED-EMITTING IRIDIUM COMPLEX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SAME}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개략적인 구조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개략적인 구조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21, 31 및 41: 투명전극(양극) 12, 22, 32 및 42: 정공 주입층
13, 23, 33 및 43: 정공 수송층 14, 24, 34 및 44: 발광층
15, 25, 35 및 45: 전자 수송층 16, 26, 36 및 46: 전자 주입층
17, 27, 37 및 47: 금속전극(음극) 28, 38 및 48: 정공 차단층
39: 전자 차단층
본 발명은 적색 인광 발광특성을 갖는 이리듐 유기착체 및 이를 발광물질로 포함하는 유기 전기발광(electroluminescent, EL) 소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평판 표시소자는 급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인터넷을 중심으로 한 고도의 영상 정보화 사회를 지탱하는 기기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자체 발광형으로 저전압 구동이 가능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유기 EL 소자)는, 평판 표시소자의 주류인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에 비해 시야각, 대조비 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가 불필요하여 경량 및 박형이 가능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응답속도가 빠르며, 색 재현 범위가 넓어 차세대 표시소자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EL 소자는 투명전극으로 이루어진 양극(anode), 발광영역을 포함하는 유기박막 및 금속전극(cathode)의 순으로 유리기판 위에 형성된다. 이때, 유기박막은 발광층(light emitting layer, EML) 외에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또는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층의 발광특성상 전자 차단층(electron blocking layer, EBL) 또는 정공 차단층(hole blocking layer, HBL)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유기 EL 소자에 전기장이 가해지면 양극으로부터 정공이 주입되고 음극으로부터 전자가 주입되며, 주입된 정공과 전자는 각각 정공 수송층과 전 자 수송층을 거쳐 발광층에서 재조합(recombination)하여 발광여기자(exitons)를 형성한다. 형성된 발광여기자는 바닥상태(ground states)로 전이하면서 빛을 방출하는데, 이때, 발광 상태의 효율과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발광 색소(도펀트)를 발광층(호스트)에 도핑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형광 발광물질 뿐 아니라 인광 발광물질도 유기EL소자의 발광물질로 사용될 수 있음이 알려졌으며(D. F. O'Brien 등, Applied Physics Letters, 74(3), 442-444, 1999; M. A. Baldo 등, Applied Physics letters, 75(1), 4-6, 1999), 이러한 인광 발광은 바닥상태에서 여기상태로 전자가 전이한 후, 계간 전이(intersystem crossing)를 통해 단일항 여기자가 삼중항 여기자로 비발광전이된 다음, 삼중항 여기자가 바닥상태로 전이하면서 발광하는 메카니즘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삼중항 여기자의 전이 시 직접 바닥상태로 전이할 수 없어(spin forbidden) 전자 스핀의 뒤바뀜(flipping)이 진행된 이후에 바닥상태로 전이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형광보다 수명(발광시간)(lifetime)이 길어지는 특성을 갖는다. 즉, 형광 발광의 발광 지속기간(emission duration)은 수 나노초(several nano seconds)에 불과하지만, 인광 발광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인 수 마이크로초(several micro seconds)에 해당한다.
