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8210A - 습식 토너카트리지 관리기능을 구비한 습식 화상형성장치및 그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습식 토너카트리지 관리기능을 구비한 습식 화상형성장치및 그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8210A
KR20060068210A KR1020040106843A KR20040106843A KR20060068210A KR 20060068210 A KR20060068210 A KR 20060068210A KR 1020040106843 A KR1020040106843 A KR 1020040106843A KR 20040106843 A KR20040106843 A KR 20040106843A KR 20060068210 A KR20060068210 A KR 20060068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liquid toner
toner cartridge
memory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종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6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8210A/ko
Publication of KR20060068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4Preparing, mixing, transport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10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toner concent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03G15/16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with means for conditioning the transfer element, e.g. clea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1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mean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process cartridge, e.g. attachment, positioning of parts with each other, pressure/distance regul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6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for cooling, filtering, removing gases like ozone

Abstract

습식 토너카트리지 관리기능을 구비한 습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관리방법이 개시된다. 본 습식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습식 카트리지에 관한 제품정보, 토너소모정보, 및 구동정보가 기록된 카트리지메모리를 구비한 습식 토너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인쇄동작을 수행하는 인쇄부, 카트리지메모리에 기록된 제품정보, 토너소모정보, 및 구동정보에 대응되는 소정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그리고, 카트리지메모리와 통신하여, 제품정보, 토너소모정보, 및 구동정보를 통해 습식 토너카트리지의 상태를 판단하여, 메시지를 출력하고, 습식 토너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인쇄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메모리를 이용하여 습식 토너카트리지의 이력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습식 화상형성장치, 습식 토너, 카트리지메모리, CRUM

Description

습식 토너카트리지 관리기능을 구비한 습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관리방법 { Wet type Laser printer having function to management wet type toner cartridge and method of thereof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습식 화상형성장치 및 습식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습식 토너카트리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습식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습식 토너카트리지의 카트리지메모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초기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습식 화상형성장치 110 : 통신인터페이스부
120 : 조작부 130 : 표시부
140 : 저장부 150 : 인쇄부
151 : 인쇄엔진부 153 : 카트리지장착부
160 : 제어부
본 발명은 습식 토너카트리지 관리기능을 구비한 습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습식 토너카트리지에 구비되어 있는 카트리지메모리에 습식 토너카트리지에 관한 정보를 기록 및 카트리지메모리로부터 습식 토너카트리지에 관한 정보를 독출함으로써, 습식 토너카트리지의 이력을 관리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보급이 활성화됨에 따라, 컴퓨터 주변기기의 보급율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표적인 예로써,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등의 화상형성장치를 들 수 있다. 최근에는, 소음이 적고, 고속 복사가 가능한 레이저 화상형성장치도 저가로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레이저 화상형성장치는 대전(Conditioning), 노광(Writing), 현상(Developing), 전사(Transferring), 정착(Fusing) 등의 프로세스를 통해 문서를 인쇄하게 된다. 한편, 레이저 화상형성장치는 현상과정에서 건식 토너(toner)를 사용하는지 또는 습식 토너를 사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건식 및 습식 화상형성장치로 구분된다. 습식 화상형성장치는 C10H22, C11H24, C12 H26, 및 C13H28의 혼합물 등과 같은 탄 화수소(Hydrocarbon) 계통의 캐리어(carrier)용액, 안료 등을 함유하는 습식 토너(toner)를 사용하여 인쇄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습식 토너는 건식 토너와는 달리 방치시간에 따라 경화되거나, 인쇄동작 수행 빈도에 따라 농도가 변하거나, 혹은 캐리어의 종류에 따라 정착온도가 달라지는 특성을 가진다. 그러므로, 습식 토너가 보관되는 습식 토너카트리지에는 습식 토너카트리지의 제품정보 뿐만 아니라, 습식 토너의 특성에 따른 각종 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카트리지메모리가 필요하다. 