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9246A - 액정 표시 셀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9246A
KR20060079246A KR1020067007741A KR20067007741A KR20060079246A KR 20060079246 A KR20060079246 A KR 20060079246A KR 1020067007741 A KR1020067007741 A KR 1020067007741A KR 20067007741 A KR20067007741 A KR 20067007741A KR 20060079246 A KR20060079246 A KR 20060079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film thickness
counter electrode
filt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7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2550B1 (ko
Inventor
다이이찌 스즈끼
가즈히로 니시야마
미쯔따까 오끼따
시게스미 아라끼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79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optical, physical properties; materials therefor; method of ma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02F1/133521Interference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 G02F1/139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the birefringence of the liquid crystal being electrically controlled, e.g. ECB-, DAP-, HAN-, PI-LC cells
    • G02F1/1395Optically compensated birefringence [OCB]- cells or PI-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1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common or backgrou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OCB 액정 표시 장치의 흑표시 시의 푸른 색감을 저감시킨다. 대향 전극(Ecom)을 배치한 대향 기판(130) 및 화소 전극(Dpix)을 배치한 어레이 기판(120) 사이에 벤드 배열되는 액정층(140)을 협지하고, 상기 기판의 한쪽에 적, 녹, 청의 각 색 필터층을 구비한 액정 표시 셀(11)에 있어서, 대향 전극은 청색 필터층에 대응하는 부분 Ecom(B)의 막 두께(tB)가 정면 반사율의 분광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최소값이 380㎚ 내지 480㎚ 내가 되도록, 또한
100㎚<tB≤140㎚
로 설정된다.
액정 표시 셀, 대향 전극, 대향 기판, 화소 전극, 어레이 기판, 액정층, 색 필터층, 스위칭 소자, 분광 스펙트럼

Description

액정 표시 셀{LIQUID CRYSTAL DISPLAY CELL}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시야각과 고속 응답의 실현이 가능한 OCB(Optically Compensated Birefringence) 기술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의 특징을 살려 각종 용도에 적용되고 있다.
현재 시장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트위스티드 네마틱(TN)형 액정 표시 장치는 광학적으로 플러스의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액정 재료가, 기판 사이에 대략 90° 비틀려 배열되어 구성되고, 그 비틀림 배열의 제어에 의해 입사광의 선광성을 조절하고 있다. 이 TN형 액정 표시 장치는 비교적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지만, 그 시야각은 좁고, 또 응답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특히 TV 화상 등의 동화상 표시에는 부적합했다.
한편, 시야각 및 응답 속도를 개선하는 것으로서 OCB형 액정 표시 장치가 주목받고 있다. OCB형 액정 표시 장치는 기판 사이에 벤드 배열이 가능한 액정 재료가 봉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TN형 액정 표시 장치에 비해 응답 속도는 한 자릿수 개선되고, 또한 액정 재료의 배열 상태로부터 광학적으로 자기 보상되기 때문에 시야각이 넓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OCB형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해서 화상 표시를 행하는 경우, 복굴절성을 제어하여 편광판과의 조합에 의해 예를 들면 고전압 인가 상태에서 광을 차단(흑 표시)하고, 저전압 인가 상태에서 광을 투과(백 표시)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흑표시 상태에서는 액정 분자는 고전압 인가에 의해 전계 방향을 따라 배열(기판에 대해서 법선 방향으로 배열)하는데, 기판 근방의 액정 분자는 배향막과의 상호 작용으로 법선 방향으로 배열되지 않고, 광은 소정 방향으로 위상차의 영향을 받는다. 이 때문에 기판 법선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경우, 흑표시 시의 투과율을 충분히 저감시킬 수 없고,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초래한다. 그래서 예를 들면 일축성의 위상차판을 조합함으로써 흑표시 시의 액정층의 위상차를 보상하고, 투과율을 충분히 저감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경사 방향으로부터의 관찰에 대해서도 충분히 흑표시, 혹은 계조 특성을 보상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배열한 광학 마이너스의 위상차판을 조합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일반적인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단파장측(380㎚ 내지 480㎚)의 투과율을 높이기 위해서 전극의 두께를 80㎚ 내지 100㎚로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공개 평10-197862호 공보
특허 문헌 2:일본 특허 공개 2003-195277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컬러 액정 표시 장치는 자연광이나 연색성이 높은 백 라이트 등의 입사광을 반사 또는 투과시켜 각 색 필터를 통해 표시하는 것이고, 전 가시광 파장 영역에 걸친 광을 각 필터의 파장 통과 대역에서 선택하고 있다.
TN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에 선광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판 사이에서 광이 내부 반사해도 표시에 끼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 그러나 OCB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내부 반사의 횟수에 따라서 액정층을 통과하는 입사광이 받는 리터데이션과 위상차판의 리터데이션이 어긋나고, 이에 의해 색감의 밸런스가 깨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내부 반사하는 반사광도 파장 분산을 갖기 때문에, 색감의 밸런스 붕괴는 더욱 커져 버린다. 특히 청 필터(CF)(B)는 400 내지 550㎚를 통과 특성으로 하고 있다. 즉 청 필터(CF)(B)의 통과 영역에, 램프의 발광 스펙트럼의 435㎚의 예리한 피크, 450㎚의 낮은 광폭의 피크 및 490㎚의 낮은 예리한 피크가 포함되기 때문에 흑표시 시에 화상이 푸른 색감을 띨 우려가 있다. 특허 문헌 2는 청색 영역(380㎚ 내지 480㎚)의 투과율이 최대가 되도록 전극 두께를 80㎚ 내지 100㎚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전극 두께를 OCB 구조에 적용해도 흑표시 시의 푸른 색감의 발생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은 높은 응답 속도와 함께 색감의 밸런스가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셀을 통과하는 광 성분 중, 특히 청색 광 성분의 셀 내부 반사를 저감시켜, 청색 필터로부터 누출되는 불필요한 광을 감쇠함으로써 색 밸 런스를 조절한다. 즉 액정 표시 셀 내의 대향 기판에 배치한 투명 대향 전극의 막 두께를 380㎚ 내지 480㎚의 파장광의 범위에서 정면 반사율이 최소가 되도록 설정하고, 상기 대향 전극의 상기 청색 필터층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 두께를 tB라고 하면,
100㎚<tB140㎚
로 한다.
