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9434A - 중합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중합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9434A
KR20060069434A KR1020067002169A KR20067002169A KR20060069434A KR 20060069434 A KR20060069434 A KR 20060069434A KR 1020067002169 A KR1020067002169 A KR 1020067002169A KR 20067002169 A KR20067002169 A KR 20067002169A KR 20060069434 A KR20060069434 A KR 20060069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omer composition
thermoplastic elastomer
thermoplastic
cylinder
gran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2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9056B1 (ko
Inventor
윤동 왕
리스자드 브르조스코브스키
Original Assignee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filed Critical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60069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0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22Mixtures comprising a continuous polymer matrix in which are dispersed crosslinked particles of another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2/00Crosslinking
    • C08L2312/04Crosslinking with phenol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에틸렌 단량체 단위, α-올레핀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비공액 폴리엔을 포함하는 동력학적으로 경화된 탄성체; 및 오일을 포함하는 열경화성 탄성체 조성물로서, 오일/탄성체 비율이 2/1 이상이고,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함량이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중량% 미만이고, 조성물의 과립이 95.3mm의 내부 직경 및 356mm의 길이를 갖고 326 내지 338mm의 길이로 충진된 실린더에서 1시간동안 50℃에서 465kg/㎡의 압력하에 방치한 후 유지된 실린더로부터의 수직 위치로 120초 이내의 유출능을 갖는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합체 조성물{POLYMER COMPOSITION}
본 발명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및 에틸렌 단량체 단위, α-올레핀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비공액 폴리엔을 포함하는 동력학적으로 가황화 탄성체를 포함하는, 낮은 경도를 갖는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럽 특허출원 제 436724 호에는 50 미만의 쇼어(Shore) A 경도를 갖는 열가소성 탄성체가 개시되어 있다.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은 공중합체 고무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을 호퍼(hopper)를 통해 압출기의 실린더로 공급시키고, 호퍼로부터 개별적으로 유입구를 통해 압출기로 광물유 유형 연화제와 규소유를 혼합하여 공급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유기 과산화물의 존재하에서 열처리시킴으로써 수득된다.
낮은 겅도를 갖는 열가소성 탄성체의 공지된 문제점은 조성물이 높은 고착성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는 저장시, 예를 들어 쌕(sack), 백(bag), 게일요드(gaylord), 상자에 적재시 또는 저장소에 보관시 함께 고착되는 조성물의 과립화를 유발한다. 과립이 함께 고착될 때 과립은 압출기의 공급 개구로 더 이상 이동될 수 없다. 과립은 함께 고착되어 응집된 과립의 큰 덤블을 형성할 수 있다. 전체 쌕, 백, 게이요드, 상자 또는 저장소가 모두 또는 사실상 모두 함께 고착되어 과립 덩어리로 충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경도를 가지면서 높은 고착성을 갖지 않는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에틸렌 단량체 단위, α-올레핀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비공액 폴리엔을 포함하는 동력학적으로 가황화 탄성체; 및 오일을 포함하는 열경화성 탄성체 조성물로서, 오일/탄성체 비율이 2/1 이상이고,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함량이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중량% 미만이고, 조성물의 과립이 95.3mm의 내부 직경 및 356mm의 길이를 갖고 326 내지 338mm의 길이로 충진된 실린더에서 1시간동안 50℃에서 465kg/㎡의 압력하에 방치한 후 수직 위치로 유지된 실린더로부터의 120초 이내의 유출능을 갖는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 과립은 매우 낮은 고착 또는 차단 경향을 나타내어 공지된 열가소성 탄성체가 갖는 문제점 없이 쌕, 백, 게이요드, 상자 또는 저장소에서 저장될 수 있으며, 낮은 경도를 갖고, 예를 들어 자동 기송기에 의해 용이하게 수송될 수 있으며, 때때로 저장소로부터 가공 장치로 과립을 수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인하여, 무엇보다도 열가소성 탄성체류의 현대 산업적인 가공 및 상업적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의 추가의 장점은 조성물의 성형 물체가 매우 평활한 표면을 나타내어 조성물이 "유연 질감(soft touch)"이라 불리는 적용, 예컨대 손잡이, 버튼 등에 매우 적합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의 또다른 장점은 조성물이 낮은 점도를 가져 특히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 물체로 용이하게 가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의 또다른 장점은 이러한 조성물이 열가소성 중합체에서 충격 개질제로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의 예로는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의 단일중합체,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에틸렌 및 탄소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 공단량체의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및 탄소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 공단량체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프로필렌 및 탄소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 공단량체의 공중합체의 경우 공중합체에서 프로필렌 단량체의 함량은 바람직하게 75중량% 이상이다.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단일- 및 공중합체는 지글러-나타(Ziegler-Natta) 촉매, 메탈로센 촉매 또는 또다른 단일 부위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으로서 사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폴리프로필렌이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으로서 사용된다. 가장 바람직하게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가 사용된다.