현재까지는 이러한 습식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습식 토너카트리지의 이력을 관리하는 기능이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트리지메모리에 저장된 습식 토너카트리지의 제품정보, 토너소모정보, 및 습식 토너의 특성에 따른 구동정보를 통해 습식 토너카트리지를 관리하는 습식 토너카트리지 관리기능을 구비한 습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습식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습식 카트리지에 관한 제품정보, 토너소모정보, 및 구동정보가 기록된 카트리지메모리를 구비한 습식 토너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인쇄동작을 수행하는 인쇄부, 상기 카트리지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제품정보, 토너소모정보, 및 구동정보에 대응되는 소정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카트리지메모리와 통신하여, 상기 제품정보, 토너소모정보, 및 구동정보를 통해 상기 습식 토너카트리지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습식 토너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인쇄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품정보에는 상기 습식 토너카트리지의 제조업체, 및 제품일련번호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조업체를 통한 상기 습식 토너카트리지의 정품여부 및 상기 제품일련번호를 통한 기 장착된 습식 토너카트리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토너소모정보에는 페이지카운터 및 도트카운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소정 인쇄작업 수행 후, 인쇄작업에 따른 페이지수량에 관한 페이지카운트 및 인쇄작업에 따른 도트수량에 관한 도트카운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카트리지메모리에 누적 기록하여 토너로우(low)상태를 판단한 후, 상기 카트리지메모리에 상기 토너로우상태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정보에는 상기 습식 토너카트리지의 토너로우, 상기 습식 토너카트리지의 이상상태, 상기 습식 토너카트리지에 대응되는 정착온도, 및 상기 인쇄부의 최후 구동시간이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너로우, 상기 이상상태, 상기 정착온도, 및 상기 최후 구동시간에 따라 상기 인쇄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카트리지메모리는 EEP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형식의 CRUM(Customer Replacement Unit Monitor)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습식 화상형성장치 및 습식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습식 토너카트리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습식 화상형성장치(100)에는 소정 인쇄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습식 토너가 보관되어 있는 습식 토너카트리지(200)가 장착된다. 이러한 습식 토너카트리지(200)는 습식 토너카트리지정보가 기록된 카트리지메모리(250)를 구비한다. 습식 화상형성장치(100)는 습식 토너카트리지(200)가 장착되면, 카트리지메모리(250)로부터 습식 토너카트리지정보를 독출하여, 습식 토너카트리지(200)의 이력을 관리하여, 인쇄동작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습식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인터페이스부(110), 조작부(120), 표시부(130), 저장부(140), 인쇄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통신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장치(미도시) 및 소정 네트워크와 접속되어, 외부장치 및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후술되는 제어부(160)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조작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써, 습식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조작부(120)를 통해 습식 화상형성장치(100)의 여러 가지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역시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써, 습식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 를 구비한다. 표시부(130)는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습식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된 습식 토너카트리지(200)가 비정품 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또한, 습식 토너카트리지(200)가 토너로우(low)상태인 경우, 토너로우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그리고, 습식 화상형성장치(100)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저장부(140)에는 습식 화상형성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 및 인쇄에 사용되는 폰트 등이 저장되며, 인쇄 시 데이터 변환에 필요한 저장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습식 토너카트리지(200)가 카트리지장착부(153)에 장착되면, 습식 토너카트리지(200)에 대응되는 제품일련번호가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인쇄부(150)는 인쇄에 사용되는 습식 토너가 보관된 습식 토너카트리지(200)가 장착되는 카트리지장착부(153) 및 습식 토너카트리지(200)를 이용하여 인쇄동작을 수행하는 인쇄엔진부(151)를 포함한다.
먼저, 카트리지장착부(153)에는 카트리지메모리(250)를 구비한 습식 토너카트리지(200)가 장착되며, 제어부(160)와 카트리지메모리(250) 간의 통신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습식 토너카트리지(200)는 습식 토너카트리지(200)에 관한 각종 정보가 저장된 카트리지메모리(250)를 구비한다.
인쇄엔진부(151)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외부장치 및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습식 토너카트리지(200)를 이용하여 인쇄용지에 인쇄한다.