여기에 상기 컬러 필터가 대향 기판과 상기 대향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화소 전극과 각 화소 전극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를 주면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한 어레이 기판과,
상기 어레이 기판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대향 배치되어 대향 전극을 배치한 대향 기판과,
상기 기판의 한쪽에, 상기 화소 전극에 대응해서 형성된 적, 녹 및 청색 필터층으로 이루어지는 컬러 필터와,
상기 어레이 기판과 대향 기판의 간극에 협지된 벤드 배열되는 액정층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셀에 있어서,
상기 청색 필터층에 대응하는 상기 대향 전극의 부분의 정면 반사율의 분광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최소값이 380㎚ 내지 480㎚ 내에 있고, 또한 상기 대향 전극의 상기 적색 및 녹색 필터층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 두께는 상기 청색 필터층의 막 두께보다도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셀에 있다.
여기에 상기 대향 전극의 굴절률을 n, 상기 대향 전극이 상기 청색 필터층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 두께를 tB, 상기 녹색 필터층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 두께를 tG, 상기 적색 필터층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 두께를 tR이라고 하면,
ntB<ntG≤ntR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향 전극의 굴절률을 n, 상기 대향 전극이 상기 청색 필터층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 두께를 tB, 상기 녹색 필터층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 두께를 tG, 상기 적색 필터층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 두께를 tR이라고 하면,
190㎚<ntB<240㎚
250㎚<ntG<280㎚
290㎚<ntR<3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향 전극이 산화 인듐 주석(ITO)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정 표시 셀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는 위상차판과,
상기 액정 표시 셀이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액정 표시 셀과의 사이에 상기 위상차판을 끼워 배치되는 편광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CB 모드의 액정 표시 셀의 일 양태는 어레이 기판면 상에 매트릭스 배선, TFT의 스위칭 소자, 층간 절연막, 화소 전극 및 배향막을 다층으로 적층하고, 대향 기판면 상에 컬러 필터, 블랙 매트릭스(BM), 대향 전극 및 배향막을 다층으로 적층하고,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배치한 구조를 갖고 있고, 셀을 광이 통과하는 사이에 각 층에 의한 내부 반사, 내부 산란 및 액정층에 의한 광 분산의 영향을 받는다.
OCB 모드의 셀은 위상차판과 조합하여, 액정층의 복굴절률의 제어, 즉 액정층의 리터데이션을 제어하고, 위상차판의 리터데이션과의 가산 값의 변화에 의해 편광광의 위상 제어를 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액정층의 층 두께가 일정한 것이 한 요소이다. 액정층의 리터데이션을 RD라고 하면,
RD=(nz-nx)d
여기에 nx는 액정층의 면에 대해서 수직인 배향 방향 즉 z축의 굴절률, nx는 액정층의 면 내의 x, y축 방향의 굴절률, d는 액정층의 층 두께를 나타낸다.
위상차판의 리터데이션을 RD(WV), 흑표시 시의 액정층의 리터데이션을 RD0이라고 하면, 흑표시 시의 표시 장치 전체의 리터데이션은
RD(WV)+RD0=0이다.
도 14는 액정 표시 셀의 주요소인 어레이 기판(GLS1), 화소 전극(Dpix), 층 두께(d)의 액정층(140), 대향 전극(Ecom), 컬러 필터(CF), 대향 기판(GLS2)을 나타내고 있다. 이 셀 내를 반사하지 않고 투과하는 광(L1)인 경우는 상기 식에 합치하여 광 제어가 행해지는데, 액정층(140) 내에서 한번 반사하고 나서 투과하는 광(L2)인 경우, 액정층(140)을 3번 통과하게 되어, 이 경우의 표시 장치 전체의 리터데이션은
RD(WV)+3RD0≠0
으로 영이 되지 않고, 광 제어로부터 벗어난다.
이와 같이 반사를 반복하여 필터(CF)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리터데이션 보상 으로부터 어긋나 화상의 흑표시의 흑 휘도를 밀어 올려, 흑에 특정한 색감이 생기는 한 원인이 된다. 특히 청 필터(CF)(B)는 400 내지 550㎚를 통과 특성으로 하고 있다. 즉 청 필터(CF)(B)의 통과 영역에, 램프의 발광 스펙트럼의 435㎚의 예리한 피크, 450㎚의 낮은 광폭의 피크 및 490㎚의 낮은 예리한 피크가 포함되기 때문에 제어 외의 파장광을 투과하기 쉬워 화상에 푸른 색감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전극막에 주목하여, 전극막 중 일부 이상의 정면 반사율의 분광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최소값을 380 내지 480㎚의 청색 영역에 둠으로써 액정층의 내부 반사를 저감시키는 것이다. 여기에 정면 반사율이란 막 면에 수직방향으로 광이 입사했을 때의 반사율을 말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셀의 대향 전극의 정면 반사율을 분광 스펙트럼의 380㎚ 내지 480㎚ 내에서 최소값으로 되도록 함으로써 적어도 청색 광 성분의 내부 반사를 저감시키기 때문에, 청색광의 리터데이션 제어를 용이하게 하고 청색광의 광 누출을 방지하여, 흑표시 시에 발생하는 화상의 푸른 색감을 해소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OCB 모드 방식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 액정 표시 장치(1)는 어스펙트비 16:9, 대각 22형으로서, 광 투과형의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액정 패널(100)과, 복수개의 관형상 광원(310)(도 11 참조)이 병치 배열되어 구성되어 액정 패널 배면에 배치되는 백 라이트(300)와, 액정 패널(100) 내에 내장되어 주사선(Yj)에 주사 신호(Vg)를 공급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Ydr1, Ydr2)(도 4 참조)와, 신호선(Xi)(도 4 참조)에 신호 전압(Vsig)을 공급하는 TCP(Tape Carrier Package)로 구성되는 신호선 구동 회로(500)와, 대향 전극(Ecom)(도 2, 3 참조)에 대향 전극 전압(Vcom)을 공급하는 공통 전극 구동 회로(700)와, 주사선 구동 회로(Ydr1, Ydr2), 신호선 구동 회로(500) 및 공통 전극 구동 회로(700)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900)를 구비하고, 액정 패널(100)이 백 라이트(300)와 액자 형상의 베젤(1000)에 협지되어 구성되어 있다.