폴리프로필렌의 용융 유출률(MFR)은 바람직하게 0.3 내지 50(g/10분); 보다 바람직하게 0.5 내지 20(ISO 표준 1133(230℃; 2.16kg 부하)에 따름)이다.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의 양은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중량% 미만이다. 바람직하게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8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 6중량% 미만,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5중량%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 4중량% 미만이다. 바람직하게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의 양은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2중량% 초과이다.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은 열가소성 가황화제(TPV)로서도 공지된 동력학적으로 가황화 탄성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에 사용되는 탄성체는 에틸렌 단량체 단위, α-올레핀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비공액 폴리엔을 포함한다. 탄성체는 α-올레핀으로서 탄소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을 포함할 수 있다. α-올레핀의 예로는 프로필렌, 부틸렌, 헥세인, 옥텐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필렌이 사용된다. 탄성체에서 에틸렌 대 α-올레핀의 중량비는 90/10 내지 20/80, 보다 바람직하게 70/30 내지 40/60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에 사용되는 탄성체는 비공액 폴리엔을 포함한다. 이는 동력학적 가황화를 매우 잘 조절하게 할 수 있다.
탄성체에 사용될 수 있는 비공액 폴리엔의 예로는 5-에틸리덴 노보넨(ENB), 5-바이닐-2-노보넨(VNB), 다이사이클로펜타디엔(DCPD) 및 1,4-헥사디엔을 들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상이한 폴리엔, 예를 들어 ENB 및 VNB를 포함하는 탄성체도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탄성체는 1 내지 12중량%의 폴리엔, 보다 바람직하게 2 내지 10중량%의 폴리엔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은 열가소성 가황화제(TPV's)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공지된 임의의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오일의 예로는 파라핀성 오일, 나프탈렌성 오일 및 방향족 오일을 들 수 있다. 가장 적합한 것으로는 백유로서도 지칭되는 매우 순수한 파라핀성 오일이다. 이들 중 가장 적합한 것은 세브론(Chevron)에 의해 개발된, 소위 동종열분해 및 탈왁스 가공에 의해 제조된 파라핀성 오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에서 오일/탄성체 비율은 2/1 이상, 바람직하게 2.5/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 3/1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 3.5/1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과립은, 1시간동안, 바람직하게는 24시간동안,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4시간동안, 50℃의 온도에서, 465kg/m2의 압력하에, 내부 직경 93.5mm 및 356mm의 길이를 가지며, 326 내지 338mm의 길이로 충진된 실린더에서 방치한 후, 수직 위치로 유지된 실린더로부터 120초 이내, 바람직하게는 60초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초 이내,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5초 이내의 유출 능력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35 미만의 쇼어 A,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미만의 쇼어 A,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5 미만의 쇼어 A의 경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은 200℃의 온도에서 전단률 207s-1의 모세관 점도계로 측정함으로써 300Pa.s 미만의 전단 점도를 나타낸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동일 조건하에서 측정된 200Pa.s의 전단 점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의 압출된 물체는, 예를 들어 일본의 미투토요 유한주식회사(Mitutoyo Corporation)에 의하여 제조된 0.8mm의 절단 길이 설정으로 힘을 측정하는 모델 211 서프테스트 표면 조도 시험기(Surftest surface roughness tester)에 의하여 측정된 5㎛ 미만의 Ra로 표현되는 평활도를 갖는 매우 평활한 표면을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평활도는 3㎛ 미만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은 보통의 추가 성분, 예를 들어, 보강 및 비보강 충진제, 산화방지제, 안정화제, 대전방지제, 윤활제, 기포제, 안료, 내연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충진제의 예로는 탄산 칼슘, 점토, 이산화 규소, 활석, 이산화 티탄, 카본 블랙 및 무기 나노 입자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력학적 