또한, 양자역학적으로 살펴볼 때, 유기 EL 소자에서 양극에서 주입된 정공과 음극에서 주입된 전자가 재결합하여 발광여기자를 형성할 경우, 단일항과 삼중항의 생성 비율은 1:3으로 EL 소자 내에서 삼중항 발광여기자가 단일항 발광여기자보다 3배 가량 더 생성된다. 따라서, 인광 발광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형광 발광물질에 비해 3배 정도 높은 발광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인광 발광이 용이한 분자구조로는 계간전이가 용이한 분자 구조로 원자번호가 큰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 착체가 해당되며, 그 중에서도 이리듐 유기착체는 인광 발광효율이 우수한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발광효율, 색순도 및 전기적 안정성 등에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특히 청색 및 적색 발광의 경우 발광효율, 색순도 및 전기적 안정성이 우수한 인광 발광재료의 개발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적 안정성 및 발광효율이 우수하며, 고휘도 발광 및 높은 색순도 구현이 가능한 적색 인광 발광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이리듐 유기착체를 제공한다:
Figure 112005000060779-PAT00001
상기 식에서,
R1, R2, R3, R6, R7 및 R8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카복시, 아미노, 시아노, 니트로, C1-C6 알킬, C6-C18 아릴, C1-C6 알콕시, 또는 S 또는 N 등과 같은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4-C6 헤테로환이고, R2 및 R3는 서로 융합되어 방향족 환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6 알킬, C1-C 6 할로알킬, C6-C18 아릴, C4-C12 헤테로환, 알킬 또는 아릴로 치환된 아미노, C1-C6 알콕시, 시아노 또는 니트로이고;
X는 CH 또는 N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가교된 이리듐(bridged iridium)을 이용하는 공지된 방법(Mark E. Thomson, J. Am. Chem. Soc., 2001, 123, 4304)에 따라, 각 화합물의 주요 리간드 화합물과 염화이리듐 수화물(IrCl3ㆍxH2O)을 용매 존재 하에 반응시킨 후, 반응 생성물을 과량의 보조 리간드 화합물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리듐 유기착체는, 상기 화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주요 리간드(main ligand)로서 벤조퀴놀린 또는 벤조퀴녹살린이 도입되고, 보조 리간드(auxiliary ligand)로서 아세틸아세톤이 도입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기적 안정성이 우수할뿐만 아니라 발광효율, 발광휘도, 및 색순도가 기존의 이리듐 착화합물에 비해 매우 높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중 바람직한 것은 하기 화학식 1a 내지 1m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이다.
Figure 112005000060779-PAT00002
Figure 112005000060779-PAT00003
Figure 112005000060779-PAT00004
Figure 112005000060779-PAT00005
Figure 112005000060779-PAT00006
Figure 112005000060779-PAT00007
Figure 112005000060779-PAT00008
Figure 112005000060779-PAT00009
Figure 112005000060779-PAT00010
Figure 112005000060779-PAT00011
Figure 112005000060779-PAT00012
Figure 112005000060779-PAT00013
Figure 112005000060779-PAT00014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합물을 발광물질로서 발광층에 포함하는 유기 전기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기발광 소자는 양극, 음극 및 두 전극 사이에 상기 화학식 1의 이리듐 유기착체를 발광물질로 포함하는 발광층을 하나의 구성단위로 포함하는 단층형이거나, 전하 수송층과 함께 양극, 상기 화학식 1의 이리듐 유기착체를 발광물질로 포함하는 발광층 및 음극이 순서대로 적층된 다층형 구조를 갖는 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발광층으로만 이루어진 단층형 소자보다는 발광층과 전하 수송층이 조합된 다층형 소자가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며, 이는 발광물질과 전하 수송재료가 적절하게 조합됨으로써 전극으로부터 전하가 주입될 때 에너지 장벽이 감소되고, 전하 수송층이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 또는 전자를 발광층 영역에 속박시킴으로써 주입된 정공과 전자의 수밀도가 균형을 이루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특히, 인광 발광소자의 경우에는 인광 발광물질의 발광 지속기간(emission duration)이 길기 때문에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발광층에 정공을 가두어 오랫동안 정공이 발광층에 머물게 해야만 우수한 인광 발광특성을 나타내게 되므로 다층형 발광소자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른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개략적인 구조단면도를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유기전기발광소자는 투명전극(양극)(11, 21, 31), 정공 주입층(12, 22, 32), 정공 수송층(13, 23, 33), 발광층(14, 24, 34), 전자 수송층(15, 25, 35), 전자 주입층(16, 26, 36) 및 금속전극(음극)(17, 27, 37)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발광효율의 향상을 목적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층(24)과 전자 수송층(25) 사이에 정공 차단층(28)을 추가로 포함하거나,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층(34)과 전자 수송층(35) 사이에 정공 차단층(38)을, 발광층(34)과 정공 수송층(33) 사이에 전자 차단층(39)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기발광소자에서 투명전극(양극)(11, 21, 31) 및 금속 전극(음극)(17, 27, 37)은 통상적인 전극재료, 예를 들면, 투명전극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또는 SnO2로, 금속전극은 Li, Mg, Ca, Ag, Al 및 In 등의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전극의 경우 단층 또는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발광층(14, 24, 34)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발광물질로서 포함하는 단층 또는 2층 이상의 다층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발광물질로서 발광층에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으며, 기타 화합물,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3의 4,4-다이카바졸 비스페닐(CBP) 등과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05000060779-PAT00015
정공 수송층(13, 23, 33)은 통상적인 정공 수송 물질,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4의 4,4-비스[N-(1-나프틸)-N-페닐-아민]비페닐(이하 α-NPD로 약칭함), 하기 화학식 5의 N,N-디페닐-N,N-비스(3-메틸페닐)-1,1-비페닐-4,4-디아민(이하, TPD로 약칭함), 폴리-(N-비닐카바졸)(이하 PVCz로 약칭함) 등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다른 층이 적층된 2층 이상일 수도 있다.
