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4756A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상중합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상중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4756A
KR20060074756A KR1020040113874A KR20040113874A KR20060074756A KR 20060074756 A KR20060074756 A KR 20060074756A KR 1020040113874 A KR1020040113874 A KR 1020040113874A KR 20040113874 A KR20040113874 A KR 20040113874A KR 20060074756 A KR20060074756 A KR 20060074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 terephthalate
solid
phase polymerization
solid phase
oxygen scave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3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6283B1 (ko
Inventor
김태영
김종량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3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283B1/ko
Publication of KR20060074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4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88Post-polymerisation treatment
    • C08G63/90Purification; D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0Solid-state polyconden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88Post-polymerisation treatment
    • C08G63/89Recovery of the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상중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상중합 반응동안 고상중합 반응기에 산소제거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형물 조각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펠렛과 함께 주입함으로써 고상중합 반응동안 산소농도를 매우 낮게 관리할 수 있어 생산된 제품의 색상 변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고상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형물 조각, 변색, 산소제거제

Descriptio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상중합 방법{METHOD OF SOLID-STATE POLYMERIZATION OF POLYETHYLENETEREPHTHALAT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치식(진공식) 고상중합장치를 모식화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색상이 우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상중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이하 'PET'라고 약칭함)는 섬유, 음료 용기, 필름 또는 타이어 코드(Tire Cord) 등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음료 용기 등과 같은 보틀(bottle)용으로서의 PET 사용량이 매우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PET를 이용한 보틀의 제조는 연신 블로우 성형방법이 채용되며, 이를 위해 고분자량의 PET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고분자량의 PET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고상중합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회분식 진공 방식의 고상중합 반응장치를 도식화한 것이다. 상기 고상중합 반응기는 적절한 장치를 통해 내온 200~240℃의 범위로 유지 조절되고, 고체 펠렛 상태의 PET 반응물의 고른 교반효과 및 결정화 공정 중 융착 방지를 위하여 20~60 rpm의 속도로 회전을 하게 된다. 반응 중 반응기 내부 압력을 반응 부산물의 효과적인 배출을 위하여 진공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진공펌프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상중합 반응장치는 진공을 걸어 주어 산소 농도를 낮추고 반응 부산물의 확산을 촉진시키게 되는데, 진공계이므로 계 내의 압력이 외부보다 낮아 반응 설비에 미세한 틈이 생기면 미량의 산소가 계 내로 유입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특히, 실제적인 고상중합 설비를 사용하면서 미세한 틈이 생기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일단 반응기 내로 유입된 산소는 PET 펠렛 표면에서 산화 반응을 일으켜 PET 제품의 색상을 변색시켜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Mossi & Ghisolfi 사는 국제특허 WO 03/010226 A1에서 직경 25 마이크론 이내, 밀도 0.97~3.4 g/cm3를 갖는 철, 칼슘, 마그네슘, 티타늄, 코발트 등의 다양한 금속 입자를 폴리에스터 내에 포함시켜 중합하여 폴리에스터 수지를 중합하는 방법을 통하여, 포함된 금속 입자가 산소를 제거시키는 산소제거제로서의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W.R. Grace & Co.-Conn사는 미국 특허 USP 5399289에서 전이금속과 폴리머 100g 당 0.01~1.0 당량 농도의 에틸렌계 불포화 탄화수소 고분자 (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polymer)를 산소제거제로 이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Advanced Oxygen Technologies사는 미국 특허 USP 5364555에서 살리실산 킬레이트 또는 그 전이금속 복합체를 산소제거제로서 이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산소제거제를 포함하는 성형물을 이용하여 고상중합 반응동안의 산소농도를 조절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제품의 색상 변색을 효과적으로 방지해 주는 기술은 아직까지 알려져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고상중합 반응기 내로 유입된 산소에 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제품의 변색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고상중합 반응 과정에서 산소제거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형물 조각을 고상중합 반응기에 주입함으로써 고상중합 후 폴리에스터 수지의 색상 변색이 낮아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펠렛과 산소제거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형물 조각을 고상중합 반응기에 함께 주입하고 결정화하는 단계; 상기 결정화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형물 조각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펠렛을 고상중합하는 단계; 및 상기 고상중합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형물 조각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펠렛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형물 조각을 분리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 트의 고상중합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형물 조각은 고상중합된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소제거제 1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고 사출성형하여 프리폼을 얻고, 상기 프리폼을 블로우 성형한 후 제병된 병을 일정한 크기로 잘라 제조한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형물 조각은 고상중합된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소제거제 1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고 압출성형하여 쉬이트(sheet) 또는 필름을 얻고, 상기 쉬이트 또는 필름을 일정한 크기로 잘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산소제거제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면 산소제거 성능이 미약하여 산소제거제로서의 효과를 기대하기 곤란하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산소제거제가 함유된 PET 성형물을 제조할 경우의 성형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산소제거제는 철, 칼슘, 코발트와 같은 전이금속, 콜로매트릭스사(Colormatrix Co.)의 아모소브(Amosorb)와 같은 에틸렌계 불포화 탄화수소(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polymer) 등을 사용한다.