가황화는 적어도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및 탄성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니딩(kneading)하는 단계 및 니딩하는 동안에 탄성체를 가황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탄성체, 오일 및 가황화제를 회분 혼합기에 동시에 첨가하거나, 또는 연속 혼합기의 동일 위치에서 첨가하여 한 단계로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은 용융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및 탄성체를 먼저 니딩하고, 이어서 니딩을 계속하고, 및 동력학적 가황화를 일으킴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력학적 가황화 전 및/또는 동력학적 가황화 동안 및/또는 동력학적 가황화 후에 상기 오일을 첨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력학적 가황화 전 및 동력학적 가황화 동안 상기 오일을 첨가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의 부분에서 동력학적 가황화 동안 상기 오일을 첨가한다. 회분 공정에서 혼합 순환의 상이한 단계 동안 상이한 부분에 상기 오일을 첨가한다. 압출기에서, 공급 개구로부터 각각 하부스트림의 상이한 거리에 있는 둘 이상의 지점에 상기 오일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의 제조는 통상적인 혼합 장치, 예를 들어 롤 분쇄기, 반버리(Banbury) 혼합기, 브라벤더(Brabender) 혼합기, 연속 혼합기 예를 들어 단일 나사 압출기, 이중 나사 압출기 등에서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공정은 이중 나사 압출기에서 수행한다.
가황화제로서 페놀성 수지, 과산화물, 규소-함유 경화제 또는 보레인을 사용할 수 있다. 탄성체 100 당 0.5 내지 5.0부의 페놀성 수지를 사용한다면 양호한 결과를 수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부의 페놀성 수지를 사용한다. 과립이 끈적거리지 않도록 충분한 양의 경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너무 많은 경화제를 사용한다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너무 거친 표면 또는 나쁜 형태를 갖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표면 조도 Ra가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7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이 되도록 하는 양의 경화제를 사용한다.
적합한 페놀성 수지의 예는 옥틸-페놀 폼알데하이드 경화성 수지이다. 이런 종류의 상업적 수지는 예를 들어 리베탁(Ribetak) R7530E(프랑스 쎄카-아토(CECA-Ato)에 의하여 인도됨) 또는 SP1045(미국 세넥타디(Schenectady)에 의하여 인도됨)이다.
혼합기를 이탈하는 조성물의 온도는 200 내지 260℃가 바람직하다.
만약 페놀성 수지와 상이한 가황제를 사용한다면, 페놀성 수지를 사용하였을 때와 동일하거나 필적할만한 동력학적 가황화율을 수득하도록 가황화제의 양, 온도 및 잔류시간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에서 탄성체의 동력학적 가황화도는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8%, 더욱 바람직하게는 82 내지 96%,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84 내지 94%이다.
탄성체의 가황화도는 겔 함량으로 표기된다. 겔 함량은 탄성체에 대한 유기 용매에 용해된 불용성 탄성체의 양 및 탄성체의 총 양(중량)의 비율이다. 상기 방법은 미국 특허 제 US-A-5100947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의 과립에 관한 것이다. 과립 입자는 1.5 내지 10mm,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 물품에 관한 것이다. 양호한 예는 압출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하여 수득된 성형 물품이다. 사출 성형에 의하여 수득된 성형 물품이 바람직하고, 이들의 바람직한 예는 그립스(grips), 개스킷스(gaskets), 마루 매트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추가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공정에서 추가의 열가소성 중합체는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에 의하여 충격 변형되거나 완화된다. 추가의 열가소성 중합체의 적합한 예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이고,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사용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추가의 열가소성 중합체가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의 부분인 동일한 열가소성 중합체일 수 있고, 또한 추가의 열가소성 중합체가 상이할 수도 있다. 만약 추가의 열가소성 중합체가 염화 폴리비닐의 치환으로 변형될 수 있는 나일론, 폴리에스터 또는 PPO라면, 양호한 결과가 수득된다. 만약 수득된 혼합물이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5 내지 30 중량% 및 추가의 열가소성 중합체 70 내지 95 중량%를 포함한다면, 양호한 결과가 수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추가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있어서의 적합한 적용은 범퍼, 플라스틱 계기판 및 자동차 내부 부품이다.
