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0051A -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 Google Patents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0051A
KR20060070051A KR1020040108672A KR20040108672A KR20060070051A KR 20060070051 A KR20060070051 A KR 20060070051A KR 1020040108672 A KR1020040108672 A KR 1020040108672A KR 20040108672 A KR20040108672 A KR 20040108672A KR 20060070051 A KR20060070051 A KR 20060070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ontainer
vacuum packaging
packaging machine
lock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8598B1 (ko
Inventor
성이제
Original Assignee
(주)씨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스이 filed Critical (주)씨에스이
Priority to KR1020040108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598B1/ko
Priority to PCT/KR2004/003490 priority patent/WO2005113341A1/en
Publication of KR20060070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B65B31/06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 being arranged for insertion into, and withdrawal from, the mouth of a filled container and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means for sealing the container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03Arrangements to enable adjustments related to the packag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장치가 구비된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후드에 잠금수단을 구비케 함으로서 진공작업시 후드 부분을 누르지 않고도 진공할 수 있고, 연속적으로 밀폐된 하부 고무패킹을 삭제하고 직선형의 밀봉부재를 컨테이너에 장착시킴으로서 종래의 진공포장기와 동일한 진공도를 유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컨테이너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고, 진공완료 후 진공공간부의 진공상태를 손쉽게 해제할 수 있고, 상기 후드와 콘테이너 사이에 진공포장지를 삽입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컨테이너 상면에 형성된 요철을 따라 기름 및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진공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밀봉부재와 진공포장지를 밀봉하는 히터가 마련된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컨테이너 상면을 개폐하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클로즈된 고무패킹이 삽입설치된 후드;
상기 후드의 고무패킹과 밀봉부재가 접촉시에 진공포장지 내부를 진공시키는 진공펌프;
상기 컨테이너 상면에 형성되고 진공펌프와 연통된 흡입구; 및
상기 후드에 장착되는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공포장기, 잠금수단, 밀봉부재, 진공해제수단, 흡입구, 필터수단

Description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VACUUM SEALER HAVING LOCKING MEANS}
도 1은 종래에 실시되는 진공포장기를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외관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진공포장기의 후드가 열린 상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a는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의 컨테이너와 후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잠금수단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잠금수단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진공포장기의 또 다른 실시예인 진공포장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진공부의 상세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의 분리체와 이 분리체에 연결되는 연통파이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분리체와 이 분리체와 연통된 필터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진공포장기 10: 컨테이너 12: 밀봉부재 14: 펌프
15: 결합공 16: 가열히터 18: 돌기 19: 흡입구
19a: 요철 20: 후드 22: 고무패킹 24: 요홈
30: 진공해제수단 32: 레버 34: 탄성부재 36: 고무패킹
60: 분리체 62: 유입포트 64: 유출포트 66: 격벽
70: 연통파이프 72: 유입파이프 74: 유출파이프 80: 필터수단
82: 필터하우징 84: 필터 86: 커버 T1: 튜브
T2: 튜브 T3: 튜브 90: 잠금수단 92: 하우징
92a: 결합홈 92b: 공간부 94: 걸쇠부 94a: 결합돌기
94b: 후크 94c: 결합구 94d: 버튼 S: 스프링