상기 산소제거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보틀 조각(scrap), 각종 쉬이트 또는 필름 조각 등의 형태, 특히 재사용되는 폐 PET 맥주병 조각 형태로 고상중합기 내부에 투입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적절한 장치적인 고안을 통하여 반응기 내부에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결정화 공정은 120-195℃의 온도에서 30-120분 동안 수행되며, 상기 고 상중합 공정은 200-230℃의 온도에서 4-20시간 동안 수행된다.
상기 결정화 공정에서 결정화 온도가 120℃보다 낮으면 결정화 속도가 매우 느려져 결정화가 진행되기 어렵고, 결정화 온도가 195℃보다 높을 경우에는 융착 현상과 황변 현상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공정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마찬가지로, 고상중합 공정의 온도가 200℃보다 낮으면 고상중합 속도가 너무 느려져 곤란하고, 고상중합 온도가 230℃보다 높아지면 융착 현상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고상중합 진행이 어렵게 된다.
결정화 공정은 아모포스(amorphous)상의 PET 펠렛을 반응기에 넣고 회전시키며 반응기의 온도를 PET 수지의 결정화 온도로 유지시켜 줌으로써 진행된다. 반응기의 온도를 결정화 온도로 유지시켜 줌으로써 PET 수지가 결정화가 진행되는 열적 에너지를 제공하고, 반응기를 회전시켜 펠렛 사이에 계속적인 충돌이 일어나게 함으로써 펠렛 사이의 융착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결정화 공정을 통하여 PET 펠렛의 결정화도가 30~40 %가 진행되면, 고상중합 반응온도에서도 PET 펠렛 간 융착현상 없이 안정적으로 고상중합을 진행할 수 있다. 고상중합 과정은 반응물이 고체 PET 중 특히 비결정상에서의 고분자 말단 사이의 화학반응 단계, 이러한 반응의 결과 생성되는 부산물인 에틸렌글리콜, 물, 아세트알데히드 등을 고체상인 PET 펠렛 외부로 확산시키는 내부 물질전달 단계 및 PET 펠렛 표면까지 확산되어 나온 상기 부산물들을 계 밖으로 배출시키는 외부 물질전달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고상중합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형물 조각과 폴리에틸렌테 레프탈레이트 펠렛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형물 조각을 분리제거한다.
산소제거제가 함유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형물 조각을 분리할 때에는 펠렛의 크기 차이를 이용하여 스크리닝 공정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산소제거제가 함유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형물 조각의 직경이 0.7 mm이고 정상적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펠렛의 직경이 0.3 mm 일 경우, 직경이 0.5 mm인 스크린을 사용하여 고상중합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형물 조각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펠렛의 혼합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펠렛만을 분리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통상적인 폴리에스터 용융 중합법을 통하여 고유점도 0.60 dl/g의 PET 펠렛 300 Kg을 제조하였다. 이때, 중합촉매로 산화 게르마늄(Germanium oxide)를 사용하였으며, 생산된 PET 제품의 색상을 측정한 결과, Color L값 88, a값 0, 그리고 b값은 -1 이었다. 제조예에서 얻어진 PET 제품을 이하에서 샘플 A라고 약칭한다.
<비교예>
제조예에서 얻어진 샘플 A 10 Kg을 도 1의 고상중합장치 내로 투입하고, 180 ℃에서 30분 동안 결정화 공정을 수행한 다음, 215℃에서 10시간 동안 고상중합 반응을 수행하여 고유점도 0.80 dl/g의 PET 수지를 얻었다. 이때 얻어진 고상중합 PET 수지의 색상을 측정한 결과, Color L값 94, a값 0, 그리고 b값은 +3.4 이었다.