다른 양태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추가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과 혼합하는데, 예를 들어 추가의 열가소성 중합체 5 내지 50 중량% 및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50 내지 95 중량%의 혼합물이 생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경우에서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의 열가소성 중합체 및 추가의 열가소성 중합체 둘 다 모두 폴리프로필렌이다
시험 방법
차단방지성을 위한 시험 방법
과립을 공기 온도 50℃의 고온 공기 순환내에 예비가열함에 따라 과립의 온도가 50℃이다(보통 이는 30분 기간이다).
과립을 쏟아부음으로써 길이 356mm, 내경 95.3mm를 갖는 강철 튜브(미국 ASTM A-312/SA-312에서 브리스톨(Bristol)에 의해 용접된 304L 스테인레스 강철)에 놓는다. 실린더에 부은 과립의 양은 실린더가 과립로 채워진 길이가 326 내지 338mm로 되도록 선택된다. 실린더는 강철 팬내에 수직 방향으로 실린더의 축으로 위치한다. 실린더 및 팬을 또한 50℃에서 예비가열한다. 과립을 실린더에 쏟아부은 후, 소나무 마개 형태의 실린더를 과립의 상단 상에 실리더내에 위치시킨다. 소나무 마개는 직경 94mm, 두께 38.1mm 및 중량 110g을 갖는다. 마개의 상단 상에, 마개의 중심내에, 중량은 3.21kg(마개와 함께 중량이 3.32kg임)으로 위치한다. 여전히 팬에 수직 위치에 위치하는 실린더를 규정된 시간(실시예 1에서, 24 또는 48시간)동안 50℃에서 고온 공기 순환 오븐내에 위치시킨다. 오븐의 바깥으로 과립을 배출 및 오븐 내로 실린더를 위치시키는 사이의 시간은 120초를 초과하지 않는다.
상기 기간 후 실린더 및 팬을 오븐으로부터 꺼낸다. 중량 및 마개를 제거하고 실린더를 약 1초에 약 300mm의 높이로 팬으로부터 들어올린다.
실린더의 들어올림은 60초 내이고, 실린더를 오븐에서 꺼낸 후이다.
과립 전부가 실린더에서 떨러지는데 필요한 시간을 들어올리기를 개시하는 순간에 시작하여 측정한다.
표면 조도에 대한 시험 방법
압출 성형된 스트립의 표면 조도를 미투토요 코포레이션(Mitutoyo Corporation, 일본)에 의해 제작된 4mN(0.4gf) 측정 값을 갖는 모델 211 설프테스트(Surftest) 표면 조도 시험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임계치는 0.8mm로 설정하였다.
비교예 A, 실시예 I 내지 IV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을 하기 표 1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을 갖도록 제조하였다.
켈탄(Keltan, 상표) P597은 에틸렌, 프로필렌 및 폴리엔의 100부 탄성제, 오일 100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이다. 켈탄 P597은 네덜란드 소재의 DSM에서 공급된다. PP1012는 미국 소재의 아모코(Amoco)에서 공급된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이다. 추가의 성분은 하기 표 1을 참조하시오.
시료를 ZE 40A 벌스토르프(berstorff) 인하량 공회전 이중 스크류 압출기(43L/D)에서 용융물 혼합 및 탄성체로서 켈탄 P597(상표)(DSM의 오일-확장된 EPDM 50중량%), 열가소제로서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PP 1012(상표)(미국 소재의 BP 아모코, MFR=1.2g/10분), 추가로 가공된 오일 펜줄트라(Pennzultra) 1199(상표)(미국 소재의 펜조일(Penxoil)) 및 추가의 포장을 니딩함에 의해 제조하였다. 추가의 가공 오일을 압출기를 따라서 다중 위치에서 주입하였다. 추가의 포장은 페놀성 경화 SP 1045(상표)(미국 소재의 쉐넥타디 인터네이셔날 인코포레이티드(Schenectady International Inc.)), 염화제일주석 이수화물(독일 소재의 티에이치 골드슈미드트 아게(TH. Goldschmidt AG)), 산화아연(미국 소재의 징크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Zinc Corporation of America)), 열 안정화제 일가녹스(Irganox) 1076(미국 소재의 시바게이기 코포레이션(Ciba Geigy Corporation)), 활석 심팩트(Cimpact) 610(미국 소재의 루제나크 아메리카 인코레이티드(Luzenac America Inc.)) 및 아연 스테아레이트(미국 소재의 위트코(Witco))를 함유하였다. 용융 온도는 205 내지 235℃ 범위였다. 직경 3mm를 갖는 과립을 제조하였다. 과립의 점성을 측정하였다(표 2를 참조하시오).
