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9087A - 금속장적층판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속장적층판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9087A
KR20060069087A KR1020040108180A KR20040108180A KR20060069087A KR 20060069087 A KR20060069087 A KR 20060069087A KR 1020040108180 A KR1020040108180 A KR 1020040108180A KR 20040108180 A KR20040108180 A KR 20040108180A KR 20060069087 A KR20060069087 A KR 20060069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film
metal
forming
clad laminat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9325B1 (ko
Inventor
윤금희
신준식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8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325B1/ko
Publication of KR20060069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54Electroplating of non-metallic surfaces
    • C25D5/56Electroplating of non-metallic surfaces of plast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 C23C14/021Cleaning or etching treatments
    • C23C14/022Cleaning or etching treatments by means of bombardment with energetic particles or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4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 C23C14/20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on organic substrates
    • C23C14/205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on organic substrates by cathodic sput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등의 절연 필름과 금속층간의 접착강도가 우수하고 금속층의 평활도가 우수한 금속장적층판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장적층판의 제조장치는 절연 필름을 공급하는 절연 필름 공급부; 상기 절연 필름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절연 필름에 이온빔의 충격을 줌으로써, 절연 필름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는 이온빔 요철 형성부; 상기 미세한 요철이 형성된 절연 필름에 전도성 물질을 증착하여 시드층을 형성하는 스퍼터링부; 및 상기 절연 필름에 형성된 시드층에 전해도금을 이용하여 금속층을 형성하는 전해도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장적층판의 제조방법은 (A) 절연 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절연 필름에 이온빔을 이용하여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미세한 요철이 형성된 절연 필름에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시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절연 필름의 시드층상에 전해도금을 이용하여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금속장적층판, 동박적층판,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인쇄회로기판

Description

금속장적층판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etal clad laminate}
도 1은 종래의 프레스를 이용한 금속장적층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가열 롤을 이용한 금속장적층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장적층판의 제조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장적층판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장적층판의 제조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금속장적층판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등의 절연 필름과 금속층간의 접착강도가 우수하고 금속층의 평활도가 우수한 금속장적층판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쇄회로기판은 전자기술의 발달로 고집적도로 부품들을 실장시키기 위하여 경박단소화되고 있으며, 인쇄회로기판은 집적도를 높이는 기본 요소로서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최근의 인쇄회로기판의 중요성에 따라 동박적층판 등의 금속장적층판도 다양하게 제작하여 이용되고 있다. 특히, 반도체 집적회로의 집적도의 놀라운 발전과 소형 칩부품을 직접 실장하는 표면실장기술의 발전에 따라, 전자제품의 경박단소화가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금속장적층판의 절연재료로 폴리이미드(polyimide)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이미드는 수분흡수성이 높아 치수안정성에 문제가 있고, 이에 따른 유전율 및 손실값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가 대체 절연재료로 각광받고 있다.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는 고내열성, 고전기절연성, 고탄성, 고상성, 저성형수축율, 내약품성, 저선팽창계수, 저흡수율 등에서 뛰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무연(lead free) 및 무할로겐(halogen free) 등의 친환경성이 우수하고, 유전율 및 열팽창계수 등의 전기적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에 기초한 절연재료는 보다 작고, 보다 가벼우며, 보다 빠른 전자제품의 생산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의 우수한 전기적 특성은 휴대폰, 무선모뎀 등 여러 무선통신기기 분야에도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편, 전자전기공업 분야에서, 전자전기기기의 소형화 및 복합화의 요구로부 터 인쇄회로기판의 고밀도화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 기술은 다층화, 배선 피치(pitch)의 미세화 및 비아홀(via hole)의 미세화가 진행됨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의 미세패턴화가 가속화됨으로써,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와 금속층간의 접착력 증대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과 금속 시트를 사용하여 외관이 양호하고 충분한 접착력을 가지는 금속장적층판을 제조하려는 시도가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제조업체, 인쇄회로기판업체 및 전자전기부품업체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현재,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과 금속 시트를 사용하여 금속장적층판을 제조하는 방법은 프레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가열 롤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레스를 이용한 금속장적층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일본특허공개번호 특개 2000-263577 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개 2000-263577 호에 개시된 금속장적층판의 제조방법은 동박과 같은 금속박(12)간에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11)을 사이에 둔 상태로 적층한다.