<실시예 1>
비교예에서 얻어진 고상중합된 PET 수지 10 Kg에 325 mesh size의 철 분말 300 g을 골고루 섞은 후 285℃에서 사출하여 프리폼을 얻었고 이 프리폼을 블로우 성형하여 PET 보틀을 제작하였다. 철 분말이 함유된 PET 보틀의 측면 벽을 3×3cm의 크기로 잘라 산소제거제가 포함된 PET 보틀 조각을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산소제거제가 포함된 PET 보틀 조각을 이하에서 샘플 B라고 약칭한다.
제조예에서 얻어진 샘플 A 10 Kg과 상기에서 얻어진 샘플 B 1 Kg을 함께 도 1의 고상중합장치에 투입하고, 비교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결정화 공정(180℃, 30분) 및 고상중합 공정(215℃, 10시간)을 수행하여 고상중합된 PET 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제품 중 산소제거제가 함유된 샘플 B를 분리하여 제거하고, 남은 고상중합된 PET 수지만의 고유점도 및 색상을 측정한 결과, 고유점도가 0.805 dl/g이며, Color-L값 95, color-a값 0.3, color-b값 1.7 이었다.
<실시예 2>
비교예에서 생산된 고상중합된 PET 수지 10Kg에 Color matrix사에서 제공한 Amosorb DFC4020 제품 1Kg을 골고루 섞은 후 285℃에서 사출하여 프리폼을 얻었고 이 프리폼을 블로우 성형하여 PET 보틀을 제작하였다. PET 보틀의 측면 벽을 3×3cm의 크기로 잘라 산소제거제가 포함된 보틀 조각을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산소제거제가 포함된 보틀 조각을 이하에서 샘플 C라고 약칭한다.
제조예에서 얻어진 샘플 A 10 Kg과 상기에서 얻어진 샘플 C 1 Kg을 함께 도 1의 고상중합 장치에 투입하고, 비교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결정화 공정(180℃, 30분) 및 고상중합 공정(215℃, 10시간)을 수행하여 고상중합된 PET 수지를 생산하였다. 생산된 제품 중 산소제거제가 함유된 샘플 C를 분리하여 제거하고, 남은 고상중합된 PET 수지만의 고유점도 및 색상을 측정한 결과, 고유점도가 0.803 dl/g이고, Color-L값 94, color-a값 0.1, color-b값 1.9 이었다.
<실시예 3>
비교예에서 생산된 고상중합된 PET 수지 10Kg에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철 분말 300 g과 실시예 2에서 사용된 Color matrix사에서 제공한 Amosorb DFC4020 제품 1 Kg을 골고루 섞은 후 285℃에서 사출하여 프리폼을 얻었고 이 프리폼을 블로우 성형하여 PET 보틀을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PET 보틀의 측면 벽을 3×3cm의 크기로 잘라 산소제거제가 포함된 PET 보틀 조각을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산소제거제가 포함된 PET 보틀 조각을 샘플 D라고 약칭한다.
조제예에서 얻어진 샘플 A 10 Kg과 상기에서 얻어진 샘플 D 1 Kg을 함께 도 1의 고상중합 장치에 투입하고, 비교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결정화 공정(180℃, 30분) 및 고상중합 공정(215℃, 10시간)을 수행하여 고상중합된 PET 수지를 생산하였다. 생산된 제품 중 산소제거제가 함유된 샘플 D를 분리하여 제거하고, 남은 고상중합된 PET 수지만의 고유점도 및 색상을 측정한 결과, 고유점도가 0.803 dl/g이고, Color-L값 94, color-a값 0.1, color-b값 0.8 이었다.
<실시예 4>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OB맥주 주식회사의 PET 맥주병을 구입하여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맥주 PET 보틀의 측면 벽을 3×3cm의 크기로 잘라 산소제거제가 포함된 PET 보틀 조각을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산소제거제가 포함된 PET 보틀 조각을 이하에서 샘플 E라고 약칭한다.