본 발명은 잠금장치가 구비된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후드와 컨테이너 사이에 잠금수단을 구비케 함으로서 진공작업시 후드 부분을 누르지 않고도 진공할 수 있고, 연속적으로 밀폐된 하부 고무패킹을 삭제하고 직선형의 밀봉부재를 컨테이너에 장착시킴으로서 종래의 진공포장기와 동일한 진공도를 유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컨테이너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고, 진공완료 후 진공 공간부의 진공상태를 손쉽게 해제할 수 있고, 상기 후드와 콘테이너 사이에 진공포장지를 삽입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컨테이너 상면에 형성된 요철을 따라 기름 및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진공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을 따라 기름 및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이나 조리된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해 랩이나 비닐지에 포장하여 냉장고와 같은 냉동기기에 보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냉동기기의 보관 형태는 소정의 기간동안은 보관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상기 포장지의 내부에 들어있는 공기로 인해 식품 및 음식물이 산화되어 부패됨으로 장시간 동안 보관이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식품이나 조리된 음식물의 산화와 변질을 방지하여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포장지 내부에 보관하려는 음식물을 넣고 공기를 빼낸 후 봉합시키는 진공포장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진공포장기는 후드, 컨테이너(10), 후드(20)내부에 진공포장지의 일단이 삽입된 다음 패킹하는 고무패킹(12)(22)이 상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하부 고무패킹(12)(22)에 의해 진공 포장지(5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진공펌프(1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고무패킹(12)의 전면에는 진공 포장지(50)의 밀봉을 위한 가열수단인 가열히터(16)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진공포장지(50) 내부에 저장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넣고 상기 진공 포장지의 입구 부분을 상하부 고무패킹(12)(22) 사이에 위치하게 한 다음, 상하부 고무패킹(12)(22)이 맞물리도록 상기 후드(20)의 내부에 형성된 상부 고무패킹(22)을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소정의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진공펌프(14)가 동작하게 되고, 상기 진공펌프(14)의 동작에 따라 고무패킹(12)(22) 사이의 공간에는 진공이 이루어지되, 만약 일반적인 비닐로 이루어진 진공 포장지를 사용하게 된다면, 상기의 상하부 고무패킹(12)(22)에 의해 진공포장지(50) 내부의 공기가 흡입될 수 없게 되나, 상기 진공포장지(50)는 일측면에 엠보싱(50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엠보싱(50a)에 의해 진공포장지(50)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진공포장지(50) 내부의 진공 만들기가 완료되면, 상기 하부 고무패킹(22) 전단부에 설치된 히터(16)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진공포장지(50)가 열융착되면서 밀봉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후드(20)에는 진공포장지(50)가 용이하게 열융착되도록 진공포장지(50)를 압박하는 히터 압박용 패킹(27)이 설치되고, 상기 가열히터(16)는 사용자가 그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진공포장기는 컨테이너에 후드가 힌지결합되는 구성을 취하고 있는바, 이 구성은 미국 특허 제3,731,054호 “Heat sealer"에 개진된 바 있고, 상기 가열밀봉장치에는 컨테이너에 소정의 스위치수단이 장착되고, 이 스위치수단을 작동시키는 돌기가 마련된 후드가 힌지결합되는 구성을 취하고 있고, 후드가 컨테이너에 안착시 후드의 돌기가 스위치수단과 접촉시키게 되어 전기회로가 완성되는 구성으로서, 컨테이너에서 후드가 떨어지게 되면, 전원공급이 중단되게 되어 있으므로 봉합작업시 후드를 누르고 있어야 한다.
또한, 진공작업시에는 진공포장지 내부에 있는 공기를 뽑아내는 도중 진공포장지를 고무패킹과 접촉시켜야 하므로 후드를 컨테이너와 계속 접촉시키기 위하여 후드를 계속 누르고 있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한 진공포장기가 대한민국 특허 제0415070호에 개시된 바 있고, 이 진공포장기에는 컨테이너에 일정한 결합홈을 형성하고, 이 결합홈에 결합되게 하기 위하여 후드부에 후크부를 형성시키는 구성인 바, 상기 도어잠금부를 진공포장기 양 측면 끝단에 장착시켜야 하므로 진공작업 중 도어잠금부를 잘 못 건드리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게 되고, 진공작업 완료 후 상기 후크부 컨테이너부에서 일일이 수작업으로 분리해야 하는 레버방식으로 그 분리작업이 불편하고, 후드를 컨테이너에 결합시 상기 후크부와 결합홈이 결합 충격으로 인해 후크부나 결합홈이 깨지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상기 후드에 장착된 후크부 외관이 수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진공포장기는 진공포장지 내의 기름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 한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기름 및 이물질이 진공펌프로 유입되어 진공펌프의 펌핑력이 떨어짐과 