시료는 당분야의 사출 성형기의 상태를 사용하여 2mm 두께의 사출 성형된 플레이트였다. 플레이트로부터 기계적 특성을 표 2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측정하였다.
50mm 폭, 1mm 두께 스트립을 220℃의 온도에서 압출성형하였다. 스트립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하였다(표 2를 참조하시오).
비교예 A에서 충분한 경화제를 사용하지 않아서 과립은 점성이었다. 실시예 I 내지 IV의 과립은 점성이 아니고, 이때 조성물은 경도 및 기계적 특성, 표면 거칠기 등에 대한 유리한 값을 나타냈다.
Figure 112006007383113-PCT00001
Figure 112006007383113-PCT00002

Claims (13)

  1.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에틸렌 단량체 단위, α-올레핀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비공액 폴리엔을 포함하는 동력학적으로 경화된 탄성체; 및 오일을 포함하는 열경화성 탄성체 조성물로서, 오일/탄성체 비율이 2/1 이상이고,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함량이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중량% 미만이고, 조성물의 과립이 95.3mm의 내부 직경 및 356mm의 길이를 갖고 326 내지 338mm의 길이로 충진된 실린더에서 1시간동안 50℃에서 465kg/㎡의 압력하에 방치한 후 수직 위치로 유지된 실린더로부터의 120초 이내의 유출능을 갖는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과립이 24시간동안 실린더에서 유지되는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과립이 48시간동안 실린더에서 유지되는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과립이 60초 이내에 실린더로부터 유출될 수 있는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과립이 30초 이내에 실린더로부터 유출될 수 있는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과립이 15초 이내에 실린더로부터 유출될 수 있는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이 폴리프로필렌인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80 내지 98%의 경화도를 갖는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0마이크론 미만의 표면 평활도 Ra를 갖는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마이크론 미만의 표면 평활도 Ra를 갖는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경화성 탄성체가 50 미만의 쇼어(shore) A 경도를 갖는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12. 탄성체를 탄성체 100부를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5부의 페놀성 수지를 사용하여 동력학적으로 경화시키는,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추가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혼합물.
KR1020067002169A 2003-07-29 2004-07-28 중합체 조성물 KR101059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9052203P 2003-07-29 2003-07-29
US60/490522 2003-07-29
PCT/NL2004/000542 WO2005010094A1 (en) 2003-07-29 2004-07-28 Polymer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434A true KR20060069434A (ko) 2006-06-21
KR101059056B1 KR101059056B1 (ko) 2011-08-24

Family

ID=34102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2169A KR101059056B1 (ko) 2003-07-29 2004-07-28 중합체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37221B2 (ko)
EP (1) EP1648962B1 (ko)
JP (1) JP4989968B2 (ko)
KR (1) KR101059056B1 (ko)
CN (1) CN1860173B (ko)
AT (1) ATE449131T1 (ko)
DE (1) DE602004024205D1 (ko)
WO (1) WO20050100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2813B2 (en) 2003-08-12 2012-06-0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Crosslinked polyethylene articles and processes to produce same
US8653170B2 (en) * 2005-06-27 2014-02-18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Dynamic vulcanization process for preparing thermoplastic elastomers
US7655728B2 (en) 2005-06-27 2010-02-0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eparation of thermoplastic elastomers by dynamic vulcanization in multi-screw extruders
US7915345B2 (en) 2006-06-08 2011-03-29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Solution blending process for preparing thermoplastic vulcanizates
US7935761B2 (en) 2006-06-08 2011-05-03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for preparing articles
JP2007335570A (ja) * 2006-06-14 2007-12-27 Nok Corp 電磁波シールド用ゴム組成物
US7615589B2 (en) 2007-02-02 2009-11-10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perties of peroxide-cured elastomer compositions
DE102010006720A1 (de) * 2010-01-08 2011-07-2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80686 Elastomermodifizierte thermoplastische Zusammensetzung