액정 패널(1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셀(110)과, 전면 하이브리드 위상차판(200a), 전면 2축 위상차판(210a), 전면 편광판(220a), 후면 하이브리드 위상차판(200b), 후면 2축 위상차판(210b), 후면 편광판(220b)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 하이브리드 위상차판(200a), 전면 2축 위상차판(210a) 및 전면 편광판(220a)은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마찬가지로 후면 하이브리드 위상차판(200b), 후면 2축 위상차판(210b) 및 후면 편광판(220b)도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액정 표시 셀(110)의 주 표면에 각각 첩부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셀(110)은 표시용 화소 전극(Dpix)을 갖는 어레이 기판(120), 이 어레이 기판의 표시용 화소 전극에 대향 전극(Ecom)을 대향시켜 배치된 대향 기판(130), 및 어레이 기판(120)과 대향 기판(130) 사이에 각 각 배향막(151, 153)을 통해 협지된 액정층(140)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향 기판(130)에는 또한 청색 필터층(CF)(B), 녹색 필터층(CF)(G), 적색 필터층(CF)(R)을 포함하는 컬러 필터(CF) 및 광 차광막(BM)이 설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색 필터층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대향 전극(Ecom)의 막 두께는 필터층의 색 별로 상이한 두께로 되어 있다. 즉 청색 필터층에 대응하는 막 두께를 tB, 녹색 필터층에 대응하는 막 두께를 tG, 적색 필터층에 대응하는 막 두께를 tR이라고 하면,
tB<tG≤tR
로 되어 있다.
<어레이 기판의 구성>
어레이 기판(120)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어레이 기판(120)은 투명한 유리 기판(GLS1) 상에, 복수개의 알루미늄(Al)으로 구성되는 신호선(Xi)과 복수개의 몰리브덴 텅스텐 합금(MoW)으로 구성되는 주사선(Yj)이 산화 실리콘(SiO)막을 포함하는 층간 절연막(INS2)을 통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주사선(Yj)과 병행해서 주사선(Yj)과 동일 공정으로 작성되는 보조 용량선(Cj)이 배치되어 있다.
신호선(Xi)과 주사선(Yj)의 교점 근방에는 스위칭 소자로서 다결정 실리콘(p-Si)막을 활성층으로 한 톱 게이트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TFT) 상에, 패시베이션 막(INS3)을 통해 투명 전극으로서 ITO(Indium Tin Oxide)로 이루어지는 표시용 화소 전극(Dpix)이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TFT는 오프 리크 전류를 저감시키기 위해 더블 게이트 구조로 구성되고, P형의 소스 드레인 영역 p-Si(s), p-Si(d), 채널 영역 p-Si(c1), p-Si(c2), 채널 영역 p-Si(c1), p-Si(c2) 사이에 배치되는 접속 영역 p-Si(i)을 p-Si막 내에 포함하고, 드레인 영역 p-Si(d)은 콘택트 홀(CH1)을 통해 신호선(Xi)에 접속되고, 소스 영역 p-Si(s)은 콘택트 홀(CH2)을 통해 Al을 포함하는 소스 배선(EXT)에 의해 둘러쳐지고, 콘택트 홀(CH3)을 통해 표시용 화소 전극(Dpix)에 접속되어 있다.
p-Si막 상에는 TEOS로 이루어지는 게이트 절연막(INS1)이 배치되고, 이 위에 주사선(Yj)으로부터 연장된 제1 게이트 전극(G1)이 배치되고, 또한 주사선(Yj)의 일부가 제2 게이트 전극(G2)으로서 배선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게이트 전극(G1)이 제1 채널 영역 p-Si(c1)에 대응하고, 제2 게이트 전극(G2)이 제2 채널 영역 p-Si(c2)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이 TFT 소스 영역 p-Si(s)은 소스 영역 연장부 p-Si(se)(도 6)를 포함하고, 보조 용량선(Cj)으로부터 신장되어 보조 용량선(Cj)과 동일 공정으로 작성되는 MoW로 이루어지는 제1 보조 용량 전극(EC1) 상에 층간 절연막(INS2)을 개재하여 배치되는 제2 보조 용량 전극(EC2)에 콘택트 홀(CH4)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이 제2 보조 용량 전극(EC2)은 신호선(Xi)과 동일 공정으로 작성되는 Al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2 보조 용량 전극(EC2) 상에 패시베이션 막(INS3)을 통해 표시용 화소 전극(Dpix)과 동일 공정으로 작성되는 상전이용 화소 전극(Tpix)이 배치되고, 이 상전이용 화소 전극(Tpix)은 콘택트 홀(CH5)을 통해 제2 보조 용량 전극(EC2)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보조 용량 전극(EC1)과 제2 보조 용량 전극(EC2) 사이에서 축적 용량(Cs)(도 4)이 형성되고, 이 축적 용량(Cs) 상에 상전이용 화소 전극(Tpix)이 배치되기 때문에 개구율을 손상시키지 않고 효과적으로 큰 축적 용량(Cs)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용 화소 전극(Dpix)과 상전이용 화소 전극(Tpix)은 주사선(Yj)을 걸쳐 배치되고, TFT의 소스 영역 p-Si(s)로부터 독립한 소스 영역 연장부 p-Si(se)에 의해 접속되기 때문에 만약 축적 용량(Cs)에 단락 등이 있었다고 해도 소스 영역 연장부 p-Si(se)를 레이저 조사 등의 수단으로 전기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용이하게 구제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용량선(Cj) 상에서 인접하는 다음 수평 라인의 표시용 화소 전극(Dpix)과 상전이용 화소 전극(Tpix)은 대향하는 단변이 서로 맞물리는 빗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표시용 화소 전극(Dpix)과 상전이용 화소 전극(Tpix) 사이에 비틀린 가로 방향 전계를 인가함으로써 균일하게 벤드의 핵 형성을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초기의 스프레이 배열 상태로부터 균일하게 벤드 배열 상태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 빗살 무늬 피치는 예를 들면 50㎛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저전압으로 균일한 배열로 유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런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선(Yj)의 양단은 각각 유리 기판(GLS1) 상에 일체적으로 구성된 주사선 구동 회로(Ydr1, Ydr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주사선 구동 회로(Ydr1, Ydr2)에는 각각 수직 주사 클록 신호(YCK), 수직 스타트 신호(YST)가 입력된다. 