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3968A - 흡기장치, 센서유닛, 이륜차 및 흡기온도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흡기장치, 센서유닛, 이륜차 및 흡기온도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3968A
KR20060073968A KR1020067007743A KR20067007743A KR20060073968A KR 20060073968 A KR20060073968 A KR 20060073968A KR 1020067007743 A KR1020067007743 A KR 1020067007743A KR 20067007743 A KR20067007743 A KR 20067007743A KR 20060073968 A KR20060073968 A KR 20060073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emperature
intake air
throttle
temperature sensor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7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로 무사시
오사무 미우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쿠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쿠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쿠니
Publication of KR20060073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9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8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by measuring intake air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4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 F02D2200/0406Intake manifol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4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 F02D2200/0414Air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Means For Warming Up And Starting Carburetor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기장치에 흡기온도센서 및 압력센서를 조밀하게 설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흡기온도센서(22)를 스로틀바디(10)의 유로(11) 내에서 스로틀 샤프트(13)보다 상류측에 배치한다. 또 흡기온도센서(22)를 스로틀 샤프트(13)의 전방 또한 스로틀 밸브(12)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한다. 압력센서(23)로 압력을 유도하는 압력 도입로(15)의 입구를, 스로틀 밸브(13)가 개방방향으로 회동할 때에 상류측으로 회동되는 스로틀 밸브(12)의 제 1 반편부의 하류측에 배치한다. 센서 유닛(20)을 스로틀 바디(10)에 설치하기 위한 2개의 나사의 한쪽을, 반편부의 상류측에 배치한다. 또 한쪽의 나사를 가지는 한쪽의 반편부의 하류측에 배치한다. 또 흡기온도의 검출값을 에어크리너 근방의 흡기온도의 검출값으로 보정한다.

Description

흡기장치, 센서유닛, 이륜차 및 흡기온도 검출방법{AIR INTAKE DEVICE, SENSOR UNIT, TWO-WHEELED VEHICLE, AND INTAKE AIR TEMPERATURE DETECTION METHOD}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흡기장치, 스로틀 바디에 장착되는 센서 유닛 및 그것들을 구비한 이륜차, 또한 흡기온도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흡기계에는, 흡기온도센서, 압력센서, 밸브 회전 센서 등이 설치되나, 종래 흡기온도센서는 에어클리너에, 압력센서는 스로틀 바디 또는 인테크 매니폴드 또는 전용 하우징에, 밸브 회전 센서는 스로틀 바디에 각각 개별로 설치되어 있다. 각 센서에는 각각 전용의 배선이나 설치기구가 필요하기 때문에 배선이 번잡해지고, 설치공정도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 엔진 시스템의 FI 화에 따라, 센서류의 장착은 조밀화, 모듈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압력센서와 흡기온도센서를 유닛화하여 스로틀 바디 상류측의 흡기관에 설치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7-260534호 공보
본원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흡기온도센서 및 압력센서를 조밀하게 설치 가능한 흡기장치, 상기 센서 유닛 및 그것들을 구비한 이륜차, 또한 흡기온도 검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흡기장치는, 흡기온도센서와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센서 유닛이 스로틀 바디에 탑재되는 버터플라이형 스로틀 밸브를 사용한 흡기장치로서, 상기 흡기온도센서가 상기 스로틀 바디의 유로 내에서 스로틀 샤프트보다 상류측이고, 또한 상기 스로틀 밸브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압력센서로 압력을 유도하는 압력 도입로의 상기 유로 내의 입구가 상기 스로틀 밸브가 개방방향으로 회동될 때에 상류측으로 회동되는 상기 스로틀 밸브의 제 1 반편부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 유닛을 상기 스로틀 바디에 설치하기 위한 제 1 장치 수단이 상기 제 1 반편부의 상류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센서 유닛을 상기 스로틀 바디에 설치하기 위한 제 2 설치수단이 상기 스로틀 밸브가 개방 방향으로 회동될 때에 하류측으로 회동되는 상기 스로틀 밸브의 제 2 반편부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흡기장치는 상기 센서 유닛이 상기 흡기온도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흡기온도센서 설치부를 가지고, 상기 흡기온도센서 설치부가 상기 유로의 안 둘레벽으로부터 상기 스로틀 샤프트를 따라 상기 유로 내로 돌출하고, 상기 흡기온도센서의 상기 안 둘레벽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가 상기 유로의 내경의 