Figure 112005000060779-PAT00016
Figure 112005000060779-PAT00017
정공 차단층(28, 38)은 5.5 내지 7.0 범위의 LUMO(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값을 갖고 정공 수송능력은 현저히 떨어지면서 전자 수송능력이 우수한 물질,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6의 바쏘쿠프로인(Bathocuproine, BCP), 하기 화학식 7의 3-(4-비페닐릴)-4-페닐-5-(4-t-부틸페닐)-1,2,4-트리아졸(이하, TAZ로 약칭함), 및 하기 화학식 8의 비스(8-하이드록시-2-메틸퀴놀리나토)-알루미늄 바이페녹시드(이하 BAlq로 약칭함)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자 차단층(39)으로는 일반적으로 LUMO 값이 큰, 하기 화학식 9의 Ir(ppz)3 등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Figure 112005000060779-PAT00018
Figure 112005000060779-PAT00019
Figure 112005000060779-PAT00020
Figure 112005000060779-PAT00021
전자 수송층(15, 25, 35)은 통상적인 전자 수송 물질, 예를 들면 트리스(8-퀴놀리놀라토)알루미늄(이하 Alq3), 루브렌(rubrene) 등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층이 적층된 2층 이상일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효율, 수명 등의 소자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양극(11, 21, 31)과 정공 수송층(13, 23, 33) 사이에 구리 프탈로시아닌(copper phthalocyanine, CuPc) 등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정공 주입층(12, 22, 32)을 삽입하거나, 음극(17, 27, 37)과 전자수송층(15, 25, 35) 사이에 LiF 등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전자주입층 등을 삽입할 수도 있다.
상기 양극, 음극 및 각종 유기층은 통상적인 진공 증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유기 전기발광 소자(도 1 내지 3)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구동되고, 전압은 통상적으로 직류를 사용하지만 펄스 또는 교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한정하지는 않는다.
제조예 1: 화학식 1a의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1a의 주요 리간드 화합물을 에톡시에탄올과 물이 3:1 비율로 혼합된 용매 하에 염화이리듐 수화물(IrCl3ㆍxH2O, 알드리치사)과 140 ℃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환류시켜 얻어진 화합물(bridged Ir complex)을, 보조 리간드 화합물 및 CF3SO3Ag과 고르게 혼합한 후 용매 없이 150 ℃에서 12시간 동안 가열 교반하여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얻었다.
제조예 2 내지 13: 화학식 1b 내지 1m의 화합물의 제조
각 목적 화합물의 주요 리간드 및 보조 리간드에 해당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유사한 공정을 수행하여 화학식 1b 내지 1m의 화합물을 각각 수득하였다.
유기 전기발광 소자의 제작
실시예 1:
150 nm 두께의 ITO(Indium Tin Oxide) 코팅 유리(아사히글래스 (주), 시트 저항 8 Ω/cm2)를, 물을 베이스로 한 세제, 초순수, 아이소프로필알콜 및 메탄올로 순차적으로 초음파 세척하여 투명전극(41)을 제작하였다.