다음으로, 이것을 평탄한 금속 플레이트(13)의 사이에 둔 구성을 1세트로 하고, 여러 세트를 겹쳐 쌓은 상태에서 진공열프레스 장치의 대향하는 가열가압판(17)사이에 장착한다. 여기서 겹쳐 쌓은 세트와 가열가압판(17)간에 압력 쿠션재(15)가 장착되어 있다.
이후, 가열 및 가압하여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11) 및 금속박(12)으로 이루어진 금속장적층판을 제조한다.
한편, 도 2는 종래의 가열 롤을 이용한 금속장적층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일본특허공개번호 특개 2001-79947 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개 2001-79947 호에 개시된 금속장적층판의 제조방법은 2개의 금속 시트(22)가 가열 롤(23)에 접촉하기 전에 각각 적외선 히터 등의 비접촉 가열 수단(24)에 의하여 예열된다.
다음으로, 2개의 금속 시트(22)와 그 사이에 삽입되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21)이 가열 롤(23)사이에서 압착됨으로써, 금속장적층판(25)이 가열 롤(23)로부터 반출된다. 여기서 금속 시트(22)와 가열 롤(23)이 접촉하는 각도 θ는 약 170°∼200°의 범위를 갖는다.
그러나, 상술한 특개 2000-263577 호 및 특개 2001-79947 호에 개시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금속장적층판은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11, 21)과 금속박(12) 또는 금속 시트(22)간의 접착강도가 인쇄회로기판의 재료로 적용가능한 수준인 약 0.6kN/m에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특개 2000-263577 호 및 특개 2001-79947 호에 개시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금속장적층판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의 미세한 회로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11, 21)과 금속박(12) 또는 금속 시트(22)간의 약한 접착강도 때문에, 회로패턴이 디라미네이션(delamination)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일본특허공개번호 특개 2003-183430 호에 개시된 내용으로, 부식성 용액(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으로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에 요철을 형성한 후, 전해도금으로 금속층을 형성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특개 2003-183430 호에 개시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금속장적층판도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과 도금층간의 접착강도가 인쇄회로기판의 재료로 적용가능한 수준인 약 0.6kN/m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금속장적층판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등의 절연 필름과 금속층간의 접착강도가 우수하고 평활도가 우수한 금속장적층판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장적층판의 제조장치는 절연 필름을 공급하는 절연 필름 공급부; 상기 절연 필름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절연 필름에 이온빔의 충격을 줌으로써, 절연 필름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는 이온빔 요철 형성부; 상기 미세한 요철이 형성된 절연 필름에 전도성 물질을 증착하여 시드층을 형성하는 스퍼터링부; 및 상기 절연 필름에 형성된 시드층에 전해도금을 이용하여 금속층을 형성하는 전해도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장적층판의 제조방법은 (A) 절연 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절연 필름에 이온빔을 이용하여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미세한 요철이 형성된 절연 필름에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시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절연 필름의 시드층상에 전해도금을 이용하여 금속층을 형성하 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장적층판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장적층판의 제조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장적층판의 제조장치는 절연 필름 공급부(110), 이온빔 요철 형성부(120), 스퍼터링부(130), 절단부(140) 및 전해도금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절연 필름 공급부(110)는 롤에 감겨진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liquid crystal polymer film), 폴리이미드 필름(polyimide film) 및 BT 수지 필름(Bismaleimide Triazine resin film) 등의 절연 필름(210)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온빔 요철 형성부(120)는 절연 필름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절연 필름(210)의 양면에 이온빔(121)의 충격을 줌으로써, 절연 필름(210)의 양면에 미세한 요철(roughness)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절연 필름(210)의 양면에 형성된 요철은 이후 형성되는 시드층 및 금속층과의 접합력을 강화시킨다.