WO2015175117A1 (en) 2014-05-12 2015-11-19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Thermoplastic vulcanizat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230227631A1 (en) * 2020-06-15 2023-07-20 Mito Material Solutions, Inc. High-performance materials including polymers and hybrid nanoadditiv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7074A (en) * 1984-07-11 1986-08-19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Dynamically cured thermoplastic olefin polymers
JP2803311B2 (ja) * 1990-04-09 1998-09-24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EP0486700B1 (en) * 1990-06-12 1996-04-10 Advanced Elastomer Systems, L.P.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EP0757077A1 (en) * 1995-08-01 1997-02-05 Advanced Elastomer Systems, L.P. Very soft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s
JP4942268B2 (ja) * 1999-09-21 2012-05-30 テクノア エイペックス カンパニー 熱可塑性加硫物、発泡剤含有熱可塑性加硫物および熱可塑性加硫物のフォーム
US6437030B1 (en) 2000-05-24 2002-08-20 Advanced Elastomer Systems, L.P. Thermoplastic vulcanizate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ATE321642T1 (de) * 2001-10-11 2006-04-15 Dsm Ip Assets Bv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ynamisch vulkanisierten thermoplastischen elastomers
CA2467736A1 (en) * 2001-12-05 2003-06-19 Large Scale Biology Corporation Flexible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throughput production and purification of multiple proteins
EP1474477B1 (en) * 2002-02-11 2006-01-11 DSM IP Assets B.V.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WO2006102371A2 (en) * 2005-03-22 2006-09-28 Pinotage, L.L.C. Imaging devic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48962B1 (en) 2009-11-18
JP4989968B2 (ja) 2012-08-01
DE602004024205D1 (de) 2009-12-31
KR101059056B1 (ko) 2011-08-24
EP1648962A1 (en) 2006-04-26
CN1860173B (zh) 2012-07-18
US7737221B2 (en) 2010-06-15
US20060241234A1 (en) 2006-10-26
ATE449131T1 (de) 2009-12-15
WO2005010094A1 (en) 2005-02-03
JP2007500262A (ja) 2007-01-11
CN1860173A (zh) 200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3592B2 (ja) 熱可塑性加硫物をつくる方法およびそれからつくられた熱可塑性加硫物
EP0547843B1 (en) Method for producing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EP1419183B2 (en) Thermoplastic elastomer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US10730206B2 (en) Process for forming thermoplastic vulcanizates and thermoplastic vulcanizates made therefrom
EP1672024B1 (en) Soft thermoplastic elastomers
KR20120099093A (ko) 열가소성 가황물의 형성 방법
KR101059056B1 (ko) 중합체 조성물
US7655727B2 (en) Method for preparing thermoplastic vulcanizates with improved extrusion surfaces
CN110832027B (zh) 包含异相丙烯共聚物的组合物
KR100367321B1 (ko) 열가소성엘라스토머의분말,그를사용한성형방법및그를성형하여수득한성형체
EP1436135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dynamically vulcanized thermoplastic elastomer
JP6694390B2 (ja) 非カーペット型床材用の光沢が低減された熱可塑性ポリオレフィン
EP1306405B1 (en) Thermoplastic olefin elastomer composition
CN110770292B (zh) 包含异相丙烯共聚物的组合物
CA2087417A1 (en) Impact-resistant polyolefin molding composition
JP2003528961A (ja) 低温特性が改良された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
EP1591458B1 (en) Thermoplastic Elastomers
JPH02235949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2004285090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の製造方法
JP3309763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パウダー、粉末成形方法及び成形体
KR100361549B1 (ko) 열가소성올레핀계엘라스토머수지조성물및그제조방법
CN114350102A (zh) 热塑性弹性体及其制备方法、热塑性制品
KR20030091392A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210064659A (ko)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0792117B1 (ko)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