보조 용량선(Cj)은 각각 양단에서 접속 배선 (Ccs)에 접속되고, 접속 배선(Ccs)을 통해 보조 용량 전압(Vcs)이 입력된다. 신호선(Xi)은 선택 스위치(SEL)를 통해 신호 입력선(xk)(k=i/2)에 접속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신호선(Xi)은 홀수 신호선(Xi)(i=1, 3, 5, …)과 짝수 신호선(Xi)(i=2, 4, 6, …)으로 구분되고, 인접하는 한 쌍의 홀수 신호선(Xi, Xi+2)이 선택 스위치(SEL1, SEL3)를 통해 동일한 신호 입력선(xk)에 접속되고, 인접하는 한 쌍의 짝수 신호선(Xi+1, Xi+3)이 선택 스위치(SEL2, SEL4)를 통해 동일한 신호 입력선(xk+1)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홀수 신호선 쌍의 한쪽에 접속되는 선택 스위치(SEL1)와 짝수 신호선 쌍의 한쪽에 접속되는 선택 스위치(SEL4)가 제1 선택 신호(Vsel1)로 선택되고, 홀수 신호선 쌍의 다른 쪽에 접속되는 선택 스위치(SEL3)와 짝수 신호선 쌍의 다른 쪽에 접속되는 선택 스위치(SEL2)가 제2 선택 신호(Vsel2)로 선택되도록 배선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제1 주사선(Y1)의 일 수평 주사 기간(1H)의 전반에서 신호선(X1)에 대응하는 표시 화소 전극(Dpix)에 대향 전극 전압(Vcom)에 대해서 플러스 극성(+)의 신호 전압(Vsig1)이, 신호선(X4)에 대응하는 표시 화소 전극(Dpix)에 대향 전극 전압(Vcom)에 대해서 마이너스 극성(-)의 신호 전압(Vsig4)이 기입된다. 그리고 일 수평 주사 기간(1H)의 후반에서 신호선(X2)에 대응하는 표시 화소 전극(Dpix)에 대향 전극 전압(Vcom)에 대해서 마이너스 극성(-)의 신호 전압(Vsig2)이, 신호선(X3)에 대응하는 표시 화소 전극(Dpix)에 대향 전극 전압(Vcom)에 대해서 플러스 극성(+)의 신호 전압(Vsig3)이 기입된다. 또한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 프레임의 제1 주사선(Y1)의 일 수 평 주사 기간(1H)의 전반에서 신호선(X1)에 대응하는 표시 화소 전극(Dpix)에 대향 전극 전압(Vcom)에 대해서 마이너스 극성(-)의 신호 전압(Vsig1)이, 신호선(X4)에 대응하는 표시 화소 전극(Dpix)에 대향 전극 전압(Vcom)에 대해서 플러스 극성(+)의 신호 전압(Vsig4)이 기입된다. 그리고 일 수평 주사 기간(1H)의 후반에서 신호선(X2)에 대응하는 표시 화소 전극(Dpix)에 대향 전극 전압(Vcom)에 대해서 플러스 극성(+)의 신호 전압(Vsig2)이, 신호선(X3)에 대응하는 표시 화소 전극(Dpix)에 대향 전극 전압(Vcom)에 대해서 마이너스 극성(-)의 신호 전압(Vsig3)이 기입된다.
이렇게 해서 프레임 반전 구동 및 도트 반전 구동이 행해지고, 이에 따라 원하지 않는 직류 전압의 인가의 방지와 함께 플리커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신호선 구동 회로(500)와 액정 패널(100)의 접속 수는 신호선(Xi)의 개수 i에 대해서 i/2로 경감되기 때문에 접속 공정이 대폭 경감됨과 함께, 접속 개소 수가 적은 것에 의해 제조 수율의 개선, 내 충격성의 향상 등이 달성된다. 또한 고정밀화에 수반하는 접속 피치 한계를 넓힐 수 있고, 예를 들면 80㎛ 이하의 고정채화도 달성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일 수평 주사 기간(1H) 내에, 어떤 신호 입력선(xk)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전압(Vsig)을 하나 걸러 2개의 신호선(Xi, Xi+2)에 시리얼로 분배하는 것으로 했지만, 3개의 신호선, 혹은 4개의 신호선으로 분배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접속 수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분배 수를 증대시키는 것은 각 기입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TFT의 능력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계할 필요가 있다.
<대향 기판의 구성>
대향 기판(130)은 유리 기판(GLS2) 상에 원하지 않는 누출광을 저지하는 매트릭스 형상의 차광막(BM), 컬러 표시를 위해 각 표시 화소 전극(Dpix)에 대응해서 설치된 적 R, 녹 G, 청 B 각 색의 컬러 필터(CF)(R), (CF)(G), (CF)(B) 및 산화 인듐 주석막 ITO을 포함하는 투명한 대향 전극(Ecom)이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CF(R), CF(G), CF(B)는 순차적으로 인접해서 배열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대향 전극(Ecom) 상에는 수지성의 기둥 스페이서가 배치되고, 이것에 의해 어레이 기판(110)과의 간극을 유지하도록, 복수 화소에 대해서 1개의 비율로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어레이 기판 상의 스페이서 대응 위치는 도 5에 도시하는 신호선 상의 광폭 에어리어(Xa)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 전극(Ecom)은 인접 필터층의 색 별로 대응해서 막 두께가 상이하다. 각 막 두께(tB, tG, tR)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tB<tG<tR
이고,
막의 굴절률을 n이라고 하면,
190㎚<ntB<240㎚
250㎚<ntG<280㎚
290㎚<ntR<350㎚
로 한다.