일실시예로, 절연 필름(210)에 조사되는 이온빔(121)은 Ar+와 같은 불활성 기체의 이온이 조사될 수 있다. 이 경우, 불활성 기체의 이온은 물리적인 운동량 전달 메카니즘(mechanism)에 의하여 절연 필름(210)의 표면을 식각하여 요철을 형성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 절연 필름(210)에 조사되는 이온빔(121)은 O2 -와 같은 반응성 기체의 이온이 조사될 수 있다. 이 경우, 반응성 기체의 이온은 물리적인 운동량 전달 메카니즘보다 화학적인 반응에 의하여 절연 필름(210)의 표면을 식각하여 요철을 형성하며, 기화성이 좋은 기체(예를 들면, CO2, H2O 등)가 부산물로 생성된다. 이 기화성이 좋은 기체는 진공 펌프 등에 의하여 이온빔 요철 형성부(120)밖으로 배출된다.
스퍼터링부(130)는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요철이 형성된 절연 필름(210)상에 전도성 물질(131)의 이온 또는 클러스터(cluster)를 증착하여 시드층(seed layer)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시드층으로 사용되는 전도성 물질(131)은 구리 및 알루미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시드층의 두께는 약 0.4㎛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퍼터링 방법은 DC-마그네트론 스퍼터링(DC-magnetron sputtering), S-건 스퍼터링(S-gun sputtering), DC-다이오드 스퍼터링(DC-diode sputtering), RF-마그네트론 스퍼터링(RF-magnetron sputtering) 및 RF-다이오드 스퍼터링(RF-diode sputtering)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절단부(140)는 시드층이 형성된 절연 필름(210)을 전해도금이 용이하도록 커터(141)를 이용하여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만약, 시드층이 형성된 절연 필름(210)이 전해도금을 위한 전해도금부(150)로 바로 운반되는 경우, 절단부(140)는 전해도금부(150) 다음에 구성될 수 있다.
전해도금부(150)는 전해도금을 이용하여 절연 필름(210)의 시드층상에 일정한 두께 이상의 금속층을 형성하여 역할을 한다. 이때, 시드층이 형성된 절연 필름(210)은 도금액(152)이 담겨진 도금 작업통(151)에 침식된 후, 직류 정류기(153)를 이용하여 전해도금이 수행됨으로써, 금속장적층판(200)이 제조된다.
여기서 전해도금은 도금될 면적을 계산한 후, 직류 정류기(153)에 적당한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금속을 석출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해도금되는 금속층의 물질은 시드층으로 사용되는 전도성 물질(131)과 같은 구리 및 알루미늄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장적층판(200)은 전해도금을 이용하여 금속층을 형성하므로, 금속층의 물성이 우수하고, 금속층의 두께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장적층판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장적층판의 제조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장적층판의 제조방법은 절연 필름 제공 단계(S110), 이온빔을 이용하여 절연 필름에 미세한 요철 형성 단계(S120),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절연 필름에 시드층 형성 단계(S130), 시드층이 형성된 절연 필름 절단 단계(S140), 및 전해도금을 이용하여 시드층상에 금속층 형성 단계(S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5a에서와 같이,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폴 리이미드 필름 및 BT 수지 필름 등의 절연 필름(210)을 제공한다(S110).
도 5b에서와 같이, Ar+ 또는 O2 -와 같은 이온빔을 이용하여 절연 필름(210)상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한다(S120). 이때, 절연 필름(210)상에 형성된 요철은 이후 형성되는 시드층 및 금속층과의 접합력을 강화시킨다.
도 5c에서와 같이,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요철이 형성된 절연 필름(210)상에 전도성 물질의 이온 또는 클러스터를 증착하여 시드층(221, 222)을 형성한다(S130).
여기서 시드층(221, 222)으로 사용되는 전도성 물질은 구리 및 알루미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시드층(221, 222)의 두께는 약 0.4㎛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d에서와 같이, 시드층(221, 222)이 형성된 절연 필름(210)을 적절한 길이로 절단한다(S140).