약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흡기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설치수단이, 상기 유로의 옆쪽으로서 상기 유로의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샤프트의 축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유로의 내경의 약 1/2 이하가 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흡기장치는 상기 스로틀 샤프트에 드로틀 개방도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흡기장치는 스로틀 바디의 유로 내에서 스로틀 샤프트보다 상류측이고, 또한 상기 스로틀 밸브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흡기온도센서와, 상기 흡기온도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값을, 에어클리너 근방에서의 흡기온도의 값으로 보정하는 보정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흡기장치는 흡기온도 맵값을 기억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보정회로는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흡기온도 맵값을 이용하여 검출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센서 유닛은 흡기온도센서 설치부의 흡기온도센서 도입로의 입구의 단면에 접하는 부분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돌기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돌기부재와 상기 흡기온도센서 도입로의 입구의 단면이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센서 유닛은 상기 돌기부재가 인접하는 상기 돌기부재와 각각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이륜차는 상기 흡기장치를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이륜차는 상기 센서 유닛을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이륜차는 상기 흡기장치 및 상기 센서 유닛의 적어도 하나를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흡기온도 검출방법은 스로틀 바디의 유로 내에서 스로틀 샤프트보다 상류측이고, 또한 상기 스로틀 밸브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흡기온도센서로부터의 검출값을 취득하는 취득공정과, 상기 취득공정에 의하여 취득된 검출값을 에어클리너 근방에서의 흡기온도의 값으로 보정하는 보정공정과, 상기 보정공정에 의하여 보정된 값을 출력하는 출력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흡기온도 검출방법은, 상기 보정공정이 미리 소정의 메모리에 기억된 흡기온도 맵값을 이용하여 상기 검출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흡기장치에 흡기온도센서 및 압력센서를 조밀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흡기장치의 유로를 따라, 또한 스로틀 샤프트 축방향으로부터의 모식적인 측단면도,
도 2는 흡기장치의 유로를 따라, 또한 스로틀 샤프트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부터의 모식적인 단면도(도 6의 II-II 선을 따른 단면도에 대응하는 도),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을 따른 모식적인 횡단면도,
도 4는 유로의 안 둘레를 따른 방향에서의 압력 도입로의 입구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5는 센서 유닛이 설치되는 방향의 스로틀 바디의 측면도(센서 유닛이 떼어 내진 상태로 나타냄),
도 6은 도 5와 동일한 방향으로부터의 센서 유닛이 설치된 상태의 흡기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도 2의 확대도,
도 8은 도 7의 XI-X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9는 흡기장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흡기온도 검출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로틀 바디 11 : 유로
12 : 스로틀 밸브 13 : 스로틀 샤프트
15 : 압력 도입로 16, 17 : 나사 구멍
20 : 센서 유닛 21 : TPS
22 : 흡기온도센서 23 : 압력센서
24 : 흡기온도센서 설치부 30, 31 : 나사
40(40a - 40b) : 돌기부재 41 : 흡기온도센서 설치부(24)의 단면
42 : 스로틀 바디(10)의 흡기온도센서 도입로의 입구의 단면
50 : 보정회로 51 : 흡기온도 맵값 메모리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흡기장치의 유로를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은 스로틀 샤프트 축을 따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6의 II-II 선을 따른 단면도에 대응한다.
스로틀 바디(10)의 중앙에는 원통형의 유로(1)가 설치되고, 도 1, 도 2에 있어서 스로틀 바디(10)의 좌측이 상류측이고, 오른쪽이 하류측이다. 유로(11)의 대략 중앙에는 버터플라이형의 스로틀 밸브(12)가 설치된다. 스로틀 밸브(12)는 유로(11)의 대략 중앙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스로틀 샤프트(13)에 유지된다.
스로틀 샤프트(13)는 스로틀 바디(10)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고, 스로틀 밸브(12)의 개폐는, 스로틀 샤프트(13)의 회전에 의하여 조작된다. 도 1에서는 완전 폐쇄상태의 스로틀 밸브(12)의 위치가 실선으로 그려지고, 완전 개방상태의 스로틀 밸브(12)의 위치가 파선으로 그려져 있다. 또 스로틀 밸브(12)의 가동범위가 화살표 A로 나타나 있다. 즉, 도 1에 있어서 스로틀 샤프트(1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스로틀 밸브(12)는 개방되고,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폐쇄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유로(11)의 중심축(X)과 스로틀 샤프트(13)의 축심과의 교점을 지나, 이들 축에 직교하는 도 1에 있어서의 상향 방향을 기준방향(Y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의 각도(θ)를 정의하고, 이 각도를 참조하여 설명을 행한다.