이에 따라 청색 필터층에 대응하는 대향 전극(Ecom)의 막 두께(tB)는 정면 반사율의 분광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최소값이 청색 영역 380㎚ 내지 480㎚가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녹색 필터층 대응 부분의 막 두께(tG)는 반사율의 최소값이 500 내지 560㎚, 적색 필터층 대응 부분의 막 두께(tR)는 반사율의 최소값이 580 내지 700㎚가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녹, 적색의 양 필터층에 대응하는 대향 전력 영역의 막 두께의 범위를 상기에 한정하지 않고 여유를 갖게 하는 경우에는 청색 필터층에 대응하는 대향 전극(Ecom)의 막 두께(tB)를 100㎚<tB≤140㎚가 되도록 선택하는 것이 좋다.
이것에 의해 각 색 필터층 하의 대향 전극 막 두께 화 각 색광에 대해서 반사가 최소가 되는 값으로 되고, 액정층 내에 입사한 광의 다중 내부 반사를 저감할 수가 있어 누출광을 줄일 수 있다. 이 때문에 흑표시 시의 흑 휘도의 상승이나 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흑표시가 푸른 색감을 띠는 것이 관찰될 경우, 청색 필터층 대응의 대향 전극부(Ecom)(B)의 정면 반사율을 분광 스펙트럼에서의 380 내지 480㎚의 범위 내에서 최소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5의 곡선 A는 Ecom(B)의 최소 반사율을 440㎚로 설정했을 때의 특성이고, 비교예로서 최소값을 가시광 스펙트럼의 중심의 약 450㎚로 설정했을 때의 특성 B에 비해 청색 영역의 반사율이 저감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액정 표시 셀의 각 부의 굴절률은 유리 기판 1.5, ITO 전극막 1.9 내지 2.0, 액정층, 배향막 그 밖의 층은 약 1.5 내지 1.8 정도이기 때문에, ITO의 전극막의 굴절률이 크고, 광 반사에 대한 영향이 크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해 대향 전극의 반사율을 저감시킴으로써 액정층 내의 반사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또한 대향 전극막을 ITO로 형성했을 때에, 분광 스펙트럼의 440㎚에서 최소 반사율을 얻는 청색 필터층 대응의 대향 전극부(Ecom)(B)의 막 두께(tB)는 116㎚이다.
또한 흑표시 시에 화상이 푸른 색감을 띠는 경우, 막 두께(tB)를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하면, 다른 색 필터층 대응의 대향 전극부의 막 두께는 녹과 적에서 동일한 막 두께로 할 수 있다. 대향 전극(Ecom)의 막 두께를 얇게 하면, 전기저항이 증대해서 전류 공급 능력이 저하하지만, 녹, 적색 필터층 대응 부분의 막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전류 공급에 대해서 여유가 있는 막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액정 패널의 구성>
다음으로 이 액정 패널(100)의 구성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어레이 및 대향 기판(120, 130)의 각각의 주면에 배치되는 배향막(151, 153)은 러빙 방향(Ra, Rb)(도 9, 도 10 참조)이 기판(120, 130)에서 화면 상하 방향으로, 상호 대략 병행 방향으로 또한 같은 방향이 되도록 러빙 처리가 되어 있다. 그리고 프리틸트 각(θ)은 거의 10°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양 기판(120, 130) 사이에 액정층(140)이 협지되어 있다. 액정층(140)에는 표시 화소 전극(Dpix)과 대향 전극(Ecom)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그 액정 분자가 벤드 배열로 되는 유전률 이방성이 플러스인 p형 네마틱 액정이 이용된다.
그런데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화소 전극(Dpix)과 대향 전극 (Ecom) 사이에 전압이 무인가의 상태에서는 액정층(140)의 액정 분자(140a)는 스프레이 배열 상태를 취한다. 이 때문에 전원 투입 시에, 표시 화소 전극(Dpix)과 대향 전극(Ecom) 사이에 수십 V 정도의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벤드 배열 상태로 이행시킨다. 이 상전이를 확실하게 행하기 위해서, 고전압 인가에 있어서, 인접하는 수평 화소 라인마다 역 극성의 전압을 순차적으로 기입함으로써, 인접하는 표시 화소 전극(Dpix)과 상전이용 화소 전극(Tpix) 사이에 가로 방향의 비틀림 전위차를 부여함으로써 핵 형성을 행하고, 이 핵을 중심으로 상전이를 행한다. 이러한 동작을 대략 1초간 정도 행함으로써 스프레이 배열 상태로부터 벤드 배열 상태로 이행시키고, 다시 표시 화소 전극(Dpix)과 대향 전극(Ecom) 사이의 전위차를 동 전위로 함으로써 원하지 않는 이력을 한번 소거한다.
이렇게 해서 벤드 배열 상태로 한 후, 동작 중에는 도 10의 (b)와 같이 액정 분자(140a)에 벤드 배열 상태가 유지되는 낮은 오프 전압(Voff) 이상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 오프 전압과 이것보다도 높은 전압의 온 전압(Von) 사이에서 전압을 변화시킴으로써, 도 10의 (b) 내지 (c) 사이에서 배열 상태를 변화시켜, 액정층(140)의 리터데이션 값을 λ/2 변화시켜 투과율을 제어한다.
이러한 동작을 달성하기 위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 전압(Voff) 인가 시에 흑표시로 되도록 한 쌍의 편광판(220a, 220b)의 흡수축(Aa, Ab)을 상호 직교시켜 러빙 방향(Ra, Rb)과 π/4 어긋난 배열로 한다.