이 투명전극 위에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을 증착하여 20 nm의 정공 주입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4,4-비스[N-(1-나프틸)-N-페닐-아민]비페닐(α-NPD)을 증착하여 20 nm의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4,4-다이카바졸 비스페닐(CBP) 및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10:1의 중량비로 사용하여 1 nm/초의 속도로 정공 수송층 위에 공증착시켜 30 nm의 두께의 발광층(44)을 형성하였다. 그런 다음, 그 위에 바쏘쿠프로인(BCP)을 0.1 nm/초의 속도로 진공 증착시켜 10 nm 두께의 정공 차단층(48)을 형성한 후, 그 위에 트리스(8-퀴놀리놀라토)알루미늄 (Alq3)을 진공 증착시켜 40 nm 두께의 전자 수송층(45)을 형성하고, LiF를 증착시켜 1 nm 두께의 전자 주입층(46)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전자 주입층(46) 위에 Al을 진공 증착시켜 150 nm 두께의 음극을 형성함으로써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유기 EL 소자에 순바이어스 직류전압을 가하여 포토리서치(Photo research)사의 PR-650으로 전기발광(EL) 특성을 측정한 결과, 초기 구동전압(turn-on voltage)은 3 V이었고, 초기 구동전압 3 V에서 휘도 및 발광 효율이 각각 1.1 cd/m2 및 13.0 cd/A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동전압 8.5 V에서는 1034 cd/m2의 휘도 및 12.1 cd/A의 발광효율을 나타내었고, 이때 색좌표 x, y=[0.65, 0.35]의 적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광하였으며, 소자의 최대휘도는 구동전압 15.5 V에서 25,432 cd/m2이었다.
실시예 2:
발광층에 포함되는 발광물질로서 화학식 1a의 화합물 대신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화학식 1b의 화합물을 CBP 사용량의 10 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소자의 전기발광(EL) 특성을 측정한 결과, 초기 구동전압은 3.5 V이었고, 초기 구동전압 3.5 V에서 휘도 및 발광 효율이 각각 1.05 cd/m2 및 12.5 cd/A 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동전압 9 V에서는 1153 cd/m2의 휘도 및 10.9 cd/A의 발광효율을 나타내었고, 이때 색좌표 x, y=[0.64, 0.36]의 적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광하였으며, 소자의 최대휘도는 구동전압 16 V에서 30,820 cd/m2이었다.
실시예 3:
발광층에 포함되는 발광물질로서 화학식 1a의 화합물 대신 제조예 3에서 제조한 화학식 1c의 화합물을 CBP 사용량의 10 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소자의 전기발광(EL) 특성을 측정한 결과, 초기 구동전압은 3.0 V이었고, 초기 구동전압 3.0 V에서 휘도 및 발광 효율이 각각 1.2 cd/m2 및 13.8 cd/A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동전압 8 V에서는 1087 cd/m2의 휘도 및 12.9 cd/A의 발광효율을 나타내었고, 이때 색좌표 x, y=[0.65, 0.35]의 적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광하였으며, 소자의 최대휘도는 구동전압 15 V에서 29,863 cd/m2이었다.
실시예 4:
발광층에 포함되는 발광물질로서 화학식 1a의 화합물 대신 제조예 4에서 제조한 화학식 1d의 화합물을 CBP 사용량의 8 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소자의 전기발광(EL) 특성을 측정한 결과, 초기 구동전압은 3.5 V이었고, 초기 구동전압 3.5 V에서 휘도 및 발광 효율이 각각 1.0 cd/m2 및 14.0 cd/A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동전압 8.5 V에서는 1012 cd/m2의 휘도 및 12.8 cd/A의 발광효율을 나타내었고, 이때 색좌표 x, y=[0.64, 0.36]의 적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광하였으며, 소자의 최대휘도는 구동전압 15 V에서 32,439 cd/m2이었다.
실시예 5:
발광층에 포함되는 발광물질로서 화학식 1a의 화합물 대신 제조예 5에서 제조한 화학식 1e의 화합물을 CBP 사용량의 8 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소자의 전기발광(EL) 특성을 측정한 결과, 초기 구동전압은 3.0 V이었고, 초기 구동전압 3.0 V에서 휘도 및 발광 효율이 각각 1.1 cd/m2 및 15.0 cd/A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동전압 9.5 V에서는 1384 cd/m2의 휘도 및 14.2 cd/A의 발광효율을 나타내었고, 이때 색좌표 x, y=[0.63, 0.37]의 적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광하였으며, 소자의 최대휘도는 구동전압 15.5 V에서 42,901 cd/m2이었다.
실시예 6:
발광층에 포함되는 발광물질로서 화학식 1a의 화합물 대신 제조예 6에서 제조한 화학식 1f의 화합물을 CBP 사용량의 10 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소자의 전기발광(EL) 특성을 측정한 결과, 초기 구동전압은 3.0 V이었고, 초기 구동전압 3.0 V에서 휘도 및 발광 효율이 각각 1.15 cd/m2 및 13.0 cd/A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동전압 9.5 V에서는 1198 cd/m2의 휘도 및 11.9 cd/A의 발광효율을 나타내었고, 이때 색좌표 x, y=[0.64, 0.36]의 적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광하였으며, 소자의 최대휘도는 구동전압 16 V에서 29,838 cd/m2이었다.