통상, 스로틀 밸브(12)에는 그 장축이 유로(11)의 내경보다 약간 큰 타원형의 것이 이용된다. 따라서 스로틀 밸브(12)의 개방도를 스로틀 밸브 상반부(스로틀 밸브가 개방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상류측으로 회동되는 부분, 제 1 반편부)의 Y축으로부터의 각도로 나타낼 때, 스로틀 밸브(12)는 소정의 미소 각도 θ = α에 있어서 완전 폐쇄상태가 되고, 약 θ = 90°에서 완전 개방상태가 된다. 즉, 스로 틀 밸브(12)의 상반부는 α≤θ≤ 90°의 범위에서 회동되고, 이 때 스로틀 밸브(12)의 하반부(제 2 반편부)는 α + 180°≤θ≤ 270°의 범위에서 회동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스로틀 바디(10)에는 그 옆쪽에 센서 유닛(20)이 설치된다. 센서 유닛(20)에는 스로틀 샤프트(13)의 회동각에 연동하여 스로틀 밸브 개방도를 검출하는 드로틀 개방도 센서(TPS)(21) 외에, 흡기온도센서(22) 및 압력센서(23)가 설치된다.
센서 유닛(20)에는 유닛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흡기온도센서 설치부(24)가 형성되어 있고, 흡기온도센서(22)는 흡기온도센서설치부(24)의 선단에 배치된다. 한편, 스로틀 바디(10)에는 흡기온도센서 설치부(24)를 삽입하기 위한 흡기온도센서 도입로(14)가 스로틀 샤프트(13)와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흡기온도센서 도입로(14)는 스로틀 바디(10)의 옆쪽으로부터 유로(11)와 외부를 연통하고, 센서 유닛(20)이 스로틀 바디(10)에 설치되면 흡기온도센서 설치부(24)는 흡기온도센서 도입로(14)를 통하여 유로(11) 내에 유로(11)의 안 둘레벽으로부터 길이 d만큼 돌출한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기온도센서 설치부(24)는, 스로틀 샤프트(13)의 상류측에서 스로틀 샤프트(13)의 전방 축 폭 내[스로틀 샤프트(13)를 상류측으로 중심축(X)을 따라 평행 이동하였을 때에 스로틀 샤프트(13)가 지나는 영역]에 대응하는 상류측의 영역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흡기온도센서(22) 및 흡기온도센서 설치부(24)에 의한 하류에 대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기온도센서 설치부(24)는 유로(11)의 대략 중심을 가로지르도 록(스로틀 샤프트 축과 동일한 높이로)배치되어 있다.
또 흡기온도센서(22)는, 스로틀 바디(10)로부터의 열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가능하면 유로(11)의 벽면으로부터 떨어져 배치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의 영향을 실질적으로 받지 않는 범위로서, 유로(11)의 내경을 φ라 할 때, 길이(d)를 약 9/32 ≤ d/φ ≤ 1/2를 만족하는 범위로 설정한다.
또한 흡기온도센서(22)는 유로(11) 내에서 스로틀 샤프트(13)의 전방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스로틀 밸브(12)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흡기온도센서(22)가 유로 중앙까지 연장되는 경우에는, 흡기온도센서(22)는 스로틀 샤프트(13)의 축심으로부터 스로틀 밸브(12)의 장축의 길이보다 먼 위치에 배치된다. 즉, 스로틀 밸브(12)의 장축의 길이를 D 라 할 때, 흡기온도센서(22)는 스로틀 샤프트(13)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D)의 원의 바깥쪽에 배치된다(도 1 참조). 단, 흡기온도센서(22)의 위치가 중심축(X)으로부터 떨어짐(유로 내벽에 가까워짐)에 따라 스로틀 샤프트(13)를 축심에 근접시킬 수 있다. 즉, 흡기온도센서 설치부(24)가 짧아짐에 따라 스로틀 밸브(12)의 타원 또는 원형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흡기온도센서(22)를 X축을 따라 스로틀 샤프트(13)에 근접시킬 수 있다.