동시에 오작동을 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진공완료 후 상부 고무패킹과 하부 고무패킹을 분리하기 위하여는 인위적으로 힘을 가해 상부 고무패킹과 하부 고무패킹을 분리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출원하여 등록 받은 제109619호, "플라스틱 백을 진공봉합하는 장치"가 있으나, 이 특허의 경우에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부, 하부 진공쳄버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부 고무패킹과 상부 고무패킹을 구비하여 상부 고무패킹과 하부 고무패킹이 접촉시에 상부, 하부 진공쳄버수단이 진공공간부를 형성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상기 특허의 경우에는 진공포장지에 물이나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음식물을 넣고 진공하는 경우에 진공쳄버수단에 있는 공기를 진공펌프가 진공을 하고 난 후 진공포장지 내부가 진공되므로 그 만큼 진공속도가 지체되는 문제점, 음식물에 이물질이 많은 경우에는 이물질이 하부 진공쳄버수단을 넘쳐흘러 진공포장기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점, 진공포장지를 진공하고 나서 매번 하부 진공쳄버수단에 잔존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왔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진공포장기는 진공포장지의 진공을 위하여는 상부 고무패킹과 하부 고무패킹 두개의 고무패킹이 필요하였으나, 진공포장지의 경우 그 입구 부분만 실링이 이루어지면 진공이 이루어지는데도 불구하고 타원형의 밀폐된 상부, 하부 고무패킹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진공포장지가 접촉되지 않는 부위에는 상부 고무패킹이 컨테이너의 상면에 접촉하여도 실링이 이루어지므로, 하부 고무패킹이 필요가 없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클로즈된 하부 고무패킹을 컨테이너에 장착할 경우 상기 하부 고무패킹을 삽입하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클로즈된 요홈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그 만큼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고, 재료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 특허의 경우에는 진공상태를 해제시키는 진공해제장치는 진공챔버수단을 수직으로 통기시키는 통기수단과 상기 진공챔버를 주변과 격리시키기 위해 상기 통기수단을 선택적으로 닫는수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 경우 진공챔버수단을 수직으로 관통시키기 위하여는 후드 상면에 통기수단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진공작업시 상기 진공해제장치를 잘못 건드리게 되면 진공공간부의 진공상태가 해제되어 진공포장지 내부에 있는 음식물등이 외부로 누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작업시 컨테이너에 힌지 결합된 후드를 인위적으로 누를 필요가 없고, 레버식이 아닌 버튼식으로 컨테이너와 후드를 간단히 결합할 수 있고, 그 동작의 정확성을 기대할 수 있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진공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진공포장기와 동일한 진공도를 유지하면서도 직선형의 밀봉부재가 구비된 진공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공완료 후 진공상태를 손쉽게 해제할 수 있는 릴리즈버튼을 구비한 진공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후드와 콘테이너 사이에 진공포장지의 삽입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테이너 상면에 형성된 요철을 따라 기름 및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진공포장기는
밀봉부재와 진공포장지를 밀봉하는 히터가 마련된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컨테이너 상면을 개폐하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클로즈된 고무패킹이 삽입설치된 후드;
상기 후드의 고무패킹과 밀봉부재가 접촉시에 진공포장지 내부를 진공시키는 진공펌프;
상기 컨테이너 상면에 형성되고 진공펌프와 연통된 흡입구; 및
상기 후드에 장착되는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은 컨테이너의 결합공에 결합되고, 상기 잠금수단은 그 측벽에 걸쇠부를 수용하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컨테이너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걸쇠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밀봉부재는 컨테이너에 탈착이 가능한 직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의 상면에는 진공포장지의 투입정도를 조절하고 후드의 고무패킹을 가이드 하는 조절수단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수단은 일렬로 배치된 다수개의 장방형의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드에는 상기 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 장방형의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구는 필터수단과 연통되어 진공포장기를 진공시 진공포장지 내의 이물질과 기름 등을 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수단은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에 삽입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상기 