만약, 시드층(221, 222)이 형성된 절연 필름(210)이 전해도금 단계로 바로 이어지는 경우, 이 단계는 전해도금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5e에서와 같이, 전해도금을 이용하여 절연 필름(210)의 시드층(221, 222)상에 일정한 두께 이상의 금속층(231, 232)을 형성함으로써(S150),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장적층판(200)이 제조된다.
여기서 전해도금되는 금속층(231, 232)의 물질은 시드층(221, 222)으로 사용되는 전도성 물질과 같은 구리 및 알루미늄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다양한 변화 및 변형이 가능함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숙련된 당업자에게 분명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 및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는 것은 이하 특허청구범위를 통하여 확인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장적층판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이온빔 충격을 이용하여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등의 절연 필름상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므로, 절연 필름과 금속층간의 접착 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장적층판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미세한 요철이 형성된 절연 필름에 전해도금을 통하여 금속층을 형성하므로, 금속층의 물성 및 평활도가 우수한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장적층판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절연 필름과 금속층간의 접착 강도가 우수하므로, 경박단소화, 고밀도화 및 고집적화되어 가는 인쇄회로기판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절연 필름을 공급하는 절연 필름 공급부;
    상기 절연 필름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절연 필름에 이온빔의 충격을 줌으로써, 절연 필름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는 이온빔 요철 형성부;
    상기 미세한 요철이 형성된 절연 필름에 전도성 물질을 증착하여 시드층을 형성하는 스퍼터링부; 및
    상기 절연 필름에 형성된 시드층에 전해도금을 이용하여 금속층을 형성하는 전해도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장적층판의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필름은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장적층판의 제조장치.
  3. (A) 절연 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절연 필름에 이온빔을 이용하여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미세한 요철이 형성된 절연 필름에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시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절연 필름의 시드층상에 전해도금을 이용하여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장적층판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필름은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장적층판의 제조방법.
KR1020040108180A 2004-12-17 2004-12-17 금속장적층판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619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180A KR100619325B1 (ko) 2004-12-17 2004-12-17 금속장적층판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180A KR100619325B1 (ko) 2004-12-17 2004-12-17 금속장적층판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087A true KR20060069087A (ko) 2006-06-21
KR100619325B1 KR100619325B1 (ko) 2006-09-08

Family

ID=3716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180A KR100619325B1 (ko) 2004-12-17 2004-12-17 금속장적층판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3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924B1 (ko) * 2009-08-14 2012-03-23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위센서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5749B2 (ja) * 1997-04-17 2006-06-14 味の素株式会社 エポキシ樹脂組成物並びに該組成物を用いた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924B1 (ko) * 2009-08-14 2012-03-23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위센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9325B1 (ko) 200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8467B1 (en) Heat-resistant insulating film, raw substrate for printed wiring board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ubstrate
US2006012422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pper clad laminate with improved peel strength
US2013027709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 board
TWI787174B (zh) 覆金屬積層板及其製造方法
TW200904291A (en) Laminated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8536292A (ja) 抵抗器及びコンデンサ形成のための多層構造体
JPWO2007013330A1 (ja) 熱可塑性液晶ポリマーフィルムで被覆した配線板の製造方法
JP6119433B2 (ja) めっき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74321B1 (ko) 방열특성이 향상된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619325B1 (ko) 금속장적층판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00200950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274491B2 (ja) 多層配線基板の製造方法
KR101012919B1 (ko) 접착제가 없는 연성금속 적층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641341B1 (ko)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연성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987378B1 (ko)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TW202014076A (zh) 多層配線板的製造方法
CN102497748A (zh) 一种多层印刷电路板的制作方法
CN111182732B (zh) 一种高频混合压合工艺
JP2005064110A (ja) 電子部品用部材並びにこれを用いた電子部品
CN112996259B (zh) 一种不同铜厚线路板的制作方法
JP2005217052A (ja) 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4075456A1 (ja) 回路基板および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2004087957A (ja) 部品内蔵プリント配線板、およびその部品内蔵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H03225995A (ja) 配線板
JP4492071B2 (ja) 配線基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