조제예에서 얻어진 샘플 A 10 Kg과 상기에서 얻어진 샘플 E 1 Kg을 함께 도 1의 고상중합 장치에 투입하고, 비교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결정화 공정(180℃, 30분) 및 고상중합 공정(215℃, 10시간)을 수행하여 고상중합된 PET 수지를 생산하였다. 생산된 제품 중 산소제거제가 함유된 샘플 E를 분리하여 제거하고, 남은 고상중합된 PET 수지만의 고유점도 및 색상을 측정한 결과, 고유점도가 0.801 dl/g이고, Color-L값 94, color-a값 0.2, color-b값 2.5 이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상중합 반응동안 고상중합 반응기에 산소제거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형물 조각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펠렛과 함께 주입함으로써 고상중합 반응동안 산소농도를 매우 낮게 관리할 수 있어 생산된 제품의 색상 변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펠렛과 산소제거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형물 조각을 고상중합 반응기에 함께 주입하고 결정화하는 단계;
    상기 결정화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형물 조각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펠렛을 고상중합하는 단계; 및
    상기 고상중합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형물 조각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펠렛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형물 조각을 분리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상중합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형물 조각은 고상중합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소제거제 1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고 사출성형하여 프리폼을 얻고, 상기 프리폼을 블로우 성형한 후 제병된 병을 일정한 크기로 잘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상중합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형물 조각은 고상중합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소제거제 1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고 압출성형하여 쉬이트(sheet) 또는 필름을 얻고, 상기 쉬이트 또는 필 름을 일정한 크기로 잘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상중합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형물 조각은 산소제거제를 함유하는 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맥주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상중합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제거제는 철, 칼슘, 전이금속 및 에틸렌계 불포화 탄화수소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상중합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 공정은 120-195℃의 온도에서 30-120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상중합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상중합 공정은 200-230℃의 온도에서 4-2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상중합 방법.
KR1020040113874A 2004-12-28 2004-12-28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상중합 방법 KR101126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874A KR101126283B1 (ko) 2004-12-28 2004-12-28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상중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874A KR101126283B1 (ko) 2004-12-28 2004-12-28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상중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4756A true KR20060074756A (ko) 2006-07-03
KR101126283B1 KR101126283B1 (ko) 2012-03-19

Family

ID=3716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3874A KR101126283B1 (ko) 2004-12-28 2004-12-28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상중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2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3050A1 (ko) * 2013-05-31 2014-12-04 제일모직 주식회사 연속식 고상중합 장치 및 방법
KR102163351B1 (ko) * 2019-11-08 2020-10-08 이경희 고강력 폴리에스터 장섬유 제조를 위한 재생 pet 칩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9873A (ja) * 1996-09-12 1998-05-26 Mitsui Chem Inc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の製造方法
US7740926B2 (en) * 2001-07-26 2010-06-22 M&G Usa Corporation Oxygen-scavenging contain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3050A1 (ko) * 2013-05-31 2014-12-04 제일모직 주식회사 연속식 고상중합 장치 및 방법
KR102163351B1 (ko) * 2019-11-08 2020-10-08 이경희 고강력 폴리에스터 장섬유 제조를 위한 재생 pet 칩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6283B1 (ko) 2012-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4450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その成形体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3418987B2 (ja)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の製造方法
JP5219113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回収品のリサイクル方法
JP3464489B2 (ja) フラッシュタンク脱蔵を用いる溶融成形で直接低アセトアルデヒド含量のポリエステル成形品を成型する装置及び方法
RU2384590C2 (ru) Сложнополиэфирные полимерные частицы, имеющие небольшой градиент молекулярной массы от поверхности к центру
KR101785753B1 (ko) 압출 취입 성형용 초고 iv 폴리에스터 및 그의 제조 방법
US6559271B2 (en) Method for producing polyesters with a reduced content of free acetaldehyde
JP5178189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溶液の製造方法
CZ327395A3 (en) Process for preparing poly(ethylenenaphthalate)polymer or copolymer with high molecular weight
KR101126283B1 (ko)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상중합 방법
JP2008523213A5 (ko)
JPH08301993A (ja) 低ラクタイド含有乳酸系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EP4001361A1 (en) Polyester resin blend
KR101748408B1 (ko) 폴리알킬렌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방법
JP4765748B2 (ja) ポリエステル粒子の製造方法及びポリエステル樹脂粒子の製造方法
US20070232777A1 (en) Method for treating recycl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or accelerated processing
JP2011127100A (ja) アンチモン非含有かつコバルト非含有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EP4039744A1 (en) Polyester resin blend and molded article formed therefrom
JP2006256321A (ja)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ペレット
JPH07233245A (ja) ラクタイド系共重合体の連続製造方法
JP2017094565A (ja) 粒状ポリグリコール酸系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RU2397866C2 (ru) Разделенная на секции крошка подобных полимеров различной вязкости улучшенной перерабатываемости
KR20240076318A (ko) 재생 비스(4-히드록시부틸)테레프탈레이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KR20200040615A (ko) 내화학성 및 투명도가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KR20070068007A (ko) 고상중합용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상중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