제어부(160)는 인쇄엔진부(151)를 제어하여, 외부장치 및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용지에 인쇄하도록 인쇄엔진부(151)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 는 카트리지메모리(250)와 통신함으로써, 카트리지메모리(250)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독출하거나, 카트리지메모리(250)에 정보를 저장한다. 즉, 카트리지메모리(250)에 기록된 제품정보를 통해, 습식 토너카트리지(200)의 정품여부 및 기 장착되었던 습식 토너카트리지(200)인가를 판단한다. 또한, 토너소모정보를 통해 습식 토너의 소모량을 확인하고, 습식 토너가 모두 소모되었다고 판단되면, 카트리지메모리(250)에 토너로우(low)상태를 기록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카트리지메모리(250)에 기록된 구동정보를 참고하여, 인쇄부(150)를 통해 인쇄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러한 각종 정보가 저장된 카트리지메모리(250)에 관해 도 3을 통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습식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습식 토너카트리지의 카트리지메모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습식 토너카트리지(200)에 구비된 카트리지메모리(250)에는 제품정보, 토너소모정보, 및 구동정보 등이 저장된다.
제품정보는 습식 토너카트리지(200)를 만든 제조회사명, 제조일자, 및 습식 토너카트리지(200)에 대응되는 제품일련번호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제품정보는 제품 생산 시, 카트리지메모리(250)에 기록된다.
토너소모정보는 습식 토너카트리지(200)에 보관된 습식 토너의 소모량에 관한 정보로써, 페이지(page)카운트 혹은 도트(dot)카운트가 있다. 먼저, 페이지카운트에는 인쇄부(150)에서 실제 인쇄되는 용지의 페이지 수를 카운트하여 누적 저장한 출력페이지매수 및 습식 토너카트리지(200)에 보관된 습식 토너를 사용하여 인 쇄할 수 있는 최대페이지매수가 기록된다. 토너카운트에는 인쇄부(150)에서 실제 인쇄되는 인쇄데이터의 "1"비트 개수를 누적 저장한 출력도트개수 및 습식 토너카트리지(200)에 보관된 습식 토너를 사용하여 인쇄할 수 있는 최대도트개수가 기록된다.
제어부(160)는 매 인쇄동작이 완료될 때마다, 출력페이지매수를 업데이트한 후, 최대페이지매수와 비교하여, 출력페이지매수가 최대페이지매수와 같아지면, 습식 토너카트리지(200)가 토너로우(low)상태라고 인식한다. 같은 방법으로, 제어부(160)는 인쇄동작이 완료될 때마다, 출력도트개수를 및 출력도트개수를 업데이트한 후, 최대도트개수와 비교하여, 출력도트개수가 최대도트개수와 같아지면, 습식 토너카트리지(200)가 토너로우상태라고 인식한다. 이와 같은 인쇄동작에 따른 습식 토너의 소모량은 표 1과 같다.
습식 토너 소모량 페이지카운트 혹은 도트카운트
0% 0
...
10% 100K
...
50% 500K
...
100% 1000K(최대페이지수량 혹은 최대도트개수)
제어부(160)는 상기 표 1과 같은 룩 업 테이블(Look Up Table)을 이용하여, 습식 토너카트리지(200)의 토너로우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구동정보에는 토너로우, 정착온도, 최후구동시간, 및 이상상태 등이 포함된다. 먼저, 토너로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60)가 토너소모정보를 참고하여, 습식 토너카트리지(200)가 토너로우상태라고 인식하면, '1'이라고 기록 한다. 추후에, 습식 화상형성장치(100)의 시스템 점검시점이 되면, 제어부(160)는 카트리지메모리(250)에 토너로우가 '1'로 셋팅(setting)되어 있으면, 토너로우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0'으로 셋팅되어 있으면, 토너로우상태가 아니라고 인식한다.
정착온도는 습식 토너카트리지(200)에 보관되는 습식 토너에 대응되는 온도이다. 즉, 습식 토너에 사용되는 캐리어의 종류에 따라 정착온도가 다르므로, 습식 토너카트리지(200)에 보관되는 습식 토너에 대응되는 정착온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정착온도는 습식 토너카트리지(200) 제조 시, 카트리지메모리(250)에 기록된다.
최후구동시간은 인쇄부(150)가 인쇄동작을 수행한 마지막 시간이다. 습식 토너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화정도가 변하므로, 일정한 경화정도를 유지하기 위해, 교반되어야 한다. 제어부(160)는 최후구동시간이후에 일정 시간간격을 주기로 습식 토너를 교반하도록 인쇄부(150)에 포함된 혼합모터(미도시)를 제어한다.