또 스로틀 바디(10)의 측벽에는 센서 유닛(20) 내에 배치된 압력센서(23)로 압력을 유도하기 위한 압력 도입로(15)가 스로틀 밸브(12)의 하류측에 형성된다. 압력 도입로(15)는 스로틀 밸브(12)의 후류의 영향을 가능한 한 받지 않도록 배치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압력 도입로(15)를 270°≤ θ ≤ 360°의 영역(상반부의 하류측 영역)에 설치하는 경우, 스로틀 밸브(12)의 상반부, 하반부 중 어느 것도 이 영역 내를 회동하지 않고, 스로틀 밸브(12)의 상반부는 밸브 개방도가 커짐에 따라 이 영역으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압력 도입로(15)의 입구를 더욱 스로틀 샤프트(13)에 근접시켜 [직경(D)의 원 내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유로(11)의 안 둘레를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압력 도입로(15의) 입구의 위치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Y 축으로부터 센서 유닛(20)이 설치된 방향으로 각도(φ)를 취할 때, 압력 도입로(15)의 입구는 0°≤ φ ≤ 90°의 범위에 설치된다. 압력 도입로(15)의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해서는, 압력 도입로(15)의 입구는 45°≤ φ ≤ 90°의 범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력 도입로(15) 내로의 이물의 진입을 방지할 목적에서는 Y 축의 방향은 스로틀 바디(10)를 엔진 블럭에 설치하였을 때에 윗쪽이 되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흡기장치에서는 센서 유닛(20)을 스로틀 바디(10)에 설치하기 위하여 2개의 나사(30, 31)(도 6 참조)가 사용되고, 이들 나사(30, 31)는 0°≤θ≤ 90°의 영역(상반부의 상류측 영역) 및 180°≤θ≤ 270°의 영역(하반부의 하류측 영역)에 배치된다. 또 나사(30, 31)는 압력센서(23) 및 흡기온도센서(22)가 상기한 바와 같이 배치되기 때문에 스로틀 샤프트(13)에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고, 유로(11)에 겹치는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즉, 나사(30, 31)는 유로(11)의 옆쪽으로서 예를 들면 도 3과 같이 유로(11)를 축방향에서 본 평면에 있어서, 스로틀 샤프트(13)의 상하 약 φ/2 이내의 높이에 배치된다.
도 5에 센서 유닛(20)이 설치되는 측의 스로틀 바디(10)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로틀 바디(10)의 측면에는 나사(30, 31)(도 6을 참조)를 설치하기 위한 나사 구멍(16, 17)을 스로틀 샤프트(13)를 중심으로 대각선상에 대칭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안정적으로 센서 유닛(20)을 스로틀 바디(10)에 설치할 수 있다. 또 이들 영역에는 어느 하나의 센서도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나사 구멍(16, 17)은 스로틀 샤프트(13)에 근접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센서 유닛(20)의 소형화를 더욱 촉진한다. 또한 도 6에 센서 유닛(20)이 설치된 상태의 스로틀 바디(10)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 7은 도 2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7의 XI-X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흡기온도센서 설치부(24)의 흡기온도센서 도입로의 입구의 단면에 접하는 부분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돌기부재(40)(40a~40d)를 설치한다. 그리고 흡기온도센서 설치부(24)가 스로틀 바디(10)에 설치될 때, 돌기부재(40)와 흡기온도센서 도입로의 입구의 단면(42)이 맞닿도록 한다. 이것에 의하여 직접 센서 유닛(20)과 스로틀 바디(10)의 흡기온도센서 도입로의 입구의 단면(42)이 직접 접하지 않게 한다.
즉, 돌기부재(40)을 거쳐 접함으로써, 스로틀 바디(10)의 흡기온도센서 도입로의 입구의 단면(42)과 흡기온도센서 설치부(24)가 맞닿는 면적을 작게 함과 동시에 양자 사이에 공간을 설치할 수 있어 스로틀 바디(10)의 흡기온도센서 도입로의 입구의 단면(42)과 흡기온도센서 설치부(24)의 단면(41)을 평면끼리로 끼워 맞춘 경우에 생기는 스로틀 바디(10)로부터의 열전도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스로틀 바디(10)의 흡기온도센서 도입로의 입구의 단면(42)과 흡기온도센서 설치부(24)의 단면(41)이 맞닿는 면적을 작게 함으로써, 양자를 평면끼리로 끼워 맞추기 보다 끼워 맞춤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센서 유닛(20)을 스로틀 바디(10)에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다.