필터하우징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상면에는 흡입구와 연결된 요철이 형성되어 진공포장지를 진공시 진공포장지 내의 이물질과 기름이 요홈을 따라 흡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철은 흡입구에서 멀어질질수록 깊이가 낮아져 이물질과 기름이 흡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에는 진공 완료 후 후드의 고무패킹과 컨테이너의 밀봉부재가 접촉하여 형성된 진공상태를 해제시키는 진공해제수단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해제수단은 컨테이너에 힌지결합된 레버; 상기 레버를 탄력적으로 복원시켜주는 탄성부재; 상기 레버 하단에 부착된 고무패킹; 상기 고무패킹과 접촉하고 진공펌프의 튜브와 연통된 개폐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진공 완료 후 후드의 고무패킹과 컨테이너의 밀봉부재가 접촉하여 형성된 진공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해제수단은 상기 진공펌프와 흡입구 사이의 튜브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흡입구, 진공펌프, 대기로 연결되는 3-방향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에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인 진공포장기의 외관 사시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측벽에 진공해제수단(30), 필터수단(미도시)과 연통되는 분리체(60)가 삽입장착되고, 상면에는 진공도와 진공시간을 조절하는 버튼(17)이 장착된 컨테이너(10), 상기 컨테이너(10) 상부에서 힌지결합되고, 잠금수단(90)이 양측면에 장착된 후드(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진공포장기를 설명하기 위한 진공포장기의 후드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로, 상기 컨테이너(10)에는 가열히터(16)가 장착되고, 상기 가열히터(16) 상부에는 직선형의 밀봉부재(12)가 삽설되어 탈착이 가능하고(상기 직선형의 밀봉부재를 수용하는 홈은 미도시됨), 상기 밀봉부재(12) 상면에 는 다수개의 돌기(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의 소정의 위치에는 후드(20)에 장착된 잠금수단(90)의 후크(94b)에 결합되는 결합공(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공(15)은 컨테이너의 가장자리가 아닌 곳에 위치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선형의 밀봉부재(12)는 실리콘재질로서, 후술할 후드(20)에 장착된 고무패킹(22)과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지 않게 한다.
상기 밀봉부재(12)는 실리콘뿐만 아니라 실리콘과 같이 연질의 고무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종래 진공포장기의 컨테이너는 그 상면에 하부 진공쳄버수단을 형성하여 후드에 형성된 상부 쳄버수단과 결합하여 진공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컨테이너의 테두리에 타원형의 요홈을 형성하고 이 요홈에 연속적으로 밀폐된 고무패킹을 삽입하는 구성을 취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하부 진공쳄버수단을 삭제함과 동시에 직선형의 연질의 밀봉부재(12)만 삽입설치하면 진공포장지를 진공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밀봉부재(12)가 장착되지 않은 면에 상부 고무패킹(22)이 접촉하면 진공은 이루어지지만, 진공포장지를 삽입할 경우에 진공포장지가 맞물리는 부분에서는 밀봉부재(12)와 상부 고무패킹(22)이 접촉하지 않으면 진공포장지와 밀봉이 이루어지지 않아 진공이 되지 않는 원리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그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종래의 진공포장기와 동일한 정도로 진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진공포장기보다 제조공정이 간단해지며, 컨테이너 제작시 금형비가 절감되며, 하부 고무패킹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분리체(6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포트(62)와 유출포트(64), 상기 유입포트(62)와 유출포트(64)를 컨테이너(10) 벽면에 형성된 수용구(H)에 고정시키기 위한 격벽(66), 상기 격벽(66) 후방에 상기 유입포트(62), 유출포트(64)와 각각 연통된 유입편(62a), 유출편(64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입포트(62)는 흡입구(19)와 튜브(T1)로 연통되고, 상기 유출포트(64)는 진공펌프(미도시)의 유입구와 튜브(T2)로 연통된다. 상기 튜브(T2)에는 하나의 튜브(T3)가 분기되어 있고, 이 튜브(T3)는 컨테이너(10)의 일측 상단에 일단이 노출되고, 상기 튜브(T3)은 후술할 진공해제수단(30)에 의하여 개폐된다.
물기나 이물질이 극소량 내지 없는 음식물을 진공포장지 내부에 삽입하여 진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체(60)에 연통파이프(70)를 삽입설치한다.
상기 연통파이프(70)는 유입편(62a), 유출편(64a)과 각각 결합하는 유입파이프(72), 유출파이프(7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유입파이프(72)와 유출파이프(74)는 연통되어 공기를 진공펌프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물기나 이물질이 많은 음식물을 진공포장지에 넣고 진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체(60)에 삽입되어 있는 연통파이프를 해제하고 필터수단(80)을 분리체(60)의 유입편(62a), 유출편(64a)에 삽입한다.