이상상태는 습식 화상형성장치(100)에 소정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1'로 셋팅(setting)된다. 즉, 잼(jam)등으로 인해 습식 화상형성장치(100)가 정지하게 되면, 제어부(160)가 이상상태를 '1'로 셋팅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습식 화상형성장치(100)의 비정상 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습식 토너가 습식 토너카트리지(200)로부터 누수되는 경우, 습식 토너를 회수하도록 인쇄부(150)를 제어한다.
이러한 각종 정보를 담고있는 카트리지메모리(250)로는 EEP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형식의 CRUM(Customer Replacement Unit Monitor)메모리가 있다. 제어부(160)는 CRUM메모리를 통해 습식 토너카트리지(200)의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초기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따르면, 먼저, 사용자가 습식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면, 습식 화상형성장치가 ON된다(S300).
습식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이 ON되면, 제어부(160)는 카트리지메모리(250)와의 통신을 시작한다(S310).
제어부(160)는 카트리지메모리(250)로부터 제품정보를 독출하여, 습식 토너카트리지(200)의 정품여부를 판단한다. 즉, 도 3의 예를 들어, 습식 토너카트리지(200)를 제조한 제조사가 본 습식 화상형성장치(100)를 제조한 제조사와 같은 '삼성'인 경우, 정품이라고 판단하고, '삼성'이 아닌 다른 제조사인 경우, 정품이 아니라고 판단한다(S320).
습식 토너카트리지(200)가 비 정품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비 정품 습식 토너카트리지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S325).
습식 토너카트리지(200)가 정품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습식 토너카트리지(200)가 기존에 장착된 습식 토너카트리지(200)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저장부(140)에 기록된 제품일련번호가 카트리지메모리(250)에 기록된 제품일련번호와 일치하는가를 판단한다(S330).
제어부(160)는 저장부(140)에 기록된 제품일련번호가 카트리지메모리(250)에 기록된 제품일련번호와 다르다고 판단되면, 저장부(140)에 기록된 제품일련번호를 삭제하고, 카트리지메모리(250)에 기록된 제품일련번호를 저장부(140)에 기록한다(S335).
그리고, 제어부(160)는 카트리지메모리(250)의 토너소모정보를 통해 습식 토너카트리지(200)가 토너로우(low)상태인가는 판단한다(S340).
제어부(160)가 습식 토너카트리지(200)가 토너로우상태라고 판단하면, 습식 토너카트리지(200)의 토너로우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S345).
제어부(160)가 습식 토너카트리지(200)가 토너로우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카트리지메모리(250)에 기록된 이상상태를 통해 습식 화상형성장치(100)가 정상동작상태인가를 판단한다(S350).
이상상태가 '1'로 셋팅되어 있으면, 제어부(160)는 습식 화상형성장치(100)가 비정상동작상태라고 판단하여, 습식 화상형성장치(100)의 비정상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하고, 습식 토너카트리지(200)로부터 누수되는 습식 토너의 회수동작을 수행하도록 인쇄부(150)를 제어한다(S355).
제어부(160)는 습식 토너 회수동작이 완료되면, 습식 화상형성장치(100)가 정상동작상태인가를 재 판단한다. 재 판단결과, 습식 화상형성장치(100)가 정상동작상태라고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카트리지메모리(250)에 기록된 최후구동시간에 따라 습식 토너를 교반하는 혼합모터(미도시)를 일정시간간격으로 구동시킨다 (S370).
제어부(160)는 인쇄명령이 수신될 때까지 습식 화상형성장치(100)가 인쇄 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인쇄부(150)를 제어한다(S390).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카트리지메모리(250)를 이용하여 습식 화상형성장치(100)를 초기화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따르면, 먼저, 습식 화상형성장치(100)에 인쇄수행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160)는 인쇄동작을 수행하도록 인쇄부(150)를 제어한다(S400).
인쇄부(150)의 인쇄동작이 수행된 후, 제어부(160)는 페이지카운트 및 도트카운트를 업데이트하여 카트리지메모리(250)에 기록한다(S410).
제어부(160)는 카트리지메모리(250)에 기록된 페이지카운트 및 도트카운트를 통해 습식 토너카트리지(200)가 토너로우(low)상태인가를 판단한다(S430).
이때, 습식 토너카트리지(200)가 토너로우상태라고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토너로우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S490).
여기서, 만약 습식 토너카트리지(200)가 토너로우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인쇄부(150)의 최후 구동시간을 카트리지메모리(250)에 기록한다(S450).