또 돌기부재(40)는 각각 대각의 위치에 인접하는 돌기부재(40)끼리의 간격이 약 90°가 되도록 4개 설치한다. 센서 유닛(20)과 스로틀 바디(10)가 확실하게 끼워 맞춰지기 위해서는 각 돌기부재(40)에 균등하게 힘이 가해지도록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부재(40)의 수는 「4」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3」[돌기부재(40)끼리의 간격이 약 120°] 또는「5」[돌기부재(40)끼리의 간격이 약 72°] 이상이어도 좋다. 돌기부재(40)의 수가 많아지면 많아질 수록 안정되게 끼워 맞출 수 있는 반면, 열전도율의 억제효과가 저하한다. 따라서 돌기부재(40)의 수, 크기, 형상에 대해서는 끼워 맞춤의 안정도 및 열전도율의 억제효과 등을 감안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통상, 흡기온도센서(22)는 도시를 생략하는 에어클리너 근방에 설치하고, 상기 에어클리너 근방에서의 흡기온도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밀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스로틀 밸브(12)의 근방, 즉 스로틀 바디(10)의 유로(11) 내에서 스로틀 샤프트(13)보다 상류측이고, 또한 스로틀 밸브(12)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흡기온도센서(22)를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에어클리너 근방에 있어서 검출한 흡기온도과의 차가 생긴다. 따라서 흡기온도센서(22)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값을, 상기 에어클리너 근방에서의 흡기온도의 값으로 보정하는 보정회로(50)를 구비하고 있다. 도 9는 흡기장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에 있어서, 흡기온도센서(22)에서 검출된 검출값을 보정회로(50)가 에어클리너 근방에서의 흡기온도의 값으로 보정한다. 또 흡기온도 맵값을 기억하는 흡기온도 맵값 메모리(51)를 구비하고 있고, 보정회로(50)는 흡기온도 맵값 메모리(51)에 기억된 흡기온도 맵값을 이용하여 검출값을 보정한다. 흡기온도 맵값은 스로틀 밸브(12)의 근방에서의 검출값(흡기온도)과, 그 흡기온도에 대응하는 에어클리너 근방의 흡기온도 에 관한 데이터를 미리 계측하여 두고, 그 데이터를 흡기온도 맵값으로서 저장한다.
보정회로(50) 및 흡기온도 맵값 메모리(51)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도시를 생략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ECU와는 따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10은 흡기온도 검출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의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먼저 흡기온도센서(22)에 의하여 스로틀 밸브(12)의 근방에서의 흡기온도의 검출값을 취득한다(단계 S61). 다음에 흡기온도 맵값 메모리(51)에 기억되어 있는 흡기온도 맵값을 이용하여, 상기 검출값을 에어클리너 근방의 흡기온도가 되도록 보정을 한다(단계 S62). 그리고 보정된 값을 흡기온도으로서 출력한다(단계 S63).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압력센서, 압력 도입로 입구, 흡기온도센서 및 설치나사를 상기한 바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각 센서 및 설치나사를 TPS가 설치되는 스로틀 샤프트에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어, 센서 유닛을 아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특히 배기장치의 설치 공간에 제한이 있는 소배기량의 이륜차(예를 들면 스쿠터 등)에 적합하다. 또 각 센서 모두 양호한 조건하에서 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센서 유닛을 안정된 상태에서 스로틀 바디에 설치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와 같은 배치를 채용함으로써 보어지름(유로의 내경)이 다른 흡기장치에 대해서도 동일 센서 유닛을 사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즉, 보어지름이 다르면 스로틀 밸브의 직경도 다르기 때문에, 압력 도입로의 위치를 흡기장치마다 변경할 필요가 생기나, 본 실시형태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보어지름이 다른 많은 흡기장치에 대하여 동일 위치에 압력 도입로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종류의 흡기장치에 대하여 동일 센서 유닛을 채용할 수 있다. 또 흡기온도센서의 길이를, 센서 유닛이 겸용되는 흡기장치의 최소의 보어지름의 1/2로 설정함으로써 동일하게 적응 가능한 보어지름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로틀 밸브를 타원형으로 하고, α를 유한의 미소각으로서 설명을 행하였으나, 스로틀 밸브를 원형으로 할 때에는 α= 0으로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연기관(특히 소형의 이륜차)의 흡기장치, 스로틀 바디에 장착되는 센서 유닛에 적합하다.