상기 필터수단(80)은 필터하우징(82), 상기 필터하우징(82)에 삽입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84), 상기 필터하우징 커버(8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하우징(82) 측벽에는 유입요홈(82a)과 유출요홈(82b)이 형성되어 있어 이 유입요홈(82a)과 유출요홈(82b)에 유입편(62a)과 유출편(64a)을 삽입할 수 있고, 그 상단 내주연에는 일정한 홈(82c)이 형성되어 있어 커버(86) 하단 외주연에 형성된 돌기(86a)를 수용하여 커버(86)가 하우징(82)에서 착탈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필터(84)는 스폰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 스폰지는 음식물 내의 물기를 흡수하거나 이물질을 거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진공해제수단(30)은 컨테이너(10)에 힌지결합된 레버(32), 상기 레버(32)를 탄력적으로 복원시켜주는 탄성부재(34), 상기 레버(32) 하단에 부착된 고무패킹(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진공작업 완료 후 레버(32)를 누르면 튜브(T3)의 일단이 고무패킹(36)과 떨어져 진공펌프와 튜브(T3)의 진공상태가 해제되어 컨테이너(10)에서 후드(20)가 쉽게 분리되고, 그 후 레버(32)는 탄성부재(34)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되어 튜브(T3)의 일단을 막게 된다.
종전 진공해제수단은 진공챔버수단을 수직으로 통기시키는 통기수단과 상기 진공챔버를 주변과 격리시키기 위해 상기 통기수단을 선택적으로 닫는수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 경우 진공챔버수단을 수직으로 관통시키기 위하여는 후드 상면에 통기수단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진공작업시 상기 진공해제장치를 잘못 건드리게 되면 진공공간부의 진공상태가 해제되어 진공포장지 내부에 있는 음식물등이 외부로 누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왔으나, 본 발명에서 진공해제수단은 컨테이너 측벽에 마련되어 있어 진공작업시 상기 진공해제장치를 실수로 잘못 건드리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진공해제수단(30)으로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한 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상기 진공펌프와 흡입구 사이의 튜브에 설치되고, 그 구성은 흡입구(19), 진공펌프, 대기로 연결되는 3-방향 밸브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를 사용하여 펌프 및 튜브에 형성된 진공상태를 해제하여 후드를 베이스에서 손쉽게 해제할 수 있음과 더불어 그 구성을 전자식으로 하여 진공해제 동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10)에는 다수개의 돌기(18)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돌기(18)는 진공포장지의 투입정도를 조절하여 진공포장지를 절약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후드(20)의 고무패킹(22)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드(20)에는 진공포장지가 용이하게 열융착되면서 진공포장지를 압박 하는 가열히터 압박용 패킹(26), 컨테이너(10)에 탈착이 가능한 밀봉부재(12)와 접촉하는 고무패킹(2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드(20) 내면에는 컨테이너(10)의 돌기(18)와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개의 요홈(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컨테이너(10)에는 흡입구(19)의 방향으로 장방형의 요철(19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요철(19a)을 따라 진공포장지를 진공시 진공포장지 내의 이물질과 기름이 흡입구(19)로 유입되게 한다. 상기 요철(19a)은 흡입구(19)에서 멀어질질수록 깊이가 낮아지게 경사가 지게 되어 있어 이물질과 기름이 흡입구(19)로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진공작업 중 컨테이너와 후드를 결속시키는 잠금장치는 도 4a,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잠금장치(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20)에 삽입설치되고, 후드(20) 외부로 후크(94b)가 노출되어 컨테이너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결합공(15)에 결합된다.
상기 잠금장치(90)은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되어 있고, 하우징(92), 상기 하우징(92)에 결합되는 걸쇠부(9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우징(92)는 양 측면부에 결합홈(92a)가 형성되고, 그 저면에는 후크(94b)가 이동하기 위한 공간부(9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쇠부(94)는 결합홈 (92a)에 결합되는 결합돌기(94a), 하단에 결합공(15)에 결합되는 후크(94b), 결합구(94c), 상기 결합구(94c)에 결합되는 버튼(94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구(94c)와 버튼(94d) 사이에는 스프링(S)가 장착되어 있어 버튼(94d)을 누른 다음에 버튼(94d)이 일정한 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또한, 후크(94b)의 벽면에는 지지구가 형성되고, 이 스프링지지구에 와이어 스프링(94e)의 일단을 삽입하고, 스프링(94e)의 타단은 하우징 저면에 형성된 지지구(미도시)에 삽입한다.