또한 어레이 기판(120) 및 대향 기판(130)의 외표면과 편광판(220a, 220b) 사이에 첩부되는 전면 하이브리드 위상차판(200a)과 후면 하이브리드 위상차판 (200b)은 온 전압 시(흑표시 시)의 액정층(140)의 리터데이션 값(RLCon) 예를 들면 80㎚를 보상하는 것으로, 흑표시 시의 정면 및 경사 방향으로부터의 원하지 않는 광 누출을 더한층 방지하는 것이다. 즉, 이 하이브리드 위상차판(200a, 200b)을 구성하는 디스코틱 액정은 굴절률 nx와 ny가 동일하고, 광축 방향의 굴절률 nz가 nx, ny보다도 작은 광학 마이너스의 재료로서, 도 3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자 광축(Dopt)이 액정층(140)의 액정 분자(140a)의 광축의 경사 방향과는 각각 역방향으로 경사지고, 그 경사각이 막 두께 방향으로 서서히 변화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리터데이션 값(RD)은 각각 -4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흑표시 시의 액정층(140)의 리터데이션(RLCon)이 80㎚이기 때문에, 흑표시 시의 위상차는 상쇄되고, 이에 따라 원하지 않는 광 누출이 방지된다.
또한 하이브리드 위상차판(200a, 200b)과 편광판(220a, 220b) 사이에는 2축 위상차판(210a, 210b)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2축 위상차판(210a, 210b)은 경사 방향에 있어서의 액정층(140)의 선광성에 기인한 광 누출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각각 편광판(220a, 220b)의 흡수축(Aa, Ab)에 지상축(Ad)을 일치시키고 있다. 따라서, 편광판(220a, 220b)과의 조합에 의해서 정면 방향으로부터의 위상차는 거의 영으로 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경사 방향의 파장 분산만을 선택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백 라이트의 구성>
배면의 편광판(220b)에 면해서 배치되는 백 라이트(300)에 대해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백 라이트(300)는 예를 들면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병치 배열된 복수개의 관형상 광원(310)과, 이 관형상 광원(310)으로부터의 광을 효율적으로 전면에 출사함과 함께 관형상 광원(310)을 수납하는 수지제의 리플렉터(320)와, 편광판(220b)(도 2 참조)과 관형상 광원(310)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 시트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광학 시트는 예를 들면 휘도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한 아사히카세이사제 TDX 등의 확산판(340), 관형상 광원(31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원광을 집광하는 복수의 프리즘 열이 배열된 예를 들면 3M사제 BEFIII 등의 프리즘 시트(350, 360)로 구성된다.
관형상 광원(310)으로서는 3파장 냉음극 형광관을 대표로 하는 고연색성 램프로 구성되고, 일례로서 도 17의 곡선 A로 도시하는 것 같은 발광 스펙트럼을 갖고 있고, 610㎚에 피크가 있는 적색 광 영역, 540㎚에 피크를 갖는 녹색 광 영역, 435㎚에 피크를 갖는 청색 광 영역을 갖고 있다. 램프의 방전 가스에 크세논 가스를 이용한 경우의 147㎚ 자외선으로 여기되는 발광 형광체로서, 적색용으로 Y2O3:Eu 형광체, 녹색용으로 LaPO4:Ce, Tb 형광체, 청색용으로 BAM 형광체가 사용되는데, 다른 형광체가 이용되는 경우도 많고, 고연색성을 얻기 위한 발광 스펙트럼으로서는 큰 차가 없다.
액정 표시 셀의 각 색 필터층(CF)(R), (CF)(G), (CF)(B)은 이들 광 파장을 분담하는 통과 특성을 갖고, 적 필터(CF)(R)는 580㎚ 이상, 녹 필터(CF)(G)는 510 내지 580㎚, 청 필터(CF)(B)는 400 내지 550㎚를 통과 특성으로 하고 있다. 즉 청 필터(CF)(B)의 통과 영역에, 램프의 발광 스펙트럼의 435㎚의 예리한 피크, 450㎚의 낮은 광폭의 피크 및 490㎚의 낮은 예리한 피크가 포함된다.
도 11의 (b)는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 백 라이트로서 사이드라이트형의 면 광원을 이용한 경우이고, 아크릴 수지 등을 포함하는 도광판(370), 도광판(370)의 측면에 배치되는 관형상 광원(310), 관형상 광원(310)으로부터의 광원광을 효율적으로 도광판(370)으로 유도하는 리플렉터(380), 또한 도광판(370)의 출사면 상에 배치되는 청록광 흡수체(330), 이 위에 배치되는 확산판(340), 또한 이 위에 배치되는 프리즘 시트(350, 360)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대향 전극의 반사율의 저감 외에 추가로, 백 라이트에 청록광 흡수체(330)를 배치하는 것으로, 청록광 흡수체(330)는 이 청록 중 일부 이상의 분광 영역을 흡수한다. 도 16의 곡선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 특성은 파장450 내지 470㎚에서 30% 이상의 흡수율을 나타내고 있고, 흡수율이 높을수록 원하지 않는 광 누출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곡선 C는 액정 패널(100)의 색 필터의 특성이고, 적(CR), 녹(CG), 청(CB)의 필터 특성을 갖는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흑표시 시의 분광 방사 휘도는 흡수체를 청록광 흡수 유리 판으로 형성했을 때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고, 흡수 유리가 있는 경우에, 이 영역에서 현저히 저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 D는 흡수 유리가 있는 경우, A는 흡수 유리가 없는 경우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흡수체에 의한 청록색 영역의 광의 흡수에 의해 흑표시 시의 푸른 색감을 띠는 것을 더욱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1의 (c)는 본 실시 형태의 다른 변형예로, 도 11의 (b)와는 청록광 흡수체(330)의 배치 위치가, 관형상 광원(310)과 도광판(370) 사이에 변경되어 있는 것 외에는 같은 구성을 요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의 실시예 및 변형예에 비해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 및 변형예 대신에 관형상 광원(310)을 구성하는 램프 엔벨로프 자체를 청록광 흡수 유리로 형성할 수도 있다.
<표시 동작>
상기의 구성에 의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형상 광원(31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광 통로(L) 상의 편광판(220b)을 투과한다. 여기서, 편광판(220b)의 흡수축(Aa, Ab)과 직교하는 투과축을 통과한 편광 광만이 출사되어, 후면 2축 위상차판(210b) 및 후면 하이브리드 위상차판(200b)를 지나서 액정 표시 셀(110)에 입사된다.
법선 방향에서의 온 전압 시의 액정층(140)과 전체 위상차판의 합계의 리터데이션은 대략 영이기 때문에 편광 광은 그대로 통과하여, 전면측의 편광판(220a)에 이른다. 편광판(220a, 220b)은 크로스 니콜 배치이기 때문에, 편광 광은 전면 편광판(220a)에 의해 흡수되고 차단되어 흑표시가 얻어진다.