Claims (12)

  1. 흡기온도센서와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센서 유닛이 스로틀 바디에 탑재되는 버터플라이형 스로틀 밸브를 사용한 흡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기온도센서가, 상기 스로틀 바디의 유로 내에서 스로틀 샤프트보다 상류측이고, 또한 상기 스로틀 밸브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압력센서로 압력을 유도하는 압력 도입로의 상기 유로 내의 입구가, 상기 스로틀 밸브가 개방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 상류측으로 회동되는 상기 스로틀 밸브의 제 1 반편부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 유닛을 상기 스로틀 바디에 설치하기 위한 제 1 설치수단이, 상기제 1 반편부의 상류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센서 유닛을 상기 스로틀 바디에 설치하기 위한 제 2 설치수단이, 상기 스로틀 밸브가 개방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 하류측으로 회동되는 상기 스로틀 밸브의 제 2 반편부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이, 상기 흡기온도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흡기온도센서 설치부를 가지고, 상기 흡기온도센서 설치부가, 상기 유로의 안 둘레벽으로부터 상기 스로틀 샤프트를 따라 상기 유로 내로 돌출하고, 상기 흡기온도센서의 상기 안 둘레벽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가, 상기 유로의 내경의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설치수단이, 상기 유로의 옆쪽이고, 상기 유로의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샤프트의 축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유로의 내경의 1/2 이하가 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샤프트에 드로틀 개방도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장치.
  5. 스로틀 바디의 유로 내에서 스로틀 샤프트보다 상류측이고, 또한 상기 스로틀 밸브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흡기온도센서와,
    상기 흡기온도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값을, 에어클리너 근방에서의 흡기온도의 값으로 보정하는 보정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흡기온도 맵값을 기억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보정회로는,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흡기온도 맵값을 이용하여 검출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장치.
  7. 흡기온도센서 설치부의 흡기온도센서 도입로의 입구의 단면에 접하는 부분에, 2개 이상의 돌기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돌기부재와 상기 흡기온도센서 도입로의 입구의 단면이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유닛.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재는, 인접하는 상기 돌기부재와 각각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유닛.
  9. 상기 제 1항에 기재된 흡기장치를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10. 상기 제 7항에 기재된 센서유닛을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11. 스로틀 바디의 유로 내에서 스로틀 샤프트보다 상류측이고, 또한 상기 스로틀 밸브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흡기온도센서로부터의 검출값을 취득하는 취득공정과,
    상기 취득공정에 의하여 취득된 검출값을, 에어클리너 근방에서의 흡기온도의 값으로 보정하는 보정공정과,
    상기 보정공정에 의하여 보정된 값을 출력하는 출력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흡기온도 검출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공정은, 미리 소정의 메모리에 기억된 흡기온도 맵값을 이용하여 상기 검출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온도 검출방법.
KR1020067007743A 2003-10-22 2004-10-21 흡기장치, 센서유닛, 이륜차 및 흡기온도 검출방법 KR200600739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61562 2003-10-22
JPJP-P-2003-00361562 2003-10-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968A true KR20060073968A (ko) 2006-06-29

Family

ID=34463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743A KR20060073968A (ko) 2003-10-22 2004-10-21 흡기장치, 센서유닛, 이륜차 및 흡기온도 검출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415346B2 (ko)
EP (1) EP1676990A1 (ko)
JP (1) JP4634935B2 (ko)
KR (1) KR20060073968A (ko)
CN (1) CN1871420A (ko)
BR (1) BRPI0415832A (ko)
TW (1) TWI330221B (ko)
WO (1) WO20050382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732B1 (ko) * 2006-11-09 2008-04-28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용성 고분자층 및 이온화합물층의 이중 적층 구조를포함하는 고분자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618279B1 (pt) * 2005-11-07 2020-12-22 Keihin Corporation sistema de admissão de um motor
DE102006047880B4 (de) 2006-10-10 2008-07-10 Danfoss A/S Durchflußeinstellventil