상기와 같은 잠금수단을 구성함으로서, 컨테이너(10)에 형성된 결합공(15)에 후드(20)에 장착된 후크(94b) 일단을 결합시킨 다음, 진공작업을 시작한다. 상기 진공포장지 내부를 예정된 진공압으로 진공한 다음에 후드(20)를 컨테이너에서 분리시키기 위하여 버튼(94d)를 누르면 하우징(92)에 결합된 걸쇠부(94)가 스윙운동하게 되어, 후크(94b)가 결합공(176)에서 분리되게 되고, 스프링(94e)의 탄성력에 의하여 걸쇠부(94)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잠금수단을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걸쇠부로 이루어진 버튼방식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 컨테이너(10)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소정의 공간부(S)가 형성되고, 도 5 및 도 6의 진공부(V)가 삽입설치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이 있는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 다.
상기 진공부(V)는 직선형의 밀봉부재(12), 상기 밀봉부재(12) 위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18), 진공펌프와 연통되는 흡입구(19), 상기 흡입구(19)로 기름 및 이물질이 유입되도록 하는 요철(19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진공부(V)를 착탈식으로 하면 밀봉부재(12)의 교체를 쉽게 할 뿐만 아니라 진공포장기가 고장 났을 경우 고장난 부위를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3a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의 고무패킹 사이에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도 3b와 같은 상부쳄버(일정한 공간부를 가진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테이너에 일정한 결합공을 형성하고, 이 결합공에 결합되는 잠금수단을 후드에 장착함으로서 진공작업시 후드를 누를 필요가 없고, 그 구성을 버튼식으로 함으로서 레버식에 의한 동작의 부정확성 등의 문제점 등을 해결할 수 있고, 외부로 잠금수단이 노출되지 않아 외곤이 수려한 장점이 있고,
종래의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밀폐된 하부 고무패킹을 삭제하고 이 대신에 직선형의 밀봉부재를 사용함과 동시에 종전의 진공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한 하부 진공 쳄버수단을 삭제함으로서 종래의 진공포장기보다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종래의 진공포장기와 동일한 진공도를 유지할 수 있고,
진공완료 후 컨테이너에 마련된 진공해제수단을 이용하여 진공펌프와 튜브의 진공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 컨테이너에서 후드가 용이하게 분리되고,
상기 콘테이너에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하여 진공포장지를 삽입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컨테이너 상면에 형성된 요홈을 따라 기름 및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수단을 구비하여 진공포장시 유출되는 기름 및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밀봉부재와 진공포장지를 밀봉하는 히터가 마련된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컨테이너 상면을 개폐하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클로즈된 고무패킹이 삽입설치된 후드;
    상기 후드의 고무패킹과 밀봉부재가 접촉시에 진공포장지 내부를 진공시키는 진공펌프;
    상기 컨테이너 상면에 형성되고 진공펌프와 연통된 흡입구; 및
    상기 후드에 장착되는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컨테이너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걸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그 측벽에 걸쇠부를 수용하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부는 하단에 컨테이너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는 후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직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컨테이너에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상면에는 진공포장지의 투입정도를 조절하고 후드의 고무패킹을 가이드 하는 조절수단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일렬로 배치된 다수개의 장방형의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에는 상기 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 장방형의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필터수단과 연통되어 진공포장기를 진공시 진공포장지 내의 이물질과 기름 등을 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의 밀봉부재가 구비된 진공포장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은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에 삽입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상기 필터하우징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상면에는 흡입구와 연결된 요철이 형성되어 진공포장지를 진공시 진공포장지 내의 이물질과 기름이 요홈을 따라 흡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흡입구에서 멀어질질수록 깊이가 낮아져 이물질과 기름이 흡입 구로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에는 진공 완료 후 후드의 고무패킹과 컨테이너의 밀봉부재가 접촉하여 형성된 진공상태를 해제시키는 진공해제수단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해제수단은