실시예 7:
발광층에 포함되는 발광물질로서 화학식 1a의 화합물 대신 제조예 7에서 제조한 화학식 1g의 화합물을 CBP 사용량의 10 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소자의 전기발광(EL) 특성을 측정한 결과, 초기 구동전압은 3.5 V이었고, 초기 구동전압 3.5 V에서 휘도 및 발광 효율이 각각 1.2 cd/m2 및 12.8 cd/A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동전압 9 V에서는 1204 cd/m2의 휘도 및 12.0 cd/A의 발광효율을 나타내었고, 이때 색좌표 x, y=[0.65, 0.35]의 적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 광하였으며, 소자의 최대휘도는 구동전압 15 V에서 28,776 cd/m2이었다.
실시예 8:
발광층에 포함되는 발광물질로서 화학식 1a의 화합물 대신 제조예 8에서 제조한 화학식 1h의 화합물을 CBP 사용량의 10 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소자의 전기발광(EL) 특성을 측정한 결과, 초기 구동전압은 3.5 V이었고, 초기 구동전압 3.5 V에서 휘도 및 발광 효율이 각각 1.15 cd/m2 및 15.3 cd/A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동전압 9.5 V에서는 1323 cd/m2의 휘도 및 14.0 cd/A의 발광효율을 나타내었고, 이때 색좌표 x, y=[0.63, 0.37]의 적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광하였으며, 소자의 최대휘도는 구동전압 15.5 V에서 43,829 cd/m2이었다.
실시예 9:
발광층에 포함되는 발광물질로서 화학식 1a의 화합물 대신 제조예 9에서 제조한 화학식 1i의 화합물을 CBP 사용량의 8 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소자의 전기발광(EL) 특성을 측정한 결과, 초기 구동전압은 4.0 V이었고, 초기 구동전압 4.0 V에서 휘도 및 발광 효율이 각각 1.05 cd/m2 및 13.4 cd/A 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동전압 10 V에서는 1044 cd/m2의 휘도 및 12.2 cd/A의 발광효율을 나타내었고, 이때 색좌표 x, y=[0.64, 0.36]의 적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광하였으며, 소자의 최대휘도는 구동전압 16 V에서 38,212 cd/m2이었다.
실시예 10:
발광층에 포함되는 발광물질로서 화학식 1a의 화합물 대신 제조예 10에서 제조한 화학식 1j의 화합물을 CBP 사용량의 10 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소자의 전기발광(EL) 특성을 측정한 결과, 초기 구동전압은 3.0 V이었고, 초기 구동전압 3.0 V에서 휘도 및 발광 효율이 각각 1.1 cd/m2 및 13.7 cd/A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동전압 8 V에서는 1098 cd/m2의 휘도 및 12.7 cd/A의 발광효율을 나타내었고, 이때 색좌표 x, y=[0.65, 0.35]의 적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광하였으며, 소자의 최대휘도는 구동전압 15 V에서 27,468 cd/m2이었다.
실시예 11:
발광층에 포함되는 발광물질로서 화학식 1a의 화합물 대신 제조예 11에서 제조한 화학식 1k의 화합물을 CBP 사용량의 8 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소자의 전기발광(EL) 특성을 측정한 결과, 초기 구동전압은 3.0 V이었고, 초기 구동전압 3.0 V에서 휘도 및 발광 효율이 각각 1.1 cd/m2 및 13.9 cd/A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동전압 8 V에서는 1243 cd/m2의 휘도 및 12.9 cd/A의 발광효율을 나타내었고, 이때 색좌표 x, y=[0.65, 0.35]의 적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광하였으며, 소자의 최대휘도는 구동전압 15 V에서 27,311 cd/m2이었다.
실시예 12:
발광층에 포함되는 발광물질로서 화학식 1a의 화합물 대신 제조예 12에서 제조한 화학식 1ℓ의 화합물을 CBP 사용량의 8 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소자의 전기발광(EL) 특성을 측정한 결과, 초기 구동전압은 4.0 V이었고, 초기 구동전압 4.0 V에서 휘도 및 발광 효율이 각각 1.0 cd/m2 및 15.3 cd/A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동전압 8.5 V에서는 1184 cd/m2의 휘도 및 14.0 cd/A의 발광효율을 나타내었고, 이때 색좌표 x, y=[0.62, 0.38]의 적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광하였으며, 소자의 최대휘도는 구동전압 15 V에서 50,321 cd/m2이었다.