온 전압과 오프 전압 사이의 전압 인가 상태에 따라 액정층(140)의 리터데이션이 변화하여 전체 위상차판의 리터데이션과의 차가 변화하기 때문에, 전면 2축 위상차판(210a)으로부터 출사되는 입사광은 타원 편광이 되어 전면 편광판(220a)에 이르고, 편광 상태에 대응해서 광이 투과한다. 이와 같이 인가 전압 가변함으로써 계조 표시가 가능해진다.
대향 전극의 반사가 저감되어 액정층의 다중 내부 반사에 의한 광이 적어지고, 액정 표시 셀의 설정 리터데이션 값으로부터 어긋나는 광이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흑표시 시에 눈에 띄는 푸른 색감이 경감된다.
(실시 형태 2)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의 액정 표시 셀(110)을 나타내고 있고, 도 2에서 설명한 대향 전극(Ecom)의 구성이 상이한 외에는 같은 구성을 갖고 있고, 동일 부호의 부분은 같은 부분을 나타내고 있어 이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대향 전극(Ecom)은 각 색 필터층에 관계없이 똑같은 균일 막 두께를 갖고 있고, 분광 스펙트럼의 청색 영역인 380 내지 480㎚에 정면 반사율이 최소값을 갖는 막 두께로 설정된다. 푸른 색감의 저감이라는 점에서는 청 화소에 대응한 장소에서 최적값을 설계하는 것이 좋은 것은 물론이지만, 대향 전극의 두께를 균일한 막 두께로 하는 경우 녹 화소나 적 화소에 있어서도 콘트라스트 저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을 막 두께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굴절률 1.9의 산화 인듐 주석막인 경우의 막 두께는 스펙트럼440㎚에 있어서의 정면 반사율을 최소값으로 했을 때, 116㎚로 설정하게 된다. 반사율의 최소값의 스펙트럼을 단파장측으로 시프트시키기 위해서는 막 두께는 보다 얇은 설정으로 할 필요가 있고, 이것에 의해서 막의 전기 저항율은 증대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청색 영역에 적합한 두께 정도이면 실용상 지장은 없다. 균일한 막 두께의 막을 형성하기 위해 제조가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대향 전극의 굴절률을 n, 그 청색 영역의 막 두께를 tB라고 하면,
100㎚<tB≤140㎚
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이하에서는 적, 녹색 영역의 광 누출이 증대해서 콘트라스트 저하의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140㎚보다 크게 하면 청색 영역의 광 누출이 증대해서 흑색 표시 시의 푸른 색감이 증대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100㎚<tB<130㎚의 범위로 설정하면, 흑표시 시의 푸른 색감을 보다 경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 3)
도 13은 OCB 모드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9와 동 부호의 부분은 같은 부분을 나타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액정 표시 셀(110)의 리터데이션은 반사형인 것을 고려하여 상기 실시 형태의 1/2가 되도록 액정 재료의 복굴절 이방성 혹은 셀 갭이 조정되어 있다.
이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2)는 편광판으로서는 전면측에 1매의 편광판(220a)을 배치하면 되는 한편, 액정 표시 셀(110)의 배면측에 반사판(160)을 배치한다. 편광판(220a)에 입사한 자연광은 편광판(220a)의 투과축(Ta) 성분의 직선 편광이 되어, 2축 위상차판(210a), 전면 하이브리드 위상차판(200a), 액정 표시 셀(110)을 통과하여 반사판(160)에서 반사되고, 위상을 반전하여 90° 어긋나 귀로를 되돌아가 다시 편광판(220a)에 이른다. 그동안, 각 소자에 의해 위상차를 받지 않는 경우에는 직선 편광은 편광판(220a)에서 흡수되어 흑표시로 된다. 액정 표시 셀(110)의 리터데이션 가변에 의해 위상차의 영향을 받아 타원 편광이 되면, 귀환광의 일부가 편광판(220a)을 투과하여 계조 표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각 소자를 광이 2회 통과하기 때문에 그것에 맞춰 두께, 리터데이션 등을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대향 기판(130)의 내면에 형성하는 대향 전극(Ecom)은 실시 형태 1과 같은 구성을 갖고, 각 색 필터층마다 막 두께를 다르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액정 표시 셀 내에서의 내부 반사가 저감시켜 흑표시 시의 푸른 색감 화상의 발생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일부 단면 개략도.
도 3은 실시 형태 1의 액정 표시 셀의 일부 확대 개략 단면도.
도 4는 실시 형태 1의 액정 표시 셀의 개략 등가 회로도.
도 5는 실시 형태 1의 어레이 기판의 일부 개략 정면도.
도 6은 실시 형태 1의 어레이 기판의 일부 개략 정면도.
도 7의 (a)는 도 6중 B-B선을 따라 절단한 어레이 기판의 일부 개략 단면도이고, (b)는 C-C선을 따라 절단한 어레이 기판의 일부 개략 단면도.
도 8은 일 실시 형태의 표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일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셀의 개략 구성도.
도 10의 (a), (b), (c)는 일 실시 형태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11의 (a), (b), (c)는 실시 형태 1의 백 라이트의 개략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의 일부 개략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의 액정 표시 셀의 개략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5는 실시 형태 1의 대향 전극의 정면 반사율을 설명하는 곡선도.
도 16은 백 라이트의 램프의 분광 방사 휘도 특성, 청록광 흡수체의 흡수 특성 및 적, 녹, 청색 필터의 통과 특성을 나타내는 곡선도.
도 17은 흑표시 시의 분광 방사 휘도 특성을 나타내는 곡선도.