JP4416012B2 (ja) * 2007-06-06 2010-02-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吸入空気流量測定装置
US8010225B2 (en) * 2008-01-30 2011-08-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monitoring manufacturing equipment
JP5313580B2 (ja) * 2008-07-24 2013-10-09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船外機
DE102009026931A1 (de) 2009-06-15 2010-12-16 Robert Bosch Gmbh Kombisensor
DE102010039970A1 (de) * 2010-08-31 2012-03-01 Robert Bosch Gmbh Kombisensor
US20120240898A1 (en) * 2011-03-23 2012-09-27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Integrated plastic throttle body, electronic control unit, and sensors for small engine
JP6020916B2 (ja) * 2013-03-21 2016-11-02 株式会社ケーヒン 自動二輪車用エンジンの吸気装置
TWI554678B (zh) * 2015-12-01 2016-10-21 Kwang Yang Motor Co Engine throttle body structure
DE102016119426B4 (de) * 2016-10-12 2020-03-12 Pierburg Gmbh Klappenvorrichtung für eine Verbrennungskraftmaschine
IT201700060141A1 (it) * 2017-06-01 2018-12-01 Magneti Marelli Spa Valvola a farfalla per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e provvista di un sensore di pressione e di un sensore di temperatura
JP2022017602A (ja) 2018-10-11 2022-01-2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単一の燃焼室用スロットルボディアセンブリ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238A (ja) * 1981-07-06 1983-01-18 Toyota Motor Corp 燃料噴射式エンジンの燃料噴射量制御方法
JPS63134844A (ja) * 1986-11-25 1988-06-07 Nippon Denso Co Ltd 排気ガス還流制御装置
WO1990001631A1 (en) * 1988-07-29 1990-02-22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Fail-safe device for a temperature sensor
JPH07260534A (ja) 1994-03-17 1995-10-13 Hitachi Ltd 空気流量測定装置
JPH09222043A (ja) * 1996-02-16 1997-08-26 Unisia Jecs Corp 内燃機関の外気温算出装置
JPH10232169A (ja) * 1997-02-20 1998-09-02 Hitachi Ltd 吸気温度センサ
JP4474080B2 (ja) * 2001-08-31 2010-06-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吸気量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732B1 (ko) * 2006-11-09 2008-04-28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용성 고분자층 및 이온화합물층의 이중 적층 구조를포함하는 고분자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415832A (pt) 2007-01-02
CN1871420A (zh) 2006-11-29
WO2005038223A1 (ja) 2005-04-28
JPWO2005038223A1 (ja) 2007-01-11
US7415346B2 (en) 2008-08-19
EP1676990A1 (en) 2006-07-05
US20060174701A1 (en) 2006-08-10
TW200521317A (en) 2005-07-01
JP4634935B2 (ja) 2011-02-16
TWI330221B (en) 2010-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5346B2 (en) Air intake device, sensor unit, two-wheeled vehicle, and intake air temperature detection method
US20060231073A1 (en) Sensor module unit and throttle device with the same
JP4416012B2 (ja) 吸入空気流量測定装置
US7946158B2 (en) Air flow measuring device
KR100495362B1 (ko) 발열저항체식공기유량측정장치및이를이용하는내연기관의연료제어시스템
JP4191721B2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4800206B2 (ja) スロットルシステムおよびセンサユニット
JP2010174872A (ja) 内燃機関の二次空気供給システムの異常診断装置
WO2007052554A1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US7966870B2 (en) Air flow measuring device
JP4154418B2 (ja) スロットルボディ及びセンサハウジング間の位置決め固定構造
US8955493B2 (en) Throttle valve body and throttle valve device having the same
KR100203107B1 (ko) 비접촉식 스로틀 포지션 센서
JPH05126611A (ja) 空気流量計および空気流量計を備えた内燃機関
JP4384777B2 (ja) エンジンの電動式吸気量制御装置
JPH1194616A (ja) 空気流量測定装置の取付手段
KR19990040280U (ko) 차량의 흡기량 측정 장치
JPS58137727A (ja) 圧力検出装置
JP2007270617A (ja) センサモジュールユニットおよびスロットルシステム
JP2007270618A (ja) 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スロットルシステム
JP2007270685A (ja) 内燃機関の吸気管圧力検出装置
JPH06265432A (ja) 内燃機関の吸気絞り弁装置
JP2006162528A (ja) スロットルボデーにおける回転角度検出装置
WO2005116428A1 (ja) スロットルシステムおよびセンサユニット
KR20020029679A (ko) 핫 필름 에어 플로 센서 방식 에어 클리너의 공기 흡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