실시예 13:
발광층에 포함되는 발광물질로서 화학식 1a의 화합물 대신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화학식 1m의 화합물을 CBP 사용량의 10 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소자의 전기발광(EL) 특성을 측정한 결과, 초기 구동전압은 4.0 V이었고, 초기 구동전압 4.0 V에서 휘도 및 발광 효율이 각각 1.1 cd/m2 및 15.6 cd/A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동전압 8 V에서는 1290 cd/m2의 휘도 및 14.2 d/A의 발광효율을 나타내었고, 이때 색좌표 x, y=[0.62, 0.38]의 적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광하였으며, 소자의 최대휘도는 구동전압 15 V에서 53,123 cd/m2이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리듐 유기착체는 전기적 안정성 및 발광효율(10 cd/A 이상)이 우수하며, 고휘도 발광(20,000 내지 50,000 cd/㎡ 이상) 및 우수한 색순도 구현이 가능한 적색 영역의 발광을 나타내므로, 유기전기발광소자의 발광물질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이리듐 유기착체:
    화학식 1
    Figure 112005000060779-PAT00022
    상기 식에서,
    R1, R2, R3, R6, R7 및 R8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카복시, 아미노, 시아노, 니트로, C1-C6 알킬, C6-C18 아릴, C1-C6 알콕시, 또는 S 또는 N 등과 같은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C4-C6 헤테로환이고, R2 및 R3는 서로 융합되어 방향족 환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6 알킬, C1-C 6 할로알킬, C6-C18 아릴, C4-C12 헤테로환, 알킬 또는 아릴로 치환된 아미노, C1-C6 알콕시, 시아노 또는 니트로이고;
    X는 CH 또는 N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a 내지 1m의 화합물 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리듐 유기착체.
    화학식 1a
    Figure 112005000060779-PAT00023
    화학식 1b
    Figure 112005000060779-PAT00024
    화학식 1c
    Figure 112005000060779-PAT00025
    화학식 1d
    Figure 112005000060779-PAT00026
    화학식 1e
    Figure 112005000060779-PAT00027
    화학식 1f
    Figure 112005000060779-PAT00028
    화학식 1g
    Figure 112005000060779-PAT00029
    화학식 1h
    Figure 112005000060779-PAT00030
    화학식 1i
    Figure 112005000060779-PAT00031
    화학식 1j
    Figure 112005000060779-PAT00032
    화학식 1k
    Figure 112005000060779-PAT00033
    화학식 1l
    Figure 112005000060779-PAT00034
    화학식 1m
    Figure 112005000060779-PAT00035
  3. 양극, 음극 및 양 전극 사이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기 발광소자에 있어서, 제 1 항의 이리듐 유기착체를 발광층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기발광소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양극 또는 음극과 발광층 사이에 전하 수송층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기발광소자.
  5. 제 4 항에 있어서,
    투명전극(양극),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및 금속전극(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층의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기발광소자.
  6. 제 4 항에 있어서,
    발광층과 전자 수송층 사이 정공 차단층을 추가로 포함하거나, 발광층과 정공 수송층 사이에 전자 차단층을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기발광소자.