    컨테이너에 힌지결합된 레버;
    상기 레버를 탄력적으로 복원시켜주는 탄성부재;
    상기 레버 하단에 부착된 고무패킹;
    상기 고무패킹과 접촉하고 진공펌프의 튜브와 연통된 개폐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진공 완료 후 후드의 고무패킹과 컨테이너의 밀봉부재가 접촉하여 형성된 진공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해제수단은 상기 진공펌프와 흡입구 사이의 튜브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흡입구, 진공펌프, 대기로 연결되는 3-방향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KR1020040108672A 2004-05-24 2004-12-20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KR100648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672A KR100648598B1 (ko) 2004-12-20 2004-12-20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PCT/KR2004/003490 WO2005113341A1 (en) 2004-05-24 2004-12-29 Vacuum sealer having locking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672A KR100648598B1 (ko) 2004-12-20 2004-12-20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051A true KR20060070051A (ko) 2006-06-23
KR100648598B1 KR100648598B1 (ko) 2006-11-23

Family

ID=37163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672A KR100648598B1 (ko) 2004-05-24 2004-12-20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5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596B1 (ko) * 2007-01-31 2008-01-21 주식회사 롤팩 밀봉전용 가이드가 구비된 진공 포장기
KR101248667B1 (ko) * 2011-01-13 2013-04-02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상압의 가스 분위기에서 열처리가 가능한 준비 챔버 및 이를 구비하는 시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034B2 (ja) * 1986-09-26 1995-04-26 昭和電線電纜株式会社 ゴム・プラスチツク被覆スポンジロ−ラの製造方法
JPS63125122A (ja) * 1986-11-05 1988-05-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密封パツク器
JPH0423877A (ja) * 1990-05-18 1992-01-28 Aica Kogyo Co Ltd 水分散コンタクト型接着剤及びその使用法
JP2004045793A (ja) * 2002-07-12 2004-02-12 Ricoh Co Ltd 事務機器
JP4354677B2 (ja) * 2002-08-09 2009-10-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密封パック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596B1 (ko) * 2007-01-31 2008-01-21 주식회사 롤팩 밀봉전용 가이드가 구비된 진공 포장기
KR101248667B1 (ko) * 2011-01-13 2013-04-02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상압의 가스 분위기에서 열처리가 가능한 준비 챔버 및 이를 구비하는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8598B1 (ko)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0611B1 (ko) 자동식 진공포장기
KR100500961B1 (ko) 잠금기능과 진공해제작업이 동시 수행이 가능한 진공포장기
KR100648598B1 (ko)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KR100502153B1 (ko) 진공포장기
KR100464661B1 (ko) 직선형의 밀봉부재가 구비된 진공포장기
KR101925211B1 (ko) 가정용 진공포장기.
KR200389424Y1 (ko) 노즐하우징이 장착된 진공포장기
KR200389425Y1 (ko) 노즐하우징이 장착된 진공포장기
KR100778520B1 (ko) 진공부가 구비된 진공포장기
KR100852635B1 (ko) 진공클립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포장지
KR200395237Y1 (ko) 경사진 진공포장기
KR100538520B1 (ko)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
EP1520787A1 (en) Device for generating at least partial vacuum in bags for packaging clothes or the like
KR200443269Y1 (ko) 진공클립장치
KR200319700Y1 (ko) 분리되며 열봉합되는 노즐 다발이 설치된 진공포장기
KR100563174B1 (ko) 진공포장기
KR200438382Y1 (ko) 진공클립장치
KR200425464Y1 (ko) 상하 슬라이딩식 진공포장기
KR100494053B1 (ko) 진공포장기
KR100584856B1 (ko) 진공포장지 삽입통로가 구비된 진공챔버장치
KR20190007835A (ko) 가정용 진공포장기
KR100485883B1 (ko) 진공포장지 밀봉형 진공챔버장치
KR200441425Y1 (ko) 진공클립장치
KR100510984B1 (ko) 분리되며 열봉합되는 노즐이 설치된 진공포장기
KR200441502Y1 (ko) 클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클립형 진공보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