<부호의 설명>
110 : 액정 표시 셀
120 : 어레이 기판
130 : 대향 기판
CF(R), CF(G), CF(B) : 적, 녹, 청색 필터층
140 : 액정층
200a, 200b : 하이브리드 위상차판
210a, 210b : 2축 위상차판
220a, 220b : 편광판
300 : 백 라이트
Ecom : 대향 전극
TFT : 스위칭 소자

Claims (8)

  1. 복수의 화소 전극과 각 화소 전극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를 주면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한 어레이 기판과,
    상기 어레이 기판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대향 배치되어 대향 전극을 배치한 대향 기판과,
    상기 기판의 한쪽에, 상기 화소 전극에 대응해서 형성된 적, 녹 및 청색 필터층으로 이루어지는 컬러 필터와,
    상기 어레이 기판과 대향 기판의 간극에 협지된 벤드 배열되는 액정층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셀로서,
    상기 대향 전극 중 적어도 상기 청색 필터층에 대응하는 부분의 정면 반사율의 분광 스펙트럼에서의 최소값이 380㎚ 내지 480㎚ 내에 있고, 상기 대향 전극의 상기 청색 필터층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 두께를 tB라고 하면,
    100㎚<tB≤1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가 대향 기판과 상기 대향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셀.
  3. 복수의 화소 전극과 각 화소 전극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를 주면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한 어레이 기판과,
    상기 어레이 기판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대향 배치되어 대향 전극을 배치한 대향 기판과,
    상기 기판의 한쪽에, 상기 화소 전극에 대응해서 형성된 적, 녹 및 청색 필터층으로 이루어지는 컬러 필터와,
    상기 어레이 기판과 대향 기판의 간극에 협지된 벤드 배열되는 액정층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셀로서,
    상기 청색 필터층에 대응하는 상기 대향 전극의 부분의 정면 반사율의 분광 스펙트럼에서의 최소값이 380㎚ 내지 480㎚ 내에 있고, 또한 상기 대향 전극의 상기 적색 및 녹색 필터층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 두께는 상기 청색 필터층의 막 두께보다도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전극의 굴절률을 n, 상기 대향 전극이 상기 청색 필터층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 두께를 tB, 상기 녹색 필터층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 두께를 tG, 상기 적색 필터층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 두께를 tR이라고 하면,
    ntB<ntG≤ntR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전극의 굴절률을 n, 상기 대향 전극이 상기 청색 필터층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 두께를 tB, 상기 녹색 필터층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 두께를 tG, 상기 적색 필터층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 두께를 tR이라고 하면,
    190㎚<ntB<240㎚, 250㎚<ntG<280㎚, 290㎚<ntR<3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전극이 산화 인듐 주석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전극이 산화 인듐 주석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 셀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는 위상차판과,
    상기 액정 표시 셀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액정 표시 셀과의 사이에 상기 위상차판을 끼워 배치되는 편광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셀.
KR1020067007741A 2003-10-22 2004-10-21 액정 표시 셀 KR1007625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62344 2003-10-22
JP2003362344 2003-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246A true KR20060079246A (ko) 2006-07-05
KR100762550B1 KR100762550B1 (ko) 2007-10-01

Family

ID=34463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741A KR100762550B1 (ko) 2003-10-22 2004-10-21 액정 표시 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09340B2 (ko)
JP (1) JP5044121B2 (ko)
KR (1) KR100762550B1 (ko)
CN (1) CN100429572C (ko)
TW (1) TWI282880B (ko)
WO (1) WO20050385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2878B2 (ja) * 2004-09-29 2008-12-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射型表示装置
KR100667073B1 (ko) * 2005-04-27 2007-0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060134304A (ko) * 2005-06-22 200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2007233336A (ja) * 2006-01-31 2007-09-13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JP4542527B2 (ja) * 2006-06-30 2010-09-15 株式会社フューチャービジョン 白色の色度差を低減した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2011112793A (ja) * 2009-11-25 2011-06-09 Fujitsu Ltd 積層型表示装置
JP2012108458A (ja) * 2010-10-26 2012-06-07 Seiko Epson Corp 投射型表示装置および光学ユニット
CN103728786B (zh) 2012-10-12 2016-08-31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JP2014126674A (ja) * 2012-12-26 2014-07-07 Japan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
CN104849925B (zh) * 2015-06-11 2017-10-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CN105759486A (zh) * 2016-05-18 2016-07-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2204B2 (ja) 1993-12-16 2002-12-03 キヤノ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H08122803A (ja) * 1994-10-25 1996-05-17 Casio Comput Co Ltd カラー液晶表示素子
JP3650499B2 (ja) 1997-01-10 2005-05-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N100397221C (zh) * 1999-07-29 2008-06-25 东芝松下显示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器及其制造方法
JP2001066596A (ja) * 1999-08-24 2001-03-16 Nec Corp 液晶表示装置
TW574521B (en) * 2000-10-17 2004-0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its producing method
JP2002277875A (ja) * 2001-03-23 2002-09-25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液晶表示装置、表示装置
JP3772092B2 (ja) * 2001-03-22 2006-05-10 株式会社東芝 カラー表示装置
JP2003014920A (ja) * 2001-04-25 2003-01-15 Toray Ind Inc 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3140194A (ja) * 2001-11-01 2003-05-14 Mitsubishi Electric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3195277A (ja) 2001-12-20 2003-07-0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71543A (zh) 2006-11-29
TWI282880B (en) 2007-06-21
US7609340B2 (en) 2009-10-27
JPWO2005038520A1 (ja) 2007-11-22
JP5044121B2 (ja) 2012-10-10
KR100762550B1 (ko) 2007-10-01
TW200525229A (en) 2005-08-01
WO2005038520A1 (ja) 2005-04-28
US20070132920A1 (en) 2007-06-14
CN100429572C (zh) 200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749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754082B1 (ko) 액정 표시 장치
US831992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6466290B2 (en) Fringe field switching mode LCD
US7453086B2 (en) Thin film transistor panel
US2007009123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762550B1 (ko) 액정 표시 셀
JP2011257437A (ja) 液晶表示装置
TWI308307B (en) Image display system
KR100758986B1 (ko) 듀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JP2006251143A (ja) 液晶表示装置
JP2006301634A (ja) 表示パネル、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
JP2005128171A (ja) 液晶表示装置
KR20130055205A (ko)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1688593B1 (ko) 횡전계 모드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KR20040066139A (ko)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H0990335A (ja) 液晶表示素子
JP2009042419A (ja) 光制御装置
KR20110077228A (ko)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