KR1020050000069A 2005-01-03 2005-01-03 적색 인광 발광 이리듐 착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기발광 소자 KR100699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069A KR100699096B1 (ko) 2005-01-03 2005-01-03 적색 인광 발광 이리듐 착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기발광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069A KR100699096B1 (ko) 2005-01-03 2005-01-03 적색 인광 발광 이리듐 착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기발광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625A true KR20060079625A (ko) 2006-07-06
KR100699096B1 KR100699096B1 (ko) 2007-03-21

Family

ID=37171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069A KR100699096B1 (ko) 2005-01-03 2005-01-03 적색 인광 발광 이리듐 착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기발광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909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0991A1 (en) * 2008-02-12 2009-08-20 Basf Se Electroluminescent metal complexes with dibenzo[f,h]quinoxalines
KR20120094838A (ko) * 2011-02-01 2012-08-2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복소환 화합물
WO2013104649A1 (en) 2012-01-12 2013-07-18 Basf Se Metal complexes with dibenzo[f,h]quinoxalines
KR101442826B1 (ko) * 2007-03-30 2014-09-3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Kl 호스트 재료를 사용한 새로운 유기전계발광소자 및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US8974921B2 (en) 2011-06-16 2015-03-10 Samsung Display Co., Ltd. Condensed-cyclic compound an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comprising the same
JP2016192553A (ja) * 2011-08-31 2016-11-1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複素環化合物を有する発光素子、発光装置、電子機器、及び照明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103B1 (ko) 2011-06-29 2019-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신규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발광 소자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826B1 (ko) * 2007-03-30 2014-09-3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Kl 호스트 재료를 사용한 새로운 유기전계발광소자 및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CN101970448A (zh) * 2008-02-12 2011-02-09 巴斯夫欧洲公司 具有二苯并[f,h]喹*啉的电致发光金属络合物
JP2011511821A (ja) * 2008-02-12 2011-04-14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ジベンゾ[f,h]キノキサリンを用い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金属錯体
WO2009100991A1 (en) * 2008-02-12 2009-08-20 Basf Se Electroluminescent metal complexes with dibenzo[f,h]quinoxalines
US8471248B2 (en) 2008-02-12 2013-06-25 Basf Se Electroluminiscent metal complexes with dibenzo[f,h] quinoxalines
CN105859792A (zh) * 2008-02-12 2016-08-17 巴斯夫欧洲公司 具有二苯并[f,h]喹噁啉的电致发光金属络合物
KR20120094838A (ko) * 2011-02-01 2012-08-2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복소환 화합물
US9960368B2 (en) 2011-02-01 2018-05-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Heterocyclic compound
KR101866387B1 (ko) * 2011-02-01 2018-06-11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복소환 화합물
US8974921B2 (en) 2011-06-16 2015-03-10 Samsung Display Co., Ltd. Condensed-cyclic compound an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comprising the same
JP2016192553A (ja) * 2011-08-31 2016-11-1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複素環化合物を有する発光素子、発光装置、電子機器、及び照明装置
WO2013104649A1 (en) 2012-01-12 2013-07-18 Basf Se Metal complexes with dibenzo[f,h]quinoxalines
US9472762B2 (en) 2012-01-12 2016-10-18 Udc Ireland Limited Iridium organometallic complex containing a substituted dibenzo[f,h]quinoxaline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emitting layer containing the iridium complex
US10167303B2 (en) 2012-01-12 2019-01-01 Udc Ireland Limited Iridium organometallic complex containing a substituted dibenzo[f,h]quinoxaline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emitting layer containing the iridium comple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9096B1 (ko) 200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11325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4037033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1313178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2002064700A1 (fr) Dispositif d&#39;electroluminescence organique, materiau luminescent, et compose organique
JP2004014155A (ja) 有機発光素子及び表示装置
KR100673052B1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슨스 소자
JP4218311B2 (ja) 有機金属錯体化合物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JP2001313177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0699096B1 (ko) 적색 인광 발광 이리듐 착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기발광 소자
KR100611850B1 (ko) 이리듐 착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기발광소자
JP2007254737A (ja) 有機発光層用有機金属錯体及び有機発光ダイオード
KR100649283B1 (ko) 인광발광 호스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유기전기발광소자
KR100687958B1 (ko) 이리듐 착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기발광소자
EP1809077A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JP2002100475A (ja) 有機電界発光素子
KR100611852B1 (ko) 적색 인광 발광 이리듐 착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기발광 소자
KR100696005B1 (ko) 1-나프틸이소퀴놀린기를 갖는 적색 인광 발광 이리듐착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기발광소자
KR100611851B1 (ko) 인광발광 호스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기발광소자
KR100687957B1 (ko) 적색 인광 발광 이리듐 착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유기전기발광소자
KR100696006B1 (ko) 청색 인광 발광용 호스트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유기전기발광소자
KR20070016299A (ko) 유기el재료 및 이를 이용한 유기el소자
KR100638953B1 (ko) 수명이 증대된 유기전기발광소자
KR100799223B1 (ko) 정공 주입층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기발광소자
KR20060105150A (ko) 수명특성이 우수한 유기전기발광소자
KR20060105151A (ko) 수명특성이 우수한 유기전기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