그리고, 제어부(160)는 습식 화상형성장치(100)가 인쇄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인쇄부(150)를 제어한다(S470).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카트리지메모리(250)를 통해 인쇄동작에 따른 습식 토너카트리지(200)를 관리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습식 토너카트리지에 구비된 카트리지메모리를 이용하여, 습식 토너의 특성에 따른 습식 토너카트리지의 이력을 관리함으로써, 습식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한 인쇄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5)

  1. 소정 습식 카트리지에 관한 제품정보, 토너소모정보, 및 구동정보가 기록된 카트리지메모리를 구비한 습식 토너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인쇄동작을 수행하는 인쇄부;
    상기 카트리지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제품정보, 토너소모정보, 및 구동정보에 대응되는 소정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카트리지메모리와 통신하여, 상기 제품정보, 토너소모정보, 및 구동정 보를 통해 상기 습식 토너카트리지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습식 토너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인쇄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정보에는 상기 습식 토너카트리지의 제조업체, 및 제품일련번호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조업체를 통한 상기 습식 토너카트리지의 정품여부 및 상기 제품일련번호를 통한 기 장착된 습식 토너카트리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소모정보에는 페이지카운터 및 도트카운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소정 인쇄작업 수행 후, 인쇄작업에 따른 페이지수량에 관한 페이지카운트 및 인쇄작업에 따른 도트수량에 관한 도트카운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카트리지메모리에 누적 기록하여 토너로우(low)상태를 판단한 후, 상기 카트리지메모리에 상기 토너로우상태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정보에는 상기 습식 토너카트리지의 토너로우, 상기 습식 토너카트리지의 이상상태, 상기 습식 토너카트리지에 대응되는 정착온도, 및 상기 인쇄부의 최후 구동시간이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너로우, 상기 이상상태, 상기 정착온도, 및 상기 최후 구동시간에 따라 상기 인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메모리는,
    EEP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형식의 CRUM(Customer Replacement Unit Monitor)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
KR1020040106843A 2004-12-16 2004-12-16 습식 토너카트리지 관리기능을 구비한 습식 화상형성장치및 그 관리방법 KR20060068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843A KR20060068210A (ko) 2004-12-16 2004-12-16 습식 토너카트리지 관리기능을 구비한 습식 화상형성장치및 그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843A KR20060068210A (ko) 2004-12-16 2004-12-16 습식 토너카트리지 관리기능을 구비한 습식 화상형성장치및 그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210A true KR20060068210A (ko) 2006-06-21

Family

ID=37162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843A KR20060068210A (ko) 2004-12-16 2004-12-16 습식 토너카트리지 관리기능을 구비한 습식 화상형성장치및 그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82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5143B2 (en) 2008-11-26 2011-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emperature sensor embedded developer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5143B2 (en) 2008-11-26 2011-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emperature sensor embedded developer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502905B1 (ko) * 2008-11-26 2015-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도센서 내장형 현상기가 채용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9764B2 (en) Network system comprising customer replaceable unit
US743037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iscrimination function about refilled toner and method thereof
EP2568344B1 (en) Crum chip and image forming device for communicating mutually, and method thereof
CN100349164C (zh) 信息处理装置、监视方法、程序和存储介质
US8588626B2 (en) Apparatus and output setting method of consumed status of consumable items of the apparatus
JP200233380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消耗品、画像形成装置の管理装置並びに画像形成システム
KR100212992B1 (ko) 잉크 젯트 프린터의 잉크 카트리지 상태 검출방법
JP2008164891A (ja) 印刷制御装置および印刷制御方法
JP2022032200A (ja)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60068210A (ko) 습식 토너카트리지 관리기능을 구비한 습식 화상형성장치및 그 관리방법
US2007001375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a message depending on the situation
JP4471173B2 (ja) 画像形成装置、その管理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123702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인쇄방법
US746079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9034455A (ja) 画像形成装置、消耗品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24694A (ko) 리필토너 판별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449792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2331728A (ja) 機能部材、それを保持する画像記録装置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
JP2005178177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消耗材収納カートリッジ
US20190303064A1 (en) Printing apparatus, print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419178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01857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99194A (ja) 印刷装置の損耗度の管理
KR20070066085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의 교체시기통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